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12:19:21

정견모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5C5C,#008080 20%,#008080 80%,#005C5C); color:#fbe67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부여
소서노 선도성모 정견모주 시비
주몽
온조
수로
동명
}}}
}}}}}}}}}
파일:정견모주 표준영정.jpg
正見母主像
<colbgcolor=#87CEEB> 생몰연도 ? ~ ?
칭호 정견모주(正見母主)
별호 가야산신(伽倻山神) / 정견천왕(正見天王)
남편 이비가(夷毗訶) / 이비가지(夷毗訶支)
아들 뇌질주일(惱窒朱日), 뇌질청예(惱窒靑裔)

1. 상세2. 대중매체

[clearfix]

1. 상세

가야지역에서 여신으로 숭배되던 인물. 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어머니라는 설이 있다.

조선시대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최치원의 저서 석리정전(釋利貞傳)을 인용한 부분에서 보인다는 설도 있다.[1]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야의 산신(山神) 정견모주는 천신(天神) 이비가(夷毗訶)[2]와의 사이에서 뇌질주일(대가야이진아시)과 뇌질청예(금관가야수로왕)를 낳았다. 정견(正見)은 불가에서 말하는 팔정도 중 한 가지로, 대구화상, 허황후 남매 전설에서 보듯 가야 신화가 전반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아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마을 뒷편에 가면 정견모주의 제단과 정견모주가 하늘신 이비가를 맞이할 때 탄 꽃가마가 변했다고 전해지는 가마바위[3]가 존재한다.

유독 한국의 여러 시조탄생신화 중에서도 산신이 중심이 된다는 점은 좀 특이한데, 대가야지산동 고분군고구려, 백제, 신라의 왕릉급 무덤들이 평지나 산능선자락 정도에 있는 것과 달리 산꼭대기 능선에 만들어졌던 것도 특이한 점이다. 이런 점들에서 가야권에 다른 나라에는 없었던 특유의 산악신앙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가야산은 삼국시대 부터 신성한 산으로 여겨져서 우두산(牛頭山)이라 불렸고 가야의 산신제 때는 소를 제물로 바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우두(牛頭)는 소두라고 발음할 수 있는데, 삼한지역의 성지였던 소도와 연관이 있을지도....
또한, 우두산(牛頭山)은 일본서기에 나오는 소시모리라는 설도 있다.

해인사 입구에 들어 가다 보면 한국의 다른 들과 마찬가지로 산신각을 볼 수 있는데, 해인사 산신각에 모셔져 있는 산신의 그림이 바로 정견모주이다. 이 그림도 원래는 남자로 그려져 있었는데 나중에 바뀐 것.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여성 산신의 신격이 남성으로 바뀌어 모셔지는 일이 허다했고, 정견모주 역시 정견천왕(正見天王)이라는 이름의 수염 덥수룩한 남자 산신으로 신격의 성별이 바뀌어 산신각에 모셔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해인사를 창건한 사람이 대가야 왕실의 후손 순응과 이정이기 때문에, 해인사 자체가 정견모주를 제사 지내던 정견천왕사 자리에 창건한 절이라 보는 설도 있다.KBS 역사스페셜

2. 대중매체

2010년 MBC 드라마 <김수로>에서 등장. 배우는 배종옥.

북방민족의 추장의 부인으로 수로를 낳고 한나라를 피해 남하하다가 수로를 잃어버리고 만다. 결국 천군 이비가와 혼인하여 이진아시를 낳는다. 어머니 역할보다는 정치인 입장 성향이 강한 편으로 묘사된다. 성장하는 수로 때문에 자기 아들인 이진아시가 밀리는 것에 매우 경계하며, 수로에게 중반까지 내내 차갑게 대한다. 하지만 결국 나중에 수로가 자신이 잃어버린 아들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나, 수로나 정견모주 모두 츤데레처럼 군다.(…) 나중에 몰락한 신귀간[4]의 발악으로 수로를 살리기 위해 피살되면서 죽음에 이르자 이진아시와의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고 아들인 수로와 진심을 얘기하며 죽는다.


[1] 현재 최치원의 석리정전은 전해지지 않는다.[2] '이비가지'라고 적힌 사료, 번역서가 다수 있는데 여기서 지(支)는 현대 한국어 '님'에 해당하는 경칭으로 비정된다.[3] 상아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4] 드라마내 가상인물이자 악역 배우는 유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