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촉
풀, 특히 난초의 개수를 세는 단위. '포기'와 같은 뜻이다. 아래와는 달리 순우리말이다.2. 燭
양초를 세는 단위.또는 전구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 n촉은 양초 n개의 밝기를 나타낸다.(마력같은 용법) SI 단위의 칸델라와 거의 호환된다.
3. 觸
촉감, 혹은 펜촉같이 어딘가에 닿는 부분을 가리킬 때 쓴다.한자를 보면 뿔 각(角)과 초나라 촉(蜀)자를 이용한 형성 문자이다.
4. 蜀
중국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 황하 문명 하(夏) | ||||||||
상(商) | |||||||||
서주(西周) | |||||||||
동주(東周) | 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 춘추오패 | 전국칠웅 | ||||||||
초한쟁패기 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 | |||||||||
전한(前漢) | |||||||||
신(新) 현한(玄漢) | |||||||||
후한(後漢) | |||||||||
삼국 | 위(魏) | 촉(蜀) | 오(吳) | ||||||
서진(西晉) | |||||||||
동진(東晉) 환초(桓楚) | 오호십육국 전진(前秦) | ||||||||
남북조 | 송(宋) | 북위(北魏) | |||||||
제(齊) | |||||||||
양(梁) 후량(後梁) | |||||||||
수(隋) | |||||||||
당(唐) 무주(武周) | 위연(僞燕) | 황제(黃齊) | |||||||||
오대십국 | 여러 민족들 | ||||||||
요(遼) 서요(西遼) | |||||||||
북송(北宋) | |||||||||
남송 (南宋) | 금(金) | ||||||||
몽골 제국 | |||||||||
원(元) 북원(北元) | |||||||||
명(明) 순(順) | 남명(南明) | 후금(後金) | |||||||||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 |||||||||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세력 | 청황실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 ||||||||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 |
중국의 사천성 지방의 별칭이자 중국사 역대 왕조들의 명칭. 지금의 중국 쓰촨 (사천) 분지 일대를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촉나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촉나라#|]][[촉나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Çok
튀르키예어로 너무, 매우 등을 의미하는 단어. 주로 형용사와 붙어 사용되지만(예시: Çok Güzel, 매우 좋은) 구어체론 명사와도 결합되어 쓰이기도 한다.(예시: Çok Para[1]) 아제르바이잔에서도 쓰이는데 아제르바이잔어로는 Çox로 표기된다.(예시: Çox Gözel)6. 82MAJOR의 노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AT by 82#s-4.1|4.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AT by 82#|]][[BEAT by 8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Para는 돈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엔 너무 비싸단 의미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