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9:33:31

발터 P38

발터 38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P38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전투기에 대한 내용은 P-38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캔따개에 대한 내용은 P-38(캔따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루팡 3세의 TV 스페셜에 대한 내용은 루팡 3세 발터 P38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P38
Pistole 38
38년식 권총
<nopad> 파일:발터 P38.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원산지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8년~1997년
개발 카를 발터 조병창
개발년도 1938년
생산 카를 발터 조병창(현 카를 발터 유한회사)
마우저
생산년도 1938년~1945년
1957년~2000년(P1)
생산수 약 1,000,000정
사용국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독일|]][[틀:국기|]][[틀:국기|]]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소련|]][[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독립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파생형 HP
P1
P38K
P38 SD
P4
제원
탄약 9×19mm 파라벨룸
7.65×21mm 파라벨룸
급탄 8발들이 싱글스택 박스탄창(P38)
작동방식 쇼트 리코일
락드 브리치 방식
총열길이 125mm
전장 216mm
중량 800g
탄속 365m/s
유효사거리 50m }}}}}}}}}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3.1. 게임3.2. 영화 및 드라마3.3. 만화 및 애니메이션
4. 에어소프트건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독일발터 사독일 국방군 지급용으로 1938년에 개발한 9 mm 구경 자동권총. 1942년부터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된 루거 P08[1]의 대체가 주 목적이었다. 한국에서는 "야인시대 권총" 또는 "고자총"으로 유명하다.[2]

2. 상세

이전까지 쓰이던 루거 P08은 권총으로써 성능은 좋았지만, 단가가 비싸고 특이한 작동구조상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생산공정도 값비싼 절삭가공이 많고 생산시간도 길고 생산비용도 높아서 양산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P38이 개발되었다. 1937년에 프로토타입인 발터 HP(Heerespistole, 육군용 권총)가 완성되어 육군에 시험적으로 공급되었다. 이게 좋은 평가를 받자 양산되어 약간의 개량 후 P38이라는 제식 번호를 부여받고 약 30,000정이 생산되어 독일군에 보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미군이 "1차 대전에 참전하신 우리 아빠가 독일군은 루거 P08이라는 끝내주는 권총을 쓴다는데, 이 독일군 시체에서 나온 권총이 P08인가 보다" 하고서 노획한 권총 중 상당수가 사실은 P38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제식으로 채택된 지 10년도 안 되었던 때라 루거의 인지도가 훨씬 높았고, 지금처럼 사진으로 한 눈에 모양을 구별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던 데다가, 그나마 잘 보이던 총열 부분도 루거와 P38이 거의 비슷했기 때문이다.

더블 액션이나 디코킹 레버까지 있는 진보된 안전장치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술들이 집약되었다. P38은 좋은 평가를 받았고, 그 결과 미군M1911과 함께 권총사에 한 획을 그은 총으로 평가받는다. 심지어 베레타 사의 경우 아예 베레타 92의 전신인 베레타 M1951을 개발할 때 발터의 메카니즘을 참고하였을 정도다. 실제로 비슷하게 생긴 부분이 많다.[3] 그리고 생각보다 크기가 큰 편이다. 총열이 훤히 드러나 있어 얼핏 작아 보일 수도 있지만, 역시 총열이 노출된 베레타 92보다 전장이 겨우 1 mm 짧을 뿐이다. 싱글 스택 탄창이기 때문에 그립은 비교적 납작하지만, 그립감이 좋기로 유명한 루거 P08에 비해서는 조금 더 두텁고 폭도 넓다.

대부분의 자동권총과 달리 탄피가 사수 기준 왼쪽으로 배출된다.

파일:external/www.imfdb.org/WaltherP1.jpg

독일에서는 전후에도 계속 개량되어 군에서는 1997년까지 제식명 P1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이후 교체된 사유도 뚜렷한 단점이 때문이 아니라, 성능이 더 좋은 H&K USP이 P8이란 제식명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이다. 해외수출 / 라이선스 계약까지 했다고 한다.

사용탄은 9×19 mm 파라벨룸과 7.65×21 mm 파라벨룸. 탄창 1개에 8발이 장전된다. 현대 기준으로 본다면 적은 장탄수지만, 2차 대전 당시 복열 탄창을 사용하는 권총은 브라우닝 하이파워 정도였으며, 복열 탄창이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만큼 당시 기준으로는 평범했다. 이외에도 테스트용으로 만들어진 .45 ACP.38 Super 탄약을 쓰는 모델이 있었지만, 이 두 종류는 극소량만 생산되었다.

루거 P08와 비교했을 때 오히려 부품수가 많아졌다고 한다. 하지만 부품 각각의 형태가 단순해져서 종합적으로는 생산성이 높아졌다.[4] 가격은 루거 P08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신뢰성은 더 올랐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생산된 제품 한정으로는 안전성에 큰 문제가 있다. 전황이 악화되어 성능 검사도 안 받은 부품을 비숙련공이 대충 조립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명총이라도 이렇게 만들면 반드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때 만들어진 P38은 한 눈에 보기에도 조잡하거나,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지만 제대로 작동이 안 돼서 실탄 발사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당시에 만들어졌다면 실제 사격은 삼가고 골동품으로 보관하는 편이 좋다. 사실 이것은 스텐도 마찬가지다.

사람에 따라서 탄창 멈치가 탄창 밑바닥 뒤쪽에 달린 유러피안 힐 타입인 것을 단점으로 꼽기도 한다. 탄창을 제거할 때 탄창멈치만 누르면 탄창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멈치를 누른 채로 손으로 직접 탄창을 제거해줘야 하기 때문이다.[5] 이는 루거 P08M1911 같은 권총들과 비교하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여러 요인을 생각해야 한다. 일단 이런 탄창 교체 방식은 P38만 사용한 것이 아니고 당대의 MP40, StG44 뿐만 아니라 이후의 H&K G3, AK-47 같은 여러 총기들의 탄창멈치도 '탄창을 잡고' 분리하게끔 설계되어 있다. 이런 방식이 단점으로 지적될 정도의 문제라면 개선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개선되기는커녕 FAMAS G2와 TAR-21의 경우 탄창멈치를 누르면 바로 빠지게끔(drop-free) 설계된 STANAG 탄창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지렛대 방식의 탄창멈치를 끝까지 고수해 탄창을 잡고 분리하게끔 만든 것을 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 문제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옛날부터 써온 익숙한 방식을 유지하려는 의도도 있겠지만, 탄창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회수하려는 의도도 반영되어 있다.[6] drop-free 방식도 탄창이나 탄창멈치에 문제가 있다면 탄창이 바로 빠지지 않는 경우도 있기에 완전무결한 방식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이는 어디까지나 취향이나 인식의 차이인 것이다.

베이클라이트제 권총 그립의 색이 갈색이면 군용이고, 검은색은 민수용이거나 P1인 독일 연방군 제식형이다.

국내에 있는 실탄사격장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사수의 솜씨만 있다면 제법 잘 맞는다.

성능이 좋았고 생산량도 많았기 때문에 냉전시대 당시 특수부대용으로 지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못 가서 P5와 P35 브라우닝 하이파워로 대체되었다.

파일:400px-P38K.jpg

총열을 짧게 만든 P38K 버전도 존재한다. 그립 문양을 보아 종전 후 제작된 모델인 것으로 보인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발터 P38이 등장하는 매체들

3.1. 게임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독일군 권총으로 나온다. 독일군 장교뿐만 아니라, 유보트와 슈메르첸에서 독일 과학자의 호신용 무기, 심지어 일개 수리공의 호신용 무기로 쓰인다. 획득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캐릭터를 죽이고 무기를 떨어뜨린 곳에 가면 된다. 만일 가지고 있다면 탄약수 증가.
  • 소녀전선
    2성 권총으로 등장한다. 준수한 성능의 실총과는 다르게 2성인 탓에 강화재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자세한 건 P38(소녀전선) 참고.
  • 오퍼레이션7
    2013년 9월 17일에 등장했다. 레벨 제한이 25인데, 다른 저레벨 자동권총들에 비해 딱히 특출난 점도 없고, 무엇보다 9 mm 권총 주제에 장탄수가 부족한 것이 마이너스 요소로 작용해 별로 좋은 총이 아니다. 그나마 좋은 점이라면 오퍼레이션7 내의 장전 사운드 중에서 현실적이면서 듣기 좋다는 것 정도.
  • 카르마(FPS)
    • 카르마 2
      그저 그런 성능의 기본 권총으로 등장한다.
    • 카르마 리턴즈
      카르마 2 시절과는 달리 걸출한 성능을 뽑아내면서 이름값을 하고 있는 권총. 다만 타 FPS 게임의 P38에 비해 보랏빛을 띄면서 모델링이 심히 구린데, 나름대로 현실성을 자아내기 위한 것이겠지만, 아무리봐도 낡아빠진 권총 느낌이 팍팍 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루거 P08을 밀쳐내고 독일군 권총 자리를 독점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빅토르 레즈노프의 회상 미션 중 프리드리히 슈타이너가 여유롭게 한 손으로 담배를 피우면서 다른 한 손으로 P38을 들고 나온다. 근데 이는 게임상 무기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슈타이너의 손에 붙어있는 채로 모델링이 된 거다... 그래서 슈타이너 생포 이후 침몰한 나치 화물선을 탐사할 때 슈타이너가 모신나강을 들고 있는데, 이를 자세히 보면 슈타이너의 오른손에 P38이 붙어있는 채로 모신나강을 들고 있어, P38의 피스톨 그립이 달린 괴상한 모신나강이 보인다. 다른 시리즈에서 그랬던 것처럼 독일군을 적당히 때려서 최후의 발악으로 권총을 꺼내도록 유도하려고 해봐야 소용없다. 일단 쏘면 권총을 꺼내기도 전에 사망하는 데다, 권총을 꺼낸다 해도 토카레프 TT-33이다.
    • 콜 오브 듀티: WWII
      9 mm 반자동 권총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파병온라인
    베트콩측 기본 권총으로 등장하였다. 토카레프 TT-33는 어디다 두고 이걸 들고 나오는지는 알 수 없다.[7] 성능은 기본 권총답게 그저 그런 수준.
  • Apocalypse Rising 2
    9 mm 탄을 쓰는 권총으로 나온다. 체감상 드랍률은 M1911보다 낮은데, M1911이 고작 한 발 적은 장탄수를 제외하면 모든 면에서 상위호환이라 그렇게 좋진 않다. 상위 티어 권총으로 M9와 하이파워도 있으니 더더욱.
  • AVA
    캡슐 총기로 등장했다. 왠지 모르게 포스 있는 외관과 좋은 성능 등으로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유저 영상에 어쩌다가 가끔 모습을 비치는 순간 "우와 발터다..." 하는 댓글이 하나씩은 꼭 달릴 정도였다. 2011년도에 들어서서는 방탄복은 날이 갈수록 두꺼워지고 라이플맨 무기는 점점 갈수록 세지기만 하는 데다 콜트 파이슨 같은 괴물들이 나와서 도태되었다. 다소 아쉬운 것은 장탄수가 7발이라는 것인데, 동급의 권총들보다 파괴력이 높다는 것의 밸런스 차원이라고 봐야 좋을 것 같다.
  • MTE 월드 2
    플레이어인 케인와 적군인 일본순사가 무장하는 권총으로 등장했다.[8] 덤으로 탄환 아이템은 탄환이 포장된 박스인데 적혀져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MTE 11mm, 115 Grain, FMJ, 1100FPS, 11 Rounds, Made in KO"

3.2. 영화 및 드라마

제2차 세계 대전 영화들에서 독일군이 나온다 하면 루거 P08과 함께 주야장천 등장한다.
  • 각시탈
    경찰들이 P38로 무장했다. 물론 오류. 작중 년도는 1932년인데, P38은 1938년에 만들어졌다. 그때 일본 경찰이라면 14년식 권총을 드는 게 정상이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기무라 슌지 등 네임드 일본인들이 14년식 권총을 들고, 뒤쪽에 서있는 일본 경찰들만 P38을 든 것으로 보아 남부 권총의 대타로 나온 듯. 저렴한 단발 에어코킹건일 것이다.
  •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파일:external/www.imfdb.org/Ib-wp38a.jpg 파일:external/www.imfdb.org/Ib-wp38b.jpg

    1장 시골 가정 탐문 장면에서 한스 란다 SS 대령이 P38로 도망치는 쇼샤나를 겨누다가, 총구를 내리고는 "또 보자, 쇼샤나!(Au Revoir, Shoshanna!)"라고 소리친다.
    4장 술집 씬에서 디터 헬스트롬 SS 소령이 사용한다. 오른쪽 사진이 바로 히콕스 중위의 고간을 겨냥하는 헬스트롬 소령의 P38이다.[11] 참고로 헬스트롬 소령 또한 휴고 스티글리츠 중사에게 고간을 겨냥당한 뒤[12] 불알이 날아가며 사망했는데, 이때 스티글리츠가 하는 말이 걸작이다. "네놈의 나치 불알에게 작별인사(Auf Wiedersehen)[13]나 해라!"
  • 아이언 스카이
    파일:external/www.imfdb.org/IronSky_P38_01.jpg 파일:external/www.imfdb.org/IronSky_P38_02.jpg

    달(Moon)나치들이 사용한다. 특히나 오프닝에서 달에 도착한 우주비행사를 쏘는 장면은 압권.
  • 007 북경특급

    주인공 007의 개인 화기로 등장한다. 007을 처단하려는 여성 요원 이향금이 이 총을 이용하여 007을 쏘려고 하지만, 총알이 뒤로 발사되어 되려 자신의 어깨에 맞고 만다. 깜짝 놀란 007이 "내 총은 뒤로 발사된다" 라는 말을 하고선 그녀를 치료해주기 위한 도구를 찾는 도중, 총을 거꾸로 잡은 향금이 다시 격발하지만 이번엔 제대로 발사되어 또 본인의 반대쪽 어깨에 맞아버린다. 이걸 보고 하는 007의 말이 압권. "내 총은 청개구리 총이라 뒤로 발사됐다가 앞으로 다시 발사된다."고...
  • 야인시대
    파일:안 되겠소 쏩시다.gif

    저질 모델건을 사용한 건지 발사 후에 슬라이드가 움직이지 않는다.

    안되겠소! 쏩시다!




    야인시대에서 권총 하면 십중팔구는 발터 P38이다. 약간 고증오류인 셈.[14] 또한 야인시대 64화에서 상하이 조심영고자만들 때 사용했다. 그래서 별명이 고자총. 사실상 모든 심영물은 이 작은 권총에서 시작된 것이다.
    사실 김두한을 암살하려던 왕발이나 정진영이 P38을 쓴 장면을 비롯해서 야인시대에서는 P38이 자주 등장했다. 밀리터리 매니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P38을 알고 있다면 야인시대에서 본 것일 확률이 높다.
    야인시대에서 상하이 조가 P38로 쏘고 심영이 고자가 되는 에피소드가 하도 많이 합성요소로 사용된지라 대한민국에서 총덕이나 에어소프트건 덕후들은 P38만 보면 실실 웃거나 야인시대 드립을 날리는 부작용이 생겼다. 그리고 극중 내내 미와 경부가 들고 다니는 권총이기도 했는데, 정황상 일본군 제식이었던 14년식 권총을 촬영용 소품으로 구하기 힘들어서 '옛스러운 디자인'인 P38을 꿩 대신 닭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어쨌거나 그래도 덕분에 비교적 딱딱한 독일군 권총이란 이미지를 가진 루거 P08와 정치적으로 민감한 현대사의 발터 PPK 과는 달리 한국인들에게도 친숙한 총이 되었다.
  • 월광가면
    파일:external/373101353190159f5e1b651173e4fbba0b1453de0cd2aa8a30a0a27b2149fa68.jpg
    주인공인 월광가면의 주무기로 나온다.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파일:external/www.imfdb.org/GBW_P38_01.jpg 파일:external/www.imfdb.org/GBW_P38_04.jpg

    '이상한 놈' 윤태구(송강호 분)가 P38을 쌍권총으로 들고 다닌다. 아무래도 당시 중국 국민당은 나치 독일과 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무기도 꽤나 수입했기 때문에 어찌저찌 만주까지 흘러들어온 듯하다. 실제로 국민당의 지원을 받은 독립군들이 독일제 무기를 쓴 경우도 있다고 하니. 다만 극중 배경은 1930년대 후반이기 때문에 시간적 배경이 맞지 않다. 독일군에서도 채용할까 말까 하던 시기에 손에 넣었다는 것인데... 굳이 따지자면 국민당측에서 유출한 무기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독일과 동맹 관계이던 일본측에서 노획한 것으로 추측해 볼 수는 있지만, 독일이 보병용 권총을 일본에 대량 공여한 적은 없기에 역시 무리다. 그보다는 한 손으로 탄창 교환이 가능하고 당시 중국에도 많이 퍼져 있던 루거 P08이나 마우저 C96을 썼으면 더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그냥 총기 매니아인 김지운 감독의 취향으로 보자.
  • 퓨리
    파일:external/www.imfdb.org/Fury_P38.jpg
    티거 전차가 퓨리에게 격파당한 후, 티거의 전차장이 해치를 열고 컬리어 하사에게 최후의 발악으로 P38을 가지고 사격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주인공 노먼 엘리슨의 가차없는 M1919A4 기관총 난사에 의해 몸에 바람구멍이 뚫린다.

3.3. 만화 및 애니메이션

  • 땡땡의 모험
    주인공과 악당들이 발터 P38을 들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
  • 루팡 3세
    파일:external/f4c0545e9739f477addbe9760260f70bf81f09ac4e72fbce47178fa80c8a48b1.jpg
    주인공인 루팡이 애용하는 총이다. 작중에선 일본식 발음인 와루사-P38(ワルサーP38)[15]이라고 불린다. 주제가 가사에서도 직접 등장했고, 심지어 P38이 그냥 제목인 에피소드와 TV 스페셜도 있다.[16] TVS 1기 11화에서 수갑이 차인 손을 대신해 입으로 장전하는 장면(상기 이미지)이 유명하며, 이후 시리즈 내에서도 몇 번 오마주된다.[17]
  • 마블 코믹스
    닥터 스트레인지가 사용한다. 또한 서약에서는 히틀러가 자살할 때 쓴 총으로써 히틀러의 권총이라고 불리며, 부정적인 에너지가 스며든 위험한 아이템으로 등장한다.[18]
  • 문호 스트레이독스
    흑의 시대 편에서 그라우 가이스트라는 이름의 가상의 영국제 구식 권총(탄창 멈침장치 위치, 형태도 변경됨)으로 등장. 조직 미믹의 제식권총으로 사용된다. 조직원들은 1자루씩, 사령관인 앙드레 지드는 항상 아킴보로 소지한다. 참고로 앙드레 지드가 상대한 오다 사쿠노스케가 사용한 권총은 실제로 P38의 구조, 디자인을 참고한 베레타 92다.
  • 시티헌터
    1화에서 길을 물어보는 척 접근하면서 사람을 살해하는 '나리'라는 캐릭터가 소음기가 장착된 형태의 모델을 사용한다. 극 중에 그의 정보원 노릇을 하던 사람을 쏴죽일 때 딱 한 번 노멀 형태의 총열을 사용했다.
  •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1
    파일:external/www.microforever.com/TF06-3.jpg
    메가트론의 변신 형태이다. 기본적으로 다른 트랜스포머가 들고 쏘지만, 본인이 직접 이 상태에서 발사할 때도 있다.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크기와 무게 조절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른 트랜스포머가 들고 쏠 수 있는 사이즈는 기본이고, 보통 인간이 들고 쏠 수 있는 사이즈까지도 축소 가능하다. 다만 메가트론은 스코프와 개머리판, 소음기가 달려있는 커스텀으로, NBC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 'Man From U.N.C.L.E'에 등장했던 모델을 본뜬 것이다. 이 작품이 바로 상기한 나폴레옹 솔로 시리즈. 물론 주인공 나폴레옹 솔로가 애용한다.
무인 편의점에 있는 바코드기를 히틀러가 P38 권총으로 쏴서 고장냈다.
죽지 않고 살아있던 대니가 레이첼의 층에서 사용한다. 하지만 잭을 대신 죽여주겠다고 설레발을 치다가 레이첼에게 방해된다며 한 방 맞고 뻗어버린다. 잭과 레이가 지상으로 가기 직전 저지하는 데도 쓰이지만, 이번에는 신부에게 석궁을 맞고 건물이 무너지면서 결국 사망한다.}}}

4. 에어소프트건

에어소프트건 중에서 에어코킹 제품으로는 토이스타 제품이 있다. 국내에서는 토이스타에서 제품을 발매하기 이전에는 오래 전 단종된 삼성교제의 반블백 방식(푸쉬코킹) 에어코킹 모델을 구하거나 도쿄 마루이 수입 제품, 아카데미 축소형 스트라이커 방식 모델을 어렵게 구해야 했다. 토이스타 제품은 초기에는 제품의 메커니즘이 90년대 초반에 볼 수 있었던 구조였으나, 2005년부터 제품 구조를 개량하여 2007년도에 개량형을 출시했다. 국내 회사 중에서는 유일하며, 완성도도 높은 편이다. 롱 버전 아웃바렐 모델도 출시하였는데 구형은 그대로 일반판으로 출시했지만 개량형 아웃바렐은 플래툰 행사 때 별도 부품으로 동봉해 주는 한정판 형식으로만 출시하고 발매가 취소되었기에 상당히 희귀하다.

1980년대에도 아카데미에서 루거 P08과 발터 P38을 판매했는데, 그때는 BB탄이 아니라 공기총탄처럼 생긴 연질 플라스틱탄이었다.

일본에서는 도쿄 마루이 제품과 오래 전에 폐업한 산에이 제품이 있다. 도쿄 마루이 제품은 아직까지 출시하고 있지만 개량을 거치지 않아 예전 방식 그대로인 데다가, 슬라이드 뒷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실루엣이 좀 어정쩡하다. 뜬금없게도 한국에서 2019년 정식 수입이 이뤄졌는데, 사실상 1989년도에 수입했던 걸 재탕하는 셈이다. 모델 선택 실수인 게, 토이스타에서 발매한 제품이 이미 국내에 있고, 가격 대비 완성도가 떨어진다. 수입사가 아무래도 실총의 지명도에 안일하게 기대려는 듯하다.

산에이제는 헤머가 슬라이드에 붙어있는 몰드인지라 마루이 제품보다 떨어진다. 롱버전 아웃바렐 모델도 존재한다. 스트라이커식 금형을 유용하여 에어코킹 모델로 만든 것이다.

가스건으로는 일본의 마루젠 제품이 있다. 국내에는 소량만 수입되어서 발터 P99보다 구하기 어려운 편. 대만 WE-Tech사 제품은 상대적으로 구하기 쉽고 토카레프와 함께 평가도 비교적 좋다. 배리에이션도 많다.

5. 기타

파일:20120131180947.jpg
* 김정일이 젊었을 때 P38로 사격 연습을 한 장면이 존재한다.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ew41, Gew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자동권총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PV, Astra 400, Astra 600/43
리볼버 M1883
조명탄 권총 M1894, LP34, LP4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FPatr 30, PzF 30/60/100/150, RPzB 43, 54, 54/1
기타 Gebalte Ladung, StP, H3, H3.5
화염방사기 FmW 35, FmW 41/42
박격포 8cm GrW 34/42, 5cm GrW 36, 12cm GrW 42, 10cm NbW 35/40
맨패즈 Fliegerfaust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Schießbecher
지뢰 S Mine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독일 연방군(서독군) 보병장비
파일:독일 정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독일 연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SP66, Gewehr M1903, Gewehr Lee-Enfield, MAS-36
반자동소총 G3SG/1, WA2000, PSG1, WSG2000, Gewehr M1, Karabiner M1
자동소총 StG44, G1, G2, G3, G4, HK32, HK33, G8, G41, RH-70, HK36, Mauser G11, H&K G11
기관단총 MP40, MP1, MP2, PM9, MP3, MP4, MP5, KP/-31, M1A1, DUX-53, DUX-59
산탄총 HK512, M870
권총 P08, PPK, P1, P2, P3, P4, P5, P6, P7, P9, P11, VP70, P51/52, M19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1918, MG1 ,MG2, MG3, MG8, HK23, M1919, M73, MG50
유탄발사기 HK69, HK79
대전차화기 PzF44, PzF3, MBB Armbrust, M40, MILAN, M20, RL-100, M72 LAW, BGM-71 TOW, Leuchtbüchse 84 mm
맨패즈 Fliegerfaust 1, Fliegerfaust 2
박격포 Esperanza
유탄 DM21, DM41, DM51
지뢰 PARM 1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동독 국가인민군 보병장비
파일:동독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Kar38, Kar44
반자동소총 G43, SWT-40, Karabiner S, SWD
자동소총 MPi-44, MPi-K/KM/KMS-72, MPi-AK-74N, MPi-AKS-74(N/NK)
기관단총 MPi 41, Vz.61
권총 M1895, TT-33, PM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DPM, RP-46, RPD, RPK, RPK-74, PK
중기관총 MG34, DTM, SG-43, DSchKM, NSW, KPW
유탄발사기 AGS-17
대전차화기 RPG-2, RPG-7, RPG-18, SPG-9, B-10, B-11, 9K11, 9M111, 9M113
박격포 82-PM-41, 2B11
맨패즈 9K32, 9K34, 9K310, 9K38
수류탄 F-1, RGD-5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Vz.24, SSG 82
자동소총 StG-943, HK33
기관단총 PM-63, MP5SD3, MP5KA1
권총 P08, P1001, P38, PS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808080,#7f7f7f>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808080,#7f7f7f> 소총 <colbgcolor=#808080,#7f7f7f> 돌격소총 G3, G8, G36, G37, G38, G95, MCX, G39
지정사수소총 MSG3, G28
저격소총 G22, G24, G25, G82, G29
기관단총 MP2, MP3, MP4, MP5, UMP, MP7A1
산탄총 M870, FP6
권총 P52, P1,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4, P21, P30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G3, MG4, MG5, MG6, HK23, MG50
유탄발사기 AG40-1, AG40-2, HK79, GMW 40mm
대전차화기 PzF-3, Leuchtbüchse 84 mm, RGW90, MILAN, EUROSPIKE
박격포 RSG60, Soltam K6
맨패즈 Fliegerfaust 2
유탄 DM41, DM51
지뢰 PARM 2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의장용 화기 Kar98k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오스트리아군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1895
기관단총 MP34, MP38
권총 C96, Roth-Steyr M1907, M1912, Dreyse M1907, P08, M10, P38
지원화기 기관총 MG M.07/12, MG30, M191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보병장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95M, 31M, 35M, 43M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39M, 43M, MP35, MP40
권총 12M, 19M, 29M, 37M, 발터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02, 7/31M, 31M, MG34, MG42
대전차화기 36M, 43M, 44M, 판처파우스트
수류탄 M24, M43
박격포 39M 5cm 척탄통, 36/39M 8cm 박격포, 40M 10.5cm 박격포, 43M 12cm 박격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 독립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5b2c6f> 소총 <colbgcolor=#5b2c6f>볼트액션 소총Kar98k, Vz.24, 카르카노
자동소총StG44
기관단총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권총 P08, M1922,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14, Vz.26, MG34, MG42
대전차화기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박격포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유탄 M2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보병장비
<colbgcolor=#006600> 개인화기 <colbgcolor=#006600> 볼트액션 소총 m/1886/89, M1896,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917, M1917
기관단총 MP18, m/942, m/943
권총 m/878, m/886, M10, M1892, C96, M1907, m/943, 발터 PP, m/961
지원화기 경기관총 m/930, m/940, m930-41, m/938, 루이스 경기관총
중기관총 MG34, 브레다 m/938, 빅커스 기관총, M1919A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의 운용무기체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러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모신나강, Gew98, Kar98k
반자동소총 SVT-40, Gew43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PPSh-41, MP28, MP38, MP40
권총 M1895,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10/30, DP-28, Vz.26, MG34, MG42
대전차화기 판처파우스트
박격포 8cm GrW 34/42, 12cm GrW 42
유탄 RGD-33, M24, 시스베허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해방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기관단총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권총 M1889,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지원화기 경기관총 DP-28, M30, Bren Mk.I
중기관총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자동소총 StG44C
기관단총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권총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중기관총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42C
유탄 M24C, M39C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란군 보병장비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이란 제국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fff> 개인화기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M1900, Vz.24, Kar98k
기관단총 MP34
권총 모델 1892, 마우저 C96, FN M1910, 발터 P38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f>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Vz.26
중기관총 맥심 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MG3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트니크 보병장비
파일:체트니크 깃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체트니크보병장비
개인화기볼트액션 소총 M71, M78/80, M24, M.95, 카르카노, 리-엔필드, 모신나강
기관단총ZK-383, MAB 38, MP34, MP38, MP40, MP41,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PPD-38, PPD-40, PPSh-41
권총M1910/22, C96, P08, P38
지원화기기관총Vz.26, M30, MG30, MG15,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FM 24/29, MG34, M.07/12, ZB-53
대전차화기보이스 대전차 소총
유탄F-1, M24, M43}}}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권총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지원화기 기관총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오스트리아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M1903, Gewehr Lee-enfield, G44
반자동소총 Gewehr M1, Karabiner M1
자동소총 StG58, StG77
기관단총 MP40, MPi-69, MPi-81, AUG Para, M3A1, PPSh-41
산탄총 M870
권총 P38, P80,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다목적 기관총 MG42, MG74, MG-A4
중기관총 üsMG M2
박격포 M2
대전차화기 PAR 66/79, RBS 56, M40
박격포 M6C-210, mGrW82, sGrW86
냉병기 총검 KCB-7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파일:스웨덴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스웨덴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반자동소총 AG m/42, AG m/42B
자동소총 AK4, AK4B, AK5, AK5B, AK5C, MKR
기관단총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권총 m/39, m/40, Pist 88
지원화기 <colbgcolor=#ffcd00> 기관총 경기관총 Kg m/37, Kg m/40, Ksp 90
중기관총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유탄발사기 M203, Grsp 40 mm
대전차화기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박격포 m/84
맨패즈 RBS 69, RBS 70
화염방사기 Esp m/4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파일:핀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핀란드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91, M/27, M/39, M/38, 7.62 TKIV 85
반자동소총 M/40, 7.62 Tkiv Dragunov
자동소총 7.62 RK 54, 7.62 RK 54 TP, 7.62 Rk 56/Rk 56 TP, 7.62 Rk 62M, 7.62 Rk 72 TP, M82
기관단총 KP/-31, Jati-matic, M/41, M/43, M/44, 9.00 KP Sten
권총 L-35, TT-33, M/35, M/34, P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6, DP-28, 7.62 KK DPM, 7.62 KK DTM, 7.62 KK 54, 7.62 KvKK 62, 7.62 Kk PKM, 7.62 Kk PKT
중기관총 M/09-21, M/32-33, SGM, DShKM
대전차소총 L-39
유탄발사기 30 KRKK
로켓발사기 100 pshp/F1, 142 pshp/F2, 88 rakh/B 54, 55 S 55, 66 KES 75, 66 KES 88
미사일발사기 ItO 78M, PstOhj 82, PstOhj 82M, PstOhj 83, ItO 86/86M, RO-63
박격포 81 KRH 56, 81 KRH 64, 81 KRH 71 Y, 120 KRH 40
유탄 F1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로디지아군 보병장비
파일:로디지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로디지아군보병장비
<colbgcolor=#0F4B32>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Kar98k
반자동소총 L1A1, M21, Mini-14
자동소총 FN FAL, R1A1, G3A3, M16A1
기관단총 Lanchester Mk.I, Sten Mk II, Austen Mk I, GM15, Sanna 77, LDP, Cobra, CH9/25, R-76, Rhogun, Owen Mk.I, L2A1, American-180, UZI
산탄총 Greener GP, Auto-5, M37, M870
권총 Enfield No.2 Mk I, S&W M49, Browning Hi-Power, Mamba, P1, Star M1920, BM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Bren Mk.III, L4A4, FN FAL HBAR
다목적기관총 M1919, MAG-58
중기관총 M2HB
대전차화기 M20, M72, M40, ENERGA, MILAN
박격포 M-4 Patmor, L16
유탄 No.36, Mk.2, M962, M26, M963
지뢰 M18A1
노획무기 반자동소총 SKS, SVD
자동소총 AK-47, AKM
권총 PP
기관총 DP-28, RPD, RPK, PKM. KPV
대전차화기 RPG-2, RPG-7, B-11
대공포 ZPU-4, ZU-23-2
대전차화기 9K3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로디지아 국기.svg 로디지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반자동소총 M1, M1A1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산탄총 Auto-5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척탄통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유탄 밀즈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해외전쟁
포르투갈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886/89,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1917, m/931, m/942, m/946, P14, M1917
자동소총 AR-10 m/961, G3 m/961, G3 m/963, m/962
기관단총 m/942, m/943, Z-45, m/948, 비뉴롱 m/961, 스털링 m/961, 우지 m/961, MPL
권총 m/878, m/886, M10, S&W 보디가드, m/943, m/96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930, m/940, m930-41, m/938, m/943, m/963, m/968
다목적기관총 m/944 보르지히, m/944, m/952, m/962, FN MAG
중기관총 브레다 m/938, m/955
로켓발사기 m/952, m/955, M53
무반동총 m/952, M20, M40
박격포 m/937, m/951, 브랑 m/952, , M2 m/952, FBP m/68, L65/60
폭발물 수류탄 m/963
지뢰 M1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현대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6600>



<colbgcolor=#006600> '''[[소총|
소총
]]'''
<colbgcolor=#0066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SCAR-L STD | SCAR-H STD | 갈릴 (AR/ARM)R | m/962R | m/961 | m/963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CAR-H PR | PSG1G
'''[[저격소총|
저격소총
]]'''
마우저 86SR
기관단총 MP5(A3/A5) | FBP m/948R | 우지 m/961R | 비뉴롱 m/961R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슈퍼노바 | 모스버그 590 | 레밍턴 M870
권총 글록 17 Gen.5 FS | 베레타 92R | P228R | USP9R | 발터 m/961R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Mk.3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7.62 | FN MAG | M60(D/E3) | MG3 | HK21R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FN40GL | GMG | Mk.19 Mod 3 | LAG SB M1 | HK79A1R | M79R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3
로켓 M72A3 LAW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포르투갈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FBP m/68 | L16A2 | m/84 탐펠라 B
견인포 L119 LG | M101A1 | M114A1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MCX | HK416(A5/A7) | G36(C/K/KE) | M16A2 | SG543R | AR-10 m/961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A2 | G28E | MSG90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 | AWM | AWSF | AWSM | AXMC | AW50 | 바렛 M95 | 바렛 M107A1
기관단총 MP9 | P90 | UMP45 | MP5SD6 | MP5KA4
산탄총 STF-12 | SDASS 택티컬 | SPAS-12 | SPAS-15
권총 P30 | 데저트 이글 | SIG SP2022 | SIG GSR | 글록 19 | P226R
기관총 MG4
유탄발사기 MGL Mk.1 | HK269 | M203 | HK69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m/321 | m/963
연막탄 m/979
화학탄 m/968 CM | CS/MOD M7 | 트리플렉스 CS
폭약 PE4E 플라스틱 폭탄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현대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Armed Forces of Guatemala
개인화기 소총 자동소총 AKM, CAR-15, Vz.58, 갈릴, AR-10, M4A1, TAR-21, T65 소총
저격소총 M82
기관단총 우지, 미니 우지, FMK-3, MAC-10, M3 기관단총, 베레타 M12
산탄총 베넬리 M4
권총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발터 P38, 글록, P226
지원화기 경기관총 K3 경기관총, FN MAG
중기관총 M1919A4, M1919A6, M2HB
유탄발사기 M203, M79
대전차화기 M20 슈퍼 바주카, M72 LAW
박격포 M224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곡사포 M101
※둘러보기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현대 모잠비크 방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모잠비크 방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권총 하이파워, APS, TT, PM, P38
기관단총 Vz.23, Vz.61, LF-57, Z-84
소총 자동소총 AK-47, AKM, FAL, Vz.58
반자동소총 SK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K, PK
중기관총 SG-43, DShK
다목적 기관총 MG3, ZB-53
대공포 ZU-23-2, S-60, 61-K
박격포 BM-37, PM-43
대전차화기 RPG-7, B-10, B-11, 9K11, 9K111
맨패즈 스트렐라-1/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차드 국기.svg 현대의 차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2664> 차드 국가군 (1969~)
Armée nationale tchadienne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تشادي
권총 <colbgcolor=#002664> 자동권총 VIS, PP 슈퍼, P1, Mle 1950, 토카집트 58
리볼버 MR 73
기관단총 UZI, MAT-49, M12
소총 볼트액션 소총 MAS-36
자동소총 FAL, G3, M16, AKM, AK-47, 56식, M70, FAMAS, SG542, 갈릴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MAG
중기관총 SG-43, DShK, M2 브라우닝
유탄 발사기 AGS-17, M79
대전차 화기 대전차 미사일 ERYX, MILAN
대전차 로켓 RPG-7
무반동포 M40A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현대 페슈메르가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D2024> [[페슈메르가|페슈메르가(2003~)
پێشمەرگە
]]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 돌격소총 AKM, MPi-K, PM.md.63, AK-63, AMD-65, 56식 자동소총, AK-74, AKS-74, M92, G3, G36, M16A1, M16A2, M16A4, M4A1
저격소총 타부크 저격소총, 자스타바 M91. PSG1, SVD, SVU, M40A1, M24 SWS, M82A1
기관단총 MP5, UZI, M12, PM-63
권총 발터 P1, TT-33, 마카로프 권총, 베레타 92, P226,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17, 글록 26
지원화기
기관총 MG3, RPD, PKM, M249, M240B, DShK,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79, Mk.19, AG36, QLZ-87
대전차화기 RPG-2, RPG-7, RPG-29, 판처파우스트 3, 칼 구스타프 M2, AT4, BGM-71, 밀란 대전차 미사일, HJ-8, SPG-9, 9K111, 9K113, 9K135
유탄 F-1, DM41, K41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족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발터(총기회사) 로고.svg 발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191919> 발터 제품 라인업
자동권총 PP · PPK · P38 · 국민권총 · P5 · P88 · P99 · P22 · PPQ · PDP · WMP
기관단총 MPL · MPK
산탄총 반자동 산탄총
소총 <colbgcolor=#fff,#191919> 볼트액션 VG-1 · VG-2
반자동 게베어 41(W) · 게베어 43 · WA2000 · G22
자동 MKb42(W)
}}}}}}}}}}}} ||



[1] 생산 단가가 비싼 것도 한 몫 했다.[2] 작중 상하이 조가 이 총을 주 무기로 사용하고, 엄청난 밈을 만들었기에 이런 별명이 붙었다.[3] 슬라이드를 총열이 드러난 부분까지 늘리면 베레타 92와 거의 똑같다.[4] 루거의 몇몇 부품은 거의 세공 수준의 정밀가공이 필요해 양산이 어렵고 신뢰성도 낮았다고 한다.[5]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에서 윤태구가 이 총을 쌍권총으로 쓰는데, 양손에 권총을 쥐고 있는 상태에서 탄창 교환을 어떻게 했느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6] 5.56 mm 30발들이 철제 탄창의 경우 1~2만원 가량 하기 때문에, 영화처럼 탄창을 휙휙 버리며 장전하는 짓은 정말 급박한 상황이 아니라면 비교적 보급이 원활한 미군조차 권장하지 않고, 실제로도 잘 하지 않는다. 돈도 돈이지만 꽤 호환이 잘되는 STANAG 탄창을 적진에 남겨두는 것 자체가 그리 바람직 하지 않기도 하다.[7] 물론 인게임 상점에서 토카레프는 있었으나 구현이 되지 않아 게임이 서비스 종료까지 볼 수 없었다.[8] 그중에서도 격발음 모티브는 야인시대에서 상하이 조심영을 향해 격발할 때 나는 격발음이다.[9] 옆에는 브라우닝 하이파워 두 자루도 있다.[10] 알렉스가 발터를 집어들자 릭이 피스메이커가 더 크다고 말하고, 알렉스는 크기보다 화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후 화력이 중요하다는 말을 듣자 릭은 톰슨 기관단총을 들고 오고, 알렉스가 탄걸림이 많다며 PPS-43을 꺼내온다.[11] 헬스트롬은 아예 P38을 장전하고는 '들리나? 내 발터 소리다. 네놈 불알짝정확히 겨냥하고 있지.' 라는 말까지 한다.[12] 사실 겨냥이라기보다는 거시기 위에 총구를 갖다 댄 것이다. 이때 스티글리츠의 대사가 압권인데, "이 거리라면 나도 프레데릭 졸러 뺨쳐." 설정상 이탈리아 전선에서 포위된 상황에서 혼자 300명을 처치했으며, 이를 소재로 한 선전 영화에서 본인 역할로 출연했다가 유명세를 얻고 배우로 전업했다. 그리고 프랑스 파리에서 유대인인 쇼샤나 드레퓌스를 만난다.[13] 아웊 비더젠. 독일어의 작별인사. '또 보자'라는 뜻이다.[14] 미군정 시기라 해방 직후인데, 이러면 남부 권총이나 94식 권총 같은 일본제 무기가 있어야 하지만, 단순히 '옛날 총'을 표현하기 위해 P38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하이 조는 중국 상하이에 머무른 적이 있으니, 나치가 중국 국민당에게 뿌린 P38을 구했다고 하면 이상하지는 않다.[15] 일본에서는 Walther를 영어권처럼 월서(와루사)라고 발음한다.[16] 다만 투니버스 더빙판에서는 타란치아의 독거미라는 부제로 방영되었다.[17] 대표적으로 2002년에 방영된 TV 스페셜이 있다.[18] 실제로 아돌프 히틀러가 자살할 때 쓴 권총은 발터 PPK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