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발터 사의 반자동소총에 대한 내용은 게베어 43 문서
의 게베어 4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H&K G41 Heckler & Koch Gewehr 41 헤클러 운트 코흐 소총 41 | |||
고정식 개머리판 / G41 | |||
인입식 개머리판 / G41A2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 ||
원산지 | [[틀:깃발| | ]][[틀:깃발| ]][[서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4년~1996년 | ||
개발 | 헤클러 운트 코흐 | ||
생산 | |||
사용국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
기종 | |||
원형 | HK33 | ||
파생형 | G41A1 G41A2 G41A3 G41K | ||
제원 | |||
탄약 | 5.56×45mm NATO .223 레밍턴[1] | ||
급탄 |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 롤러 지연 블로우백 방식 클로즈드 볼트 방식 | ||
총열길이 | 450mm 380mm (G41K) | ||
전장 | 997mm | ||
중량 | 4.1kg (G41) 4.4kg (G41A2) 4.3kg (G41K) | ||
발사속도 | 850RPM | ||
탄속 | 920m/s (G41) 880m/s (G41K) 950m/s (G41A2) | ||
유효사거리 | 400m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2] |
래리 빅커스의 리뷰 |
독일(당시 서독)의 헤클러 운트 코흐 사에서 개발된 돌격소총. 어찌 보면 G11과 함께 냉전 종식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2. 상세
H&K HK33을 NATO 표준으로 개량한 모델. 서독군은 7.62×51mm NATO탄을 쓰는 전투소총에서 NATO 표준규격이 된 5.56×45mm NATO탄을 쓰는 돌격소총으로 교체할 필요성을 느꼈다. G11의 배치가 결정되었지만 생산속도가 낮으리란 예상으로, 서독군의 후방 병력과 기존에 G3를 사용하던 국가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이미 HK33이나 그 단축형인 HK53 등 G3 구조의 5.56mm 돌격소총들이 상당히 판매되었으나, 이들은 독자규격의 탄창과 급탄기구를 사용한다. 반면에 G41은 AR-15 계열와 같은 STANAG 탄창과 급탄기구를 사용한다.[3] 또한 노리쇠 전진기와 노리쇠 멈치 등을 추가하였고,[4] 그 외 조작법은 G3와 거의 동일하다.
달라진 점으로 총열덮개가 M16A1과 다소 유사한 삼각형 총열덮개로 바뀌었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재래식 강선이 아닌, 더 명중률과 내구도가 좋지만 비싼 편인 폴리고널 강선[5]을 사용했다.[6] MP5A4/A5와 같은 3점사 트리거(S-E-3-F)를 탑재했고, PSG1 저격소총의 내부 요소들도 더해졌다고 한다. G41의 설계 수명은 2만 발 이상이다.
총몸을 보면 기존에 STANAG 탄창으로 급탄하는 총기들과는 다르게 사수 기준 우측에 탄창멈치가 없는데, 탄창멈치는 MP40, StG44, SA80처럼 좌측에 달려있다.
1983년부터 생산에 들어갔고 육각식 강선을 파서 HK33보다 더 높은 명중률을 지향했지만, 되려 가격도 비싸 80년대 기준 1,700달러(미화 기준), 현재 물가로 치면 대략 4,000달러에 달했다. 이 가격이 어느 정도인가하면 비싼것으로 유명한 89식 소총, SG550 계열, FAMAS G2의 가격이 저정도다. 결국 G3를 사용했었던 국가들이 총기 가격 문제로 독자 개발로 돌아서 소수 특수부대나 군대에 채용된 외에는 실적이 적었다.[7] 더군다나 내구성도 HK33과 비교해서 나아진 게 없었다.
결정적으로 통일이 되면서 군축으로 들어가 1996년에 생산이 중지되었다. 이 때 G11 역시 양산직전 도입취소 및 생산중지된다. 동독의 StG-940과 상당히 흡사한 결말을 맞은 셈. 그래도 양산조차 제대로 못 되고 사라져 간 StG-940과는 달리 소수나마 스페인, 이탈리아, 터키 등지에서 사용되었음이 그나마 다행. 터키 국가헌병대에서는 아직도 소수가 사용된다. H&K에서 생산이 중지된 이후 G41의 생산 권리는 SPAS-12, SPAS-15 등의 산탄총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루이지 프랑키 사(Luigi Franchi S.p.A.)로 넘어갔다.
그 후로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지는가 싶더니 2015년에 H&K G36의 명중률 문제가 터졌을 때 1995년[8]에 G36 대신 이걸 채용했어야 했다는 시각이 나오면서 재평가되었다. G41이 G36보다 훨씬 비싸므로 돈이 더 많이 들기야 하겠지만 후대의 삽질을 생각해보면 더 나은 선택 아닐까 하는 의견도 있는 반면, 롤러 지연 블로우백[9]방식인 G41과 돌격소총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가스 작동식인 G36을 비교하는게 어불성설이라는 의견도 있다.[10] 게다가 이후 2020년에 G36의 명중률 문제가 총몸 자체가 아닌 다른 쪽에 있다는 게 밝혀졌다.
한편 이후에 PMAG을 포함한 STANAG 탄창을 호환하는 HK33이 등장했는데 G41과 비교해서 기존 HK33과의 부품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11]
덤으로 민수시장에서 이 총기를 오마쥬한 민수용 총기가 등장했는데, STANAG 탄창은 물론 AR-15 계열 권총 손잡이, 신축식 개머리판 까지 호환할 수 있다. #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웨이스트랜드 2
마지막 티어 돌격소총으로 등장. 고증에 맞지않게 7.62mm 탄을 소모한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언피니시드 비즈니스
데미지29 사거리 30 단발 AP 7, 연발 AP 11에 4발로 L85의 하위 호환이다. 몸값이 최고 비싼 거스(GUS)의 기본 무기.
4. 둘러보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헤클러 운트 코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fff,#000> 헤클러 운트 코흐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colbgcolor=#fff,#000> 자동권총 | HK4 · P9 · VP70 · P7 · USP · Mk.23 · P2000 · UCP · HK45 · P30 · VP9 | |
기타 | P2 · P11 | ||
기관단총 | MP5 (MP5-N) · UMP · MP7 | ||
산탄총 | CAWS · HK512 · FP6 | ||
소총 | 반자동 | PSG1 (MSG90) · WSG2000 · SL8 · SLB2000 · G28 (M110A1) | |
자동 | G3 (HK32 · HK33 · HK53 · G41) · G11 · HK36 · G36 · XM29 (XM8) · SA80A2 · HK416 (M27) · HK417 · HK433 | ||
기관총 | HK21 (HK23) · MG4 · MG5 · HK421 | ||
유탄발사기 | HK69 · HK79 · GMG · AG36 (M320) · XM25 | ||
탄약 | 4.6×30mm |
[1] 민수용 버전인게 아니고, 둘 다 사용 가능한 것.[2] 사격 도중 탄피 손상이 무려 3번이나 일어나서 HK33보다 좋지 않다고 혹평했다.[3] H&K에서 제작한 철제 STANAG 탄창은 이 총기의 개발과정에서 탄생했다. G41을 개발하면서 당시 독일에 없었던 STANAG 탄창을 새로 만들었던 것. 이후 L85/L86/L22 개량 과정에서 도입했고 나중에 HK416을 개발할 때에도 도입했다. 다만 이 탄창은 다른 STANAG 탄창 총기에 삽탄할 경우 급탄 불량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L85A2조차 급탄 불량 때문에 맥풀에서 출시한 E-MAG을 도입했다.[4] 여담으로 노리쇠 전진기는 PSG1에 먼저 탑재되었다.[5] 정확히는 헥사고널, 즉 6각형 강선.[6] 이후 멕시코에서 개발된 FX-05 소총과 글록도 폴리고널 강선을 사용한다.[7] 사실 이 가격 문제가 H&K의 고질적인 문제로, 이것 때문에 제식 채용에 실패한 총기들이 많다. 후에 2018년에는 SA80의 최신 기종인 L85A3를 영국군에 1정 당 약 1,700파운드에 팔아치우는 만행도 저질렀다. 프랑스군의 새 제식소총인 HK416F가 파운드화로 환산하면 1정당 1,000파운드 정도인 걸 생각하면...[8] G3를 대체하기 위해 새 돌격소총을 발주하려던 시기.[9] 약실압력이 높은 5.56mm를 사용하는데 블로우백 방식을 사용한다면 약실 폐쇄 중일때 탄의 변화, 온도의 변화 등으로 약실 압력이 변하면 설계/제작시 잡아 놓은 폐쇄성과 작동성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서 문제가 생기기 쉬운 게 블로우백 방식의 고질적인 단점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FAMAS가 있으며 이 소총도 레버 지연 블로우백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패해서 몰락했다는 의견도 있다.[10] 애초에 G36의 개발 계기중 하나가 탄 걸림 단점이 있는 롤러 지연 블로우백 총기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11] 이외에 기존 HK33에다 STANAG 탄창을 호환하게 해주는 어댑터도 등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