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6 18:05:44

엘리멘틀 히어로

엘리멘탈 히어로에서 넘어옴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게임별 엘리멘틀 히어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러시 듀얼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Wake Up Your Elemental HERO.jpg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colbgcolor=#1DDB16> 한국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일본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골고루 분포 전사족 다수[1]
[ 접기 ]
일반
효과
융합

1. 개요2. 원작3. 성능4. 일반 몬스터5. 효과 몬스터
5.1. 레벨 35.2. 레벨 4
5.2.1.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5.2.2.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5.2.3.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5.2.4.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5.2.5.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5.2.6.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5.2.7.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5.2.8.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5.2.9.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5.2.10.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5.2.11.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5.2.12.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5.2.13.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5.2.14.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5.3. 레벨 55.4. 레벨 7
6. 효과 몬스터 (특수 소환)7. 효과 몬스터 (듀얼)8. 융합 몬스터
8.1. 레벨 5
8.1.1.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8.1.2.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8.2. 레벨 68.3. 레벨 78.4. 레벨 8
8.4.1.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8.4.2.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8.4.3. 엘리멘틀 히어로 마린 네오스8.4.4.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8.4.5.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8.4.6.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8.4.7.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8.4.8.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8.4.9.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8.4.10.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8.4.11.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8.4.12.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8.4.13.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8.4.14.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8.4.15.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8.4.16.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8.5. 레벨 98.6. 레벨 10
8.6.1.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8.6.2.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8.7. 레벨 118.8. 레벨 12
9. 서포트 카드10. OCG화되지 않은 카드11. 둘러보기

1. 개요

유희왕 GX에 등장한 카드군이자, 최초의 히어로 테마. 사용자는 유우키 쥬다이, 에드 피닉스, 패왕, 히비키 코요.

2. 원작

히어로는 반드시 이긴다!
유우키 쥬다이

유희왕 GX의 주인공 쥬다이의 주력 카드군으로, 이름처럼 여러 속성과 효과를 가진 전사족 몬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유희왕 사상 최대의 카드풀을 가지고 있는 히어로 카드군의 얼굴과도 같은 테마로, 히어로 중에서도 가장 많은 카드 수를 자랑하고 있다.

에드는 엘리멘틀 히어로의 일부 카드들만을 사용하다가 쥬다이와의 1차전 이후로는 완전히 데스티니 히어로만을 사용하게 되었고,[2] 패왕은 메인 덱 엘리멘틀 히어로들로 이블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불러내는 전술을 사용했다.

GX 코믹스에서는 코요가 사용한 엘리멘틀 히어로 덱을 쥬다이가 물려받아 사용한다는 설정이었으며, 쥬다이는 에드 전 이후로 마스크드 히어로를 좀 더 주력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믹스 출신 히어로들은 V-JUMP에서 연재되기 때문에 통칭 VJ 히어로로도 불린다.

애니 1기 시점에서는 일부 몬스터가 포즈가 다르거나 명암이 강하게 들어가는 등 OCG와 일러스트가 달랐다. 이는 일본판 및 일본판을 그대로 사용한 한국어 더빙판에 한정되었으며, 나머지 언어판에서는 처음부터 OCG 일러스트로 애니메이션에 나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임 윙맨엘리멘틀 히어로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처럼 완전히 같은 카드명의 소재를 요구하는 융합 몬스터를 여럿 등장시키며 "똑같은 소재로 융합해도 다른 몬스터가 나올 수 있다"[3]는 특징도 부각되었다. GX 종영 후에는 소재가 범용적인 융합 몬스터가 여럿 나오면서, OCG에서는 더 이상 부각되지 않는 특징.

3. 성능

해당 문서 참조.

4. 일반 몬스터

4.1. 레벨 3

4.1.1.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초창기 하급 히어로 5인방.

4.1.2.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초창기 하급 히어로 5인방이며 애니메이션 출신 중 홍일점.

4.2. 레벨 4

4.2.1.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초창기 하급 히어로 5인방.

4.2.2.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초창기 하급 히어로 5인방.

4.3. 레벨 7

4.3.1.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유우키 쥬다이의 에이스. 네오스라는 별개의 카드군에도 속한다.

5. 효과 몬스터

5.1. 레벨 3

5.1.1.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

코믹스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전사족이 대다수인 이 카드군 중에서 진화체(?)인 포이즌 로즈와 더불어 둘뿐인 식물족.

5.1.2.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16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アイスエッジ,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Ice Edge,
속성=물,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9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 1에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직접 공격으로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뒷면 표시 카드를 파괴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IceEdge-JP-Manga-GX.jp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アイスエッジ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Ice Edg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전사족 800 900
이 카드는 레벨 4 이상의 몬스터 효과는 받지 않는다. 또한 레벨 4 이상의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패 1장을 버리고 아이스에지의 효과 발동. 이 턴에, 이 카드는 다이렉트 어택을 할 수 있게 된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① 효과 발동 대사
"다이렉트 어택에 성공한 아이스에지의 효과 발동. 덮어둔 카드 1장을 파괴한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② 효과 발동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중 하나.

원작에서는 레벨 4 이상의 몬스터와의 전투 내성, 효과 내성을 지녔다. 벽으로 소환되지만 관통 데미지를 받는다. 그 다음 턴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과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가 되었다.

OCG화되면서 효과가 통째로 바뀌었다.

이런 부류의 카드들이 그렇듯 공격을 통해 효과 발동은 참 어렵다. 세트 카드만 파괴하기에 락의 해제도 어렵고 공격 반응 카드이면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될바에야 그냥 써버린다는 마인드로 강제로 사용하게 만들수 있으나 이마저도 다른 마법 / 함정 제거 카드를 써서 소환권을 아끼는게 낫다.

비슷한 카드론 전갈-함정 해제의 클리프가 존재한다. 효과 발동의 조건이나 파괴하는 카드의 종류에서 우수하다면 이쪽은 효과 발동 자체가 쉬운 장점이 있다. 굳이 이 카드를 사용할 거라면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라는 점을 살리는 운용이 중요하다.

원작에서 융합 소재가 된 카드다보니 카드명, 일러스트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와 이미지가 매우 유사하다.
수록 시리즈
2008-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14-JP002 | LIMITED EDITION 14
2011-0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OR-EN098 | STORM OF RAGNAROK
2012-1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P01-EN018 | ASTRAL PACK ONE
2010-07-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5-KR013 | 프리미엄 팩 Vol.5

5.1.3. 미러클 엑스클루더

룰 상 E·HERO로 취급되는 카드 엑스클루더의 리메이크 몬스터.

5.2. 레벨 4

5.2.1.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초창기 하급 히어로 5인방 중 유일한 효과 몬스터.

5.2.2.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함정 내성을 가진 몬스터.

5.2.3.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5.2.4.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코믹스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마스크드 히어로를 지원한다.

5.2.5.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OCG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5.2.6.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50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オーシャ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Ocean,
속성=물,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2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의 필드 /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히어로"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Ocean-JP-Manga-GX.pn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オーシャン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Ocean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500 1200
필드에 "바다"가 발동되어 있을 때,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오션의 효과 발동. 필드 또는 묘지의 히어로 1장을 패로 되돌린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① 효과 발동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중 하나.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융합 소재. 생뚱맞게도 수륙양용 버그로스 MK-3처럼 바다가 있을 때 직접 공격하는 효과가 있는데, 쥬다이가 바다를 덱에 따로 투입했다는 묘사가 없는 터라 효과가 사용된 적은 한 번도 없다. 덕분에 OCG화되면서 효과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OCG 효과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필드 /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회수하는 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발동 타이밍이 다소 늦으므로 한 턴을 버티거나 상대 턴에 특수 소환한 뒤, 묘지에 있는 중요한 히어로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방법으로 이용하게 된다.

초창기 히어로 덱에서는 수축 등의 카드로 이 카드를 원호하여, 적극적으로 히어로 몬스터를 확보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후 듀얼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효과 적용이 느린 오션은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작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과 함께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를 불러내기도 하고,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과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로,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와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로,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과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가 되는 등 융합 소재로서 많은 활약을 보였다.

후일담격 단편에서는 히비키 코요가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마스크드 히어로 거스트를 공격하려다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로 변신해버리면서 중지했고, 이후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융합 소재가 된 뒤 미러클 퓨전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의 융합 소재가 되어 제외, 그 다음은 원소융합 엘리멘틀 퓨전의 효과로 엘리멘틀 히어로 Core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공격명은 '빅 웨이브 클래시(Big Wave Clash / ビッグウェーブクラッシュ)'.

게임에서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했을 때의 대사들로 보아 냉정침착한 성격인 듯 하다.
수록 시리즈
2006-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JMP-JP006 | 週刊少年ジャンプ 2006年 35号 付録カード
2010-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9-JP014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ヴァイロン降臨!!」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JP0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HERO’s STRIKE -
2007-06-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MP-EN013 | SHONEN JUMP Promotional Card - June 2007 -
2008-09-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07-EN006 | CHAMPION PACK GAME SEVEN
2010-11-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07-EN018 | COLLECTIBLE TIN 2010 WAVE 2
2011-05-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5-EN014 | DUEL TERMINAL 5A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25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15-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HS-EN002 | HERO STRIKE STRUCTURE DECK
2022-03-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1-ENA11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2008-12-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KR026 | 프리미엄 팩 Vol.2
2014-09-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KR003 | 스트럭처 덱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5.2.7.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51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フォレスト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Woodsman,
속성=땅,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Woodsman-JP-Manga-GX.jp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フォレストマン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Woodsman
일반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000 2000
"포레스트맨의 효과 발동. 덱 또는 묘지에서 융합을 패에 넣는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① 효과 발동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융합을 서치 및 샐비지하는 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융합을 서치 및 회수할 수가 있지만, 자기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하는 효과라 일반 소환으로 꺼내면 발동 타이밍이 너무 느리다. 같은 융합 서치 요원 중에는 즉효성이 있고 히어로 얼라이브 등으로 꺼내도 서치가 가능한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도 존재하며, 회수는 융합 회수융합 준비로도 충분하다. 더구나 듀얼 속도가 빨라진 현 환경에서 융합은 되도록 빨리 잡는 것이 이득이므로 이런 느린 효과는 없느니만 못한 수준이다.

일단 필드에 유지할 수만 있다면 여러 번 발동할 수 있다는 메리트는 있지만 그 자체부터가 난관이다. 수비력 2000도 현 환경 기준으로는 어태커한테 간단히 깨지는 수준이고, 엘리멘트의 가호의 코스트로 일시적으로 제외해서 상대 턴에 보호할 수는 있겠지만 해당 카드의 서치 자체가 쉽지 않아서 활용도는 역시 미묘하다.

등장 당시에는 히어로 시그널로 소환 후 다음 턴에 곧바로 효과 발동용으로 쓰이기도 했다. 보통은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을 선호하지만 방어에 특화되어 있고 제거만 안 되면 효과 발동이 가능하다.

특정 페이즈 돌입시 발동하는 유발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는 기본 룰상 '1턴에 1번'이라는 표기는 본래 사족이나 다름없는 것이었으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에 재록되어 개정된 텍스트에도 이 부분은 남아 있다. 심지어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텍스트가 12기 기준으로 개정된 뒤에도 그대로인 상태.

작중에서는 주로 높은 수비력을 살려 벽으로서 필드에 나오고는 했다. 첫 듀얼에서부터 등장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과 함께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융합 소재가 되었으며, 미사와 다이치와의 2차전 듀얼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와 함께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의 융합 소재가 되기도 했다.

히어로 얼라이브, 엘리멘트의 가호 등 유용한 엘리멘틀 히어로 서포트 카드들의 일러스트에 등장하는 경우가 좀 있다.
수록 시리즈
2006-12-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JP001 | PREMIUM PACK 10
2010-01-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8-JP008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トリシューラの鼓動!!」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JP00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HERO’s STRIKE -
2008-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EN004 | PREMIUM PACK 2
2011-01-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4-EN058 | DUEL TERMINAL 4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34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15-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HS-EN003 | HERO STRIKE STRUCTURE DECK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01 | 프리미엄 팩 Vol.3
2014-09-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KR004 | 스트럭처 덱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5.2.8.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파일:card10019555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ザ・ヒート</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Heat,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200, 종족=화염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유희왕 GX 코믹스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자신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자신도 엘리멘틀 히어로에 속하는 덕분에 실질적으로 공격력은 1800이 되어 하급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선 높은 편. 최대 공격력은 이론상 3000.

문제는 단순히 어태커로 쓰자니 서포트 카드가 더 풍부한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가 존재하고, 애초에 융합 몬스터로 뽕을 뽑는 것이 보통인 히어로 덱에서 하급 어태커로서의 성능은 부각될 일이 많지 않다는 것. 더구나 대다수 엘리멘틀 히어로들과는 달리 화염족이라 증원, 군웅할거와 같이 써먹을 수 없다는 것도 뼈아프다. 랭크 4 엑시즈 소환 빈도가 높고,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듀얼 스파크, 히어로 블래스트와 조합한 히어로 비트 덱에도 그리 어울리지 않는다. 굳이 써보자면 융합 소환 주축 히어로 덱에 넣어봐야겠지만, 상술했듯 이 카드를 소재로 해서 나오는 프레임 블래스트의 성능부터가 떨어진다는 것도 문제.

화염족이라는 점을 이용해서 기폭수 볼캐논, 중폭격금 폭탄 페넥스, 젬나이트 마디라 등의 융합 소재가 될 수 있는데, 엘리멘틀 히어로 덱에 기계족 비율을 늘려서 볼캐논이나 폭탄 페넥스를 꺼내는 변칙 활용이 가능하다. 볼캐논 전용 덱에서는 히어로 특유의 풍부한 서치 및 리크루트를 조합할 수 있으며, 폭탄 페넥스 주축의 머티리얼 원턴킬 덱에서는 상기 융합 몬스터는 물론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를 꺼낼 수 있게 해주고, 여기서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의 엑시즈 소환이나 폭탄 페넥스를 재활용하는 등의 무브가 가능해진다.

공격력 500 이하의 기계족 몬스터에게 히어로 마스크를 사용해서 카드명을 이 카드의 것으로 바꾼 다음 기계 복제술을 써주면 공격력 2200의 더 히트를 2장 전개할 수 있다. 이대로 볼캐논과 폭탄 페넥스를 융합 소환할 수 있으니 재미삼아 시도해볼 수는 있겠다.
수록 시리즈
2006-12-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JP004 | PREMIUM PACK 10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JP00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HERO’s STRIKE -
2008-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EN007 | PREMIUM PACK 2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37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15-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HS-EN005 | HERO STRIKE STRUCTURE DECK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04 | 프리미엄 팩 Vol.3
2014-09-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KR006 | 스트럭처 덱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5.2.9.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파일:E・HERO レディ・オブ・ファイ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レディ・オブ・ファイア</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Lady Heat,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1000, 종족=화염족,
효과1=①: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수 × 2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유희왕 GX 코믹스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자신 엔드 페이즈마다 엘리멘틀 히어로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는 강제 발동 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덱은 제법 전개력이 있어서 600 정도의 데미지는 뽑아낼 수 있다. 그러나 이 카드 자체의 능력치가 낮아서 전투를 버텨낼 수준이 되지 못하고, 엘리멘틀 히어로는 비트 다운이 특기라서 어정쩡한 번 효과까지 써야 할 필요가 별로 없다.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와 마찬가지로 화염족이라서 전사족이 대부분인 히어로들과 서포트를 공유하지 못한다는 것도 흠.

유희왕 GX에서는 몇 안 되는 여성형 엘리멘틀 히어로 일반 몬스터로 등장. 다만 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가 있었기 때문에 홍일점은 아니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는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 사용 덱 이름은 '유혹의 리듬'으로, 화염 속성과 엘리멘틀 히어로 혼합 덱이다. 여기서는 1인칭으로 '보쿠(ボク)'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성능과는 별개로, 미형 여성 몬스터 카드가 극소수인 HERO 테마에선 버스트 레이디와 함께 아이돌 카드 취급을 받기도 한다. 버스트 레이디 자체 검열판
수록 시리즈
2006-12-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JP005 | PREMIUM PACK 10
2008-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EN008 | PREMIUM PACK 2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38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05 | 프리미엄 팩 Vol.3

5.2.10.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파워 오브 펠로우즈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5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ボルテック,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Voltic,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500, 종족=번개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 자신의 제외 상태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Voltic-JP-Manga-GX.jp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ボルテック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Voltic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000 1500
상대 플레이어에게 데미지를 주었을 때 게임에서 제외되어 있는 카드 전부를 묘지로 보낸다.
"볼테크의 효과 발동. 제외되어 있는 엘리멘틀 히어로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효과 발동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중 하나.

OCG에서는 원작과 달리 번개족이 되었다. 덕분에 엘리멘틀 히어로를 포함해 히어로 중에서는 유일한 번개족 몬스터지만, 일반적으로 히어로들이 속하는 전사족 관련 서포트를 공유할 수 없어서 딱히 메리트가 없다. 일단은 굳이 사용한다면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이나 E-이멀전시 콜로 서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효과 자체는 강력하지만, 문제는 저열한 스탯. 일단은 미러클 퓨전이나 다크 콜링 등으로 제외된 엘리멘틀 히어로들을 불러오는 게 기본 용도. 요즘 환경에서 카드 한 두장 정도는 제외되어 있는게 일상이지만, 저열한 스탯이 발목을 잡는다.

데미지 스텝에 소환이 되므로 격류장 등을 맞을 일은 없고 왕궁의 탄압이 깔려 있어도 문제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론상 무한 루프가 가능한데, 매크로 코스모스데스 카운터, 필드 & 제외 상태의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가 1장씩 있으면 서로가 서로를 특수 소환하면서 계속 공격하는 무한 루프가 성립한다.

작중에서는 마루후지 쇼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했으며, 장착 마법 '볼테크 스피어'로 공격력을 강화한 뒤 아머로이드 가이덴고를 공격해 파괴했다. 여기서 효과를 발동해 네이비로이드의 효과로 제외되어있던 쇼의 마법 카드 변신을 묘지로 보내고, 변신의 디메리트 효과로 쇼에게 데미지를 주면서 피니셔가 되었다.

이후 특별편에서 히비키 코요가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선공 첫 턴에 소환되어 볼테크 스피어를 장착했으며, 쥬다이의 턴에 버블 셔플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된 후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의 공격을 받다가 히어로 베리어로 방어, 그 후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후 미러클 퓨전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공격명은 '볼틱 썬더(ボルテック・サンダー / Voltic Thunder)'.
수록 시리즈
2007-1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1-JP001 | PREMIUM PACK 11
2010-12-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11-JP003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オメガの裁き!!」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JP00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HERO’s STRIKE -
2008-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EN014 | PREMIUM PACK 2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39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12-02-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6-EN003 | DUEL TERMINAL 6A
2015-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HS-EN004 | HERO STRIKE STRUCTURE DECK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11 | 프리미엄 팩 Vol.3
2014-09-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7-KR005 | 스트럭처 덱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5.2.11.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364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일어판 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フラッシュ,
영어판 명칭=Elemental HERO Flash,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1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와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3종류를 1장씩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일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Flash-JP-Manga-GX.jp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フラッシュ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Flash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100 1600
묘지로 보내졌을 때, 묘지의 마법이나 함정 1장을 패에 넣는다.
"전투로 파괴된 플래시의 효과 발동.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패왕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효과 발동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중 하나. 작중에서는 레지 맥켄지와의 듀얼에서 소환되었으며, 맥켄지의 The splendid VENUS의 공격으로 파괴되면서 묘지의 미러클 퓨전을 패로 회수했다. 이후 미러클 퓨전에 의해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와 함께 제외되면서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OCG화되며 원작 코믹스에 비해서 많이 약화되기는 했지만 묘지에서 마법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는 여전히 강력하다. 문제는 발동 조건이 지나치게 수동적이고 공격력 1100짜리인 이 카드로 전투 파괴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며, 제외하는 카드가 3장도 아니고 3종류를 제외해야 하는 큰 코스트라서 요즘 환경에선 사용하기 어렵다.

DC 코믹스의 히어로 플래시가 모티브인지는 불명. DC의 플래시는 빛 처럼 빨라서 생긴 이름인데 이 카드는 진짜 빛을 내뿜는 능력인지라 애매하다.
수록 시리즈
2009-08-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CF-JP002 | Vジャンプカードフェスタ 2009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2009-1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F10-JP006 | ジャンプフェスタ 2010 プロモーションパック
2010-11-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R01-JP006 | プロモーションパック 2010
2011-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ENF-EN090 | GENERATION FORCE
2012-08-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7-KR001 | 프리미엄 팩 Vol.7

5.2.12.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8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ブレイズ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Blazeman,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8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이외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카드는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낸 몬스터와 같은 속성 / 공격력 / 수비력이 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융합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발매에 맞춰 등장한, 넥스트 챌린저스의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로 출시된 오리지널 히어로 몬스터. 이름의 '브레이즈'는 대원의 관습으로 굳어진 블레이즈(Blaze)의 오역이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성공 시 융합을 서치하는 효과. 융합 몬스터를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히어로의 전개를 용이하게 도와준다.

②의 효과는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1장을 덤핑하고, 턴 종료 시까지 덤핑한 몬스터의 속성 / 공격력 / 수비력을 얻는 효과. 원하는 속성을 카피해 융합 소재나 변신 소환 조건을 쉽게 맞출 수 있고,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처럼 묘지로 보내 어드밴티지를 얻는 엘리멘틀 히어로와도 상성이 좋다. 그러나 융합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큰 디메리트를 걸기 때문에, 융합 몬스터만으로 나머지 전개를 마칠 수 있도록 발동 타이밍을 조율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인 덱 화염 속성 히어로 중에서는 가장 실전 가치가 뛰어난 몬스터로, 이 카드 덕분에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마스크드 히어로 강화의 실전성이 조금 올라갔다. 그러나 같은 턴에는 두 효과 중 하나만 쓸 수 있고, 덤핑+융합 조달을 한 턴에 전부 해낼 수 있는 건 물론 제약도 걸지 않는 비전 히어로 바이온이 있어 기본적으로는 하위호환 취급받는다. 차원의 틈과 같은 제외계 지속물이 깔려 있어도 융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차별점을 노리고 가끔 투입하는 정도. 현재 메인 덱 화염속성 히어로는 마스크드 히어로 퍼네스가 발매되어 이쪽을 채용하는 추세.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OCG 오리지널 카드임에도 주다이의 보이스로 수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NEXT CHALLENGERS NECH-JP087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더 레어리티 컬렉션 20주년 RC02-JP012 슈퍼 레어
컬렉터즈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World Superstars WSUP-EN032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엑스트라 팩 2015 EP15-KR040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레어리티 컬렉션 RC02-KR012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5.2.13.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8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サモン・ソーサレス.jpg
파일:캐로베인.jpg
파일:E・HERO ソリッドマン.jpg
파일:竜魔導の守護者.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40
서몬 소서리스
VJMP-JP141
트릭스터 케로베인
VJMP-JP142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VJMP-JP143
용마도의 수호자
파일:シューティング・ ライザー・ドラゴン.jpg
파일:希望の魔術師.jpg
파일:闇鋼龍 ダークネスメタル.jpg
파일:魔界の警邏課デスポリス.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46
슈팅 라이저 드래곤
VJMP-JP147
희망의 마술사
VJMP-JP148
암강룡 암흑 메탈
VJMP-JP149
마계의 경라과 데스폴리스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ネクステア.jpg
파일:シノビネクロ.jpg
파일:コード・ジエネレーター.jpg
파일:ホワイトローズ・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52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
VJMP-JP153
시노비네크로
VJMP-JP154
코드 제너레이터
VJMP-JP155
화이트 로즈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44 EM 클레이브레이커
VJMP-JP145 퍼니멀 엔젤
VJMP-JP150 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VJMP-JP151 데스완구 마이스터
}}}}}}}}} ||
← 2017년2019년 →


파일:E・HERO ソリッドマ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ソリッドマン</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Solid Soldier,
속성=땅,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1100, 종족=전사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마법 카드의 효과로 몬스터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이외의 자신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V점프 2018년 3월호 동봉 카드.

①의 효과는 심플하고도 강력한 히어로판 선봉 대장의 효과.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히어로" 몬스터를 전개하는 효과로, 주로 "체인지" 속공 마법이나 링크,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등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도 효과를 발동하는 히어로와 연계해 추가 어드벤티지를 벌수도 있다.

그동안 히어로 덱의 용병으로 사용되던 양철금붕어고블린드버그의 상위 호환 카드. 레벨 4 / 땅 속성 / 전사족 몬스터라는 점에서 히어로 덱에서는 더 유용하고, '히어로' 카드군에도 속해 증원, E-이멀전시 콜 등의 다양한 서포트, ②의 추가 효과 등 완벽한 상위호환의 카드이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이 카드가 마법 카드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를 소생하는 효과. 히어로 특유의 "융합" 마법과 "체인지" 속공 마법에 모두 대응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묘지에 보내고 발동하기 쉽다. 엘리멘틀 히어로 스피릿 오브 네오스,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크 가이등을 소환하면 좋다.

①②의 효과가 전부 특수 소환이라 섀도우 미스트와 아주 호궁합을 보이는 카드. 패에 있건 묘지에 있건 활용하기가 매우 편해져서 전개의 폭이 꽤나 늘었다.

또한, 상대방의 블랙홀이나 번개와 같은 몬스터 제거용 마법 카드에도 대응한다.

게다가 카드의 진가는 메인 덱에 넣을 땅 속성 히어로가 마땅치 않은 환경 탓에 그 동안 소환 방법이 애매해 효과는 좋지만 저평가를 받았던 마스크드 히어로 다이안을 마스크 체인지로 부를수 있다는 점이다.

신 마스터 룰이 적용된 후 E/D/M/V 통합 히어로 덱에서는 빠지는 추세. 일소권을 두고 경쟁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의 묘지 소생 효과가 바이온, 퓨전 데스티니 등과 잘 어울리고 히어로가 엑시즈를 할 일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이다. 더구나 25년도 발매된 마스크드 히어로 아토믹을 필두로 한 히어로지원도 약세였던 화염속성, 주류였던 어둠속성의 히어로를 강화시키는 카드들이라 땅속성인 이카드와 다이안이 빛을 보기엔 요원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다른 히어로 카드에 비해 히어로 테마 관련 스트럭처 덱에서 많이 수록되다보니 소과금 유저도 쉽게 구할 수 있는 히어로 카드다. 싱크로가 나올때까지는 마스크드 히어로 소재용이 아닌 이상 쓰이는 일이 거의 없었으나 제알 월드가 출시되고 엑시즈 카드가 나온 이후로는 4랭크 엑시즈를 쓰는 히어로 덱에서 많이 채용하기 시작했다.
수록 시리즈
2018-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42 | Vジャンプ 2018年 3月号 付録カード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12 | LEGENDARY GOLD BOX
2018-08-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15-EN003 | 2018 MEGA-TINS
2020-06-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OCH-EN040 | TOON CHAOS
2018-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3-KR049 | 프리미엄 팩 Vol.13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12 | 레전더리 골드 세트

5.2.14.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파일:E・HERO リキッドマン(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リキッド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Liquid Soldier,
속성=물,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13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이 아닌\,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히어로" 융합 몬스터의 융합 소환의 소재가 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버린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히어로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유발효과.

융합 소재를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의 효과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브레이즈맨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엔 브레이즈맨의 효과로 융합을 서치해 즉시 융합 소환할 수 있다. 필드 융합 말고도 소생한 히어로 몬스터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엑스트라 히어로 원더 드라이버 등의 링크 소환을 노릴 수 있다. 소생한 히어로 몬스터가 레벨 4라면 랭크 4 엑시즈 소환이란 선택지도 더해진다. 융합 몬스터로 타개할 수 없다면 이들의 특수 소환 소재로 삼아 이 카드를 묘지에 두고, 다음 턴 이후에 미러클 퓨전으로 ②의 효과를 노리는 것도 좋다. 히어로 몬스터 전체를 대상으로 하니 다른 히어로 덱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크 가이를 부활시켜서 덱에서 2장 드로우도 가능하며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를 부활시켜 마스크 체인지등의 체인지/체인저 속공 마법을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융합 소환의 소재로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됐을 경우에 패를 교환하는 유발효과. 필드 융합 / 패 융합 외에도 엘리멘틀 히어로 덱의 키 카드인 미러클 퓨전에도 대응한다. 패를 1장 얻을 수 있는 데다 묘지도 비축되므로 다음 전개를 준비하기 쉽다. 이 카드 본인이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의 융합 소재 중 히어로, 물 속성 조건에 다 해당되어 상당히 유용하다. 물 속성이고 드로우 효과라는 점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의 효과를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①,②의 효과를 같은 턴에 못 쓴단 점인데, 이로 인해 ①의 효과로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을 소생시키고, 그 턴에 서치한 융합으로 융합 소환해도 ②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발동 조건이 크게 문제되진 않지만, ①의 효과는 때의 임의 효과라 카드의 효과에 의해 체인 2 이후에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타이밍을 놓친다.

②의 '융합 소환의 소재'라는 조건 때문에 융합 소환으로 취급하지 않는 특수 소환에 소재가 됐을 경우 발동하지 않는다. 콘택트 융합이 이에 해당하지만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될 일 없이 덱으로 되돌아가니 원래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또한, 마스크 체인지네오스 퓨전을 통한 소환은 융합 소환으로 취급되지 않아 해당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과 대비되는 카드인데, 해당 카드의 컨셉은 고체인 반면 이 카드는 액체가 컨셉이다. 해당 카드와는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의 효과를 가지거나 특정 방법으로 묘지로 보내지는 것을 발동 조건으로 삼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카드를 통해 선라이저같은 다속성 필요 E히어로를 소환하거나 앱솔루트 제로&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콤보를 사용하는 등 쓰임새가 많았으나 최근 통합 히어로덱은 추가된 이블히어로 초동파츠나 신규 마스크드 히어로 지원 등으로 덱스페이스가 너무나도 빡빡해 빠지는 추세.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22년 9월 제한 2로 지정되었으나 23년 8월 제한 해제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DP23-KR013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13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LED6-EN013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5.3. 레벨 5

5.3.1.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다크맨

5.4. 레벨 7

5.4.1.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5.4.2. 엘리멘틀 히어로 스피릿 오브 네오스

5.4.3.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파일:E・HERO オネスティ・ネオス(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オネスティ・ネオス,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Honest Neos,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필드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2500 올린다.,
효과2=②: 패에서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버린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정령의 날개를 얻은 히어로.
우주의 힘동료와의 유대가 승리로 이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벽지 설명
20주년 기념 애니버서리 팩에서 등장한 최상급 효과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어니스트를 합친 몬스터다. 이름인 어니스티(honesty)는 명사라 영문법을 따지면 '정직 네오스'라는 명사만 붙여놓은 다소 어색한 이름.[4] 영문판에서는 형용사형을 써 어니스트 네오스(Honest Neos, 정직한 네오스)라는 자연스러운 이름이 되었다.

①번 효과는 자신을 패에서 버려 필드의 히어로 1장의 공격력을 올리는 유발즉시 효과. 2500 상승은 하급 몬스터에게 적용시켜도 최상급 몬스터에 준하는 전투력을 가질 수 있는 파격적인 수치이다. 엘리멘틀 히어로이니만큼 E-이멀전시 콜 등으로 이 카드를 확보하기 쉽고,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는 것도 덤. '필드의 히어로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므로 상대 필드의 히어로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은 하다.

②번 효과는 히어로 몬스터 1장을 패에서 버려 이 카드를 강화하는 유발즉시 효과. 이 효과로 얻을 수 있는 최대 공격력은 데스티니 히어로 도그마 가이를 버려서 얻는 5900이다. 이 카드는 보통 ①번 효과로 소비되기 때문에 이 효과를 쓸 일은 거의 없지만, 이 카드가 공격에 참여하는 예기치 않은 경우에는 나름대로 도움이 된다.

통합 히어로 덱에서는 타점 강화 효과로 히어로의 전투력을 한 층 더 끌어올리는 강화 요원으로 취향에 따라 1장 투입된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처럼 자체 효과는 강력하지만 타점이 미묘한 선턴 빌드 결과물을 원호해주는 용도로도,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비전 히어로 트리니티와 같은 피니셔의 킬각 캐치를 쉽게 만드는 용도로도 유용하다. 손쉽게 묘지로 보낼 수 있는 점을 이용해 타점 강화가 필요 없는 상황에도 미러클 퓨전의 소재를 마련하는 등 유연한 활용이 가능하다. 13기 들어서는 히어로의 전투력이 매우 강해졌기에 메인덱 스페이스를 고려해서 빼는 경우도 있다.

파일:ETT_Xg1UYAAi2yi.png

카드 일러스트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4기 오프닝 마지막의 그 타이틀 로고장면. 실제 본편에서도 후지와라 유스케의 어니스트를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하는 장면이 있다.

6. 효과 몬스터 (특수 소환)

6.1. 레벨 4

6.1.1.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6.2. 레벨 6

6.2.1. 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

코믹스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와 마찬가지로 식물족이다.

6.2.2. 날개 크리보 LV6

효과 외 텍스트로 엘리멘틀 히어로로 취급한다.

7. 효과 몬스터 (듀얼)

7.1. 레벨 4

7.1.1.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OCG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에도 속한다.

8. 융합 몬스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folding [ 땅 ]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엘리멘틀 히어로 매드볼맨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파일:짤램파트건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매드볼맨|
파일:짤매드볼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파일:짤와일드윙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파일:짤와일드윙맨2.png
]]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Core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파일:짤플라즈마바이스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파일:짤디어스.jpg
]]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파일:짤엘리멘틀히어로가이아.jpg
]]
[[엘리멘틀 히어로 Core|
파일:짤엘리멘틀히어로코어.jpg
]]
}}}}}}
[ 물 ]
||<tablewidth=75%><tablebordercolor=#579DF2><bgcolor=#579DF2>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bgcolor=#579DF2>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bgcolor=#579DF2>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파일:짤스팀힐러.jpg
]]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파일:짤세일러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파일:짤앱제.jpg
]]
[ 화염 ]
||<tablebordercolor=#9B333E><bgcolor=#9B333E> 엘리멘틀 히어로 피닉스 가이 ||<bgcolor=#9B333E>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bgcolor=#9B333E>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bgcolor=#9B333E>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피닉스 가이|
파일:짤피닉스가이.jpg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파일:짤샤이닝피닉스가이.jpg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파일:짤프레임블래스트.jpg
]]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파일:짤노바마스터.jpg
]]
[ 바람 ]
||<tablebordercolor=#94E386><bgcolor=#94E386>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bgcolor=#94E386>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 ||<bgcolor=#94E386>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bgcolor=#94E386>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파일:짤플윙.jpg
]]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
파일:짤템피스터.jpg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파일:짤플슛.jpg
]]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파일:짤그레이트토네이도.jpg
]]
[ 빛 ]
||<tablebordercolor=#FFE59A><bgcolor=#FFE59A>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bgcolor=#FFE59A>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bgcolor=#FFE59A>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 ||<bgcolor=#FFE59A>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파일:짤썬더자이언트.jpg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파일:짤샤플윙.jpg
]]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
파일:짤에릭실러.jpg
]]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파일:짤그랜드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볼틱 썬더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파일:짤선라이저.jpg
]]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파일:짤더샤이닝.jpg
]]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짤웨이크업.jpg
]]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엘리멘틀히어로볼틱썬더.jpg
]]
[ 어둠 ]
||<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이드 샤먼 ||<bgcolor=#000>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bgcolor=#000>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bgcolor=#000>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이드 샤먼|
파일:짤네크로이드샤먼.jpg
]]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파일:짤다크브라이트맨.jpg
]]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파일:짤에스크리다오.jpg
]]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파일:짤콘푸로스트히어로.jpg
]]
||

명실공히 엘리멘틀 히어로의 정체성. 소재 역할인 메인 엘리멘틀 히어로가 다양한 만큼,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도 질릴 정도로 다양하게 나왔다.

기본적으로 엘리멘틀 히어로는 융합을 해서 강해지는 컨셉이다. 이건 GX 애니판, 코믹스 어느 쪽이든 마찬가지로, (따로 노는 성향이 강한 네오스는 차치하더라도) 엘리멘틀 히어로의 상급 몬스터들은 수도 적고 파워에도 한계가 있으니 메인 덱만으로 싸우는 데엔 한계가 있기 때문. 그렇다 보니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 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가 47종으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5]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의 공통적인 특징이자 단점으로는 네오스 관련 융합체 중 일부[6]와 비(非)네오스 관련 융합 몬스터들은 전부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며, 나머지 네오스 관련 융합체들은 소재를 덱으로 되돌려 특수 소환하는 것 (콘택트 융합) 외에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지만, 대신 소생에는 제약이 없다.

콘택트 융합체들은 ☆ 표시.

8.1. 레벨 5

8.1.1.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8.1.2.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GX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rowcolor=#fff><nopad>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nopad>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암드 드래곤 LV10
<rowcolor=#fff><nopad>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nopad>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사이버 다크 드래곤
<rowcolor=#fff><nopad>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nopad>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패왕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rowcolor=#fff><nopad>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5D's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ZEXAL ~ 9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없음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3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スチーム・ヒーラー,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Steam Healer,
속성=물, 레벨=5, 공격력=1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중 하나.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효과 외 텍스트, 전투로 파괴해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LP를 회복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대척점에 있는 몬스터. 하지만 버스트 레이디를 융합 소재로 하는 것 치고는 버블맨을 섞어서 그런지 공격력도 효과도 플레임 윙맨에 뒤떨어진다. 당연히 이 카드의 효과를 활용하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그래도 세일러맨과 더불어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몬스터이다. 물 속성 히어로이기 때문에 앱솔루트 제로의 재료로서의 가치는 있다. 허나 이 점은 리퀴드맨이 나오기도 했고, 인스턴트 퓨전을 쓰면서까지 이 카드를 부를 이유가 없다는 점에 막힌다.

다만 인스턴트 콘택트의 등장으로 다시 쓰임새를 찾을 순 있게 되었다. 인스턴트 퓨전과는 달리 인스턴트 콘택트는 3장 넣을 수 있고, 스팀 힐러가 세일러맨보단 스탯이 좋으므로 해당 조건의 융합몹을 찾는다면 넣을 수 있다. 펑크에서 아다마시아-드라가이트를 사용하기 위해서 채용 가능하다.

유희왕 GX 세븐 스타즈 편에서는 유우키 쥬다이듀얼 아카데미아 학원제에 참여한 블랙 매지션 걸과의 듀얼에서 사용. 블매걸이 세트한 화염의 마녀를 공격하여 그 리버스 효과로 쥬다이가 데미지를 받았으나, 이 카드의 효과로 다시 LP를 회복했다. 그 후 다음 턴에 차원 융합으로 특수 소환된 블랙 매지션 걸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그 뒤로 두 번 다시 본편에 등장하지 못했으며, 유일한 등장마저도 공격신을 포함해 대부분의 장면이 블랙 매지션 걸에 포커스가 맞춰진 데다 쥬다이와 함께 관중들한테 악당 취급을 받는 등[7]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서는 유독 취급이 불우한 편이다.[8] 반면에 유희왕/OCG에서는 유독 높은 레어도[9]로 수록되는 등, 성능에 비해 대우가 좋다.

북미 방영판에서 나온 공격명은 '스팀 블래스트(Steam Blast)'

8.2. 레벨 6

8.2.1.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이자 페이버릿 카드.

8.2.2.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8.2.3. 엘리멘틀 히어로 매드볼맨

8.2.4.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이드 샤먼

특이한 이름으로 인해 로이드 카드군에도 속한다.

8.2.5. 엘리멘틀 히어로 피닉스 가이

8.2.6.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8.2.7.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파일:1000007242.pn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849_1.jpg
원작OC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uby> ダーク・ブライト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Darkbright,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 다크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이 카드는 공격했을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중 하나.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외 텍스트, 관통 데미지를 주는 지속효과, 공격 후 앞면 수비 표시가 되는 지속효과, 파괴시 상대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융합 소재가 지정된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중에서는 나쁘지 않은 효과를 가졌다. 융합 소재 양쪽 다 범용성이 나쁘지만은 않은 편이라 투입이 쉽고, 미러클 퓨전 등의 콤보로 연계하기도 쉽다.

공격 뒤엔 수비가 되어 전투로 쉽게 잡히지만 전투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미래융합-퓨처 퓨전과의 상성이 좋아서 퓨처 퓨전이 파괴되어 자멸해도 효과는 발동한다. 퓨전 웨폰이나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와도 궁합이 좋다.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와 상성이 좋은 편이며, 공격시에는 무방비 상태가 되는 약점을 이 카드의 효과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최강의 방패로도 디메리트를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있다.

그 외에 그나마 있는 장점이라면 어둠 속성 레벨 6의 히어로 융합 몬스터라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소환시 마스크 체인지폼 체인지 양쪽에 대응한다는 점. 다른 히어로도 마찬가지지만, 이 카드의 경우엔 관통 효과를 적용한 후 수비 표시가 된다는 점을 씹을 수가 있다. 그밖에도 엘리멘틀 히어로 Core의 효과로 소생할 수 있어 세 번째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단점은 역시 어정쩡한 능력치.[10] 공격력이 높지 않아 관통 능력을 살릴 상황에서 융합 소환을 하지 않는 이상 효과를 써먹기 힘들다. 융합 소환을 따로 안 해도 엘리멘틀 히어로 덱과 병용이 가능한데다 웬만한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는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등의 엑시즈 몬스터가 더 쓰기 쉽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마스터 듀얼의 갱신된 텍스트에선 어째선지 3번 효과가 강제가 아닌 임의 효과로 표기되어 있다.

유희왕 GX에서는 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유우키 쥬다이프로페서 코브라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독사신 베노미너거를 쓰러트리지만, 되살아난 베노미너거에 의해 곧 박살난다. 유벨에게 빙의된 카노 마르탄 전에서도 배틀 페이즈 중 순간융합의 효과로 튀어나와 카오스 코어를 공격했지만, 마르탄이 발동한 카오스 버스트에 의해 함께 파괴되었다.

다크니스 편에서는 텐죠인 아스카와 함께 한 커플 태그 듀얼 대회에서 등장. 사메지마와 함께 참여한 토메공격 표시로 소환한 마슈마론을 공격한 뒤 융합 해제로 분리시킨 융합 소재들로 다시 공격하면서 원 턴 킬을 내버렸다.

공격명은 '다크 플래시(ダークフラッシュ / Dark Flash)'.
수록 시리즈
2007-05-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AEV-JP042 | タクティカル・エボリューション [ TACTICAL EVOLUTION ]
2009-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7-JP036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ジェネクスの進撃!!」
2012-05-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E02-JP016 | DUELIST EDITION Volume 2
2007-06-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AEV-KR042 | 전술의 발전
2007-08-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AEV-EN042 | TACTICAL EVOLUTION
2011-01-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4-EN036 | DUEL TERMINAL 4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63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22-03-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1-ENA25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8.2.8.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볼틱 썬더

파일:E・HERO サンダー・ジャイアント-ボルティック・サン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볼틱 썬더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uby> サンダー・ジャイアント-ボルティック・サンダー,
영어판 명칭=Elemental HERO Thunder Giant - Voltic Thund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6,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2400, 수비력=1500,
소재=속성이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가 자신 필드의 카드보다 많으면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다른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서 융합 소환한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의 리메이크 및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카드. V점프 에디션의 일종인 응모자 서비스 팩 "듀얼 아카데미아 셀렉션"에 수록되었다.

소재 조건은 이전에 출시된 비슷한 컨셉의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과 동일.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 했을 경우 ②번 효과가 추가되는 것 역시 동일하다.

①번 효과는 특수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 카드 수가 자신보다 많을 시 필드의 다른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유발 효과. 썬더 자이언트의 원작 효과처럼 유발 효과이면서 훨씬 넓은 범위로 강화되었다. 융합 소환 제약이 걸려 있지만, 히어로 덱이라면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이나 페이버릿 콘택트 등으로 소환해도 발동이 가능하며, 특히 후자는 상대 턴에 소환되어 기습적으로 전개를 끊을 수도 있다. 기존 카드 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와 주로 비교되는데, 자신 필드까지 날린다는 단점은 있지만 후열까지 견제하는데다 상대 턴에 발사가 쉽고, 소재로 리퀴드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 때문에 이 카드가 우선적으로 투입된다.[11]

②번 효과는 본 카드의 소재로 일반 몬스터를 사용했을 경우, 릴리스하고 E히어로 한 장을 소생시키는 기동 효과. 철저한 쥬다이 로망 덱을 짜지 않는 이상 실전 구축의 통합 히어로 덱에서 반드시 채용되는 일반 몬스터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뿐이므로, 네오스와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를 소재로 본 카드를 뽑고 해당 소재나 이전 전개에 사용한 E히어로를 소생시켜 추가 전개를 시도하는 식으로 쓰게 된다. 소환 조건을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제약이 걸려있는 E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용도로는 거의 쓸 수 없고[12], 에어맨을 소생시켜 추가 서치로 전개를 이어가거나 덤핑해놓은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로 마스크 체인지를 서치하는 것이 주요 용도가 된다.

통합 히어로 덱에선 의미가 없지만 프레임 슛과는 달리 레벨 6이라서 인스턴트 콘택트에도 대응한다.
수록 시리즈
2025-05-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P25-JP001 | DUEL ACADEMIA SELECTION

8.2.9.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5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ガイア</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Gaia,
속성=땅, 레벨=6, 공격력=2200, 수비력=26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땅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수치만큼 올린다.)]

코믹스 GX 출신 히어로. 특정 속성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요구하는 '속성 융합 히어로'의 첫 주자. 속성 융합 히어로 중에는 유일한 레벨 6 몬스터다.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포스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히어로는 타점 싸움에 약한 덱이 아니기 때문에 미묘한 편.[13] 유용한 땅 속성 히어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정도라 자체적으로 뽑기도 쉽지 않다. 초융합을 유용하게 쓰던 히어로 비트 시절 강력한 땅 속성 몬스터를 잡아먹기 위해 투입되던 정도.

공격명은 컨티넨탈 해머(Continental Hammer).

원작 코믹스에선 미사와 다이치 2차전에서 제외된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평행 세계 융합으로 융합 소환. 효과로 화차를 쓰러트렸다. 만죠메 전 2차전에서는 미러클 퓨전으로 융합 소환되었다. 트라고에디아와의 최종전에서도 출연, 처음에는 필드에 몬스터가 없어 효과도 안 쓰고 돌격하다 엘리멘트의 가호를 쓰기 위해 제외되었다가, 망막의 죽은 자에게 파괴되었다가 덱으로 돌아간 뒤 마아트를 통해 뽑은 융합으로 재등장, The supremacy SUN의 공격력을 흡수하고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효과 사용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첫 등장시에는 융합소재로 땅 속성 2장이 필요했다. 공격력 3000의 화차가 뜨니 디 어스를 소환하더라도 뚫을 수 없는 상황이었는데, 쥬다이는 얼마 전에 제외됐던 크노스페를 떠올려 승리의 열쇠를 발견했다. 쥬다이가 영혼의 해방으로 포레스트맨과 오션을 포함한 5장을 제외하고 평행 세계 융합을 발동하자 미사와는 "디 어스 소환이냐!? 소용없다!"라고 하지만, 쥬다이는 "포레스트맨과 크노스페! 땅 속성 2장을 융합한다!"라며 가이아를 소환했다. 즉, 땅 속성인 크노스페가 꼭 필요했으며, 포레스트맨과 오션 만으로 가이아를 소환할 수 없었던 것.

그러나 마지막 듀얼, 그리고 특별편에서는 OCG 사양으로 등장, 포레스트맨과 오션을 소재로 하여 소환되었다.

일본에서는 V점프 정기구독 특전 카드였기 때문에 매우 가격이 높았으나, 한국에서는 2010년 7월, 프리미엄 팩 5를 통해 값싸게 풀렸다.[14] 이후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에도 재록되어 저렴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8.2.10.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파일:E・HERO グランドマ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 グランドマン</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Grandmerge,
속성=빛,
레벨=6,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전사족,
소재="히어로" 일반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원래 레벨의 합계 ×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자신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다.)]

크로니클 바인더에서 등장한 OCG 오리지널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스파크맨을 중심으로 페더맨(날개와 팔다리의 깃털), 버스트 레이디(한쪽만 허벅지까지 오는 부츠), 클레이맨(어깨장식과 손목장식)의 모습이 섞인 디자인이며, 오른손 모양이 유우키 쥬다이의 트레이드 마크 "갓챠!"와 같다.

소환 조건은 히어로 일반 몬스터 2장. 현재 히어로 일반 몬스터는 전부 엘리멘틀 히어로이므로, 실질적으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일반 몬스터 2장을 요구하는 셈이다.

①의 효과는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레벨 합계에 비례해 공격력과 수비력을 올리는 효과. 최대 공격력은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2장을 소재로 했을 경우의 4200이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자신을 릴리스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해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대신, 자신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진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므로 고레벨 몬스터를 불러올수록 공격에 제약이 생긴다. 자신을 릴리스하고 발동해야 하므로, 전투 후 이 카드는 필드에 남아있어야 효과를 쓸 수 있다. 강력한 효과를 지닌 콘택트 융합 몬스터나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등을 불러 제약 그 이상의 리턴을 노리는 것이 좋다.

융합 소재라면 엑스트라 히어로 헬 데바이서로 구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보여주어 쉽게 확보할 수 있지만, GX 시기 출시된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는 너무 실전성이 떨어지고 ②의 효과를 노리는 것도 상대 의존성이 커 사용하기 힘들다. 더구나 같은 조건이라면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등 더 유용한 융합 몬스터가 많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TH-JPB08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크로니클 바인더 CHBI-KRB08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8.3. 레벨 7

레벨 7 융합 히어로는 선라이저를 제외하면 전부 네오스 융합 몬스터다.

8.3.1. 엘리멘틀 히어로 아쿠아 네오스

8.3.2.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어 네오스

8.3.3.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8.3.4. 엘리멘틀 히어로 글로우 네오스

8.3.5.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 네오스

8.3.6.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 네오스

8.3.7.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유세이의 정크 가드너와 네오스를 쥬다이가 융합시킨 형태.

8.3.8.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8.3.9.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파일:E・HERO サンライザー(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サンライザー,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Sunrise,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전사족,
소재=속성이 다른 "히어로"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미러클 퓨전"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속성의 종류 × 200 올린다.,
효과3=③: 다른 자신의 "히어로"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 듀얼리스트 6에서 등장한 OCG 오리지널 융합 몬스터. 온몸이 붉은색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의 외형이며, 배 부분에는 태양 문양이 그려져 있고, 쥬다이가 "갓챠!"를 외칠 때 취하는 손동작을 취하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GX 1기 오프닝 '쾌청 상승 할렐루야'를 쾌청 → 태양 → 선, 상승 → 라이저로 연상한 것으로 추측된다.

융합 소재는 속성이 다른 히어로 몬스터 2장. 모든 히어로 몬스터에게 대응되므로 소재를 갖추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를 융합 소재로 쓸 경우 필드에서 바람 / 물 / 화염 / 땅 속성으로도 취급하는 효과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반드시 어둠 속성 히어로가 필요하다. 재정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미러클 퓨전을 서치하는 유발효과. 이 카드에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소환 제약이 있어 '특수 소환'으로 지정된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히어로 덱에는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등 소환 조건을 무시하여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카드도 더러 있기에 해당 조건에서도 이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속성의 종류에 따라 자신 몬스터를 전체 강화하는 지속효과. 이 카드 자신도 세기에 최소 상승치는 200. 다양한 속성이 갖춰질수록 상승 폭이 올라가고 모든 몬스터에게 적용되기 때문에 유의미한 타점 상승을 노릴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히어로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파괴하는 유발효과. 다른 히어로가 전투를 실행할 필요가 있긴 하지만, 노 코스트로 카드의 종류를 불문하고 파괴할 수 있다.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라 데미지 스텝이 아닌 공격 선언시에 발동하는 효과다. 따라서 하급 히어로보다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에 공격 선언해도, 이를 파괴시켜 자폭을 회피할 수 있다. ①의 효과로 다른 융합 몬스터와 전개되어 있을 경우, 충분한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어 더 안전하게 전투를 실행하기 쉬워진다.

상대의 공격 선언시에도 발동할 수 있지만, 어차피 상대도 이를 알고 있을 테니 다른 몬스터를 잘 공격하려 들지 않을 테고, 그냥 이 카드를 먼저 노릴 것이다. 이를 역이용해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등으로 반격하는 것도 좋다.

전용 융합 카드 서치 + 타점 상승 + 파괴 효과까지 삼박자를 갖춘 강력한 카드로, 발매되자마자 비전 히어로 애더레이션을 밀어내고 통합 히어로 덱의 주력 몬스터로 편입되었다. 가져온 미러클 퓨전을 이용하기 위해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가 다시 투입된 것은 덤.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를 이용해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함께 뽑는 전개 루트에서도 웨이크업의 소재 조건을 쉽게 충족시켜 콤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단, 이 카드는 빛 속성이므로 퓨전 데스티니를 먼저 사용하면 소환할 수 없다는 점에 주의.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DP23-KR012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12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LED6-EN012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4. 레벨 8

8.4.1.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플레임 윙맨의 진화형이자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

8.4.2.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

샤이닝 플레어 윙맨과 네오스의 융합체. 다른 "윙맨" 몬스터와 네오스를 융합해 소환할 수도 있다.

8.4.3. 엘리멘틀 히어로 마린 네오스

8.4.4.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프레임 윙맨의 필살기 카드.

8.4.5.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코믹스판 쥬다이의 에이스. 또한 플래닛 시리즈의 일원.

8.4.6.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코믹스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물 속성의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단, 나머지 속성 융합 히어로와는 달리, "엘리멘틀 히어로"가 아니라 "히어로" 몬스터를 소재로 지정한다.

8.4.7.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8.4.8.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

8.4.9.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8.4.10.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파일:E・HERO ワイルドジャギーマ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ワイルドジャギー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Wildedge,
속성=땅,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3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세븐 스타즈 편에서 유우키 쥬다이다크니스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전용 보조 카드인 와일드 하프로 공격력 절반이 된 붉은 눈의 암룡과 붉은 눈의 암룡 토큰, 스피어 드래곤을 파괴하면서 승리를 거머쥔다.

마루후지 료와의 졸업 듀얼에서도 사용되어 사이버 엔드 드래곤융합 해제로 분리시킨 사이버 드래곤 셋을 파괴하지만 이후 리턴 소울로 죄다 덱으로 돌아간 후 파워 본드로 융합한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공격을 받고 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을 발동해 묘지의 에지맨의 공격력만큼 공격력을 올린 후 곧바로 효과 처리가 끝난 소울 유니온을 비상 식량으로 묘지로 보내 라이프를 회복하여 패배를 면한다.

이후 등장이 꽤나 뜸해지다가 이차원세계 편에서 프로페서 코브라와의 듀얼 중 재등장. 독사왕 베노미논을 쓰러트리고 연속 재생 콤보를 봉쇄하는듯 했으나 이를 트리거로 사신강림을 발동하며 독사신 베노미너거가 특수 소환되어 그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아유카와 에미와의 듀얼에서는 순간융합으로 소환하여 다이렉트 어택으로 피니시를 냈으며, 가디언 바오우전에서 융합 파기로 묘지에 보내졌다.

애니메이션 팬 덱에서는 꽤 쓸만한 편이었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이 소재인 융합 몬스터는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을 제외하면 별 쓸모가 없는 데다가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을 융합 소재로 공유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이 우수한 융합 소재인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역시 융합 소재로 지정하는 데다가 전체 공격보다 파괴 효과가 더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차별화하기 힘들다.

공격명은 '인피니티 에지 슬라이서(インフィニティ・エッジ・スライサー / Infinity Edge Slicer)'. 공격할 때 칼을 꺼내서 상대에게 돌진한 뒤에 상대를 베어버린다.

카드명의 쟤기(Jaggy)는 들쭉날쭉함을 뜻하는 형용사이며, 팔에 달린 칼날을 뜻하는 듯.
수록 시리즈
2005-08-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JP035 | エレメンタル・エナジー [ ELEMENTAL ENERGY ]
2006-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03-JP010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十代編2 -
2007-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04-JP095 | EXPERT EDITION Volume 4
2025-09-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PG1-JP044 | LIMITED PACK GX -オシリスレッド-
2005-11-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EN035 | ELEMENTAL ENERGY
2006-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F02-EN002 | Mattel Action Figure Series 2
2006-0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EN010 | DUELIST PACK - JADEN YUKI -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4-EN095 | DARK REVELATION Volume 4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49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24-03-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4-ENE09 | SPEED DUEL GX: MIDTERM DESTRUCTION
2007-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KR035 | 절대원소의 힘
2008-01-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03-KR010 | 듀얼리스트 팩 - 주다이 편 2 -
2008-09-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04-KR095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8.4.11.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GX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rowcolor=#fff><nopad>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nopad>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암드 드래곤 LV10
<rowcolor=#fff><nopad>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nopad>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사이버 다크 드래곤
<rowcolor=#fff><nopad>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nopad>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패왕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rowcolor=#fff><nopad>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5D's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ZEXAL ~ 9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없음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85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uby> プラズマヴァイス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Plasma Vice,
속성=땅,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3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PlasmaVice-JP-Anime-GX-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uby> プラズマ・ヴァイスマン,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Plasma Vice,
속성=땅,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3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이차원세계 편 118화에서 유우키 쥬다이프로페서 코브라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공격력이 OCG판보다 더 높은 2800이었다. 베놈 스네이크를 전투 파괴해 코브라의 라이프를 꽤 깎았지만, 베놈 카운터가 얹혀져 800으로 약화되며 독사왕 베노미논에게 격파당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파괴 효과가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OCG화 하며 원작과는 달리 공격력이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과 같은 2600으로 떨어지면서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과 능력치가 동일해졌다.

에지맨의 관통 효과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의 파괴 효과를 추가한 듯한 성능으로, 패 코스트가 요구되지만 발동 턴 제약이 없어서 패만 충분하면 원하는 만큼 파괴를 할 수 있다.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는 표시 형식에 상관없이 파괴 효과를 쓸 수 있는 걸 제외하면 모든 게 이 카드보다 떨어지며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높지만 전투 관련 효과이기 때문에 확실히 마무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면 필드 제압이 가능한 이 카드에 밀린다. 지정된 융합 소재들 역시 범용성은 있는 편으로,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 넣으면 에지맨과 스파크맨을 융합파병 등으로 불러낼 수 있다.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서도 귀중한 제거 기동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애니메이션 팬 덱을 짠다면 어느 정도의 가치는 있을 것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메인 팩인 VALIANT SOULS의 표지를 장식했다.
수록 시리즈
2007-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LAS-JP037 | グラディエイターズ・アサルト [ GLADIATOR'S ASSAULT ]
2007-10-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06-JP011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十代編3 -
2012-05-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E02-JP046 | DUELIST EDITION Volume 2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LAS-EN037 | GLADIATOR'S ASSAULT
2007-11-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04-EN006 | COLLECTIBLE TIN SERIES 4 WAVE 2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66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22-03-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1-ENA26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2023-03-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P5-EN003 | SPEED DUEL TOURNAMENT PACK 5
2007-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LAS-KR037 | 검투사의 급습
2008-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06-KR011 | 듀얼리스트 팩 - 주다이 편 3 -

8.4.12.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파일:card10013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フレイム・ブラスト,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Inferno,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2300, 수비력=1600, 종족=화염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물 속성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공격력을 1000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Inferno-JP-Manga-GX-2.jpg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フレイム・ブラスト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Inferno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화염 화염족 2300 1600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물 속성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때, 이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ruby(P, ruby=포인트)] 상승한다.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갔을 때 묘지에 있는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유희왕 GX 코믹스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물 속성 몬스터와 전투하는 동안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 효과를 가진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히어로 융합 몬스터 중 유일한 화염족 몬스터이기도 하다.

자체 효과로 3300 타점을 찍을 수 있지만, 원래 공격력이 상급 몬스터의 기준에 못미치는데다 상대가 물 속성을 사용하지 않으면 쓸 일이 없는 효과라서 범용성이 매우 떨어진다. 융합 소재도 따로 지정되어 있는데, 둘 다 기존 엘리멘틀 히어로 테마와 시너지가 많지 않아서 잘 쓰이지도 않기에 융합 소환부터가 쉽지 않다. 무엇보다 엘리멘틀 히어로 테마에는 이 카드보다 범용성 높은 효과를 가진 융합 몬스터가 널려있고, 같은 융합 소재로도 더 높은 타점에 드로우 효과도 겸비한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가 존재한다. 가뜩이나 엑스트라 덱이 미어터지는 히어로 덱에서 이 카드까지 들어갈 자리는 웬만해서 없을 것이다.

일단 소재 지정이 되어있으니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를 써먹는다거나, 융합 준비, 융합 징병, 엑스트라 히어로 헬 데바이서 등으로 소재 2장을 서치할 목적이라면 투입해볼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E-이멀전시 콜 뿐만 아니라 화톳불로도 서치할 수 있으니 차별화는 된다.

단풍나무 아가씨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과 같이 쓰면 상대 몬스터를 물 속성으로 통일시킬 수 있으므로 이 카드 역시 3300 타점을 유지할 수 있다. 초융합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를 융합 소환해서 강화시킬 수도 있기에 쓰일 가능성은 있다. 해귀파괴수 가메시엘, 사일런트 워비 등을 상대 필드에 꺼낸 다음 때리는 것도 가능.

후에 등장한 코믹스판 히어로들로 보나 이 카드의 속성과 역할을 봤을 때, 조금 늦게 나왔다면 이 카드 또한 "엘리멘틀 히어로" + 화염 속성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했을 것이다. 결국 그 자리는 OCG 오리지널 카드인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가 대신하게 되었으니 여러모로 불운한 카드라 할 수 있다.

작중에서는 텐죠인 아스카와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쿨 뷰티라는 이름답게 물 속성 몬스터만을 사용하는 아스카를 상대로 상당한 공격력을 보였다. 자신 효과로 공격력 3300이 되어 아이스 블리자드 마스터를 공격하다 아스카가 발동한 도블 파세에 의해 직접 공격으로 변경되어 패배할 위기에 처하지만, 전투 데미지를 트리거로 발동하는 마법 카드 백드래프트의 효과와 연계하여 끝내 승리를 차지했다. 그 외에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를 회수하는 효과도 지녔다. OCG화 하면서 없어진 것이 정말 아쉬운 효과다.

이후 만죠메 쥰과의 태그로 참여한 트라고에디아와의 최종 결전에서도 사용. 속공 마법 컨스트렉 엘리멘트의 효과로 배틀 페이즈 중에 특수 소환되면서 직접 공격에 성공했지만, 다음 턴 The supremacy SUN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버닝 파이어(バーニングファイア / Burning Fire)'.

모티브는 DC 코믹스의 파이어스톰으로 추정. 불을 다루는 히어로에, 두 인간이 융합하였다는 점이 비슷하다.
수록 시리즈
2006-12-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JP007 | PREMIUM PACK 10
2008-07-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2-EN010 | PREMIUM PACK 2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GX-EN076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07 | 프리미엄 팩 Vol.3

8.4.13.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파일:card10038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uby> <ruby>The<rp></rp><rt>ザ</ruby> シャイニング,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The Shining,
속성=빛,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1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빛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제외 상태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의 제외 상태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lementalHEROTheShining-JP-Manga-GX.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sub>(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uby> <ruby>The<rp></rp><rt>ザ</ruby> シャイニング,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The Shining,
속성=빛,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100, 종족=전사족,
효과1=제외되어 있는 "히어로" × 300 공격력을 올린다. 묘지로 보내졌을 때\, 제외되어 있는 "히어로" 2장을 패에 넣는다.)]
"나와라! 빛나는 히어로여!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유희왕 GX 코믹스 6권 부록으로 OCG화. 한국에서는 프리미엄 팩 Vol.5를 통해 수록되었다.

히어로 비트 최강전설의 시작을 알린 카드. 기존의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는 강력했으나 소재의 특성상 엘리멘틀 히어로보다는 데스티니 히어로+물 속성 위주로 굴리는 게 편했으나, 이 카드는 소재로 삼는 몬스터가 유희왕에서 최고로 메이저한 속성중 하나인 빛 속성이고, 빛 속성 히어로에는 당시로선 범용성이 높았던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가 있었다. 즉 어나더 네오스 주축의 히어로 비트 덱에선 그냥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뽑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효과 자체도 대놓고 미러클 퓨전과 연계하라고 써놓은 효과로, 미러클 퓨전으로 소환하면 공격력이 기본적으로 3200이 되기에 3000라인을 뛰어넘는 어태커가 되며 이 상태에서 묘지로 가면 미러클 퓨전으로 제외한 소재를 패에 되돌려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다만 미러클 퓨전에만 특화되어 있는 카드라, 일반적인 융합 소환으로 나오면 별 의미 없는 카드가 되어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초융합으로 잡아먹었을 경우 미리 미러클 퓨전으로 소재를 제외한 상태가 아니라면 그저 공격력 2600짜리 바닐라가 된다.

다만 어찌되었든 유희왕에서 가장 메이저한 속성 중 하나인 빛속성을 소재로 삼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초융합의 실용성이 대폭 증가했고, 로망 카드로 취급받던 초융합이 승률 덱에도 채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로도 각 속성의 코믹스 융합 몬스터가 나오며 초융합은 그 당시 히어로 비트덱의 정체성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안타깝게도 앱솔루트 Zero와는 달리 회수 효과의 제한이 생각보다 까다롭다. 일단 발동 조건이 '묘지로 가는'것으로 변경되어 앱솔루트 Zero와는 달리 제외에는 대책이 없어졌으며, 그마저도 임의 효과가 되어 타이밍을 놓치는 일이 많아졌다. 그 당시엔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가 이 카드를 쉽게 처리했었다. 당연히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사용하거나, 릴리스 소재로 사용하거나 할 경우에도 회수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 상당히 아쉬운 부분.

모든 히어로를 소재로 삼을 수 있었던 앱솔루트 Zero와는 달리 엘리멘틀 히어로만을 소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로 나온 코믹스 속성 융합 히어로는 전부 이런 사양이 되었다.

한 때는 포텐셜 높은 타점 덕분에 광비트 히어로까지 어나더 네오스와의 콤비로 선전했으나,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필두해서 본격적으로 점점 높아지는 비트형 몬스터들의 파워 인플레 때문에 타점 포텐셜이 그 빛을 잃고, 이 카드 자체에는 아무런 내성도 없으며, 제외 카드 샐비지 효과는 어디까지나 덤 같은 느낌인 만큼 실전성이 떨어져서 사장되었다. 그래도 효과나 타점이 높고, 소재도 편하기 때문에 아주 가끔 초융합을 채용하는 히어로 비트에서 그나마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작중에서는 레지 맥켄지와의 어둠의 듀얼 중 사용.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의 효과로 미러클 퓨전을 회수해온 후, 미러클 퓨전으로 플래시와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를 소재로 삼아 융합 소환되었다. 히어로 4장이 제외되어 있었기에 공격력을 3300으로 끌어올리고 The splendid VENUS를 공격해 격파하는 데에 성공했다. 그러나 다음 턴에 되살아나 강화된 VENUS가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을 공격하자, 이를 지키기 위해 발동된 디펜드 히어로의 효과로 에어맨 대신 공격을 받으며 쓰러졌다.

이후 만죠메 쥰과 함께 한 트라고에디아와의 2vs1 듀얼에서도 등장. 콘스트렉 엘리멘트의 효과로 배틀 페이즈 중에 특수 소환되었으며,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와 함께 직접 공격을 날렸지만, 다음 턴에 The supremacy SUN에 장착된 프로미넌스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옵티컬 스톰(オプティカル・ストーム / Optical Storm)'.

유희왕 D팀 제알에서는 퓨전 마스크가 텐조 카이토와의 듀얼 중 사용. 초융합의 효과로 퓨전 마스크 자신의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과 카이토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수록 시리즈
2009-11-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G06-JP001 | 遊戯王GX 第6巻 付録カード
2010-07-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5-KR020 | 프리미엄 팩 Vol.5
2011-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G06-EN001 | Yu-Gi-Oh! GX volume 6 Promotional Card
2012-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RC1-ENV01 | PREMIUM COLLECTION TIN

8.4.14.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07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ruby>Great<rp></rp><rt>그레이트</ruby> <ruby>TORNADO<rp></rp><rt>토네이도</ruby>,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uby> <ruby>Great<rp></rp><rt>グレイト</ruby> <ruby>TORNADO<rp></rp><rt>トルネード</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Great Tornado,
속성=바람,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200,
종족=전사족,
효과1="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바람 속성 몬스터,
효과2=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절반이 된다.)]
나와라! 소용돌이치는 히어로여!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주다이 전용 대사
GX 코믹스에서 등장한 속성 융합 히어로. 일본판에서는 프리미엄 팩 12, 한글판에서는 프리미엄 팩 5에서 첫 등장했다. 레이징 마스터즈에서 재록되었는데, 일본판에서는 상기 이미지처럼 수비력이 2000으로 표기된 오류가 발생한 적 있다.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모든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영구적으로 절반 줄인다. 이 카드 1장만으로도 타점 5600까지에 대응할 수 있으며,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다는 점도 유용하다.

히어로 덱은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이 있어 이 카드를 뽑는 것은 어렵지 않다. 초융합으로 상대의 바람 속성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 있는 것도 장점. 그러나 이 카드 없이도 히어로는 타점 싸움이 불리하지 않아 우선 순위가 밀리는 편이다.

원작에서는 레지 맥켄지와의 어둠의 듀얼에서 등장. 맥켄지의 천사족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절반으로 만들고 The splendid VENUS를 파괴하는 활약을 펼친다.

작중 이 카드의 등장 전까지는 속성 융합 히어로의 소재는 같은 속성 2장이라는 패턴을 따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코믹스 오리지널 메인 덱 히어로도 속성 당 2장씩 등장하고 있었다.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는 쥬다이가 직접 땅 속성 2장이 필요하다며 크노스페포레스트맨을 융합하여 소환되었고(이때 오션으로는 조건이 충족되지 못했으며 반드시 땅 속성인 크노스페가 필요했다.) 앱솔루트 Zero오션+아이스에지, 심지어 Great TORNADO와 같은 듀얼에 등장한 더 샤이닝볼테크+플래시로 소환되었다. OCG로는 안습하게 출시됐으나 정황상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도 같은 맥락의 카드로, 더 히트+레이디 오브 파이어로 소환되었다.

그러나 후반에 등장한 이 카드는 에어맨+레이디 오브 파이어로 소환되었고, 두 번째 메인 덱 바람 속성 히어로는 등장하지 않았다. Great TORNADO가 코믹스에 등장할 시기, OCG에는 이미 가이아와 앱솔루트 Zero가 출시되어 널널한 소재조건의 막강함으로 활약하고 있었는데, 작가가 이에 맞추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후에 등장한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섀도우 미스트+오션으로 소환되었고, 섀도우 미스트 외의 어둠 속성 히어로는 등장하지 않았다. 심지어 마지막 듀얼과 특별편에서는, 크노스페를 고집하던 시절이 무색하게 가이아는 오션+포레스트맨으로 융합 소환되었다.

공격명은 슈퍼셀(Supercell). 효과명은 다운 버스트(Down Burst).

8.4.15.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2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エスクリダオ</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Escuridao,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수 × 100 올린다.)]

유희왕 GX 코믹스의 최종 보스와의 결전에서 등장한 어둠 속성 히어로. 원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과 새로운 히어로인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를 융합시켜서 소환했다. 에스크리다오(Escuridão, 이스쿠리당)는 포르투갈어로 어둠을 뜻한다.

마지막 9권 동봉 카드로, 때문에 한국에선 이전의 동봉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프리미엄 팩에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뜬금없이 익스팬션 팩 4에서 출시되었다.

자체 효과는 그다지 좋지 않다. 타점 상승폭이 너무 소소하고, 엘리멘틀 히어로만을 세기 때문에 타 히어로의 비중이 높은 통합 히어로 덱에서도 높은 타점을 보유하기 힘들다. 타점 강화라면 상승 폭도 더 넓고 다른 히어로 몬스터도 강화시켜주는 엑스트라 히어로 드레드 버스터도 있다.

그러나 이 카드의 진가는 바로 속성. 통합 히어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는 물론이고 데스티니 히어로, 비전 히어로 등으로 어둠 속성 융합 소재를 조달하기 쉽다. 미러클 퓨전은 확보했는데 소재가 없거나 퓨전 데스티니의 속성 디메리트가 적용되어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등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를 뽑을 수 없을 때 에스크리다오는 차선책이 되어준다. 초융합을 사용한다면 어둠 속성이 유희왕에서 가장 메이저한 속성이니만큼 강력한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일도 많다. 또한 마스크 체인지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불러낼 수 있다는 것도 플러스인 부분.[15] 때문에 통합 히어로 덱은 엑스트라 덱에 여유가 있다면 에스크리다오를 1장 정도 투입한다.

공격명은 다크 디퓨전(Dark Defusion), 효과명은 다크 컨센트레이션(Dark Concentration).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익스팬션 팩 4 ESP4-KR049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유희왕 GX 코믹스 9권 동봉 YG09-JP001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Yu-Gi-Oh! GX 코믹스 9권 동봉 YG09-EN001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4.16.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파일:card10022579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ノヴァマスター,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Nova Master,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1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화염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나와라!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특정 속성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요구하는 '속성 융합 히어로'의 마지막 6번째 몬스터. 유일하게 코믹스 출신이 아닌 OCG 오리지널 몬스터인데, 이는 이미 화염 속성 히어로 융합 몬스터인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가 나와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경우 1드로우를 얻을 수 있다. 마스터 룰 3부터 이 카드가 전투 종료 후 필드에 남아 있어야만 드로우할 수 있으므로 주의. 공격력은 그럭저럭 합격점이고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지지 않아도 드로우할 수 있지만, 상대 의존성이 커 수동적이고 어드밴티지를 벌어오는 타이밍도 늦다.

유능한 화염 속성 히어로라면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뿐이라 자력으로 뽑아내기도 다소 힘들고, 초융합을 이용한 화염 속성 견제 요원으로 쓰기엔 히어로 덱의 초융합 투입 가치가 낮아 실전성이 떨어진다. 효과나 소환 조건이나, 이래저래 애매한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BURNING NOVA의 커버 카드로 등장. 쥬다이의 보이스도 수록되어 있다.
수록 시리즈
2010-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03-JP005 | V JUMP EDITION 3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EX-JP002 | デュエリストカードプロテクター EX [ Master of HERO ] 特典カード
2011-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ENF-EN093 | GENERATION FORCE
2017-07-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LR-EN056 | BATTLES OF LEGEND -LIGHT'S REVENGE-
2022-10-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2-ENA25 | SPEED DUEL GX: MIDTERM PARADOX
2023-09-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P6-EN011 | SPEED DUEL TOURNAMENT PACK 6
2024-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C1-EN068 | BATTLES OF LEGEND - CHAPTER 1
2012-07-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XPP-SEKR1 | 익스프리미엄 팩 스페셜 에디션

8.5. 레벨 9

8.5.1. 엘리멘틀 히어로 마그마 네오스

8.5.2. 엘리멘틀 히어로 카오스 네오스

8.5.3. 엘리멘틀 히어로 스톰 네오스

8.5.4. 엘리멘틀 히어로 네뷸라 네오스

8.5.5.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8.5.6. 엘리멘틀 히어로 Core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4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기아기앙그라.jpg
파일:아처 페리스.jpg
파일:환상의흑마도사.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084
기아기아앙그라
VJMP-JP085
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
없음 VJMP-JP086
환상의 흑마도사
파일:EM 실버 크로우.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393_1.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없음 VJMP-JP89
EM 실버 크로우
없음 VJMP-JP92
엘리멘틀 히어로 Core
파일:노도왕 시져.jpg
파일:ビースト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093
DDD 노도왕 시져
없음 VJMP-JP094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없음
정기구독 특전
VJMP-JP087 라인몬스터 스피어 휠
VJMP-JP088 천륜의 장송사
VJMP-JP090 프리미티브 버터플라이
VJMP-JP091 정크 앵커
}}}}}}}}} ||
← 2013년2015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39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ruby>Core<rp>(</rp><rt>코어</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uby> <ruby>Core<rp>(</rp><rt>コア</rp></ruby>,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Core,
속성=땅, 레벨=9, 공격력=2700, 수비력=22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3,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배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자신 묘지의 레벨 8 이하의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width=20%> 한글판 명칭 ||<-4>엘리멘틀 히어로 Core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ruby(Core, ruby=コア)]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Core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9 전사족 2700 2200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 3
배틀 중 공격력은 배가 된다.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필드 위의 카드 2장을 파괴할 수 있다. 이것이 파괴되었을 때 묘지의 "디 어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V점프 8월호에 수록된 유희왕 GX 단편에서 히비키 코요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한 몬스터.

소환 조건은 엘리멘틀 히어로 x 3으로 그냥 히어로도 아니고 엘리멘틀 히어로만 그것도 3장을 소재로 써야하는만큼 상당히 빡세다. 원작에서 대응되던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도 융합 소환이 어려운 건 마찬가지지만 이 쪽은 일단 소환되면 확실히 강력함을 보여주는데에 비해 이 카드는 힘든 조건을 클리어해 소환한다 해도 그렇게 강한 편도 아니다. 이후 카오스는 메인덱 마스크드 히어로들이 나오면서 소환도 더 쉬워졌으며 그나마 차별점이었던 미러클 퓨전으로 나오기 쉽다는 점까지도 카오스 쪽이 더 쉬워지면서 이 카드의 입지는 더욱 위축되었다.

①의 효과는 공격 대상이 되면 공격력을 데미지 스텝동안 배가시키는 유발 효과. 상대가 일부러 닥돌해주거나 배틀매니아 같은 게 없는 이상 거의 발동이 불가능하다. 그냥 상대 배틀 페이즈에 공격력 5400이니 전투로는 건드리지 마시오 하는 효과나 다름없으며, 그럼에도 공격해오는 몬스터가 있다면 반드시 어니스트 등의 공격력 변화 효과나 레인보우 라이프 또는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처럼 데미지를 안 받을 수 있는 수단이 날아올 것이기에 의미가 없다. 원작에서는 그냥 배틀 페이즈에 공격력이 2배가 되는 강력한 효과였는데 이렇게 하향되었다.

②의 효과는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유발 효과.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와 비슷한 운용이 가능하지만, 티라스와는 달리 마법 / 함정은 건드릴 수 없고 내성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그쪽에 비해서는 약간 불안하다. 마법 / 함정을 건드릴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몬스터와의 1:1 상황에서는 그냥 일반 몬스터가 되어버린다는 점도 불안. 이것도 원래 만화에서는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때 상대 필드의 카드 2장 파괴였는데 이렇게 하향되었다. 그나마 몬스터를 파괴하지 못해도 파괴는 가능해졌지만 전체적으로는 하향이다.

③의 효과는 파괴시 레벨 8 이하의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되살리는 유발 효과. 더블히어로어택이 나오기 전까지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레벨 8 이하 엘리멘틀 히어로의 유일한 소생 수단이었다. 기껏 제거한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를 다시 꺼내서 상대를 매우 짜증나게 해줄 수 있지만 파괴 이외의 제거방법이 너무 흔해져 버렸기에 너무 과신해서는 안 될 효과다. 단 파괴되었을 발동하는 임의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무거운 이 카드를 소환한답시고 미러클 퓨전으로 묘지의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제외하지 않고 놔둬야 한다는 것도 중요하다. 더구나 사실 이 효과가 OCG에서 유일하게 상향된 효과로, 원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한정이었다.

패에서 정규 융합할 경우라면 거의 같은 조건으로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중에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가 있다. 엄밀히는 트리니티의 융합 소재가 좀더 널널한데다 효과 발동 여부가 이래저래 불확실한 이 카드에 비해 트리니티는 준비만 잘 해두면 소환된 턴에 확실한 활약을 보여줄 수 있다. 이 카드를 활약시킨다면 역시 3번 효과를 살릴 수 있는 후반에 미러클 퓨전으로 나오는 것이 좋을 것이다.

비슷한 융합 소재로는 데스티니 히어로를 3장 융합하는 데스티니 히어로 도미네이트 가이가 존재한다. 저쪽은 덱 융합인 퓨전 데스티니가 있기에 훨씬 낫다.

작중에서는 원소융합 엘리멘트 퓨전의 효과로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그리고 미러클 퓨전으로 제외된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을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그 후 쥬다이의 마스크드 히어로들을 차례차례로 격파하는 활약을 보였다.

유우키 쥬다이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에 대응되는 몬스터다. 설정상으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진화형이라는 듯 하며, 실제로 디 어스에서 레벨 +1, 공격력 / 수비력 +200씩 해놓은 능력치를 지니고 있으며, 작중에서 디 어스에다가 디 어스의 융합 소재들을 다시 융합시키는 3장 융합으로 등장했다.

디 어스의 원래 주인인 코요가 사용했기에 정작 쥬다이가 소환한 적은 없지만, 그래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쥬다이의 전용 대사가 있다.

공격명은 '일렉트로마그네틱 인덕션(エレクトロマグネティックインダクション / Electromagnetic Induction)'.
수록 시리즈
201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092 | Vジャンプ 2014年 8月号 付録カード
2015-0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MP-EN071 | SHONEN JUMP membership Promotional Card - February 2015 -
2016-06-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VI-ENSE2 | SHINING VICTORIES SPECIAL EDITION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38 | 프리미엄 팩 Vol.10

8.5.7.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코믹스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 마스크드 히어로 관련 카드로, 룰 상 "엘리멘틀 히어로"로도 취급되는 히어로.

8.6. 레벨 10

8.6.1.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

스파크맨 외의 초창기 4 엘리멘틀 히어로를 전부 융합한 궁극의 엘리멘틀 히어로.

8.6.2.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Wake Up Your E・HERO(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ruby>Wake<rp>(</rp><rt>웨이크</rt><rp>)</rp></ruby> <ruby>Up<rp>(</rp><rt>업</rt><rp>)</rp></ruby> <ruby>Your<rp>(</rp><rt>유어</rt><rp>)</rp></ruby> 엘리멘틀 히어로,
일어판명칭=<ruby>Wake<rp>(</rp><rt>ウェイク</rt><rp>)</rp></ruby> <ruby>Up<rp>(</rp><rt>アップ</rt><rp>)</rp></ruby> <ruby>Your<rp>(</rp><rt>ユア</rt><rp>)</rp></ruby> <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p></ruby>,
영어판명칭=Wake Up Your Elemental HERO,
속성=빛, 레벨=10, 공격력=2500, 수비력=2100, 종족=전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 전사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 × 300 올리고\, 그 중의 융합 몬스터의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몬스터에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3=③: 융합 소환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패 / 덱에서 전사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에서 등장한 신규 히어로 융합 몬스터.

요구 융합 소재는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와 전사족 몬스터 1장 이상.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를 불러내면 바로 미러클 퓨전을 서치해 쉽게 이 카드를 띄울 수 있다. 혹은 인스턴트 콘택트로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한장 소환해 상대 필드의 플뢰르DNA 개조 수술로 몬스터들을 전사족으로 바꿔 초융합으로 잡아먹고 소환할 수 있다. 

①번 효과는 사용한 융합 소재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을 300 올리고, 그 중 융합 몬스터의 수만큼 몬스터 한정 추가 공격권을 부여한다. 최소 2장의 융합 소재를 요구하므로 사실상 기본 공격력은 3100. 히어로의 전개 루트에 융합 몬스터는 그다지 소모되는 편이 아니라, 추가 공격권은 종반 열세가 아니면 다소 얻기 힘들다.

②번 효과는 전투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주는 효과. 전투 파괴가 되지 않는 벽 몬스터도 효과로 파괴해 제거할 수 있으며, 추가 데미지로 상대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고, ①번 효과로 추가 공격권을 얻었다면 위력이 더욱 증가한다. 이 카드의 파괴가 확정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력이 같거나 더 높은 상대 몬스터에게 자폭돌격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16]

③번 효과는 융합 소환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패 / 덱에서 전사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타 유언계 효과와 달리 자신의 효과로 파괴되어도 적용되므로 능동적인 발동이 가능하다. 마침 히어로 덱에는 자신의 카드를 파괴하는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가 있다.

①②의 효과만 보면 막판 뒤집기에 특화된 피니셔 몬스터로 생각할 수 있으나, 오히려 이 카드는 ③의 효과를 이용해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를 특수 소환, 마스크 체인지를 서치해 선공에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와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동시에 세우는 전개 보조 요원으로 분전하고 있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이 등장하자 전개 루트에 페이버릿 콘택트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까지 끼워넣을 수 있어 가치가 더욱 올라갔다.

물론 위협적인 공격력 폭등 + 연속 공격 효과 덕에 후공 돌파 역할의 가치도 매우 높다. 이 카드의 출시 후 이전까지 히어로 덱의 피니셔를 담당하던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는 고정 3연타가 얼마나 메리트를 주는지 고려하여 취향에 따라 투입하게 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3년 6월 8일, '클라이맥스 오브 더 쇼다운' 셀렉션 팩이 출시되면서 UR로 출장했다.

파일:Jaden_and_his_Elemental_HEROes_in_Wake_Up_Your_Heart.png

이 카드의 모티브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2기 엔딩 Wake up your Heart로, 카드 일러스트는 해당 엔딩의 마지막 장면에서 가져왔다. 웬만해서는 OCG 카드에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직접적으로 넣지 않는 암묵의 룰에 따라 유우키 쥬다이는 일러스트에서 빠졌다. 카드 자체의 효과를 해당 장면에서 등장한 몬스터들로 연상할 수 있는 것이 재밌는 점.
수록 시리즈
2022-0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C01-JP012 | HISTORY ARCHIVE COLLECTION
2023-1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DB-JP034 | QUARTER CENTURY DUELIST BOX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43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22-05-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C01-KR012 |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
2024-06-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DB-KR034 | 쿼터 센추리 듀얼리스트 세트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43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2023-03-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ZE-EN014 | MAZE OF MEMORIES
2024-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4-EN018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MIRRORS

8.7. 레벨 11

8.7.1. 엘리멘틀 히어로 코스모 네오스

8.8. 레벨 12

8.8.1.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

쥬다이의 최종 에이스.

9. 서포트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리멘틀 히어로/서포트 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멘틀 히어로/서포트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멘틀 히어로/서포트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OCG화되지 않은 카드

11. 둘러보기

HERO 관련 테마/카드군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HERO 카드군
[ruby(HERO, ruby=히어로)]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서포트 카드군
네오스 {{{#!wiki style="margin: 0 -10px" [ruby(C,ruby=코쿤)]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비카드군 테마
히어로 / [ruby(C・HERO, ruby=콘트라스트 히어로)] / [ruby(E☆HERO, ruby=엔터테인먼트 히어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유희왕 러시 듀얼 ] ▼
[ruby(E・HERO, ruby=엘리멘틀 히어로)] [ruby(R・HERO, ruby=라이징 히어로)] {{{#!wiki style="margin: 0 -10px"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유우키 쥬다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E · HERO · 네오스 · N · 코쿤 · 융합 / 퓨전
M · HERO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GX
E · HERO 프레임 윙맨
E · HERO 에지맨
E · HERO 템피스터
날개 크리보
OCG
E · HERO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GX
E · HERO 네오스
코믹스
E · HERO 디 어스
OCG
E · HERO 어니스티 네오스
E · HERO 스피릿 오브 네오스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GX
E · HERO 샤이닝 플레어 윙맨
네오스 콘택트 융합체
레인보우 네오스
네오스 와이즈맨
날개 크리보 LV10
시공을 초월한 우정
E · HERO 네오스 나이트
코믹스
날개 크리보 LV9
OCG
E · HERO 브레이브 네오스
암드 네오스
E · HERO 네오스 크루거
날개 크리보 LV6



GX
E · HERO 에릭실러(1, 2기)
E · HERO 갓 네오스
코믹스
C · HERO 카오스
마아트
OCG
E · HERO 코스모 네오스
E · HERO 샤이닝 네오스 윙맨
}}}}}}}}} ||

패왕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E - HERO · E · HERO · 네오스 · 융합 · 퓨전
서브 에이스 에이스
GX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
OCG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헬백 파이어
GX
초융합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에지
OCG
패왕성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OCG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베인
GX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데블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OCG
이블 히어로 네오스 로드
}}}}}}}}} ||

에드 피닉스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D-HERO / E · HERO / V · HERO / 융합 · 퓨전
서브 에이스 에이스
GX
대천사 제라토
D-HERO 드레드 가이
D-HERO 도그마 가이
코믹스
V · HERO 애더레이션
GX
D-HERO Bloo-D
E · HERO 피닉스 가이
코믹스
V · HERO 트리니티
ARC-V
D-HERO 디스토피아 가이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GX
E · HERO 샤이닝 피닉스 가이
ARC-V
D-HERO 더스크토피아 가이
OCG
D-HERO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
GX
드라군 D-엔드
코믹스
The grand JUPITER
}}}}}}}}} ||


[1] 레이디 오브 파이어 / 히트 / 플래임 블래스트는 화염족, 코노스페와 포이즌 로즈는 식물족, 볼테그는 번개족, 네오스 크루거는 마법사족, 날개 크리보 LV6은 천사족이다.[2] 이는 초창기 컨셉이 낮에 활동하는 엘리멘틀 히어로의 시간이 끝나면 데스티니 히어로의 시간이 찾아온다는 뜻으로 보이나 이 두개가 너무 따로 노는 것이 사실인지라 결국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3] GX 57화, 에드와 료의 듀얼을 관전하고 있던 미사와의 발언이다.[4] 반대로 원판 어니스트의 경우 몬스터 카드인데 "Honest"(정직한)이라는 형용사를 이름으로 가지고 있다. 다만 원작에서의 어니스트의 효과명은 "어니스티 크라잉"이라 저기서 따온걸지도.[5] 나머지 히어로 융합 몬스터는 데스티니 히어로가 5종류, 이블 히어로가 10종류, 비전 히어로가 2종류, 마스크드 히어로가 9종류다.[6]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7] 이 때 딱히 카드의 정령이 깃든 것도 아닌, 홀로그램으로 소환된 일반 카드일 뿐인 스팀 힐러도 자기 주인과 함께 어이없어하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8] 원래 라이프 회복 효과는 듀얼 로그 짜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덱 전체의 컨셉이 회복이 아닌 이상 조명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9] 듀얼리스트 팩-주다이 편의 UR 카드 중 하나다. 그 외에 초기판 GX 듀얼디스크에도 높은 레어도로 동봉되는 등 왠지 대우가 좋다.[10] 이 카드 이외에도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다크맨이 융합 소재가 되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이드 샤먼 또한 상급임에도 능력치가 낮다.[11] 앱제는 미러클 엑스클루더 출시 후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파운틴이 필수적으로 투입되므로 채용 가치가 아예 사라지진 않았다.[12] 소환 제약이 달려 있지 않은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몹은 네오스 중에서도 콘택트 융합체 정도인데, 실전 듀얼에서 이들을 정규 소환할 일은 거의 없다.[13] 실제로 처음 등장했을 때는 별로 주목받지 못한 카드였다. 그도 그럴게 당시 엘리멘틀 히어로를 사용하는 비트 덱에는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정도만 들어갔기에 이 카드가 낄 자리가 없었던 것.[14]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평행 세계 융합과 함께 수록되어, 당시엔 일본으로 역수출까지 되는 영예를 누리게 되었다.[15] 변형으로 상대의 다크 로우도 잡아먹고 나오는 것도 가능하다.[16] 재정 ②의 효과에 대해: ■몬스터 존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입니다.(반드시 발동합니다.) ■전투를 실행한 몬스터의 한쪽이나 양쪽이 전투로 파괴되는 것이 확정된 경우에도 발동하여,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는 처리에 성공했을 경우, ‘그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는’ 처리를 실시합니다.(이러한 처리는 동시에 행해지는 취급입니다.)[17] 릴리스 없이 몬스터를 일반 소환하는 OCG의 효과와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특수 소환으로 취급하는 등 다소 효과 연출이 오락가락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엘리멘틀 히어로, version=651, uuid=537a3c88-faa5-4fe3-b7ff-cd600ae6a6ec,
title2=엘리멘틀 히어로/융합 몬스터, version2=37, uuid2=312841ef-21fd-48cc-9cd6-b0834143391b,
title3=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version3=31, uuid3=,
title4=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version4=28, uuid4=,
title5=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version5=34, uuid5=,
title9=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version9=26, uuid9=,
title10=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version10=62, uuid10=,
title11=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version11=77, uuid11=,
title12=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version12=41, uuid12=,
title13=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version13=35, uuid13=,
title14=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version14=79, uuid14=,
title15=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version15=23, uuid15=,
title17=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version17=25, uuid17=,
title18=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볼틱 썬더, version18=11, uuid18=,
title19=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version19=61, uuid19=,
title20=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version20=56, uuid20=,
title23=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version23=62, uuid23=,
title25=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version25=39, uuid25=2ebbfbd8-e67d-4f7e-8c12-b5a235c3c7d3,
title26=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version26=30, uuid26=22e36fd1-df6a-446c-967b-9d5cd051b439,
title28=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version28=29, uuid28=,
title29=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version29=67, uuid29=,
title30=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version30=65, uuid30=,
title31=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version31=64, uuid31=,
title32=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version32=80, uuid32=,
title33=엘리멘틀 히어로 Core, version33=71, uuid33=,
title34=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version34=151, uuid34=,
title35=엘리멘틀 히어로/카드 목록, version35=64, uuid35=fd20a761-7f6a-4580-a726-19a9a799e2c9,
title36=엘리멘틀 히어로/성능, version36=746, uuid36=34b907a0-bff5-45a7-b979-66399fc2c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