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0:51:40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첩자(유희왕)]]{{{#!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파일:BladeArmorNinja-JP-Anime-ZX-NC.png
칼을 부딪히는 혼이여, 내려오너라!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斬り結ぶ魂よ、降りよ!「機甲忍者ブレード・ハート」!

-유희왕 ZEXAL 격돌! 듀얼 카니발!야미카와-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카드명의 '블레이드 하트'는 닌자의 ''을 '(칼날)'과 '(마음)'으로 파자하고 영단어로 옮긴 것이다.

2. 설명

2.1. 원작

파일:Blade-Armor-Ninja.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일어판명칭=<ruby>機甲<rp>(</rp><rt>きこう</rt><rp>)</rp></ruby><ruby>忍者<rp>(</rp><rt>にんじゃ</rt><rp>)</rp></ruby>ブレード・ハート,
영어판명칭=Blade Armor Ninja,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22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1=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1번만 더 몬스터에 공격할 수 있다.)]

파일:BladeArmorNinja-JP-ZX-NC.jpg

유희왕 ZEXAL 15화에서 야미카와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부터 엑시즈 소환되어 2회 공격으로 유마의 몬스터들을 격파했으며, 추가로 기갑인법 프리즈 록의 비호를 받은 채 다시 유마의 몬스터를 2회 공격하여 격파했다. 최후에는 가가가 볼트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 처음 등장한 바람 속성 엑시즈 몬스터이다.

듀얼 외에도 듀얼암에 전시된 목상으로 등장했는데, 이는 과거 로쿠쥬로가 야미카와를 위해 만든 것이었으나 로쿠쥬로의 꾸중에 분노한 야미카와가 듀얼암을 떠나기 직전에 일도양단 해버리면서 작중 시점에서는 수리한 흔적이 남아 있었다. 이후, 유마와의 듀얼에서 패배한 야미카와가 분노하며 다시 베어 부수려고 했지만 유마의 설득과 수리한 흔적을 보고 로쿠쥬로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어 개심하게 된다.

여담이지만 이 목상이 블랙 매지션, 푸른 눈의 백룡, 붉은 눈의 흑룡, 블랙 매지션 걸,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화염의 검사 같은 쟁쟁한 전설급 카드들의 목상과 나란히 전시되어 있었기에 처음 본 시청자들은 "예전에 저런 몬스터가 있었나?"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공격명은 '전자발도 안개 베기(電磁抜刀 カスミ斬り)'. 안개 가르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유희왕 ARC-V 126화에서는 아카바 레오의 회상에서 즈아크에게 쓰러진 듀얼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하던 몬스터로 등장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機甲忍者ブレード・ハート.jpg 파일:BladeArmorNinja-CBLZ-EN-SR-L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일어판명칭=<ruby>機甲<rp>(</rp><rt>きこう</rt><rp>)</rp></ruby><ruby>忍者<rp>(</rp><rt>にんじゃ</rt><rp>)</rp></ruby>ブレード・ハート,
영어판명칭=Blade Armor Ninja,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22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전사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첩자"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다이가스타 피닉스의 첩자 버전. 덕분에 원작과는 다르게 상당히 유능해졌다. 원작과 달리 소재 제한이 붙었는데, 아마 카치코치 드래곤의 완벽한 상위 호환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 것 같다. 소재 조건 때문에 대부분의 엘리멘틀 히어로,[1] 여섯 무사, 테라나이트 등에 채용되고 있다.

같은 랭크 4 전사족인 No.39 유토피아와 비교하자면 공격력은 낮지만 자괴 효과가 없고, 더블 어택으로 후려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최대 공격력이 2200 미만이라는 전제하에선 H-C 엑스칼리버 보다 400 데미지를 더 준다.

첩자 몬스터라면 어떤 몬스터든 2회 공격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스케로 벽 몬스터를 파괴하거나, 공격력이 더 높은 다른 첩자에게 공격권을 줄 수도 있다. 특히 메이젠이 필드에 있으면 직접 공격을 2번 들이받는 것도 가능.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1-1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RCS-JP041 | オーダー・オブ・カオス [ ORDER OF CHAOS ]
2022-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2TP-JP410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2 Vol.4
2012-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RCS-EN041 | ORDER OF CHAOS
2013-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ENSE2 | COSMO BLAZER SPECIAL EDITION
2012-02-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RCS-KR041 | 오더 오브 카오스

[1] 엘리멘틀 히어로 주축의 덱은 대부분의 메인 덱 몬스터가 레벨 4다. 이는 마스크드 히어로도 마찬가지. 후공에 가가가 자무라이와 이 카드를 뽑아낸다면 원턴킬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