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관련 틀 | ||||||||||||||||||||||||||||||||
|
한국판 명칭 | 링크 |
일본판 명칭 | リンク |
영어판 명칭 | Link |
1. 개요2. 메인 덱 몬스터3. 링크 몬스터4. 마법 카드5. 함정 카드6. OCG화되지 않은 카드
6.1. 링크 프로페싱 페일어6.2. 링크 아트로시티6.3. 링크 프로텍션6.4. 링크 코인6.5. 링크 쇼트6.6. 링크 드라이브6.7. 링크 새털라이트6.8. 링크 프레셔6.9. 아젠트 링크6.10. 링크 서지 카운터6.11. 링크 레이션6.12. 링크 러시6.13. 링크 캔슬
7. 관련 문서1. 개요
유희왕의 시리즈 카드로 몬스터 카드가 대부분 사이버스족이라는 것이 특징이고, 벨트링크 월 드래곤이나 캐슬 링크 같은 일부 카드를 뺀 대부분은 주인공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한 카드들이다.현자의 돌-사바티엘 등으로 지정된 '융합' / '퓨전', 듀얼리스트 제네시스로 지정된 싱크로, 제네레이션 포스 등으로 지정된 '엑시즈',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로 지정된 '펜듈럼'과는 달리, 아직 카드군 지정이 되지 않았다.
2. 메인 덱 몬스터
2.1. 레벨 1
2.1.1. 링크애플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애플,
일어판 명칭=リンクアップル,
영어판 명칭=Link Apple,
레벨=1, 속성=화염,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뒷면 표시의 카드를 무작위로 1장 고르고 제외한다. 제외한 카드가 링크 몬스터였을 경우\,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다를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엑스트라 덱의 뒷면 표시 카드를 제외하고, 그것이 링크 몬스터라면 자신을 특수 소환, 아니라면 패 교환을 실행하는 기동효과를 보유한 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 하급 몬스터.
무작위로 제외된 카드가 링크 몬스터냐 아니냐에 따라 얻는 결과도 다르다. 엑스트라 덱에 링크 몬스터와 그 이외가 균등히 섞여있을 경우, 얻는 결과가 운에 좌우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편성해 사용하는 편이 좋겠다.
- 링크 몬스터만 편성하여 확실히 특수 소환을 활용할 경우: 엑스트라 덱의 카드 1장을 코스트로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가 된다. 다만 단순히 레벨 1 몬스터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싶을 뿐이라면 조건없이 꺼낼 수 있는 제스터 콩피도 존재한다. 링크 소재에 사이버스족을 지정하는 링크 몬스터로 연계하기 쉽다는 종족으로서의 이점을 살리는 편이 좋다.
- 링크 몬스터 이외만 편성하여 확실히 패 교환을 활용할 경우: 엑스트라 덱의 카드 1장을 코스트로 1장 드로우시켜주는 카드가 된다. 엑스트라 덱을 중시하지 않는 덱이나 비전투계열 덱에서 덱을 압축하는 데에 용이해 질 것이다. 갑부 고블린과 비교하면 턴 제한에 몬스터 효과라는 점에서 막히기 쉽다는 점이 결점이지만, 상대 라이프를 늘리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링크업(Link-up)' + '애플(apple)'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프로모션 팩 2019 | 19PR-JP007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프리미엄 팩 vol.14 2nd wave | PP14-KRB13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2.2. 레벨 2
2.2.1. 링크 인플라이어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 인플라이어,
일어판 명칭=リンク・インフライヤー,
영어판 명칭=Link Infra-Flier,
레벨=2, 속성=바람,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필드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링크 소환 덱에서라면 가볍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사이버스. 백업 세크레터리와 함께 전개 요원으로 활약할 수 있다. 디코드 토커 등 링크 앞의 몬스터가 있음으로서 능력을 발휘하는 몬스터와도 호궁합.
사이버스족 내에서도 자체 특수 소환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한둘이 아닌데다 똑같은 효과와 함께 부과 효과를 하나씩 더 가진 파라디온 카드군의 등장으로 많이 가치가 낮아졌으나, 사이바넷 코덱의 등장으로 코드 토커 덱에서 채용되고 있다. 바람 속성 사이버스족 중 가장 간편한 소환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
크리터, 피리 레이스의 지도로 가져와도 문제없이 패에서 특수소환할 수 있다. 발동하는 효과가 아니기 때문.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서킷 브레이크 | CIBR-JP00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2.3. 레벨 4
2.3.1. 링크 스트리머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 스트리머,
일어판 명칭=リンク・ストリーマー,
영어판 명칭=Link Streamer,
레벨=4, 속성=빛,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6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데이터 토큰"(사이버스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이 소환된 상태에서 또 다른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소환되면 사이버스족 토큰을 뽑아내는 효과로, 효과 자체는 대량전개 또는 싱크로 / 링크 소재 확보용으로 충분히 쓸만하나 능력치가 애매해서 필드로 가져오기도 필드에서 버티기도 난감하다는 것이 난점이다.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는 것이야 두말할 것도 없고, 1900대의 하급 어태커가 흔해진 요즘 듀얼 환경에서는 1800의 수비력으로도 절대 오래 버티지 못한다.
게다가 10기 이후 카드들의 고질병인 명칭제약까지 붙어있어 토큰 다수를 양산할 수도 없다. 기존의 드라코넷이나 사이버스 가제트와 비교해도 이렇다할 큰 경쟁력이나 이점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위의 링크 인플라이어나 백업 세크레터리 등의 자체 특수 소환 몬스터들과 함께하면 간단하게 링크 3 소환으로 이을 수 있긴 하지만 그 정도가 한계.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JP004 | 노말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2.4. 레벨 5
2.4.1. 링크슬레이어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슬레이어,
일어판 명칭=リンクスレイヤー,
영어판 명칭=Linkslayer,
레벨=5,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2000, 수비력=6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를 2장까지 버리고\, 버린 수만큼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2.5. 레벨 6
2.5.1. 벨트링크 월 드래곤
| |
내수판 | 수출판 |
한글판 명칭=벨트링크 월 드래곤,
일어판 명칭=<ruby>弾帯城壁龍<rp>(</rp><rt>ベルトリンク・ウォール・ドラゴ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Linkbelt Wall Dragon,
레벨=6, 속성=땅, 종족=드래곤족, 공격력=0, 수비력=21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이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이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에 카운터를 2개 놓는다.,
효과2=②: 서로\, 이 카드의 카운터의 수보다 많은 수의 링크 마커를 가지는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없으며\, 링크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3=③: 몬스터가 링크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2개 제거한다.,
효과4=④: 자신 /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1개 놓는다.)]
3. 링크 몬스터
3.1. 링크 1
3.1.1. 링크 스파이더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링크 스파이더,
일어판명칭=リンク・スパイダー,
영어판명칭=Link Spider,
속성=땅, 레벨=1, 공격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link2=,
소재=일반 몬스터 1장,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일반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3.1.2. 링크 디사이플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7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VJMP-JP124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 VJMP-JP125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 VJMP-JP126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 VJMP-JP127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VJMP-JP130 사이버스 가제트 | VJMP-JP131 프록시 드래곤 | VJMP-JP132 링크 디사이플 | VJMP-JP133 V-LAN 히드라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136 사이버스 컨버터 | VJMP-JP137 여섯 무사의 진영 | VJMP-JP138 서브테러의 도사 | VJMP-JP139 시큐리티 드래곤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128 | EM 카드 가드너 | |||
VJMP-JP129 | 에지임프 코튼 이터 | |||
VJMP-JP134 | 화이트 스팅레이 | |||
VJMP-JP135 |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2016년ㆍ2018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 디사이플,
일어판 명칭=リンク・ディサイプル,
영어판 명칭=Link Disciple,
레벨=1, 속성=빛,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500, link2=,
소재=레벨 4 이하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그 후 패를 1장 골라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레벨 소재 제약이 붙은 최초의 몬스터. 즉, 레벨이 없는 엑시즈 / 링크 몬스터는 소재로 할 수 없다.
하급 사이버스족 몬스터를 소재로 하므로 종족만 맞으면 토큰도 쓸 수 있다. 사이버스 가제트처럼 사이버스족 토큰을 만들어 내는 카드와 궁합이 좋다. 사이버스족을 주로 쓰는 덱에선 그리 어려운 제약은 아니라 쉽게 쓸 수 있다.
단독으로는 코스트에 비해 돌아오는 게 적은 몬스터지만 널널한 소재와 링크 디보티와의 조합으로 사용한다. 사이버스 가제트, 도트스케이퍼 , 클락 와이반, 이빌트윈 등 몬스터 1장만으로 링크 소재가 3장 늘어나기 때문에 고링크 몬스터를 잘 쓰지 않는 덱에서 용병으로 쓰기도 한다.
유희왕 VRAINS 35화에서 비트루퍼를 소재로 첫 등장, 링크 디보티를 릴리스하고 효과를 발동했다. 링크 디보티의 효과만 쓸 생각이었는지 드로우한 카드를 그대로 덱에 넣었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엑덱에 여유가 있을 경우, 상대가 자신측에게 떠넘긴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를 치우기 위한 용병으로서 채용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크로니클 바인더 | CHBI-KRB35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V점프 2017년 7월호 동봉 | VJMP-JP13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20TH-JPB35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Cybernetic Horizon | CYHO-EN098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Duel Power | DUPO-EN070 | 울트라 레어 | 미국 |
3.1.3. 링크 디보티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링크 디보티,
일어판 명칭=リンク・ディヴォーティー,
영어판 명칭=Link Devotee,
레벨=1,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500, link8=,
소재=레벨 4 이하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턴에\, 자신은 링크 3 이상의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상호 링크 상태의 이 카드가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링크 토큰"(사이버스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 2장을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VRAINS 35화에서 링크 디사이플과 같이 등장한 카드. 소환 조건과 링크 수치, 공격력이 전부 링크 디사이플과 같으며 그 외에 효과나 링크 마커도 그렇고 링크 디사이플이랑 같이 쓰라고 나온 카드.
물론 토큰 자체엔 아무런 제약이 없기에 다른 특수 소환에 쓸 수 있다. 가장 좋은 전개는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링크 소환 하는 것이다. 다음 상대 턴에 아이:피 마스카레나의 효과로 이 카드의 디메리트를 상쇄할 수 있다. 또한 굳이 원작처럼 링크 디사이플을 안 써도 상호 링크 상태에서 릴리스 되기만 하면 되므로 코스트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한 릴리스로 써도 ②의 효과는 쓸 수 있다. 물론 이 카드의 마커 방향과 상호 링크 상태에서 릴리스란 조건은 링크 디사이플이 충족하기 가장 쉽지만.
튜너나 다른 카드가 없어 링크 소재 이외의 활용이 불가능하면 더블바이트 드래곤을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링크 2 몬스터 중에서도 꽤 강력한 내성을 갖고 있으며 낮은 능력치를 자신의 공격력 상승으로 커버할 수 있기에 불러낸 토큰으로 링크 2 몬스터를 불러낸 후 링크 디사이플과 함께 소재로 해 소환하면 2400 타점에 링크 이외의 몬스터를 막아내줄 수 있어 다음 턴까지 버틸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CYHO-KR03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CYBERNETIC HORIZON | CYHO-JP03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Cybernetic Horizon | CYHO-EN03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4. 링크리보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링크리보,
일어판명칭=リンクリボー,
영어판명칭=Linkuriboh,
속성=어둠, 레벨=1, link2=, 공격력=3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레벨 1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0 이 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레벨 1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