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6:28:26

워리어(유희왕)


정크도플 관련 카드군
정크 워리어 정크 워리어 서포트
싱크론 스타더스트 스타더스트 드래곤 서포트
붉은 용 / 싱크로 / 시그널 카운터
워리어
<colbgcolor=#FDEEE1> 한국어판 명칭 워리어
일어판 명칭 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Warrior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전사족[1] 싱크로

1. 개요2. 상세3. 싱크로 몬스터
3.1. 레벨 33.2. 레벨 5
3.2.1. 정크 워리어3.2.2. 스카아 워리어3.2.3. 중강갑 워리어3.2.4. 제트 워리어
3.3. 레벨 63.4. 레벨 73.5. 레벨 83.6. 레벨 10
3.6.1. 스타더스트 워리어3.6.2. 새털라이트 워리어
4. 서포트 카드5. 카드군 범위 외 목록

1. 개요

유희왕의 카드군 및 카드 시리즈.

유희왕 5D's에서 주인공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다. 락스톤 워리어를 제외하면 전사족 비튜너 몬스터 및 싱크로 몬스터로 통일되어있다.

지정이 너무 광범위해 카드군으로서의 정체성이 미묘하다는 점도 포함해, 라이벌인 잭 아틀라스데몬 몬스터에 해당하는 포지션.

2. 상세

애니메이션 관련 틀 모음
[ 펼치기 · 접기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후도 유세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정크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 싱크로
서브 에이스 에이스
5D's
정크 워리어
코믹스
라이트닝 워리어
OCG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
코믹스
섬광룡 스타더스트
OCG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OVA)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슈팅 스타 드래곤
코믹스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OCG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5D's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
코믹스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OCG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 ||

원작에서는 정식 카테고리가 아니고, 외형이나 효과 상 어떠한 공통점도 없는 단순한 시리즈 카드. 그러나 어째서인지 5D's 애니가 진행되면서 계속해서 유세이가 사용한 몬스터군으로, 코믹스에서까지 워리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사용하는 덕분에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함께 유세이의 아이덴티티로 군림했다.

애니 한정으로 싱크로 몬스터인 워리어는 이름을 공유하는 싱크론 시리즈를 전용 튜너로 한다는 불문율이 있으며, 또한 로드 워리어와 드릴 워리어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들이 첫 등장에서 우시오 테츠에게 패배를 안겨주는 것으로 유명하다.[2] 또한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들의 클린히트 공격은 전부 거대 실루엣 연출을 보여주기 때문에 임팩트 또한 상당하다.

OCG에서는 싱크론 익스트림에서 수록된 스타더스트 워리어러시 워리어가 지정하면서 싱크로 몬스터 한정으로 정식 카드군화되었다. 그래서 메인몹은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지만, 카드명을 복사할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가 복사하면 효과를 받게 될 수는 있다. OCG에선 이것이 성립되는 카드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도플 워리어 2장의 조합 뿐이라 룰상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3]

근데 워리어라는 이름이 매우 흔하게 쓰이는 일반 명사다보니 유세이와 관계 없는데 이 목록에 들어온 몬스터들이 굉장히 많아서 글자 자체만 보면 하위 카드군으로 마그넷 워리어사운드 워리어가 포함된다. 특히 TCG어판 번역에는 상당히 큰 문제가 있는데, "Warrior"라는 번역이 옛날부터 수많은 몬스터에게 사용된 이름이기 때문. 상술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으로 베낄 수 있는 어둠 속성 몬스터만 추려도 마도전사 브레이커(Breaker the Magical Warrior)도 포함되어버렸고 아예 하위 카드군으로 전황(Ancient Warriors)을 둘 지경이다. 상당히 노골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이지만 아직은 어떠한 룰적 조치나 에라타도 없이 방치되고 있다.

과거 한국판에선 사운드 워리어 카드군이 "음향전사"로 번역이 되었으나 싱크로 몬스터가 룰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디멘션 포스의 한국 정발 이후엔 구 "음향전사" 카드군이 사운드 워리어로 모든 에라타 되었다.

3. 싱크로 몬스터

3.1. 레벨 3

3.1.1. 스크랩 워리어

3.2. 레벨 5

3.2.1. 정크 워리어

3.2.2. 스카아 워리어

스카아 워리어
<nopad> 파일:dgx3j0s-0fa2dc15-1b92-4425-b3f7-d5d0799e4ee0.png
대지의 아픔을 아는 상처투성이의 전사여, 그 건재를 보여라!
大地の痛みを知る傷だらけの戦士よ、その健在を示せ!
싱크로 소환! 「스카아 워리어」!
シンクロ召喚!「スカー・ウォリアー」!

-코믹스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대지의 아픔을 아는 상처투성이의 전사여, 네 건재함을 보여라!
싱크로 소환! 「스카아 워리어」!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17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스카아 워리어,
일어판명칭=スカー・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Scarred Warrior,
속성=땅, 레벨=5, 종족=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10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다른 전사족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몬스터. 프리미엄 팩 13에서 OCG화되었다. 일본명은 상처입은 전사라는 뜻의 스카 워리어였으나, 정발명은 스카 워리어로 늘려서 번역했다. 이는 암흑계의 척후 스카아의 전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격력이 심히 처절하지만 전투 파괴 내성과 다른 전사족를 공격 대상에서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재미있게도 앞의 효과가 똑같은 선봉 대장과 함께 써도 락을 형성할 수 있고, 선봉 대장으로 레벨 2 튜너를 부르면 간단하게 소환이 가능하다. 제일 간단한 소환 방법은 역시 정크 싱크론이겠지만.

또한 소재 제한이 없는 레벨 5 전사족 싱크로 몬스터라는 점도 나름의 이점. X-세이버 웨인과 경쟁되긴 하지만. 이 카드는 패에 다른 전사족이 없어도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웨인은 패에 전사족이 없으면 쓸모가 없지만 당장 전력을 더 강화할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나눠서 사용할 존재들이다.

공격명은 브레이브 대거(Brave Dagger).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Vol.6 PP06-KR028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REMIUM PACK 13 PP13-JP08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3.2.3. 중강갑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22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중강갑 워리어,
일어판 명칭=カタパル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Catapult Warrior,
레벨=5,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5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정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원작 효과 ]
파일:CatapultWarrior-JP-Manga-5D.jpg
한글판 명칭 캐터펄트 워리어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カタパル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Catapult Warrior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5 전사족 1000[4] 15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그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ruby(LP, ruby=라이프 포인트)]에 준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후도 유세이가사용한 상급 싱크로 효과 몬스터. 유희왕 5D's 코믹스 2권 동봉으로 OCG화했다.

1턴에 1번 정크 몬스터를 사출하여 원래 공격력 수치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기동효과를 가졌다.

중강갑 거북의 2배 효율을 자랑하며, 이런 사출 효과에 있을 법한 공격 선언, 배틀 페이즈 제한 등의 디메리트가 없다는 것도 장점. 하지만 원작과는 달리 에라타 이전의 다크 다이브 봄버와 같은 절차를 피하고자 릴리스 대상에 제약이 붙었다.

원래 공격력이 높은 정크 싱크로 몬스터를 사용하는 덱에서 채용해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정크 워리어는 공격력을 높이기 위한 하급 몬스터를 전개하기 쉬우니 정크 워리어를 싱크로 소환하는 타이밍에 이 카드를 필드에 꺼내는 선택지도 있다. 이로서 상대 LP가 좀처럼 안 깎이는 상황에 도움이 되어줄지 모른다.

새털라이트 워리어를 이용하면 이 카드와 정크 워리어를 소생시켜 바로 사출이 가능하다. 싱크로 체이스로 싱크로 소환한 정크 몬스터를 소생시켜 사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정크 싱크론과 그 효과로 소생한 정크 컨버터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한 뒤 정크 싱크론을 소생시켜 회심의 일격을 날리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겠다.

현 시점에서 효과로 줄 수 있는 최대 데미지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를 사출했을 경우인 2900. 이를 이용해 이 카드와 익스트림을 세번 뽑아 세번 다 사출해 2900 x 3 = 8700으로 원턴킬을 내는 덱도 나왔다.[5]

원래 일본판 이름은 "캐터펄트 워리어"였으나, 한국에서는 캐터펄트 터틀을 중강갑 거북으로 괴상하게 번역한 이후로 쓸데없이 이 번역을 고수하는 바람에 이 카드도 중강갑 워리어라는 이상한 이름이 되고 말았다.

원작에서는 엔죠 무쿠로와의 듀얼 중 꺼내서 함정 카드 블레이드 윙과 자신의 몬스터 효과 콤보로 공격력 4000이 된 정크 블레이더를 사출해 원턴킬을 냈다. 이후 과의 듀얼에서도 사용되어 피니셔가 되었다.

효과명은 '다이브 캐터펄트([ruby(急降下射出, ruby=ダイブ・カタパルト)])'.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Vol.8 PP08-KR002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유희왕 5D's 코믹스 2권 동봉 YF02-JP001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유희왕 5D's 코믹스 2권 동봉 YF02-EN001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Star Pack 2013 SP13-EN049 노멀
스타 포일 레어
미국

3.2.4. 제트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63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제트 워리어,
일어판 명칭=ジェッ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Jet Warrior,
레벨=5,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1200,
소재="제트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레벨 2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면 상대 카드 1장을 바운스하고, 전용 튜너인 제트 싱크론과 비슷하게 묘지에서 소생하는 일회용 효과가 있다.

①의 효과는 같은 레벨에 공격력 증가 효과와 전용 마법 카드가 있는 정크 워리어와 다른 바운스라 전투 파괴가 필요하면 정크 워리어를, 바운스로 제거해야 한다면 이 카드를 선택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늘어났고, 기존 워리어 계열에서 부족한 제거계 효과를 충족한다.

또한 이 효과 덕에 스타더스트 워리어가 제거 계열 카드에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즉 스타더스트 워리어가 필드를 벗어난 순간 효과를 발동해 제트 워리어를 가져오면, 역으로 이쪽이 1장을 바운스시키고, 상대만 패와 필드의 1장을 소모하게 된다. 만약 스타라이트 정크션이 필드에 함께 있다면 2장이 바운스된다.

소생 효과를 위한 코스트는 평소 퀵댄디 계열의 덱에서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도플 워리어의 토큰을 릴리스하는 편이 간단하다. 부활해도 효과를 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공격력 / 수비력도 상당히 낮으므로 기본적으로는 싱크로 몬스터를 필요로 하는 싱크로 소재로 쓸 것이다. 물론 이럴 경우 필드에서 벗어날 경우 제외되므로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감행한 뒤, 상황이 허락한다면 흑백의 파동으로 추가 어드밴티지를 벌 수도 있다.

작중에서 유세이가 사용한 적은 없지만 듀얼 링크스에서는 유세이가 사용한 워리어 카드군이라서 소환 시에 대사가 짤막하게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 SD28-KR041 슈퍼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YNCHRON EXTREME- SD28-JP041 슈퍼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ynchron Extreme SDSE-EN041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3. 레벨 6

3.3.1. 터보 워리어

터보 워리어
<nopad> 파일:tb워리어.png
결집한 별이 새로운 힘을 엮어낸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星が更なる力を紡ぎだす。光差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울려퍼져라, 「터보 워리어」!
シンクロ召喚!轟け、「ターボ・ウォリアー」!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하나된 믿음이 한층 더 강력한 힘을 빚어낸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나와라, 「터보 워리어」!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2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터보 워리어,
일어판 명칭=ターボ・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Turbo Warrior,
레벨=6,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소재="터보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서로 필드의 이 카드를 레벨 6 이하의 몬스터의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레벨 6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에 공격 선언했을 때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절반으로 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rboWarrior-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터보 워리어,
일어판 명칭=ターボ・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Turbo Warrior,
레벨=6,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소재="터보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 이 카드가 레벨 6 이상의 몬스터에 공격 선언했을 때\,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절반으로 한다.
이 카드는 레벨 6 이하의 몬스터 효과를 받지 않는다.)]

혼돈의 교차에서 워리어 등장한 싱크로 몬스터.

소환 조건은 터보 싱크론을 반드시 사용하는 것. 퀵 싱크론을 사용하면 레벨 1 몬스터와 함께 소재로 삼을 수 있어 부담이 덜하다.

레벨 6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에게 공격할 경우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할 수 있다. 고레벨 싱크로 몬스터에겐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기 쉽지만, 이 카드가 공격받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고 싱크로 몬스터에게만 적용되는 효과라 범용성이 적다. 레벨 6 이하 몬스터에 대한 효과 내성 역시, 나름 유용하지만 레벨 조건이 정해져 있고 대상 지정 효과만 피하기 때문에 완벽한 내성은 아니다.

레벨 6 이하의 몬스터에게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아 레벨 1인 기황제의 싱크로 몬스터 흡수 효과를 피할 수 있어서,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정크 아처의 사례처럼 팬덤에서는 종종 언급된다. 물론 다른 예시와 마찬가지로, 액셀 싱크로를 고집해야 하는 후반 노선상 터보 워리어에게 포커스를 줄 이유는 없었다. 작품 외적인 시선에서는 의구심을 남기기는 했지만, 진짜 기황제 전에서 꺼냈다면 각본상 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 기황제는 어떤 식으로든 레벨 7 이상이 되거나 싱크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등 이 카드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을 것이다. 또한 그 내성으로 기황제까지는 어떻게 대처할 수 있다고 해도, 레벨 12인 기황신에게는 얄짤없이 대상이 되어 흡수당하는 등 이 카드만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유희왕 5D's 12화에서 등장. 사이가의 도움으로 우시오 테츠고요우 가디언을 파괴해 피니셔가 되었다. 이후에는 31화와 72화 및 153화에서도 등장. 익스플로드 윙 드래곤을 효과와 병행해서 파괴했으나 크림즌 블레이더에 파괴당한다.

공격명은 액셀 슬래시(Accel Slash). 등에 달린 부스터로 가속해 강력한 한손 찌르기를 한다. 워리어 계열 싱크로 몬스터 특유의 거대 실루엣 연출은 덤. 효과명은 하이레이트 파워(Highrate Power).

머리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사회자를 부르는 별명이기도 하다.

3.3.2. 드릴 워리어

3.3.3. 그레비티 워리어

그레비티 워리어
<nopad> 파일:그레비티 워리어.jpg
사상의 지평으로 추참하라! 싱크로 소환! 중력의 투사! 「그레비티 워리어」![6]
事象の地平より推参せよ!シンクロ召喚!重力の闘士!「グラビティ・ウォリアー」!

-코믹스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사상의 지평으로부터 나오너라! 싱크로 소환! 중력의 투사, 「그레비티 워리어」!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2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그레비티 워리어,
일어판명칭=グラヴィティ・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Gravity Warrior,
속성=땅,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 배틀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한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공격 가능한 경우에는 공격해야 한다.)]

코믹스판 유세이가 사용한 카드. 프리미엄 팩 14에서 OCG화되고 한국에는 프리미엄 팩 7에서 등장.

원작에서는 상대 필드의 카드 1장당 500의 공격력이 올라가는 끝내주는 효과였다. 루아와의 싸움에서 등장하여 공격력을 7100까지 상승시켜 기계룡 파워 툴을 조각냈다. 이후 루아&루카 리벤지 매치 이후 듀얼 게이트로 가는 도중에 잠복해서 라이딩 듀얼을 건 아이즈 타이가를 1페이즈만에 패배시켰다.

OCG효과는 원작보다 상당히 약화되어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1장 이하라면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보다 안 좋다. 소생시켰을 때는 공격력이 전혀 올라가지 않고, 공격력이 불안정하다는 점 때문에 선뜻 채용할 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

2번째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자폭시킬 수 있는 괜찮은 효과긴 하지만, 일단 이 카드의 공격력이 그만큼 충분히 확보되는 걸 전제로 하고 있기에 결국은 역시 불안정하다. 따라서 이 카드는 방해꾼 트리오같은 카드를 사용해 적극적으로 상대 필드에 샌드백을 조달해줘야 한다.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가 많다면 상당한 공격력을 지닐 수 있고 2번째 효과도 100% 살릴 수 있으니까.

공격명은 그랜드 크로스(Grand Cross). 공격력 상승 효과명은 파워 그래비테이션(Power Gravitation). 강제 전투 효과명은 듀얼 G 필드(Duel G Field).

여담으로 한글판 이름의 표기가 특정분들에겐 불편할 수 있다. 원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æ]발음은 'ㅔ'가 아니라 'ㅐ'로 표기해야 한다. 즉, 그레비티가 아니라 그비티가 올바른 표기이다.

3.3.4. 마이티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마이티 워리어,
일어판명칭=マイティ・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Mighty Warrior,
속성=땅, 레벨=6, 공격력=22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후도 유세이가 코믹스에서 사용한 싱크로 몬스터. V점프 정기구독 특전으로 OCG화했으며, 한국에서는 프리미엄 팩 8에서, 해외에서는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발매되었다.

레벨 6인데도 공격력이 2200밖에 되지 않는데다가, 그 효과는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하위호환이다…. 그다지 범용성이 있어보이지 않는다. 도대체 왜 발매했는지 이해할 수 없는 몬스터.

제한 없는 레벨 6 싱크로 몬스터인 만큼 프레임 윙맨보다는 부르기 쉽고 프레임 윙맨보다 공격력도 강하긴 하지만 그래봤자 매지컬 안드로이드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한테도 발린다.

일족의 결속을 사용하는 전사족 덱이라면 가장 큰 문제인 공격력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정크 어택의 효과도 그렇게 나쁜 것은 아니므로 기회를 봐서 잘 소환하면 써먹을 수는 있다. 소재 제약 없는 다른 레벨 6 전사족 싱크로 몬스터라고는 가이아 나이트와 역할이 거의 겹치는 그레비티 워리어밖에 없으므로 이놈은 상황에 맞춰 선택지를 늘리는 정도로 1장쯤 넣어볼 수 있다. 물론 이런 덱이라도 아닌 이상 좁아터진 엑스트라 덱을 비집고 들어갈 만한 경쟁력은 없어 보인다.

오랜만에 나온 싱크로 몬스터 치고는 상당히 빈약한 녀석이라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가 나오기 전까지는 싱크로는 이제 끝장이라고 한탄하는 사람이 많았다.

여담으로 정크(유희왕)워리어(유희왕) 시리즈 대다수가 비주얼을 슈퍼로봇계에서 따온 만큼, 이 카드의 외형도 마징가Z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공격명은 마이티 너클(Mighty Knuckle), 효과명은 로켓 너클(Rocket Knuckle).

3.3.5. 스타더스트 어썰트 워리어

3.3.6.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

3.4. 레벨 7

3.4.1. 니트로 워리어

3.4.2. 라이트닝 워리어

후도 유세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정크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 싱크로
서브 에이스 에이스
5D's
정크 워리어
코믹스
라이트닝 워리어
OCG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
코믹스
섬광룡 스타더스트
OCG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OVA)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슈팅 스타 드래곤
코믹스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OCG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5D's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
코믹스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OCG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 ||
라이트닝 워리어
<nopad> 파일:라이트닝워리어fullview.jpg
광래하라! 「라이트닝 워리어」![7]
光来せよ!「ライトニング・ウォリアー」!

-코믹스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빛으로 태어나라! 「라이트닝 워리어」!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781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라이트닝 워리어,
일어판명칭=ライトニング・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Lightning Warrior,
레벨=7,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2400, 수비력=12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의 패의 수 × 3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코믹스에서 후도 유세이의 초반 에이스 몬스터. 애니판의 정크 워리어의 포지션에 해당된다. 원작에서는 상대의 패가 아닌 자신의 패의 매수 x 4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주는 효과였다. 초반에는 주력 에이스 몬스터로 활약했지만, 섬광룡 스타더스트의 등장으로 에이스 자리는 내주게 되었다.

2009년 말에 등장한 범용 레벨 7 싱크로 몬스터지만 등장 당시부터 블랙 로즈 드래곤이 버티고 있었고, 덱에 따라서는 소환 조건은 붙어도 더 좋은 싱크로 몬스터를 부를 수 있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에 이 카드를 우선시할 만한 상황은 많지 않았다. 공격력은 다크 다이브 봄버가 이미 금지로 가 있던 당시로서는 합격점이라고는 할 수 있었지만 블랙 로즈 드래곤도 똑같은 2400이고, 번 효과가 있지만 상대의 패 장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불안정해서 일부러 노리고 소환할 만큼 매력적인 성능은 갖추지 못했다. 따라서 블랙 로즈 드래곤이 제한이던 시절 레벨 7 싱크로는 되는데 필드 클린 효과를 아껴두고 싶을 때 대타로 내보내는 경우가 가장 흔한 사용례였고, 이외에는 빛 속성이라는 점을 살려서 바이론 큐브써니 픽시 등의 효과를 쓰는 등의 활용이 한계였다.

이후 스크랩 데스데몬이 나오면서 범용 레벨 7 어태커로서의 역할은 사실상 잃어버렸고, 그 데스데몬마저도 모든 덱에서 채용하지는 않을 정도였으니 이 카드가 나설 자리는 당연히 더욱 좁아졌다. 그나마 남아있던 빛 속성인 장점도 월화룡 블랙 로즈의 등장과 함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싱크로 소환 도입 초기의 사이코 헬스트랜서처럼 효과가 한정적이어도 카드 풀이 좁다 보니 잠깐 활약하다 밀려나게 된 몬스터 중 하나로, 한국에서는 블랙 로즈 드래곤이 이미 제한 해제된 2011년에서야 상륙했기 때문에 그나마 있던 기회조차도 잡을 수 없었다.

공격명은 라이트닝 퍼니셔(ライトニング・パニッシャー / Lightning Punisher), 효과명은 라이트닝 레이(ライトニング・レイ / Lightning Ray), 함정 카드 싱크로 게이저를 발동할 때의 효과명은 라이트닝 게이저(ライトニング・ゲーザ / Lightning Gazer).

3.4.3. 세븐 스워드 워리어

세븐 스워드 워리어
<nopad> 파일:seven_swords_warrior__wallpaper__by_nhociory_dh389xz-fullview.jpg
빛을 갈라라! 싱크로 소환! 「세븐 스워드 워리어」!
光を切り裂け!シンクロ召喚!「セブン・ソード・ウォリアー」!

-코믹스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99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세븐 스워드 워리어,
일어판 명칭=セブン・ソード・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Seven Swords Warrior,
레벨=7,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2300, 수비력=18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에 장착 카드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800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에 장착된 장착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이 카드에 장착된 장착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후도 유세이보머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

효과는 장착 비트 덱이라면 나름 괜찮을 듯. 바이론 튜너들이랑 궁합이 좋다. 특이한 건 보통 장착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는 붙어있기 마련인데 이 카드는 두 효과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다른 카드의 효과로 장착 카드가 묘지로 가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어 범용성이 조금 더 넓다는 것. 타이밍을 못 맞추면 못 발동하지만...

여담으로 일러스트에는 7가지 무기를 들고 있으나, 실제로 OCG의 장착 마법 / 함정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칸은 5개 뿐인지라 파이브 소드가 한계다. 이에 대해서는 '일러스트에서 손에 들고 있는 검 2자루 + 장착 카드 5자루해서 7자루다'라는 주장이나, '섬광의 쌍검-트라이스를 달아줘서 7자루를 만들라는 소리다'라는 등의 의견이 존재한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상대가 이 카드에 장착 카드를 달아준다면 진짜로 7개의 장착 카드를 다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생김새와 이름을 봐서알겠지만 건담 더블오 세븐소드에서 따온듯싶다.

코믹스 24화에서는 유세이가 루아와의 듀얼에서 정크 체인저와 정크 포워드를 소재로 삼아 싱크로 소환해 장착 마법 세메터리 블레이드를 장착하려 했으나 기계룡 파워 툴의 효과로 세메터리 블레이드를 강탈당하고, 이후 기계룡 파워 툴의 공격에 의해 말 그대로 목이 날아갔다.

공격명은 세븐 소드 슬래시(Seven Sword Slash), 효과명은 이큅 샷(Equip Shot).[8]

3.4.4. 시그널 워리어

해당 문서 참조.

3.4.5. 사운드 워리어 록스

유일하게 유세이와 관계 없는, 우연히 사운드 워리어 카드군이라 이름이 겹친 덕에 서포트를 받는 몬스터.

3.5. 레벨 8

3.5.1. 로드 워리어

로드 워리어
<nopad> 파일:1737015754.jpg
결집한 희망이 새로운 지평으로 인도한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希望が新たな地平へいざなう。光差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달려나가라, 「로드 워리어」!
シンクロ召喚!駆け抜けろ、「ロード・ウォリアー」!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하나된 희망이 새로운 지평으로 인도한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돌진하라, 「로드 워리어」!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파일:ロード・ウォリア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로드 워리어,
일어판 명칭=ロード・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Road Warrior,
레벨=8,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3000, 수비력=1500,
소재="로드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2 이하의 전사족 / 기계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스타터 덱 2009의 커버 카드로 등장한 카드. 워리어 몬스터 중 최고 공격력이다.[9] 하지만 로드 싱크론의 효과가 별로고, 튜너 이외에 싱크로에 필요한 몬스터의 매수에까지 제한이 걸려있어 소환하기 힘든 몬스터. 전용 덱을 짜야 한다.

이 카드를 쓴다면 덱 안의 몬스터들의 평균 레벨은 자연히 낮아지기 마련일 것이다. 그 점이 오히려 저레벨 몬스터를 지원하는 정크 싱크론이나 정크 워리어와 시너지를 내긴 한다.

특수 소환 효과의 경우 OCG화되면서 전사족 / 기계족 제약이 붙었는데, 이는 애니에서 효과로 원샷 부스터스피드 워리어를 소환한 걸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덱에서 도플 워리어볼트 고슴도치, 데블 프랑켄 등 유용한 몬스터들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싱크로 튜너들이 늘어나면서 이 카드의 활용도가 급격히 상승했는데, 제트 싱크론을 특수 소환한 뒤 레벨 스틸러와 조합해 포뮬러 싱크론해마파동룡 포논 드래곤액셀 싱크론 순으로 싱크로한 뒤, 액셀 싱크론으로 레벨을 조정해 거의 모든 레벨대의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거기다 제트 싱크론을 소재로 썼으니 정크 싱크론을 서치해오든, 패를 버리고 소환시켜 그턴에 추가로 전개를 더 하든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었다. 이 유연성이 엄청나서 로드 워리어 소환→최소 슈팅 퀘이사 드래곤 or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 나츄르 엑스트리오가 가능했다. 다만 이렇게 전용 덱을 짜면 엑스트라 덱의 소모가 극심해지며, 그마저도 레벨 스틸러가 금지가 되며 못 쓰게 됐다.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오프닝에서도 출현하고, 시공을 초월한 우정 개봉 당시 유세이의 인트로에서 아이돌 카드 대신 출현하는 장면으로 주력 카드 중 하나로서 밀어주었지만, 본편 출현 횟수는 겨우 두 번밖에 안 된다. 아래가 작중 활약상.

유희왕 5D's 45화에서 다크 시그너 루드거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했다. 로드 싱크론+튜닝 서포터[10]+볼트 고슴도치로 싱크로 소환해 대저의 아라크네를 공격했으나 파괴하진 못했고, 필드 마법 스파이더 웹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됐다.[11] 직후 로드 워리어의 효과로 원샷 부스터를 특수 소환해 대저의 아라크네를 파괴했다. 이어진 46화에선 효과로 스피드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고 어드밴스 드로우의 코스트로 릴리스됐다. 여담으로 북미 더빙판에서는 최초 등장시 로드 파이터라는 명칭으로 첫 등장했다. 이후 정식으로 TCG화 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

유희왕 5D's 48화부터 일부가 수정된 오프닝에서 터릿 워리어를 밀치고 지박신 Uru를 상대로 전투하는 모습이 나온다. 덱 특소 효과임에도 왠지 연출상 공격 같아 보인다.

고스트와의 배틀 로얄에 퀵 싱크론+볼트 고슴도치+리드 버터플라이로 싱크로 소환, 자신의 효과로 스피드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고 고스트를 공격했으나, 고스트는 오히려 A·O·J 코즈믹 클로저 3장을 특수 소환해 미조구치를 다굴해 패배시켰다. 로드 워리어가 빛 속성인 게 화근이었다.

공격명은 라이트닝 클로(Lightning Claw).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스타터 덱 2009 YSD4-KR041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성 편2- DP09-KR015 레어 한국
STARTER DECK 2009 YSD4-JP041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遊星編2- DP09-JP015 레어 일본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5 Vol.1 AT09-JP001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Starter Deck 2009 5DS2-EN041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Duelist Pack: Yusei 2 DP09-EN015 레어 미국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LC5D-EN035 노멀 미국

3.5.2.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3.6. 레벨 10

3.6.1. 스타더스트 워리어

3.6.2. 새털라이트 워리어

파일:サテライト・ウォリアー(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새털라이트 워리어,
일어판명칭=サテライト・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Satelite Warrior,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싱크로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파괴한 수 × 1000 올린다.,
효과2=②: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 8 이하의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합계 3장까지 자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6에서 추가된 오리지널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 이름의 모티브는 후도 유세이잭 아틀라스, 크로우 호건과 줄곧 살아왔던 새틀라이트를 의미한다.

레벨 10인 주제에 공격력 / 수비력이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같지만 효과가 커버해준다.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기만 하면 묘지의 싱크로 몬스터 수만큼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고, 파괴한 카드 1장당 공격력이 × 1000씩 상승하기에 이론상 최대 공격력은 14500. 때문에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이나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하기 위해 여러 번 싱크로 소환하는 정크 도플 덱에 채용할 여지가 있다. 또한 파괴되어도 그 보험 효과로 묘지의 몬스터들을 부활할 수 있기에 다시 그 몬스터들로 싱크로 소환하면 그만.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자신 묘지의 싱크로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고 그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유발효과. 자신의 싱크로 소환에 1장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가 필요하므로 1장 이상은 파괴할 수 있다. ②의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묘지 자원을 채울 필요가 있으니 가능하면 3장 정도는 묘지에 싱크로 몬스터가 있는 상황에서 싱크로 소환하는 게 좋다. 자기 강화는 파괴한 카드 1장당 1000이란 높은 상승치이므로 1장이라도 파괴하면 3500, 3장 이상 파괴하면 5000을 넘는다.

②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된 이 카드가 파괴됐을 경우에 자신 묘지에서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효과. 3장까지이며 묘지에 3종류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싱크로 몬스터 중 1장이라도 있으면 소생시킬 수 있다. 자신의 효과로 파괴된 경우라도 발동할 수 있어 자신의 턴에 발동하는 것도 좋다. 그 경우 싱크로를 주축으로 삼는 덱이라면 미리 전개한 플뢰르 드 바로네스의 효과를 활용하여 파괴시키는 것이 유효한 전략이 된다. 표시 형식 제한도 없어 배틀 페이즈 중에 발동할 수 있으면 추격도 된다.

상대 턴에 소생했을 경우 소생한 몬스터를 그대로 날리는 수가 있다. 일단 메인 페이즈에 파괴해주면 싱크로 튜너의 싱크로 소환 효과로 대형 몬스터 소환에 연계할 수 있지만, 배틀 페이즈에 전투 파괴되었을 경우 벽으로밖에 못 쓸 수도 있다. 거기다 파괴가 아닌 제외나 바운스엔 무력하므로, 프리 체인으로 자신이 파괴할 수 있는 효과를 쓰는 게 낫다.

소생하는 카드는 레벨 8 이하 외엔 제한이 없으니 이들을 조합해 2장째 이 카드를 포함하는 여러 싱크로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다. 포뮬러 싱크론과 레벨 5 싱크로 몬스터 2장으로 조합하면 슈팅 퀘이사 드래곤 등을 싱크로 소환할 수도 있다. 다만 인플레가 상당히 진행된 현 상황에서는 가성비가 좋지는 않다. 엑몹 3장이나 잡아먹는 거 치곤 1회 퍼미션이 전부인지라...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도 같은 맥락.

결국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이용하여 전개에도 도움을 주면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날려버리는, 두 가지 역할을 톡톡히 하는 이 카드가 사실상 현재 정크도플 혹은 스타더스트 관련 구축의 주요 에이스 카드로 떠오르고 있다.

①②의 효과 모두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려면 묘지 자원을 채울 필요가 생긴다. 특히 ②의 효과는 여러 장의 싱크로 몬스터를 소생 제한을 충족시키고 묘지로 보낼 필요가 있기에, 이들을 충분히 쓸 수 있는 덱은 스타더스트, 정크도플 구축의 덱으로 한정된다.

정크 스피더로 레벨 합계 5가 되도록 싱크론 튜너를 리크루트하면, 워리어나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경유해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어 싱크로 몬스터 2장을 묘지에 둘 수 있다. 레벨 1 싱크론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게 될 제트 싱크론과 스피더만 싱크로해도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가 나오고 벌써 레벨 3 싱크론과 스피더를 싱크로해도 스타더스트 드래곤 혹은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나오는데 이 카드들을 전개에 활용하여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부르고 새털라이트 워리어를 불러내서 바로네스의 파괴 효과로 새털라이트 워리어를 파괴하는 걸로 위의 언급된 스타더스트 혹은 싱크론이나 워리어 몬스터를 다시 활용하여 빌드를 세우는 데에 쓰인다.

새털라이트 싱크론과 함께 등장한 카드지만, 소환 조건에 관련 튜너 싱크론 몬스터가 있는 다른 싱크로 워리어와 달리 튜너 지정이 따로 없다. 따라서 싱크로 소재의 자유도는 높지만, 퀵 싱크론[12]이나 정크 앵커의 효과에 의한 싱크로 소환은 못 한다.

소생시킬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 중 최고 공격력은 3000의 로드 워리어, 2위는 2800의 니트로 워리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DP23-KR023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23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LED6-EN023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 서포트 카드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를 서포트하는 카드. 싱크론/스타더스트와의 합동 지원은 ★ 표시

5. 카드군 범위 외 목록

OCG에서는 카드군으로 정식 지정된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카드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워리어(유희왕)/카드군 미지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리어(유희왕)/카드군 미지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리어(유희왕)/카드군 미지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본래 관계 없지만 카드군 지정에 포함되어버린 사운드 워리어 록스는 기계족.[2] 그래봐야 정크, 니트로, 터보 3장 뿐이지만... 다만 애니에서 등장한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는 전부 첫 등장한 듀얼에서 승리했다.[3] 팬텀 오브 카오스처럼 카드명 복사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싱크로 몬스터 중에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뿐이고, 이 카드로 복사할 수 있는 것은 어둠 속성 몬스터 뿐이기 때문.[4] V점프 연재본에서는 2000이었으나, 단행본에서 현재와 같이 수정되었다.[5] 기존에 가장 공격력이 높던 정크 버서커를 세번 사출해도 원턴킬은 가능했으나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은 자체적으로도 대량 전개 효과가 있기에 버서커보다 쉽게 킬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차별점이다.[6] '추참(事象)'이란 '청하지도 않았는데 스스로 방문함'이란 의미로, 쉽게 풀이하면 '예고도 없이 찾아간다'는 의미이다.[7] '광래(光来)'는 '높으신 분이 온다'는 뜻을 가진 단어로, 유희왕에서 만들어낸 조어가 아닌, 일본어에 존재하는 단어이다. 유세이가 소환영창에서 이 단어를 쓰는 몬스터로는 붉은 용의 힘을 받아 진화한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코믹스에서는 액셀 싱크로 몬스터인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이 존재한다.[8] 동명의 함정 카드가 있으며 원작에서의 사용자도 같다.[9] 워리어 몬스터 중 최고 레벨이란 타이틀은 스타더스트 워리어에게 넘어갔지만, 공격력은 서로 같다.[10] 레벨 1이지만, 효과로 레벨 2 취급된다.[11] 여기서 다음 턴 대저의 아라크네로 로드 워리어를 장착하고 직접 공격하면 죽음의 댄스를 추게 될 거란 루드거의 말에, 유세이는 댄스는... 못 추는데 (ダンスは… 苦手だな)라고 응수한다.[12] 특히 새털라이트 워리어는 레벨 10이나 되는 수치다보니 만약 새털라이트 싱크론을 소재로 지정했다면 정크 워리어/제트 워리어에 즉시 튜닝할 수 있었을 것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카아 워리어, version=32,
title2=중강갑 워리어, version2=23,
title3=제트 워리어, version3=32,
title4=터보 워리어, version4=104,
title5=그레비티 워리어, version5=31,
title6=마이티 워리어, version6=24,
title7=세븐 스워드 워리어, version7=33,
title8=새털라이트 워리어, version8=34,
title9=로드 워리어, version9=112,
title10=라이트닝 워리어, version1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