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지박신 관련 틀 |
"지박" 관련 카드군 및 테마 | |
지박 | 지박신 |
<colbgcolor=#423158> 지박신 | |||||
<nopad> | |||||
한국어판 명칭 | 지박신 | ||||
일어판 명칭 | [ruby(地縛神, ruby=じばくしん)] | ||||
영어판 명칭 | Earthbound Immortal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어둠 | 다종족 | 효과, 필드 마법 |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3.1. 레벨 10
4. 마법 카드3.1.1. 지박신 Ccapac Apu3.1.2. 지박신 Ccarayhua3.1.3. 지박신 Aslla piscu3.1.4. 지박신 Uru3.1.5. 지박신 Cusillu3.1.6. 지박신 Chacu Challhua3.1.7. 지박신 Wiraqocha Rasca
3.2. 레벨 124.1. 지박신의 부활
5. 함정 카드6. 서포트 카드7. OCG화되지 않은 카드8. 덱 구성 및 참고 카드9. 기타10. 둘러보기1. 개요
<colbgcolor=black><colcolor=#fff> 지박신의 테마곡 |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의 지박신 소환 BGM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2.1. 원작
원작의 공통 효과 |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지박신"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일반 소환/반전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필드 마법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효과가 무효화되며, 엔드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이 카드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상대의 마법 / 함정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1] |
모티브는 나스카 지상화. 케찰코아틀과 대립하는 신이란 점에서는 테스카틀리포카에게서도 어느 정도 따온 듯 싶다. 지박령의 그 지박이며, 령(靈)대신 신(神)이 붙어 있기에 땅에 묶여있는 신이라는 뜻이다. 이 점을 반영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드 마법이 존재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지만 5D's에서는 어떤 방법으로도 필드에서 벗어날 수 없는 무적의 필드 마법 스피드 월드가 발동되어 있는 라이딩 듀얼이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필드 마법에 대한 디메리트는 거의 소용없었다.[2]
5000년 전의 싸움에서 시그너와 붉은 용에게 패배해서 잉카의 땅에 지상화의 모습으로 봉인되어 있던 사악한 신들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풍화 작용 등으로 지상화의 힘이 약화되는 바람에 사악한 힘이 뿜어져 나와서 사람들을 악으로 물들이기 시작한다. 이들의 힘에 의해 세상이 멸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붉은 용의 힘을 물려받은 이들이 바로 시그너.
전원 시커먼 육체와 특정 문양이 온몸을 뒤엎고 있는 모습으로 그 크기는 시그너의 드래곤들이 난쟁이로 보일 정도로 거대하다.[3] 소환될 때는 허공에 지박신의 심장이 나타난 뒤 지상화가 전개된 지역의 인간이나 정령들의 영혼을 흡수한 다음 육체를 만들어 강림한다.[4] 다행히도 해당 지박신이 파괴되면 흡수당한 인간들은 전부 되살아난다.[5] 이후로도 이들보다 거대한 몬스터는 극신성제 오딘, 그리고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와 CNo.9 천개요성 카오스 다이슨 스피어[6]뿐이다.
알파벳으로 적혀있는 이름들은 고대 잉카의 언어인 케추아어이며, 이 때문에 2기가 방영하는 동안 유저들 사이에서 케추아어 열풍이 돌기도 했었다. Ccapac Apu, Aslla Piscu, Ccarayhua, Cusillu는 구 모멘트의 제어 장치의 코드네임으로, Uru는 구 모멘트 그 자체를 상징하는 이름이었다.
지박신도 정령처럼 고유의 자의식이 묘사되기도 한다. 다크 시그너들이 싸울 의지를 상실해서 듀얼을 그만두려고 할 때, 지박신들이 다크 시그너의 정신을 지배해서 듀얼을 강제적으로 계속하게 했다. 이때의 1인칭은 와레. 보머, 칼리, 미스티가 이런 경우였다. 하지만 듀얼하는 당사자인 빙의된 대상의 의지는 무시할 수 없는지, 고드윈에 대한 복수를 꿈꾼 보머나 이자요이 아키에 대한 복수를 꿈꾼 미스티는 듀얼과 목표가 관계가 없던지라 듀얼을 중단하려했지만 듀얼이 끝날 때까지 지배했지만, 칼리는 자신의 패배가 의지였기 때문에 지박신이 그것을 무시할 수 없었다.[7]
원작에서 지박신은 Wiraqocha Rasca를 제외하면 OCG판의 효과를 그대로 가지고 있었으나, 공통으로 지닌 효과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2.2. OCG
"지박신" 몬스터의 공통 효과 |
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
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
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8] |
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
5D's 전반부를 장식한 보스 몬스터에 애니에서 보여준 무지막지한 존재감과 박력으로 당시 시청자들에게 큰 인상을 남겨준 몬스터들이었으나 정작 지박신을 주축으로 한 덱을 돌리거나 하는 것은 당시에나 지금에나 상당히 어렵다. 스카레드 노바를 뺀 지박신들은 소환을 보조하는 효과 같은 게 없어서 생으로 나와야 하는데다가, 필드 마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박 카드군이 OCG화되기 전까지는 10기에서 지원을 받았을 때도 불안정하다고 평가받았다.
이는 일단 지박신이 레벨이 모두 10이라 2장을 제물로 바쳐야 하는 초대형 몬스터임에도 지박신을 서치/특수 소환할 수단이 적었다는 것, 그리고 필드 마법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점이 컸다. 그렇게 불러낸 지박신 자체에는 내성이 없어서 견제당하기 쉬우며 시작 라이프가 8000이라 턴킬을 내기도 어려웠다.
2019년에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5에서 오랜만에 서포트를 받았다. 대체로 렉스 고드윈의 잉카 테마 싱크로 덱과 맞물려서 원턴킬을 노리는 덱으로 방향을 잡은 듯하다. 보통 원턴킬 관련 날빌은 제제하는 코나미 특성상 원턴킬 자체를 테마로 잡은 건 이례적인데,[9] 일단 선턴 킬은 아닐뿐더러 아무리 지원을 받았다고 해도 현 환경에서 무겁고 불안정한 지박신을 쉽게 굴릴 수 없으니 나름대로 파격적인 대우를 해준 것으로 보인다. 물론 환경이 환경인지라 승률이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일관된 전략이 생긴 건 이득. 지박초신관 덕분에 상대의 라이프를 직접 깎을 필요 없이 최소한의 견제만 하면 되기 때문에 파츠 모으기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은 편하다.
물론 그렇다 해도 지박초신관 자체를 서치할 수단이 범용 카드 외에는 없고, 막상 덱의 주인공인 지박신들은 오히려 패말림 파츠로 작용하니 실전적인 운용은 어려웠다.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서 ARC-V의 테마 지박이 OCG화되면서 하위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카드군 자체는 몬스터만 지원 대상이긴 하지만, 이와 별개로 이계공명-싱크로 퓨전과 필드 마법인 지박뢰는 카드군 내에서도 직접적으로 서치할 수 있어서 지박신을 혼용하는 것도 가능. 대표적으로 필드 마법 지박뢰의 경우 일소권 추가로 어드밴스 소환을 보조해주며 파괴 시 상대에게 상당한 손해를 주기에 유사 내성 필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랜드 키퍼로 라인 워커를 특수 소환하면 라인 워커의 효과로 지박뢰를 서치하여 원핸드로 필드 마법과 릴리스 2장을 마련하는 게 가능해진다. 또한, 지오글리샤=라볼라스는 보험 효과로 지박신을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오그리폰은 묘지에서 지박신을 특수 소환하는 게 가능하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지박계례 지오그렘리나가 나오면서 지박신을 즉시 서치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 이전까진 지박초신관이나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외에는 서치 수단이 없었으나 지오그렘리나의 등장으로 지박신 자체를 서치하든가, 초신관을 서치해서 소환 후 지박신을 서치 > 어드밴스 소환 후 라이프를 줄여 원턴킬 하는 플랜을 보다 쉽고 실전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4에서 지박신 스카레드 노바가 OCG화되었으나 지박신의 아이덴티티인 직접 공격 효과가 없고 패에서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등 원작에서도 그랬듯 기존의 지박신이랑은 이질적인 효과로 나왔다. 그래도 패/필드에 있는 지박신이나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코스트로 덱에서 다른 지박신을 특수 소환시켜주기에 시너지가 없는 편은 아니다. 현 시점에서는 Aslla Piscu와 스카레드 노바 정도가 제일 많이 쓰이는 편.
2.3. 유희왕 듀얼링크스
2019년의 키류가 풀리면서 처음으로 듀얼링크스에도 추가되었다. 현재는 필드 마법을 치우면 자멸한다는 큰 리스크, 소환에서의 어려움, 범용 마함의 압박 등이 크게 작용해 티어권과는 거리가 먼 상황이나 의외로 덱 잘만 짜면 나름 잘 굴러간다.다만 지박신의 획득 경로는 한정되어 있는 편. 일단 Ccapac Apu와 Aslla Piscu는 현재까지 대응되는 다크 시그너의 시작 덱에서만 획득이 가능하기에 각각 1장씩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나온 Wracocha Raska도 마찬가지였으나 후에 라이딩 듀얼 이벤트 보상들로 풀리면서 이론상 획득 매수는 무제한이 되었다. 그 뒤, 라이딩 듀얼에서 먼저 Uru가 풀렸고 그 다음에 Cusillu가 나왔다.
상대 필드에 필드 마법이 있어도 소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필드 마법을 자주 쓰거나 거기에 의존하는 덱에게 매우 강하며 그중 아로마 덱에게 엄청난 악몽을 보여줄 수 있다. 반면 상대의 마/함을 매우 쉽게 치울 수 있는 요선수와 벤데드, 해황 머메일은 최악의 천적이라 할 수 있다.
듀얼링크스에서 지박신 파트를 한창 다룰 때는 다크 시그너 키류, 칼리 나기사, 고드윈이 연달아 등장하여 Ccapac Apu, Aslla piscu, Wiraqocha Rasca까지는 순풍처럼 나왔으나, 그 이후 스토리가 다음으로 넘어가면서 다른 지박신들은 그대로 출시 시기가 불명이 되어버렸다.[10] DM이나 GX 등 나중에 지나친 캐릭터를 챙겨준 사례가 있기에 출시의 가능성이 0은 아니나, 정말 내줄 게 없어 최후의 보루가 됐을 때나 나올 것이다. 그냥 극신이나 즈신처럼 사용자 출시를 염두에 두지 않고 팩에다 싸게 풀어버리는 수도 있지만, 몇 년이 지나도 그럴 기미가 안 보이는 걸 보면 코나미는 보험용으로 남겨두려는 모양이다.
- 사황제의 능묘는 최대한 투입
현재 카드 풀에서 사황제의 능묘 이외의 필드 마법으로 버티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아니, 다시 말하자면 능묘 없이는 지박신 소환 자체가 로망에 가깝다. 카드 트레이더에게 매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부담 없이 구매가 가능하니 꼭 3장을 채워놓자. 물론 후반에 1장이 잉여가 되는 것이 싫다면 2능묘 + 1네크로밸리 등도 고려해 볼 만하다.
- 스킬은 드로우 센스: 지박신 권장
렉스 고드윈의 스킬 중 지박신 서포트 스킬은 많지만 그중 가장 높은 효율을 자랑하는 게 바로 이 스킬이다. 항상 지박신 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패에 능묘와 지박신이 둘 다 잡히지 않으면 말린다는 것인데, 이 스킬을 사용하면 코즈믹 싸이크론 등으로 1000 LP만 지불하면 바로 덱에서 지박신을 서치해 오기 때문에 전개력이 상승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 지박선풍, 지박파 등 필드에 지박신이 존재해야 발동 가능한 마법/함정들은 넣지 말 것
이 카드들은 현실 듀얼에서도 쓰이지 않는다. 패 말림의 주범일뿐더러 지박신이 필드에 없다면 그대로 패에서 영원히 썩는 데다가 효율도 영 좋지 않으므로, 각종 덱 압축 카드와 LP 회복기들로 채우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카운터 함정을 넣을 거라면 그냥 천벌이나 마궁의 뇌물을 쓰자. 지박신은 종류불문 필드에 한 장만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덱은 어차피 잉여 패가 남아돈다.
- 지박신 Wiraqocha Rasca는 안 넣는 것을 권장
다른 지박신들과는 다르게 위라코챠 라스카는 자신에게 코스트를 요구하는데, 최소 1장은 되돌려야 하므로 기껏 소환해 놨더니 자신 필드 마법을 되돌려서 자멸하기도 한다. 그렇지 않더라도 상대 패 털이는 나쁜 능력이라곤 볼 수 없으나, 무엇보다 코스트는 더럽게 큰 데 비해 타 지박신들에 비해 공격력도 낮고 소환 즉시 효과 외에 아무 내성도 없는지라 너무 쉽게 털려버린다. 가끔 원작 재현을 위해 '최강의 지박신' 스킬을 넣고 위라코챠 라스카를 내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간혹 보이는데, 그건 말 그대로 로망 그 자체이다.[11] - 단, Wiraqocha Rasca의 공격력이 100밖에 안되는지라 각종 리크루트에 대응되고, 이 카드를 리크루트로 먼저 특수 소환하고 스왈로즈 네스트를 경유해서 Aslla piscu를 꺼낼 수 있기에 다른 방법으로 활약이 가능하다. 그렇다곤 해도 Wiraqocha Rasca를 채용하더라도 에이스로 쓰지는 말 것.
- 주요 파츠들 일람
코즈믹 싸이크론: 정말 필수 of 필수인 카드. 지박신 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마함을 고르고자 한다면 단연 파문의 베리어 -웨이브 포스-이다.[12][13] 웨이브 포스뿐만 아니라 각종 함정들을 견제할 수 있을뿐더러, 가장 큰 진가는 1000 LP를 지불함으로서 드로우 센스: 지박신의 발동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때문에 첫 턴을 어떻게든 버텼다면 다음 턴에 바로 지박신을 불러올 수 있는, 여러모로 지박신과 잘 맞는 카드.
드레인 실드, 레인보우 라이프 등 범용 LP 회복 카드: LP 회복기를 넣지 않는다면, 지박신 소환에 실패 시 그냥 항복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선공 패에 능묘 + 지박신이 잡히지 않는다면 이 카드들을 넣지 않으면 한 턴을 버티는 게 거의 불가능할뿐더러, 드로우 센스 지박신 스킬은 발동 조건이 LP 4000->LP 3000이어도 발동하지만, LP 4000->LP 3000->LP 5000이 되어도 발동하기 때문에 스킬에 영향을 미칠 일도 없을뿐더러, 레인보우 라이프의 패 1장 코스트도 어차피 이 덱은 지박신 전개에 성공하면 나머지 능묘는 잉여가 돼버리기에 패 코스트도 매우 가볍게 느껴진다.
5~6레벨 범용 몬스터: 1000 LP를 깎는 데 필요할뿐더러 패가 말렸을 때 필드를 지키는 데도 필요하다. 또한 어느 정도 빌드가 완성되고 나서 패 코스트용으로도 쓰기 좋다. 또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같이 상대 필드를 쓸어버리는 카드들을 채용해도 좋다.
성유물을 둘러싼 싸움: 지박신 Aslla piscu와 좋은 궁합을 자랑하지만 지박신이 없는 상태에서 이게 뜨면 패 말림을 유발할 수 있으니, 국소나 에너미 컨트롤러, 컨센 등 범용 2제 마함 1장을 넣는 것이 추천된다.
3. 효과 몬스터
"지박신" 몬스터 효과 비교 | |||
{{{#!folding [ 보기 ] | <rowcolor=#fff> 카드명 | 고유 효과 | |
<colbgcolor=#000> 지박신 Ccapac Apu (코카파크 아프) |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
지박신 Ccarayhua (코카라이아) | 이 카드가, 이 카드 이외의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 ||
지박신 Aslla Piscu (아스라 피스크) |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이 카드의 효과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파괴한 수 × 8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
지박신 Uru (우르) |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 ||
지박신 Cusillu (쿠시르) |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의 LP를 절반으로 할 수 있다. | ||
지박신 Chacu Challhua (챠크 챠루아) |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이 카드의 수비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 |||
지박신 Wiraqocha Rasca (위라코챠 라스카) |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의 패의 매수만큼 자신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최대 3장까지). 그 카드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그 수만큼 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골라 버리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버린 수 x 1000 올린다. |
3.1. 레벨 10
3.1.1. 지박신 Ccapac Apu
지박신 Ccapac Apu | ||
<nopad> | ||
인간의 영혼을 제물 삼아, 강림하라! 「지박신 Ccapac Apu」! 人々の魂を生け贄に、降臨せよ!「地縛神Ccapac Apu」!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키류 쿄스케(다크 시그너)-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Ccapac<rp>(</rp><rt>코카파크</rt><rp>)</rp></ruby> <ruby>Apu<rp>(</rp><rt>아프</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Ccapac<rp>(</rp><rt>コカパク</rt><rp>)</rp></ruby> <ruby>Apu<rp>(</rp><rt>アプ</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Ccapac Apu,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디자인의 모티브가 된 지상화는 "거인". 정확히는 미묘하게 생긴 사람 형태의 그림이라, 외계인을 그린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도 있다. 일본신화의 다이다라봇치도 참고한듯. 특유의 기묘한 생김새 때문에 일본 현지에선 가챠핀[14]이라고도 불린다.
작중에서 최초로 등장한 지박신으로, 키류가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이 파괴되자 효과로 서치한 후 데미지 트랜슬레이션의 효과로 생성된 토큰 2마리를 제물로 바쳐서 소환하였다. 소환되면서 하급 다크 시그너로 추정되는 추종자들의 영혼을 제물로 흡수해버리는데 그 압도적인 거체와 위압감으로 당시 등장인물들은 물론 시청자들마저 경악하게 만들 정도로 엄청난 포스를 선보여주었다. 곧바로 효과를 통해 유세이에게 직접 공격을 날리면서 유세이를 패배 직전까지 몰아넣으나 유세이의 D휠 기능 이상으로 사고가 발생하여 듀얼이 강제로 중단
기본 공격력은 우르와 함께 지박신 중에서 제일 높으며 효과는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과 동일하게 몬스터를 파괴하면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효과 데미지를 주는 것. 상대 몬스터가 공격 표시라면 상대 몬스터 하나 파괴+직공급 데미지를 그대로 줄 수 있고, 수비 표시면 직접 공격을 할 지,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번 데미지를 줄지 고를 수 있다.
주인인 키류 쿄스케의 인페르니티 덱과의 상성은 0에 가깝다. 인페르니티의 특성상 전개 완료 후에는 패가 0장, 잘해야 1장 정도만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얘는 다른 인페르니티 몬스터들처럼 어둠 속성이긴 해도 정식 인페르니티 카드가 아니기 때문에 순수하게 말림패로만 작동하고, 별도의 필드 마법도 소생 수단도 존재하지 않는다.
묘하게 동글동글한 카드 일러스트와 주인인 키류의 컬트적 인기, 준수한 성능 덕분에 유저들로부터는 가장 사랑받는 지박신이다. 별명은 만족신(満足神) Satisfaction.
Ccapac Apu라는 발음이 좀 혀가 꼬여서 MAD에서는 키류 등이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지 않고 더듬거리는 기믹이 있다. 실제로 유세이의 성우 미야시타 유우야도 녹음하면서 Ccapac Apu의 이름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했다고 트위터에서 밝히기도 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장렬한 전투 | RGBT-KR020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RAGING BATTLE | RGBT-JP020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Raging Battle | RGBT-EN020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2. 지박신 Ccarayhua
지박신 Ccarayhua | ||
<nopad> | ||
나의 생명을 되살려낸 신이여! 자, 이 생명을 바치노니! 긴 주박에서 풀려나소서! 「지박신 Ccarayhua」! 我が命蘇らせし神よ、さあ、この魂を捧げる!永き呪縛から解き放たれよ! 「地縛神Ccrayhua」! -유희왕 5D's 제39화 中 미스티 로라(다크 시그너)-[15]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Ccarayhua<rp>(</rp><rt>코카라이아</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Ccarayhua<rp>(</rp><rt>コカライア</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Ccarayhua,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1800, 종족=파충류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이 카드가 다른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미스티 로라가 사용한 지박신. 이름은 케추아어 Qaraywa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도마뱀. 모티브가 된 지상화 역시 도마뱀인데, 실제 도마뱀 지상화는 고속도로 건설 때문에 꼬리 부분이 끊어져 있고 발도 없어졌다.
작중에서 2번째로 등장한 지박신이지만 OCG화는 가장 늦었던 지박신. 아르카디아 무브먼트 본부 빌딩 근처에 있던 네오 도미노 시티의 주민들의 영혼을 강제로 제물로 바쳐 소환했으며, 이자요이 아키에게도 지박신에 대한 공포를 심지만, 같은 곳에서 벌어지던 칼리와 디바인의 어둠의 듀얼의 영향으로 아르카디아 무브먼트가 붕괴하면서 듀얼은 중지된다.
아키와 미스티의 두 번째 듀얼에서 다시 소환된다. 이때 듀얼 존 밖에선 유세이의 재빠른 대처와 디바인의 실책 때문에 미스티가 동생 토비를 살해한 진범이 디바인임을 깨닫자 그녀의 분노에 호응하여 디바인을 잡아먹었다.[16] 이후 복수를 끝낸 미스티는 아키와 듀얼을 계속할 이유가 없어서 항복하려 했지만, Ccarayhua가 미스티를 지배하면서 듀얼을 속행시켜버렸다. 지박신들 중 유일하게 애니 내에서 고유 효과가 발동된적이 없다.
작중 모습이나 현실 효과나 이래저래 불쌍한 카드로, 같은 에피소드에서 바로 직후에 등장하는 Aslla Piscu가 비슷하면서도 더욱 쓸만한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필드 클린 효과는 확실히 강력하지만 강제 효과라 막을 수 없으며 자신의 카드도 휘말리므로 자신도 손해를 보게 된다는 점이 치명적. 묘하게도 미스티 로라의 상대였던 아키의 시그너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도 광역 파괴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이 효과의 발동 조건이 필드가 아니라 그냥 파괴라는 점을 보고 패에서 파괴[17]하는 걸 노리는 것도 가능. 덱에서 파괴해도 효과가 발동하긴 하지만, 덱에서 파괴하는 효과는 드문 편.
그렇긴 해도 결국은 내 필드도 싸그리 초토화되는 효과기도 하고, 위에 적은 블랙 로즈 드래곤이 부르기도 훨씬 쉽다. 그 블랙 로즈 드래곤도 안 쓰이는 형국이고. 그래서 이 쪽은 지박 덱보다는 파충류족 덱의 조커로 가끔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킹그렘린으로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네이크 레인 등으로 묘지로 보내기도 쉽고, 명세계의 사수련, 레프티레스 리코일[18] 등 소생 수단도 많다.
주인인 미스티의 덱인 레프티레스 카드군도 파충류족 덱이라 궁합이 있긴 하지만, 종족을 빼면 시너지가 거의 없다 보니 자주 들어가지는 않는 편.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24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ARDUST OVERDRIVE | SOVR-JP024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ardust Overdrive | SOVR-EN024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3. 지박신 Aslla piscu
지박신 Aslla piscu | ||
<nopad> | ||
지금 또다시, 5천 년의 시간을 거슬러, 명부의 문이 열린다! 우리들의 영혼은 새로운 세계의 양식이 될지니! 今再び、五千年の時を越え、冥府の扉が開く!我らが魂を新たなる世界の糧とするがいい! 강림하라! 「지박신 Aslla piscu」! 降臨せよ! 「地縛神Aslla piscu」! -유희왕 5D's 제39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칼리 나기사(다크 시그너)- | ||
지금 또다시, 5천 년의 세월 동안 잠들어 있던 저승의 문이 열릴 것이다! 우리들의 영혼을 새로운 세계의 양식으로 할 것이니! 강림하라! 「지박신 Aslla piscu」!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칼리(다크 시그너)더빙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Aslla<rp>(</rp><rt>아스라</rt><rp>)</rp></ruby> <ruby>piscu<rp>(</rp><rt>피스크</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Aslla<rp>(</rp><rt>アスラ</rt><rp>)</rp></ruby> <ruby>piscu<rp>(</rp><rt>ピスク</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Aslla piscu,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500, 수비력=25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이 카드의 효과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파괴한 수 × 8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칼리 나기사가 사용한 지박신. 이름은 케추아어로 작다는 뜻의 Aslla와 새라는 뜻을 가진 pisqu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작은 새. 모티브가 된 지상화는 가장 유명한 지상화인 벌새. 이름이 두 단어로 되어있는 지박신 중 유일하게 뒤의 이름의 글자가 소문자로 되어 있는 지박신이다.
작중에서는 다크 시그너로 막 각성한 칼리가 디바인과의 리벤지 듀얼에서 필드 마법 퓨처 비전과 연계해서 소환한 Aslla piscu를 제외하고 디바인에게 데미지를 주면서 승리했다. 잭과의 듀얼에서도 소환되어 직접 공격을 걸지만 잭은 배틀 페이더의 효과로 넘기고, 다음 턴에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을 소환. 잭은 쇼크 웨이브로 칼리와 동귀어진할 생각이었지만, 칼리가 먼저 지박해방으로 선수를 치면서 결과적으로 칼리 혼자 자폭한다.
지박신 중에서 채용률이 가장 높은 카드다. 공격력이 제일 낮긴 하지만, 필드에서 자기 효과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를 벗어나면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들을 쓸어버리는 강력한 효과가 있기 때문. 심지어 6기 카드임에도 저 발동 조건이 "경우"라서, 싱크로 / 융합 / 링크 등의 특수 소환이나 어드밴스 소환용 소재로 사용했을 경우에도 이 효과가 발동한다. 게다가 몬스터 존이라는 얘기도 없으므로 필드에 마법/함정 존에 박혀 있는 상태여도 이 효과는 격발된다.
단, 몬스터를 파괴한 후에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몬스터가 파괴되지 않으면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 또한 효과 발동 조건에 적혀 있듯이 뒷면 수비 표시가 되어 필드에서 벗어날 경우엔 이 효과를 쓸 수 없게 되므로 주의할 것.
유니온 캐리어가 금지되기 전까지는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한 상태에서 파괴하거나, 장착된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게 하여 룰에 따라 파괴하는 방식으로 몬스터 존에 놓지 않고도 필드를 벗어나게 하는 방법도 쓰였다. 상대 필드에 토큰을 소환할 수 있는 블랙 가든과 조합해 선턴킬 루트가 발견되었으나, TCG에서는 유니온 캐리어의 금지, OCG에서는 다른 간단한 선턴킬이 등장하며 사장되었고, OCG에서도 캐리어가 금지되어 해당 전술은 역사 속으로 시라졌다.
지박신 덱 외에서도 종종 쓰이기도 한다. 자체 기믹으로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후완다리즈[20]가 조커로 투입하는 정도.
이후 지박계례 지오그렘리나가 공개되면서 또 다시 블랙 가든을 조합한 FTK 루트가 연구되고 있다. 이번엔 지오그렘리나로 지박초신관을 서치 후 초신관의 라이프를 3천으로 줄이는 효과와 병행해 효과 데미지로 선턴킬을 하는 플랜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주인인 칼리의 덱인 포츈 레이디와는 시너지가 아예 없다. 필드에서 제외시 효과를 격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긴 한데 그게 끝이고 종족도 서로 안 맞는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 라이딩 듀얼리스트로 등장하는데, 출현 조건이 특수 소환 573회.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장렬한 전투 | RGBT-KR019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RAGING BATTLE | RGBT-JP019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Raging Battle | RGBT-EN019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4. 지박신 Uru
지박신 Uru | ||
<nopad> | ||
나의 운명의 빛에 이끌린 망자들의 영혼이여! 我が運命の光に潜みし亡者達の魂よ! 유전되는 이 세계에 암흑의 진실을 이끌기 위해, 나에게 힘을 부여하라! 流転なるこの世界に暗黒の真実を導くため、我に力を与えよ! 나타나라! 「지박신 Uru」! 現れよ!「地縛神Uru」! -유희왕 5D's 제56화 中 루드거 고드윈-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Uru<rp>(</rp><rt>우르</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Uru<rp>(</rp><rt>ウル</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Uru,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곤충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다크 시그너를 이끄는 수장인 루드거가 사용하던 지박신으로, 1호 모멘트에 잠든 망령들을 제물로 소환됐다. 이름은 케추아어 Uru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거미. 모티브 지상화 역시 거미.
유세이와 루드거의 첫 듀얼에서는 루드거의 대역이 된 래리 도우슨이 원샷 캐논으로 자폭하면서 파괴된다. 두 번째 듀얼에서는 2턴만에 소환되어 유세이를 위기로 몰고 가지만, 공격력이 500으로 내려가 스타더스트 드래곤에 파괴된다.
매턴 에너미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약소 몬스터를 대가로 상대의 강력한 몬스터를 뺏어 전투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거나 함께 상대에게 직접 공격을 해 높은 데미지를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참고로 필드 마법으로 암흑세계-섀도우 디스토피아-가 존재하면 상대 몬스터를 하나 릴리스하고 다른 상대 몬스터를 하나 훔쳐오는 날강도 같은 플레이도 가능하다.
곤충족 덱에서도 나름 시너지가 있는 편. 예를 들어 대타 메뚜기로 갑툭튀할 수가 있다.[21] 곤충족 서포트 카드 공진충으로 쉽게 서치해 오는 것도 가능. 그리고 기생충 파라노이드와 초진화의 고치에도 대응한다는 장점은 덤. 그 외에 과거에는 기가플랜트로 튀어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내성이 없어 높은 스테이터스로 단기 결착을 내야 하는 카드 특성상 안타깝게도 루드거의 스파이더 웹과는 상성이 좋지 않다.
공격명은 헬 스레드(Hell Thread). 상대에게 거미줄을 쏴서 공격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25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ARDUST OVERDRIVE | SOVR-JP025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ardust Overdrive | SOVR-EN025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5. 지박신 Cusillu
지박신 Cusillu | ||
<nopad> | ||
모든 자들이여, 이 위대한 존재에게 무릎 꿇어라! 나의 신! 「지박신 Cusillu」! 全ての者よ、この大いなる存在に跪け!我が神!「地縛神Cusillu」! -유희왕 5D's 태그포스 시리즈 中 디마크- | ||
정령의 영혼을 제물로, 강림하라! 「지박신 Cusillu」! 精霊の魂を生け贄に、降臨せよ!「地縛神Cusillu」! -유희왕 5D's 제50화 中 디마크-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Cusillu<rp>(</rp><rt>쿠시르</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Cusillu<rp>(</rp><rt>クシル</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Cusillu,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야수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의 LP를 절반으로 할 수 있다.)]
디마크가 사용하던 지박신으로, 정령의 영혼을 바쳐서 소환되었다. 이름은 케추아어 Kusillu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원숭이. 모티브 지상화도 원숭이.
필드에 소환된 적은 50화 한 번. 클로저 포레스트의 서포트로 공격력을 올린 다음 루아를 LP 400까지 몰아붙였다. 직후 듀얼을 이어받은 루카를 조롱할 겸 효과를 위한 릴리스 소재로 디마크가 고대 요정 드래곤을 소환한다. 루카가 고대 요정 드래곤을 탈환한 뒤, 파워 툴 드래곤과 고대 요정 드래곤의 협공으로 쓰러졌다.
상대의 라이프를 절반으로 한다는 고유 효과만 보면 강력해보이나, 정작 전투로 파괴당할 위기에서만 발동하는 효과인지라 기본적으로 공격 대상이 안된다는 지박신의 강점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해괴한 발동 조건 때문에 사실상 개별 효과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자기가 공격하다가 역관광당해서 터질 때도 발동은 하지만, Ccapac Apu와는 달리 스피릿 베리어 같은 거라도 나와 있지 않는 한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를 먼저 공격할 이유가 하등 없다. 반대로 이 카드가 공격받을 위기에 놓였다는건 효과가 무효화되었다는 뜻인데 이러면 효과 발동도 못하고 맞아죽는다. 능동적으로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는 상대 필드 위에 이 카드보다 강한 몬스터가 깔려 있을 때 자폭을 시도하는 수밖에 없고, 이렇게 무거운 몬스터를 낸 상태에서 전투 데미지까지 받고 다른 몬스터 한 장까지 희생시켜야 하는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겨우 상대 라이프를 절반으로 할 수 있기에 이런 용도로는 그냥 전투만 실행하면 상대 라이프 반토막이 되는 시계신 미치온을 쓰는게 낫다. 사실상 그냥 타점 2800의 다이렉트 어택커.
결국 이 카드의 활용법은 야수족이라는 특성을 이용해서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 등을 위시한 야수족의 파워를 보강해 주는 식. 야성해방 발동→한 대 때린다→캐틀 뮤틸레이션으로 돌렸다가 다시 소환해서 한 대 더 때린다의 루트를 타면 총 8000 데미지로 원턴킬을 내는 방법이 있다. 에어즈록 선라이즈로 소생이 굉장히 쉬운 축에 속한다는 점도 몇 없는 장점 중 하나.
그와 별개로 파괴를 대신하는 지속 효과 중에서 이례적으로 상대를 직접적으로 해치는 처리를 가진 독특한 몬스터이긴 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태고의 예언 | ANPR-KR016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ANCIENT PROPHECY | ANPR-JP016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Ancient Prophecy | ANPR-EN016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6. 지박신 Chacu Challhua
지박신 Chacu Challhua | ||
<nopad> | ||
적년의 원한을 쌓으며 대지에 잠든 영혼들이여! 積年の恨み積もりし大地に眠る魂達よ! 지금이야말로 더렵혀진 대지에서 나와, 나에게 힘을 빌려다오! 今こそ穢された大地より出でて、我に力を貸さん! 강림하라, 「지박신 Chacu Challhua」! 降臨せよ、「地縛神Chacu Challhua」! -유희왕 5D's 제53화 中 보머(다크 시그너)-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신 <ruby>Chacu<rp>(</rp><rt>챠크</rt><rp>)</rp></ruby> <ruby>Challhua<rp>(</rp><rt>챠루아</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 <ruby>Chacu<rp>(</rp><rt>チャク</rt><rp>)</rp></ruby> <ruby>Challhua<rp>(</rp><rt>チャルア</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Chacu Challhua,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900, 수비력=2400, 종족=어류족,
효과1=①: "지박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4=④: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5=⑤: 1턴에 1번\,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이 카드의 수비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6=⑥: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보머가 사용한 지박신. 이름은 케추아어로 사냥하다를 뜻하는 Chaku와 물고기를 뜻하는 Challwa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사냥하는 물고기. 모티브가 된 지상화는 범고래. 이름은 물고기고 종족도 어류족이지만, 당연히 고래는 포유류다.
보머가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와 다크 플랫 톱의 파괴를 트리거로 발동한 더럽혀진 대지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다. 크로우는 BF-고고한 실버 윈드의 효과로 지박신을 파괴하려 했지만, 지박신 내에 있던 사람들의 영혼[22]을 보고 당황하면서 틈이 생기고, 보머를 지배한 지박신이 멋대로 자기 턴을 진행시켜버렸다.(...) 최종적으로는 보머의 함정 카드 바사라의 효과로 파괴. 여담으로 애니메이션에서는 크로우 호건의 라이프가 900이라서 그에 맞춰서 차크 챠루아의 수비력이 1600으로 깎이는 굴욕이 있었다. 원래 수비력이었으면 보머가 그대로 이겼을 테니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공격력이 높은 축에 속하므로 직접 공격으로도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공격을 포기하는 대신 수비력의 절반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비 표시일 때 상대의 배틀 페이즈를 스킵하는 효과가 있어서, 다른 몬스터를 지키면서 상대가 배틀 페이즈에 발동하는 계통의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23] 또한 배틀 페이즈를 실행하지 않으면 메인 페이즈 2를 실행할 수 없다는 룰에 따라 불타는 죽도 등으로 상대의 메인 페이즈 1을 스킵하면 상대는 드로우-스탠바이-엔드 페이즈만 진행할 수 있다.
좋게 보면 공격에도 수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만능이지만, 공격 표시일 때는 효과가 없으며, 수비를 위해 쓰기엔 아까운 대형 몬스터라 어느 쪽이던 애매모호한 느낌을 지우기가 힘들다.
주는 데미지는 이 카드의 수비력을 참조하기 때문에, 번 효과의 발동에 체인되어서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나면 데미지를 줄 수 없다. 반대로 이 카드의 스탯을 끌어올린다면 높은 번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효과명은 다크 다이브 어택(Dark Dive Attack). 보머가 사용한 카드인 다크 다이브 봄버를 연상시킨다.
보머가 자의로 다크 시그너가 된 이레귤러한 특이점이 있어서 그런지, 지박신 중 유일하게 사용자의 덱과 관련성이 없다. 다른 다크 시그너들은 모두 사용 종족이 지박신과 같거나(코카파크 아프, 코카라이아, 쿠시르, 우르), 사용했던 필드와 지박신의 효과가 시너지가 좋거나(아스라 피스크), 덱의 테마가 지박신의 고향인 아즈텍 문명을 베이스로 하는(위라코챠 라스카) 등 최소한의 관련성이라도 있었는데 얘는 종족도, 컨셉도, 효과도 아무 상관이 없다. 굳이 끼워맞추자면 번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보머의 리액터 덱을 연상시키는 면이 있는 정도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번 데미지도 똑같이 800이다.
둠 오브 디멘션즈 기준 유일하게 효과를 6개 가진 몬스터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태고의 예언 | ANPR-KR01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ANCIENT PROPHECY | ANPR-JP01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Ancient Prophecy | ANPR-EN01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1.7. 지박신 Wiraqocha Rasca
다크 시그너 편의 진 최종 보스가 사용한 최고의 지박신. 다만 원작과는3.2. 레벨 12
3.2.1. 지박신 스카레드 노바
1만년 전, 버닝 소울을 가진 시그너의 선조에게 패배하여 지상화보다도 깊숙히 봉인된 진짜 최강의 지박신.원래 잭에게 최종 몬스터를 쥐여주기 위해서 급조된 설정으로 추정되었지만 긴 시간이 지나 애니메이션 크로니클에서 아예 카드로 OCG화되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4. 마법 카드
4.1. 지박신의 부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지박신의 부활,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の<ruby>復活<rp>(</rp><rt>ふっかつ</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Immortal Revival,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지박신" 몬스터 1장과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2:2 교환으로 즉시 필드 마법 카드와 지박신 카드를 묘지에서 가져올 수 있는 카드. 다만 필드 마법과 지박신이 둘 다 묘지에 있어야지만 사용 가능하기에 미리 준비 과정을 거쳐야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지박신이나 필드 마법 중 1장만 묘지에 있을 때 패 코스트로 묘지에 없는 지박신이나 필드 마법을 버려서 발동하는 것도 안된다. 반대로 이미 조건이 만족했을 때 패의 지박신이나 필드 마법 카드를 버려서 묘지에 있는 것으로 바꿔먹거나 패 코스트로 버린 카드를 다시 가져오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
5. 함정 카드
5.1. 지박신의 포효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지박신의 포효,
일어판명칭=<ruby>地縛神<rp>(</rp><rt>じばくしん</rt><rp>)</rp></ruby>の<ruby>咆哮<rp>(</rp><rt>ほうこう</rt><rp>)</rp></ruby>,
영어판명칭=Roar of the Earthbound Immortal,
효과1=①: 1번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그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이 효과는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보다 높은 공격력을 가진 "지박신"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실행한다). 그 공격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 공격력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지박신 외의 몬스터가 공격당할 때 그 몬스터를 지켜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역시 지박신이 필드에 나올 때까지는 썩는 카드인 데다가 지박신을 꺼내고 다른 몬스터를 추가로 전개한 뒤 그 몬스터가 공격받을 때라는 귀찮은 발동 조건 덕분에 사용하기는 힘든 편. 덤으로 공격하는 상대 몬스터 카드의 공격력이 내 지박신보다 낮아야 한다. 일단 지박 카드군에 속하기 때문에 몬스터를 파괴하는 데 성공하면 지박계례 지오그렘리나의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도 줄 수 있다.
사실 이 카드는 애니메이션에서 자신 필드 위에 지박신밖에 없을 경우, 상대가 직접 공격을 할 수 있다는 디메리트를 방지하기 위한 카드였다. OCG에서는 지박신이 있는 것만으로 락이 성립되기 때문에 지박신 외 몬스터 카드를 지키는 용도 밖에 없어져서 잉여해진 것.
5.2. 구극지박신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구극지박신,
일어판명칭=<ruby>究極地縛神<rp>(</rp><rt>きゅうきょくじばくしん</rt><rp>)</rp></ruby>,
영어판명칭=Ultimate Earthbound Immorta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통상 소환된 "지박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일반 소환된 지박신이 필드 위에 있으면 매 턴마다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파괴 가능 몬스터는 앞면 표시 몬스터만 가능하지만 요즘 메타에서 뒷면 세트는 잘 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피아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여차하면 Aslla piscu 같은 내 지박신을 파괴해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테마에 맞춰 태양룡 인티와 월영룡 쿠이라를 투입했다면 상대의 바운스, 제외 효과에 체인해서 먼저 자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발동 조건은 지박신의 포효보단 낫지만 일반 소환된 지박신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여전히 까다롭고, 요즘 구 테마 지원 마법 / 함정 카드에 으레 붙기 마련인 묘지 제외 후 발동 효과도 없기 때문에 패 말림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정적으로 지속 함정 카드라 턴킬 컨셉의 지박 덱에서는 너무 느리다.
원판 카드명의 究極은 구극으로 읽으며, 의미 자체는 궁극과 동일하다. 일본어에서는 서로 발음이 동일하기도 하고,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원어명[24]과 궁극룡 기사의 원어명[25]에서도 보이듯이 일본에서 자주 쓰는 단어다 보니 이번에도 이 단어를 쓴 것인데, 정발되면서 저 단어의 음을 그대로 읽어서 구극지박신이라는 명칭이 되었다. 의미가 아주 틀린 것은 아니지만 구극 자체가 한국에서 자주 쓰는 단어는 아니기도 하고, 기존에 있던 究極은 궁극으로 번역했으면서 왜 이 카드는 구극으로 번역했는지는 의문.
원판 기준으로 카드명은 작중에서 나온 Wiraqocha Rasca의 소환 대사에서 따왔으며, 그에 걸맞게 일러스트도 원작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Wiraqocha Rasca를 표현하고 있다.
6. 서포트 카드
6.1. 효과 몬스터
6.1.1. 지박대신관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대신관,
일어판명칭=<ruby>地縛大神官<rp>(</rp><rt>じばくだいしんかん</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Linewalk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9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지박신" 몬스터는 자신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나의 신에게 힘을 더해라! 지박대신관!
듀얼링크스에서 다크 시그너 키류 전용 대사
듀얼링크스에서 다크 시그너 키류 전용 대사
지박신 최대의 약점인 자괴 효과를 지워주지만, 스펙이 터무니없이 낮다. 당시에도 하드암 드래곤이 더 낫다고 평가받았다.
그런데 이후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팩 2023에서 세르게이가 사용한 지박 몬스터들이 발매됨에 따라 사용될 거리가 생겼다. 이 카드는 지박 몬스터들 중에서 유일하게 레벨 4이기 때문. 그랜드 키퍼로 레벨 5, 라인 워커로 레벨 7 싱크로 소환을 노리는 것도 가능.
옷차림은 다크 시그너와 동일하고, 뒤에 있는 것은 Wiraqocha Rasca다.
TCG판 이름이 Linewalker인데, 직역하면 선을 걷는 자라는 의미로 여기서 의미하는 선은 지박신이 강림하면 생기는 지박화를 뜻한다. 선을 걷는다는 의미는 지박신화를 걷는 사람, 즉 다크 시그너를 암시한다. 이 이름은 지박수인 라인 워커의 작명에 영향을 준 걸로 보인다.
6.1.2. 지박초신관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박초신관,
일어판명칭=<ruby>地縛超神官<rp>(</rp><rt>じばくちょうしんかん</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Greater Linewalker,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900, 수비력=29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 묘지의 양쪽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지박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지박신" 몬스터가 일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LP는 3000이 된다.)]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에서 등장한 신규 지박신 관련 카드. 레벨 8 / 악마족 몬스터라 지박 카드군 외에도 다크 오컬티즘이나 마견 옥트로스로 서치가 가능하다.
①의 기동 효과로 자신의 필드 / 묘지 양쪽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같이 발매된 팩도 싱크로 소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줬고, 후에 나온 지박 덱도 싱크로 테마니 문제는 없는 편. 태양룡 인티와 월영룡 쿠이라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메인 페이즈에 덱 / 묘지의 지박신을 패로 가져오는 기동 효과. 지금까지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말고는 서치 수단이 없던 지박신에게는 단비 같은 효과. 효과 범위가 묘지도 있어서 한번 묘지로 보내진 지박신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③의 효과는 이 카드가 이미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지박신 몬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 상대 LP를 3000으로 만드는 유발 효과. 지박신 Wiraqocha Rasca의 공격력 100에 이 카드의 공격력을 더하면 딱 3000이 되는 만큼 노린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필드 마법이 없어서 나온 지박신이 그대로 터져도 어쨌든 라이프는 줄일 수 있다.
단, 이 효과는 어디까지나 지박신의 일반 소환에 대응하기 때문에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 싱크로 몬스터 소환 등에 이미 일반 소환을 했다면, 지박뢰가 나오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지박계례 지오그렘리나가 등장하면서 간단하게 서치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며 이로 인해 지박 덱에서 적극적으로 이 카드를 이용한 지박신 원턴킬 플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티브는 다크 시그너가 된 렉스 고드윈. 일러스트는 고드윈이 상의 탈의 후 근육을 드러낸 모습과 거의 동일하며, 상체의 문양 또한 비슷하다. 또한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는 검은색 장갑을 끼고 왼손은 황금색으로 물들어 있어 서로 대비가 되는데 이는 렉스가 시그너의 표식이 새겨진 루드거의 왼팔을 이식해서 시그너와 다크 시그너의 힘을 모두 손에 넣은 걸 참고한 듯하다.[26] 이름인 "초신관"은 고드윈의 별명인 초관(超官)을 연상시킨다.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덱의 이름을 전부 별명을 활용한 전례를 보아 이를 어느 정도 의식하며 지은 카드명일 것이다.
6.2. 싱크로 몬스터
6.2.1.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했을 때는 다크 싱크로 몬스터인 점 때문에 주인이 같다는 점을 빼면 관계가 없었지만 OCG화되면서 파괴되었을 때 지박신을 서치하는 효과가 붙으면서 관련 카드가 되었다. 실제로 작중에선 서치 효과로 지박신 Ccapac Apu만 서치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6.3. 마법 카드
6.3.1. 지박선풍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지박선풍,
일어판명칭=<ruby>地縛旋風<rp>(</rp><rt>じばくせんぷう</rt><rp>)</rp></ruby>,
영어판명칭=Earthbound Whirlwind,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지박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지박신 전용 해피의 깃털. 하지만 대형 몬스터인 지박신을 필드에 내야지만 사용 가능한 카드라는 점과, "지박신" 카드가 아니라서 서치가 안 된다는 점이 문제.
지박신 스카레드 노바의 등장 후 지오그리폰 등으로 필드에 스카레드 노바를 꺼내놓기 쉬운 지박 덱에서 쓸 수 있게 되긴 했지만 여전히 서치가 안 되기에 이것만 보고 쓰기에는 다소 애매하다.
6.3.2. 지박지상회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지박지상회,
일어판 명칭=<ruby>地縛地上絵<rp>(</rp><rt>じばくちじょうえ</rt><rp>)</rp></ruby>,
영어판 명칭=Earthbound Geoglyp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양쪽 플레이어는 이 카드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지박신"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싱크로 몬스터는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효과3=③: 싱크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지박신"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처음으로 등장한 지박신 전용 필드 마법. 지박신에서 자주 쓰이는 사황제의 능묘가 지박신 소환을 도와주고, 신을 묶는 묘가 지박신을 지켜준다면 이 카드는 자체적으로 버티는 효과와 신규 렉스 고드윈 카드와 연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①번 효과로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이 카드가 대상 내성과 파괴 내성을 얻는다. 제외와 바운스엔 무력하지만 저 둘은 대부분 대상 지정인지라 거의 완전 내성이라고 봐도 된다.
②번 효과는 지박신을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싱크로 몬스터 1장을 2장분의 릴리스로 취급하게 한다. 즉, 이미 싱크로 몬스터가 묘지에 있는 상황에서 "사신관-아스카톨 or 수파이 특수소환 효과로 싱크로 소환 >> 지박초신관 특수 소환 후 지박신 서치 혹은 샐비지 >> 싱크로 몬스터를 릴리즈 후 지박신 소환 >> 초신관 효과 발동 후 지박신 직공"이라는 원턴킬 루트가 가능하다.
③번 효과는 싱크로 몬스터의 특수 소환 시 덱에서 "지박신"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서치한다. 지박신과 필드 마법을 샐비지할 수 있는 지박신의 부활과 그나마 쓸만한 구극지박신 정도를 서치할 수 있다. 단, 카드명에 지박까지만 기재된 마법 / 함정 카드는 서치할 수 없다.[27] 나올 당시의 지박 카드들은 대부분이 타이밍이 느리고 범용성이 떨어지는 구형 카드들이라 딱히 아쉬울 게 없었지만 지박해방 같은 좋은 카드가 추가되면서 이를 서치할 수 없는 점이 아쉬워졌다.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서 지박 카드들이 OCG화되었으나 정작 라인 워커의 서치 효과는 "지박" 필드 마법이 아닌 지박뢰만을 지정하기에 이 카드는 해당 서포트를 받을 수 없다. 일단 지박 싱크로 몬스터인 지오그램린과 지오그리폰도 같이 OCG화되었기에 2, 3번 효과와 연계할 수는 있으며 레벨 10인 지오글라샤=라볼라스랑 같이 서있으면 내성 정도는 얻긴 한다.
결국 지박신 덱에서도 지박뢰에 밀려 쓰지 않는다. 구극지박신은 초신관 원턴킬이 메인인 지박신 덱과 다르게 느린 함정 카드라 서치할 의미도 별로 없으며 지박뢰의 일소권 추가의 밸류를 전혀 따라가지 못하는 망필드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라이딩 듀얼 이벤트의 스피드 스킬로서 등장. 이 이벤트에서는 D휠의 종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의 종류가 달라지는데, 지박지상회가 있는 D휠은 지박신 전용이다.[28]
이름의 유래는 나스카 지상화로, 일러스트는 5D's 작중에서 도심 한복판에 칼리 나기사와 미스티 로라가 동시에 지상화를 강림시켰던 순간을 모티브로 했다. 일러스트 속 지상화는 벌새와 도마뱀 지상화가 겹쳐있는 모습.
참고로 지박지상화가 아닌 지박지상회인 이유는 일본어로 그림을 뜻하는 말은 그림 화(畫)가 아니라 그림 회(繪, 일본식 한자로는 絵)를 자주 쓰는데, 그에 따라 일본에서 지상화를 地上絵(지상회)로 표기한 걸 그대로 한국식 한자로 읽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과 같은 발번역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지박지상화라는 표현도 혼용되고 있다.
6.4. 함정 카드
6.4.1. 영예의 제물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영예의 제물,
일어판 명칭=<ruby>栄誉<rp>(</rp><rt>えいよ</rt><rp>)</rp></ruby>の<ruby>贄<rp>(</rp><rt>にえ</rt><rp>)</rp></ruby>,
영어판 명칭=Offering to the Immortals,
효과1=①: 자신의 LP가 3000 이하일 경우\,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자신 필드에 "제물의 비석 토큰"(암석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 2장을 특수 소환하고\, 덱에서 "지박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토큰은 "지박신" 몬스터의 어드밴스 소환 이외를 위해서는 릴리스할 수 없으며\, 싱크로 소재로도 할 수 없다.)]
조건이 좀 붙지만, 상대의 직접 공격을 무효로 하면서 지박신의 서치와 동시에 지박신을 소환할 만한 여건을 절반은 만들 수 있는 카드.
다만 저 조건이 좀 많이 까다로워서 자칫 잘못하면 패가 말릴 수도 있으니 주의. 또한 LP 3000 이하라는 것은 언제 상대에게 죽어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라는 뜻이니 지박신으로 단기간 내에 결판을 짓는 게 좋을 것이다.
렉스 고드윈이 쓸 때는 LP 제한도 없고, 토큰의 릴리스, 싱크로 소재 제한도 없었는데 OCG화되면서 붙어버려 약체화되었다. 하지만 링크 소환엔 제약이 없으니 이 부분을 노려보는 것도 도움이 될지도?
6.4.2. 성급한 부활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성급한 부활,
일어판 명칭=<ruby>早<rp>(</rp><rt>はや</rt><rp>)</rp></ruby>すぎた<ruby>復活<rp>(</rp><rt>ふっかつ</rt><rp>)</rp></ruby>,
영어판 명칭=Revival of the Immortals,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지박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상대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코스트와 제한없이 지박신이면 닥치는 대로 끌고 와주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처럼 지속 함정인 아닌 것은 고맙지만, 말 그대로 성급하게 부활했기 때문에 사용한 턴 공격 선언 불가에 다음 턴부터 공격할 수 있다고 해도 전투 데미지조차 줄 수 없는 반고자가 되고 만다.
그러나 이 카드의 상위 호환이나 다름없는[29] 전선복귀가 있기 때문에, 딱히 전용 서치 카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지박지상회로 서치도 안 되는 이 카드를 쓸 이유는 별로 없다.
6.4.3. 지박파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지박파,
일어판 명칭=<ruby>地縛波<rp>(</rp><rt>グランド・ウェーブ</rt><rp>)</rp></ruby>,
영어판 명칭=Earthbound Wav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지박신"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지박신 전용 카운터 함정. 지박파라 쓰고 그랜드 웨이브라 읽는다. 사실상 지박령(유희왕)[30]과 함께 지박 카드군이 성립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한데, 영문판과 한글판에선 지박 표기가 공유되지만 일본판에서 다르게 불리기 때문. 일단 이 문제는 에라타를 하면 해결될 문제이긴 하며, 지박 카드군이 OCG화되면서 그래야 할 필요성이 더 높아졌다.
코스트 없는 마궁의 뇌물이기에 지박신 서포트 카드 중에는 제법 강한 축에 속한다. 일단 지박신을 꺼내두기만 하면 필드 마법 카드를 노리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막아줄 수도 있기에 유용하지만, 다수 투입하면 패 사고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주의. 자괴 디메리트가 없고 특수 소환이 쉬운 지박신 스카레드 노바의 등장으로 한결 쓰기 편해졌으나 정작 서치 수단이 없고 현 환경에서는 신의 심판이 무제한일 정도로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어 쓸모없는 카드가 되었다.
원작에선 루드거가 사용. 원작에선 필드마법만 있으면 발동 가능한 카드였기에 조건이 비교적 쉬웠다.
6.4.4. 지박해방
원작에서 칼리 나기사가 사용했던 함정카드. 문서 참조.7. OCG화되지 않은 카드
7.1. 더럽혀진 대지
| |
카드 일러스트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한글판 명칭 | 더럽혀진 대지 |
일어판 명칭 | [ruby(穢, ruby=けが)]された[ruby(大地, ruby=だいち)] |
영어판 명칭 | Contaminated Earth |
일반 함정 | |
자신 필드 위에 레벨 5 이상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카드 효과에 의해 파괴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지박신"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의 발동도 할 수 없다. |
보머가 사용한 카드. 분명 텍스트상으론 레벨 8 이상의 몬스터 1장을 포함한 2장이라고 되어있으나, 보머는 레벨 5 이상의 몬스터 2장 이상이라고 선언했다.
OCG화는 되지 않았지만 듀얼링크스에는 나왔다.
7.2. 포박된 신을 향한 제단
| |
카드 일러스트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한글판 명칭 | 포박된 신을 향한 제단 |
일어판 명칭 | [ruby(縛, ruby=しば)]られし[ruby(神, ruby=かみ)]への[ruby(祭壇, ruby=さいだん)] |
영어판 명칭 | Altar of the Bound Deity |
지속 함정 | |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발동한다. 필드 위의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만큼, 이 카드에 지박신 카운터를 놓는다. 지박신 카운터가 4개 이상 놓여 있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지박신'이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루드거가 사용한 카드. OCG화는 되지 않았지만, 듀얼링크스에서 출시되었다. 효과는 별로 좋지 못한데 OCG든 듀얼링크스 환경이든 요즘은 듀얼 속도가 너무 빠른데 상대 턴을 세는 것도 아니고 자기 턴만 무려 4턴을 버텨야 하니 사실상 실용성이 없는 카드다. 거기다 카운터가 충족된다고 해도 필드 마법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는 카드. 제일 큰 문제는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만큼 지박신 카운터를 놓는다는 건데 애니와 달리 현실은 앞면 수비 표시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게 불가능하니 일단 세트한 후 공격받은 후 앞면이 되길 기다리든가 깊은 무덤, 강화소생 등의 카드로 억지로 수비 표시로 만들어서 써야 한다는 말인데 초창기라면 몰라도 이건 실용성이 너무나 떨어진다. 차라리 사황제의 능묘로 소환하는 게 더 좋다.
7.3. 속박당한 신의 공물
한글판 명칭 | 속박당한 신의 공물 |
일어판 명칭 | [ruby(縛, ruby=しば)]られし[ruby(神, ruby=かみ)]への[ruby(供物, ruby=くもつ)] |
영어판 명칭 | Offerings to the Bound Deity |
일반 함정 | |
라이프 포인트 절반을 지불하고 발동한다. "포박된 신을 향한 제단"에 지박신 카운터를 2개 놓는다. |
루드거가 어떻게든 지박신 카운터를 줄여 보고자 노력한 유세이를 비웃으며 발동했다. 유세이의 플레이를 지켜보다 턴 종료 시에 발동해 버리는 루드거가 일품.
7.4. 진수의 청아
한글판 명칭 | 진수의 청아 |
일어판 명칭 | [ruby(鎮守, ruby=ちんじゅ)]の[ruby(煌画, ruby=こうが)] |
영어판 명칭 | Brilliant Shrine Art |
지속 함정 | |
자신 필드 위에 "지박신"이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지박신"이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그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 "지박신"이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
원작 사용자는 키류 쿄스케와 루드거로 둘 다 VS 유세이 2차전에서 사용했다.
8. 덱 구성 및 참고 카드
정통 지박신의 승리 플랜은 초신관을 사용한 후공 원 턴 킬이다. 이 조건을 지박신 단독으로 충족하기는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용병의 채용이 필수적이며, 두 턴 이상을 주지 않고 단번에 끝내는 것이 정석이다.필요한 파츠는 공격력 3000 이상의 지박신 + 초신관 + 일반 소환권 + 필드 마법 + 제물 2장이다. 제물 2장을 마련하면서 초신관까지 소환할 때까지 일반 소환을 하지 않으면 되지만 쉬운 조건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 소환권을 충족해주는 지박뢰를 사용하는게 정석이며, 지박신은 초신관으로 덱에서도 묘지에서도 서치해올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파츠는 초신관 + 지박뢰 + 제물 2장이 된다.
덱 구성의 핵심은 전개를 통해 제물을 마련하는 것과 초신관을 서치하여 소환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더불어 필드 마법을 서치하거나 악마족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다.
- 서몬 소서리스 + 마계특파원 데스캐스터
덱에서 초신관을 불러온 후 소생시키는 루트. 지박 파츠의 소환 제약과 충돌하는 단점이 있지만[31], 엑스트라 덱 서치 루트라는 절대적 강점이 있다.
- 언체인드소울킹 야마 + 마계극단 슈퍼 프로듀서
악마족 링크 전개 루트이다. 슈퍼 프로듀서의 자괴 효과를 야마의 소생 효과와 연계하는 것이 핵심.
- 지박 파츠 + 이계공명 싱크로 퓨전 + 지박뢰
상위 카드군이자 필수 파츠. 지오그렘리나로 초신관을 서치할 수 있고, 지오크라켄은 필드 마법을 서치할 수 있다. 또한 싱크로 몬스터를 전개하여 초신관의 소환 조건도 충족시킬 수 있다. 지박뢰의 일소권 추가도 강력하다.
-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 마견 옥트로스
옥트로스로 초신관을 서치하고 링크 쪽으로 전개하는 루트이다.
- 원 포 원
지박 파츠로 전개할 수 있는 전개 카드이며,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 나이트메어 쓰론 + 헬그레이브 스쿼머
쓰론은 악마족 전개 파츠를 서치할 수 있는 우수한 필드 마법이며, 스쿼머는 2장의 특수 소환권을 제공하여 우선적으로 채용된다.
- 암흑의 초래신 + 칠정의 해문
나이트메어 쓰론과 같이 사용하는 전개 파츠이다. 어드밴티지를 많이 벌고 전개력이 뛰어나지만, 추가 일반 소환권이 지박뢰와 겹치는 것이 단점이며 초신관을 즉시 서치할 수 있는 가이드 + 옥트로스 루트와 일반 소환권의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 에인션트 페어리 드래곤
필드 마법을 파괴하고 다른 필드 마법을 서치해올 수 있으며, 상대 필드를 제거할 수도 있다.
- 가든 로즈 메이든, 저승의 집행자 플루토
필드 마법을 서치할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이다. 주로 에인션트 페어리 드래곤으로 연계하여 지박뢰를 서치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다운비트
지오그렘리나에 걸어 스톤 스위퍼를 소환하거나 초래신에 걸면 그랜드 키퍼를 불러 지박 파츠 전개를 이어나가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다.
9. 기타
애니에서의 지박신의 효과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여서 자신 필드에 지박신 몬스터만 존재할 경우, 상대는 직접 공격을 할 수 있었다. 한때 이 재정은 OCG에서도 적용되었지만 얼마 안 가 다시 공격 불가로 바뀌었다.지박신 이전에도 공격 대상 자체가 되지 않는 카드가 있었는데, 그 이름하여 전설의 어부. 단, 전설의 어부는 자신 필드에 전설의 어부만 있으면 상대가 역으로 직접 공격이 가능한데 비해, 지박신만 자신 필드에 있어도 이는 불가능하다.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와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의 차이로 이런 정반대의 판정이 나온 것.
유희왕 ARC-V에서는 세르게이가 사용하는 지박이라는 새로운 카드군이 등장한다. 검은 몸에 빛나는 무늬, 필드 마법을 사용한다는 점이 지박신을 연상시키지만, 작중에서 지박신 자체를 사용하지는 않았다.[33] 싱크로와 융합 소환을 주로 사용하는 카드군으로, 5D's에서 지박신을 상대한 시그너였던 잭 아틀라스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되기도 했으며, OCG화되면서 지박신과의 시너지가 어느 정도 생겼다.
10. 둘러보기
키류 쿄스케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인페르니티 · 연옥 · 지박신 | ||
서브 에이스 | 에이스 | 최종 몬스터 |
5D's 인페르니티 데몬 인페르니티 건 OCG 인페르니티 헬 데몬 | 5D's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1.1]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코믹스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 | 5D's 지박신 Ccapac Apu[1.1] |
칼리 나기사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점쟁이 마녀 · 포츈 레이디 · 지박신 | ||
<rowcolor=#fff> 에이스 몬스터 | 최종 몬스터 | |
점쟁이 마녀 치 포츈 레이디 어시 포츈 레이디 에버리(OCG 오리지널) | 지박신 Aslla Piscu |
렉스 고드윈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지박신 · 천륜 · 듀얼 드래곤 | ||
에이스 | 최종 몬스터 | |
5D's 태양룡 인티 월영룡 쿠이라 코믹스 천궁패룡 드래고어센션 | 5D's 지박신 Wiraqocha Rasca 코믹스 궁극신 얼티마야 촐킨 궁극환신 얼티메틀 비시바르킨 |
[1] 근데 이건 Ccapac Apu에게는 적용되었는데 Ccaruyha와 Uru는 마법 / 함정 효과를 받는 황당한 상황이 연출되었다.[2] 물론 스탠딩 듀얼을 한 칼리(1차전), 미스티, 디마크, 루드거는 별도로 필드 마법을 발동해야 했으며 이 중 디마크는 필드 마법이 파괴당하는 방식으로 지박신이 공략당했다.[3] 같은 신이라도 삼환신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거대하다.[4] 참고로 일단 지박신이 소환되면 그 후에 지상화에 들어와도 들어오는 즉시 문답무용으로 지박신에게 흡수당한다. 이걸 피할 수 있는 존재는 시그너와 다크 시그너의 대전자 뿐으로 그 외의 사람은 시그너가 근처에서 방어막을 쳐주지 않는 한 바로 먹힌다.[5] 이걸 처음 알아낸 건 후도 유세이. 다만 처음엔 유세이도 마사를 잃고 슬퍼하는 아이들을 달래려고 했던 말이었기에 확신은 없었다.[6] 이 둘은 AR 비전에 의해 보여지는 크기는 축소되었으나 실제 크기는 태양보다도 큰 것으로 추정된다.[7] 사실 이 부분은 명확하지 않다.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칼리가 자신이 부활한 이유였던 디바인에 대한 복수에 성공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따금씩 정신을 차릴 수 있었다고 서술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역시 디바인에 대한 복수에 성공한 미스티에 대한 설명이 안 된다. 물론 미스티는 듀얼 시작 당시에는 목표가 이자요이 아키였고, 디바인은 듀얼 대상자가 아니긴 했다. 애초에 공식 설정이 없어서 해석은 자유.[8] 전설의 어부와의 텍스트 차이로 유명하다. 지박신들은 자신이 필드 위에 버티고 있으면 특수한 상황에서만 직접 공격을 받게 된다.[9] 각종 탑 티어 덱이 우수한 제거 및 전개 능력으로 원턴킬을 만드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결과적으로 원턴킬이 쉬워졌을 뿐이고, 지박신은 작정하고 "지박신 소환 후 상대의 라이프를 3000으로 하고, 지박신으로 직접 공격해서 원턴킬"이라는 컨셉으로 나왔다. 후에 기믹 퍼핏은 인플레가 늘어난 시기에 지원을 받은지라 아예 선턴킬 수준으로 받아갔다.[10] 정작 기황제는 기황제 편 최종 보스인 아포리아가 기황제 모든 시리즈를 다 사용하는 위엄을 보여준 게 반영되어, 호세와 루치아노가 출시되기도 전에 아포리아 레벨 업 보상으로 스키엘과 그란엘이 풀렸다.[11] 덕지덕지 붙어있는 온갖 위험 부담 때문에 유저 모두가 로망으로 취급받는 스킬이었지만, 코나미는 추후 효과 데미지 관련 카드가 많이 풀릴 예정이라 이 스킬이 사기가 될 게 우려된다는 이유로 문제가 되기도 전에 너프당하기까지 했다. 그래서 더더욱 쓸 여지가 없어졌다.[12] 원래의 웨이브 포스는 사용자의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역전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그치지만, 지박신들이 다이렉트 어택을 때렸는데 이걸 발동하면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넘쳐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는 텅 비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덱으로 되돌아가기에 Aslla piscu의 유언 효과도 발동되지 않으며, 상대가 내 능묘 효과를 사용해서 높은 레벨의 몬스터를 전개할 수 있으므로 사실상 마함을 잔뜩 깔아놓지 않은 이상 패배한 것이나 다름없다.[13] 시대가 흘러서 성방, 매직 실린더같은 발동이 더 용이한 카드들도 풀렸고, 마함 제거 카드도 판을 치고있어서 공격 반응형 함정은 계속 약세를 보이고있다. 그래도 코즈믹 싸이크론으로 절망의 함정 속으로같은 카드도 미리 치울 수 있다는게 장점.[14] 후지 테레비에서 방영하는 아동용 프로그램의 마스코트 캐릭터 중 하나. 파트너인 무크와 함께 그랑블루 판타지, 용과 같이 8 등에도 콜라보로 등장했다.[15] 유희왕 5D's 제61화에서 소환했을 때는 소환영창의 '긴 주박에서 풀려나소서'라는 구절 대신 '강림하라!(降臨せよ!)'라고 외쳤다.[16] 잡아먹힌 디바인은 다크 시그너 편이 종료된 후에 부활했지만 그대로 체포됐다고 한다.[17] 염왕, 드래고닉D, 진룡황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찾아보면 있긴 하다.[18] 이 쪽은 필드 마법이니 이 카드 하나만으로도 부활이 가능.[※] 유희왕 듀얼링크스 내 캐릭터명: 다크 시그너 칼리[20] 이그룬으로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드에 몬스터가 하나 더 있다면 그 즉시 어드밴스 소환도 가능하다. 미지의 바람이 있다면 릴리스할 몬스터 1장을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으로 대체 가능.[21]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에서 루드거가 이 방식으로 사용한다.[22] 다름아닌 보머의 고향마을 사람들이었다.[23] 대표적으로 길항승부라던가.[24] 青眼の究極竜[25] 究極竜騎士[26] 그러나 렉스는 다크 시그너의 표식이 등에 새겨져 있다. 양팔에 각각 다른 표식을 지닌 건 오히려 렉스가 아니라 그의 형인 루드거다.[27] 한편 영어판에서는 "지박신"을 "Earthbound Immortal", "지박"은 "Earthbound"라고 구분은 해놓았는데, "지박신"과 "지박" 마법 / 함정 카드를 모조리 "Earthbound"로 통일시켜 놓았던 탓에 2019년 9월 27일 부로 에라타가 이루어졌다.[28] 지박지상회 말고도 묘지의 지박신을 패로 회수하거나 필드에 놓는 스킬도 있다.[29] 이 쪽은 그나마 표시형식 제약은 없어서 Ccapac Apu를 살린다면 이 쪽이 살짝은 더 낫긴 하지만 특별히 더 나은 것도 아닌지라...[30] 원문은 지박령이라 쓰고 어스바운드 스피릿이라 읽는다.[31] 링크 전개를 먼저 끝마친 후 지박 파츠로 전개하면 가능은 하다. 다만 맹세 효과인 싱크로 퓨전은 무조건 링크와 공존불가능하다.[32] 필드 마법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여도 지박신의 소환 자체는 가능하기 때문에 초신관의 효과 트리거를 걸고 꽃드라군으로 끝낼 수도 있다.[33] 참고로 ARC-V에서도 라이딩 듀얼과 비슷하게, 필드 마법인 액션 필드라는 필드 마법이 상시 발동되어 있는 액션 듀얼이 주를 이뤄서 필드 마법이 있어야 한다는 지박신의 디메리트를 무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