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2:42:26

오노마토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유토피아 관련 카드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토피아
호프 미래황 호프
제알
ZW ZS
오노마토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 ||
오노마토
파일:희망향 오노마토피아.png
희망향-오노마토피아-
<colbgcolor=#343855> 한국어판 명칭 오노마토
일어판 명칭 オノマト
영어판 명칭 Onomat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 땅 / 빛 전사족
마법사족
암석족
파충류족
효과
엑시즈
마법 / 함정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3.1. 희망황 오노마토피아3.2. 오노마토도마뱀
4. 마법 카드
4.1. 오노마토페어4.2. 희망향-오노마토피아-4.3. 오노마토픽
5. 서포트 카드6.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OCG의 카드군.

2. 설명

유희왕 ZEXAL의 주인공 츠쿠모 유마가 사용한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를 함께 지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선 유마가 사용한 적 없으며, 듀얼링크스의 유마&아스트랄로 플레이 할 때 대사를 읽는 카드가 존재한다.

'오노마토'라는 이름은 영어로 의성어 / 의태어를 의미하는 단어 '오노마토피아(Onomatopoeia)'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네 카드군 모두 별 뜻 없는 의태어에 가까운 이름인 데다, 유마의 에이스 몬스터인 No.39 유토피아의 해외판 명칭과도 유사하니 절묘한 이름인 셈.

8기 시절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최초의 오노마토 카드인 오노마토페어가 나왔을 때만 해도 카드군이 아니었으나, 이후 6년 뒤 10기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에서 오노마토픽이 나오며 정식 카드군이 되었다.

11기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는 제알(ZW, ZS)을, 오버레이 유니버스No.를 중심으로 하였기에 오노마토축이 그다지 발전하지 못했다. 그나마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라는 서치 수단을 얻은 바 있지만, 이마저도 엑시즈 / 넘버즈 / 제알도 서치하기에 오노마토만의 지원으로 보긴 힘들다.
연속 엑시즈 소환을 지탱하는 4체의 효과 몬스터에도 주목!
■ 「주바바」를 덱에서 패에 넣는 「주바바바」.
■ 자신과 패의 「가가가」를 전개하는 「가가가가」.
■ 패/덱/묘지에서 「고고고」를 전개하는 「고고고고」.
■ 덱의 「도도도」를 묘지로 보내 패에서 나타나는 「도도도도」.

레벨을 조정하는 효과도 갖추어 랭크 4의 엑시즈 소환을 하기 쉽다!
엑시즈 소재가 된 후에도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 제거되면 「주바바바」는 「가가가」, 「가가가가」는 「고고고」, 「고고고고」는 「도도도」, 「도도도도」는 「주바바」를 덱에서 패에 넣을 수 있어서 순환하듯이 덱에서 전력을 끌어온다!
공식 홈페이지의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소개 中
그러다 13기 듀얼리스트 어드밴스에서 다시 오노마토축으로 지원을 받았다. 여기서 나온 주가고도 몬스터는 "엑시즈 효과를 쓰기 위해 소재로 제거되었을 경우 다른 오노마토계 테마 몬스터를 서치하는" 공통 효과를 가지고 있어 주바바바 나이트(가가가 서치) → 가가가 간바라 나이트(고고고 서치) → 고고고 고블린드버그(도도도 서치) → 도도도도 워리어(주바바 서치) → 주바바바 나이트 순으로 서로를 서치해올 수 있다.[1] 발매 후엔 환경권에선 주로 라이제올과 혼합해 사용되고 있다. 이후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도 기믹을 강화하면서 이전 지원 카드들과의 연계도 가능한 양질의 추가 지원을 받았다.

어째선지 영어판은 Onomato가 아닌 Onomat으로 카드군을 지정한다.

3. 효과 몬스터

3.1.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파일:希望皇オノマトピア(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희망황 오노마토피아,
일어판명칭=<ruby>希望皇<rp>(</rp><rt>きぼうおう</rt><rp>)</rp></ruby>オノマトピア,
영어판명칭=Utopic Onomatopoeia,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이외의 이하의 몬스터를 각각 1장까지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엑시즈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주바바" 몬스터,
효과3=●"가가가" 몬스터,
효과4=●"고고고" 몬스터,
효과5=●"도도도" 몬스터)]
룰상 가가가, 고고고, 주바바, 도도도로도 취급되는 효과 외 텍스트, 메인 페이즈에 특정 카테고리를 각각 1장까지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기동효과를 가진 오노마토 몬스터.

5종류의 카테고리에 소속되어있어 각자의 서포트도 받을 수 있다. 효과도 각 카테고리를 전부 서포트하는 것이라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덱이라면 어느 쪽이든 채용해볼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카테고리를 복수 병용하는 경우 발생할 사고율을 완만히 해소시켜주게 된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몬스터를 전개할 수 있는 기동효과로,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라면 레벨 4가 여러 장 존재하니 자신의 레벨도 포함해서 랭크 4의 엑시즈 소환을 노리기 쉬워진다. 가가가, 도도도에는 레벨 6짜리도 존재하니 패에 따라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엑시즈 소환도 가능. 메인 페이즈에 발동하는 효과이니 희망향-오노마토피아-로 리크루트하고 나서 사용하는 것도 좋다. 여러 종류의 카테고리가 패에 존재한다면 이들을 전부 전개할 수도 있게 된다.

오노마토페어와 상성이 좋으며, 이 카드 2장을 서치하는 것도, 이 카드 1장과 상기한 4종류의 카테고리 중 임의의 1장을 서치하는 것도 가능. 또한 해당 카드로 서치한 2종류의 카테고리를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면 3장 이상의 엑시즈 소환도 실행할 수 있다. 오노마토페어와의 재정에 따르면 주바바 반초-GC는 가가가, 주바바 몬스터 중 어느 쪽으로든 취급되니 2장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주바바 반초는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어 활용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주바바 몬스터 중에서는 최초의 레벨 4 몬스터가 된다. 하지만 주바바 서포트 카드는 전부 가가가도 동시에 지정하고 있으며, 이 카드 자신도 주바바 말고도 가가가로서도 취급되므로 이 카드가 주바바에 속하는 의미는 상징성 정도 외에는 딱히 없다.

발매 당시에는 신 마스터 룰 때문에 이 카드의 효과를 사용하면 엑시즈 몬스터를 1장밖에 소환할 수 없어 이 카드에 대한 평가는 최악이었다. 이후 이 룰이 폐지되고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오버레이 유니버스의 추가 지원 덕분에 유토피아를 비롯한 엑시즈 몬스터만을 이용해서 빌드를 세울 수 있게 되면서 현재는 유토피아 덱에서 필수로 투입하는 카드가 되었다.

13기 지원 이후에는 다수의 오노마토 몬스터들에게 패 특수 소환 효과가 붙으며 효과의 중요성은 감소했으나,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엑시즈 소재인 이 카드가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제거될 시 다른 몬스터 서치' 효과에 전부 대응하는 유일한 카드라는 점 때문에 순환이 꼬이지 않게 하기 위해 여전히 한 장 정도 투입되고 있다. 특히 주바바바 나이트는 덱에 다른 주바바가 없다면 레벨이 변하지 않아 엑시즈 소재로 사용할 수 없으며, 자체 패 특수 소환 효과도 없어 이 카드에 대한 의존성이 크다.

룰 상 특정 카테고리의 카드로서도 취급하는 카드로서는 처음으로 카테고리를 다수 중복으로 지정하고 있다. 지정된 카테고리가 다른 카테고리를 내포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여러 종류가 된다는 것도 포함하면 홍채의 마술사흑아의 마술사가 먼저다.

No.39 유토피아의 일본판 명칭인 '희망황 호프'와 마찬가지로 '희망황'이라는 칭호를 가졌으며, 이름인 '오노마토피아' 또한 해외판 명칭 '유토피아'와 유사하다. 첫 오노마토 카드인 오노마토페어와도 어감이 유사한 말장난. 디자인상으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데브리 드래곤마냥 유토피아를 소형화시킨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
수록 시리즈
2019-0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BI-KRB20 | 크로니클 바인더
2021-09-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2-KR002 | 스트럭처 덱 오버레이 유니버스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59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18-1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TH-JPB20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19-04-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PO-EN009 | DUEL POWER

3.2. 오노마토도마뱀

파일:オノマトカゲ.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오노마토도마뱀,
일어판 명칭=オノマトカゲ,
영어판 명칭=Onomatokage,
레벨=4, 속성=어둠,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1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몬스터 중 어느 것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엑시즈 몬스터를 2장까지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등장한 그림자 도마뱀의 리메이크. 이름은 오노마와 도마뱀(카게)의 합성어로, 원문대로 읽으면 "오노마카게"가 된다.

희망황 오노마토피아처럼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까지 총 5개의 카드군에 속한다. 원본과 달리 특수 소환 몬스터가 아니라서 통상 소환 및 다른 카드의 효과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종족도 전사족이 아니라서 고고고 고블린드버그로 특수 소환도 가능한 등 대응되는 서포트의 범위가 굉장히 넓다. 단, 어둠 속성이기에 비스테드의 먹이감이 될 수 있다는 점에는 유의.

①의 효과는 원본의 강화판, 또는 주바바 반초-GC도도도 드워프-GG를 합쳐놓은 듯한 효과로 다른 오노마토 몬스터가 필드에 있을 때 발동 가능한 특수 소환 효과. 일소권을 쓰지 않아도 튀어나올 수 있고, 패 뿐만 아니라 묘지에서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오노마토페어의 코스트로 써도 되는 등 활용도가 높다. 특히 참기 서큘러급 카드 도도도도 워리어의 출시로 시그마 역할을 맡던 도도도 드워프-GG와 비교했을 때 패에 잡혀버렸을 때도 굳이 묘지로 보낼 수단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는 카드. 유사 카드들과 달리 "오노마토 도마뱀 이외의" 주가고도 몬스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기에 2장이 잡히는 사태에서도 여차하면 1장은 일반 소환하고 2장째를 특수 소환하는 초동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2장을 회수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 소모가 격렬한 유토피아 덱에는 좋은 회수 효과다. 본래 후속용으로 복수매 채용하던 엑시즈 몬스터들을 도마뱀으로 회수하는 것을 전제로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노마토 덱의 유연성을 보완해준 좋은 지원 카드. 주바바-가가가-고고고-도도도의 순환 서치를 메인 기믹으로 삼는 13기의 오노마토는 상황에 따라 패에서 특수 소환도, 효과 발동도 할 수 없는 카드를 억지로 서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카드는 그런 거슬리는 문제를 해결해 줄 효과를 가지고 나왔다.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거나 덤핑하는 기존 오노마토 카드들과 연계하기도 적합하다.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ZEXAL 18화에서 과의 듀얼 중, 마법 카드 볼티지 서몬의 효과로 간바라 나이트와 함께 특수 소환된 장면에서 따온 것이다. 묘사상으로는 간바라 나이트의 그림자 속에서 튀어나오고 있지만, 작중에서는 이런 묘사 없이 따로 소환 장면만 나왔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07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07 | 둠 오브 디멘션즈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07 | DOOM OF DIMENSIONS

4. 마법 카드

4.1. 오노마토페어

파일:オノマト連携(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오노마토페어,
일어판명칭=オノマト<ruby>連携<rp>(</rp><rt>ペア</rt><rp>)</rp></ruby>,
영어판명칭=Onomatopaira,
마법=, 일반=,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이하의 몬스터 중 1장씩\, 합계 2장까지 패에 넣는다.,
효과2=●"주바바" 몬스터,
효과3=●"가가가" 몬스터,
효과4=●"고고고" 몬스터,
효과5=●"도도도" 몬스터)]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33점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등장한 최초의 오노마토 카드. 츠쿠모 유마 덱을 서포트할 의도로 출시되었으며 일러스트도 원작에 매우 자주 나오는 가가가 매지션고고고 골렘이 협공을 하고 있는 일러스트다. 카드명은 '의성어 / 의태어'를 의미하는 영단어 '오노마토피아(Onomatopoeia)'와 '한 쌍'을 의미하는 영단어 '페어(Pair)'의 합성어. 일본어에서는 오노마토피아를 일반적으로 오노마토페라고 부르기 때문에 오노마토페 + 페어라고 볼 수도 있다.

유마의 의태어 카드군을 통째로 묶어서 강화시키기 위한 것인지 카드군을 무려 4개나 지원하는 2:2 교환 카드. 2:2 교환 카드 같은 건 트레이드 인 정도밖에 없던 당시에는 상당히 파격적인 효과이며 후일 출시된 드래곤 자각의 선율의 원조격이다.

패 코스트도 그냥 아무 카드 하나 버리면 되는지라 패에서 별다른 용도 없이 썩고 있는 카드를 버리거나, 묘지에 가야 이득을 보는 고고고 고스트나 고고고 기가스를 버려서 고속 전개로 이어 나갈 수도 있다.

만약에 패의 여건만 된다면 가가가 매지션의 레벨 조정 효과를 이용해 랭크 1부터 8까지의 엑시즈 몬스터들을 무리 없이 자유롭게 뽑을 수도 있다. 거기에 패에 썩는 카드가 있어도 기본적으로 도도도 버스터가 있기 때문에 2소재 짜리 랭크 4 엑시즈 소환은 무조건 확충할 수 있다.

단, 가져올 수 있는 카드는 각 카드군마다 1장씩이라는 제약이 있으니 주의. 일단 2장이 아닌 1장만 패로 넣는 것은 가능하다는 재정이지만, 그러면 패를 1장 손해보기 때문에 이 카드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2종류 이상을 투입해야 한다. 고고고 몬스터를 코스트로 보내고 덱에서 고고고 자이언트를 가져오면 일반 소환권 하나로 단숨에 랭크 4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다. 공격력이 2000이라 초반 비트에도 도움을 주니 가가가 덱이라면 오노마토페어와 고고고 자이언트를 투입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10기 이후로는 희망황 오노마토피아나 주바바 반초-GC, 도도도 드워프-GG 등 4개의 테마 중 2개 이상의 테마에 속하는 카드들이 나오며 단일 테마에서도 2장의 서치가 가능하도록 조정되었다. 사실 순수 가가가/고고고/도도도 덱을 굴리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주로 이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런 카드의 경우 희망황만 2장 서치하거나 반초만 2장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3기 지원으로 오노마토 파츠가 굉장히 강화되면서 강력한 파워 카드로 변모했다. 똑같이 패를 1장 버리는 사이바넷 마이닝참기 서큘러를 서치할 수 있는 덕에 한때 마스터 듀얼에서 준제한된 전적이 있는데, 그 서큘러를 빼닮은 도도도도 워리어뿐만 아니라 다른 몬스터 1장까지 같이 서치하는 것이니 2:2 교환 방식이라도 상당히 터무니 없는 카드라 우라라는 무조건 이 카드에 박을 수밖에 없다.
수록 시리즈
2014-02-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AL-KR067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43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021-09-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2-KR025 | 스트럭처 덱 오버레이 유니버스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71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13-11-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AL-JP067 | レガシー・オブ・ザ・ヴァリアント [ LEGACY OF THE VALIANT ]
2014-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AL-EN067 | LEGACY OF THE VALIANT

4.2. 희망향-오노마토피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84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희망향-오노마토피아-,
일어판 명칭=<ruby>希望郷<rp>(</rp><rt>きぼうきょう</rt><rp>)</rp></ruby>-オノマトピア-,
영어판 명칭=Onomatopia,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에 "유토피아"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때마다\, 이 카드에 전력승부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전력승부 카운터의 수 × 200 올린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전력승부 카운터를 2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몬스터 중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일본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첫 수록된 유토피아 관련 필드 마법.

유토피아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때마다 능력치를 200씩 강화시켜 주는 전력승부 카운터를 1개씩 놓고, 1턴에 1번 전력승부 카운터 2개를 제거해 오노마토페어로 서치 가능한 몬스터 중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카운터를 놓는 것에는 1턴에 1번 제한이 없어서 랭크 업 엑시즈 체인지로 조건을 한 번에 만족할 수 있다.

오노마토 카드 중 가장 성능이 떨어진다. 이 카드를 쓴다면 효과 발동 타이밍이 거의 전개의 중간에서 끝 부분이 되는데, 그럴 바에는 오노마토페어로 패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다수의 오노마토 시리즈 몬스터들을 가져와서 전부 특수 소환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강하다.

유토피아 몬스터와 유마의 의성어 몬스터들을 연결시켜 주는 카드. 전력승부 카운터의 원래 이름은 캇토빙 카운터로, 유희왕 ZEXAL의 주인공 츠쿠모 유마의 말버릇인 "캇토빙"에서 따왔다. 국내에서는 전력승부로 현지화되었고 TCG에서는 캇토빙에 대응하는 번역이 "I'm Feeling the Flow"와 "Hi-Five the Sky"로 나뉘었는데 캇토빙 챌린지와 함께 Hi-Five the Sky로 번역했다.

카드명은 '의성어 / 의태어'를 의미하는 영단어 '오노마토피아(Onomatopoeia)'와 '이상향'을 의미하는 영단어 '유토피아(Utopia)'의 합성어. 유마의 카드군을 아우르는 오노마토 카드군에 포함됨은 물론, No.39 유토피아의 해외판 명칭과도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

일러스트는 아스트랄 세계에서 No.39 유토피아가가가 매지션, 고고고 골렘, 도도도 워리어, 주바바 나이트에게 희망을 나누어주는 모습이다. 그야말로 대놓고 노린 카드.

이후 성능적으로 큰 연관은 없어도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에서 이 카드의 작명법을 바리안에 적용한 기망향-바리언-이 나왔다.
수록 시리즈
2016-01-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P15-KR057 | 엑스트라 팩 2015
2014-04-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EA-JP089 | ザ・デュエリスト・アドベント [ THE DUELIST ADVENT ]
2015-04-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SUP-EN024 | World Superstars

4.3. 오노마토픽

파일:オノマト選択(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오노마토픽,
일어판명칭=オノマト<ruby>選択<rp>(</rp><rt>ピック</rt><rp>)</rp></ruby>,
영어판명칭=Onomatopickup,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오노마토픽" 이외의 "오노마토"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몬스터 중\, 어느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대상 몬스터와 같은 레벨이 된다.)]

최초로 오노마토를 카드군으로 엮은 카드. 발동시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오노마토 카드를 서치해 추가 전개를 돕는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성능은 좋지만 서치 수단이 없었던 오노마토페어의 서치가 가능해졌다. 단, 지속 마법이기에 이 카드를 처음에 발동해버렸다면 ZS-어센드 세이지의 자체 특소가 불가능해지므로 유의.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주바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몬스터 1장을 골라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모든 몬스터의 레벨을 그 레벨로 맞추는 효과. 도도도 몬스터들과 써서 랭크 6 엑시즈 소환, 레벨 변환이 가능한 가가가 매지션을 골라 랭크 1~8까지의 다양한 엑시즈 소환을 가능하게 한다. 정작 이 효과는 일반적으로 소환할 모든 몬스터의 레벨/랭크가 4인 유토피아 덱에선 발동 후에 사실상 필드만 차지하는 카드로 전락하여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다. 하지만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지원에서 나온 전개 몬스터는 원래 레벨이 3이나 6인 경우가 있어서, 무효계를 맞아 레벨이 돌아가버렸을 때 케어하는 비상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속 마법인 점을 이용해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의 효과 발동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아스트랄 호프의 효과를 사실상 공짜로 발동하는 셈이다.

카드명은 영단어 'Onomatopoeic'과 'Pick'의 합성어. 일러스트에 나와 있는건 가가가 매지션과 주바바 나이트.
수록 시리즈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37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021-09-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2-KR026 | 스트럭처 덱 오버레이 유니버스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71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19-11-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JP037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20-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6-EN037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5. 서포트 카드

5.1.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5.2. 가가가가 걸

6. 관련 카드


[1] 실제로 이 넷은 어드밴스 수록 당시 번호가 이 순서기도 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희망황,version=37, uuid=0e59383f-829f-4edb-8032-564bcda1e4b1, paragraph=3.1.2,
title2=오노마토페어,version2=14, uuid2=123986e7-3550-48a2-8c31-5e47071dfd8b,
title3=희망향-오노마토피아-,version3=46, uuid3=6a9b76c6-4cb9-4fe0-9120-51368cc378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