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1:55:56

M∀LICE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colbgcolor=#9D2837>
M∀LICE
<nopad> 파일:M∀LICE IN UNDERGROUND.png
M∀LICE IN UNDERGROUND
한글판 명칭 [ruby(M∀LICE, ruby=맬리스)]
일어판 명칭 [ruby(M∀LICE, ruby=マリス)]
영어판 명칭 Maliss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사이버스족 효과, 링크
1. 개요2. 설명
2.1. 설정2.2. 성능
2.2.1. 장점2.2.2. 단점2.2.3. 카운터 및 상대법
2.3. 역사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3
3.1.1. M∀LICE<P>White Rabbit3.1.2. M∀LICE<P>Cheshire Cat3.1.3. M∀LICE<P>Dormouse3.1.4. M∀LICE<P>March Hare
4. 링크 몬스터
4.1. 링크 3
4.1.1. M∀LICE<Q>RED RANSOM4.1.2. M∀LICE<Q>WHITE BINDER4.1.3. M∀LICE<Q>HEARTS OF CRYPTER
5. 마법 카드
5.1. 필드 마법
5.1.1. M∀LICE IN UNDERGROUND
5.2. 속공 마법
5.2.1. M∀LICE IN THE MIRROR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M∀LICE<C>MTP-076.1.2. M∀LICE<C>GWC-066.1.3. M∀LICE<C>TB-11
7. 관련 카드8.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8.1. 메인 덱 몬스터8.2. 엑스트라 덱 몬스터8.3. 마법 / 함정8.4. 카드군

1. 개요

<rowcolor=white> 유희왕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밸리언트 스매셔즈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저스티스 헌터즈
메멘토, 센츄리온, 바르모니카 라이제올, M∀LICE, 룡화 드래곤테일, 야미, K9
─<作戦コード>認証完了。
──❝[ruby(𝘔∀𝘓𝘐𝘊𝘌, ruby=マリス)] [ruby(𝘐𝘕, ruby=イン)] [ruby(𝘜𝘕𝘋𝘌𝘙𝘎𝘙𝘖𝘜𝘕𝘋, ruby=アンダーグラウンド)]❞
─<작전코드> 인증완료.
──❝[ruby(𝘔∀𝘓𝘐𝘊𝘌, ruby=맬리스)] [ruby(𝘐𝘕, ruby=인)] [ruby(𝘜𝘕𝘋𝘌𝘙𝘎𝘙𝘖𝘜𝘕𝘋, ruby=언더그라운드)]❞
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큰 구멍 너머에 펼쳐진 미지의 영역을 떠올리게 하는 아이콘 프레임.
그 심연에는 사람들의 악의로부터 발생한 엄청난 양의 위험한 데이터가 소용돌이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프레임 설명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2. 설명

덱 빌드 팩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에서 첫 등장했다. 캐치프레이즈는 "불가사의한 전뇌세계를 수많은 코드로 공략하라!".

이름의 "M∀LICE(맬리스)"는 악의라는 뜻의 맬리스(Malice)[1] + 앨리스(Alice)를 변형한 것이다.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거울 나라의 앨리스. 하급 몬스터들은 여기에 더해 체스의 폰플레잉 카드의 문양을 추가로 가미하였으며, 링크 몬스터들은 체스의 퀸맬웨어가 섞여 있다. 같은 컨셉 출신으로 사이버스족 효과 몬스터인 매드 해커가 있었는데, M∀LICE<C>MTP-07에서 같은 세계관으로 밝혀졌다.

참기 이후 5년 만에 추가된 OCG 오리지널 순수 사이버스족 테마로, 사이버스 상의 모티브는 멀웨어로 멀웨어 자체가 Malicious Software이다.

공개 이후 테마 이름에 다소 생소할 수 있는 기호인 가 들어가 있어[2] '이걸 대체 어떻게 읽어야 하나'는 추측이 제일 활발한 카드군이었는데, 팬들의 의견은 "∀라고 쓰고 A라고 읽는다"라는 추세로 기울었으며 실제로도 그렇게 표기되었다. 정식 발매 이전에는 일본어 표기인 'マリス'가, 증폭하는 맬리스를 제외하면 이것들은 전부 "마리스"로 정발된 것 때문에 테마 명이 '마리스'로 오역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는데, 테마 명칭을 영칭에 루비를 포함한 "M∀LICE(맬리스)"로 지정하는 것으로 번역하며 오역이 발생하지는 않았다.

일러스트의 경우 반바지를 입은 체셔 캣이나 치마가 있는 하츠 오브 크립터를 제외하면 전부 하의가 레오타드 형태다. 도마우스, 레드 랜섬, 화이트 바인더는 치마가 있는데 투명 치마다. 이러한 디자인 특성 탓에 외수판에서는 탄압의 마수를 피해가지 못했다.

아이돌 카드군 특성상 레어도가 굉장히 높게 출시되었는데, 전체 카드 10장중 기본 레어가 슈퍼 레어로 책정된 카드가 5장이나 된다. 특히 이러한 고레어를 책정받은 카드들이 필수 카드라 초창기에는 가격이 굉장히 높게 책정되었다. 다만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 거품이 꺼지고 무엇보다 라이제올의 성능이 1티어급이었다는 것이 드러나 라이제올 쪽으로 수요가 몰려 어느 정도 가격이 줄어들었다. 물론 라이제올에 비해 아주 조금 모자랄 뿐이지 이쪽도 외모 뿐만 아니라 성능 역시 탁월해서 여전히 꽤 비싼 편이다.

2.1. 설정

디지털 사회의 폭주로 거대한 구멍이 나타나, 그 너머의 전뇌 세계인 UNDERGROUND를 탐색 및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율형 AI 에이전트들이 M∀LICE라는 설정이다. UNDERGROUND는 사람들의 악의로부터 태어난 방대한 양의 위험 데이터가 소용돌이 치고 있어 보통 사람은 제정신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악을 금지하느니 사악을 이용한다"는 모토로 만들어진 것이 M∀LICE들인 것.

얼핏 보면 다양한 미소녀들이 등장하는 테마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두 얼굴(특히 눈)과 앞머리가 같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M∀LICE들이 UNDERGROUND에 적합한 유일한 소녀를 소체로 만들어진 AI들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소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외모도 동일하지만, 개체별로 각각 성장시켰기 때문에 능력이나 성격이 크게 다르다고.

설정에서 보듯이 멀웨어를 모티브로 삼고 있지만 딱히 데이터 변조나 유출 등의 악행을 위해 만들어진 존재들은 아니다. 하지만 악의로 가득찬 UNDERGROUND에 적합한 존재에, 링크 몬스터들인 타입 퀸은 대놓고 전투용이라고 언급되고, '악에는 악으로'라는 식으로 언급되는 것을 보면 일반적인 관점에선 멀웨어 못지 않게 위험한 AI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2.2. 성능

제외를 활용한 전개로부터 링크 소환에 연결해 싸우는 사이버스족의 신 시리즈 등장.

레벨 3의 3장은 제외되면 자신을 특수 소환.
게다가 각각 덱에서 전력을 끌어내는 효과와 링크 몬스터를 지원하는 효과도 겸비한다.

그리고 3장의 함정 카드는, 필드의 「M∀LICE」몬스터를 제외해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동료를 약동시키면서 턴을 넘지 않고 전개나 방해 등의 효과를 내보낼 수 있다.

비장의 카드인 링크 3 몬스터들도 제외되면 자신을 특수 소환하면서 +α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링크 몬스터 중에서도 「HEARTS OF CRYPTER」에는 주목으로, 자신·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는 유발 즉시 효과로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제외할 수 있다! 또, 자신이 제외되었을 경우에 공격력을 배로 해 필드에 돌아오는 효과도 강력하고, 필드 마법에 의한 공격력 3000 업의 효과와 함께 일격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것도!
M∀LICE 레벨 3 몬스터의 공통 효과
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고유 효과)
②: 이 카드를 링크 앞으로 하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에 (고유 효과를 적용한다.)
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3]
카드명
②의 고유 효과
M∀LICE<P>White Rabbit
②: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M∀LICE<P>Cheshire Cat
②: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묘지로 가지 않고 제외된다.
M∀LICE<P>Dormouse
②: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다.
M∀LICE<P>March Hare
②: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사이버스족으로서는 특이하게도 제외 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테마다.
  • 몬스터들은 모두 제외되었을 때 라이프 코스트를 지불하고[4][5]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함정 카드들의 즉시 발동 코스트 등 제외 코스트를 전개를 위한 트리거로 삼을 수 있다.
    • 이 효과를 사용한 후,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없는 제한이 걸린다.
  • 11기부터 보기 힘들어진 '링크 상태'의 몬스터를 요구한다. WHITE BINDER를 뺀 모든 몬스터가 링크 몬스터 링크 앞에 몬스터가 있어야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3이라는 숫자와 관련이 깊다. 모든 몬스터 카드들이 전부 레벨 3 또는 링크 3 몬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레벨 3 몬스터는 첫 출시 당시에 3종이었고, 링크 3 몬스터는 3종이며, 함정 카드도 3종류, 제외 소생 라이프 코스트는 300의 배수로 이루어져 있다.
  • 함정 카드는 전부 필드의 M∀LICE 몬스터를 제외하고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으며, 함정 카드답지 않게 모두 전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사이버스족이라서 사이버스 덱 특유의 강력한 전개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사이버스 덱의 공통적인 약점을 여럿 회피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이버스족 제한을 강하게 거는 다른 사이버스족 카드와 달리, M∀LICE는 링크 몬스터 이외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만 제한하므로 사이버스가 아닌 다른 링크 몬스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여타 사이버스와 달리 패 트랩 전반에 내성이 있어서, 기존의 사이버스와 달리 저점이 훨씬 높다.

한편 맬리스는 제외를 트리거로 하는 덱이다보니 사이버스 특유의 적절한 공격권에 더해 본래 액세스코드 토커나 사이버스 위키드 등이 묘지의 카드를 제외하여 '소모'하여야 하는 코스트를 오히려 어드밴티지로 삼아버리는 시너지가 나버린다.

그 결과 참기파이어월 메인 몬스터 등을 대신해 사이버스 덱의 전개 파츠로 쓰이는 형태로 정립되었다. M∀LICE 파츠의 장점이라면 덱 기믹을 많이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하급 하나만 나와도 다른 메인 덱 몬스터가 줄줄이 튀어나오는 구조로, 그러면서도 제약은 링크 몬스터 소환 정도밖에 걸리지 않아 기존 사이버스의 빌드의 핵심은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가용 자원이나 덱 스페이스 등에서 기존에 비해 더 개선된 덱 구축이 가능해졌다. 테마 내 몬스터가 어둠 속성으로 통일되어 있어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이후 가장 주목받는 패트랩인 도미나스 임펄스도 채용 가능하다.

이렇듯 제외 기믹을 쓸뿐이지 그저 평범한 사이버스 링크 덱이다보니 실험적인 컨셉을 내세우던 덱 빌드 팩 테마답지는 않다는 평을 받는다. 세트한 턴에 발동 가능한 함정 등도 컨셉이라기보다는 성능쪽에 치중되어있어서 더욱 그렇다.

전통적인 차원계 덱은 탑 티어 덱에 비해 덱 파워가 낮지만 디멘션 어트랙터, 매크로 코스모스, 차원의 틈 등의 비대칭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차별점을 내세우는데, 맬리스는 제외 자원까지 활용함으로써 파워를 한계까지 끌어올린 형태로 탑 티어에 오른 덱이다. 일례로, 일반 소환한 하급의 효과만으로도 메인 덱 파츠를 모조리 끌어 올 수 있기 때문에, 고고제수 같은 카드는 사용할 필요도 없으며, 상술한 비대칭 전력은 맬리스 이외의 사이버스족을 먹통으로 만들다보니 맬리스 덱에서는 채용률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

라이제올이 12기의 스프라이트라는 별명을 얻으면서 이 테마를 두고 제2의 티아라멘츠라는 우스개소리가 있다. 2인자, 미소녀 테마, 그리고 애니메이션 캐릭터 지원을 통한 덱 파워 상승 가능성 등이 출시 초기 티아라멘츠가 걸어온 길과 유사하다.[6]

2.2.1. 장점

  • 낮은 서치 의존도
    전개 도중에 필요한 서치는 RED RANSOM(레드 랜섬)이 가져오는 필드 마법 단 1번으로, 그마저도 고점에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져오지 못해도 전개에 지장이 적다. 따라서 증식의 G마루챠미 시리즈를 막기 위해 드롤 & 로크 버드를 메인으로 투입할 수 있다.
  • 패 트랩 내성
    맬리스는 패 트랩 다수를 아프게 맞는 기존의 사이버스 GS에 비해서 패 트랩 내성이 매우 높다.
    • 하루 우라라: 핵심 초동인 도마우스, 화이트 래빗, 언더그라운드 3장은 모두 우라라를 안 맞으며, 레드 랜섬의 서치 효과는 링크 디코더의 소생 효과를 체인 2로 두어 우라라가 못 끼어들게 막아버릴 수 있다. 화이트 래빗이 끌어오는 MTP-07과 TB-11에는 우라라를 맞으므로 완전히 무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애당초 범용성이 가장 높은 패 트랩인 우라라를 이 정도까지 피해갈 수 있는 카드군은 거의 없다.
    • 드롤&로크 버드: 서치 의존도가 낮은 특성상 드롤은 거의 무의미하다. 오히려 맬리스 쪽에서 드롤을 채용해 자턴드롤을 날려 증지, 마루챠미에 대한 대비책으로 써먹을 수 있다.
    • 이펙트 뵐러, 무한포영: 도마우스나 화이트 래빗 하나만 잡았다면 그대로 멈추지만, 2핸드 이상을 멈추려면 뵐포가 3장은 필요하다. 추가 공격권까지 막더라도 스플래시 메이지 등을 활용해서 어떻게든 3링크 이상을 내기만 하면 그게 또 공격권이 되는 구조 때문이다. 링그리보로 포영을 케어할 수도 있고, 전용 함정 카드들은 발동 시 코스트로 맬리스 몬스터를 제외해 버리기 때문에 미리 세트해 놓고 뵐포를 회피하는 무빙도 가능하다.
    • 비스테드: 묘지로 간 맬리스 몬스터가 제외되면 자체 소생 효과로 부활할 뿐이니 의미가 없다. 이미 그 턴에 소생 효과를 썼다 해도 맬리스는 제외 존에서 다시 끌어올 수단이 많은데다, 묘지에 꼭 묻어둬야 하는 카드가 없다시피해서 거의 타격이 없다. 이미 소생 효과를 사용한 맬리스를 스플래시 메이지 등으로 소생하려 하는 상황 등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효력을 발휘한다.
    • 디멘션 어트랙터: 맬리스는 묘지 자원도 사용하는 덱이므로 타격이 아예 없지는 않지만, 덱 기믹이 통째로 정지할 수 있는 대부분의 티어덱과 비교하면 데미지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오히려 링크 소재로 쓴 맬리스가 제외됨을 이용해 스플래시 메이지, 성취의 리절도즈 등의 효과를 거치지 않고 더 빠른 전개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거꾸로 맬리스 쪽에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
    • 유령토끼: 맬리스는 지속물 계통 마함이 언더그라운드 하나 뿐인데, 언더그라운드의 ①의 효과는 발동시에 처리되는 효과이고 나머지 효과는 지속 효과라서 언더그라운드에는 아예 유령토끼를 발동할 수 없다. 몬스터들은 필드에 꼭 남겨둬야만 하는 몬스터가 없고, 소생 수단이 풍부해서 치명타가 안 들어간다.

    즉 맬리스에게 아프게 먹히는 범용 패 트랩은 증식의 G, 마루챠미 후와로스[7], 원시생명체 니비루[8] 정도밖에 없다. 이 카드들조차 맬리스는 자턴드롤, 리틀나이트 착지, 맬리스 인 더 미러 / MTP-07 같은 후열 마련 등 플랜 B가 수두룩해서 기존의 사이버스 덱에 비해 내성이 강하다. 그래서 맬리스에게는 기존의 횡전개 덱과는 전혀 다른 대처법이 필요해진다.
  • 우수한 어드밴티지 수급 및 후속 능력, 널널한 덱 스페이스
    기본적으로 메인 덱 몬스터들은 서로서로 다른 메인 덱 몬스터를 줄줄이 끌고 오는 구조의 덱이며, 메인 덱 / 엑스트라 덱 몬스터 관계 없이 제외되면 소생하는 공통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기본적인 어드벤티지 수급량이 다른 덱에 비해 한 차원 높다. 또한, 다른 덱에서는 보기 힘든 어드벤티지+2 계열의 파워 카드도 이 테마에서는 여럿 존재한다.
    제외 수단만 마련해 놓으면 복구력도 꽤 강력한 편이다. 무슨 수를 쓰든지 화이트 바인더만 소환할 수 있다면 그 효과로 묘지에 묻힌 맬리스 몬스터를 다수 제외할 수 있고, 그러면 그것들을 전부 한꺼번에 소생할 수 있다.
    카드 하나하나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덱 스페이스도 전개 덱 치고 넓은 편이며, 도미나스 임펄스 같은 초강력 패 트랩도 쓸 수 있다.
  • 다른 사이버스 덱에 비해 널널한 제약
    마치 헤어를 제외한 메인 덱 몬스터 3종은 자신의 효과로 제외 존에서 특수 소환될 때, 링크 몬스터만 엑덱에서 꺼낼 수 있다는 제약을 건다. 이는 지금까지의 사이버스족 덱들이 종족, 속성으로 제약을 걸던 것에 비하면 매우 널널한 수준으로, 다른 종족의 유용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제약이 걸리기 전에 소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사이버스 덱과는 확고한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사이버스가 쓰기 어려웠던 에스:피 리틀나이트도 문제 없이 채용할 수 있고,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를 사이버스 제약이 걸리기 전에 세울 수 있다는 것 또한 강력한 차별점이었다.
    또한 맬리스 링크 몬스터들은 M∀LICE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3장을 소재로 요구하므로 사이버스족이 아닌 몬스터도 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 비스테드천년 등의 비 사이버스 카드군을 용병으로 채용해 개체수를 불릴 수도 있다. 스플래시 메이지나 사이버스 위키드의 소재로 못 한다는 점만 주의하면 된다.
  • 강력한 전투력
    HEARTS OF CRYPTER(하트 오브 크립터)는 자체 효과로 소생하면 공격력이 무려 5000이 된다. 액세스코드 토커를 사용해 크립터를 능동적으로 제외하면 공격력 5300의 액토커에 더해 5000의 크립터까지 나오므로 링크 소재 4마리만으로 총 10300의 타점이 확보된다. 여기에 무식한 돌파력을 자랑하는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네오템피스트도 사용 가능하고, 레드 랜섬과 화이트 바인더의 공격력이 2300이라 어코드 토커@이그니스터를 채용해 총공격을 시도하는 등 매우 다채로운 방법으로 킬각을 잡을 수 있다. 드물지만 UNDERGROUND(언더그라운드)의 ②의 효과가 만족되면 크립터의 공격력을 8000까지 올릴 수 있다.
    또한 언더그라운드는 맬리스 링크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를 전투에서 지켜주는 효과가 있어서 아폴, 리나 등 저타점의 몬스터가 전투로 얻어맞아 제거되는 것을 사전 차단하며, 네템을 세운 경우 배틀 페이즈 도중 몬스터 효과를 모조리 틀어막아 배틀 페이즈 중에 압도적인 우세를 점할 수 있다.
  • 차원계 특유의 견제력
    화이트 바인더, 하트 오브 크립터, MTP-07 등 맬리스의 견제는 제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그 특성상 제외를 활용할 수 있는 덱이 아니라면 자원 관리에 난향을 준다. 특히 크립터는 마함도 견제 가능한 비대상 견제를 프리 체인으로 날리는데, 조건부로 무효화조차 통하지 않는 강력한 효과로 무장하고 있다.
    또한 맬리스는 제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묘지 자원 의존도가 높지 않아 비스테드, 디멘션 어트랙터, 매크로 코스모스 등의 강력한 묘지 메타 카드를 채용할 수도 있다.

2.2.2. 단점

  • LP 소모량
    제외된 M∀LICE 몬스터들을 소생시키려면 라이프를 지불해야 하는데, 수치 자체는 적어보여도 발동하는 횟수가 많아 LP를 많이 소모하게 된다. 메인 몬스터 4종과 링크 몬스터 3종의 효과를 모두 격발하는데 필요한 LP는 3900. 이렇게 지불한 LP를 보충한 수단이 GWC-06뿐이라 이를 누적하다보면 LP가 바닥나기 십상이다. 이렇다보니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 천년 등 LP를 코스트로 요구하는 카드를 추가 채용한다면 LP 컨트롤에 신중해야 한다.
  • 제외 메타 카드에 취약함
    맬리스 최악의 약점. 제외가 막히면 행동에 심각한 제약이 걸린다. 패 트랩 내성이 있다는 것도 범용 패트랩에 한정된 이야기고, 작정하고 맬리스를 저격하는 패트랩을 들고 온 상대는 대처하기 까다롭다. 아티팩트-롱기누스, 카오스 헌터, 왕궁의 철벽을 맞으면 맬리스 엔진이 통째로 정지한다. 롱기누스는 지명자류 카드가 없으면 사실상 대처가 불가능하며, 카오스 헌터와 왕궁의 철벽은 리틀나이트나 액세스코드[9]조차 봉인하는 특성상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트로이메어 피닉스,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등의 채용을 강제한다. 드물게 마루챠미 냐루스를 맞을 수도 있는데, 때에 따라선 후와로스보다 아프다.
  • 비싼 가격
    메인 덱 몬스터 4종류와[10] 백업@이그니스터, 역시 3장 꽉 넣어야 하는 필드 마법, 1장만 투입하는 함정 카드인 MTP-07의 기본 레어가 전부 슈퍼 레어라서 봉입률이 고르지 못하고 미소녀 테마랑 티어권 성능이라는 점까지 겹쳐서 덱의 기본적인 소스만 놓고 봐도 매우 비싸다.

    마스터 듀얼도 사정은 다르지 않아서 에이스인 하트 오브 크립터는 물론이고 메인덱 파츠인 화이트 래빗, 도마우스, 마치 헤어와 필드 마법인 언더그라운드까지 모두 UR로 책정되어 가격이 비싸다. 특히 3장 풀투입해야 하는 초동 3종이 모두 UR이라 아무리 싸게 맞춰도 최소 11장의 UR이 필요하다. 거기다 필수로 채용하는 링크 디코더, 봉인의 황금궤와 고점을 위해 채용하는 파이어월 드래곤, 만능 피니셔인 액세스코드 토커, 최종 결과물인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네오템피스트의 덤핑용 파츠인 디세브룸과 에니그마스터, 코드 오브 소울 등도 UR이며, 마듀에 상륙한 어코드 토커와 백업@이그니스터도 UR등급으로 출시되어 멜리스를 포함한 사이버스 덱 유저들의 속을 긁어놓았다.
  • 부족한 퍼미션
    맬리스 기믹의 퍼미션은 M∀LICE IN THE MIRROR 한 장 뿐이다.[11] 다른 카드는 전부 제외를 통해 필드 / 묘지에서 카드를 치울 뿐, 발동한 효과를 못 막는다. 그래서 퍼미션을 아폴, 네템, 어코드 토커 등 범용 카드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고, 아폴로우사 금지 이후에는 퍼미션 수단이 확 줄어들어 유의미한 타격을 입었다.

2.2.3. 카운터 및 상대법

M∀LICE를 상대로 효과적인 카드는 다음과 같다.

2.3. 역사

2.3.1. OCG

발매 이후(2024년 8월)에는 라이제올 바로 밑의 2인자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기존의 사이버스의 장점에 더해, 어둠 속성 통일 테마인데다 엑스트라 덱 핵심 몬스터들도 트랜스코드 토커파이어월 드래곤 등을 제외하면 죄다 어둠이나 물 속성이라 도미나스 임펄스도 사용할 수 있으며[12] 기존의 사이버스보다 패 트랩 우회 능력 및 묘지 견제 능력 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이드에 아티팩트-롱기누스가 풀투입되고 있으며 디멘션 어트랙터도 미러전에 쓸모가 없어 안 넣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다만 그 롱기누스 등 제외 견제에는 정지하다시피 하는 것에 1티어 상승이 막혔고, 바로 밑에서 하얀 숲이나 푸른 눈, 메멘토 등의 추격을 받고 있다.

2024년 11월부터 페어리테일-백설이웃집 잔디깎기를 채용한 60장 구성의 덱도 입상하면서 연구되고 있다. 다른 60장 덱에서 볼 수 없는 차원계+60장 덱이라는 점으로 많은 공격권과 관통력으로 승부를 본다. 또, 사이버스 전개에서 탈피해 빛 없는 그림자 아=바오 아 쿠, 트로이메어 그리폰을 사용하는 빌드도 개발되었다. 해당 빌드는 도트스케이퍼, 트랜스코드 토커 등 사이버스 고점 전개에 필요한 땅 속성 몬스터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미나스 임펄스를 풀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라이제올의 티어가 내려간 1월 금제 이후로 임펄스의 효율이 크게 올라가 주력 구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2025년 1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으로 맬리스가 잘 사용하던 봉인의 황금궤가 제한으로 복귀하고 어둠의 유혹도 제한이 되는 간접 제재를 받았다. 어디까지나 간접적인 제재였기 때문에 직접 제재를 당한 동기 라이제올 다음을 잇는 1황이 될 것으로 여겨졌지만, 신규 지원을 받은 다른 덱들도 치고 올라오면서 춘추전국시대의 다양한 1티어 덱 중 하나가 되었다. 다만 사이딩을 보면 대부분이 맬리스를 크게 의식한 것을 볼 수 있어서 집중저격을 받고있음에도 불구하고 1티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란 점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신규 지원 2장을 받게 되었는데, 거기에 해당 팩의 메인인 @이그니스터의 신규 지원 일부도 흡수해 덱 파워가 크게 상승하였다. 특히 백업@이그니스터는 어둠 속성 사이버스족을 지정하는 탓에 다속성인 이그니스터보다 맬리스에서 더 유용하게 쓸 수 있고, 어코드토커도 공격력 2300을 지정하는 방식이 맬리스와 호환되기 쉬운지라 처음부터 노리고 간접 지원을 준 것 아니냐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1월 금제로 줄어든 공격권은 신지원이 완전히 채우고도 남았고, 이렇듯 초동 매수가 늘어난 건 아니지만 전개 고점 및 안정성이 오른 덕분에, 같은 팩에서 지원카드를 받은 덱빌팩 동기 라이제올과 함께 1티어 2강 구도를 이루었다.[13]

결국 2025년 4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선 강력한 1핸드 초동인 Dormouse가 제한에, 강력한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 가능한 패 트랩인 디멘션 어트랙터, 60축의 핵심인 이웃집 잔디깎기도 제한이 되었다. 다만 다른 1핸드 초동인 White Rabbit과 필드 마법이 무제한으로 넘어간 데다 링크 테마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인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도 제재 없이 건재하고, 어트랙터는 상술한대로 이전부터 빠지는 경우도 있다보니 여전히 미약한 제재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냥 빈 자리에 Dormouse를 서치할 수 있는 사이바넷 마이닝을 넣으면 된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 실제로 저스티스 헌터즈의 테마들이 티어권에 들어오면서 비율이 줄었을 뿐, 제재로 비게 된 초동과 공격권을 마이닝이나 @이그니스터 파츠로 채우거나 K9이나 PSY프레임등의 패 트랩형 용병을 넣는 것으로 메꾸고 꾸준히 입상하고 있다. 기세가 크게 꺾인 동기 라이제올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 정말로 티아라멘츠랑 행보가 비슷해지고 있다.

하지만 덱 파워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1티어 자리를 드래곤테일에게 내준 후 야미와 함께 2인자 자리를 다투다,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출시 후에는 VS가 드래곤테일과 맞먹는 새로운 1티어로 등극하면서 M∀LICE는 명백하게 2티어 라인으로 내려갔다. 그렇지만 @이그니스터 파츠를 통한 공격권 확보와 제외라는 비대칭적 기믹 덕분에 4월에 제재를 받은 것치곤 덱 파워가 건재하단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25.07 금제에서 아폴로우사가 금지 카드로 지정되며 꽤 큰 타격을 입었다. 맬리스의 타 사이버스족 대비 최대 장점인 사이버스 제약이 적어 아폴로우사를 빠른 단계에 뽑아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케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잃었기 때문. 하지만 그런만큼 맬리스에 대한 마킹이 줄어들자 여전히 환경권에서 활약하고 있다.

2025년 10월에는 예상과는 달리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환경의 1강 덱이었던 K9VS가 강한 금제를 받고 1티어 자리에서 내려왔기에 뒤를 이어 활약할 덱으로 기대되고있다.

2.3.2. TCG

TCG권에서는 라이제올의 뒤를 이은 셰어를 보이며 대약진 중이다. OCG에서 맬리스의 최대 파워로 꼽히는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가 금지임에도 불구하고, 기본 무브 자체가 워낙 안정적으로 강력하다보니 자체 무브만으로도 충분히 티어권을 석권 중이다.[14] 링크 4 결과물로는 파이어월 드래곤이나 아=바오 아 쿠, 트로이메어 그리폰이 주로 사용되는 중. 임펄스를 쓸 수 있는 순수 축이 제일 많지만 혼합 구축으로는 데먼스미스 축이나 섬도 축이 활약하고 있다. 2025년 4월 금제로 Dormouse와 White Rabbit, UNDERGROUND가 준제한을 먹었고 링크 디코더와 그리폰이 금지를 당하는 제재를 당했다.

금제 이후에도 여전히 강력함을 과시하여,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발매 후로는 이그니스터 축이 되면서 미츠루기랑 1티어에서 비슷한 셰어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아무래도 환경 주도권은 미츠루기 쪽에 있고, 맬리스 쪽은 드롤을 잘 쓰는 덱으로서 그 반사이익을 받아먹는 쪽에 가깝다.

TCG 환경에 가까운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에서도, 4강에는 진출하지 못했지만 토너먼트 진출자는 무려 5명으로 메타 주도자인 뱅키시 소울과 야미의 뒤를 이었다.

결국 9월 스플래시메이지 금지, 도마우스 제한으로 추가재제를 받아서 자기 자신들은 물론 사이버스 덱 자체를 파괴한 것이나 다름없게 되었다. 문제는 이렇게까지 짤려나가고서도 6%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여전히 티어환경에 나타나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2.3.3. 유희왕 마스터 듀얼

오프라인과의 리미트 레귤레이션 차이점
M∀LICE
IN UNDERGROUND
소명의 신궁-
아폴로우사
어둠의 유혹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파일:유희왕_제한됨 3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제한됨 3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제한됨 3 아이콘.png

2025년 7월 4일 셀렉션 팩 '스트러글 오브 원더랜드'로 수록되었다. OCG/TCG 환경에서 아직까지도 티어덱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테마인데다, 동기인 라이제올이 아직까지도 출시되지 않았고, 선금제가 전혀 없다는 점이 확인되어 독보적인 1티어가 될 것이라며 화제가 되었다. 스네이크아이, 죄보, 데먼스미스, 천년 등으로 쓰레기같은 용병 무한반복 환경을 해소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기도 했고, 맬리스가 무금제로 들어오면 안 그래도 불안한 환경이 완전히 망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는 반응도 많았다.

선금제 없이 봉인의 황금궤가 준제한이며 전례상 얼인사 지원까지 함께 들어왔다. 그나마 @이그니스터 파츠는 아직 없어서 얼인사풀 맬리스 그 자체는 아니지만, 슈닼풀 맬리스보다는 명백히 강하다. Live2D 소환씬은 얼굴마담이라 할 수 있는 하트 오브 크립터가 가져갔다.

덱이 상당히 비싼데, 에이스인 크립터는 물론 UR, 초동이라서 3장 풀투입해야 하는 화이트 래빗, 도마우스, 언더그라운드 전부가 UR 등급으로 배정되었다.[15] 게다가 아무리 적게 넣어도 최소 1장은 투입되는 마치 헤어까지 UR이라 무려 5종이 UR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100억 팩 개봉 기념으로 SR 보장 포함 매일 1팩을 무료로 제공하고, 액세서리 세트까지 출시하여 섬도희낙인에 준하는 우대를 받았다.

7월 26일 기준 맬리스의 점유율은 약 42%이며, 맬리스가 자주 채용하는 링크 디코더, 스플래시 메이지, 액세스코드 토커,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봉인의 황금궤, 도미나스 임펄스 역시 40%를 초과하는 채용률을 보여주고 있다. 빈도수가 워낙 많아서 하트 오브 크립터, 액토커, 네템, 레드 랜섬, 화이트 바인더가 각각 피니셔 랭킹 1위, 2위, 3위, 4위, 6위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의외로 출시 직후에는 1티어는 맞으나, 티아라멘츠마냥 다른 덱 전체를 잠재울 정도의 위력은 발휘하지 못했다. 증식의 G와 후와로스에 약한 점에 더해 롱기누스, 카오스 헌터, 극단적으로는 왕궁의 철벽제외 봉쇄 카드에 너무 취약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선공 풀전개를 허용하면 지는 것은 다른 티어 덱도 다 똑같은데, 맬리스는 체급은 높더라도 카운터 카드를 딱 한 장이라도 통과시키면 턴 스킵급의 피해를 입기 때문에 어떻게든 대처할 만하다는 평.[16] 맬리스의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은 것이 역으로 독이 되어, 1황 메타인데 그 1황이 패에 따라 3~4티어 덱에게 손도 못 쓰고 침몰할 수도 있는 기묘한 현상이 발생했다.

이런 제외 봉쇄 카드들은 특정 덱 상대로만 쓸만한 사이드 카드들이다 보니 단판전인 마스터 듀얼에서는 메인 덱에 넣기엔 리스크가 크고, 그렇기에 맬리스 1황 메타에서 이 카드들이 얼마나 널리 채용될지에 대해서는 예측이 갈리고 있었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맬리스 등장 직전 DC컵에서 수많은 성과를 남겨 1티어에 오른 크리스트론이 제외 봉쇄에 약하고, 낙인 덱 역시 낙인룡 알비온의 전개와 핵심 견제기가 막히기 때문에 충분히 투입할 만한 상황이 된 것이다. 그 결과 제외와 전혀 관련이 없는 데먼스미스류나, 원석의 천광이 막히긴 하나 메인 플랜은 무리 없이 가동되고 비스테드 견제까지 가능한 푸른 눈이 반사이익을 보았다.

결국 롱기누스는 채용률이 점점 올라가다가 7월 26일 기준 83.4%의 채용률을 찍어 전 카드 3위[17]까지 올라갔다. 이 점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 덱을 맞췄는데 기존 티어 덱들보다 억까를 많이 겪는다는 후기도 많이 볼 수 있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롱기누스를 직격당해도 충분히 전개를 할 수 있도록 용병들을 찾게 되었는데, 라이프 소모를 감수하고 천년 용병을 투입한 다음 회복은 GWC에 맡기는 구축, 마듀에서 참기 서큘러가 무제한인 것을 이용해 사이버스족 방향으로 전개를 늘리는 구축, SR 베이고맥스+타케톰보그와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를 투입해 이른 시점에서 코드 오브 소울을 덤핑하는 구축 등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후 25년 8월 4일에 라이제올이 출시되면서 대부분의 관심이 라이제올에게 쏠리기 시작했고, 라이제올과 공유하는 카운터 카드가 딱히 없다는 점 때문에 롱기누스와 카헌이 빠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레 맬리스가 카운터를 맞을 확률이 줄어들어 반사이익을 보게 되었다. 여전히 @이그니스터 파츠가 출시되지 않았지만 라이제올 역시 락 카드인 심연에 숨은 자아티팩트-데스사이즈가 금지되고 필수급으로 사용하는 이클립스의 쌍둥이가 수록되지 않아 풀 파워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기에 OCG에서처럼 양강 구도로 흘러가고 있다. 물론 여전히 롱기누스를 쓰는 사람들도 많으니 맬리스 입장에서도 덱 구축과 플레잉 시 의식할 필요는 있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로고.png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우승 덱
메멘토 라이제올 M∀LICE
스네이크아이 령수 해황머메일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에선 당연히 모든 팀이 채용했으며, 안 그래도 강력한데 쉐어 룰[18] 덕분에 롱기누스를 맞을 확률이 줄어드는 수혜까지 받아 압도적인 성능을 보였다.

25년 9월 10일에 출시될 셀렉션 팩에 이그니스터 지원 카드가 수록되었는데, 대회 일정과 겹치면서 동월 금제에서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은 덕분에 오프 전성기 이상으로 강력한 구축이 가능해졌다. [19] 반대로 경쟁자인 라이제올은 엑스 준제한에 이클립스의 쌍둥이 미실장 등 각종 직간접 제재로 약화된 상황이라는 점도 호재. 그렇게 25년 9월 듀얼리스트 컵에서 금장 10위권 중 4~5명, 즉 절반 가량이나 주력 덱으로 사용하며 그 강력한 성능을 과시했다. # 더군다나 대부분의 덱이 라이제올 상대로는 거의 쓸모가 없다는 단점조차 감안하고 롱기누스를 2~3장씩 챙겨넣는 환경이었는데도 이 정도 성적을 거두었기에 그 강함이 더욱 부각된다. 때문에 이미 OCG, TCG 양 포맷에서 모두 금지된 아폴로우사를 비롯해 맬리스 자체 테마와 관련 범용 카드들의 제재 여부에 대해 관심이 모이고 있다.

10월 8일 금제에서 아폴로우사는 생존에 성공했지만, 핵심 초동인 도마우스와 언더그라운드, 황금궤가 동시에 제한을 먹었다. 초동 매수는 어둠의 유혹이나 사이바넷 마이닝으로 보완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강점이었던 우라라/퍼지를 맞지 않는 덱이라는 메리트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치명적인 제재로 평가된다. 티어권에는 잔류하겠지만 드롤 케어가 가능한 오르페골이 환경권에 나타나기 시작해 적어도 롱기누스가 환경에서 사라지기 전까진 라이제올 등에 비해 파워가 밀릴 것이라는 게 중론.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3

3.1.1. M∀LICE<P>White Rabbit

파일:M∀LICE<P>White Rabbit.jpg 파일:MalissPWhiteRabbit-CRBR-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P<rp>(</rp><rt>폰</rt><rp>)</rp></ruby>〉<ruby>White Rabbit<rp>(</rp><rt>화이트 래빗</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P<rp>(</rp><rt>ポーン</rt><rp>)</rp></ruby>〉<ruby>White Rabbit<rp>(</rp><rt>ホワイト・ラビッ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P〉 White Rabbit,
레벨=3,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2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의 카드가 자신 묘지에 존재하지 않는 "M∀LICE(맬리스)"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링크 앞으로 하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준제한 카드)]
모티브는 화이트 래빗 + 체스의 폰 + 플레잉 카드의 하트. 일러스트를 자세히 보면 귀의 끝, 의상, 들고 있는 도구의 장식에 하트가 그려져 있다.

①의 효과는 덱에서 M∀LICE 함정 카드 1장을 세트하는 소환 유발 효과. 세트하는 효과 특성상 우라라를 무시하며, 맬리스 함정은 전부 맬리스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으로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어서 손해가 없다. '묘지에 존재하지 않는'이란 제약사항이 있지만 제외를 밥먹듯이 하는 M∀LICE에겐 그 함정을 제외하면 그만이다. 애초에 M∀LICE 자체가 함떡 덱이 아닌데다, 맬리스는 WHITE BINDER(화이트 바인더)로 묘지의 함정을 회수할 수도 있어서 함정들은 종류별로 1장씩만 채용하는 추세라 이 제약에 걸릴 일은 정말 거의 없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와 링크된 M∀LICE 링크 몬스터가 전투로 받는 자신에게로의 데미지를 0으로 하는 지속 효과. 효과 발동을 위해 라이프를 물 쓰듯 쓰는 덱이지만 유벨이나 미캉코같은 반사덱이나 타점이 높은 덱이 아닌 이상 큰 의미는 없는 효과다. 심지어 필드 마법이 없다면 바로 이 카드 자신이 얻어맞아 전투 파괴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M∀LICE 몬스터가 공통으로 갖는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특수 소환되는 유발 효과. 이걸 쓰면 링크 몬스터 제약이 걸린다.

함정 카드들이 M∀LICE 몬스터를 제외하면 세트한 턴에도 발동되는데다 M∀LICE 몬스터들을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에 초동 중 하나를 담당하는 카드다. 주로 TB-11을 서치하여 Dormouse(도마우스)를 덱에서 특수 소환, 그 후 스플래시 메이지, 성취의 리절도즈 등 링크 2로 옮겨갈 것이다.

TCG에서는 2025년 4월 7일 금제로 준제한이 되었다.
파일:맬리스 화이트 래빗 설정화.jpg
설정화

밸류어블 북 EX5에 공개된 M∀LICE의 설정들은 화이트 래빗의 입장에서 코멘트가 달려 있다. 본인은 모티브가 모티브답게 늦으면 여왕님에게 혼난다는 코멘트와 함께 시간에 쫓기는 모습을 보이는데, 시간을 못 맞추면 들고 있는 시계가 폭발한다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1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1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15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3.1.2. M∀LICE<P>Cheshire Cat

파일:M∀LICE<P>Cheshire Ca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P<rp>(</rp><rt>폰</rt><rp>)</rp></ruby>〉<ruby>Cheshire Cat<rp>(</rp><rt>체셔 캣</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P<rp>(</rp><rt>ポーン</rt><rp>)</rp></ruby>〉<ruby>Cheshire Cat<rp>(</rp><rt>チェシャ・キャッ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P〉 Chessy Cat,
레벨=3,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5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그 후\, 자신은 2장 드로우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링크 앞으로 하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모티브는 체셔 캣 + 체스의 폰 + 플레잉 카드의 클럽. 배경의 의상, 고양이 귀, 고양이형 화면에 클럽이 그려져있다.

①의 효과는 M∀LICE 전용 어둠의 유혹을 적용할 수 있는 기동 효과.[20] 기본적으로도 이 카드를 소모하지 않고 필드에 남으므로 제외-1장에 드로우+2장으로 어드밴티지+1이 되는데, 맬리스 몬스터 특유의 제외될 경우 특수 소환되는 효과를 활용하면 어드밴티지+2라는 강력한 사양이 된다. 몬스터 카드만 지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황에 따라 M∀LICE IN THE MIRROR 등 마함을 제외하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와 링크된 M∀LICE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제외된다는 지속 효과. M∀LICE 링크 몬스터들은 타점만큼은 절륜하니 이것을 활용하지 못할 일은 적다.

1핸드 초동으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통은 다른 하급으로 끌어올 용도로 2장 정도 채용되지만, 2핸드 전개에서 초동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3장을 쓰는 경우도 있다.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해킹이 특기인 M∀LICE지만, 모티브대로 신출귀몰한데다 항상 장난스러운 웃는 얼굴이라 화이트 래빗 입장에선 항상 무슨 생각하는지 알 수 없는 상대라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1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1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1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3.1.3. M∀LICE<P>Dormouse

파일:M∀LICE<P>Dormous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P<rp>(</rp><rt>폰</rt><rp>)</rp></ruby>〉<ruby>Dormouse<rp>(</rp><rt>도마우스</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P<rp>(</rp><rt>ポーン</rt><rp>)</rp></ruby>〉<ruby>Dormouse<rp>(</rp><rt>ドーマウ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P〉 Dormouse,
레벨=3,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9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이 턴 중에는 자신 필드의 "M∀LICE(맬리스)" 몬스터의 공격력을 6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링크 앞으로 하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마스터 듀얼=제한 카드)]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도마우스 + 체스의 폰 + 플레잉 카드의 다이아몬드. 배경에는 상의에 달린 줄 장식, 손목 의상에 다이아몬드가 그려져 있다.

①의 효과는 덱의 M∀LICE 몬스터 카드 1장을 제외하고 이 턴 모든 M∀LICE 몬스터의 공격력 600 증가라는 잔존 효과를 남기는 기동 효과. 맬리스는 제외되면 부활하므로 사실상 우라라를 안 맞는 덱특소다. 공격력 증가는 소소하게 쓸만하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와 링크된 M∀LICE 링크 몹에게 효과 파괴 면역을 달아주는 지속 효과. 의미가 거의 없는 화이트 래빗, 체셔 캣과 달리 크립터 등에게 내성을 부여하므로 유의미한 축에 속한다.

M∀LICE의 최중요 핵심 초동. 일반 소환을 하건, 자체 효과로 소생하건, 다른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건 상관없이 맬리스 전개의 시작을 알린다. 애초에 다른 1핸드 초동인 White Rabbit과 M∀LICE IN UNDERGROUND 둘 다 이 카드를 가져와 전개를 시작한다. 때문에 25년 4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개정에선 M∀LICE에 대한 직접 제재로서 제한 카드가 되어버렸으며, TCG에서도 4월 7일에 준제한 조치를, 9월 15일에는 제한 조치를 당했다. 마스터 듀얼에서도 10월 금제에서 곧바로 제한에 올랐다.

겨울잠쥐(Dormouse)가 모티브인 만큼 졸린 얼굴을 보여주며 유타 주전자를 의식했는지 티포트의 밑이 뚫려있어 그곳으로 빛이 드나들고 있고, 그 주전자에서 나온 광선이 찻잔에 반사되어 있는 것도 특징. 구도 자체는 액세스코드 토커를 좌우로 뒤집은 것 같다는 평이 많다.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항상 졸린 것 같아 보이지만 티 세트에서 발사되는 공격은 고화력이라고 한다. 커다란 배게는 화이트 래빗도 부러워하는 모양.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1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1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1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3.1.4. M∀LICE<P>March Hare

파일:M∀LICE<P>March Hare.jpg 파일:MalissPMarchHare-ALIN-EN-Sc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P<rp>(</rp><rt>폰</rt><rp>)</rp></ruby>〉<ruby>March Hare<rp>(</rp><rt>마치 헤어</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P<rp>(</rp><rt>ポーン</rt><rp>)</rp></ruby>〉<ruby>March Hare<rp>(</rp><rt>マーチ・ヘア</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P〉 March Hare,
레벨=3,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6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이 카드 이외의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링크 앞으로 하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를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300 LP를 지불하고\, 자신의 제외 상태인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모티브는 마치 헤어 + 체스의 폰 + 플레잉 카드의 스페이드. 배경의 의상과 열쇠 장식에 스페이드가 그려져 있다.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추가된 4번째 메인 덱 몬스터. 기존의 3장의 배경에 하트, 클로버, 다이아몬드가 있었기 때문에 스페이드의 자리가 비므로 진작부터 예상되었던 카드다.

①의 효과는 패/묘지의 M∀LICE 카드를 제외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다른 메인 덱 몬스터를 제외한 뒤 소생시켜 개체수 2개를 마련하는 2핸드 초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 메인 페이즈에도 발동 가능한 효과이기 때문에 상대 턴에 다른 몬스터를 제외해서 소생시키는 일종의 패 트랩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21]

②의 효과는 자신과 링크 상태인 M∀LICE 링크 몬스터에게 효과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지속 효과. Dormouse의 효과 파괴 내성과 함께 그나마 유의미한 효과에 속한다.

③의 효과는 다른 메인 덱 몬스터들의 소생 효과와 달리, 제외되었을 경우 제외 상태의 M∀LICE 몬스터를 샐비지 하는 효과. 바로 필드 어드밴티지가 늘어나는 효과는 아니기 때문인지, 발동 후 엑스트라 덱에서 링크 몬스터만 특수 소환만 할 수 있게 되는 디메리트도 없다. 일단 제외되었을 때 발동하는 효과이고 "자신 이외의" 등의 텍스트가 없으므로 자기 자신을 그대로 샐비지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①의 효과를 발동해 전개로 이어가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모종의 이유로 소생하지 못하고 제외존에 박혀있는 다른 M∀LICE 몬스터를 회수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이 카드가 제외된 상태로 남기 때문에 HEARTS OF CRYPTER나 GWC-06 등 다른 카드를 써야 재활용할 수 있다.

Cheshire Cat처럼 1핸드 초동은 불가능한 카드지만, 다른 1핸드 초동의 패 트랩 케어나 고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높은 성능의 지원이다. 일반 소환한 White Rabbit이나 Dormouse가 패 트랩으로 정지해도 링크 1 몬스터의 소재로 묘지로 보낸 뒤 이 카드로 제외하면 필드의 개체수가 3장으로 늘어나 전개를 이어갈 수 있으며, 견제를 당하지 않더라도 Dormouse로 이 카드를 제외해 샐비지한 뒤, 링크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Dormouse를 제외해 특수 소환하는 식으로 전개가 가능하다. 이 카드와 같은 팩의 @이그니스터 지원 덕분에, 제약이 심한 트랜스코드 토커 없이도 사이버스족 개체수를 늘리기 쉬워졌다.

March Hare는 마치 헤어로 읽는다. 하지만 표정이나 행동거지 등 일러스트가 전체적으로 바보같이 그려진지라 스펠링을 꼬아서 마치 하레로 읽는 사람들도 많다(...). 미캉코와는 무관하다 일러스트는 스페이드가 그려진 열쇠를 무기삼아 들고 있는데, 열쇠고리 쪽에 걸린 열쇠 들은 자신과 HEARTS OF CRYPTER를 제외한 다른 M∀LICE 몬스터를 나타내고 있다.[22]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침착함이라곤 없는 발랄한 성격의 M∀LICE로, 뭐든지 잠글 수 있지만 어떤 열쇠로 잠갔는지 금방 까먹는다고 한다. 바보 같이 생긴 게 아니라 진짜로 바보였다. 그래도 일단 토끼라는 공통점[23]이 있어서인지, 화이트 래빗은 마치 헤어에 대해 어딘지 모르게 공감이 간다는 코멘트를 남겼다.
수록 시리즈
2025-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JP023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5-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KR023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5-05-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EN023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4. 링크 몬스터

4.1. 링크 3

엄청난 콤비네이션을 자랑하는 사이가 나쁜 두 사람이 디자인된 프로텍터.
미지의 영역을 탐험하는 당신에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 프로텍터(M∀LICE<Q>) 설명

4.1.1. M∀LICE<Q>RED RANSOM

파일:M∀LICE<Q>RED RANSOM.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Q<rp>(</rp><rt>퀸</rt><rp>)</rp></ruby>〉<ruby>RED RANSOM<rp>(</rp><rt>레드 랜섬</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Q<rp>(</rp><rt>クイーン</rt><rp>)</rp></ruby>〉<ruby>RED RANSOM<rp>(</rp><rt>レッド·ランサム</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Q〉 Red Ransom,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2300, 종족=사이버스족, link2=, link4=,link6=,
소재="M∀LICE(맬리스)"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M∀LICE(맬리스)"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과 원래 수비력은 맞바뀐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9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모티브는 붉은 여왕 + 체스의 퀸 + 랜섬웨어. 작중에서 붉은 여왕이 체스와 연관이 있는 인물이기 때문인지 일러스트에 검은 폰들이 그려져 있다.

소재는 M∀LICE를 포함한 몬스터 2장 이상이다. 스플래시 메이지, 성취의 리절도즈 등을 경유하면 손쉽게 꺼낼 수 있다. 공격력이 2300이라 링크 디코더에도 대응하며, 디코더 + 맬리스 + 아무 몬스터 1장으로도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시 M∀LICE 마법 카드를 서치하는 유발 효과.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출시 당시 M∀LICE 마법카드는 필드 마법인 M∀LICE IN UNDERGROUND 뿐이었지만,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신규 마법 카드인 M∀LICE IN THE MIRROR가 추가되었다. 전자를 서치하면 발동시 덱을 포함한 제외 효과로 전개를, 후자를 서치하면 몬스터 효과 무효 1번을 챙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맞바꾸는 지속 효과. 붉은 여왕이 거울 세계에 있다는 점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수비력 관련 효과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링크 몬스터나 공격력과 수비력이 똑같은 몬스터도 제법 있어서 강력한 효과는 아니지만, 두 수치 중 한쪽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몬스터도 꽤 있으므로 상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전투력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24]

③의 효과는 M∀LICE 몬스터들의 공통 효과로, 제외되었을 경우 LP 900을 지불해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여기에 덱에서 사이버스족 1장 제외가 추가되었다. 주로 소생 효과를 쓰지 않은 맬리스 몬스터를 제외하여 개체수를 늘려 링크 4 또는 5로 넘어가기 위한 발판으로 쓰인다.

효과와 별개로 마커 모양이 양 옆으로도 뻗어 있어 메인 몬스터 존에 놓으면 더 많은 M∀LICE 하급과 링크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링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크립터와 상호 링크 상태가 되어 서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해줄 수도 있다.

맬리스 링크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전개에 특화된 효과를 갖고 있으며, 당연히 중요 전개 파츠로 활약한다. 반대로 말하자면 랜섬에 박히는 견제가 가장 아프다고 할 수 있다.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으로는 타입 퀸의 결전용 M∀LICE로, 화이트 래빗은 여왕이 둘이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으로 두려워하는 듯한 코멘트를 남겼다. 화이트 바인더와의 콤비네이션은 뛰어나지만 정작 둘의 사이는 매우 나쁘다고 한다. 화이트 바인더가 쌍검으로 근접전을 하고 레드 랜섬이 원거리에서 포격으로 지원하는 형식으로 싸운다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18 |

[[노멀|
N
노멀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18 |

[[노멀|
N
노멀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1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4.1.2. M∀LICE<Q>WHITE BINDER

파일:M∀LICE<Q>WHITE BINDE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Q<rp>(</rp><rt>퀸</rt><rp>)</rp></ruby>〉<ruby>WHITE BINDER<rp>(</rp><rt>화이트 바인더</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Q<rp>(</rp><rt>クイーン</rt><rp>)</rp></ruby>〉<ruby>WHITE BINDER<rp>(</rp><rt>ホワイト·バインダー</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Q〉 White Binder,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2300, 종족=사이버스족, link4=, link8=, link6=,
소재="M∀LICE(맬리스)"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 상대 묘지의 카드를 합계 3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M∀LICE(맬리스)"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9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모티브는 하얀 여왕 + 체스의 퀸 + 여러 프로그램을 하나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인 바인더. 왜 바인더 프로그램이 여기에 나왔냐 하면, 사실 이 프로그램이 멀쩡한 파일에 바이러스를 심어놓는 데에 활용되기 때문이다. 작중에서 하얀 여왕이 시간과 연관이 있는 인물이기 때문인지 일러스트에 시계침과 톱니바퀴가 그려져 있다.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 시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카드를 제외하는 유발 효과. 자신 묘지를 제외해 자신의 몬스터를 소생시키거나 속공 마법의 서치 효과를 사용하는 등 제외 시너지를 보는데 쓸 수도 있고, 상대 묘지 자원을 견제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발휘한다. 특히 링크 소환뿐만이 아닌, 어떤 방식으로든 특수 소환만 하면 발동되기에 공통적인 소생 효과와 합쳐 상대 묘지를 기습적으로 견제하는 용도로 쓰기에 매우 훌륭하다.

②의 효과는 덱에서 M∀LICE 함정 카드를 세트하는 기동 효과. M∀LICE의 함정 카드들은 M∀LICE의 전개를 보조하는 데다가 세트한 턴에 즉시 발동 가능한만큼 전개 보조요원으로 요긴하게 쓸 수 있다.

③의 효과는 M∀LICE 몬스터들의 공통 효과로, 제외되었을 경우 LP 900을 지불해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거기에 드로우까지 해주므로 패 코스트나 후속을 벌 수 있다. 상대 턴에 특소했다면 바로 ①로 이어 상대의 묘지 추가 견제까지 가능하다. 다만 특소 효과 처리시에 드로우가 가능한 점 때문에 하루 우라라를 맞을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하자. 우라라에 맞으면 소생도 막힌다.

RED RANSOM처럼 링크 마커가 양 옆으로 뻗어있어서 2체의 하급과 링크 상태가 될 수 있고, 엑스트라 몬스터 존 바로 아래에 놓으면 최대 3체까지 링크 앞에 둘 수 있다. 다만 링크 몬스터 중에선 유일하게 링크 상태일 때에 관련된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으로는 타입 퀸의 결전용 M∀LICE로, 화이트 래빗은 여왕이 둘이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으로 두려워하는 듯한 코멘트를 남겼다. 레드 랜섬과의 콤비네이션은 뛰어나지만 정작 둘의 사이는 매우 나쁘다고 한다. 화이트 바인더가 쌍검으로 근접전을 하고 레드 랜섬이 원거리에서 포격으로 지원하는 형식으로 싸운다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19 |

[[노멀|
N
노멀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19 |

[[노멀|
N
노멀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1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4.1.3. M∀LICE<Q>HEARTS OF CRYPTER

유희왕 OCG의 덱 빌드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0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스피릿 워리어즈 <nopad> 다크 세이비어즈 <nopad> 히든 서머너즈
그림자 여섯 무사-리한
마탄환의 악마 자미엘
홍천후 아르시엘
알담피르-뱀파이어 쉐리단
공아단의 영웅 라팔
섬도희-카가리
염황신-네프티스
프랭키즈 하우스버틀러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nopad> 인피니티 체이서즈 <nopad> 미스틱 파이터즈 <nopad> 시크릿 슬레이어즈
무한기동 어스셰이커
주안의 왕 자라키엘
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
염참기 파이널시그마
영원의 제너레이드 오르무간드
드래곤메이드 하스키
황금경 엘드리치
아다마시아 라이즈-드라가이트
육화성 티어드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1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제네시스 임팩터즈 <nopad> 에인션트 가디언즈 <nopad>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드라이트론-메테오니스=DRA
마기스토스 드래곤 바흐람
Evil★Twins 키스킬 리일라
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
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
도도레미코드 쿨리아
Uk-P.U.N.K. 어메이징 드래곤
성전의 수견사 / 유적의 마광전사 / 방랑의 그리폰라이더
엑소시스터 미카에리스
<nopad> 택티컬 마스터즈 <nopad> 어메이징 디펜더즈 <nopad> 와일드 서바이버즈
밸리언츠의 취-마모나카
루닉의 샘
백은 성의 라뷰린스
R-ACE 터뷸런스
엑스퓨어리 하피니스
오오히메의 미캉코
초월룡 메테오로스
VS 카이저 바리우스
바그리엘 드 누밸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2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밸리언트 스매셔즈 <nopad>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nopad> 저스티스 헌터즈
명해합룡-메멘토랄 테쿠틀리카
센츄리온 에메트VI
데모네 바르모니카 / 안젤로 바르모니카
라이제올 데드네이더
M∀LICE<Q>HEARTS OF CRYPTER
창성룡화-광파
드래곤테일 알자리온
야미★스내치
캡시☆야미 / 쿠키☆야미 / 롤리포☆야미
K9-17호 "Ripper"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3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팬텀 리벤저스
헤카톤케일 자우저
에니아크래프트-Atoriϝ.MAR
킬러튠 레드씰
}}}}}}}}} ||

파일:M∀LICE<Q>HEARTS OF CRYPTE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Q<rp>(</rp><rt>퀸</rt><rp>)</rp></ruby>〉<ruby>HEARTS OF CRYPTER<rp>(</rp><rt>하트 오브 크립터</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Q<rp>(</rp><rt>クイーン</rt><rp>)</rp></ruby>〉<ruby>HEARTS OF CRYPTER<rp>(</rp><rt>ハーツ·オブ·クリプター</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Q〉 Hearts Crypter,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2500, 종족=사이버스족, link1=, link3=,link8=,
소재="M∀LICE(맬리스)"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3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자신의 제외 상태인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의 링크 앞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9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을 배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
덱 빌드 팩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의 커버 카드이자 M∀LICE의 에이스 몬스터. 모티브는 퀸 오브 하트 + 암호화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크립터(CRYPTER)' 혹은 악성 코드인 '크립토락커(CryptoLocker)'.

소재 조건으로 몬스터를 정확히 3장을 요구한다. 스플래시 메이지 등 링크 2 몬스터로 소재수 경감이 안 되기 때문에 랜섬이나 바인더보다 소환이 어렵다. 물론 맬리스가 전개력이 워낙 강해서 상당히 쉽게 뽑아낼 수 있다. 아직 소생 효과를 사용하지 않은 Dormouse는 White Rabbit 또는 March Hare를 경유해서 손쉽게 소재 3장을 마련하여 이 카드를 바로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제외된 M∀LICE 카드를 덱으로 돌리고 필드의 카드를 1장 제외하는 유발 즉시 효과. 제외되어 있는 카드를 소모해야 하므로, 정확히 소생에 필요한 정도만 제외했다면 이 효과를 쓰기 어려우니 WHITE BINDER 등으로 추가 제외 스택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몬스터가 있을 경우 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다. 이 무효 내성은 일종의 룰 효과로 재정을 받은 상태이며, 무한포영 등을 맞아서 크립터의 효과가 무효화된 상태여도 작동하고, 스킬 드레인이 이미 켜져 있는 상황에서 크립터가 나중에 나와도 작동하며, 체인해서 금지된 일적 등으로 무효화를 해도 소용없다. 즉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이 효과의 발동 전에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만들어 놓고 링크 앞의 몬스터를 전부 치워야 한다는 것이다.

②의 효과는 M∀LICE 몬스터들의 공통 효과로 제외되었을 경우 LP 900을 지불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 여기에 이 카드의 공격력을 2배로 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즉 공격력 5000으로 부활한다. 만약 M∀LICE IN UNDERGROUND가 깔려 있고 M∀LICE 함정카드 3종류가 제외되어 있다면 공격력은 무려 8000. 그러나 마커 모양 상 메인 몬스터 존에 나오면 M∀LICE 하급과 링크될 방법이 없어 지속 효과를 모두 잃는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나마 엑스트라 몬스터 존 아래에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상단 마커를 통해 링크 상태를 만족 시킬수는 있어서, ①의 효과의 무효화 내성을 챙길 수는 있다.

효과는 2개밖에 없지만 그 둘 모두 링크 3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막강한 파워 카드. ①의 효과는 빙검룡 미라제이드 같은 프리체인 비대상 제외인데 심지어 후열까지 건드릴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무효화조차 무효화하는 엄청나게 막강한 밸류를 자랑한다. 1장의 카드를 견제하는 효과 중에서는 가히 최강급. 또한 ②의 효과에 힘입어 링크 3 주제에 5000이라는 정신나간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는데, 링크 몬스터는 전체적으로 타점이 낮아 3000이 사실상 상한선[25]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말도 안 되는 효과다.

그 특성상 맬리스 자체 기믹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견제 수단이자 결과물, 동시에 돌파 요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외된 맬리스 카드를 회수할 수 있어서 장기전에도 도움이 된다. 선공 결과물로 내놓은 경우, 링크 마커의 배치에 따라서 포영이나 일적 등으로 이 카드를 미리 무효화하고 돌파하려는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액세스코드 토커와의 궁합은 발군이다. 이 카드를 소재로 토커를 소환하면 그 공격력은 5300에, 이 카드를 제외해서 1파괴를 시행함과 동시에 공격력 5000으로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러스트는 매우 큰 치마폭에 회로도가 새겨진 것이 특징으로, 이때문에 카드 이미지로 보면 캐릭터가 너무 작아 눈에 안 들어올 정도다.[26] 이렇게 기본 일러스트가 워낙 작은 탓에, 트위터에 올라온 대형 버전 이미지로도 얼굴 표정이 뿌루퉁하게 뭉개져 보이며, 팬들이 업스케일링하니까 오히려 왜곡 현상이 일어났다. 얼굴을 제대로 확인하려면 공식에서 뿌린 홍보용 대형 포스터를 봐야 비로소 알 수 있는데, 이렇게 생겼다. 의외로 기본 소체와 가장 닮은 무심한 표정.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으로는 타입 퀸의 결전용 M∀LICE로, 그 중에서도 단기결전형이라고 한다. 원작 앨리스에서처럼 화이트 래빗이 찾는 바로 그 여왕님인데, 겨우 찾고 보니 엄청 화나서 위험하다며 뒤를 맡긴답시고 도망가는 코멘트를 남겼다. 화가 나면 무서운데다 적 아군 상관없이 짜증을 내지만 얼굴에 드러내지는 않는 타입이라고 하는데, 상술한대로 무심하지만 뾰루퉁해보이는 표정인 것이 바로 이런 점을 묘사한 듯. 여담으로 여왕의 판결 조크가 특기라고 한다.
<nopad> 파일:MalissQHeartsCrypter-MADU-EN-VG-NC.png
유희왕 마스터 듀얼 CG

M∀LICE의 얼굴 마담이자 에이스답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Live2D 소환씬이 배정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2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2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2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 마법 카드

5.1. 필드 마법

5.1.1. M∀LICE IN UNDERGROUND

파일:M∀LICE IN UNDERGROUND.jpg 파일:MalissinUnderground-CRBR-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 <ruby>IN<rp>(</rp><rt>인</rt><rp>)</rp></ruby> <ruby>UNDERGROUND<rp>(</rp><rt>언더그라운드</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 <ruby>IN<rp>(</rp><rt>イン</rt><rp>)</rp></ruby> <ruby>UNDERGROUND<rp>(</rp><rt>アンダーグラウンド</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in Underground,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제외 상태인 "M∀LICE(맬리스)" 함정 카드가 3종류 이상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의 공격력은 30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필드에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밖에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준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하얀 토끼를 쫓아가니, 그곳에는 거대한 웜홀이.
현실과 허구가 뒤섞인 불가사의한 전뇌 세계에 어서 오세요.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벽지 설명
이름의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원고에서의 제목인 "Alice's Adventures Under Ground"이며,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앨리스가 토끼굴로 떨어지는 1장의 장면에서 따왔다.[27] 사이버스로서의 모티브는 범죄가 벌어지는 장소 그 자체인 언더그라운드.

①의 효과는 발동시 패 / 덱 / 묘지의 M∀LICE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 대부분은 소생 효과를 노리고 몬스터를 제외하게 되며, 하급을 덱에서 제외해 초동용으로 사용하거나, 전개 중에 링크 소재로 사용한 M∀LICE 링크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으로 유사 소생 효과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이후에는 M∀LICE IN THE MIRROR를 제외해서 제외와 서치를 동시에 수행하는 변칙적인 전개 수단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

②의 효과는 제외 존에 M∀LICE 함정 카드가 3종류 이상 존재할 경우 M∀LICE 링크 몬스터에게 3000 공뻥을 주는 카드. 3종류 전부 제외해야 해서 어렵지만 파격적인 공뻥이다. 모든 링크 몬스터들이 공격력이 5300을 넘어가는데, 유희왕 카드 기재 최고 공격력이 5000이므로 사실상 전투 면에서는 최강에 가까워진다. 만약 이 카드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CRYPTER가 자체효과로 소생된다면 CRYPTER는 8000의 공격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M∀LICE 함정 카드들은 제외하려면 몬스터 제외라는 더 좋은 것을 포기해야만 하고, M∀LICE가 사용하는 용병 몬스터들인 파이어월 몬스터들과 코드 토커 몬스터들 역시 M∀LICE에 뒤치지 않는 고타점을 자랑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노리고 사용하는 효과는 아니다. 애초에 함정카드들을 서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각각 1장씩만 넣기 때문에, 굳이 함정을 제외할 여유가 안 나오기도 한다.

③의 효과는 전투 대상을 M∀LICE 링크 몹에게 고정시키는 효과. 링크 상태로 만들어 링크 몬스터를 강화해도 이를 무시하고 메인 덱 몬스터를 공격하는 불상사를 막아준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1~2소재의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도 전투로 처리하기 어렵게 만들기에 전투를 통한 퍼미션 돌파를 차단한다.

초동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카드이기에 채용 한계선까지 채용된다. TCG에서는 2025년 4월 7일 금제로 준제한 카드로 등극했으며, 마스터 듀얼에서는 10월 8일 금제로 제한 카드가 되었다.

밸류어블 북 EX5에서 밝혀진 설정상 UNDERGROUND는 인간의 악의에서 태어난 데이터가 모여 탄생한 위험한 전뇌세계로, 디지털 사회에 나타난 거대한 구멍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UNDERGROUND를 탐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AI 에이전트 M∀LICE들이 구멍을 통해 UNDERGROUND로 진입하는 것이 일러스트의 모습.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21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21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2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2. 속공 마법

5.2.1. M∀LICE IN THE MIRROR

파일:M∀LICE IN THE MIRRO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 <ruby>IN<rp>(</rp><rt>인</rt><rp>)</rp></ruby> <ruby>THE<rp>(</rp><rt>더</rt><rp>)</rp></ruby> <ruby>MIRROR<rp>(</rp><rt>미러</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 <ruby>IN<rp>(</rp><rt>イン</rt><rp>)</rp></ruby> <ruby>THE<rp>(</rp><rt>ザ</rt><rp>)</rp></ruby> <ruby>MIRROR<rp>(</rp><rt>ミラー</rt><rp>)</rp></ruby>,
영어판 명칭=Maliss in the Mirror,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에서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대상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하고\, 제외한 카드와 같은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의 "M∀LICE(맬리스)"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아이콘)
악의로 가득 찬 세계를 공략하는 자율형 AI가 그려진 아이콘.
일반인으로서는 정신을 유지하는 것조차 불가능한 미지의 영역을 탐구한다.

(프로텍터)
타입 퀸의 결전용 M∀LICE(맬리스)가 디자인된 프로텍터.
불가사의한 전뇌 세계를 공략하는 당신에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설명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추가된 2번째 마법 카드.

①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패/필드(앞면 표시)의 M∀LICE 몬스터 1장을 제외해야 하지만, 죄다 제외되면 LP를 지불하고 자체 소생하는 공통 효과를 지니고 있으니 무거운 코스트는 아니다. 오히려 속공 마법이기 때문에 자신 턴에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 몬스터 하나를 무력화 시키면서 패의 몬스터를 제외 후 소생하는 식의 일소권 없는 돌파 전개로도 활용 가능하다. 코스트가 아닌 효과로 제외하는거라 이 카드가 무효화되면 제외 처리도 되지 않는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때 묘지의 M∀LICE 카드를 제외하고, 같은 종류의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 몬스터의 경우 제외한 몬스터를 소생하면서 패에 몬스터 1장이 추가되는, 패/필드 합쳐서 어드밴티지가 +2가 되는 매우 강력한 효과다. 일소권을 이미 사용한 경우라도 같은 팩에 수록된 March Hare를 서치한다면 자체적인 패 특소 효과로 전개가 가능하며, 묘지에서 Cheshire Cat을 제외한 경우 소생한 Cheshire Cat으로 서치한 몬스터를 제외, 2장을 드로우하면서 제외한 몬스터도 소생시키는 등의 어드밴티지 증폭이 가능하다. 다만 마법은 동명의 카드도 서치할 수 있다고는 하나 이 카드까지 합쳐도 2종류밖에 되지 않으며, 함정의 경우 3종류를 1장씩만 넣고 필요한 것을 서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이 효과를 활용하기 어렵다.

은근히 귀중한 카드군 내 자체 견제기에, 막대한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는 ②의 효과까지 있어서 매우 강력한 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①의 효과를 쓰고 묘지로 간 걸 제외하는 게 아니라, ②의 효과만 보고 패나 덱에서 바로 제외해도 충분히 강력한 카드.

일러스트는 WHITE BINDER와 RED RANSOM이 좌우반씩 겹쳐있는 모습. 이 카드의 이름과 함께, 두 카드가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하얀 여왕과 붉은 여왕을 모티브로 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두 몬스터의 옆에 있는 거울에는 동일한 모습이 비추고 있어, M∀LICE 몬스터들이 동일한 소체를 공유하는 존재이자 본체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도는 사이버스족 테마라는 점에서 리코디드 얼라이브를 오마쥬한 것으로 보인다.

일러스트 자체는 YCS2025의 서플라이 상품 중 매트, 카드 프로텍터에 쓰인 것으로 먼저 공개가 되었다.# 공개 당시 이전까지 정보가 없던 신규 일러스트였기 때문에 단순히 굿즈에 그치지 않고 신규 카드로 발매될 거라 예측되었고, 실제로 이렇게 카드로서도 나오게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5-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JP064 |

[[노멀|
N
노멀
]]
2025-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KR064 |

[[노멀|
N
노멀
]]
2025-05-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EN06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6. 함정 카드

공통적으로 자신 필드의 M∀LICE 몬스터 카드를 제외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기본 효과는 마법 카드에나 있을 법한 전개 효과지만, 조건을 만족하면 다른 효과가 추가된다.

6.1. 일반 함정

6.1.1. M∀LICE<C>MTP-07

파일:M∀LICE<C>MTP-07.jpg 파일:MalissCMTP07-CRBR-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C<rp>(</rp><rt>코드</rt><rp>)</rp></ruby>〉MTP-07,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C<rp>(</rp><rt>コード</rt><rp>)</rp></ruby>〉MTP-07,
영어판 명칭=Maliss 〈C〉 MTP-07,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도 있다.,
효과1=①: 덱에서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자신 필드에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필드의 카드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덱에서 M∀LICE 몬스터를 서치하는 함정. M∀LICE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면 비대상 제외를 날리는 효과가 추가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서치가 덤인 견제용으로 쓰일 수 있지만, 효과 자체는 서치가 메인이기 때문에 제외 목적으로 발동하더라도 하루 우라라에 막힐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발동 타이밍으로 이 효과를 처리해야 할 시에 링크 몬스터가 남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카드의 세트된 턴 발동 시에 링크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고, 링크 몬스터들도 제외시 곧바로 소생할 수 있지만, 이러면 효과 처리 시점에선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대상 제외를 할 수 없다.

체셔 캣의 ①의 효과와 연계해서 유사 덱특소로 사용할 수도 있고, 견제 성능이 강력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된다.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7장의 이름인 매드 티 파티(Mad Tea Party)이다. 그래서 매드 티 파티의 멤버인 도마우스와 매드 해커가 차를 마시고 있다. 설정상 UNDERGROUND에서 벌어지는 광기의 브리핑 파티로, 의미불명의 의뢰를 권유 받는 경우도 자주 있다고.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2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2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2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6.1.2. M∀LICE<C>GWC-06

파일:M∀LICE<C>GWC-06.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C<rp>(</rp><rt>코드</rt><rp>)</rp></ruby>〉GWC-06,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C<rp>(</rp><rt>コード</rt><rp>)</rp></ruby>〉GWC-06,
영어판 명칭=Maliss 〈C〉 GWC-06,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도 있다.,
효과1=①: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필드에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할 수 있다.)]
묘지 / 제외 상태의 M∀LICE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함정. 어떠한 제약도 없으므로 간편하게 소생시켜 전개를 보충하거나 링크 몬스터를 다시 깨울 수 있겠다. M∀LICE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소생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라이프를 회복해줘서 특수 소환 효과로 빠진 라이프를 보충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특수 소환 후 링크 몬스터 유무를 체크하므로, 발동하기 전의 필드에는 링크 몬스터가 없어도 링크 몬스터를 소생시키면 라이프를 대량 회복할 수 있다.

특성상 전개를 시작하는 용도로는 어렵지만, 일단 링크 몬스터가 묻히기 시작하는 중반 이후에는 벌어올 수 있는 이득이 다른 두 함정보다 커지기 때문에 중요도가 상당하다.

특히 단판제인 마스터 듀얼에선 라이프 회복이 좀 더 가치가 있는 편인데, 라이제올이 출시되기 전까진 제외 봉쇄 패 트랩인 롱기누스를 맞게 될 경우를 대비해 천년 파츠를 이용한 서브플랜 구축이 연구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지불하는 라이프가 4000에 육박하기 때문에 세트한 턴에 사용하다는 점을 극한으로 활용해 최대 4600의 라이프 회복을 꾀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오류가 난 화면에 체셔 캣의 웃는 얼굴들이 떠 있는 모습이다.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6장에서 앨리스와 체셔 캣의 만남에서 앨리스의 독백의 한 부분에서 따왔다. 체셔 캣을 상징하는 고양이 없는 미소(Grin Without Cat)과 관련되어 있다. 사이버스 상에서의 모티브는 에러 창이 마구마구 띄워지는 것으로 보아 웹 브라우저에 부하를 거는 웹 페이지인 브라우저 크러셔.
체서 캣: "음! 나는 종종 미소 없는 고양이를 봤어"("Well! I've often seen a cat without a grin")

앨리스는 생각했다(Thought Alice)

앨리스: "하지만 고양이 없는 미소라니! 내 인생에서 본 것 중 가장 이상한 거야!"("But a [ruby(Grin Without Cat!,ruby=그린 위드아웃 캣)] It's the most curious thing I ever saw in my life!")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23 |

[[노멀|
N
노멀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23 |

[[노멀|
N
노멀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23 |

[[레어(유희왕)|
R
레어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6.1.3. M∀LICE<C>TB-11

파일:M∀LICE<C>TB-1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M∀LICE<rp>(</rp><rt>맬리스</rt><rp>)</rp></ruby>〈<ruby>C<rp>(</rp><rt>코드</rt><rp>)</rp></ruby>〉TB-11,
일어판 명칭=<ruby>M∀LICE<rp>(</rp><rt>マリス</rt><rp>)</rp></ruby>〈<ruby>C<rp>(</rp><rt>コード</rt><rp>)</rp></ruby>〉TB-11,
영어판 명칭=Maliss 〈C〉 TB-11,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도 있다.,
효과1=①: 덱에서 "M∀LICE(맬리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상대 필드에 카드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대신에 엑스트라 덱에서 "M∀LICE(맬리스)" 링크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이 턴에\,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그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덱에서 M∀LICE 몬스터를 소환하는 함정. 상대 필드에 카드가 3장 이상 존재하면 엑덱에서 바로 M∀LICE 퀸 몬스터들을 꺼내올 수 있다. 소환된 몬스터는 그 턴 공격도 효과 발동도 불가능하며 소생 제한 룰을 충족하지 못해서 3번 효과도 먹통이 되지만 RED RANSOM을 꺼내오면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과 원래 수비력을 맞바꿀 수 있고, HEARTS OF CRYPTER를 꺼내면 다음 턴에 제외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꺼내온 링크 몬스터는 링크 3이므로 그냥 링크 소재로 해도 상관없다.

White Rabbit으로 초동을 끊은 경우 이 카드를 세트해 Dormouse를 꺼내오는 용도로 사용한다. 대신 Dormouse의 ①의 효과가 막히므로 성취의 리절도즈 등으로 Dormouse를 소생시켜야 한다.

실전에서는 거의 상기한 초동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가끔 세트한 뒤 뵐포를 피하는 수단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다른 함정으로도 할 수 있다. 상대 턴에는 코드 오브 소울을 쓰면 되기 때문.

일러스트는 M∀LICE의 소체가 된 소녀의 모습. 정확히는 소체 상태의 AI가 하트 오브 크립터로 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일반인은 제정신을 유지할 수 없는 UNDERGROUND에 적합한 유일한 존재이기에, M∀LICE는 모두 이 소녀를 소체로 삼아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1장에서 나온 단어 중 하나로 추정되는데, 다른 함정과 달리 의견이 다소 갈린다. 어쩌면 양쪽 다 고려한 말장난일 수도 있다.
모자 장수: ...그리고 찬란한 차-(...and the twinkling of the tea-)

하트 왕: "찬란한이 뭐?" 왕이 말했다.("The twinkling of what?" said the King.)

모자 장수: "차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모자 장수가 대답했다.("It began with the tea." the hatter replied.)

하트 왕: 물론 "찬란한(twinkling)'은 '차(T)'로 시작하지!" 왕이 날카롭게 말했다. "날 바보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이냐? 계속해라!"("Of course [ruby(twinkling begins,ruby=트윙클 비긴스)] with T!" said the King sharply. "Do you take me for a dunce? Go on!")
하나는 빛을 내며 변하는 중인 일러스트에서 찬란한 시작(twinkling begins)이 모티브라는 의견.
이에 흰 토끼가 트럼펫을 세 번 세게 불더니, 들고 있던 두루마리 양피지를 펼쳐 다음과 같이 읽어내려갔다…(On this the White Rabbit blew three blasts on the trumpet, and then unrolled the parchment scroll, and read as follows:—)
또 다른 하나는 White rabbit과 연계하기 적절하며, 상대 카드 3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세번 세게 불다(three blasts)에서 따왔다는 의견이다.
수록 시리즈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24 |

[[노멀|
N
노멀
]]
2025-04-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YJ-JPT02 |
YCSJ TOKYO 2025 記念商品 - M∀LICEデュエルセット -

[[패러렐 레어|
P + UR
패러렐(울트라 레어)
]]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24 |

[[노멀|
N
노멀
]]
202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HY-KR001 |
M∀LICE 듀얼 세트 특전 카드

[[패러렐 레어|
P + UR
패러렐(울트라 레어)
]]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2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7. 관련 카드

  • 매드 해커
    MTP-07의 일러스트에서 출연. 컨셉면에서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등장 인물인 매드 해터 모티브에 제외 효과를 갖고 있다.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사이버스족과 관련된 카드군이므로 사이버스 덱 문서도 참고할 것.

8.1. 메인 덱 몬스터

  • 도트스케이퍼[동팩]
    RED RANSOM이나 봉인의 황금궤 등으로 제외시키거나, 다크플루이드 네오템피스트로 묻고 특수 소환되어 전개를 도와주는 하급 사이버스. 패에 잡혀도 일반 소환하고 링그리보 등 1링으로 바꿔 개체수를 불릴 수 있다. 하술할 토폴로직 제로보로스와 마찬가지로 같은 팩에 재록되어 구하기도 어렵지 않다.
  •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OCG,TCG)
    좌우 링크 마커를 지닌 랜섬이나 바인더 등을 소생시켜 전개 고점을 높일 수 있으며, 소재로 쓰인 후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되어 링크 이외의 특수 소환을 막는 역할까지 한다. 다만 일반 소환을 이브리스 쪽에 써야하기 때문에 전개 가능한 1핸드 루트가 매우 제한적인데다 사실상 2핸드가 필요해지고, 상대 쪽에서 링그리보를 꺼내는데 써서 대응하면 오히려 맬리스의 후열 함정을 막을 수단을 1개 주는 셈이 되기 때문에 덱 분포와 사이드 카드 채용률 등 환경의 영향도 크게 받는다. 또한 마스터 듀얼에서는 이브리스가 금지 카드이므로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
  • 코드 오브 소울
    네오템피스트의 효과로 묻을 사이버스족 몬스터 중 하나. 자체적으로 패 특소가 가능해서 말림패가 되지 않기 때문에 메인 덱 몬스터임에도 대부분 같이 들어가며, 상대 턴에 묘지 효과로 M∀LICE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해 전개를 마무리하는 식으로 쓰인다.
  • 템플릿 스킵퍼
    코드 오브 소울처럼 패 특수 소환이 가능하고, 비스테드처럼 묘지의 맬리스를 제외시킬 수 있는 추가 공격권. 여차하면 패에 잡혀버린 도트스케이퍼를 제외시켜 필드로 꺼내는 것도 가능하다.
  • 드롤 & 로크 버드
    기믹에 필수적인 서치는 RED RANSOM의 마법 서치 1번뿐이므로, 증식의 G 등을 막기에 좋다. 특히 상대 턴에도 전개하는 덱이므로 상대가 자턴증지를 날리더라도 큰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다.

8.2. 엑스트라 덱 몬스터

  • 링그리보
    사이버스족 전용 링크 1 몬스터. 함정 견제는 덤이다. 리틀나이트를 사용하는 전개 루트에서 리틀나이트의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투입한다.
  • 링크 디코더, 스플래시 메이지, 트랜스코드 토커
    묘지의 몬스터를 소생시켜 개체수를 늘리는, 평범하게 좋은 전개용 링크. 디멘션 어트랙터를 사용했다던지 하는 제외 효과가 적용 중인 게 아니라면 기본적인 고점 전개에 빠지지 않고 들어간다. 트랜스코드 토커는 자신과 상호 링크 상태인 링크 몬스터에게 타점 증가와 효과 대상 내성을 주는 건 덤.

    다만 스플래시는 발동 후 디메리트로 사이버스족 제약이 걸리며, 트랜스코드는 아예 맹세 효과로 사이버스족 제약을 걸기 때문에 비스테드 같은 특수 소환형 패 트랩이나 다른 종족 범용 링크 몬스터 등을 사용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트랜스코드는 땅속성이라 임펄스의 패 발동과 충돌하며, 맹세 효과라 효과 사용 전 다른 종족 몬스터를 꺼내는 것도 막히기 때문에, 자체적인 전개력이 높아지고 아폴로우사 등 범용 링크 몬스터의 투입이 늘어난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발매 이후로는 채용률이 많이 줄어들었다.
  • 액세스코드 토커
    범용 피니셔지만 사이버스 덱에서는 더 큰 위력을 발휘하는 카드. CRYPTER를 소재로 하고 효과 발동을 위해 제외시키면 CRYPTER가 자신의 효과로 돌아오고, 액세스코드가 치우지 못하는 파괴 내성을 가진 카드는 CRYPTER가 맡아 처리해줄 수 있다. 배틀에서는 5300+5000의 깡타점으로 그대로 듀얼을 끝낼 수 있다.
  • 파이어월 드래곤,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네오템피스트,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다른 사이버스 테마인 이그니스터와 참기의 에이스인 파이어월 몬스터들. 이그니스터와 동일하게 파이어월 드래곤을 전개 도중의 중간다리로 사용하고 네템피를 뽑아내는 루트로 주로 쓰인다. 네오템피스트로 융합/싱크로/엑시즈 몬스터도 묻을 수 있다는 점을 살려 싱귤래리티까지 채용해 고점을 극대화하는 빌드도 있다.

    다만 네오템피스트는 기본적으로 덤핑할 카드를 따로 준비해야 하고, 싱귤래리티도 네템으로 조건을 맞춰주지 않으면 결과물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엑스트라 덱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발매 후에는 파이어월 계열을 빼고 어코드 토커@이그니스터를 쓰는 경우도 많다.
    • 사이버스 디세블룸, 메레올로직 애그리게이터, 에니그마스터 팩비트
      네오템피스트의 효과로 묻을 엑스트라 덱 사이버스족 몬스터들. 기본적으로 선턴에 퍼미션 효과를 지닌 디세블룸을 덤핑하고 상대턴에 코드 오브 소울을 덤핑, 마함 무효 1회와 추가 전개를 노린다. 대상 무효 효과의 메레올로직 애그리게이터와 몬스터를 지속 함정으로 만들어 제거하는 에니그마스터 팩비트는 취향에 따라 들어가는 카드로, 덤핑 후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의 유발 효과가 발동하는 특성상 한 타이밍 늦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 토폴로직 제로보로스[동팩]
    제로보로스의 링크 앞에 내서 필드를 싹 쓸어버리고, 자신은 제외 트리거로 필드에 몬스터를 다시 꺼내서 필드를 어느 정도 유지시킬 수 있다. 마침 같은 팩에 재록도 됐다.
  • 성취의 리절도즈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는 링크 2 몬스터. M∀LICE에서는 제외하는 몬스터의 효과로 스플래시 메이지처럼 링크 3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30]. 후공에는 본인 효과로 돌파도 도와준다.
  • 빛 없는 그림자 아=바오 아 쿠, 트로이메어 그리폰
    네오템피스트 대신 메인 몬스터 존에 놓아 결과물로 락을 거는 빌드. 아바오로 그리폰을 살릴 경우 둘 다 메인 몬스터 존에 놓이게 되므로, 상대의 행동을 크게 제한할 수 있다. 이쪽은 일본에서 선호하고 있다.
  •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마스터 듀얼 한정)
    링크 전개 덱이면 당연히 들어가는 몬스터 퍼미션. 특히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의 신규 지원으로 전개력이 높아진 덕에, 사이버스족 제약이 걸리기 전에 2~3소재 아폴을 꺼내는 것이 쉬워졌다. 다만 마스터 듀얼을 제외하면 25년 7월 현재 금지된 상황이다.
  •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위에 서술한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의 상위호환격 카드로, 주목적은 M∀LICE의 기믹을 무력화하는 카오스 헌터를 파괴하기 위함이다.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의 패 1장을 소모, 상호 링크로 드로우를 보려고 하면 역으로 우라라에 막히는 것, 악마족이라 패에있는 이그니스터 몬스터와 안 맞는 문제 등을 보완하며 카오스 헌터를 케어해주는 좋은 카드로 떠올랐다. 사용 방법

8.3. 마법 / 함정

  • 도미나스 임펄스
    어둠 속성 통일덱인데다 전개 과정에서 함정을 사용하는 맬리스는 임펄스를 최대한도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아폴로우사, 트랜스코드 토커, 파이어월 드래곤 등이 막히는 것에만 유의.
  • 어둠의 유혹[동팩]
    메인 덱 몬스터가 모두 어둠 속성이라 2드로우+1장 특소 효과로 탈바꿈한다. 도트스케이퍼가 패에 잡히면 말림패가 된다는 점 때문에 채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도트스케이퍼가 말림패가 되는 정확한 조건은 '일반 소환권을 사용한 이후' 패에 잡히는 것 이므로 메인 덱 맬리스를 일소권 없이 전개할 수 있게 해주는 어둠의 유혹은 오히려 말림 요소를 없애준다. 동시에, 이 카드는 사용할 수 없는 디멘션 어트랙터의 좋은 처분 수단이기도 하다.
  • 사이바넷 마이닝
    사이버스족 범용 서치수단. 하급 몬스터들을 서치할 수 있으나 패코스트의 단점 때문에 참기 서큘러 같은 매우 강력한 11기식 파워카드를 서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잘 채용되지 않으며, 맬리스는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이후로 파워가 급부상한 Dormouse나 추가 공격권인 백업@이그니스터를 서치하기 위해 취향에 맞은 장수만큼 넣는다.
  • 차원의 틈[동팩], 매크로 코스모스, 디멘션 어트랙터
    테마의 모든 몬스터들이 제외시 부활효과를 가지고 있어 차원계 효과가 켜진 상태에서도 전개가 가능하다. 특히 매크로 코스모스의 경우 함정들까지 제외되니 White rabbit의 묘지함정 제약을 없애거나 필드마법의 2번 효과를 가동하기 쉽게 한다. 다만 화이트 바인더의 묘지 제외 효과를 쓰기 힘들어지고 두번 제외된 M∀LICE 몬스터를 꺼낼 수단이 GWC-06의 특수 소환과 하트 오브 크립터의 코스트 회수 밖에 없는 것은 유의해야한다. 또한 전개가 다 끝난 이후 발동할 수 있는 앞의 둘과는 달리 디멘션 어트랙터는 스플래시 메이지, 트랜스코드 토커, 네오템피스트를 봉인해 맬리스의 고점 또한 낮아지니 주의.
  • 이웃집 잔디깎기 + 페어리테일-백설
    60장 구성의 덱에서 핵심 카드로 잔디깎기를 통해 덱의 카드를 대량 덤핑 후 백설로 특수소환을 하면서 개체수를 늘려준다. 고점을 중시하는 중국에서 선호하는 용병 카드.

8.4. 카드군

  • @이그니스터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의 추가 지원 카드들이 @이그니스터 보다는 사이버스족 / 어둠 속성 몬스터를 집중 서포트하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추가된 몬스터들도 전부 사이버스족 / 어둠 속성이라 M∀LICE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백업 2~3장+위저드 1장의 조합으로 용병의 밸류를 최대한으로 가져가거나, 아니면 추가 공격권 느낌으로 백업만 한두 장 사용한다. 타 종족 몬스터를 거의 쓰지 않고 사이버스족 통일에 가깝게 구성할 경우, 튜너인 백업을 서치할 수 있는 사이버스 위키드까지 넣어 개체수를 늘리기도 한다.

    신규 에이스 몬스터인 어코드 토커@이그니스터는 전개 중 링크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RANSOM과 BINDER를 소생시킬 수 있으며, 네오템피스트와 달리 덤핑용 카드를 따로 넣지 않아도 퍼미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선턴 전개 결과물로서 사용한다.
  • 비스테드
    몬스터들이 어둠속성이라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해서 소환할 수 있으며 상대 견제도 된다.

[1] 증폭하는 맬리스, 마리스보라스, 악마양 마리스의 모티브이기도 하다.[2] 다만 이 기호는 이미 어메이즈먼트에 등장한 적이 있어서 최초는 아니다. 여기서는 어트랙션, 그러니까 A로 읽는다.[3] March Hare는 별개의 ③의 효과를 갖는다.[4] 메인 덱 몬스터 300, 링크 몬스터는 900. 하위 링크가 나와야 확실겠지만 링크 마커×300일 가능성이 농후하다.[5] 라이프 코스트는 지불이기에 데미지를 0으로 하는 효과로는 코스트 경감 불가다.[6] 당연하지만 저걸 제외하면 두 테마의 공통점은 없거니와 티아라멘츠는 이시즈 티아라멘츠로 진화하여 그 스프라이트를 따위로 취급하는 1인자가 됐고, 맬리스에게 없는 0턴 전개까지 갖고 있으니 그냥 재미로 보자.[7] 제외존에서 계속 나오기도 하므로 의외로 냐루스도 맬리스의 견제에 제동을 걸어줄 수 있다.[8]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금지 이전에는 전개 중 아폴을 뽑아 니비루를 틀어막는 케어법이 존재했으나, 아폴 금지 후에는 힘들어졌다.[9] 이쪽은 카오스 헌터를 전투로 패면 된다.[10] 초동인 도마우스와 화이트 래빗은 3장 고정, 체셔 캣과 마치 헤어는 2장 정도 넣는 것이 보통이다.[11] 그마저도 마/함 무효 효과가 아니라서 전체 제거기 카드를 쓰면 그냥 날라간다.[12] 다만 임펄스를 별로 맞지 않는 소수의 테마 중에 라이제올이 있기에, 투입률이 감소하고 있다.[13] 라이제올 역시 제재로 줄어든 초동을 늘려주는 지원은 아니지만, 맬리스처럼 전개 고점과 안정성을 올려주는 중간다리를 지원 받은 덕분에 1티어 자리를 탈환하였다.[14] 다만 TCG권은 원래부터 증식의 G가 금지인 탓에 이런 전개 덱들이 우세하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마루챠미 발매 후로 그 환경적 차이도 꽤나 줄어들었는데도 맬리스가 활약하고 있다는 사실은, 아폴 하나 금지한다고 맬리스가 바로 꺾이지는 않으리라는 지표로 볼 수 있다.[15] 단, 메타를 변화시킬 성능의 테마들은 그 정도로 비싸게 나오는 추세인것은 감안해야 한다. 순성, 천배, 백룡 등, 화염 카르텔로 대표되는 굿 스터프성 덱이 아닌 테마들의 자체 UR 매수와 큰 차이가 안 나기는 한다.[16] 맬리스 저격용 카드인 롱기누스와 카오스 헌터는 자신 턴에 자신이 제외하는 것에 영향을 안 미쳐서 모든 덱에서 채용할 수 있고, 모두 무제한이라 총 6장까지 덱에 넣을 수 있으므로 1장이라도 잡힐 확률이 상당히 높다. 심지어 취향에 따라 선공을 잡고 철벽까지 꽉 넣는다면 도합 9장까지 증량시켜 맬리스를 문자 그대로 숨도 못 쉬게 만들어줄 수도 있다.[17] 1, 2위는 당연히 증식의 G하루 우라라.[18] 지정한 카드 3종을 제외하면, 6개의 덱 모두가 매수 제한을 공유한다. 가령 제한 카드는 모든 덱을 통틀어 1장만 넣을 수 있다.[19] 가장 비슷했던 환경인 OCG 25년 1월 금제와 비교해 어둠의 유혹과 봉인의 황금궤의 제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20] 어둠의 유혹과 달리 먼저 제외하고 드로우하는 효과이므로 어둠의 유혹처럼 패에 맬리스 카드가 없는데 드로우부터 땡기고 맬리스를 뽑아 갚는다는 방식을 취하는 건 불가능하다. 같은 이유로, 이 효과에 체인으로 롱기누스를 맞을 경우 2드로우는 챙기는 어둠의 유혹과 달리 체셔 캣은 그대로 정지한다.[21] 전개 중에 MTP-07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화이트 래빗을 소생하여 MTP-07을 끌어와 비대상 1제외를 확보할 수 있으며, WHITE BINDER(화이트 바인더) 또는 HEARTS OF CRYPTER(하트 오브 크립터)를 제외하면 그냥 심플하게 제외 제거 효과가 확보된다.[22] 왼쪽부터 White Rabbit의 리본과 꼬리, Dormouse의 귀와 찻잔, Cheshire Cat의 고양이귀, RED RANSOM의 체스말, WHITE BINDER의 시곗바늘에서 외형을 따왔다. 상술됐듯이 자신을 상징하는 열쇠는 무기로서 손에 들고 있다.[23] 사실 영미권에서는 산토끼(Hare)와 집토끼(Rabbit)를 다른 동물로 인식하고 구분짓는다. 동아시아에선 이들을 토끼라는 동물 한 종류로 묶는다.[24] 예시 중 하나로 링크 몬스터의 천적으로 유명한 후완다리즈×엠펜이 해당된다. 공수 맞바꾸기는 발동이 아닌 지속 효과라서 링크 몬스터임에도 엠펜의 락 효과의 영향을 피해갈 수 있고, 엠펜은 수비력이 1000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이 효과에 영향을 받으면 엠펜의 ③의 효과에 관계없이 레드랜섬 등으로 때려잡을 수 있다.[25] 발매 당시를 기준으로 링크 4 이하의 몬스터 중에서 공격력이 3000보다 높은 몬스터는 무한기동요새 메가톤게일, 성신기 데미우르기어, Evil★Twin's 트러블 써니, G골렘 디그니파이드 트릴리톤 4장 뿐이다. 심지어 링크 5 이상조차 과반수가 3000 이하다.[26] 일러스트의 하단이 너무 허전하고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에 펜듈럼 카드를 사용하는 테마가 있다는 소문도 있어 펜듈럼 카드일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링크 몬스터였고, 펜듈럼 테마는 먼저 정보가 공개된 룡화인 것으로 밝혀졌다.[27] 묘하게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을 연상시키기도 한다.[동팩]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에 재록됨[동팩] [30] 에스:피 리틀나이트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리틀나이트의 제외 효과를 쓰려면 링크 1 몬스터를 1번 거쳐야한다. 게다가 리틀나이트는 전개용으로만 쓰기에는 아까운 강력한 견제 효과를 지닌 제한 카드이기 때문에, 이 카드가 먼저 나온 일본의 경우 바로 리틀나이트와 리절도즈 둘다 채용했다.[동팩] [동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