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액세스코드 토커 관련 틀 | ||||||||||||||||||||||||||||||||||||||||||||||||||||
| ||||||||||||||||||||||||||||||||||||||||||||||||||||
| 액세스코드 토커 |
| <nopad> |
|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지는 바람을 붙잡아라! 링크 소환! 링크 4, 「액세스코드 토커」! まだ見ぬ世界へ繋がる風を掴め!リンク召喚!リンク4、「アクセスコード・トーカー」! -유희왕 VRAINS 제120화 中 Playmaker- |
|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지는 바람을 잡아라! 링크 소환! 링크 4, 「액세스코드 토커」! -유희왕 VRAINS 제120화 中 플레이메이커더빙판- |
1. 개요
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2. 설명
2.1. 원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액세스코드 토커,
일어판명칭=アクセスコード・トーカー,
영어판명칭=Accesscode Talk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2300, 종족=사이버스족,
link2=, link4=, link6=, link8=,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의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의 링크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진 자신 묘지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10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묘지의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턴에\, 자신은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제외할 수 없다.)]
| 소환 |
유희왕 VRAINS 최종화에서 Playmaker가 아이와의 듀얼 중 사용. 링크슬레이어, 사이버스 위저드, 백업 세크레터리[1],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를 소재로 링크 소환되었으며, ①의 효과로 다크플루이드를 지정하여 자신의 공격력을 7300까지 끌어올렸다. 여기에 ②의 효과로 6속성의 몬스터를 1장씩 제외해서 아이 필드의 카드들을 1장씩 파괴한 끝에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만 남기고 그 공격력을 13000에서 7000까지 깎아냈다. 그 상태에서 디 어라이벌을 공격해서 결판을 내려 했으나, 묘지의 굿사리@이그니스터의 효과로 공격력이 똑같이 3000이 되면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와 자폭했다. 다만 전투 파괴에는 성공했기에 그 직후 사이바넷 클로저의 효과로 연계할 수 있었다.
궁지에 몰린 주인공의 전세를 뒤집는 역할을 하지만 듀얼의 승패를 후속 몬스터에게 인계하는 역할에서 후도 유세이의 슈팅 퀘이사 드래곤과 상당히 비슷한 역할을 했다. 물론 퀘이사와는 다르게 적의 최종 몬스터와 직접 대면했다는 차이점은 있다.
디코드 토커 익스텐드, 코드 토커에 이어서 입수 경위 및 시기가 명확하지 않은 코드 토커 중 하나로, 최초의 링크 4 코드 토커이자 주인공의 최종 몬스터라고도 할 수 있는 카드임에도 작중에서는 딱히 이러한 요소가 강조되지 않았다. 어찌 됐든 VRAINS 이후 후속 OCG 애니의 방영 여부가 불투명한 현 상황에서 OCG 애니의 최후를 장식하는 몬스터이기도 하다.
카드 파괴 효과명은 '액세스 인테그레이션(アクセス・インテグレーション / Access Integration)'. 랜스를 던져 카드를 파괴하고, 랜스가 다시 생성된다.
카드명의 액세스(Access)는 '접속하다'란 뜻의 영단어이며, 유사쿠의 스킬인 스톰 액세스를 상징한다. 그리고 링크 마커는 유사쿠의 에이스 몬스터 중 하나인 파이어월 드래곤과 같다.
듀얼 오페라에서는 유사쿠 역의 이시게 쇼야가 링크 소환해 료켄 역의 타케우치 슌스케가 링크 소환한 바렐엔드 드래곤을 공격해 피니셔가 된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유사 쇼마vs모토카리야 시오리의 듀얼 중 구경 중인 갤러리를 통해 언급되었는데, 그녀는 섬도희 덱을 사용하지만 카드의 콘셉트를 중시한다며 사용하진 않았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유희왕 OCG의 10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서킷 브레이크 | 극한의 힘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
| [[파이어월 드래곤| ]] | [[바렐로드 드래곤| ]] | [[엑스코드 토커| ]] |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 |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소울 퓨전 | 새비지 스트라이크 | 다크 네오스톰 | ||||
| [[사이버스 매지션| ]] |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 |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 | [[파이어월 X 드래곤| ]] | ||||
| 라이징 램페이지 | 카오스 임팩트 | 이그니션 어썰트 | 이터니티 코드 | ||||
| [[바렐로드 X 드래곤| ]] |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 | [[라이트드래곤'background-image'> ]] | [[액세스코드 토커| ]] | ||||
| ← 9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ㆍ11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액세스코드 토커,
일어판명칭=アクセスコード・トーカー,
영어판명칭=Accesscode Talk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2300, 종족=사이버스족,
link2=, link4=, link6=, link8=,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의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 그 링크 소재로 한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10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의 필드 / 묘지에서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이 턴에\, 자신은 "액세스코드 토커"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제외할 수 없다.)]
(벽지)
새로운 한발을 내딛는, 4개의 화살을 묶는 기사.
승리와 함께 잡은 바람은,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진다.
(프로텍터)2nd 일러스트
거대한 창을 가진 비장의 카드가 디자인된 프로텍터.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지는 바람을 쥐는 당신에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설명
새로운 한발을 내딛는, 4개의 화살을 묶는 기사.
승리와 함께 잡은 바람은,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진다.
(프로텍터)2nd 일러스트
거대한 창을 가진 비장의 카드가 디자인된 프로텍터.
아직 보지 못한 세계로 이어지는 바람을 쥐는 당신에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설명
이터니티 코드의 커버 카드로 OCG화. 약칭은 액세스, 혹은 액토커. 참고로 엑세스코드 토커가 아니라 액세스코드 토커인데, 엑세스라고 잘못 불리는 경우가 많다.
두 효과 모두 원작 효과에서 한층 더 상향되었다. ①의 효과는 상대 묘지의 카드도 대상으로 할 수 있어, 섬도기-위도우앵커나 삼전의 재 등의 효과로 탈취한 상대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 소환해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작과 달리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위치를 딱히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 몬스터가 제외되어 있어도 상관없게 되었다. 심지어 엑덱으로 들어가도 상관없다.[2] ②의 효과는 원한다면 자기 자신을 포함한 필드의 몬스터도 쨀 수 있게 되었고, 비대상 파괴로 변경되어, 대상 내성을 뚫을 수 있게 되었다.
역대 주인공의 최종 몬스터 중 정규 부스터 팩에 수록된 유일한 카드다. 대부분의 경우 최종 몬스터가 등장하기 이전 시점에 그 시리즈의 정규 부스터가 종결되므로, 최종 보스의 카드와 비슷한 시기에 동봉 카드로 등장하곤 했었다. VRAINS는 완결 시점과 SEVENS 방영 사이에 텀이 있어 정규 부스터 수록에 성공한 것.
이터니티 코드 발매 이후 시간이 지나며 가격이 비싸졌지만, 이후 지속적인 재록으로 가격이 내려갔다.
| | |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2025년 9월에는 쿼터 센추리 아트 컬렉션의 일러스트도 실장되었다.
2.2.1. 성능
매우 널널한 소환 조건, 쉽게 얻을 수 있는 높은 공격력, 강력한 돌파 효과로 무장한 범용 링크 피니셔. 링크 소환을 사용할 수만 있다면 어떤 덱에서든 어렵지 않게 채용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모든 효과에 체인 불가가 달려 있다. 그 특성상 ①의 효과를 통해 소환 반응형 함정을 피하며[3], ①의 효과를 제일 마지막 체인으로 걸어 다른 카드의 효과를 무사히 통과시킬 수도 있다.[4] ②의 효과는 퍼미션을 통한 방어가 불가능하며, 프리 체인 효과로 도망갈 수도 없게 차단한다.
링크 4임에도 기본 공격력은 2300으로 링크 3 코드 토커들과 동일하지만, 그건 거의 장식이고 ①의 효과 덕분에 실제 공격력은 4300 ~ 5300에 달한다. 이 정도만 해도 유희왕의 웬만한 초대형 몬스터들의 공격력 상한선인 4000, 5000을 넘어가기 때문에 타점으로 질 일은 거의 없다. 이론상으로는 링크 6 몬스터를 소재로 소환해서 공격력을 8300까지 올릴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함을 코스트로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 비지정으로 파괴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 제한이 없어 액토커 한 장만으로 웬만해선 2 ~ 3장의 카드를 걷어낼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최대 7장[5]까지 파괴할 수 있다. 스스로를 코스트로 삼는 것도 가능해, 여차하면 스킬 드레인을 파괴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업데이트재머를 소재로 소환하면 공격력 4300 × 2로 총 8600의 핵딜을 먹일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체인 꼬기 테크닉을 사용하면 재머의 효과가 퍼미션에 막힐 일도 없어진다. 통칭 재머토커. 과거 사이버스 덱에서 비장의 수로 쓰였다.
그밖의 특이사항으로 유희왕 복귀 및 입문자에게 퀵 타이밍 룰의 존재와 그 중요성을 알게 해 주는 대표적인 카드인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듀얼 로그가 있다.
| A: 트랜스코드 토커와 링크리보 소재로, 액세스코드 토커 링크 소환합니다. 소환에 체인?[6] B: 없어요. A: 소환했습니다. ①번 효과로 트랜스코드 토커 지정, 공격력 3000을 올립니다.(체인 불가) 퀵 타이밍이에요. 체인? B: 내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세트한 속공 마법 에너미 컨트롤러 발동합니다. 발동에 체인?[7] A: 없습니다. B: 그러면 액세스코드 토커를 제가 가져옵니다. ... |
참고로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기본 체인 설정이 AUTO이기 때문에 퀵 타이밍의 체인에 대해 묻지 않고 그냥 넘겨버릴 수 있어 액세스코드 토커의 ②번 효과를 막을 생각이라면 옵션에서 체인 여부를 즉석으로 변경할 수 있게끔 바꿔야 한다. 보통 상대방의 벽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대로 피니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드이니만큼 파괴 효과를 막아내는 것만으로 승패가 갈릴 수 있으니 마스터 듀얼 플레이 시 반드시 인지해야 되는 요소.
이 퀵 타이밍 룰의 존재와, 상기 마스터 듀얼의 체인 설정 AUTO 때문에 초심자들은 엑세스코드 토커가 소환만 되면 효과 사용 후까지 무적인 줄 아는 경우가 있다. 절대로 무적으로 상대 카드를 파괴시킬 수 있는 카드가 아니며, 간단히 말해서 ①효과가 끝나고 체인 기회가 들어오므로[9] 그 때 체인을 걸면 된다.
2.2.2. 역사
출시 당시에는 기존에 범용 피니셔로 채용되던 바렐스워드 드래곤과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전투에서의 성능은 바렐스워드가 더 우위이지만, 액토커는 훨씬 느슨한 소환 조건, 체인 불가에서 비롯되는 안정성, 후열까지 걷어낼 수 있는 파괴 효과, 상대 필드에 적절한 몬스터가 없어도 킬각을 잡는 범용성 등을 인정받아 바렐스워드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바렐스워드의 자리를 상당수 흡수했다.때문에 피니셔로서의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매우 높은 채용률을 자랑했으며, 유저들에게 죽창 2호기, 링크 죽창, 링크의 신 등등 긍정적인 별명을 얻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오랜 시간 피니시 랭킹 1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전성기였던 10기 ~ 11기에서는 링크 소환 위주의 덱의 히든카드이자 피니셔 역할을 맡으며, 원래 카드군의 피니셔조차 밀어내고 채용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 카드를 어떻게든 쉽게 소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는데, 대표적으로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로 이펙트 뵐러를 소환한 뒤 신성마황후 셀레네를 소환하고 뵐러를 소생하는 루트로 액토커를 쉽게 뽑을 수 있었다. 특히 자체적인 결정력이 심히 부족한 섬도희의 킬각 캐치 수단으로 애용되었으나, 하리파이버의 금지 이후에는 실용성이 낮아졌다.
다만 12기부터는 티어권 덱 대부분이 자체 전개력만으로도 킬각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어 보기 힘들어졌다. 액토커 자체의 파워는 12기 환경에서도 여전히 먹히지만, 돌파 몰빵형 카드인 액토커에게 엑스트라 덱 1자리를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리턴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사이버스 덱에서도 액토커에게 밀리지 않는 전투성능에 더해 선공 억제력으로도 작용할 수 있는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네오템피스트가 추가되면서 액토커의 채용률이 감소했다. 콤보 파츠로 자주 사용되었던 업데이트재머는 엑덱 포화를 이유로 거의 멸종했다.
사이버스 제외 테마인 M∀LICE에서 궁합이 괜찮아서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링크 소재로 HEARTS OF CRYPTER를 쓰면 공격력 5300이 되고, 액세스의 파괴 효과의 코스트로 크립터를 제외하면 크립터가 공격력이 2배인 5000으로 소생하기 때문에 총 타점이 최소 10300이다. 또한 맬리스는 다른 사이버스 덱에 비해서 엑덱 스페이스가 좀 더 널널한 편이라, 액토커에게 1자리 정도는 할당할 여유가 있다.
2.2.3.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2020-01-11 | ETCO-JP046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2-19 | HC01-JP047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12-24 | SUB1-JPS01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Special Blue Ver. |
2023-12-23 | QCDB-JP048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6-08 | TT01-JPB32 |[[노멀| N ]]노멀 |
2024-09-07 | QCAC-JP002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0-04-14 | ETCO-KR046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5-20 | HC01-KR047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6-05 | QCDB-KR048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0-05-01 | ETCO-EN046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1-11-19 | MGED-EN037 |[[골드 레어#프리미엄 골드 레어| PG ]]프리미엄 골드 레어 |
2022-11-18 | BLCR-EN093 |BATTLES OF LEGEND: CRYSTAL REVENGE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5-24 | RA02-EN046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3. 모형화
2.3.1. 메가하우스
바렐로드 드래곤,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와 함께 MONSTERS CHRONICLE 시리즈로 발매 예정이다.2.3.2. 굿스마일 컴퍼니
| | |
| <colbgcolor=#f2d200><colcolor=#000> 스케일 | Non Grade |
| 발매 | 2025년 5월 |
| 가격 | 7,909엔 |
| 링크 | |
MODEROID로 발매되었다. 사내의 젊은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로 인해 모형화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판매량에 따라 다른 몬스터들도 모형화될 가능성도 있는 셈. 원형사는 RIOBOT 라인배럴, MODEROID 데몬베인, 단가이오, 슈퍼 피피미 BARI 모드 등을 담당한 모리구치 아란이다.
공식 정보가 공개될 때 레벨 4 링크 몬스터로 오기되는 사고가 있었다. # 현재는 링크 4로 정상적으로 수정되었다.
[1] 이 3장의 카드는 작중 극초반부터 Playmaker의 듀얼에서 등장했던 몬스터들이다. 이런 극초반부터 함께 한 동료들을 전개하는 장면은 유희왕 5D's의 최종전인 후도 유세이와 잭 아틀라스의 4차전 듀얼을 오마주한 것으로 추정된다.[2] 정확히는 앞면 표시로 되어 있어야 한다. 뒷면으로 되어 있으면 대상으로 찍을 수 없다.[3] 신의 심판과 신의 경고처럼 소환 무효화계에는 당한다.[4] 예를 들어 업데이트재머와 마이크로 코더, 갓치리@이그니스터를 소재로 써서 액세스코드 토커를 소환할 경우, 액토커의 공격력 상승효과와 재머의 더블어택 부여, 갓치리의 내성 부여, 마이크로 코더의 서치효과는 동시에 처리된다. 여기서 액토커를 맨 마지막 체인으로 하면 상대는 엑토커의 체인불가 효과 때문에 해당 체인에 걸려있는 모든 효과를 방해하지 못하게 된다. 링크소재가 됐을 때 이득을 보는 카드가 많은 사이버스 덱이 자주 사용하는 수법이다.[5] 현혹의 두루마리,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같이 속성 조정 카드를 사용해서 신 속성을 지정해야 한다.[6] 소환무효계 함정을 사용할 것인지 묻는 것. 신의 심판같은 카드가 해당된다. 이런 효과들은 무슨 효과에 체인을 거는 것이 아니므로 엄밀하게는 틀린 표현이나 실제 OCG 듀얼 상황에서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7] 에네콘의 효과에 체인할 효과가 있는지 묻는 것.[8] 몬스터의 유발 즉시 효과, 속공 마법 카드, 일반 함정 카드, 지속 함정 카드, 카운터 함정 카드의 효과[9] ①효과 자체에는 체인을 못걸기 때문에 나락의 함정 속으로 같은 소환계 함정은 발동 불가능하며 ①효과를 무효하는 것도 불가능이다. ①효과가 끝나서 공격력이 올라간 후에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