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08:20:14

데먼스미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colbgcolor=#56555A>
데먼스미스
<nopad> 파일:데먼스미스키리에.jpg
데먼스미스 키리에
한국어판 명칭 데먼스미스
일본어판 명칭 デモンスミス
영어판 명칭 Fiendsmith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악마족 효과, 융합, 링크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3.1. 레벨 4
3.1.1.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3.2. 레벨 6
3.2.1.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4. 융합 몬스터
4.1. 레벨 6
4.1.1.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4.2. 레벨 9
4.2.1.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4.2.2. 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
5. 링크 몬스터
5.1. 링크 15.2. 링크 2
5.2.1. 데먼스미스 세퀜티아
5.3. 링크 3
5.3.1.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
6. 마법 카드
6.1. 일반 마법
6.1.1. 데먼스미스 트락투스
6.2. 속공 마법
6.2.1. 데먼스미스 상투스
7. 함정 카드
7.1. 일반 함정
7.1.1. 데먼스미스 인 파라디숨7.1.2. 데먼스미스 키리에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부스터 팩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첫 등장했다. 마굉신, 마탄환 등과 같이 빛 속성의 악마족 몬스터가 주축인 카드군이다. 일러스트는 펑크 룩 내지 메탈 룩을 연상시키지만[1] 아이러니하게도 카드명의 모티브는 가톨릭의 성가다. # 한편 테마명의 모티브는 블랙스미스 등의 단어에 쓰이는 '제작자'를 가리키는 인물로, 이 경우에는 '악마를 만드는 자'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작명 방식 자체는 라뷰린스와 비슷하다. 가타카나로 읽는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제외한 데먼스미스 카드들은 "새겨진 마"라 쓰고 "데먼스미스"라 읽는다. 즉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의 이름인 "데먼스미스"를 따라 카드군의 이름이 정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카드명이 데먼즈 체인 등처럼 데몬(デーモン)이 아닌 데(デモン)으로,[2] 데몬 카드군의 서포트를 받지는 못한다.

빛 속성 / 악마족 구성에 데스 메탈을 연상시키는 점은 유희왕 러시 듀얼로얄데먼즈 테마와 유사하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한나리 학원의 스미즈 형제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 동생 이부키는 아티팩트, 형 타마아키는 마탄환과 혼합한 덱을 사용했다.

2.1. 설정

악마를 사냥하여 무기로 삼는 암흑사회의 대장장이!
악마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강제 계약해 자신의 무기로 만드는, 악마사냥꾼 겸 대장장이인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가 마가 만연하는 암흑사회를 살아가는 새로운 시리즈.
장신의 마초, 암흑사회를 헤쳐나가는 독불장군으로 악마를 도구로밖에 생각하지 않는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는 변형무장관 「레퀴엠」과 강제로 계약해 사역하고 있는 악마를 모으면서 날마다 악마와 싸우고 있다.
봉인한 악마에게는 「레퀴엠」에 의해 여러 가지 악마적 가공이 실시되어「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의 무기로써 재련되어 새로운 전력이 되어 버린다.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는 구제 의뢰를 받거나 조우한 악마와 싸울 뿐, 허나 막상 전투가 벌어지면 그 모습은 악마 그 자체. 「레퀴엠」과 함께 모든 것을 먹어치울 기세로 악마를 사냥하는 것이다.
인피니트 포비든까지는 악마를 강제로 사역하는 데먼스미스에 대한 캐릭터성만 해설되었으나 밸류어블 북에서 라크리모사와의 후속 스토리가 공개되었다. 폐허에서 휴식을 취하던 데먼스미스가 라크리모사를 발견하고 강제계약을 맺을 생각을 하는데, 이를 프러포즈로 오해하고 자발적으로 합류한다는 다소 코믹한 스토리.

게다가 라크리모사의 힘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사랑의 말을 해야 한다는 기묘한 제약이 있어 어이없어하는 데먼스미스였지만, 힘은 확실했는지 라크리모사의 도움을 자주 받는다.

그러던 어느 날 세계를 한번 멸망시킬 뻔한 최흉의 악마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걸 다 해보았지만 역부족이였는지 당하기 직전, 라크리모사가 나와 정식 계약을 제안한다. 머뭇거리면서도 정말 라크리모사를 사랑하게 되었는지 데먼스미스는 "네 모든 것을 나에게 줘"라는 정말 청혼같은 말을 하며 계약을 수락하였고, 둘은 정식 계약을 통해 하나로 합체하여 메피스토펠레스에게 맞서 싸운다.

데먼스미스의 마초스러운 첫인상과 다르게 라크리모사와 썸씽을 맺어가는 흐름이 왕도적인 보이 미츠 걸스럽다. 모티브는 데빌 메이 크라이 1편으로 추정된다.

2.2. 성능 및 역사

3. 효과 몬스터

레벨, 공격력, 수비력, 공수 증감량, 효과 데미지 등이 디에스이레를 제외하면 모두 600의 배수로 되어 있다. 666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링크 몬스터들은 공격력이 600 × 링크 수로 되어 있다.[3]

3.1. 레벨 4

3.1.1.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파일:紅涙の魔ラクリモーサ.jpg 파일:LacrimaTheCrimsonTears.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일어판 명칭=<ruby>紅涙<rp>(</rp><rt>こうるい</rt><rp>)</rp></ruby>の<ruby>魔<rp>(</rp><rt>ま</rt><rp>)</rp></ruby>ラクリモーサ,
영어판 명칭=Lacrima the Crimson Tears,
레벨=4,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데먼스미스"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이외의 "데먼스미스"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데먼스미스"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고\, 대상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붉은 눈물을 흘리는 별난 악마.
그 힘을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사랑의 말이 필요하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벽지 설명
데먼스미스의 두 번째 메인 덱 몬스터인 하급 몬스터.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에서 레퀴엠과 함께 눈물 흘리던 여성의 정체로, 이 여자의 이름이 라크리모사이다. 이름에는 데먼스미스가 없지만 룰상 데먼스미스 카드여서 레퀴엠의 효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4]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와 달리 소환 시 유발이 있어 더 유용하며, 실제로도 레퀴엠의 효과로 꺼내면 하술할 콤보로 이어진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 데먼스미스 카드 덤핑. 이 카드를 제외하면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가 유일한 몬스터로, 마침 마새데는 자체 소생 효과가 있어서 사실상 개체수+1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카드를 레퀴엠으로 꺼냈다면 이 카드가 마새데를 덤핑하고 마새데가 레퀴엠을 되돌리고 소환하여 개체수가 2개가 된다. 즉, 이 카드 덕분에 레퀴엠 한 장으로 빛+악마족 몬스터를 2장 늘어놓아 세퀜티아로 이을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제약은 없으므로 이 둘로 융합 소환, 링크 소환을 하거나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5] 같은 카드를 소환할 수도 있다. 마법&함정도 보낼 수 있어 이들의 묘지 효과를 노리는 것도 괜찮다.

②의 효과는 스스로를 덱으로 되돌리고 링크 몬스터 소생. 유발 즉시 효과가 있는 레퀴엠이나 아뉴스데이를 소환하게 될 것이다. 아뉴스데이의 경우 디에스이레를 소생시키는 것으로 견제를 추가로 격발시킬 수 있으며, 레퀴엠은 덱으로 돌아간 이 카드를 다시 리크루트한 뒤 ①의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가뜩이나 뛰어나던 데먼스미스의 안정성과 고점을 모두 한 층 끌어올려주는 카드이다. 홍루가 없었을 때는 난나-레퀴엠으로 마새데를 특수 소환해도 세퀜티아를 뽑으려면 개체 수가 하나 더 필요했는데, 이 카드의 출시로 레퀴엠으로 홍루를 소환하고 마새데를 덤핑하면 자체 효과로 소생시켜 즉시 세퀜티아를 뽑을 수 있게 되었다. 때문에 난나 1장만으로도 데먼스미스 풀 전개가 가능해졌기에 용병으로서의 접근성을 크게 올려주었다. 순수 축에서는 ①의 효과로 상황에 따라 마새데가 아니라 키리에를 덤핑해 상대 턴 융합권을 얻거나, 파라디숨을 덤핑해 상대 턴에 디에스이레를 묘지로 보내 견제 수단으로 쓸 수도 있다.

사실 이 지원 발표 전에도 7월 금제에서 항목에서 보이듯 코나미가 노골적으로 '데먼스미스를 쓰지 않으면 티어 게임을 할 생각을 하지 마라'고 천명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소리가 많았는데, 이 지원으로 아예 쐐기를 박아버렸다는 평가가 많다. 상위권 테마에 더 지원을 얹어준 것이라 출시 당시 날선 반응이 많았으며, 7월 ~ 9월 분기의 우승덱을 천배룡을 제외하면 데먼스미스 채용 덱으로 싹 도배시켜버린 원흉으로 평가받았다.

이 때문인지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데먼스미스가 출시될 때 홍루는 제외되었으며, 베아트리체 금지 1달 이후에야 출시되어 OCG처럼 홍루와 베아트리체가 공존하는 끔찍한 메타는 생기지 않았다.

성능과는 별개로 일러스트는 대부분 아이돌 카드로서 좋은 평을 받고 있다. 해외판에서는 가슴에 천을 덧대는 탄압이 들어갔다. 가터벨트와 허벅지에는 탄압이 없는데다가 오히려 해외판의 가슴을 가린 쪽이 더 좋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로 평은 좋은 편이다.

다만 원체 강력한 성능으로 패악질이 극에 달하던 시절에는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 흑마녀 디아벨스타의 계보를 잇는 겜망추 이미지만 늘어났으며, 하필 구도가 데먼스미스 급으로 인식이 안 좋은 루닉의 날개 후긴과 비슷해서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이밖에도 홍루라는 이름은 다른 작품에서 먼저 쓰였다보니 반짝 엮인 적도 있었다.

설정상으론 폐빌딩 단지에 살고있던 악마로, '붉은 눈물을 흘리는 여자에게 가까이 가지 말라'라는 흉흉한 악명을 지닐 정도로 나름 강력한 악마였던 것으로 보인다. 데먼스미스는 그 힘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여태껏처럼 때려잡고 레퀴엠에 넣어 강제계약을 맺을 셈이었는데 라크리모사는 계약을 맺어달라는 데먼스미스의 말을 자신에게 프로포즈한 것이라 알아듣고선 그대로 그에게 빠져 자발적으로 힘을 빌려주고 있다. 다른 악마들처럼 봉인된 게 아니라서 영체로도 나타나는 듯 하다. 정식계약이 아니라서 룰 상 데먼스미스 취급인 듯하며 제대로 된 계약은 키리에에서 실현된다.

여담으로 정식으로 카드군 소속이 아니면서도 데먼스미스로 취급하는 것이 부부동성 문화를 반영한 것 아니냐는 농담이 있다.#

일본에서는 융합체 라크리모사와 이름이 겹치다 보니 '여자 라크리모사'라고 부르는데, 이 여자라는 부분이 어둠의 마리크가 여성 캐릭터 상대로 쓰던 호칭(ex: 여자아!)과도 겹치는지라[6] '여성 라크리모사'라는 비교적 정중한 명칭으로 부르거나, 역으로 대놓고 데먼스미스의 여자라고만 부르는 등 명칭에 관해 일종의 밈이 형성된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시리즈
2024-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JP014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KR014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EN014 | RAGE OF THE ABYSS

3.2. 레벨 6

3.2.1.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파일:魔を刻むデモンスミ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일어판명칭=<ruby>魔<rp>(</rp><rt>ま</rt><rp>)</rp></ruby>を<ruby>刻<rp>(</rp><rt>きざ</rt><rp>)</rp></ruby>むデモンスミス,
영어판명칭=Fiendsmith Engraver,
레벨=6,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수비력=2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데먼스미스"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데먼스미스" 장착 카드 1장과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에서 다른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덱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준제한 카드)]
(아이콘)
어둠의 사회를 헤쳐나가는 독불장군이 그려진 아이콘.
쓰러트린 악마를 강제로 계약시켜 자신의 무기로 삼는, 악마 사냥꾼 겸 대장장이.

(프로텍터)
어둠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악마 사냥꾼 겸 대장장이의 로고가 디자인된 프로텍터.
매일 악마와 싸우는 당신에게.

(메이트)
악마를 사냥하여 자신의 무기로 삼는 어둠의 사회의 대장장이.
데먼스미스 레퀴엠」을 몰며, 격렬하게 싸우는 모습은 악마 그 자체.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설명
데먼스미스의 첫번째 메인 덱 몬스터이자 핵심 몬스터. 첫 등장 시에는 유일한 메인 덱 몬스터였다.

①의 효과는 자신을 버리고 자기 테마 마법/함정을 서치하는 기동 효과. ③의 효과로 소생할 수 있으므로 디스어드밴티지 없이 이득만을 취할 수 있다. 트락투스나 상투스를 서치하여 본격적인 전개를 시작할 수 있고, 이런 카드들이 이미 패에 있다면 파라디숨을 서치하여 견제의 준비를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데먼스미스 장착 카드와 필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기동 효과. 데먼스미스 장착 카드들은 자신의 효과로 장착되는 링크 몬스터들이 해당된다. 기본적으론 1:1 교환이지만 파괴를 수반하지 않는 것이 고평가할 만하다. 게다가 링크 몬스터는 자체 효과로 또 장착하기 쉽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빛 속성/악마족 몬스터를 되돌리고 소생하는 기동 효과. 이론상 묘지에 빛/악마족 몬스터가 충분하다면 무한정 소생이 가능하다. 자기 자신도 해당되므로 묘지에 2장째의 데먼스미스가 있다면 그걸 되돌리고 소생시킬 수 있다. ①의 효과로 트락투스를 서치한 뒤 마굉신 루리를 이용하면 서치한 턴에 바로 소생시킬 수 있다. 트락투스의 융합을 포기하는 대신 상투스를 서치하면 묘지의 레퀴엠을 이용하여 마굉신 루리 없이도 소생이 가능하다.

자체 효과로 소생할 뿐 아니라 홍루로 덤핑이 가능하고 레퀴엠의 효과로 덱에서 특수 소환도 가능하니 고레벨이지만 꺼내기 어렵지는 않은 카드.
파일:GLRRg3EbAAArCZX.jpg
설정화
올백 헤어 스타일에 복근을 드러낸 건장한 체격, 약간 어두운 톤의 피부 덕분에 공개 당시부터 야마토 알렉산더를 닮았다는 반응을 모아 "시시한 듀얼은 전면 금지한다." 등의 패러디로 소비되다가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공개와 각종 덱에 용병으로 투입이 잦아지자 빨태양 또는 알파메일 취급을 받고 있다.[7]

슈프림 다크니스 출시 이후 캐릭터 이미지도 조금 바뀌었는데, 그 전에는 펑키한 디자인과 독불장군, 마초 등의 키워드로 양아치 같은 성격으로 여겨졌으나 2차 지원인 키리에, 렉스트레멘데 일러스트에서 상당한 외모 보정을 받고 현재는 내 여자에게 다정한 훈남으로 라크리모사와 순애 커플링 창작물이 늘어났다. 이후 밸류어블 북에서 설정이 공개되고서 홍루에게 본의 아니게 청혼을 한 것이 되어[8] 꿰여 다니는 신세였다가 정말로 정식 계약하여 합체한다는 게 밝혀졌다.

데먼스미스의 잦은 용병화로 인해 2024년 10월 금제에서 제한 카드가 되었고,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강력한 성능으로 인해 준제한 상태로 출시되었다.

파일:마새데 라투디.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데먼스미스의 핵심인 이 카드에만 소환 연출이 적용되어 있다.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17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17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17 | 인피니트 포비든

4. 융합 몬스터

4.1. 레벨 6

4.1.1.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파일:刻まれし魔ラクリモーサ.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rp>(</rp><rt>デモンスミス</rt><rp>)</rp></ruby>ラクリモーサ,
영어판명칭=Fiendsmith's Lacrima,
레벨=6,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2400, 수비력=2400,
소재=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600 내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에서 다른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덱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1200 데미지를 준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제한 카드}}}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소재는 빛/악마족 몬스터 2장. 데먼스미스에선 꺼내기 쉬운 조건이다.

①의 효과는 융합 성공시 빛 속성 악마족을 샐비지하거나 소생하는 유발 효과. 소재로 쓰인 마새데나 다른 초동 몬스터를 회수하거나 필드로 꺼내 재활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비트다운 지속 효과. 타점 효과가 그렇듯 전체적으로 덤에 가깝지만, 이 카드를 세워 놓으면 사실상 타점 3000의 카드로써 기능할 수 있겠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때 빛/악마족 몬스터를 되돌리고 번 데미지. 직접 소환하지 않고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도 효과는 발동한다. 수치가 1200인데, 꽤 아픈 수치라 의외의 복병으로 기능할 수 있다.

데먼스미스의 만능 6축 및 개체수 복사 무브의 중핵을 맡는 카드로, TCG에서는 9월 금제에서 금지되었다. 이는 출시 후 고작 45일만의 금지로, OCG 최단기록인 Em 히구루미EM 멍키보드의 167일은 물론이거니와 TCG 기존 최단기록이었던 제육감의 83일조차 뛰어넘은 역대급 제재이다. 애초에 성능이 출중한데도 불구하고[9] 레어도가 혼자서 노멀인만큼 미리 이 카드만 금지로 지정할 것을 상정하고 출시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나 TCG의 매치 타임아웃 룰은 OCG의 엑스트라 턴[10] 룰이 아니라 서든데스[11]이기에,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고 1200 번 대미지로 승리를 가져가는 경우가 많이 나와서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년이 지난 2025년 9월 금제에서 난나가 금지로 올라가는 대신 이 카드는 제한으로 내려왔는데, 이는 난나의 금지 외에도 기존의 서든데스 룰이 사라진 것 또한 한몫하기도 했다.

일러스트는 격노한 표정의 데먼스미스[12]가 레퀴엠을 캐논으로 변형한 모습. 실제로 데먼스미스+레퀴엠을 소재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할 수 있다. 데먼스미스 뒤에는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의 영혼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데, 캐논이 된 레퀴엠도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름은 라크리모사에서 따 왔다.

이후 라크리모사의 힘을 다루려면 사랑이 필요하다는 설정이 공개되었는데, 저 표정도 능력을 쓰기 위해 마음에도 없는 사랑을 하느라 속이 뒤집어진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35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35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35 | 인피니트 포비든

4.2. 레벨 9

4.2.1.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

파일:刻まれし魔ディエスイ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rp>(</rp><rt>デモンスミス</rt><rp>)</rp></ruby>ディエスイレ,
영어판명칭=Fiendsmith's Desirae,
레벨=9,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소재="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장착하고 있는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합계까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고르고\, 그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에서 다른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덱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데먼스미스의 에이스 몬스터.

소재는 3장이 필요하여 패/필드 융합인 트락투스를 통해 소환하기엔 다소 부담스럽기에, 묘지 융합인 세퀜티아를 통해 소환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1장을 통한 전개를 이용하면 묘지에 소재 마련 자체는 쉽다.

①의 효과는 장착된 링크 몹의 마커 합계까지 1턴간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유발 즉시 효과.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그렇듯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으로, 필드에서 발동하는 마법/함정/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여 강력한 퍼미션 몬스터로 기능할 수 있다. 게다가 대상 비지정이라 염마룡이 뚫지 못하는 대상 내성도 무효시킬 수 있으며, 이런 류의 효과로는 흔치 않게 자신의 카드도 고를 수 있어 하염의 구희 같은 지속 효과 제약을 가진 몬스터나 군웅할거 같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지속물 등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때문에 전성기에는 서몬 리미터를 켜서 상대의 전개를 틀어막고 내 턴에는 리미터를 무효로 만들거나, 구희에 무효를 걸어 구희 + 구희 소생몹으로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를 뽑는 경우가 많았고, 결국 2024년 7월에 서몬 리미터를 금지시키는 데 일조했다. 주의점으로, 효과 처리 시점에 장착 몬스터가 없으면 링크 마커를 참조할 수 없어 불발된다.

일반적인 경우 이 카드를 융합하는 데 사용한 세퀜티아를 다른 링크 소재로 써먹은 뒤 묘지에서 장착시켜 2장까지 무효로 할 수 있다. 아뉴스 데이를 채용하는 순수 데먼스미스에서는 아뉴스 데이(3) + 세퀜티아(2)로 5장, 레퀴엠이 묘지에 남아있다면 6장까지도 무효가 가능하다. 다만 아무리 많이 지정할 수 있다고 해도 발동 기회는 1번뿐이므로 일반적으로는 링크 몬스터를 아무리 많이 장착시켜도 두세장 지정 정도가 한계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면 빛/악마족을 되돌리고 비파괴 제거. 라크리모사가 그렇듯 엑스트라 덱에서 덤핑하는 방식으로도 격발이 가능하다. 대상 지정인 게 약점이지만, 파라디숨을 통해 손쉽게 덤핑할 수 있으므로 난도 대비 견제력은 출중한 편.

데먼스미스를 용병 채용하는 덱이라면 보통 링크 몬스터를 위해 많은 개체 수를 전개하거나 장착한 링크 몬스터를 코스트로 쓰는 것을 더 중요시 여겨 디에스이레의 가치가 크게 높지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퀜티아 하나만 장착해도 대상 내성 퍼미션 몬스터라는 장점을 살려 뽑을 가치가 있다.

데먼스미스의 비중이 높은 덱이라면 세퀜티아 + 디에스이레로 3링크 몬스터인 아뉴스 데이를 뽑아 효과로 소생하고 아뉴스 데이 + 세퀜티아를 장착할 가능성이 높아, 타점 5800 + 대상 내성 + 관통 + 비대상 무효라는 강력한 퍼미션 겸 피니시 몬스터가 된다. 자세한 것은 아뉴스 데이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다만 게임을 끝낼 수 없을 경우 로기어스텔라 티 폰을 의식하여 그냥 세퀜티아만 장착시켜 타점은 2800으로 내버려두는 게 더 나을 때도 있다. 이 경우에는 미리 묘지에 홍루 + 아뉴스 데이를 묻어놓고 상대가 기껏 디에스이레를 치웠더니 홍루의 효과로 소생한 아뉴스 데이의 효과로 타점 4600 디에스이레를 필드에 올려 턴킬을 방해하는 용도로 쓰인다.

사실 진짜 순수 데먼스미스는 렉스트레멘데와 키리에를 써서 농성하는 것이 주 플랜이라, 이 카드를 소환하는 일은 적다. 다만 이 카드의 중요성은 여전히 높은데, 후술할 인 파라디숨의 묘지 효과로 이 카드를 묻어 1제거를 날리는 것도 주요 견제 중 하나이기 때문.

이름의 모티브는 Dies irae(진노의 날)이다. 강제계약한 악마를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본인에게 빙의시킨 모습으로 이 때 레퀴엠은 그 악마에 맞는 형태로 변화한다.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36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36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36 | 인피니트 포비든

4.2.2. 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

파일:刻まれし魔レクストレメンデ.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rp>(</rp><rt>デモンスミス</rt><rp>)</rp></ruby>レクストレメンデ,
영어판명칭=Fiendsmith's Rextremende,
레벨=9,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3000, 수비력=3600,
소재="데먼스미스" 융합 몬스터 + 융합 / 링크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는 "데먼스미스" 장착 마법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한\, "데먼스미스" 카드 이외의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다른 "데먼스미스"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슈프림 다크니스에서 등장한 데먼스미스의 새로운 에이스 몬스터.

소환 조건은 "데먼스미스" 융합 몬스터와 융합 / 링크 몬스터로, 보통 융합 몬스터로는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채용한다. 대신 반대편 융합 소재 조건은 매우 널널하기 때문에 세퀜티아로 묘지의 아무 링크 몬스터나 회수하면서 쓰거나, 데먼스미스 키리에의 융합 소환 효과를 활용해 스미스 융합 몬스터 1장만으로 융합 소환할 수도 있다. 혹은 초융합 채용 구축에서 상대의 링크 몹을 아무거나 잡아먹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덤핑 효과. 엑스트라 덱의 디에스이레를 덤핑해 효과를 바로 쓰는 것도 가능하며, 자원을 계속 회수하는 데먼스미스 특성 상 정작 묘지에 핵심 카드인 홍루나 마새데가 안 남는 경우가 꽤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에도 묘지 자원을 유지해줄 수 있다. 특히 아뉴스 데이는 묻었는데 정작 아뉴스 데이를 살려줄 홍루가 묘지에 없을 경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의 효과는 조건부 완전 내성. 장착 카드까지 포함해 높은 공격력과 내성을 지닐 수 있지만, 디에스이레처럼 상대를 방해하는 효과를 가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내성을 과신하기는 어렵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데먼스미스 카드를 회수하는 효과. 회수가 어려운 데먼스미스의 마법, 함정 들도 이 카드를 통해 쉽게 가져올 수 있다. 특히 트락투스, 키리에, 파라디숨 같은 묘지 제외 효과가 있는 카드들도 회수할 수 있고 본인도 다른 데먼스미스 카드들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데먼스미스 카드들의 회수율을 매우 크게 높여준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데먼스미스는 순수 구축이 가능해졌는데, 홍루, 아뉴스 데이, 렉스트레멘데, 파라디숨을 활용하여 상대 턴이 올 때마다 필드 클린과 필드 카드 1장 제거를 무한으로 발사하는 전략이 생겼다. 주된 전개 예시를 다음과 같다.
{{{#!folding 전개 예시 [ 펼치기 · 접기 ]
  • 준비물: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1장
  •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패에서 일반 소환. 효과로 데먼스미스 키리에를 덱에서 묘지로
  • 홍루를 소재로 데먼스미스 레퀴엠을 링크 소환. 레퀴엠의 효과로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덱에서 특수 소환.
  • 묘지의 레퀴엠의 효과로 레퀴엠을 필드의 마새데에게 장착.
  • 묘지의 키리에의 효과 발동. 필드의 마새데, 장착카드인 레퀴엠을 소재로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융합소환.
  • 소환한 라크리모사의 효과로 묘지의 홍루 소생. 필드의 두 라크리모사를 소재로 데먼스미스 세퀜티아를 링크소환.
  • 세퀜티아의 효과 발동.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레퀴엠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를 융합소환.
    • (초동을 홍루로 시작했을 경우 렉스트레멘데의 소환 시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카드로 이 루트에 도달했을 경우엔 발동하여 패를 1장 버리고 덱에서 홍루를 묘지에 묻는다.)
  • 세퀜티아, 렉스트레멘데를 소재로 링크 3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를 링크소환.
  • 묘지로 보내진 렉스트레멘데의 효과로 마새데를 묘지에서 패로 회수한다.
  • 아뉴스데이의 효과 발동. 묘지의 렉스트레멘데를 지정하여 소생시킨 뒤 자신을 장착한다.(이 효과는 8번과 동시에 진행해도 무관하다.)
  • 필드의 렉스트레멘데, 장비카드인 아뉴스데이를 소재로 네크로입 프린세스를 본인의 효과로 특수소환.
  • 패의 마새데의 효과 발동. 패의 본인을 버리고 덱에서 데먼스미스 인 파라디숨을 패로 가져온다.
  • 몬스터가 패에서 버려지고 효과를 발동했으므로 네크로입 프린세스의 효과를 발동. 2번째를 선택하여 덱에서 1장을 드로한다.
  • 묘지의 마새데 효과 발동. 묘지의 세퀜티아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본인을 소환한다.
  • 필드의 네크로입과 마새데를 소재로 랭크 6 에볼카이저 라즈 등의 견제 요원을 엑시즈 소환.
  • 패의 파라디숨을 세트하면 전개완료.
  • 결과물: 필드의 라즈 등의 엑시즈몹, 파라디숨, 묘지의 홍루, 렉스트레멘데, 아뉴스데이}}}
위 전개 이후 상대 턴이 되면 홍루의 효과를 발동하여 아뉴스데이를 지정하고 부활시킨다. 이때 상대가 무덤의 지명자를 이용해 홍루를 무효화하려 한다면 라즈로 무효할수 있다. 아뉴스데이는 소생하자마자 효과를 발동하여 묘지의 렉스트레멘데를 지정하여 부활시키고 자신을 장비시킨다. 이렇게하면 아뉴스데이가 장비카드로써 살아있는 한 렉스트레멘데는 공격력 4800의 절대내성을 얻으며. 후열에는 파라디숨이 여차할때 상대 필드 전체를 날려버릴수도 있다. 그 이후에도 파라디숨은 묘지효과로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소환 했을 경우, 엑덱에서 디에스이레를 덤핑할수 있는데, 이때 디에스이레의 묘지 효과를 발동하여 필드의 카드를 1장 제거할 수 있다.

위 전개는 홍루 일반소환 스타트로 시작하는 예시중에 하나이며, 주어가 데먼스미스인만큼 다른 패, 다른 전개를 이용하면 리틀나이트를 세운다던지,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세운다던지 등등의 전개가 가능하다. 타스쿠의 가이드 영상

반면, 데먼스미스를 난나 스타트형 전개형 용병으로 채용하는 기존 덱에서는 데먼스미스 마함을 트락투스 외에는 아예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아 채용하기가 애매하다. 데먼스미스 몬스터들은 렉스트레멘데가 없어도 자체적인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술할 특별한 시너지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용병 채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만약 빛 속성 / 악마족 메인 몬스터가 핵심 엔진인 덱에서 데먼스미스를 채용할 경우 렉스트레멘데도 채용하기도 한다. 효과 ③으로 마새데를 회수한 뒤 효과로 트락투스를 서치, 메인 덱의 다른 빛 악마 엔진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의 효과로도 가능은 하지만, 보통 빛 악마 덱이면 라크리모사의 효과로 묘지의 다른 빛 악마를 회수하는 것이 더 효율이 좋아 마새데 회수는 렉스트레멘데에게 맡기는 편이다. 마굉신은 레베르제불이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있어 ①의 효과로 덤핑한 뒤 효과를 보기도 좋다.

다소 엉뚱하게도 아자미나 하얀 숲에서 데먼스미스를 넣는 이유가 바로 이 카드이다. 세퀜티아 + 라크리모사 + 빛악마 루트에서 세퀜티아 + 빛악마로 스프라이트 스프린드를 소환한 뒤 효과로 묘지에 아스테랴를 묻어놓고 트락투스로 스프린드와 라크리모사를 융합시킨 후, 이 카드의 1번 효과의 코스트로 마법/함정을 버리면 아스테랴를 소생시켜 하얀 숲으로 이을 수 있기 때문. 데먼스미스만 잡혔을 경우 하얀 숲으로 잇거나, 하얀 숲으로 시작했을 경우 마지막에 아스테랴를 이용해 하얀 숲 싱크로 몬스터를 불러 상대 턴에 함께 융합 소재로 쓸 수 있다.

일러스트는 라크리모사와 정식 계약을 맺은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의 모습. 레퀴엠은 화려하게 데코레이션된 소총 모양으로 변형되었으며, 스코프의 렌즈 부분에 레퀴엠의 눈이 존재한다. 라크리모사의 눈물을 총탄으로 바꾸어 발사한다. 라크리모사가 계약을 청혼으로 착각한 것 때문인지 100% 힘을 발휘하려면 사랑의 말이 필요하다고 한다. 다만 신경질내던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때와 달리 데먼스미스도 호쾌하게 웃고 있는 걸 보아 어느 정도 진심으로 라크리모사를 파트너로 인정한 듯 하다.

이름의 모티브는 레퀴엠(모차르트)의 제2부 제5곡 Rex tremendae(지엄하신 왕이여).
수록 시리즈
2024-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JP037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202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KR037 | 슈프림 다크니스
2025-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EN037 | SUPREME DARKNESS

5. 링크 몬스터

5.1. 링크 1

5.1.1. 데먼스미스 레퀴엠

파일:刻まれし魔の鎮魂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레퀴엠,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鎮魂棺<rp>(</rp><rt>デモンスミス・レクイエム</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s Requiem,
속성=빛, 레벨=1, link2=, 공격력=600, 종족=악마족,
소재=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
효과외1=자신은 "데먼스미스 레퀴엠"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그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데먼스미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필드 / 묘지에서 이 카드를 공격력 600 올리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그 자신의 몬스터에 장착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먼스미스 레퀴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먼스미스 레퀴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먼스미스 레퀴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링크 2

5.2.1. 데먼스미스 세퀜티아

파일:刻まれし魔の大聖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세퀜티아,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大聖棺<rp>(</rp><rt>デモンスミス・セクエンツィア</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s Sequence,
속성=빛,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200, 종족=악마족,
소재=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덱으로 되돌리고\, 악마족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필드 / 묘지에서 이 카드를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그 자신의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3=●상대는 장착 몬스터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대성관"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세퀜티아"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묘지에서 융합 소재를 덱으로 되돌리고 악마족 융합 소환. 데먼스미스의 핵심 융합권으로, 이 카드의 소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소재가 묘지에 쌓이므로 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소재를 덱으로 되돌리므로 자원 회수까지 겸한다.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융합하면 소생 효과까지 합쳐 4링크 전개를 도와주며,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를 융합하면 묘지 자원을 대량으로 회수하면서 퍼미션을 마련하고, 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를 융합하면 묘지의 용병 융합 / 링크 몬스터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특이하게도 데먼스미스 카드이면서 융합 몬스터는 빛 속성 / 악마족일 필요 없이 그냥 악마족이면 되기 때문에 별의별 융합 몬스터를 뽑아낼 수 있다. 악마족 덱이라면 에어리얼 이터를 융합 소환해 원하는 악마족 몬스터를 덤핑시킨 뒤 마계특파원 데스캐스터로 소생시켜 초동으로 쓰거나, 메멘토나 키메라 덱이라면 묘지 자원을 회수해 환상수마왕 바포메트를 융합 소환해 원죄의 디아벨제 같은 락 카드를 덤핑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 티아라멘츠 혼용 축에서 융합권이 모자랄 때 티아라멘츠 카레이드하트를 소환한다거나 하는 시너지가 종종 발생하는 편이다.

②의 고유 효과는 대상 내성 부여. 묘지에서도 발동이 가능하므로 소재로 사용한 뒤 효과를 발동해 장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은 디에스이레에 장착시켜 대상 내성 퍼미션 몬스터를 만드는 편이며, 레퀴엠이 그렇듯 코스트용으로 그냥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마굉신처럼 마굉신 레베르제불 같은 링크 몬스터가 아닌 별도의 빛 악마 에이스를 운용하는 덱에서도 대상 내성을 부여할 수 있어 쓸만하다.

이름의 모티브는 부속가(Sequentia)이다. 일러스트는 데먼스미스 레퀴엠이 분해되며 내부에 봉인되어있던 악마가 풀려나오는 모습. 모습이 어둠에서 나온 절망과 흡사하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한국어판에서는 첫 수록 당시 '세티아'로 표기되었으나[13] 2025년 3월 6일자 패치에서 원래대로 수정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47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47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47 | 인피니트 포비든

5.3. 링크 3

5.3.1.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

파일:刻まれし魔の神聖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
일어판 명칭=<ruby>刻まれし魔の神聖棺<rp>(</rp><rt>デモンスミス・アグヌスデイ</rt><rp>)</rp></ruby>,
영어판 명칭=Fiendsmith's Agnumday,
레벨=3,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link1=, link3=, link8=,
소재=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링크 몬스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이 장착하고 있는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합계 × 600 올린다.,
효과3=●장착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신성관"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라 읽는다.

효과는 하나 뿐으로, 묘지의 악마족 / 빛 속성을 소생하고 자신이 장착되는 유발 즉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장착 시 효과는 공격력 증가와 관통 부여인데, 공격력 상승 최소치가 무려 1800이라 디에스이레에게 장착하면 무려 4600이며, 홍루에게 달아줘도 3000은 된다. 디에스이레는 보통 세퀜티아로 나오니, 세퀜티아까지 함께 장착하면 5800까지 뽑히고, 만약 묘지 관리를 잘해 레퀴엠까지 묘지에 있다면 7000까지도 찍을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로 관통 효과까지 있음을 생각하면 무시무시한 수치.

레퀴엠, 세퀜티아와는 장착 방식이 달라, 이 카드가 필드에 있고 대상 몬스터가 묘지에 있어야만 한다. 이 카드가 묘지에 있다면 홍루의 2번 효과,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나 빛 없는 그림자 아=바오 아 쿠 등의 소생 효과를 이용해 어떻게든 필드로 다시 불러울 필요가 있다. 대상 지정 효과이므로 비스테드무덤의 지명자 등 소생시킬 몬스터에 박히는 묘지 견제 효과는 주의해야 한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1장으로 빈 필드 원턴킬이 가능해졌다.
[ 전개 루트 ]
필요 카드 :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1장

1.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의 효과 발동,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묘지로 보내고, 데먼스미스 트락투스 서치.
2. 데먼스미스 트락투스 발동, 마굉신 루리를 서치하고 마굉신 루리를 그대로 묘지로 보내 마굉신 루리의 효과를 발동해 묘지에서 마굉신 루리를 특수 소환.
3. 마굉신 루리를 링크 소재로 데먼스미스 레퀴엠 링크 소환.
4. 데먼스미스 레퀴엠의 효과 발동, 데먼스미스 레퀴엠을 묘지로 보내고,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덱에서 특수 소환.
5.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의 효과 발동,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덱에서 묘지로 보낸다.
6. 묘지의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효과 발동, 묘지의 마굉신 루리를 덱으로 되돌리고,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묘지에서 특수 소환.
7. 묘지의 데먼스미스 트락투스 효과 발동, 묘지의 데먼스미스 트락투스를 제외하고 필드의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와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융합 소재로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 융합 소환.
8.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의 효과 발동, 묘지에서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or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 특수 소환.
9.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와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or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링크 소재로 데먼스미스 세퀜티아 링크 소환, 묘지로 보내진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의 효과 발동,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or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덱에 되돌리고 상대에게 1200 데미지.
10. 데먼스미스 세퀜티아의 효과 발동, 묘지의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or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와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합계 3장 융합 소재로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 융합 소환.
11. 데먼스미스 세퀜티아와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를 링크 소재로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 링크 소환.
12.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의 효과 발동,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고 데먼스미스 아뉴스데이를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에 장착.
13. 묘지의 데먼스미스 레퀴엠과 묘지의 데먼스미스 세퀜티아의 효과를 발동해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에 장착.

= 공격력 7000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 (앞면 표시의 카드 6장 프리 체인 무효화, 상대의 카드에 대한 대상 내성, 관통), 상대 라이프 6800


효과에 카드명 제약이 없고 배틀 페이즈에도 발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아뉴스데이를 장착한 몬스터가 공격한 이후, 데먼스미스 키리에의 묘지 효과로 라크리모사를 융합 소환하고 라크리모사로 아뉴스데이를 소생, 아뉴스데이로 묘지의 몬스터를 소생시키면 라크리모사, 아뉴스데이, 소생 몬스터로 3번이나 더 때릴 수 있다.

데먼스미스를 용병으로 사용할 경우 활용하기 애매하고 엑스트라 덱 자리도 없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따라서 데먼스미스가 메인 엔진이거나 빛 악마 소생 카드를 잘 활용하는 마탄환, 마굉신에서 채용한다.

일러스트에서 데먼스미스는 오라를 내뿜고 레퀴엠은 거인이 되어 주먹으로 내리치고 있다. 카드 명의 모티브는 아뉴스 데이(하느님의 어린양).
수록 시리즈
2024-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JP045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KR045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EN045 | RAGE OF THE ABYSS

6. 마법 카드

6.1. 일반 마법

6.1.1. 데먼스미스 트락투스

파일:刻まれし魔の詠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트락투스,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詠聖<rp>(</rp><rt>デモンスミス・トラクトゥス</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s Trac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버린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데먼스미스"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메인 덱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일람(DB)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영성"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트락투스"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서치 후 패 1장 버리기. 이 효과로 이 테마의 핵심인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서치할 수 있어서 테마의 초동을 책임진다. 서치 대상이 빛 속성 / 악마족인데다 서치 후 패를 버리기 때문에 마굉신과 궁합이 좋으며, 특히 마굉신 루리는 서치하자마자 버려서 소환할 수 있다. 한편으로 패에서 버릴 카드의 종류는 가리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버리는 게 필요한 다른 카드를 버리기도 한다. 보통은 루리를 버리는 용도로 쓰지만, 일반 소환권을 할애할 카드가 없을 경우에는 홍루의 마 라크리모사를 서치하여 일소하기도 하며, 사탄클로스마제스티 데블 같은 카드를 덱에 넣고 상황에 따라 쓰기도 한다.

②의 효과는 "데먼스미스" 융합 몬스터의 패 / 필드 융합. 서치한 턴에 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패 / 필드 융합이라 아드 소모가 있으므로 이 효과로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꺼내는 것이 좋다.

2024년 10월 금제에서 제한 카드가 되면서 데먼스미스는 물론 빛 / 악마를 쓰던 다양한 덱에서도 타격이 되었다. 전성기에도 3장을 풀꽉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으나, 마새데만 제한 카드로 지정하고 내버려두면 남는 자리를 트락투스로 채우는 것을 경계한 모양이다.

일러스트에선 데먼스미스가 악마를 발로 차서 레퀴엠의 먹이로 주고 있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사순절 등에 행해지는 연송(Tractus).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61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61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61 | 인피니트 포비든

6.2. 속공 마법

6.2.1. 데먼스미스 상투스

파일:刻まれし魔の讃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상투스,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讃聖<rp>(</rp><rt>デモンスミス・サンクトゥス</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s Sanc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뿐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데먼스미스 토큰"(악마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로밖에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데먼스미스" 몬스터가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찬성"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상투스"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토큰 소환. 발동 조건도 어렵지 않으며 이렇게 소환된 데먼스미스 토큰을 다른 소환의 소재로 쓸 수 있다. 디메리트도 선공 1턴이라면 아예 없는 수준이다.

②의 효과는 자가 세트. 후열이자 후속 기능을 하지만,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만 따지기 때문에 범위가 좁다. 용병으로 쓰이는 데먼스미스는 어차피 전개를 다 끝내면 엑시즈 / 링크 소재로 소모된 경우가 많아 조건을 만족하기 더욱 어렵다.

데먼스미스 카드 중에 유일하게 쓰이지 않는다. 토큰은 묘지 자원을 쌓아주지 않기 때문에 묘지의 빛 / 악마를 자원으로 사용하는 데먼스미스에서 쓰기 어렵다. 자체 회수 효과인 ②도 너무 수동적이고 조건부다. 따라서 호감패 이슈를 감수하고 트락투스 + 루리를 쓰는 것이 낫다. 토큰을 데먼스미스 외의 다른 소환용으로 쓸 수도 있긴 하나, 그 경우 서치와 회수가 훨씬 널널한 섬도기-호넷비트라는 선택지가 존재한다.

설정상 데먼스미스가 부리는 사역마들로, 강제 계약한 악마의 이름을 이름표로 만들어 구속한다. 또한 필요없어진 악마의 이름표를 먹어서 처리하기도 한다.

이름의 모티브는 거룩하시도다(Sanctus)이다.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62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62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62 | 인피니트 포비든

7. 함정 카드

7.1. 일반 함정

7.1.1. 데먼스미스 인 파라디숨

파일:刻まれし魔の楽園.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인 파라디숨,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楽園<rp>(</rp><rt>デモンスミス・イン・パラディズム</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 in Paradi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레벨 7 이상의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데먼스미스"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①의 조건을 만족하는 몬스터 (DB)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낙원"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인 파라디숨"이라 읽는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죽은 이를 위한 미사에 쓰이는 곡 '천국으로(In paradisum)'.

①의 효과는 지정한 레벨 7 이상의 악마족/빛 속성 몬스터 1장만 남기고 필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대상 내성으로도, 파괴 내성으로도 막을 수 없는 강력한 필드 클린 효과지만, 내 필드의 카드들도 전부 날아간다. 데먼스미스 내에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는 데먼스미스 디에스이레 / 데먼스미스 렉스트레멘데 둘뿐인데, 둘 다 장착 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만 효과가 발동되므로 이 카드를 쓰면 깡통이 되어버린다. 쓰기에는 매우 어렵지만 조건을 잘만 만족할 수만 있다면 매우 강력한 위력을 보여준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몬스터를 특소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덱 / 엑스트라 덱의 데먼스미스 몬스터 1장을 덤핑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의 데먼스미스 융합 몹을 덤핑하여 데미지 / 제거 / 회수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메인 덱의 카드도 보낼 수 있으므로 이미 자원이 충분하다면 홍루나 마새데를 덤핑하기도 한다.

처음 등장했을 때엔 발동 가능 조건이 디에스이레 하나뿐이었고 디에스이레는 파라디숨과 연계하면 깡통이 되기 때문에 저평가받았지만, 홍루와 렉스트레멘데의 등장 이후 순수 데먼스미스에서는 증지 착지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투입한다. 레퀴엠으로 소환한 홍루로 파라디숨 덤핑만 해도 상대 턴에 디에스이레를 묘지로 보내는 1견제가 마련된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 ①은 쓸 각이 생각보다 잘 나오지는 않는다. 이후 렉스트레멘데로 연계할 경우 렉스트레멘데의 효과로 회수할 수도 있으며, 렉스트레멘데를 다시 소생시켜 패로 가져온 이 카드와 연계하는 것으로 광역 제거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일러스트는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가 눈깔에서 마력을 발사하는 모습인 듯.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72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72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72 | 인피니트 포비든

7.1.2. 데먼스미스 키리에

파일:刻まれし魔の憐歌.jpg 파일:FiendsmithKyrie-SUDA-EN-S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데먼스미스 키리에,
일어판명칭=<ruby>刻まれし魔の憐歌<rp>(</rp><rt>デモンスミス・キリエ</rt><rp>)</rp></ruby>,
영어판명칭=Fiendsmith Kyri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턴 중에\, 자신의 악마족 / 빛 속성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데먼스미스"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그 시기에\, "데먼스미스" 몬스터가 장착하고 있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장착 마법 카드 취급의 융합 소재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카드명의 루비는 "새겨진 마의 연가"이라 쓰고 "데먼스미스 키리에"이라 읽는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자비송을 뜻하는 키리에(Kyrie).

①의 효과는 데먼스미스를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악마족 / 빛 속성에게 전투 파괴 내성을 주고, 그 턴의 전투 데미지를 반감해주는 효과. 일반적으로 한 턴에 16,000 이상의 타점을 내는 경우는 흔치 않아서, 발동한 턴에 어지간한 덱은 턴킬을 낼 수 없기 때문에 턴을 벌어주는 데 유용하다.[14] 또한 이 카드를 투입하는 덱은 효과 ② 때문에 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패에 잡히고 코스트로 처리할 수단이 없어도 발동해서 능동적으로 묘지로 보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로 융합 소환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로, 필드 한정인 대신 함정 카드의 효과이므로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으며 데먼스미스 몬스터에게 장착된 데먼스미스 링크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삼을 수 있다.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로 쓸 수 있는건 물론이고, 디에스이레로 융합 소환하여 상대 턴에 바로 프리체인 무효화를 시전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다른 데먼스미스 카드와 달리 반드시 데먼스미스 몬스터에게 장착된 카드만 융합 소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착 대상이 여의치 않다고 루리나 난나 같은 카드에 장착하면 소재로 못 쓰니 유의.

보통은 이미 묘지에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가 존재할 경우, 레퀴엠으로 홍루를 소환한 뒤 홍루의 효과로 이 카드를 덤핑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홍루에게 레퀴엠을 장착시킨 뒤 이 카드의 효과 ②를 사용하면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를 융합할 수 있어 세퀜티아의 묘지 융합권을 한 차례 아낄 수 있다. 키리에로 라크리모사를 융합할 경우 세퀜티아로 융합 소환할 소재가 묘지에 더 많이 남기 때문에, 순수 데먼스미스에서 묘지에 남는 빛 / 악마족 몬스터를 가능한 많이 남겨놓고 싶은 경우, 또는 몽마경이나 바르모니카처럼 모종의 이유로 정석 루트를 타면 묘지에 빛 / 악마가 안 남아 데먼스미스 라크리모사의 효과를 제대로 쓸 수 없는 덱에서 사용한다. 이 경우 세퀜티아로는 렉스트레멘데를 뽑고, 렉스트레멘데의 효과 ③으로 제외된 이 카드를 다시 패에 넣어 재활용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세계를 멸망시킨 악마 메피스토팔레스를 상대하다 위기에 빠진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에게 라크리모사가 자신과 정식 계약을 맺을 것을 제안하는 장면으로, 이후 렉스트레멘데로 이어진다. 드래그마 인카운터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남녀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수록 시리즈
2024-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JP079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202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KR079 | 슈프림 다크니스
2025-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EN079 | SUPREME DARKNESS


[1] 한편으로는 트라이건(폐허 배경의 방랑 총잡이), 건그레이브(데스코핀), 체인소 맨(전기톱을 사용하는 악마) 등의 작품군 또한 연상시킨다. 또한 쓰러뜨린 악마를 레퀴엠 안에 처넣는 뒤 가공하는 모습은 '쓰러뜨린 이모탈을 관에 넣은 뒤 정화'하는 우리들의 태양 시리즈의 오마주.[2] 영어판에서는 데몬은 Archfiend, 데먼스미스는 Fiendsmith다.[3] 우연히도 데먼스미스와 한몸 취급 받는 사로스 시리즈의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사로스=난나도 이 공식을 따라가 5링크 공격력 3000 / 2링크 공격력 1200이다.[4] 룰상 데먼스미스로 취급하기에 문제는 없지만 ①의 효과가 텍스트만 보면 "(데먼스미스가 아닌) 자신 이외의 데먼스미스"라는 모순적인 내용이 되어있는 것이 특징.[5] 라크리모사와 데먼스미스가 모두 빛이므로 몬스터 효과 내성을 얻는다. 마새데에 레퀴엠을 장착한 뒤 네크로입 프린세스를 소환하면 광암 효과를 둘 다 얻을 수도 있다.[6] 이 여자아! 라는 호칭은 어둠의 마리크가 아니더라도 거친 성격을 한 캐릭터들의 캐릭터성을 나타내는 대사이기도 하다.[7] 적발 머리에 부분적으로 금발이라는 조합때문인지 캐라 슨이 연상되기도 한다.[8] 원래는 평소처럼 두들겨팬 뒤 강제로 계약을 맺으려고 했으나, 홍루가 자신에게 계약(=청혼)을 제안했다고 과대해석 해버린 탓에 홍루가 자발적으로 따르게 된 것.[9] TCG는 OCG에서 이미 성능 검증이 끝난 후에 카드가 발매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성능에 비례하는 레어도를 책정하는 것으로 악명높다.[10] 12기 2024년 기준 45분 돌입 후 그 턴부터 세어서 2턴 후 턴 종료시에 라이프가 많은 사람이 승리하는 룰.[11] 기준 시간 종료 후 대미지를 단 1이라도 받으면 패배[12] 데먼스미스의 이 표정이 마치 신창섭을 연상케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메타를 데먼 위주로 뒤바꾼 중요 카드이기도 하기 때문에 나온 말이 "유희왕을 정상화 하는 창섭스미스". 그래서 한때 데먼스미스+신창섭의 이름을 딴 데창섭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해당 별명은 현재 라이제올 데드네이더에게 옮겨가면서 옛말이 되었다. 데원기[13] '퀜'이 완성형 글자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임시로 변경한 것이다. 한국어판 마스터 듀얼은 과거 이펙트 뵐러의 '뵐'이 완성형이 아니라 글자가 깨져서 놀림거리가 되는 상황을 겪은 적이 있다.[14] 특히 완전 효과내성을 지닌 렉스트레멘데와 조합하면 수비력 3600의 난공불락인 벽이 완성된다. 데먼스미스가 메인 기믹인 덱은 렉스트레멘데와 아뉴스데이를 이용해 이 카드의 두 효과를 모두 써먹고 완전내성 렉스트레멘데를 방패삼아 상대 턴을 털끝 하나 다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