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이자요이 아키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로즈 · 로즈 드래곤 | |||
<rowcolor=#fff,#000> 서브 에이스 | 에이스 | 에이스 진화체 | |
5D's 스플렌디드 로즈 코믹스 린천사 퀸 오브 로즈 마천사 로즈 소서러 OCG 헤이트 로즈 위치 | 5D's 블랙 로즈 드래곤 코믹스 월화룡 블랙 로즈 OCG 브랜블 로즈 드래곤 | OCG 블러드 로즈 드래곤 코믹스 대린마천사 로자리언 |
로즈 드래곤 | |||||
<colbgcolor=#8C1B39> 한국어판 명칭 | 로즈 드래곤 | ||||
일어판 명칭 | ローズ・ドラゴン | ||||
영어판 명칭 | Rose Dragon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어둠 위주 화염(싱크로) | 드래곤족 식물족 | 효과 싱크로 링크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애니메이션 유희왕 5D's의 이자요이 아키를 이미지하였다."로즈 드래곤"과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로 이루어진 혼합 카드군이다. 마법 / 함정 카드를 비롯한 서포트 카드는 기본적으로 후자로 지정되며, 몬스터의 경우 대부분의 카드는 교집합되지만 일부 다른 카드도 존재한다. 카드군으로서는 후자가 더 포괄적이지만 실제 덱 운용에 있어서는 본 문서명인 "로즈 드래곤" 카드군이 핵심이 된다.
2. 상세
주요 제약
|
드래곤족인 로즈 드래곤을 중심으로 식물족 카드를 채용하는 형태의 싱크로 덱.
식물족 카드 전반을 덤핑하거나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이루어져 있기에 범용 식물족을 적절히 채용하여 윤활류로 쓰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덱의 핵심다리인 브랜블 로즈 드래곤은 식물족 튜너를 요구하고 헤이트 로즈 위치의 식물족 덤핑이 어드밴티지를 창출하기에 드래곤족인 로즈 드래곤만으로 전개하기는 어렵다. 테마군 내에서는 록스 로즈 드래곤의 서치 범위에 들어가는 식물족인 바이올런스 위치와 밤장미 흑기사를 채용하거나, 블랙 로즈 가든의 효과로 필드의 종족을 식물족으로 바꾸는 식으로 커버하는 연계가 잡혀있다.
서포트 카드는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로 지정하여 록스 로즈 드래곤으로 서치할 수 있으며, 이 지정 범위에는 로즈 드래곤 몬스터 대부분이 같이 들어가기에 로즈 드래곤 몬스터 서치로도 쓸 수 있다. 단, 화이트 로즈 드래곤과 크로스 로즈 드래곤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은 덱 운용에서 가끔씩 신경 써야 할 요소. 그 밖에도 프로즌 로어즈와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는 서치 범위에 들어가지 않아 전용 서치 카드들을 사용해야 접속된다.[1]
출시 당시에는 카드군으로서의 확장을 염두에 두지 않았는지 레드 로즈 드래곤으로 프로즌 로어즈나 블루밍 로즈만 서치하도록 고정 지정하는 방식이었고, 11기 지원에서야 일부 카드를 배제하고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기입된 서포트 카드"를 지정하는 방식을 취한지라 쓸만한 마함 서치권이 록스 로즈 드래곤 하나뿐으로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전개를 위해 바이올런스 위치를 서치한 경우에는 마함 서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2종족 혼합 테마인 탓인지 싱크로 제약 말고는 특별히 걸리는 제약은 없다. 그래서 속성이나 종족에 구매받지 않고 다양한 결과물을 뽑을 수 있다.
2.1. 역사
애니메이션 원작에는 존재하지 않는 카드군이다. 원작에서 아키의 메인 덱은 식물족 굿스터프라서 드래곤족 메인 몬스터 자체가 블루 로즈 드래곤 1장 뿐이었으며 그마저도 140화에 한번 등장할 뿐이었다.그러다가 10기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4에서 레드 로즈 드래곤이 출시되면서 처음 성립되었다. 컨셉상으로는 레드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원작 출신 블루 로즈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여 활용하라는 의도였으나, 실제 듀얼에서는 V점프 부록 카드 화이트 로즈 드래곤만을 차용하면서 "로즈 드래곤"이라는 카드군이 성립되었다.11기의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서 록스 로즈 드래곤에 의해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라는 분류를 추가하면서 마함 서치를 비롯한 연계가 원활해져 카드군 구색을 갖췄지만, 드래곤과 식물의 혼합이라는 컨셉이 제대로 정형화되지 않은 탓에 테마 덱 보다는 레드 로즈 드래곤 - 록스 로즈 드래곤 - 베이슬 로즈 슛 연계로 3레벨 튜너를 3번이나 늘어놓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드래곤 링크, 천위용사 등 전개 파츠로 불러다니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후 4년이 지나고 둠 오브 디멘션즈 OCG 타임즈에서 메인 몬스터 2장, 싱크로 2장, 마법 1장을 받아갔다. 신규 로즈 드래곤 몬스터는 많지 않으나 서포트 카드를 늘리는 방식의 지원이다. 해당 테마는 흑장미의 마녀 시절의 아키를 표방한 듯한 카드들이며, 아키가 초능력으로 상대에게 피해를 줬다는 점을 살려 라이프를 깎는 컨셉이 추가되었다. 식물족 쪽에서 드래곤족에 서포트를 해줄 수 있는 카드들도 여럿 등장했다.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3
3.1.1. 레드 로즈 드래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레드 로즈 드래곤,
일어판 명칭=レッドローズ・ドラゴン,
영어판 명칭=Red Rose Drago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드 로즈 드래곤" 이외의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가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는\, 추가로 덱에서 "프로즌 로어즈"나 "블루밍 로즈"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레전드 듀얼리스트 4편에서 추가된 튜너. 블랙 로즈 드래곤이 화염 속성이라 그런지, 이 카드는 레드 로즈라면서도 어둠 속성이다.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지면 로즈 드래곤 1장을 특수 소환하며,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로 묘지로 보내졌다면 추가로 프로즌 로어즈나 블루밍 로즈 1장을 서치해온다. 단, 이후에 추가된 블러드 로즈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하면 추가 서치 효과를 못 사용하니 주의.
덱에 블루 로즈 드래곤이 있으면 블랙 로즈 드래곤의 파괴 효과와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다.
- 이 카드와 레벨 4 몬스터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소환 → 블랙 로즈 드래곤이 필드 클린 효과를 발동(체인 1) →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체인 2): (체인 2) 블루 로즈 드래곤을 소환+프로즌 로어즈나 블루밍 로즈 서치 → (체인 1)에 블랙 로즈 드래곤의 파괴 효과 처리. 이후 파괴된 블루 로즈의 효과로 블랙 로즈 드래곤이 다시 소생하게 된다. 혹은 다른 식물족 상급 몬스터를 소생시켜도 무방.||
천위용사덱에서는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소환하기 위한 렙 3튜너 및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소환하기 위한 소재용으로 아래의 록스 로즈 드래곤, 베이슬 로즈 슛과 세트로 용병으로 투입되었다. 방랑의 그리폰라이더, 천위의 비슈다나 아슈나 등 7레벨 몬스터와 이 카드를 소재로 바로네스를 소환, 효과를 발동시켜 록스-로즈 슛으로 하리파이버 소환용 2개체를 마련하는 콤보가 매우 강력했다.
공격력이 딱 1000이라 조화의 패의 코스트 조건을 만족한다.
2022년 5월 TCG 금제에서 무제한->제한으로 올라갔다가, 2년 후인 2024년 9월부로 다시 무제한으로 풀려났다.
3.1.2. 록스 로즈 드래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록스 로즈 드래곤,
일어판 명칭=ロクスローズ・ドラゴン,
영어판 명칭=Roxrose Drago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6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록스 로즈 드래곤" 이외의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로즈 드래곤" 몬스터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를 서치해서 덱의 순환력을 높여준다. 본 문서의 서포트 카드는 기본적으로 여기에 포함되며, 본체인 로즈 드래곤 몬스터 대부분도 여기에 들어간다. 둠 오브 디멘션즈 지원으로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카드로, 이것으로 서치할 수 있는 서포트 몬스터 중에는 로즈 드래곤 카드만으로는 부족한 식물족 카드들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단, 화이트 로즈 드래곤과 일부 로즈 드래곤 서포트 마법/함정은 저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으니 주의.
②의 효과는 로즈 드래곤 몬스터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의 회수 효과. 아쉽게도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한정이라 블랙 로즈의 자괴 효과는 트리거가 되지 않는다.
이름의 어원은 장미과 식물의 일종인 'Rosa roxburghii'. 국내에서는 통칭이 정확히 자리잡지 못했지만, 일본에서는 흔히 '이자요이바라(十六夜薔薇)'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꽃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LIGHTNING OVERDRIVE | LIOV-JP00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4
4.1.1. 블루 로즈 드래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블루 로즈 드래곤,
일어판 명칭=ブルーローズ・ドラゴン,
영어판 명칭=Blue Rose Drag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600, 수비력=1200,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묘지의\,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고대 카드라서 그런 지 블랙 로즈 드래곤만을 지정하며, 부활 효과도 "~때"에 발동할 수 있는 임의 효과라서 체인 2 이상에서 파괴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현 시점에서는 나름대로 스노우 볼링 파츠로 써먹을 수 있게 되었다.
발매 당시에는 계륵처럼 여겨지는 카드였다. 로드 포이즌과 비슷하면서 효과 파괴에도 대응되고 블랙 로즈 드래곤도 소생시킬 수 있지만 이 카드는 종족도 드래곤족이고 공격력도 1500을 넘어가서 킬러 토마토 등으로 리쿠르트가 불가능하고, 증초제 등으로 소생시킬 수도 없어서 좋은 평가를 듣지 못했다. 게다가 효과가 "~때"에 발동할 수 있는 임의 효과라서 체인 2 이상에서 파괴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는건 치명적이었다.
유희왕 5D's 아크 크레이들 편에서는 이자요이 아키가 셰리 루브란과의 듀얼에서 사용.
4.1.2. 화이트 로즈 드래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8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VJMP-JP140 서몬 소서리스 | VJMP-JP141 트릭스터 케로베인 | VJMP-JP142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 VJMP-JP143 용마도의 수호자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VJMP-JP146 슈팅 라이저 드래곤 | VJMP-JP147 희망의 마술사 | VJMP-JP148 암강룡 암흑 메탈 | VJMP-JP149 마계의 경라과 데스폴리스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152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 | VJMP-JP153 시노비네크로 | VJMP-JP154 코드 제너레이터 | VJMP-JP155 화이트 로즈 드래곤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144 | EM 클레이브레이커 | |||
VJMP-JP145 | 퍼니멀 엔젤 | |||
VJMP-JP150 | 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 |||
VJMP-JP151 | 데스완구 마이스터 |
← 2017년ㆍ2019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화이트 로즈 드래곤,
일어판 명칭=ホワイトローズ・ドラゴン,
영어판 명칭=White Rose Drag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2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드래곤족이나 식물족 튜너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화이트 로즈 드래곤" 이외의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상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V점프 2018년 11월 동봉 카드. ②의 효과를 통해 "로즈 드래곤"을 정식 카드군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패에서 몬스터를 전개하는 효과와 소생/덤핑 효과를 탑재하고 있어 초동에도 후속 전개에도 잘 어울린다. 단, ①은 특수 소환하는 효과, ②는 일반 소환시 발동하는 효과라 같은 카드로 동시에 쓰진 못하니 주의.
①의 효과는 드래곤족/식물족 튜너 몬스터가 있을 경우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레벨 3 튜너가 있다면 "블랙 로즈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로즈 드래곤 튜너(레드, 룩스 로즈)는 모두 레벨 3임으로 바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장미걸, 나츄르 로즈윕, 로즈 프린세스" 등의 레벨 3 식물족 튜너 몬스터와도 연계하기 좋다.
②는 일반 소환 시 로즈 드래곤을 패/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어떠한 제약도 없으므로 묘지의 블랙 로즈나 블러드 로즈, 크로스 로즈 드래곤을 소생하는 것도 가능.
③의 효과는 싱크로 소재로 사용될 시 레벨 4 이상의 식물족을 덱에서 묘지로 덤핑하는 효과. 전개 요원이 주로 3레벨 이하 저레벨에 포진된 식물족으로서는 아쉬운 점이 있지만, 스테이세일러 로마린을 묘지로 보내면 그 효과로 '레벨 5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를 추가로 덤핑할 수 있다. 영락제화-페리얼리스과도 궁합이 좋아, 이 카드로 영락제화를 싱크로 소환하거. 덱에서 덤핑한 그 몬스터를 묘지에서 즉시 소생하는 것도 가능.
한국판으로는 동봉카드 엿먹이기를 시전, 프리미엄 팩 14 2nd wave에 수록되었고 이후 일본에서도 LINK VRAINS PACK 3에도 노멀로 재수록되었다.
참고로 정확히 "블랙 로즈 드래곤"을 지정하는 텍스트는 없어서 록스 드래곤이나 바이올런스 위치 등의 대상은 되지 않는다. 카드군 운용에서 소소하게 주의가 필요한 지점.
5. 싱크로 몬스터
5.1. 레벨 7
5.1.1. 블랙 로즈 드래곤
로즈 드래곤의 시초격 카드.5.1.2. 브랜블 로즈 드래곤
5.2. 레벨 10
5.2.1. 블러드 로즈 드래곤
6. 링크 몬스터
6.1. 링크 2
6.1.1. 크로스 로즈 드래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크로스 로즈 드래곤,
일어판 명칭=クロスローズ・ドラゴン,
영어판 명칭=Crossrose Drag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800, link2=, link4=,
소재=종족이 다른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로즈" 싱크로 몬스터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링크 소환 조건으로 종족이 다른 몬스터 2장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난점. 효과를 사용하려면 식물족이나 로즈 싱크로 몬스터, 또는 로즈 드래곤 카드가 필요하므로 해당 카드들을 채용한 로즈 드래곤 덱이나 식물족 덱에서밖에 못 쓸 듯 싶지만, 블랙 로즈 드래곤이라면 후자의 2종류 모두 해당되므로 전체 제거의 편리성은 나쁘지 않다. 식물족이라는 종족 문제 또한 자체적으로 종족을 변경시킬 수 있는 리프로도쿠스 등을 사용하면 준비할 수 있기에 채용할 수 있는 덱은 의외로 광범위하다. 로즈 드래곤 덱은 드래곤족과 식물족을 혼용하므로 링크 소환에 큰 어려움은 없겠지만, 기타 식물족 덱의 경우 다른 종족을 채용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식물족을 서포트하는 다른 종족 카드로는 밤장미 기사, 제초야수, 블레이즈윙 버터플라이 윌프스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장미의 각인으로 컨트롤을 빼앗아와도 좋다. 엑스트라 덱 매수가 압박되겠지만, 레벨 1로 링크리보를 꺼내거나 토큰으로 링크 스파이더를 꺼내는 등의 선택지도 있다.
①의 효과는 자신이나 상대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와 식물족 몬스터 1장을 코스트로 로즈 또는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중 원래 공격력이 가장 높은 것은 공격력 3200의 블러드 로즈 드래곤이며, 원래 수비력이 가장 높은 것은 수비력 2500의 서클 오브 페어리이다. 싱크로 소환 취급이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의 유발효과도 발동 가능하게 해준다. 상대 턴에도 꺼낼 수 있어 블랙 로즈 드래곤/월화룡 블랙 로즈와 특히 궁합이 좋아서 블랙 로즈 드래곤으로 필드를 클린하거나, 월화룡으로 상대의 주력 몬스터를 바운스시키는 등 전개 방해가 가능하다.
링크 2의 이 카드와 식물족 1장을 코스트로 요구하므로 그냥 사용하면 몬스터 3장을 소비한다. 토큰이나 소생 효과 등을 활용해서 가능한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상대에 의해 무효화되면 뼈아픈 손실이 되니 신의 통고 등의 효과를 주의할 것.
"로즈" 싱크로 몬스터 일람 | |
레벨 5 | 가든 로즈 메이든 가든 로즈 플로라 아로마세라피-로즈마리 |
레벨 6 | 스플렌디드 로즈 헤이트 로즈 위치 |
레벨 7 | 블랙 로즈 드래곤 월화룡 블랙 로즈 브랜블 로즈 드래곤 |
레벨 10 | 블러드 로즈 드래곤 |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자신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키는 유발효과. 상대의 효과 파괴에 대한 보험도 될 수 있지만, 자신이 파괴해서 능동적으로 발동시키는 것도 좋다. ①의 효과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꺼내서 전체 제거 효과를 발동하면, 그대로 이 카드의 효과 발동으로 연계되어 해당 카드를 소생시킬 수 있다.
블랙 가든과 시너지가 강한 편으로, 상대 턴에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된 로즈 토큰을 사용하여 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이 카드의 공격력도 로즈 토큰 1장으로 소생시킬 수 있는 800이다. 거기다 블랙 가든을 서치, 샐비지할 수 있는 가든 로즈 메이든을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간혹 디포머에 채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아무 제약 없이 비튜너를 뽑아낼 수 있기 때문. 텔레폰 무한 루프 덕에 링크 소재까지 충당 가능하기 때문.
카드명은 블랙 로즈 드래곤이 첫 수록된 팩인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LINK VRAINS PACK 3 | LVP3-JP041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7. 서포트 효과 몬스터
7.1. 블러드 로즈 위치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 명칭=블러드 로즈 위치,
일어판 명칭=<ruby>紅蓮薔薇の魔女<rp>(</rp><rt>ブラッドローズウィッチ</rt><rp>)</rp></ruby>,
영어판 명칭=Ruddy Rose Witch,
레벨=1, 속성=빛, 종족=식물족, 공격력=800, 수비력=1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블랙 로즈 위치" 1장을 패에 넣고\,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골라 덱 맨 위에 놓는다. 그 후\, 패에서 "블랙 로즈 위치" 1장의 일반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블러드 로즈 드래곤" 1장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일러스트나 효과나 블랙 로즈 위치의 리메이크 버전과 다름없다. 이 카드 자체는 블랙 로즈 위치와 달리 식물족이고, 이후 나온 리메이크 카드들도 모두 이 카드와 마찬가지로 식물족으로 나오고 있다.
①의 효과는 블랙 로즈 위치를 보조하는 효과. 특수 소환할 수 없는 블랙 로즈 위치를 실질적으로 리크루트하며, 덱도 조정해주어 블랙 로즈 위치의 자멸 효과를 막아준다. 카드만 패에 잡히면 애니메이션에서 이자요이 아키가 밥 먹듯이 써 왔던, 블랙 로즈 위치와 장미의 요정의 콤보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단번에 특수 소환하는 전법을 쓸 수 있다. 단, 블랙 로즈 위치의 제약으로 자신 필드에 카드가 없어야 한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묘지나 제외 존의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블러드 로즈 드래곤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 그냥 샐비지하는 데 쓸 수도 있지만, 블러드 로즈 드래곤의 효과를 포함해 정규 소환을 안 한 블랙 로즈나 블러드 로즈를 재활용하는 데 쓸 수도 있다.
성능은 영 별로다. 블랙 로즈 위치 자체의 성능이 그닥이라 말림패가 되는데, 블랙 로즈 위치의 효과를 살리려면 아예 자신 필드 위에 카드가 한 장도 없어야 한다. 게다가 이 카드 자체를 특수 소환할 수단도 한정적이거나 일소권을 소모해야 하는데, 그렇게까지 해서 4+3을 마련할 바에는 그냥 로즈 드래곤들로 연결하면 되기 때문.
수록 시리즈 |
2021-01-16 |
LIOV-JP010 | ライトニング・オーバードライブ [ LIGHTNING OVERDRIVE ] |
2021-04-16 |
LIOV-KR010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
2021-06-04 |
LIOV-EN010 | LIGHTNING OVERDRIVE |
2022-09-16 |
MP22-EN061 | 2022 TIN OF THE PHARAOH'S GODS |
7.2. 바이올런스 위치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바이올런스 위치,
일어판명칭=バイオレンス・ウィッチ,
영어판명칭=Vengeful Witch,
레벨=4,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11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블랙 로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몬스터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고 있으면\,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바이올렛 마녀의 리메이크. 원본과 달리 식물족이며, 좀 더 인간에 가까운 어린 마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어린 마녀라는 점에서 볼 때 아키의 유년기 시절을 오마주한 것으로 추정. 이름은 바이올렛과 바이올런스(폭력)의 말장난.
①의 효과는 블랙 로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몬스터나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록스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이 카드를 서치한 다음 특수 소환함으로써 레벨 7 싱크로를 실행할 수 있다. 거의 웬만한 관련 몬스터는 이 조건을 충족하나 화이트 로즈 드래곤은 이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 점에 주의.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시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원본이 지닌 전투 파괴시 1500 이하 식물족 서치를 계승하였다. 반드시 필드에서만 묘지로 보내질 필요는 없기에 화이트 로즈 드래곤이나 헤이트 로즈 위치 등의 효과로 덱에서 직접 덤핑해도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나오는 식물족 몬스터 중에서는 이블 손이나 밤장미 흑기사 같은 카드들로 개체수를 늘리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지만, 론 파이어 블로섬도 저 조건 내에 들어간다. 하지만 이를 경계해서인지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있어야 한다는 선결조건과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제약이 뒤따라오기에 식물 링크에서는 쓰기 어렵다.
수록 시리즈 |
2025-07-26 |
DOOD-JP004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
2025-09-26 |
DOOD-KR004 | 둠 오브 디멘션즈 |
2025-09-26 |
DOOD-EN004 | DOOM OF DIMENSIONS |
7.3. 나이트로즈 블랙나이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나이트로즈 블랙나이트,
일어판 명칭=<ruby>夜薔薇の黒騎士<rp>(</rp><rt>ナイトローズブラックナイ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Twilight Rose Black Knight,
레벨=3,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블랙 로즈 드래곤" 또는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식물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다른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리거나 내린다.)]
밤장미 기사의 리메이크. '밤장미 흑기사'라 쓰고 '나이트 로즈 블랙 나이트'라 읽는다.
종족이 식물족으로 바뀌었고, 원본에 비해 성숙한 기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 자신 묘지에서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원본의 일소 유발 패 특소 효과를 계승한 간단한 개체수 늘리기 효과로, 이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화된 상태이므로 얼른 싱크로 소재로 치우자.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식물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1000 올리는 지속 효과. 원본의 식물족 몬스터 공격불가 락을 공격적으로 계승한 것인데 이 카드도 식물족이기에 효과를 적용받아 공격력 2000이 된다. 블랙 로즈 가든을 사용할 경우 사실상 자신 필드의 몬스터 전체의 공격력을 1000 올리는 셈이므로 타점에 도움이 된다.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다른 식물족 몬스터 1장의 레벨을 1개 올리거나 내리는 기동 효과. 로즈 드래곤 덱은 싱크로 이외에는 제약이 없으니 범용 싱크로를 불러내기 위한 레벨 조정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정발명은 원본과는 달리 루비를 읽은채로 출시됐다.
수록 시리즈 |
2025-07-26 |
DOOD-JP005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
2025-09-26 |
DOOD-KR005 | 둠 오브 디멘션즈 |
2025-09-26 |
DOOD-EN005 | DOOM OF DIMENSIONS |
8. 서포트 마법 카드
8.1. 증오의 가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증오의 가시,
일어판 명칭=<ruby>憎悪<rp>(</rp><rt>ぞうお</rt><rp>)</rp></ruby>の<ruby>棘<rp>(</rp><rt>とげ</rt><rp>)</rp></ruby>,
영어판 명칭=Thorn of Malice,
효과외1="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식물족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600 올린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상대 몬스터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장착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4=④: 장착 몬스터가 몬스터에 공격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공격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600 내린다.)]
블랙 로즈 드래곤 및 식물족 서포트 장착 마법.
공격력 상승과 관통 효과를 부여하고 상대 몬스터를 약체화시키는 것은 좋지만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공격력 상승치와 역화로 인해 다음 턴 반격을 어렵게 만들어주긴 하지만, 전투로 파괴 못 시키게 만드는 효과는 기본적으로 불리하게만 작용된다. 장착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몬스터만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해주는데, 아마조네스의 검사, 나츄르 모스키토 등은 오히려 천적이 된다. 허나 파괴를 조건으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경우라면 유리할 수는 있다.
유희왕 5D's 다크 시그너 편 40화에서는 이자요이 아키가 후도 유세이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블랙 로즈 드래곤에게 장착해서 실드 워리어를 공격하여 관통 데미지를 주었다. 그 뒤로도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연속 공격하면서 공격력을 겨우 100까지 깎아내리기에 이른다. 블랙 로즈의 채찍질에 고통받으며 구르는 스타더스트는 보기 안쓰러울 정도. 이후 유세이의 구속해방파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수록 시리즈 |
2009-02-14 |
RGBT-JP047 | レイジング・バトル [ RAGING BATTLE ] |
2009-05-12 |
RGBT-EN047 | RAGING BATTLE |
2014-10-24 |
LC5D-EN103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2021-01-22 |
LDS2-EN117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
2009-07-10 |
RGBT-KR047 | 장렬한 전투 |
8.2. 베이슬 로즈 슛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베이슬 로즈 슛,
일어판 명칭=<ruby>薫り貴き薔薇の芽吹き<rp>(</rp><rt>ベーサル・ローズ・シュー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Basal Rose Shoo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블랙 로즈 드래곤" 1장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로즈 드래곤과 이 카드군을 동시에 지원하는 속공 마법. 발동시와 세트된 상태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둘 다 몬스터를 소생하는 효과지만, 범위가 서로 다르다.
①의 효과는 발동시의 효과로 패 / 묘지의 로즈 드래곤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속공 마법이기에 세트해놨다가 상대 턴에 소환할 수도 있는데, 둠 오브 디멘션즈 지원 전까지는 상대 턴에 발동해봤자 큰 의미가 없는 메인 덱 파츠거나, 싱크로 소환시에만 효과를 발동하는 블랙 로즈 드래곤과 파괴하는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를 막는 블러드 로즈 뿐이라 큰 의미가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브랜블 로즈 드래곤을 소생시켜 번뎀과 블랙 로즈 드래곤 발사를 준비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②는 세트 상태에서 파괴되었을 경우의 효과로 묘지 / 제외존의 블랙 로즈 드래곤, 혹은 그 관련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키는 효과다. 실질적인 범위는 훨씬 넓으며, 제외 존의 카드도 되살리기에 블러드 로즈 드래곤으로 치워버린 제외된 카드들도 다시 써먹을 수 있다. 로즈 드래곤 덱에서 블랙 로즈 드래곤과 블러드 로즈 드래곤은 능동적으로 파괴 효과를 사용할 수 있으니 이 효과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다.
오히려 이 카드를 가장 많이 사용한 덱은 천위용사로, 방랑의 그리폰라이더나 천위 레벨 7 몬스터 등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있는 레벨 7 몬스터와 레드 로즈를 튜닝해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소환한 이후, 레드 로즈로 록스 로즈를 특수 소환하여 이 카드를 서치한 이후, 이 카드를 발동해 레드 로즈를 소생하고 두 로즈 드래곤으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소환하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이름의 유래는 "발사, 사격"의 의미와 "(식물의) 발아, 새싹, 어린 가지"의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단어인 슛(Shoot)이랑 "나무나 관목의 줄기 밑부분에서 눈(芽, Buds)이 자라는 새싹(Shoots)"을 의미하는 단어인 '베이슬 슛'(Basal shoots)이다.# 카드명은 장미 나무 줄기 밑부분에서 뻗어 나온 새싹 눈(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카드명과 일러스트로 볼때, 블랙 로즈 드래곤이 블러드 로즈 드래곤로 진화하는 순간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2021-01-16 |
LIOV-JP059 | ライトニング・オーバードライブ [ LIGHTNING OVERDRIVE ] |
2021-04-16 |
LIOV-KR059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
2021-06-04 |
LIOV-EN059 | LIGHTNING OVERDRIVE |
2021-10-06 |
OP17-EN012 | OTS TOURNAMENT PACK 17 |
2022-09-16 |
MP22-EN094 | 2022 TIN OF THE PHARAOH'S GODS |
8.3. 블랙 로즈 가든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블랙 로즈 가든 <sub>(마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黒薔薇の華園<rp>(</rp><rt>ブラック・ローズ・ガーデ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Black Rose Garde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는 식물족이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식물족 몬스터의 수 × 1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추가로 상대에게 2400 데미지를 준다.)]
블랙 가든의 리메이크. 일러스트에서는 블랙 로즈 드래곤의 석상이 덩굴에 휘감겨 있다. 원본과 달리 지속 마법이며, '흑장미의 화원'이라 쓰고 '블랙 로즈 가든'이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발동 시 덱 /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효과. 기존의 로즈 드래곤은 몬스터끼리만 서로를 꺼내올 수 있었고, 나머지 카드들은 로즈 드래곤을 직접 지원하는 카드가 없었는데, 이를 크게 보완해준다. 보통은 초동을 위해 록스 로즈 드래곤을 서치할 것이며, 변칙적으로 화이트 로즈 드래곤을 서치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종족을 식물족으로 바꾸는 효과. 특정 종족을 요구하는 덱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로즈 드래곤 덱은 식물족 아니면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을 지정해서 서포트하기 때문에 자신만 일방적으로 이득을 보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헤이트 로즈 위치랑 연계하면 자신의 몬스터는 모두 파괴 내성이 생기고, 밤장미 흑기사의 타점 상승 효과도 받을 수 있다. 프레이그런스 스톰을 사용해 상대의 식물족이 된 몬스터를 파괴하고 공짜 드로우를 하는 방안도 고려 가능. 대신 자신도 링크 소재로 종족이 다른 몬스터 2장을 요구하는 크로스 로즈 드래곤의 링크 소환은 불가능. 그래도 크로스 로즈의 역할은 브랜블 로즈 드래곤이 어느정도 대체 가능하니 큰 문제는 아니다.
③의 효과는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식물족 몬스터의 수 × 1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는 효과. 만약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파괴되었다면 거기에 2400의 데미지까지 준다. 브랜블 로즈 드래곤과의 연계를 상정한 것으로, 브랜블 로즈 드래곤의 ①의 효과로 9번 데미지를 준 다음 ②의 효과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소환해 이 카드를 파괴시키면 묘지 / 제외 존에 2장의 식물족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2400 + 200(+ @)로 턴킬이 성립한다. 브랜블 로즈 드래곤의 ①의 효과로 주는 데미지가 생각 이상으로 아픈 편인데다 상대가 데미지를 각오하고 전개를 시도하려 하거나 마법 / 함정으로 대응하려 한다면 이 카드와 블랙 로즈 드래곤의 연계로 더 큰 피해를 입히는 식으로 이지선다를 강요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2025-07-26 |
DOOD-JP055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
9. 서포트 함정 카드
9.1. 블루밍 로즈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블루밍 로즈,
일어판 명칭=<ruby>漆黒の薔薇の開華<rp>(</rp><rt>ブルーミング・ローズ</rt><rp>)</rp></ruby>,
영어판 명칭=Blooming of the Darkest Ro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서로의 필드 존의 카드 및 묘지의 필드 마법 카드의 수까지\, 자신 / 상대 필드에 "로즈 토큰"(식물족 / 어둠 / 레벨 2 / 공 800 / 수 800)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블랙 로즈 드래곤"이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제외하고\, 이 카드를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칠흑의 장미의 개화'라고 쓰고 '블루밍 로즈'라고 읽는다. 개화는 일본어로도 개화(開花)와 발음이 같다.
①은 서로의 필드 존/묘지의 필드 마법의 수까지 로즈 토큰들을 자신과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소환하는 효과. 상대 필드에 한 장을 던져서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공격력 0 샌드백으로 만들거나, 싱크로 소재로 써먹을 수 있다.
②는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인데, 이런 류의 카드가 대부분 묘지에서 제외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것과 달리, 특이하게도 효과 마지막에 덱으로 되돌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블랙 가든으로 인해 공격력이 절반이 된 자신 몬스터를 원상복귀 시키는 감각으로 쓰면 좋다.
수록 시리즈 |
2018-11-10 |
DP21-JP027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4 - |
2019-01-11 |
LED4-EN027 | LEGENDARY DUELISTS: SISTERS OF THE ROSE |
2021-01-22 |
LDS2-EN120 | LEGENDARY DUELISTS: SEASON 2 |
2019-02-20 |
DP21-KR027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4 - |
10. 기타 서포트 카드
이하는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직접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카드들. 록스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서치할 수 없다. 단, 프로즌 로어즈는 레드 로즈 드래곤이 서치할 수 있다.10.1. 가든 로즈 메이든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에서 발매된 식물족 싱크로 몬스터. 덱/묘지에서 블랙 가든을 서치하는 효과와 묘지에서 "로즈 드래곤"과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10.2. 프로즌 로어즈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프로즌 로어즈,
일어판 명칭=<ruby>冷薔薇の抱香<rp>(</rp><rt>フローズン・ロアーズ</rt><rp>)</rp></ruby>,
영어판 명칭=Frozen Ro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종족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식물족: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버린다.,
효과3=●식물족 이외: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카드명은 '냉장미의 포향'이라 쓰고 '프로즌 로어즈'라고 읽는다. 포향은 일본어로 포효(咆哮)와 발음이 같다.
식물족이라면 엔드 페이즈에 Sp-엔젤 배턴의 효과를 쓸 수 있게 해준다.[2] 다만 노리고 쓰기엔 다소 느려서 굳이 쓰자면 상대 턴에 써서 불린 아드를 다음 자신 턴에 바로 쓸 수 있게 하는 정도가 적당.
식물족이 아니라면 레벨 4 이하의 식물족을 서치해오는데, 이 효과로 론 파이어 블로섬을 서치할 있다. 컨트롤 탈취 카드로 상대 몬스터를 가져와서 쓸 수도 있다.
출시 시기를 감안하면 나름 괜찮은 효과였지만 필드의 몬스터를 소비해서 패만 불린다는 점에서 콤보가 성립되지 않으면 어드밴티지 손실이 더 크다. 또한 블랙 로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있지 않아 록스로는 서치할 수 없어 서치 수단이 레드 로즈 드래곤뿐이라는 난점이 있다.
영판에서는 로어즈 / ロアーズ로 다른 로즈 / ローズ 카드와 표기가 다른 이 카드를 똑같이 Rose로 번역하는 오역이 발생했다. 스왈로즈 네스트 등의 존재로 인해 "ローズ" 마법 / 함정 카드가 지정될 가능성은 없으니 상관은 없겠지만.
10.3.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
일어판 명칭=<ruby>白薔薇の回廊<rp>(</rp><rt>ホワイト・ローズ・クロイスター</rt><rp>)</rp></ruby>,
영어판 명칭=White Rose Cloister,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로즈 드래곤" 몬스터 또는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카드의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를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서로 확인하고\, 선언한 종류의 카드였을 경우\, 이 턴 중에\,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3=●자신 필드의 레벨 7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 일어판 명칭 [ruby(白薔薇の回廊, ruby=ホワイト・ローズ・クロイスター)] 영어판 명칭 White Rose Cloister 필드 마법 1턴에 1번 패의 로즈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코믹스판에서 이자요이 아키가 이쥬인 섹트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몬스터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패에서 "로즈 드래곤" 또는 식물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식물족 & 로즈 드래곤 전용 신의 거성-발할라라 할 수 있다. 기가플랜트나 선인장 클로저를 위한 서포트도 될 수 있으며, 로즈 프린세스로 서치할 수 있는 점도 포함해 식물족 덱에서는 쓰기 쉬운 카드라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일반 드로우할 카드의 종류를 맞췄을 때 레벨 7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를 전체 강화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코믹스판의 이자요이 아키에게는 드로우하는 카드를 예견하는 '예견하는 패(포레셔 드로우[3])'라는 초능력을 카드로 재현한 것.
똑같이 아키의 카드로 발매된 다크 로즈 페어리라면 자기 자신을 효과로 덱 맨 위에 둘 수 있으니 그나마 쓸만하다. ①의 효과를 무시하고 디포머 덱이나 절대왕 백 잭을 채용한 덱에 투입하는 방법도 있다.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로즈 프린세스도 범용적인 효과를 가졌으니 이들 덱에 접촉시켜도 패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는 적을 것이다.[4]
원작에서는 패의 린천사 퀸 오브 로즈를 특수 소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코믹스의 아키가 애니메이션의 아키와 정 반대되는 캐릭터로 만들어졌다는 증거 중 하나로, 블랙 가든과 정확히 대비되는 이미지를 지녔다. 블랙 가든이 "몬스터의 생명을 양분 삼아 꽃을 피우고" 사방이 장미덤불에 가로막힌 흑장미의 정원인 반면, 화이트 클로이스터는 사방이 탁 트인 백장미의 회랑이다.
효과 또한 블랙 가든이 일반/특수 소환한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고 또한 묘지에서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도 지닌 반면에,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는 패에서 몬스터를 소환하며 OCG에서는 포레셔 드로우를 재현하여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수록 시리즈 |
2019-12-21 |
20PP-JP011 | PREMIUM PACK 2020 |
2020-08-07 |
PP15-KR011 | 프리미엄 팩 Vol.15 |
2021-07-09 |
KICO-EN019 | KING'S COURT |
10.4. 로즈 프린세스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로즈 프린세스,
일어판 명칭=ローズ・プリンセス,
영어판 명칭=Rose Princess,
레벨=3,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200, 수비력=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튜너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사이버 드래곤처럼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그 후 자신을 튜너로 취급하는 효과. 특수 소환 후 싱크로 소재나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의 링크 소환 등 각종 소재로 쓰는 것이 좋다.
②의 효과는 자신을 패에서 버리고 덱에서 화이트 로즈 클로이스터를 서치하는 기동 효과. 악왕 아흐리마 등과 마찬가지로 코스트가 묘지로 한정되어있지 않은 '버린다'이므로, 매크로 코스모스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발동할 수 있다.
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는 경우 ②의 효과를 발동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화이트 로즈 클로이스터도 다음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까지 아무런 효과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덱 압축 정도의 효능밖에 없다. 일단 선공 1턴처럼 서로의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카드의 ①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겠지만, 화이트 로즈 클로이스터의 ①의 효과는 발동할 수 있어 전개로 연계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코믹스판에서는 이자요이 아키가 키류 쿄스케와의 듀얼에서 사용. 원작에서는 효과가 없는 일반 몬스터였다. 공격 표시로 소환되어 직접 공격으로 끝내려 했으나, 연옥의 사슬로 인해 인페르니티 제너럴이 특수 소환되면서 공격이 중단. 다음 턴에 인페르니티 제너럴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수록 시리즈 |
2019-12-21 |
20PP-JP007 | PREMIUM PACK 2020 |
2020-08-07 |
PP15-KR007 | 프리미엄 팩 Vol.15 |
2021-07-09 |
KICO-EN017 | KING'S COURT |
11.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식물족 서포트 카드
로즈 드래곤 테마 자체는 브랜블 로즈 드래곤을 제외하면 드래곤족 단일 종족이지만 덱이 원활하게 굴러가려면 식물족 몬스터와의 연계가 필수다. 둠 오브 디멘션즈 지원으로 부족한 식물족 풀을 범용으로 채워야 했던 문제가 많이 해소되긴 했지만 식물족은 오랜 기간의 지원을 통해 범용 서포트 카드가 많은 편이니 적극 활용하면 덱의 고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단, 덱의 특성상 식물 링크 파츠와는 충돌하는 부분이 있으니 그 부분을 잘 조절하자. - 헤이트 로즈 위치
이자요이 아키 컨셉으로 나온 싱크로 몬스터지만, 블랙 로즈 드래곤도, 로즈 드래곤도 기재되어 있지 않아 직접적인 연결은 되지 않는다. 그래도 효과는 굉장히 유용한 편. - 그로우업 벌브, 스포어, 장미걸, 솔드래폼므 펑리
말이 필요없는 범용 식물족 튜너들. 특히 그로우업 벌브와 솔드래폼므 펑리는 레벨 7 싱크로 몬스터와 튜닝하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의 소환도 가능해진다. - 론 파이어 블로섬
말이 필요없는 최고의 식물족 서포트 카드. 특히 로즈 드래곤 덱에서는 1.5핸드 전개 시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물론 각종 패 트랩을 맞으며 별도의 수단이 없으면 일소권이 필수라는 점은 유의. - 장미 러버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는 것으로 패에서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그 턴 한정 함정 카드 내성을 부여하는 카드. 정규 소환이 어려운 마르델을 소환하거나 중요한 초동 몬스터에게 함정 내성을 걸어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빛의 제너레이드 마르델, 세리온즈 "릴리" 보레아
식물족을 서포트하는 고레벨 식물족. 레벨이 높다는 점을 이용해 고레벨 싱크로로 이어갈 수 있다. - 원환 요정 키클로스
전개를 위한 중간다리로 활용되는 브랜블 로즈 드래곤 / 헤이트 로즈 위치가 식물족 싱크로이므로 이 카드를 묘지에 묻어둔 뒤 추가 전개를 할 수 있다. ①의 효과를 발동하고자 한다면 패 소모가 심해지는 부분은 유의. - 스테이세일라 로마린
②의 효과가 덤핑 시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5 이하 식물족을 덤핑하는 효과이기에 추가 덤핑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헤이트 로즈 위치와 조합하면 무려 3장을 확정으로 자기 입맛대로 덤핑할 수 있다. - 영락제화-페리얼리스
계맺드 1.5핸드에서 거쳐가는 싱크로 비튜너 겸 소생 요원. - 계약을 맺은 드래곤 워리어
메인 덱 로즈 드래곤 전체가 이 카드의 특수 소환 범위에 들어온다. 레드 로즈 드래곤을 소환하는 것으로 1.5핸드 초동을 시도할 수 있다. 단, 레드/록스 로즈 드래곤이 드래곤족이라 브랜블 로즈 드래곤을 부를 수 없다는 점은 유의. - 요정포 스포어
로즈 드래곤 자체에는 빛 속성 식물족 싱크로가 없지만 범용 빛 속성 싱크로를 소환하고 블랙 로즈 가든을 발동해둔 상태라면 요정포의 소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 나츄르 로즈윕
식물족 튜너이기 때문에 묘지에 묻은 다음 묘지의 브랜블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소생시키는 것으로 간단한 활용이 가능하다. 상대에게 마법 / 함정 1회 발동 락을 걸기에 브랜블 로즈 드래곤 및 퍼미션 몬스터들과 함께 세워두면 더욱 압박이 강해지며, 헤이트 로즈 위치까지 필드에 세워두면 그야말로 상대가 환장하는 상황이 나온다. - 마랑 디아볼란티스
곤충족/식물족 싱크로 겸용 서포트 몬스터. - 죄보
원죄보-스네이크아이로 솔드래폼므 펑리에 접속, 디아볼란티스로 연결해 전개가 가능하다.
[1] 프로즌 로어즈는 레드 로즈 드래곤으로, 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는 로즈 프린세스로 서치할 수 있다.[2] 마침 아키는 딱 한 번뿐이지만 엔젤 배턴을 쓴 적도 있다.[3] Foresee의 발음은 [fɔːrˈsiː\], 즉 '포어시' 비슷한 발음이지만 フォレッセ로 표기되었다.[4] 덱 맨 위를 조작하기 쉬운 삼라 덱이라면 발동을 노리기 쉬우나, 삼라 덱은 엑시즈 소환을 중심으로 하는 덱이라 공격력을 올릴 고레벨 싱크로 몬스터를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문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블랙 로즈 드래곤, version=137, uuid=f42b3e84-b639-4ecb-a6c0-6ba24c361343, paragraph=3,
title2=화이트로즈 클로이스터, version2=26, uuid2=3d6196a6-5397-4c70-bde0-2226d33000c3,
title3=로즈 프린세스, version3=11, uuid3=e531e4b1-c4e9-4660-aa4b-4495ecab15e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