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09:00:16

수호룡(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30><tablebordercolor=#12A6DD><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91919><colbgcolor=#D8F4FC> 성유물 스토리 관련 카드군 ||
<colcolor=#293B84> 주역
(성잔 일행)
[[성잔에 선택받은 자|
파일:성잔에 선택받은 자 아우람.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4425D 아우람}}}
]]
[[성잔을 받드는 무녀|
파일:성잔을 받드는 무녀 이브.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79B50 이브}}}
]]
[[성잔에 이끌린 자|
파일:성잔에 이끌린 자 닝기르수.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a4118 닝기르수}}}
]]
[[성잔의 수호룡|
파일:성잔의 수호룡 임두크.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06673 임두크}}}
]]
[[성잔의 요정 리스|
파일:성잔의 요정 리스.jpg
#!wiki style="margin-top: 10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6688BE 리스}}}
]]
카드군 성유물 성잔 크롤러 잭나이츠
트로이메어 파라디온 오르페골 수호룡
관련 카드 성신기 데미우르기어 · 쌍성신 a-vida · 성건사 리이브 · 창성개귀 · 성소용전 · 베스퍼 기르수 · 몽환흡수체
관련 문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 솔로 모드 "별의 용사의 전설"
수호룡
파일:수호룡의 핵성.png
수호룡의 핵성
<nopad> 한국어판 명칭 수호룡
일어판 명칭 [ruby(守護竜, ruby=しゅごりゅう)]
영어판 명칭 Guardragon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속성 드래곤족 효과
링크

1. 개요2. 설명
2.1. 설정2.2. 성능
3. 일반 몬스터
3.1. 레벨 2
3.1.1. 수호룡 유스티아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1
4.1.1. 성잔의 수호룡4.1.2. 수호룡 프로미네시스
4.2. 레벨 3
4.2.1. 수호룡 가르미데스
4.3. 레벨 4
4.3.1. 수호룡 안드레이크
4.4. 레벨 9
5. 융합 몬스터6. 링크 몬스터
6.1. 링크 1
6.1.1. 수호룡 엘피6.1.2. 수호룡 피스티
6.2. 링크 2
6.2.1. 수호룡 아가페인
7. 마법 카드
7.1. 수호룡의 결계7.2. 성유물의 수호룡7.3. 전림의 수호룡
8. 함정 카드
8.1. 수호룡의 핵성8.2. 붕계의 수호룡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등장한 성유물 시리즈 관련 카드들로, 성잔 일행 중 임두크(=성진의 파라디온)와 연관이 깊다.

하지만 수호룡 자체의 덱 파워가 낮고, 카드명을 지정하는 게 아닌 이 카드들의 종족인 드래곤족을 지원하는 형식의 효과가 있기에, 사실상 드래곤족 전반을 지원하는 용병 카드군이다.

이름은 모두 미덕에서 따왔는데 메인 덱 몬스터 4장의 이름은 플라톤이 말한 기본 미덕(혹은 사주덕)에서 따왔으며, 엑스트라 덱 몬스터 3장의 이름은 삼주덕에서 따왔다.

덱의 효과는 크게 공통되는 효과가 딱히 없다. 유사점을 찾으면,
  • 메인 덱 몬스터는 일반 드래곤족 몬스터의 상태(묘지로 보내졌다든가)에 따라 발동하는 효과가 있다. ②의 효과는 공통적으로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다. 자기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도 있고, 다른 드래곤족을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도 있다.
  • 이렇게 공통점이 없는 메인 덱 몬스터들과 달리 링크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②의 효과에 각각의 효과에 따라 패 & 덱 / 묘지 & 제외 존 / 엑스트라 덱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2장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있다.

덱의 전체적인 플레이 방식은 링크 몬스터로 드래곤족 몬스터를 소환하고, 소환시 발동 가능한 효과를 가진 메인 덱 몬스터로 필드를 유지하는 형식이다. 다만 피니셔가 없어서 덱의 파워가 약하다.

링크 몬스터의 효과 조건엔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몬스터 존'이란 조건이 있다. 효과를 발동하려면 일단 링크 몬스터가 2장이어야 하고, 서로의 링크 마커가 비어있는 몬스터 존을 같이 가리키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 이 조건을 성공 후 소환하는 드래곤족은 소생 제한 이외의 특별한 제약이 없다.

2.1. 설정

설정상 이들은 각 성유물이 용의 모습으로 변화한 모습이다.

오르페골 갈라테아가 바벨을 기동시키면서 성유물 성장을 떨어뜨려 마지막 성유물인 성궤가 깨어나고 성궤는 바로 아래에서 동료를 지키다 죽은 임두크를 흡수해 안드레이크가 된다. 그리고 성장이 떨어진 여파는 에너지가 돼 갈라진 지각을 타고 성유물들에 퍼져나가 신의 힘을 발휘하기 위해 수호룡으로 변했다. 그래서 먼저 나온 성잔의 수호룡을 제외한 멤버 전원이 잭나이츠처럼 해당 성유물의 색에 해당하는 코어를 갖고 있다.

링크 브레인즈 팩 등에서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스토리 관련 카드가 등장한 걸 보면 성잔 스토리도 듀얼 터미널 스토리에 개입된 게 아닌가 추측된다.

2.2. 성능

발매 이전부터 테마 내의 링크 몬스터의 효과가 막강하단 말이 나왔는데 조건 만족도 생각만큼 어려운 편도 아니면서 노 코스트로, 효과를 무효화하지 않고 패 / 덱 / 묘지 / 제외 존 /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단 점이 주목받았다. 가장 먼저 이 카드들이 주목한 덱은 파멸룡 간드라X 선턴킬 덱. 수호룡 링크 몬스터를 채용함으로써 선턴킬 루트를 패 1장으로(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특수 소환하는 것) 내는 영상도 꾸준히 올라올 정도. 물론 굳이 간드라 원턴킬을 안 노려도, 강력한 드래곤족이 간단히 튀어나오기에 비트 다운 덱으로 굴려도 된다. 굳이 간드라를 안 써도 전투 데미지만으로 원턴킬이 나기도 한다. 이외에도 푸른 눈 덱에서도 연구되며, 붉은 눈 덱도 수호룡을 섞으면 강력한 덱이 된다. 거기다 컨셉이 용살자인 버스터 블레이더 덱에서조차 이 카드를 기용했는데, 안티 몬스터 능력이 강하던 버스터 블레이더에 마법 / 함정 무효 효과를 가진 엑스트라 덱 드래곤족 몬스터들을 불러오는 이 카드군이 호궁합임이 밝혀졌다.

그래도 간드라 FTK 덱을 제외하면 다른 수호룡 계열 덱들은 티어권에 들진 못했으나, 2019년 7월 금제에서 간드라 FTK와 다른 티어가 제재되자 드래곤 링크 / 수호룡 링크란 굿 스터프 형태의 덱으로 티어권에 부상했다. 자세한 건 드래곤 링크 문서 참조.

강력한 성능 때문에 OCG에서 2019년 10월에 아가페인이, 2020년 4월에 엘피 및 수호룡 링크몹들과 함께 사용되던 성잔의 신자 이브가 금지되면서 용병으로써 가치를 완전히 상실했다.

현재로써는 피스티만 유일하게 쓰이고 있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피스티는 드래곤 링크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안 쓰인다고 봐도 무방하다.

3. 일반 몬스터

3.1. 레벨 2

3.1.1. 수호룡 유스티아

파일:守護竜ユスティ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일반=,
한글판 명칭=수호룡 유스티아,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ユスティア,
영어판 명칭=Guardragon Justicia,
레벨=2, 속성=물, 종족=드래곤족, 공격력=0, 수비력=2100,
효과외1=성건은 흐르지 않는 눈물을 흘리고\, 천명은 완수된다. 신의 문은 울부짖으며 무너지고\, 뱀은 수호인의 몽환을 먹는다. 그 혼은 시작의 땅으로\, 그의 혼은 종극의 땅으로.,
효과외2=--이곳에 신의 감옥인 별은 열리리라.)]
The fate of the World depends on the Guardragons, born from the World Legacy.
별의 운명은, 성유물에서 태어난 수호룡에게 달려 있습니다.
북미판 플레이버 텍스트.
성잔을 받드는 무녀와 종족과 튜너 여부 이외의 모든 능력치가 같은 몬스터. 유일한 레벨 2 물 속성 드래곤족 튜너다.

이름은 기본 미덕 중 하나인 정의를 뜻하는 라틴어 유스티티아(iustitia)에서 유래.

코어의 색은 창궁의 잭나이츠성유물-『성잔』의 파란색. 성잔과 같은 숲 속에 있다. 다른 수호룡들과의 차이점으로는 일반 몬스터란 점에 플레이버 텍스트, 사망했던 이브와 능력치가 같은 점, 그리고 성유물 스토리에서 언제나 시작과 중심 역할을 맡는 파란색이란 점에서 스토리에서 중요한 축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마스터즈 가이드 6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오르페골 갈라테아의 희생으로 성잔에 전송된 이브의 영혼 그 자체. 이후 성잔이 변화해 유스티아가 된 것이다.

다른 수호룡들은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에 흡수됐으나, 새로 탄생한 유스티아는 흡수되지 않고 이드리스에게서 이브의 육신을 빼낸 뒤 융합해 성잔의 신자 이브로 부활한다. 그리고 이드리스는 열쇠를 포함해 모든 힘의 제어권을 잃어 서서히 붕괴해 가기 시작한다. 마침 성잔 덱에선 이 카드와 아우람으로 성잔의 신자 이브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으나, 정작 이브와 이 카드를 쓰려 하면 레벨이 4라 이브와는 싱크로 소환할 수 없어 완전한 원작 재현이 불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1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1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1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1

4.1.1. 성잔의 수호룡

4.1.2. 수호룡 프로미네시스

파일:守護竜プロミネシ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프로미네시스,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プロミネシス,
영어판 명칭=Guardragon Promineses,
레벨=1, 속성=화염, 종족=드래곤족, 공격력=5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일반 몬스터가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이름은 기본 미덕 중 하나인 지혜를 뜻하는 그리스어 프로네시스(phronēsis) + 프로미넌스(prominence).

코어의 색은 황화의 잭나이츠성유물-『성장』의 노란색인 듯하다. 성장이 우주에 있었는데, 그것을 상징하는 듯 이름도 우주 관련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14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14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14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2. 레벨 3

4.2.1. 수호룡 가르미데스

파일:守護竜ガルミデ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가르미데스,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ガルミデス,
영어판 명칭=Guardragon Garmides,
레벨=3, 속성=땅,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일반 몬스터가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패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상징하는 기본 미덕은 절제. 이름은 절제의 본질을 다루는 플라톤의 작품 <카르미데스> (Charmides).

코어의 색은 감벽의 잭나이츠성유물-『성관』의 남색. 성관이 위에 떠있던 호수 위를 걷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13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13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13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3. 레벨 4

4.3.1. 수호룡 안드레이크

파일:守護竜アンドレイ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안드레이크,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アンドレイク,
영어판 명칭=Guardragon Andrake,
레벨=4,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000, 수비력=6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원래의 공격력 / 수비력은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 배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묘지 / 제외 상태에서 특수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름은 기본 미덕 중 하나인 용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안드레이아(andreia) + 용을 뜻하는 드레이크(drake).

성진의 파라디온의 공수 능력치를 반전시킨 카드. 하급이면서 공격력이 2000이라 통상 소환할 수 없는 대신 특수 소환엔 제약이 없으며, 효과는 양쪽 다 조건부 발동이긴 하나 한순간 화력뿐만 아니라 몬스터 파괴 능력도 가진 공격적인 효과다.

코어의 색은 취람의 잭나이츠와 마지막으로 등장한 성유물-『성궤』의 초록색. 능력치도 그렇고 생김새도 성진의 파라디온(임두크)를 연상시키는데 뭔가 섬뜩하다.

설정상 성궤가 임두크의 '죽음'을 흡수함으로써 탄생한 존재이며, 이드리스 출현 이후 완전히 죽음에 침식돼 멜로다크가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15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15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15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4. 레벨 9

4.4.1. 성유물의 수호룡 멜로다크

5. 융합 몬스터

5.1. 레벨 9

5.1.1. 성잔의 수호룡 알마두크

6. 링크 몬스터

기본적으로 수호룡 링크 몬스터들은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고,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 앞에 드래곤족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1턴에 1번밖에 쓸 수 없다.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 앞에 드래곤족을 꺼내는 공통 효과가 있는데, 엘피는 패 / 덱에서, 피스티는 묘지 / 제외 존에서, 그리고 아가페인은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꺼낼 수 있다.

엘피와 피스티 그리고 후술할 아가페인은 모두 몬스터가 소환되는 곳만 다르며, 그 외의 효과는 같다. 좌하단 또는 우하단 마커와 아래 마커를 가진 링크 몬스터를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놓고, 그 좌측(피스티)이나 우측(엘피)의 링크 앞에 엘피와 피스티를 놓으면 바로 둘의 효과로 묘지(피스티)나 덱(엘피)에서 아무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소환할 수 있다.

만약 그 링크 몬스터가 천구의 성각인이나 쇄룡사-스컬데드일 경우 소환한 드래곤족 몬스터, 혹은 엘피나 피스티를 소재로 아가페인을 불러내어 그 링크 앞에 강력한 엑스트라 덱 드래곤족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게 된다. 2장의 링크 몬스터에 공통되는 링크 앞이란 조건으로 효과 사용이 쉽진 않지만, 리턴은 막대하다.

엘피는 덱 특소, 아가페인은 엑스트라 덱 특소 효과를 가지고 있어 매우 강력한 카드였으며, 결국 피스티를 제외한 일원 전부가 금지를 먹었다.

6.1. 링크 1

6.1.1. 수호룡 엘피

파일:守護竜エルピ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엘피,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エルピィ,
영어판 명칭=Guardragon Elpy,
레벨=1,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0, link4=,
소재=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
효과외1=자신은 "수호룡 엘피"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그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패 /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이름의 유래는 삼주덕 중 하나인 희망을 뜻하는 그리스어
엘피스(elpis).

코어의 색은 등영의 잭나이츠성유물-『성순』의 주황색. 배경을 잘 보면 성순이 떨어져 있던 도시 폐허에 보이던 잔해, 풀이 보이며 뒷배경에 주황색 빛이 나는 무언가가 있다. 날개가 왠지 피스티의 날개와 뒤바뀐 것 같다. 피스티의 몸색은 검은색인데 피스티에 달려있어야 할 날개가 이 녀석한테 달린 것.

덱 특수 소환이라는 강력한 효과에 낮은 소환 난이도로 인해 OCG에서 2020년 4월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이후 TCG에서 드래곤 링크 덱이 강세를 보이자 마찬가지로 2021년 6월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51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51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51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1.2. 수호룡 피스티

파일:守護竜ピスティ(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피스티,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ピスティ,
영어판 명칭=Guardragon Pisty,
레벨=1,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0, link6=,
소재=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
효과외1=자신은 "수호룡 피스티"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그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이름의 유래는 삼주덕 중 하나인 믿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피스티스(pistis).

코어의 색은 홍련의 잭나이츠성유물-『성개』의 빨간색. 크롤러가 우글거리던 성개가 널브러져 있던 초원의 풀, 그리고 뒷배경에 성개의 붉은 빛이 나는 잔해가 보이는 듯하다. 날개가 왠지 엘피의 날개와 뒤바뀐 것 같다. 엘피의 몸은 흰색인데 엘피에 달려있어야 할 날개가 이 녀석한테 달린 것.

엘피, 아가페인이 OCG / TCG에서 모두 금지에 가면서 혼자 살아남은 수호룡 링크 몬스터가 되었으며, 진룡검황 마스터P의 사례처럼 가끔씩 TCG 마이너 갤러리 등지에서 피스티의 친구들을 찾아달라는 글을 볼 수 있다. 물론 돌아오는 댓글들은 하나같이 너도 따라가라는 글들이 대부분.

여담으로, 카드 데이터베이스의 카드 설명에서 '자신은 "수호룡 피스티"를'라는 내용을 '자신은 "수호룡 엘피"'라는 내용을 오타를 내버렸다. 그리고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 Side: Pride에 재록이 되기 직전까지 고쳐지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52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52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52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2. 링크 2

6.2.1. 수호룡 아가페인

파일:守護竜アガーペイ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수호룡 아가페인,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アガーペイン,
영어판 명칭=Guardragon Agarpain,
레벨=2,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500, link2=, link8=,
소재=드래곤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자신은 "수호룡 아가페인"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그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2장 이상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나 자신 필드에\,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②의 효과의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특수 소환을 이용해,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의 효과로 덤핑하는 콤보가 유행했다. 이전까진 8축 덱에서나 가능하던 코스트로 3덤핑이 아무 드래곤족 덱이나 가능했던 것.[1] 더 나아가 파멸룡 간드라X 원턴킬의 파츠로 쓰이며 다크매터가 OCG에소 2019년 1월 금지 카드가 되는 데 공헌했다.

물론 다크매터가 아니어도 사용처는 다양했다. 성잔의 수호룡 알마두크를 뽑고 상대 필드를 전투로 깨부수거나, 아니면 선공일 경우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나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등 쟁쟁한 퍼미션 드래곤족 몬스터를 꺼내두어 필드를 더 강하게 굳히거나, 후공일 경우 바렐스워드 드래곤을 꺼내 전투 돌파력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 사실상 얼티마야 촐킨붉은 용의 상위 호환. 그 붉은 용조차 레벨에 맞는 싱크로 몬스터를 따로 준비해둬야하는 데다가, 싱크로 몬스터만 꺼낼 수 있단 것을 보면 이 카드의 사기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삼주덕 중 하나인 사랑,[2] 혹은 자비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가페(agape).

코어의 색은 자소의 잭나이츠성유물-『성창』의 보라색. 성창이 박혀있던 물 위를 날고 있다.

각종 강력한 몬스터를 띄울 수 있게 해주는 드래곤 링크 덱의 핵심이었기에 OCG에선 2019년 10월에, TCG에선 2019년 10월 14일에 금지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53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53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53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7. 마법 카드

7.1. 수호룡의 결계

파일:守護竜の結界.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수호룡의 결계,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の<ruby>結界<rp>(</rp><rt>けっか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Guardragon Shield,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필드의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합계 × 1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만이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패 / 덱에서 일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일러스트에선 롱기르수가 성장을 떨어뜨리면서 일어난 충격을 임두크가 다시금 신의 권속으로서의 힘을 개방해 커다란 결계를 쳐서 막고 있다. 그러나 이번엔 너무 무리했는지 죽고 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61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61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61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7.2. 성유물의 수호룡

7.3. 전림의 수호룡

파일:転臨の守護竜.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전림의 수호룡,
일어판 명칭=<ruby>転臨<rp>(</rp><rt>てんりん</rt><rp>)</rp></ruby>の<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
영어판 명칭=Guardragon Reincarn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링크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융합 소재를 링크 몬스터로만 한정하는 미러클 퓨전. 전개가 빠른 요즘 환경에서 링크 몬스터가 필드에 있거나 묘지에 쌓이는 걸 쉽게 볼 수 있어서 발동 조건이 그리 까다롭진 않다.

일러스트는 이드리스에게 흡수됐던 이브의 시체를 유스티아가 해방하는 모습이다. 이후 유스티아가 이브의 육체와 융합해 성잔의 신자 이브가 된다.

정작 신자 이브는 싱크로 몬스터라 이 카드로 불러낼 수 없고, 소환 조건상 튜너와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이니, 일러스트와 실제 효과, 소환 조건이 괴리되므로, 사실상 알마두크를 뽑으라고 있는 카드.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다크 네오스톰 DANE-KR060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DARK NEOSTORM DANE-JP060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ark Neostorm DANE-EN060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 함정 카드

8.1. 수호룡의 핵성

파일:守護竜の核醒.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수호룡의 핵성,
일어판 명칭=<ruby>守護竜<rp>(</rp><rt>しゅごりゅう</rt><rp>)</rp></ruby>の<ruby>核醒<rp>(</rp><rt>かくせ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Guardragon Corewakening,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효과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핵성은 일본어로 각성과 발음이 같다.

일러스트는 수호룡 유스티아와 수호룡 안드레이크가 깨어나고 있으며, 대각선으로 일러스트를 가르는 선은 붕계의 수호룡의 문양이다. 또한 배경을 보면, 수호룡 유스티아의 배경의 왼쪽에서 순서대로 노란색 기둥과 초록색 기둥이 작게 보이는 데 반해, 수호룡 안드레이크의 배경 왼쪽을 보면 왼쪽에서 순서대로 초록색 기둥과 노란색 기둥이 비교적 크게 보인다. 이 두 배경에 나오는 기둥이 같다고 하면 이는 수호룡 유스티아와 수호룡 안드레이크가 있는 위치가 서로 반대편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 SAST-KR07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JP07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 SAST-EN07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2. 붕계의 수호룡


[1] 주의할 점은, 아가페인의 특소는 엑시즈 소환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다크매터는 엑시즈 소환되어야 코스트 덤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다짜고짜 다크매터를 꺼내는 것이 아니라 아가페인으로 갤럭시 엑시즈 몬스터를 꺼낸 뒤 그 위에 다크매터를 겹쳐 소환해야 정상적으로 덤핑이 된다.[2] 남녀간의 사랑(eros)이 아닌, 조건 없는 성스러운 사랑을 뜻한다. 기독교에선 신의 사랑을 표현할 때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