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7:25:51

왈큐레(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왈큐레
파일:RideoftheValkyries-MADU-EN-VG-artwork.png
왈큐레엔 리트
<colbgcolor=#78E9FF> 한국어판 명칭 왈큐레
일어판 명칭 ワルキューレ
영어판 명칭 Valkyrie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천사족 효과, 유니온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3.1. 레벨 1
3.1.1. 왈큐레 세크스트
3.2. 레벨 2
3.2.1. 왈큐레 훈프트
3.3. 레벨 3
3.3.1. 왈큐레 피아트
3.4. 레벨 4
3.4.1. 왈큐레 드리트
3.5. 레벨 5
3.5.1. 왈큐레 츠바이트
3.6. 레벨 6
3.6.1. 왈큐레 아르테스트
3.7. 레벨 7
3.7.1. 왈큐레 브륜힐데
3.8. 레벨 8
3.8.1. 왈큐레 에르다
3.9. 레벨 9
3.9.1. 왈큐레 시그룬
4. 효과 몬스터 (유니온)
4.1. 레벨 3
4.1.1. 왈큐레 채리어트
4.2. 레벨 6
4.2.1. 포츈 채리어트
5. 마법 카드
5.1. 왈큐레엔 리트5.2. 왈큐레의 포옹
6. 관련 마법 카드
6.1. 천마의 날개6.2. 시간의 여신의 장난6.3. 여신 스쿨드의 탁선6.4.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6.5. 여신 우르드의 재단6.6. 종막의 빛
7. 관련 함정 카드
7.1. 로게의 화염7.2. 프라이아의 사과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9. OCG화 되지 않은 카드
9.1. 백조의 아가씨9.2. 영웅의 가교-비브로스트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2. 설명

리하르트 바그너의 희곡 니벨룽의 반지에 등장하는 발퀴레(발키리의 독일어식 표기)가 모티브이며 일본어론 왈큐레라고 표기한다. 때문에 정확한 번역명은 발퀴레가 맞지만 한국에서도 왈큐레로 번역되었다.

2.1. 원작

지크 로이드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왈큐레 · 유니온 몬스터
서브 에이스 에이스 최종 몬스터
DM
왈큐레 츠바이트
왈큐레 아르테스트
왈큐레엔 리트
여신 마법 카드
DM
왈큐레 브륜힐데
OCG
왈큐레 시그룬
왈큐레 에르다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다.

작중에서는 KC 그랑프리에 무단 참가한 인섹터 하가, 다이나소 류자키를 순식간에 털어버리는 것으로 처음 모습을 선보였으며, 무토우 유우기의 말에 의하면 좀처럼 볼 수 없는 한정 카드라고 한다. 동생 레온하르트의 동화 덱도 상대인 레베카 홉킨스가 어디서도 본 적 없는 레어 카드라 한 것을 보면,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이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레어 카드라 추측할 수 있다. 이후 죠노우치 카츠야 등 여러 듀얼리스트들을 털어버리며 꽤 승승장구한 덱이었지만, 결국 차원 융합,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까지 동원한 카이바 세토에게 패배한다.

당시 기준으로 기존 유희왕의 분위기에서 벗어난 순정만화에 가까운 미소녀형 디자인에, 비키니 아머까지는 아니지만 반소매에 배를 노출시킨[1] 노출도 높은 갑옷, 허벅지 스타킹을 착용하고 있는 등, 비주얼 면에서 여러모로 크게 노리고 만들어진 듯한 카드군이다. 여성형 몬스터로 통일된 카테고리나 시리즈는 쿠자크 마이해피, 아마조네스 이후로 시리즈마다 빈번히 등장하는 편이지만, 이 테마는 드물게도 남성 캐릭터가 사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이후에 방영된 유희왕 5D's에서 마찬가지로 북유럽 신화를 모티브로 한 극성삼극신 카드들이 등장했다. 그리고 OCG 상에서는 한참의 세월이 흘러 루닉 카드들도 등장.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빛 속성 / 천사족 주축의 테마로, 애니메이션 최초 출연 이후 OCG화 되는데 14년 6개월이 걸린 카드군. 애니 출신 테마 중 OCG화까지 걸린 기간이 가장 오래 걸린 테마이기도 하다.[2] 이 기록을 깰 가능성이 있는 테마는 아머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유희왕 VRAINS 시대에 들어와 컬렉터즈 팩을 통해 오랫동안 소식이 없던 유희왕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카드들이 OCG화되기 시작하면서 이 카드군도 OCG화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었고, 마침내 2018년 8월을 기점으로 영어권 TCG 팩인 'Shadows in Valhalla'[3]에서 지크 로이드의 카드들이 OCG화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왈큐레가 OCG화 되면서 지크가 작중에서 사용한 시간의 여신의 장난몬스터 말살의 여신도 OCG화 되고 왈큐레 카드군이 되었다. 10년 이상이나 지나 OCG화가 이루어져서인지 카드 일러스트의 화풍이나 분위기도 크게 바뀐 편.

성능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OCG 유저들 사이에서는 엑스트라 팩 2019의 대표적인 지뢰로 꼽힐 정도.[4] 가장 기본적인 플레이 방식은 왈큐레엔 리트로 최대한 몬스터를 늘어 놓은 뒤 시간의 여신의 장난으로 배틀 페이즈를 2회 연속 시행해 원턴킬을 노리는 것인데, 몬스터들의 공격력이 지나치게 낮은 데다 효과도 좋지 못해 성공률이 굉장히 낮다. 타점 해결을 위해 다른 몬스터를 섞으면 시간의 여신의 장난의 제약 때문에 2회 연속 배틀 페이즈가 불가능해지며, 그렇다고 여신의 장난을 안 쓰자니 왈큐레엔 리트의 디메리트로 엔드 페이즈에 자기 몬스터가 전부 덱 바운스되어 버린다.[5] 구조부터가 이래저래 꼬여 있는 것. 더 심각한건 오리지널 지원까지 대량으로 받고 난 뒤에도 성능이 구리다는 것이다.[6][7]

여기서 천사족 특유의 빈약한 서포트까지 겹쳐,[8] 유저들 사이에서 순수 왈큐레는 사실상 2회 연속 배틀 페이즈라는 로망에 모든 것을 건 덱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래서 왈큐레 테마를 어떻게든 성능으로 나쁘지 않게 굴리려면 다른 천사 테마와 섞어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주로 우수한 서치 / 리크루트 / 자체 특수 소환 효과를 가진 왈큐레 드리트 / 왈큐레 세크스트 / 왈큐레 시그룬 3종류에, 범용 천사족 전개 몬스터들인 디클레어러 디바이너토리아스 히에라루키아를 더하여 9축 엑시즈 및 링크 몬스터를 전개하는 방식이 대표적. 그리고 이 카드들을 제외한 덱 공간에 타락천사 테마를 넣어 고타점 천사족 몬스터를 전개해 공격하는 비트덱을 만들거나, 데스피아 테마를 넣어 엑스트라 몬스터 및 필드 견제를 통한 운영덱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어느쪽이든 공통적으로 천사족 최종병기인 여명의 타락천사 루시펠을 소환해 상대를 압박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9]

마스터 듀얼의 경우 제너레이드에서 디바이너 - 세크스트 - 시그룬 콤보를 이용해 9축 엑시즈를 위한 용병으로 쓰기도 한다.

OCG 초창기에 이미 발키리라는 몬스터가 등장했으며, 종족과 속성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발키리의 일터인 발할라를 모티브로 한 신의 거성-발할라도 천사족 서포트인 만큼 괜찮은 시너지를 보인다.

한편 영어판에서는 모티브인 'Valkyrie(발키리)'를 그대로 카드군 명으로서 표기했기 때문에, 왈큐레 카드의 첫 수록 팩인 'Shadows in Valhalla'의 발매로부터 며칠 후 일어판의 'ワルキューレ'에 해당하지 않는 엘리멘트 발키리극성천 발큐리아 등의 카드에 'Valkyrie' 카드로 취급하지 않는다라는 에라타가 발표되었다. OCG 출신 카테고리가 TCG화될 때 자주 보이던 처리 방식이지만, 애니메이션 선행이라고는 해도 TCG에서 먼저 등장한 카테고리가 OCG화되기 전에 이러한 처리가 된 것은 최초의 사례라 할 수 있다.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1

3.1.1. 왈큐레 세크스트

파일:ワルキューレ・セクスト.jpg 파일:ValkyrieSechste-EP19-KR-R-U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세크스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セクスト,
영어판명칭=Valkyrie Sechste,
속성=빛, 레벨=1,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왈큐레 세크스트" 이외의 "왈큐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왈큐레의 전개요원. 특수소환에만 성공하면 덱에서 왈큐레 한장을 데려올 수 있다. 전투 파괴 후라는 느린 스피드를 가진 피아트와 달리 이쪽은 원 포 원으로 덱에서 부르거나, 신의 거성-발할라의 효과로 패에서 부르면 덱에서 레벨 상관없이 아무 왈큐레나 한 마리 더 데려올 수 있기 때문에 전개의 핵심이 된다. 덤핑효과는 상대에게 묘지자원을 제공하는 역효과로 작용할수 있으므로 상대 덱을 보고서 잘 판단해야 한다.[10]

카드명의 모티브 및 영어판 카드명의 'Sechste'는 독일어로 '여섯번째'를 의미한다. 한글로 원래 발음을 적으면 심히 난감해지기에 정발 표기는 세크스트가 되었다.

3.2. 레벨 2

3.2.1. 왈큐레 훈프트

파일:ワルキューレ・フュンフト.jpg 파일:ValkyrieFunfte-EP19-KR-C-U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훈프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フュンフト,
영어판명칭=Valkyrie Funfte,
속성=빛,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12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의 공격력은\, 제외되어 있는 상대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왈큐레 훈프트" 이외의 "왈큐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제외된 왈큐레 한장당 타점이 200씩 올라가지만 기본타점이 고작 800이라 큰 체감을 느끼긴 힘들다. 다만 비슷한 효과의 드리트와는 달리 자신만이 아닌 모든 왈큐레를 강화하기에 순수 왈큐레의 경우에는 그 약하디약한 타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은 가능하다.

2번효과는 다른 왈큐레만 있으면 사용이 가능한 어리석은 부장. 활용방법은 덤핑효과가 으레 그렇듯 무궁무진하다. 다만 왈큐레 카드군 자체에서 마/함 덤핑 효과를 활용하는 경우는, 왈큐레엔 리트를 덤핑하고 제외해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거나,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덤핑하고 아르테스트의 효과로 묘지에서 회수하거나, 지속 마법을 묘지로 보내고 츠바이트의 전투 후 회수하는 정도라 애매하다.
카드군 전체 공격력 강화에 어리석은 부장이라는 꽤나 강력한 효과이지만 카드군이 왈큐레이자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카드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 카드라 볼 수 있다.

카드명의 모티브 및 영어판 카드명의 'Funfte'는 독일어로 '다섯번째'를 의미한다.

3.3. 레벨 3

3.3.1. 왈큐레 피아트

파일:ワルキューレ・フィアット.jpg 파일:ValkyrieVierte-EP19-KR-C-U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피아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フィアット,
영어판명칭=Valkyrie Vierte,
속성=빛,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14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의 수만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넘긴다. 그 중에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가 있었을 경우\, 그 중의 1장을 골라 패에 넣고\, 남은 카드는 전부 묘지로 보낸다. 없었을 경우\, 넘긴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왈큐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왈큐레의 마함서치요원. 왈큐레 전개의 핵심이자 시간의 여신의 장난도 서치할수 있는 왈큐레 리트를 가져오는 것이 최우선이겠지만 일반마함이면 왈큐레 관련 카드가 아니어도 가능하므로 덱 구축에 따라 다른 카드를 노려볼수도 있다.

2번효과로 전투파괴시에 왈큐레 한장을 리쿠르트하는 효과. 비전투 제거가 넘쳐나는 현 환경에서 그리 믿음직스러운 효과는 아니다. 그러나 효과를 사용하는 때가 데미지 스텝임을 이용하여 세크스트와 시그룬을 이용해 우라라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량전개를 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카드명의 모티브 및 영어판 카드명의 'Vierte'는 독일어로 '네번째'를 의미한다.

3.4. 레벨 4

3.4.1. 왈큐레 드리트

파일:ワルキューレ・ドリ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드리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ドリット,
영어판명칭=Valkyrie Dritte,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6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왈큐레 드리트" 이외의 "왈큐레"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제외되어 있는 상대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ValkyrieDritt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드리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ドリット,
영어판명칭=Valkyrie Dritte,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600,
종족=천사족,
효과1=게임에서 제외된 몬스터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 포인트 올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몬스터.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서 왈큐레엔 리트의 효과로 왈큐레 아르테스트, 왈큐레 츠바이트와 함께 특수 소환되는 것으로 등장. 시간의 여신의 장난과의 콤보를 통한 원턴킬은 실패했으나, 해당 카드의 효과 덕분에 다른 두 장과 함께 필드에 계속 남게 되었다. 그 후, 왈큐레의 포옹의 효과에 의해 일시적으로 수비 표시가 되며 두 번째 드리트가 소환, 마지막에는 XYZ-드래곤 캐논에 의해 한 장이 전투로 파괴되고, 나머지 하나는 포츈 채리어트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제외된 몬스터 수만큼 공격력이 오르는 효과가 있지만 카오스 네크로맨서, 붉은 마수 다 이자등의 파격적인 수치에 비하면 좀 빈약하다.

카드명의 모티브 및 영어판 카드명의 'Dritte'는 독일어로 '세번째'를 의미한다.

①의 효과는 OCG에서 추가된 것으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드리트를 제외한 왈큐레 카드를 서치하는 유발 효과. 왈큐레 몬스터에는 상급, 최상급 몬스터가 많으니, 이들을 전개할 수 있는 왈큐레엔 리트를 서치하는 것도 좋다. 이미 패에 존재하는 경우라면 특수 소환할 다른 왈큐레 몬스터를 패에 추가하는 것도 좋다. 피니시하기 좋은 상황이라면 포츈 채리어트를 서치해서 직접 공격하는 방법도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의 제외된 몬스터 매수만큼 자신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 효과. 원래 공격력이 낮은데다 상승 수치는 원작의 두 배라고는 해도 여전히 낮으므로 전투를 보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 효과를 활용하라면 상대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제외하는 것이 좋다. 무차별 제외 카드가 도움이 되겠지만, 왈큐레 관련 카드 중에는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마법 카드나 마법 카드를 샐비지를 실행하는 카드가 존재하므로, 이들을 방해하지 않는 차원의 틈과 상성이 좋을 것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1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05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0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3.5. 레벨 5

3.5.1. 왈큐레 츠바이트

파일:ワルキューレ・ツヴァイ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츠바이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ツヴァイト,
영어판명칭=Valkyrie Zweite,
속성=빛,
레벨=5,
공격력=1600,
수비력=16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자신 묘지의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ValkyrieZweit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츠바이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ツヴァイト,
영어판명칭=Valkyrie Zweite,
속성=빛,
레벨=5,
공격력=1600,
수비력=1600,
종족=천사족,
효과1=게임에서 제외된 몬스터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 포인트 올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몬스터.

①의 효과는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상대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유발 효과. 조건은 느슨하고 코스트도 필요없지만, 상급 몬스터라 필드에 꺼내는 데 수고가 든다. 다른 왈큐레와 마찬가지로 천사족 서포트 카드를 활용하는 게 좋다.

②의 효과는 OCG에서 추가된 것으로,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지속 마법을 샐비지하는 유발 효과. 자신의 공격력은 낮지만, ①의 효과로 공격력 높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샐비지할 만한 지속 마법은 여신 스쿨드의 탁선 외에도 천사족 서포트 카드인 신의 거성-발할라, 파샤스의 신역 등을 꼽을 수 있다.

효과가 나쁘지는 않지만 기본 능력치가 워낙 낮은 데다[11]상급 왈큐레들 중에서 유일하게 공격력 보조 효과도, 타협 소환 효과도 없고 대상 지정 파괴라는 내성이나 리쿠르트 등에 가장 취약한 제거 효과라 단독으로 활약하기는 힘들다.

일러스트의 구도는 왈큐레 아르테스트의 원작 일러스트와 유사하다.

189화 후반에 인섹터 하가 & 다이나소 류자키와의 2:1 듀얼에서 첫 등장, 왈큐레엔 리트의 효과로 왈큐레 츠바이트 3장과 왈큐레 아르테스트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했다. 여기선 효과가 안 밝혀지고, 직후 곤충 여왕블랙 티라노가 파괴되고 하가와 류자키의 LP가 0이 되며 원턴킬로 끝났다. 다만 여기서 아르테스트의 효과를 써도 원턴킬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카드를 별도로 썼을 것으로 보인다.[12]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선 보탄의 심판의 효과로 패에 추가되고, 이전과 마찬가지로 왈큐레엔 리트의 효과로 왈큐레 츠바이트 3장과 왈큐레 아르테스트 1장이 패에서 특수 소환되면서 효과가 밝혀졌다. 자신의 효과로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파괴하고, 일제 공격으로 승부를 내려했으나, 속공 마법 '하이퍼 프레시'로 죠노우치의 LP가 회복돼 다음 턴을 넘기게 됐다. 이후 왈큐레엔 리트의 디메리트 효과로 엔드 페이즈에 덱으로 돌아갔다.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선 첫 턴에 왈큐레엔 리트를 발동해 왈큐레 아르테스트, 왈큐레 드리트와 함께 특수 소환했다. 소환되자마자 효과로 카이바의 X-헤드 캐논을 파괴했으며, 묘지로 간 X-헤드 캐논을 왈큐레 아르테스트의 효과로 제외해 아르테스트와 드리트의 공격력을 올렸다. 왈큐레엔 리트의 디메리트 효과를 시간의 여신의 장난의 효과로 상쇄한 덕에 덱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필드에 남을 수 있었으며 왈큐레의 선봉장으로서 배틀 페이즈마다 활약했으며, 포츈 채리어트까지 장착해 직접 공격으로 카이바를 압박했다.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을 받았으나 포츈 채리어트의 효과로 파괴를 면했으며, 다음 턴 왈큐레 아르테스트와 함께 왈큐레 브륜힐데의 제물 소환에 쓰였다.

효과만 보면 같은 레벨 / 속성의 번개 제왕 자보르그의 상위 호환.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해도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으며, 상대 필드 몬스터만 파괴하기에 자멸할 위험도 없다.

카드명의 '츠바이트(Zweite)'는 독일어로 '두 번째'를 뜻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2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04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04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3.6. 레벨 6

3.6.1. 왈큐레 아르테스트

파일:ワルキューレ・アルテスト.jpg 파일:ValkyrieErste-EP19-KR-C-U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아르테스트,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アルテスト,
영어판명칭=Valkyrie Erste,
속성=빛,
레벨=6,
공격력=1600,
수비력=1800,
종족=천사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마법 카드의 효과로 패에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시간의 여신의 장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효과3=②: 자신 필드에 "왈큐레 아르테스트" 이외의 "왈큐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그 후\,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과 같아진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ValkyrieErst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아르테스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アルテスト,
영어판명칭=Valkyrie Erste,
속성=빛,
레벨=6,
공격력=1600,
수비력=1800,
종족=천사족,
효과1=1턴에 1번\, 상대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한다. 이 턴\,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과 같은 수치가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몬스터.

①의 효과는 OCG에서 새로 추가된 것으로, 마법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회수하는 유발 효과. 마법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필요가 있지만, 신의 거성-발할라코트 오브 저스티스, 광신화 등 특수 소환 수단은 풍부하다. 왈큐레엔 리트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해당 카드가 알아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해주므로 이 효과를 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회수 효과이니 나쁠 것은 없지만 패에서 특수소환 되었을 경우 한정에 묘지에는 시간의 여신의 장난이 있어야 하기에 사용할 일은 많지 않다.

②의 효과는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얻는 기동 효과. 공격력 높은 몬스터를 제외하면 자신의 공격력을 보조할 수 있다. 프리 체인이라 상대의 묘지 이용을 저해하는 걸 노릴 수 있지만, 공격력 낮은 몬스터를 제외해버리면 약체화된다는 것이 흠. 발동하는 데에 다른 왈큐레가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왈큐레 브륜힐데와 함께 왈큐레엔 리트로 전개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써서 다음 턴이 오면 공격력은 원래대로 되지만, 또 한 번 제외할 수 있으니 일장일단.

작중에서는 인섹터 하가, 다이나소 류자키와의 듀얼에서 왈큐레엔 리트의 효과로 왈큐레 츠바이트와 함께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당시에는 상세 효과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직후에 하가와 류자키의 LP가 0이 되었으니 왈큐레 츠바이트의 효과로 파괴한 곤충 여왕, 블랙 티라노의 공격력을 복사해 원턴킬에 공헌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13].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같은 수단으로 왈큐레 츠바이트와 함께 다시 등장하며 효과가 밝혀졌는데, 자신 효과로 죠노우치 묘지의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제외해 공격력 2400이 된 상태로 직접 공격해 큰 데미지를 주었다. 이후 턴 종료시 왈큐레엔 리트의 디메리트로 덱으로 되돌아갔다. 후에 마법 카드 백조의 소녀의 효과로 다시 패에서 특수 소환되어 죠노우치의 일도양단 사무라이를 공격했지만 불발되고, 끝내 붉은 눈의 흑룡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카드명의 모티브 및 영어판 카드명의 'Erste'는 독일어로 '첫번째'를 의미한다.

이유는 불명이지만 원작판 일러스트의 경우 채색이 덜 끝난 상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3 슈퍼 레어 북미 세계 최초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03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03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3.7. 레벨 7

3.7.1. 왈큐레 브륜힐데

유희왕 DM의 분기별 보스 몬스터
듀얼리스트 킹덤 배틀 시티 본선 노아 배틀 시티 결선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천계왕 시나토 라의 익신룡
F·G·D[1] 엑조디아 네크로스
도마 KC 그랑프리 왕의 기억
사신 게 왈큐레 브륜힐데[2] -[3]
[ 각주 ]

[1] 듀얼리스트 킹덤 편의 연장선상으로 추가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인 '듀얼 퀘스트'의 보스 몬스터이다.[2] KC 그랑프리 편 보스인 지크 로이드는 주인공인 어둠의 유우기가 아닌 라이벌인 카이바 세토에게 쓰러졌으며, 어둠의 유우기를 고전시킨 '해당 분기 라스트 듀얼의 보스 카드'는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이라는 필드 마법 카드였다.[3] 최종 보스인 대사신 조크 네크로파데스는 몬스터가 아니다.

파일:ワルキューレ・ヴリュンヒルデ.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브륜힐데,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ヴリュンヒルデ,
영어판명칭=Valkyrie Brunhilde,
속성=빛,
레벨=7,
공격력=1800,
수비력=2000,
종족=천사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 × 5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상대의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3=③: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수비력을 1000 내리고\, 이 턴\, 자신의 "왈큐레"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ValkyrieBrunhild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브륜힐데,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ヴリュンヒルデ,
영어판명칭=Valkyrie Brunhilde,
속성=빛,
레벨=7,
공격력=1800,
수비력=2000,
종족=천사족,
효과1=이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필드 위의 전사족 / 드래곤족 몬스터 1장당\, 공격력을 3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의 수비력을 1000 포인트 내리는 것으로\, 파괴를 무효로 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왈큐레 덱의 에이스 몬스터.

OCG화 되면서 마법 내성을 얻었고, 공격력이 오르는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로 변경되었으며, 올라가는 공격력 수치도 300에서 500으로 증가한 덕에 이론상 최대 공격력은 5300.[14] 전투 내성도 수비력을 1000 내리는 것으로, 그 턴 동안 모든 "왈큐레" 몬스터에게 전투 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강화되었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의 수에 비례하여 공격력을 자기 강화하는 지속 효과. 상승 수치는 나름대로 높으며, 2장 존재하기만 하면 최상급으로서는 합격점에 든다. 설령 공격력이 낮다 해도 ③의 효과로 보조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의 마법 카드 효과를 받지 않는 지속 효과. 블랙홀이나 섬도 마법의 효과를 받지 않으므로 이들을 사용하는 상대에게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다만 현 환경에서는 몬스터 효과에 의한 제거가 주류라 내성 치고는 만족스럽지 못한 편. [15]

③의 효과는 자신의 수비력을 내리고 왈큐레에게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유발 효과. 수비력이 2000인데다 영구적인 약체화이므로 실질적으로 2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왈큐레는 능력치가 낮은 몬스터가 많으므로 이 효과를 유효하게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대가 그걸 알 것이 뻔하므로 발동 전에 제거되기 쉽다는 점에 주의.

원작에서는 에이스였지만, OCG화되면서도 효과 자체는 원작에 비해 상향되었음에도 기본 틀은 유지되었기에 오히려 왈큐레 중에서도 가장 현 환경에 맞지 않는 카드로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작중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로게의 화염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것으로 처음 등장. 공격력 3100의 맥시멈 식스를 공격하고, 자신의 효과로 수비력 1000을 낮춰 살아남았다. 다음 지크의 턴에 장착 마법 영검-노퉁을 장착, 또한 영웅의 가교-비브로스트의 효과로 공격력이 5000이 되어 맥시멈 식스를 공격해 파괴하고 피니셔가 되었다. 처음에는 드래곤족만 적용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었는데, 이렇게 되면 원작에서 죠노우치와 지크의 듀얼은 원래 죠노우치가 이긴 것이 된다.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서는 드래곤족 주축인 카이바의 덱에 대항하여 드래곤족 메타 효과를 가진 '영검-노퉁'의 영향이 컸기에 듀얼 후반의 주력이 되었다. 하지만 카이바의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효과에는 얄짤없이 제거되었다. 종막의 빛으로 되살아났지만, 마지막 턴에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과 푸른 눈의 백룡 2마리의 공격을 버텨내지 못하고 결국 파괴되었다.

지크 로이드가 듀얼 부스를 개발할 때 시험한 카드이기도 하며, 카이바 세토의 주력 몬스터들이 드래곤족임을 감안해서 쓴 것으로 추정된다.

모티브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발키리 브륀힐드.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4 시크릿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02 슈퍼 레어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02 슈퍼 레어 일본 한국 최초 수록

3.8. 레벨 8

3.8.1. 왈큐레 에르다

유희왕 OCG의 엑스트라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엑스트라 팩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1 2 3
타락천사 제라토 가디언 오브 오더 XX-세이버 가르드스트라이크
4 2012 <nopad> 스워드 오브 나이트
헬 임프레스 데몬
XX-세이버 다크 소울
에볼카이저 돌카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
오리컬코스의 결계
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성기사 가웨인
성기사 몰드레드
<nopad> 나이츠 오브 오더 2015 2016
신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마성기사황 란슬롯
성검 EX-칼리번
피안의 귀신 헬레이카
피안의 순례자 단테
Kozmo-도롯셀
노염파괴수 도고란
버제스토마 아노말로카리스
2017 2018 2019
서브테러마리스의 요마
서브테러마리스 아루라본
서브테러마리스 바레스애시
리벤데드 이그제커터
어드벤데드 세이비어
왈큐레 에르다
크로노다이버 리단
미계역의 재카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월드 프리미어 팩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2020 2021 2022
혼돈의 발키리어
툰 해피 레이디
몽마경의 천마-네이로스
워크라이 메테오라곤
아르카나 트라이엄프 조커
궁극체 뮤트리아스
비틀트루퍼 인빈시블 아트라스
리브로맨서 파이어버스트
2023 2024 2025
합체마신-게이트 가디언
저편의 고티스
GP-리온
극화염의 검사
신을 침식하는 빛 티스티나
멸망의 어둠 베이도스
각인을 지닌 자
미미구르 마스터
아메노무라쿠모노미츠루기
}}}}}}}}} ||

파일:ワルキューレ・エルダ.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에르다,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エルダ,
영어판명칭=Valkyrie Erda,
속성=빛, 레벨=8, 공격력=2000, 수비력=2200, 종족=천사족,
효과1=①: "왈큐레 에르다"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왈큐레"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내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상대 묘지로 보내지는 카드는 묘지로는 가지 않고 제외된다.,)]
상대 몬스터 견제를 중점으로 담당하는 왈큐레. 왈큐레 카드로 특수소환되면 존재만으로 상대 몬스터들의 공격력을 모두 1000씩이나 깎아준다. 비트덱인데도 타점이 레벨에 비해 좋지못한 왈큐레들의 전투능력을 크게 올려준다. 아쉬운 점은 공격력만이라 강력한 벽 몬스터들을 쓰러뜨리기는 여전히 힘들다는 것 정도.

3번 효과는 전투/ 효과로 파괴되어 상대 묘지로 보내지는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 다만 비슷한 효과의 다크 로우나 셴셴 등과는 달리 파괴에만 대응하므로 언체인드 등의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상대의 전개에 영향을 주기는 힘들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니벨룽의 반지에서 보탄(오딘)과의 사이에 브륜힐데를 비롯한 아홉 왈큐레(발키리)를 낳은 여신 에르다. 지크 로이드가 애니메이션에서 사용한 미OCG 카드인 땅의 여신-에르다의 인도와 같은 모티브이다.

3.9. 레벨 9

3.9.1. 왈큐레 시그룬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9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プラチナ・ガジェット.jpg
파일:ゴッドアイズ・ファントム・ドラゴン.jpg
파일:HSRカイドレイク.jpg
파일:アンクリボー.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56
플라티나 가제트
VJMP-JP157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
VJMP-JP158
HSR 카이드레이크
VJMP-JP159
앙크리보
파일:ローグ・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カクリヨノチザクラ.jpg
파일:말살의 지명자.jpg
파일:ストライカー・ドラゴン.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60
로그 오브 엔디미온
VJMP-JP163
붉은 벚꽃
VJMP-JP164
말살의 지명자
VJMP-JP165
스트라이커 드래곤
파일:天威の龍拳聖.jpg
파일:塊斬機ダランベルシアン.jpg
파일:ワルキューレ・シグルーン.jpg
파일:始原竜プライマル・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69
천위의 용권성
VJMP-JP170
괴참기 달랑베르시안
VJMP-JP171
왈큐레 시그룬
VJMP-JP172
시원룡 프라이멀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61 EM 턴트루퍼
VJMP-JP162 DD 아크
VJMP-JP166 EM 미스 디렉터
VJMP-JP167 스모크 모스키토
VJMP-JP168 DD 이블
}}}}}}}}} ||
← 2018년2020년 →

파일:ワルキューレ・シグル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시그룬,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シグルーン,
영어판명칭=Valkyrie Sigrun,
속성=빛, 레벨=9, 공격력=2200, 수비력=24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레벨 8 이하의 "왈큐레"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V점프 2019년 11월호 동봉 카드로 나오는 OCG 오리지널 왈큐레 카드

레벨은 9씩이나 되는 카드지만, 1번효과로 자체특소가 가능하다. 순수 왈큐레 덱이라면 필히 채용하게 될 몬스터 말살의 여신카드나 고레벨이 많은 왈큐레에서 전개를 도와주는 신의 거성-발할라를 코스트로 쓰는 것이 보통. 2번효과로 소환에 성공하면 패나 묘지에서 추가로 왈큐레를 전개할 수 있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고(古) 에다의 <훈딩을 죽인 헬기> 에 나오는 헬기의 아내인 발키리 시그룬.

4. 효과 몬스터 (유니온)

4.1. 레벨 3

4.1.1. 왈큐레 채리어트

파일:戦乙女の戦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왈큐레 채리어트,
일어판명칭=<ruby>戦乙女の戦車<rp>(</rp><rt>ワルキューレ・チャリオット</rt><rp>)</rp></ruby>,
영어판명칭=Valkyrie's Chariot,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500, 수비력=1000, 종족=천사족, 유니온=,
효과1=①: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필드의 천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4=②: 장착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포춘 채리어트에 이은 두번째 유니온. 효과는 소소한 타점 보조 효과.

4.2. 레벨 6

4.2.1. 포츈 채리어트

파일:運命の戦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유니온=, 효과=,
한글판명칭=포츈 채리어트,
일어판명칭=<ruby>運命の戦車<rp>(</rp><rt>フォーチュン・チャリオット</rt><rp>)</rp></ruby>,
영어판명칭=Fortune Chariot,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1000,
수비력=2000,
종족=천사족,
효과1=이 카드명은 룰상 "왈큐레"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2=①: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자신 필드의 천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4=●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5=②: 장착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그 직접 공격으로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FortuneChariot-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포츈 채리어트,
일어판명칭=<ruby>運命の戦車<rp>(</rp><rt>フォーチュン・チャリオット</rt><rp>)</rp></ruby>,
영어판명칭=Fortune Chariot,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1000,
수비력=2000,
종족=천사족,
효과1=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장착 카드 취급으로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 장착\, 또는 장착을 해제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이 카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장착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는 것으로\, 이 턴\, 장착 몬스터는 상대 플레이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1장의 몬스터가 장착할 수 있는 유니온은 1장까지.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될 경우는\,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에서 지크 로이드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왈큐레 드리트를 제물로 바쳐 소환되었으며, 자신의 효과로 왈큐레 츠바이트에 장착되어 직접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이후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으로 츠바이트의 전투 파괴 대신 묘지로 보내졌다. 그 후 자신이 묘지에 존재하는 것으로 천마의 날개의 발동 조건을 채웠다.

왈큐레로 취급하는 효과 외 텍스트, 유니온 몬스터 공통의 효과, 장착 몬스터에게 직접 공격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 유니온 몬스터.

원작에서는 왈큐레 카드가 아니었으나 OCG화 되면서 룰상 왈큐레 카드로 취급하게 됐으며, 직접 공격 효과에 붙은 디메리트도 원래 공격력을 깎는 것에서 주는 데미지를 반으로 하는 것으로 완화됐다.

다만 여전히 상급 몬스터라 유니온 효과를 쓰려면 필드로 꺼내는 데에 연구가 필요하다. 천사족이라 광신화, 신의 거성-발할라 등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전자라면 장착 카드가 되는 것으로 약체화 디메리트를 신경 쓸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왈큐레로 취급하므로 왈큐레엔 리트로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

직접 공격을 부여하는 유니온 효과의 경우, 전투 데미지가 반감되긴 하지만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활용하면 반감 디메리트를 보조할 수 있다. 그 경우에도, 가능한 한 강화 카드를 같이 써서 전투 데미지를 키우는 게 좋다. 왈큐레 브륜힐데와 상성이 좋으며, 상대 몬스터의 수가 줄지 않으므로, 공격력이 내려갈 일 없이 2회 직접 공격이 가능해지는 데다 막을 수 없는 효과 파괴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필드에 꺼내는 수고를 고려하면 유성의 활-실을 쓰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공격력 2000 미만이라면 이 카드가 데미지를 더 줄 수 있으며, 천사족 서포트나 유니온의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5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09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09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5. 마법 카드

5.1. 왈큐레엔 리트

파일:Walkuren Rit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왈큐레엔 리트,
일어판 명칭=<ruby>Walkuren Ritt<rp>(</rp><rt>ワルキューレン・リッ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Ride of the Valkyries,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패에서 "왈큐레"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이 효과로 3장 이상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다음 턴 종료시까지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는 전부 덱으로 되돌아간다.,
효과3=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시간의 여신의 장난" 1장을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RideoftheValkyries-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왈큐레엔 리트,
일어판 명칭=<ruby>Walkuren Ritt<rp>(</rp><rt>ワルキューレン・リッ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Ride of the Valkyries,
효과1="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를 패에서 전부 특수 소환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 시\,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마법 카드, Walkuren Ritt 발동. 자, 나타나라! 왈큐레의 소녀들이여, 전사의 영혼을 발할라로 인도하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의 최종 보스 지크 로이드가 사용한 마법 카드.

원작에선 왈큐레 덱의 대량 전개를 책임지던 카드로, 이 덱의 핵심에 해당한다. 물론 몬스터 대부분이 상급인 왈큐레들에겐 적절하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절 당시 유희왕의 카드군을 모조리 살펴봐도 이렇게 엄청난 몬스터 전개를 자랑하는 카드는 별로 없었다. 게다가 발동 후 일반 소환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당시 듀얼 환경으로는 융합, 의식, 어드밴스 소환밖에 못 했고, 왈큐레는 융합, 의식 몬스터가 없었던 데다가 상급들의 능력치는 저렇다. 왈큐레가 하급이 거의 없다는 점을 따져본다면 펜듈럼 소환이 등장한 9기 이후라면 몰라도 당시 듀얼 환경을 기준으론 나름대로 적절한 밸런스였는지도 모른다.

카드명이 다른 왈큐레 몬스터를 엔드 페이즈에 바운스시키는 디메리트를 가지고 패에서 임의의 수만큼 특수 소환하며, 3장 이상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다음 턴 종료시까지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①의 효과,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하고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는 ②의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OCG화 되면서 특수 소환 효과가 거의 변경되지 않았고,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는 효과가 추가되었지만, 발동하는 순간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는 전부 덱으로 돌아가버리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붙었다.

또한 원작과는 다르게 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만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너프되었다. 시간의 여신의 장난이 배틀 페이즈 종료때 발동해서 다음 자신의 배틀 페이즈로 턴을 스킵하는 효과를 생각하면, 이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도록 추가된 효과로 생각된다. 즉, 전개한 왈큐레들로 두들겨 팬다음 시간의 여신의 장난으로 또한번 두들겨패서 최대한 뽕을 뽑거나 그턴중에 끝내라는 의도인듯. 그 이외에는 바운스 디메리트도 일단 카드 효과인 데다가 강제 바운스 이외의 디메리트는 없으므로, 전개한 왈큐레 몬스터를 사용해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등의 완전 내성 몬스터를 소환하면 디메리트를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있다.

①의 효과로 패에서 왈큐레를 전개하면서, ②의 효과로 자신을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직후 배틀 페이즈에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발동하면, 전재한 왈큐레를 실질적으로 2회 공격시킬 수가 있다. 거기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가 스킵되어 디메리트인 ①의 효과에 의한 바운스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①의 효과에는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효과도 있지만, 3장 이상 특수 소환했을 경우라는 조건이 무겁다. 거기다,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발동하면 다음 턴이 바로 와버리게 되니, 상대 턴을 기다리지 않고 효과가 종료되어 버린다. 있어서 곤란한 효과는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무시하는 것이 좋겠다.

첫 발동시에는 기존 유희왕의 OST가 아닌 리하르트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Walkürenritt)'이란 곡이 흘러나왔다.[16] KC 그랑프리에 몰래 출전한 인섹터 하가다이나소 류자키를 한 번에 발라버렸는데, 단순히 장미 잎이 휘날리면서 왈큐레들이 뛰어다니더니 지크가 승리해버리는 것으로 나왔기 때문에 효과가 상세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 때에 지크 로이드가 소환한 몬스터는 왈큐레 츠바이트 3장과 왈큐레 아르테스트 1장이였고, 츠바이트의 효과로 곤충 여왕블랙 티라노를 파괴한 뒤에 알테스트의 효과로 블랙 티라노나 곤충 여왕의 공격력을 흡수, 그대로 직접 공격으로 승리한 셈이 되는데, 이러면 하가든 류자키든 어느 한 쪽의 LP는 무조건 남게 되겠지만 어째 2명 다 패배했다. 물론 생략된 듀얼 로그가 있다고 가정하면 별 문제는 되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6 시크릿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1 울트라 레어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1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5.2. 왈큐레의 포옹

파일:ワルキューレの抱擁.jpg 파일:ValkyriesEmbrace-DANE-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왈큐레의 포옹,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の<ruby>抱擁<rp>(</rp><rt>ほうよう</rt><rp>)</rp></ruby>,
영어판명칭=Valkyrie's Embra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왈큐레"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왈큐레" 몬스터뿐일 경우\, 자신 필드의 공격 표시의 "왈큐레"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하고\, 그 상대 몬스터를 제외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ValkyriesEmbrac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왈큐레의 포옹,
일어판명칭=ワルキューレの<ruby>抱擁<rp>(</rp><rt>ほうよう</rt><rp>)</rp></ruby>,
영어판명칭=Valkyrie's Embrac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자신의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고\, 선택한 상대 몬스터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그랑프리 편 194화에서 지크 로이드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왈큐레 드리트를 수비 표시로 하고 카이바의 Z-메탈 캐터필러를 제외했다.

왈큐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맹세 효과와,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부 왈큐레여야 한다는 발동 조건이 추가됐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는 공격 표시 몬스터만 지정 가능해지는 등 너프를 먹었다. 그 외엔 원작과 같다.

별다른 손해 없이 제외를 통해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은 편리하긴 하지만, 왈큐레 이외의 몬스터가 있으면 발동을 못 하게 된다는 점이나 왈큐레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걸림돌이 된다. 왈큐레는 서포트를 포함해 비트 덱 위주의 효과인데도 기본 타점이 낮은 데다, 수비 표시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의 특수 소환 소재를 위해 처리할 수단도 없어지므로, 가능한 한 공격력이 낮은 왈큐레를 대상으로 하는 게 좋다.

다만 일반 마법을 통한 단일 제거의 신뢰성이 떨어진 현 환경에선 디메리트를 부담하면서까지 몬스터를 제외할 만한 케이스는 적다. 이 카드를 쓰겠다면 마찬가지로 필드에 왈큐레만 있을 것을 요구하는 카드를 써서 부담을 줄이는 게 좋다. 특히 시간의 여신의 장난은 턴을 스킵해주니 디메리트를 지워줄 수도 있다.

일러스트에 나오는 건 왈큐레 아르테스트. 해외판에서는 가슴골이 탄압되었다.

용맹한 전사의 혼을 천국으로 승천시키는 발키리의 전승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한 카드. 제외하는 효과는 좋지만 표시 형식을 변경시켜서 지크도 어드밴스 소환 전에 이 카드를 쓰고 릴리스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ark Neostorm DANE-EN089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4 레어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4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 관련 마법 카드

6.1. 천마의 날개

파일:天馬の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천마의 날개,
일어판명칭=<ruby>天馬<rp>(</rp><rt>てんま</rt><rp>)</rp></ruby>の<ruby>翼<rp>(</rp><rt>つばさ</rt><rp>)</rp></ruby>,
영어판명칭=Pegasus Wing,
효과1=①: 자신 묘지에 유니온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그 직접 공격으로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PegasusWing-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천마의 날개,
일어판명칭=<ruby>天馬<rp>(</rp><rt>てんま</rt><rp>)</rp></ruby>の<ruby>翼<rp>(</rp><rt>つばさ</rt><rp>)</rp></ruby>,
영어판명칭=Pegasus Wing,
효과1="포츈 채리어트"가 묘지에 있을 때 발동 가능.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는 이 턴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는 것으로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 195화에서 지크 로이드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왈큐레 브륜힐데를 대상으로 발동하여 공격력이 1100이 된 브륜힐데로 카이바에게 직접 공격했지만, 카이바가 발동한 수축의 효과로 브륜힐데의 공격력이 다시 절반이 됐다. 수축이 발동되지 않았다면 카이바의 LP는 딱 0이 돼 듀얼이 끝났을 것이다.

OCG화되면서 원작보다 효과가 상향되어 포츈 채리어트뿐만 아니라 유니온 몬스터만 있으면 발동 가능하며, 전개한 왈큐레로 단체 직공을 때려박을 수 있게끔 1장만에서 임의의 수까지로 바뀌었다. 왈큐레엔 리트로 풀 전개한 후에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쓰면 사실상 전부 원래 공격력으로 직공을 때려박아 원턴킬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턴이 종료됨에 따라 직공 능력도 없어지므로 의미가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ark Neostorm DANE-EN090 노멀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5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2. 시간의 여신의 장난

파일:時の女神の悪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시간의 여신의 장난,
일어판명칭=<ruby>時<rp>(</rp><rt>とき</rt><rp>)</rp></ruby>の<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の<ruby>悪戯<rp>(</rp><rt>いたずら</rt><rp>)</rp></ruby>,
영어판명칭=Mischief of the Time Goddess,
효과외1=이 카드는 체인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의 발동에 대하여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왈큐레" 몬스터뿐일 경우\, 자신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다음 자신 턴의 배틀 페이즈 개시시까지 턴을 스킵한다. 그 턴의 종료시까지 자신은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발동할 수 없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MischiefoftheTimeGoddess-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시간의 여신의 장난,
일어판명칭=<ruby>時<rp>(</rp><rt>とき</rt><rp>)</rp></ruby>の<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の<ruby>悪戯<rp>(</rp><rt>いたずら</rt><rp>)</rp></ruby>,
영어판명칭=Mischief of the Time Goddess,
효과1=1턴을 스킵하고\, 자신의 배틀 페이즈로 한다.)]

자신 배틀 페이즈 종료시부터 다음 자신의 배틀 페이즈 개시시로 턴을 스킵하는 효과, 체인 2 이후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할 수 없는 효과 외 텍스트를 가진 속공 마법.

본편에 등장한지 시간이 한참 지난 2018년이 되어서야 Shadows in Valhalla에서 왈큐레와 함께 OCG화었다. OCG에서는 분명하게 속공 마법으로 나왔으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만 발동 가능하다는 여러 제약이 붙긴 했지만 다음 자신 배틀 페이즈까지 스킵하는 효과는 그대로 재현되었으며, 체인 불가라는 효과가 추가되어 효과 자체는 더욱 강력해졌다. 물론 원작대로 범용으로 출시할 리가 없고, 연달아 발동할 수 없는 제약과 함께 왈큐레 전용 마법으로 너프되어 출시되었다. 이로 인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오딘처럼 다른 덱에서 병용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다음 배틀 페이즈 개시시까지 턴을 경과시켜, 다시 한 번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있다. 자신의 모든 몬스터에게 2회 공격을 부여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큰 전투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는데다, 턴이 바뀌므로 효과의 횟수 제한이나 소환권도 리셋된다. 메인 페이즈 1에 세트한 함정 카드도 턴이 경과한 덕분에 발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왈큐레 츠바이트는 2회 전투로 2장을 샐비지할 수 있게 되니 상성이 좋다. 다만 왈큐레엔 리트의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효과나 왈큐레 아르테스트의 공격력 변화 등 턴 종료시까지의 효과는 턴 교체에 의해 종료되어버린다.

같은 레벨의 왈큐레 2장을 소환, 원더 엑시즈를 세트한 상태로 이 카드를 발동시키고, 다음 배틀 페이즈까지 스킵한 후 왈큐레로 공격. 세트한 원더 엑시즈를 발동하여 엑시즈 소환한 뒤에 추가타를 먹이는 것도 가능하다.

왈큐레엔 리트는 발동 조건에 필요한 왈큐레 몬스터를 필드에 준비하면서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거기다 왈큐레엔 리트가 가진 왈큐레 몬스터를 바운스시키는 디메리트도 이 카드로 스킵시킬 수 있어 같이 사용할 수록 더욱 좋다. 왈큐레 아르테스트로도 샐비지가 가능. 왈큐레온 리트로 왈큐레를 대량 전개하고 이 카드를 서치해 발동하는 전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라는 텍스트가 붙어 있는데 큰 의미는 없고, 턴을 스킵하는 특이한 효과의 성질상 일부 유저가 이 카드가 언제 묘지로 보내지는지 헷갈리지 말라고 붙여놓은 표현일 뿐이며, 실제로는 유희왕의 일반적인 마법 카드가 발동하면 묘지로 보내지는 것을 나타내는 당연한 표현에 불과하다. #매크로 코스모스 등의 효과가 적용 중인 상태에서도 문제 없이 발동할 수 있다. (물론 그 경우 이 카드는 제외된다.) 체인 발동 불가, 체인 불가 텍스트도 턴 스킵이라는 특성 상 체인이 꼬이지 말라고 추가한 효과들이라고 한다.

일러스트의 경우, 애니판 일러스트와 구도는 유사하지만 화풍은 현대적으로 바뀌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KC 그랑프리 편에서 지크 로이드가 사용. 원작에서는 발동 조건이나 제약이 전혀 없는 매우 강력한 카드였으며, 선공 1턴째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하면 실질적으로 선공 원턴킬도 가능했다. 카이바 세토공격 무력화로 배틀 페이즈를 종료했으나 이 카드로 배틀 페이즈를 재개했다. 그리고 직접 공격을 당하게 된 카이바가 세트해둔 기계장치의 매직 미러를 사용하여 이 카드의 효과를 복사하여 사용, 지크의 턴을 스킵하고 바로 카이바의 배틀 페이즈로 이동했다.

원작 효과를 기준으로 턴을 스킵하는 정도만 보면 시간의 비약 -턴 점프-의 하위 호환으로 보이며, 또한 일반 마법이라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배틀 페이즈시에만 발동할 수 있기에 선턴에 발동할 수 없는 턴 점프와는 달리, 첫 턴 부터 발동해 전투로 상대를 원턴킬시켜버리는 게 가능했다. 거기다가 턴 당 발동 횟수가 제한되어있는 카드의 효과도 다시 사용이 가능해지는 덕분에, 자칫하면 무한 루프로 악용될 여지가 산재했었다. 발동 후 턴 종료시 적용되는 효과나 코스트가 스킵되는 건지의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른 지크로이드가 사용한 카드중에선 특별한 원작 효과 때문인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도 유일하게 등장. 빛의 결사 편에서 오딘 왕자사이오 타쿠마와의 듀얼에서 사용했다. 그가 선전포고한 원턴킬 콤보의 중요 파츠로서, 첫 턴부터 사용해 새털라이트 캐논+리미터 해제 콤보로 원 턴킬을 시도했다.

여담으로 지크 로이드는 발동 당시 속공 마법이라 했지만, 극중의 작화상으로는 물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재등장할 때마저 아무런 아이콘도 나와있지 않은, 즉 일반 마법 카드로 나왔다. 특히나 GX에서 이 카드를 사용한 오딘은 그냥 마법 카드라고밖에 안 했기 때문에 더더욱 혼동을 줄 여지가 많았다.

일러스트에 있는 시간의 여신은 지크 로이드가 사용했던 카드인 여신 스쿨드의 탁선의 일러스트에도 등장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7 시크릿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2 슈퍼 레어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2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3. 여신 스쿨드의 탁선

파일:女神スクルドの託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여신 스쿨드의 탁선,
일어판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スクルドの<ruby>託宣<rp>(</rp><rt>たくせん</rt><rp>)</rp></ruby>,
영어판명칭=Goddess Skuld's Oracl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왈큐레" 몬스터뿐일 경우에는\, 덱에서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확인하고\,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천사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금지 카드}}}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oddessSkuldsOracl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여신 스쿨드의 탁선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スクルドの<ruby>託宣<rp>(</rp><rt>たくせん</rt><rp>)</rp></ruby>,
영어판명칭=Goddess Skuld's Oracle,
효과1=1턴에 1번\, 상대 덱 위에 있는 카드 3장을 확인하고\,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에서 지크 로이드가 사용.

원작과 별 다를 게 없이 OCG화 되었지만, ②의 효과를 발동한 턴에는 천사족 몬스터만을 일반 소환,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붙었다. 물론 천사족을 주력으로 하는 덱에서는 없는 제약이나 마찬가지이며, 다른 두 여신과 같이 쓰면 그 턴 동안 제약을 받더라도 상대의 카드 하나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이 카드의 제약이 거슬린다면, 다른 여신의 서치 자체는 이 카드로 하고[17], 덱을 확인하는 것은 엿보는 고블린 같은 카드로 대신하자.

듀얼시에는 항상 여신 우르드의 재단,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와 함께 발동되었으며, 먼저 이 카드의 효과로 덱에서 확인한 카드 중 가장 강력한 몬스터를 덱 맨 위로 세팅해놓고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의 효과로 강제로 세트시킨 뒤, 여신 우르드의 재단으로 제외해버리는 몬스터 말살의 여신 콤보의 시발점을 담당했다. 그밖에 니벨룽의 반지과도 연계하기도 했다.

나머지 두 여신 카드는 다른 카드의 도움이 매우 절실하게 필요하지만 이 카드는 그런 거 없어도 혼자 쓸 수 있다. 하지만 상황에 맞춰서 가장 쓸모없는 카드를 맨위에 놓는다든지 또는 지속 마법이라는 점을 이용해 꾸준히 키 카드를 못 뽑게 만드는 식의 견제 정도밖에 못하고, 다른 카드의 힘을 더해도 마인드 크러시 같은 패 말살 카드나 작중의 니벨룽의 반지의 반지처럼 덱 파괴 카드를 써서 좋은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 정도가 한계.

카이바 세토는 지크와의 듀얼 중 이 카드의 효과를 '상대 패나 엿보는 비겁한 전술'이라며 디스했는데,[18] 지크 본인은 '내가 운명에 사랑받고 있기에 그 속삭임을 듣는 것이 용납된다'고 맞받아쳤다. 그러나 정작 이 카드의 효과로 확인한 세토의 덱 맨 위 3장이 전부 푸른 눈의 백룡이었기에 순서를 바꾸는 것이 무의미했다.

모티브는 노른의 여신 세 자매 중 막내인 스쿨드. 미래를 관장하는 여신이라 그런지 상대방의 덱을 확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효과 자체는 엿보는 고블린의 상호 호환 및 지속 마법 버전이라 할 수 있는데, 작중 묘사로 볼 때, 확인한 카드는 발동한 본인만이 알 수 있는 듯.

이 카드의 일러스트에 나온 스쿨드는 시간의 여신의 장난이라는 카드에서도 나온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8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6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4.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파일:女神ヴェルダンディの導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일어판 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ヴェルダンディの<ruby>導<rp>(</rp><rt>みちび</rt><rp>)</rp></ruby>き,
영어판 명칭=Goddess Verdandi's Guidance,
효과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왈큐레" 몬스터뿐일 경우에는\, 덱에서 "여신 우르드의 재단"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3=②: 1턴에 1번\, 카드의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를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맨 위의 카드를 서로 확인하고\, 선언한 종류의 카드였을 경우\, 상대는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다를 경우\, 또는 세트할 수 없을 경우\, 상대는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oddessVerdandesGuidanc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일어판 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ヴェルダンディの<ruby>導<rp>(</rp><rt>みちび</rt><rp>)</rp></ruby>き,
영어판 명칭=Goddess Verdandi's Guidance,
효과1=1턴에 1번\, 상대 덱 맨 위에 있는 카드의 이름을 맞춘다. 맞혔을 경우\, 상대 플레이어는 그 카드를 강제로 필드에 세트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에서 지크 로이드가 사용.

듀얼시에는 항상 여신 우르드의 재단, 여신 스쿨드의 탁선과 함께 발동되었으며, 먼저 여신 스쿨드의 탁선의 효과로 세 장의 카드 중 가장 강한 몬스터를 골라 맨위에 놓은 뒤 이 카드의 효과로 필드에 강제로 세트시키고, 여신 우르드의 재단의 효과로 제외해버리는 몬스터 말살의 여신 콤보를 선보였다. 이 때, 의식 몬스터는 세트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통상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는 세트할 수 없는 듯 하다.

원작에 비하면 카드를 맞추는 조건이 완화되었지만, 그래도 어렵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성공하더라도 서둘러 제거하지 않으면 상대가 "아이고, 감사합니다."를 외치며 요긴하게 써먹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봉황날개의 폭풍을 사용해 상대방이 사용하는 카드 중 까다로운 앞면 표시 카드를 덱 위로 보내 덱 맨위를 일부러 맞춰야 한다. 제거의 경우엔, 마법 / 함정은 박멸의 사도, 그리고 몬스터는 말살의 사도가 좋을 듯 하다. 실제로 지크 프리드도 말살의 사도를 덱에 넣었다. 쓰지는 않았지만.

스쿨드가 없으면 이 카드는 있으니만 못하게 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도 단점. 일단 스쿨드는 천재지변과 엿보는 고블린으로 대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 카드의 효과 몬스터를 세트하는 것은 뒷면 수비 표시 특수 소환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만약 상대 덱 맨 위의 카드가 의식 몬스터 같은 특수 소환 몬스터였을 경우에는 불발이 된다.

모티브는 노른의 여신 세 자매 중 둘째인 베르단디. 현재를 관장하는 여신이라 그런지 상대방의 카드를 필드로 불러들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09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7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7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5. 여신 우르드의 재단

파일:女神ウルドの裁断.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여신 우르드의 재단,
일어판 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ウルドの<ruby>裁断<rp>(</rp><rt>さいだ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Goddess Urd's Verdic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고\,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1턴에 1번\, 카드명을 1개 선언하고\, 상대 필드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세트된 카드를 서로 확인하고\, 선언한 카드였을 경우\, 그 카드를 제외한다. 다를 경우\,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oddessUrdsVerdict-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여신 우르드의 재단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女神<rp>(</rp><rt>めがみ</rt><rp>)</rp></ruby>ウルドの<ruby>裁断<rp>(</rp><rt>さいだ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Goddess Urd's Verdict,
효과1=1턴에 1번\, 상대 필드 위에 세트되어 있는 카드의 이름을 맞춘다. 맞혔을 경우\, 그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에서 지크 로이드가 사용.

듀얼시에는 항상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여신 스쿨드의 탁선과 함께 발동되었다. 여신 스쿨드의 탁선의 효과로 상대 덱을 조작하고, 그 중 맨 위에 있는 카드를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의 효과로 강제로 필드에 세트해 온 뒤에 이 카드로 제외시키는 몬스터 말살의 여신 콤보의 마침표라 할 수 있는 카드.

다만 혼자서 쓰기에는 꽤나 까다로운 카드인데, 발동 조건인 카드 이름을 맞추는 것이 다른 카드의 도움없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OCG화 되면서 베르단디와 스쿨드에 서치 효과가 달려서 사용하기 편해진 점은 다행. 하지만 이쪽에는 서치 효과가 없다.

단독으로만 굴린다면 몬스터를 달의 서쓰쿠요미, 어둠의 봉인검 등으로 뒤집어서 제외시키거나, 마인드 핵, 예언승 초렌, 구원의 마술사 거울 등으로 세트된 카드를 확인하고 날리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모티브는 노른의 여신 세 자매 중 맏인 우르드. 과거를 관장하는 여신이라 그런지 상대방의 필드를 제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hadows in Valhalla SHVA-EN010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8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8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6. 종막의 빛

파일:終幕の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종막의 빛,
일어판명칭=<ruby>終幕<rp>(</rp><rt>しゅうまく</rt><rp>)</rp></ruby>の<ruby>光<rp>(</rp><rt>ひかり</rt><rp>)</rp></ruby>,
영어판명칭=Final Ligh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000 의 배수의 LP를 지불하고\, 지불한 LP 1000 당 1장\, 자신 묘지의 "왈큐레"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는 자신 묘지에서 공격력 2000 이하의 몬스터를 고르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inalLight-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종막의 빛,
일어판명칭=<ruby>終幕<rp>(</rp><rt>しゅうまく</rt><rp>)</rp></ruby>の<ruby>光<rp>(</rp><rt>ひかり</rt><rp>)</rp></ruby>,
영어판명칭=Final Light,
효과1=라이프 포인트를 1000 지불하고\, 서로의 필드의 (불명) 파괴한다. 자신의 묘지에서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무작위로 선택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상대는 묘지에서 공격력 2000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 195화에서 지크 로이드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효과로 지크는 왈큐레 브륜힐데, 카이바는 그랜드 드래곤을 선택해 특수 소환했으며, 직후 브륜힐데로 그랜드 드래곤을 공격해 파괴했다.

OCG화되면서 왈큐레 전용 마법으로 변경되고 소울 차지와 비슷한 효과가 됐다. LP 코스트도 큰데 상대에게도 효과 무효도 없이 소생시킬 수 있으므로, 쓸 거라면 풀 전개를 해서 그 턴 안에 끝낼 생각을 하는 게 좋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avage Strike SAST-EN090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3 레어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3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7. 관련 함정 카드

7.1. 로게의 화염

파일:ローゲの焔.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로게의 화염,
일어판명칭=ローゲの<ruby>焔<rp>(</rp><rt>ほのお</rt><rp>)</rp></ruby>,
영어판명칭=Loge's Flame,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왈큐레"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공격력 2000 이하의 상대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왈큐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LogesFlam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로게의 화염,
일어판명칭=ローゲの<ruby>焔<rp>(</rp><rt>ほのお</rt><rp>)</rp></ruby>,
영어판명칭=Loge's Flame,
효과1=상대의 공격력 2000 이하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몬스터에게 공격받았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왈큐레 브륜힐데"를 덱 또는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 191화에서 지크 로이드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죠노우치 몬스터의 공격을 막았으며, 다음 턴 죠노우치가 발동한 허리케인에 의해 패로 되돌아가자 효과로 왈큐레 브륜힐데를 특수 소환했다.

원작에서의 특수 소환 범위는 왈큐레 브륜힐데로 고정이었지만 OCG화 되면서 레벨 5 이상의 왈큐레 몬스터로 훨씬 넓어졌다. 문제는 자괴 효과가 사라져서 상대가 이 카드를 보고 파괴를 허용할 일이 없다는 게 문제. 공격 봉인 효과를 써먹다가 공격력 2000 초과의 몬스터가 나오면 자괴 효과 발동을 노려서 왈큐레를 꺼내는 게 이 카드의 핵심인데, 제일 중요한 효과를 없애버려서 쓰기 애매해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ark Neostorm DANE-EN091 슈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20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20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7.2. 프라이아의 사과

파일:フライアのリンゴ.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프라이아의 사과,
일어판명칭=フライアのリンゴ,
영어판명칭=Apple of Enlightenmen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묘지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효과2=②: 세트되어 있는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의 수 + 1장을 덱에서 드로우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ppleofEnlightenment-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프라이아의 사과,
일어판명칭=フライアのリンゴ,
영어판명칭=Apple of Enlightenment,
효과1=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그랑프리 편 191화에서 지크 로이드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죠노우치가 허리케인을 발동해 지크의 여신 스쿨드의 탁선, 여신 베르단디의 인도, 여신 우르드의 재단을 패로 되돌리자 같이 세트된 이 카드도 바운스되어 효과를 발동했다.

범용 드로우 카드였던 원작과 달리 왈큐레 전용 함정 카드가 됐으며, 패로 되돌아갈 땐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됐다. 원작과 달리 추가 드로우를 노릴 수 있게 됐지만, 상대 효과에 기댄다는 단점으로 생각만큼 큰 힘을 발휘하기 힘들다.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 묘지의 카드를 제외하는 ①의 효과가 추가됐지만, 자신 필드의 왈큐레 몬스터 수에 의존하므로 불안정한 감이 있다. 최대 수치로 전개했을 경우 총 6장을 제외할 수 있지만, 역시 단일로 5장까지 제외가 가능한 영혼의 해방이 더 쓰기 편하다. 프리체인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패 트랩이라 사용이 더 편한 D.D. 크로우보다 사용감이 불편한 편이다.

②의 효과로 상대에 의해 제거된 경우라도 최소 1장의 패를 보충할 수는 있지만, 세트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의 제거 효과에 체인 발동해 ①의 효과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주의할 것.

여담으로 대부분의 왈큐레 관련 카드들의 일러스트가 OCG화되면서 원작과 다른 화풍으로 일신되는 가운데, 이 카드의 일러스트는 드물게도 원작의 스타일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디자인으로 나왔다.

모티브는 북유럽 신화의 여신 프레이야로, 그녀가 들고있는 황금사과는 북유럽 신화에서 불멸이나 젊음을 부여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마침 후속작 유희왕 5D's에서 마찬가지로 북유럽 신화를 모티브로 한 삼극신 덱을 쓰는 팀 라그나로크의 브레이브도 프릿그의 사과란 카드를 썼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avage Strike SAST-EN091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9 EP19-JP019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9 EP19-KR019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신의 거성-발할라
    왈큐레 몬스터가 하급이 비교적 적은 편이라 패말림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딱이다. 특히 시그룬과 궁합이 매우 좋은데, 발할라로 왈큐레를 꺼낸후 발할라를 코스트로 시그룬을 꺼내고 시그룬 효과로 또 한장을 전개하면 총 3체의 왈큐레가 나온다. 이렇게해도 일소권이 남아서 추가전개가 가능하다. 단점이라면 패소모가 크다는점.
  • 원 포 원
    세크스트를 곧바로 띄울 수 있는 카드. 덕분에 세크스트의 효과로 전개하기 쉬워진다. 세크스트의 효과로 시그룬을 부르고, 시그룬의 효과로 패, 묘지의 왈큐레를 추가 소환하면 원 포 원 한 장[19]으로 총 세 마리를 전개할 수 있다. 물론 패트랩은 조심 또 조심.
  • 트랜스턴
    바람속성인 채리어트들을 제외하면, 모든 왈큐레들이 빛속성/천사족이라는 특징을 공유하며, 레벨도 제각각이라 1부터 9까지 전부 있다. 덕분에 트랜스턴의 발동 조건을 매우 만족하며, 최상급인 시그룬을 제외하면 모든 왈큐레가 트랜스턴으로 몬스터를 바꿔먹을 수 있다. 같은 천사족 카드군인 환주에서도 트랜스턴이 필카 수준인 것을 생각하면 재밌는 점.
  • 디클레어러 디바이너, 토리아스 히에라루키아
    천사족 전개덱의 필수 카드조합인 만큼 왈큐레 덱에서도 굉장히 궁합이 좋다. 디바이너 한장만으로도 시그룬과 히에라루키아를 전개해 9축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으며, 발할라나 광신화 같은 카드로 소환하면 필드를 왈큐레로 가득 전개할 수 있다.
  • L·G·D
    왈큐레엔리트로 왈큐레들을 특수 소환했으나 시간의 여신의 장난을 서치하는 것에는 실패했을 때 덱으로 돌아가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카드. 다만 상대 필드 클린 효과는 당연히 사용 불가능에 왈큐레 카드군과는 아무 시너지가 없고, 링크5 몬스터인 것도 모자라 무조건 몬스터 5체를 요구하기에 소환이 쉬운 편은 아니다.[20]

9. OCG화 되지 않은 카드

9.1. 백조의 아가씨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SwanMaiden-OW.png
한글판 명칭 백조의 아가씨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白鳥, ruby=はくちょう)]の[ruby(乙女, ruby=おとめ)]
영어판 명칭 Swan Maiden
일반 마법
자신의 패에서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를 1장 특수 소환한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포트 카드. 천사족 범용 소환 카드인 발할라와 같이 쓰면 좋을 듯하다.

9.2. 영웅의 가교-비브로스트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RainbowBridgeBifrost-OW.png
한글판 명칭 영웅의 가교-비브로스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英雄, ruby=えいゆう)]の[ruby(掛橋, ruby=かけはし)]-ビヴロスト
영어판 명칭 Rainbow Bridge Bifrost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필드 위의 "왈큐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게임에서 제외된 상대 몬스터 1장당 500 포인트 올린다.
차원의 틈이나 매크로 코스모스와 조합하면 호궁합이라 제외를 하긴 해도 찔끔찔끔하는 왈큐레보다 제외 덱에 더 어울리는 듯한 효과다. 하지만 OCG화되면 에르다와 함께 쓰일 듯.

여담으로, 팀 라그나로크의 멤버들이 가진 카드 중에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라는 이 카드와 비슷한 카드가 존재한다. 효과는 나오지 않았고, 대신 팀 5D's가 아크 크레이들로 갈 수 있는 다리를 만들어주었다.

[1] 노출된 복부에 갈비뼈와 복근까지 세밀하게 묘사된 것은 덤.[2] 단일 카드로 놓고보면 더 오래 걸린 카드도 있다. 비행코끼리, 갓 슬라임 등.[3] 작중에서 지크가 왈큐레를 사용할 때마다 발할라 운운했는데, 거기서 딴 작명인 듯. 닌자, 크툴루, 소환수도 같이 수록되었다.[4] 특히 해당 팩에는 미계역, 크로노다이버 등 괜찮은 성능의 카드군과 원시생명체 니비루, 명왕결계파 같은 파워 카드도 함께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카드들을 노리고 팩을 뜯는 유저들 사이에서 이런 반응이 자주 나온다.[5] 심지어 하루 우라라 등으로 시간의 여신의 장난의 서치가 막힐 가능성도 있다.[6] 사실 몬스터들의 효과 자체는 대부분이 다른 카드군이었다면 주력 카드로 사용을 감안했을 정도로 꽤나 좋은 편이다. 문제는 그 효과들이 왈큐레 카드군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혹은 다른 왈큐레가 있어야 발동이 가능한데 공격력은 그야말로 DM시즌에서도 초창기에나 보일 정도로 형편없고 그 결점을 메워줄 용병 카드의 사용이 어려운데 자체 엑스트라 덱 몬스터조차 없다는 것에 기반한다.[7] 거기에 더해 세크스트나 시그룬을 통한 재활용을 우려해서인지 모든 몬스터의 효과가 카드명 제약이 걸려있다는 것 또한 그 결점을 증폭시킨다.[8] 신의 거성-발할라, 광신화 같은 범용 특소 카드는 있지만 최신 메타에서 패 특소는 그리 좋은 서포트가 아니다. 대행자트릭스터처럼 강력했던 천사족 카드가 없는 건 아니지만, 종족 서포트 면에서는 천사족은 유희왕에서 엄연히 비주류 종족이다.[9] 단, 어느 선택지든 3종류 외에는 몬스터는 물론, 왈큐레만의 개성이라고 할 수 있는 시간의 여신의 장난 역시 빼게 되는데 현재 9축의 최종병기인 진룡황마저 금지를 당하며 다른 덱과 비교해 뚜렷한 장점이나 개성이라 할만한 점이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10] 아르테스트와의 연계로 묘지로 보낸 후 제외해버리는 방법도 있지만 그 또한 묘지에 가자마자 발동하는 효과나 묘지에서 발동하는 마법, 함정의 효과는 막을 수 없다.[11] 일반 몬스터라지만 한국 기준으로는 마법의 지배자에서 나온 동일 모티브, 동일 레벨의 발키리보다도 능력치가 떨어진다.[12] 소환한 왈큐레 츠바이트 세 마리 중 두 마리의 효과로 곤충 여왕과 블랙 티라노를 파괴하고 왈큐레 아르테스트의 효과를 발동해 공격력을 파괴된 두 마리 중 공격력이 더 높은 블랙 티라노의 2600으로 올린다해도 공격력 총합은 7400. 하가와 류자키는 라이프를 공유하지 않고 있으므로 중 한 명은 원턴킬할 수 있어도 둘 다는 무리다. 연출상 생략되었을 뿐 패에서 왈큐레 아르테스트를 한 마리가 아니라 두 마리 소환한 것이라고 하면 추가로 곤충 여왕을 제외한 아르테스트의 공격력까지 더해 원턴킬이 가능하다. 혹은 드리트처럼 하급 왈큐레 몬스터를 일반소환했다면 아귀가 맞아떨어진다.[13] 다만 곤충 여왕은 묘지에서는 공격력 2200이 되어 2명을 원턴킬하기엔 공격력이 200 부족하므로 다른 카드를 별도로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14] 상대가 엑스트라 링크를 했을 경우.[15] 차라리 자신의 마법 카드의 효과도 받지 않았다면 왈큐레엔 리트의 덱귀환 효과도 받지 않아 더 가치가 있었을 것이다.[16] 참고로 카드명이 곡 이름이랑 동일하다.[17] 물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왈큐레 몬스터 뿐이어야 한다.[18] 카이바는 이전에도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진실의 눈의 효과에 의해 패가 드러나버리자 분노하는 반응을 보였다. 참고로 이 때 확인한 카드 역시 공교롭게도 푸른 눈의 백룡.[19] 원 포 원의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몬스터를 보내야 하지만, 그 묘지로 보낸 몬스터를 시그룬으로 부활시키면 사실상 노 코스트다.[20] 세크스트나 시그룬을 왈큐레엔리트로 내고 다른 한쪽을 낸 후 드리트를 내고 그렇게 서치한 카드를 일반소환한다고 쳐도 최초 왈큐레엔 리트로 세크스트나 시그룬과 함께 소환할 카드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즉 패소모가 최소 3장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왈큐레 드리트,version=11, uuid=9017f69b-cc92-4253-bc00-6f2e06fd1b79,
title2=왈큐레 츠바이트,version2=21, uuid2=3df4b2ab-a7af-4bfc-a223-ba6fc239b5db,
title3=왈큐레 아르테스트,version3=25, uuid3=cdf9240c-97c8-44ba-98b3-ff20cccab82e,
title4=포츈 채리어트,version4=13, uuid4=095b41ca-eb96-47e5-be5d-d7fddcc1d73d,
title5=왈큐레 브륜힐데,version5=25, uuid5=43162e49-82f5-4b81-8217-0390d8b36fde,
title6=왈큐레엔 리트, version6=17, uuid6=42459313-c10f-4bc2-aab7-b469d0da8ee0,
title7=왈큐레의 포옹, version7=15, uuid7=8ce31b51-a68b-4ba8-82de-73e4d21fff72,
title8=천마의 날개, version8=9, uuid8=3ff1ac2f-03e5-426f-98b0-481271583fec,
title9=시간의 여신의 장난, version9=75, uuid9=81d3c433-776a-46aa-898e-e39057d8de67,
title10=여신 스쿨드의 탁선,version10=7, uuid10=7a1437ef-2d85-4c24-a72e-a885978c9362,
title11=여신 베르단디의 인도,version11=5, uuid11=ba49910c-9413-4118-bc1b-a173853861b0,
title12=여신 우르드의 재단,version12=6, uuid12=e276f5dd-64b7-4b71-ac7d-b86cb2420d62,
title13=종막의 빛,version13=16, uuid13=1462f1cf-2ec0-4ac2-9624-2c1b27953d35,
title14=로게의 화염,version14=9, uuid14=d05c7617-34f3-42f4-9bea-1583490451f5,
title15=프라이아의 사과,version15=23, uuid15=24b7f647-36f4-4796-9eb1-ae3b2b4c63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