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2. 설명
2.1. 원작
한글판 명칭 | 수축 |
일어판 명칭 | [ruby(収縮, ruby=しゅうしゅく)] |
영어판 명칭 | Shrink |
속공 마법 | |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한다. |
원작 배틀 시티 편에서부터 카이바 세토가 사용. 작중에서는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듀얼 중 블러드 볼스를 대상으로 발동하여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모체로 삼는 콤보로서 활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그 후 준결승전 대진을 정하는 배틀로얄 듀얼에서는 어둠의 마리크의 다크 제로이드가 죠노우치 카츠야의 철의 기사 기어프리드를 공격하는 순간 발동하여, 악마의 주사위로 반격하려 했던 기어프리드의 공격력을 반감시켜 그냥 격파당하게 만들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통해 사용 빈도가 늘었다. 뿐만 아니라 도마 편에서는 라펠이 어둠의 유우기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도 등장하는데, 유우기가 오리컬코스의 결계로 강화한 블랙 매지션 걸을 중강갑 거북의 효과로 사출시킨 순간 발동하여 패배를 면했다.[1]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수축,
일어판 명칭=<ruby>収縮<rp>(</rp><rt>しゅうしゅく</rt><rp>)</rp></ruby>,
영어판 명칭=Shrink,
효과1=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절반이 된다.)]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하여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반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간단하고 알기 쉬운 효과의 전투 보조용 마법 카드로, 일반적으로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깎아 전투로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할 것이지만, 자신의 몬스터에게도 쓸 수 있으므로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를 필요로 하는 카드와 연계할 수도 있다.
굳이 전투를 하지 않아도 상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많아진 11기 환경 기준으로는 채용 가치가 없으나, 듀얼 속도가 빠르지 않고 1:1 교환 카드도 많지 않으며 하급 싸움이 중요했던 과거 환경에서는 매우 요긴하게 쓰였다. 특히 데미지 스텝에 전투에 개입할 수 있는 카드 가운데 가장 기대값이 높은 범용 카드였다는 점이 한몫하였다. 많은 수요에 비해 적은 공급 때문에 많은 수의 유저들이 돌진을 대신 채용하기도 했을 정도. 당시에도 작렬 장갑처럼 고성능 제거 카드가 존재했지만 속공 마법 중에서는 이 카드를 위협할 만한 경쟁자가 없었다.
과거에는 단순한 텍스트에 비해 카드의 효과에 대해서는 말이 많았던 카드인데, 그 이유는 이 카드의 실제 효과 적용이 명시된 텍스트와는 다르기 때문이었다. 과거 이 카드의 정확한 효과는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절반으로 만든다'였다. 결과적으론 하향이 됐는데 별 의미 없어 보이지만 과거의 효과는 예를 들어 F·G·D에 데몬의 도끼를 장착하면 공격력이 6000인데 원래 공격력의 절반으로 하는거라 2500까지 떨어지지만 지금의 효과는 2500+ 1000 하여 3500이 된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03-12-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K2-02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
2007-12-15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14-JP01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帝王の降臨 - |
2009-12-12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18-JP02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マシンナーズ・コマンド - |
2015-12-19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MP01-JP021 | MILLENNIUM PACK |
2016-06-18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KS-JP027|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
2021-07-10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R01-JPB19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青眼の白龍 ] |
2022-04-23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KC01-JP048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
2022-04-29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R02-JPC20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サクリファイス) |
2006-05-0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JC-EN003 | SHONEN JUMP Championship 2006 |
2006-10-28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PT02-EN001 | PHARAOH TOUR 2006 |
2008-10-21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DZW-EN027 | ZOMBIE WORLD STRUCTURE DECK |
2010-02-23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DMM-EN024 | MACHINA MAYHEM STRUCTURE DECK |
2013-06-28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BP02-EN146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2013-12-0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YSKR-EN037 | STARTER DECK KAIBA RELOADED |
2016-04-15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MIL1-EN018 | MILLENNIUM PACK |
2016-10-07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DK2-ENK24 | LEGENDARY DECKS II |
2016-10-21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DKS-EN025 | STRUCTURE DECK : SETO KAIBA |
2018-03-09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CKC-EN043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2020-11-2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BCB-EN099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2024-03-01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KC01-EN048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
2024-04-03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TP7-EN027 | SPEED DUEL TOURNAMENT PACK 7 |
2024-11-07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RA03-EN162 | QUARTER CENTURY BONANZA |
2024-12-13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BC2-ENB11 | SPEED DUEL: BATTLE CITY FINALS |
2008-03-29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14-KR018 | 스트럭처 덱 - 황제의 강림 - |
2010-04-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18-KR023 | 스트럭처 덱 - 머시너즈의 지령 - |
2014-01-0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E03-KR021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1 |
2016-09-06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MP01-KR021 | 밀레니엄 팩 |
2016-10-07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KS-KR027 | 스트럭처 덱 - 카이바 - |
3. 관련 카드
3.1. 거대화
[1] OCG 룰상으로는 이미 필드를 벗어난 블매걸을 대상으로 할 수 없기에 재현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