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00:18:23

드래그니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7><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000> 듀얼 터미널 1부 스토리 관련 카드군 ||
<colcolor=#ffc90c> 카드군 빙결계 안개 골짜기 플레임벨 X-세이버 A·O·J
드래그니티 쥬락 나츄르 제넥스 마굉신
관련 카드 최후의 동조정신오염진염의 폭발 XX 클루전마수의 회유
초래의 대가천룡설옥연옥의 함정 속으로전화의 잔재
관련 문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 솔로 모드 "TERMINAL WORLD"
둘러보기 듀얼 터미널 1부 | 듀얼 터미널 2부 | 듀얼 터미널 3부

드래그니티
한국판 명칭 드래그니티
일본판 명칭 ドラグニティ
영어판 명칭 Dragunity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바람 드래곤족
비행야수족
[ 접기 ]
효과
싱크로
링크

1. 개요2.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설정3. 성능
3.1. 역사3.2. 장점3.3. 단점
4. 효과 몬스터 (튜너)
4.1. 레벨 1
4.1.1. 드래그니티-브랜디스톡4.1.2. 드래그니티-코르세스카
4.2. 레벨 2
4.2.1. 드래그니티-파랑크스4.2.2. 드래그니티-레무스4.2.3. 드래그니티-쿠제4.2.4. 드래그니티-아큐리스4.2.5. 드래그니티-자베린4.2.6. 드래그니티-파르티잔4.2.7. 드래그니티-팔시온
4.3. 레벨 3
4.3.1. 드래그니티-기잠4.3.2. 드래그니티-블랙스피어4.3.3. 드래그니티-필룸
5. 효과 몬스터 (非 튜너)
5.1. 레벨 1
5.1.1. 드래그니티-트리블
5.2. 레벨 3
5.2.1. 드래그니티-레기온
5.3. 레벨 4
5.3.1. 드래그니티-둑스5.3.2. 드래그니티-밀리텀5.3.3. 드래그니티-세나트5.3.4. 드래그니티-레가투스5.3.5. 드래그니티-퀴리누스
5.4. 레벨 5
5.4.1. 드래그니티-앙그스5.4.2. 드래그니티-프리머스 필러스
5.5. 레벨 6
5.5.1. 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
5.6. 레벨 8
5.6.1.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5.7. 레벨 10
5.7.1.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6. 싱크로 몬스터
6.1. 레벨 6
6.1.1. 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6.1.2. 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6.1.3. 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6.1.4. 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
6.2. 레벨 7
6.2.1. 드래그니티 나이트-트라이든트6.2.2. 드래그니티 나이트-고름파바르
6.3. 레벨 8
6.3.1. 드래그니티 나이트-벌처6.3.2.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레우스
6.4. 레벨 10
6.4.1. 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6.4.2.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
7. 링크 몬스터
7.1. 링크 2
7.1.1. 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
7.2. 링크 4
7.2.1. 드래그니티 로드-게오르기아스
8. 마법 카드
8.1. 드래그니티의 신창8.2. 드래그니티 드래프트8.3. 질풍의 드래그니티8.4. 드래그니티 글로8.5. 신풍의 드래그니티
9. 함정 카드
9.1. 드래그니티 드라이브9.2. 드래그니티 보이드
10. 관련 카드
10.1. 용의 계곡10.2. 용 조종술
11. 같이 사용하면 좋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6탄 '질풍의 드래그니티!'부터 등장한 바람 속성 테마군. 영어로는 'Dragunity'. 가장 유력한 유래는 Dragon + Unity이다.

용을 타고 싸우는 용기사 컨셉으로, 비행야수족드래곤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래그니티 몬스터는 크게 넷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용을 다루며 싸우는 기수에 해당하는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이들이 타고 싸우거나 변형하여 이들의 무기가 되는(장착 카드가 되는)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그리고 기수가 용에 탑승하여 탄생하는 용전사에 해당하는 드래곤족 싱크로 및 링크 몬스터 '드래그니티 나이트', 마지막으로 직접 검을 들고 싸우는 인간형 고레벨 드래곤족 몬스터 '드래그니티 암즈'가 있다.

몬스터들의 이름도 비행야수족은 이름이 군대나 계급, 드래곤족은 이름이 대부분 에 관련된 것이 특징이며, 드래그니티 나이트들은 전설에 나오는 창, 드래그니티 암즈는 전설에 나오는 검의 이름으로 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2.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설정

안개 골짜기 깊숙한 곳에 위치한, 사시사철 온후한 기후를 유지하는 용의 계곡에 영역을 잡은 조인(鳥人) 일족.[1] 용을 사역하며 마음을 통해 능력을 발휘하는 비전이 일족에 내려져 오며, 그 비전을 지키기 위해 바깥 세계와의 접촉을 거부해 왔기에 반쯤 전설로 치부되고 있었다. 따라서 같은 안개 골짜기에 살지만 흔히 안개 골짜기라고 불리는 안개 골짜기 전사단과는 교류가 전혀 없던 관계다.

그러던 중 A·O·J 탈퇴 후 혼자 싸우면서 마굉신의 공세에 몰리고 있던 안개 골짜기의 이변을 감지하고 구원을 위해 나타났다. 당시 듀얼 터미널은 한 속성당 한 테마씩만을 수록했기에 드래그니티의 등장 이후 안개 골짜기는 듀얼 터미널에서 추가 지원을 받지 못했다.

듀얼 터미널 1부 스토리에서 드래그니티가 언급된 것은 저게 끝으로, 듀얼 터미널 가동이 종료되고 나서는 특별한 행적은 묘사된 바가 없었다. 그러다가 OCG 11기에 들어 등장한 천룡설옥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스트럭처 덱 R 신규 카드를 통해, 드래그니티가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와 맞서 싸워서 빙결계의 신정령이 빙결계 3룡을 재봉인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뒷설정이 추가되었다.

의외로 생각해보면 이는 적절한 배정인데, A·O·J는 기본적으로 웜과 공멸하며 세력이 크게 약화됐고[2], 애초에 그 트리슈라가 단번에 몰살시킨 마굉신을 어찌하지 못해서 빙결계가 봉인을 푼 것이니, 빙결계의 제어가 모조리 무위로 돌아간 시점에서 A·제넥스를 포함한 A·O·J 전체를 봐도 트리슈라에 대항할 여력이 있을 리 만무했다. 네오플레임벨은 최고 전력인 고대 신 플레임벨이 이미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에게 패배했고, 쥬락은 아예 멸종, 나츄르는 규모가 작은 소규모 부족이었으니 선역 테마들은 드래그니티를 빼고는 이미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가 봉인에서 풀린 시점에서 다 사라지거나 패배했기 때문. 어찌보면 뒷처리 담당

트리슈라가 강림하며 용의 계곡에도 한기가 덮치자 위기를 느낀 지휘관 둑스가 아스칼론과 아라드와를 강림시켜 격전의 땅으로 향했다.[3] 격전 도중 트리슈라가 극한 상태로 각성하며 드래그니티는 궁지에 몰렸으나, 만신창이가 된 아라드와가 뿜어낸 연옥의 화염이 삼룡의 힘을 급격하게 깎아내고, 신정령이 자기희생으로 봉인을 이룸으로써 전화는 끝이 나게 된다.

이후 듀얼 터미널 3부에서도 간접적으로 등장. 엘섀도르 아노마릴리스와의 전투 도중 네크로즈의 반혼술로 부활한 8마리의 룡성이 아노마릴리스를 쓰러뜨리기 위해 자신들의 힘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을 결의하자 이에 감명받은 에그자가 8마리의 룡성의 영혼을 촉매로 과거에 존재했던 용인 드래그니티의 여덟 드래곤들을 강령, 8마리 용의 영혼들을 결합해 드래그니티의 신창을 만든다.[4] 거기에 슈리트는 아라드와의 힘을 강림시켜 아라드와의 네크로즈가 되어 싸운다. 이걸 보아 3룡과의 싸움에는 이겼지만 피해도 상당해서 아스칼론과 아라드와 또한 명이 길진 못했던 모양이다.

3. 성능

출시 당시 컨셉이 중구난방한 편이던 듀얼 터미널 1기 카드군 중 하나지만, 드래그니티는 싱크로 환경이 어느 정도 진행된 시기에 등장한 덕분인지, '저레벨 드래곤족 튜너를 장착 마법으로서 비행야수족에게 장착 후 특수 소환, 그 둘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 후 비트'라는 컨셉이 처음부터 확실했고 성능도 비교적 나은 편이었다. 이런 점이 코나미 입장에서는 강화하기 편하다고 생각되었는지 듀얼 터미널에서 최초로 스트럭처 덱 지원을, 그것도 2번이나 받은 테마다.

출시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는 비트 대신 전형적인 선공 전개 덱으로 스타일이 정립되었다. 저레벨 드래곤족을 장착시킨 후 특수 소환하는 특유의 전개 방식은 그대로지만, 아큐리스와의 콤보로 비트를 하던 바쥬란다는 이제 전개의 중간다리로 사용되며, 전개 파츠들을 묘지에 묻어줄 가잘그와 소환하기 쉬워진 벌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아라드와를 비롯한 8, 10레벨 싱크로 몬스터 및 링크 몬스터를 전개한다.

이때 전개 과정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들 외에도 BF-정예의 제피로스, 성각용왕-아툼스, 천구의 성각인,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남정룡-템피스트 등 다양한 전개 파츠들을 사용한다. 이때 레무스의 효과 때문에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만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으나, 드래그니티 싱크로/링크 몬스터들과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 등 전개 결과물로서 내놓을 수 있는 몬스터들은 충분하기에 전개에 성공했다면 강력한 빌드를 세울 수 있다.

단점은 덱에서 끌어와야 하는 호감 파츠들이 많고, 용병의 비중을 높이지 않으면 견제가 몬스터 중심으로 쏠려서 라의 익신룡-구체형, 명왕결계파 등의 특정 돌파 카드에 취약하다. 테마 내 카운터 함정은 있으나 이를 서치할 수단이 퀴리누스 출시 이전까지는 로물루스 단 1장 밖에 없었으며, 그 로물루스도 추가 전개를 위해 글로를 서치하느라 카함을 챙길 여유가 없었다.

또 전개 과정에서 엑스트라 덱과 패 소모가 극심하다. 패 코스트가 필요한 용의 계곡의 효과가 상대의 패 트랩에 막혔다면 손해가 크고, 특수 소환 및 서치 횟수도 많아서 증식의 G, 마루챠미 같은 드로우 잔존계 패 트랩과 드롤 & 로크 버드에 굉장히 취약하다. 착지점도 부실하여 천구의 성각인 정도 밖에 없는데, 비행야수족은 천구의 소재로 사용할 수 없기에 이조차 세우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3.1. 역사

일본에서는 2010년 6월에, 국내에서는 2010년 9월에 스트럭처 덱 드래그니티 드라이브가 발매되었다.

2012년 5월 19일(갤럭틱 오버로드-한국) 성각의 발매로 인해 성각용왕-아툼스를 활용한 원턴킬 형식의 드래그니티 덱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룡이 등장하면서 남정룡-템피스트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는 드래그니티는 2013년 3월부터 강력하고 속도가 빠른 덱으로 부활했다. 묘지에 남아도는 드래그니티를 제외하고 튀어나오는 남정룡-템피스트의 비트 능력도 나름 우수한 데다가, 특히 남정룡-템피스트가 제외되었을 때 발동되는 효과부터가 대놓고 드래곤족 서치. 때문에 봉인의 황금궤가 드래그니티 한정 만능 서치 카드로 활약하면서 튜너가 부족하면 파랑크스를, 콤보가 필요하면 미스틸을 서치하는 식으로 콤보를 잇기가 굉장히 원활해졌다.
안타깝게도 이 조합은 순수 정룡 덱의 파워가 지나치게 강해 2013년 중반기 내내 묻히다시피 했지만, 9월 1일자 금제로 인해 순수 정룡 덱의 파워가 약해지면서 다시금 강덱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OCG든 TCG든 남정룡-템피스트뿐만 아니라 염정룡-블래스터나 암정룡-레독스 같은 다른 속성 정룡까지 투입하는 진짜 정룡 드래그니티 덱까지 등장하고 있다.

2014년 TCG에서는 정룡을 아예 덱을 짤 수 없을 정도로 철저하게 죽이는 과정에서 용의 계곡금지 카드로 올라가서 이 카드군은 졸지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되고 말았다.

2014년 2월 OCG에서는 정룡들이 준제한에 그치고 서포트 카드들이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 칠성의 보도, 봉인의 황금궤를 빼면 아무런 칼질도 당하지 않아 남정룡-템피스트를 이용한 서치가 불편해졌을 뿐 별 차이 없이 돌릴 수 있어서 TCG와는 크게 희비가 교차하게 되었다. 라이트로드 정룡과 함께 순수 정룡 덱을 상당히 대체할 것으로 여겨졌는데...

2014년 4월 정룡 모두가 제한으로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탑 티어에 위치하게 되자 TCG와 비슷하게 용의 계곡용의 영묘에 제한을 먹였다. 결과적으로 정룡은 잠시 동안 드래그니티를 부활시켜 줬으나 드래그니티를 더 처참하게 만든 셈.

2014년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드래그니티 지원 카드인 드래그니티의 신창이 추가되었다.

바람 속성 지원 카드군 WW(윈드 위치)의 등장으로 꽤 상향이 되었다. 하지만 십이수가 너무 강력했고 범용 패 트랩 증식의 G유령토끼에 너무 취약하다. 유령토끼는 먼저 WW로 일반 소환권 안 쓰고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뽑아서 둑스에 달려드는 걸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게 됐으나, 증식의 G에 대해서는 더 난감해졌다.

링크 소환까지 등장하면서 전개에 제동이 걸리는 바람에 안 그래도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던 중에 또 치였다. 다행히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천구의 성각인 등 싱크로 몬스터 및 드래곤족 몬스터용 링크 2 몬스터가 나오며 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이후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사이버 드래곤과 함께 신규 지원 테마로 낙점되었다. 2018년 4월 5일에 사이버와 함께 덱 체험회 테마로까지 나왔을 정도. 10기 정규 부스터 팩의 OCG 오리지널 구성이 카드군이 아니었던 카드군을 재정비한 지원과 성잔 시리즈에 속하는 오리지널 카드군 하나를 내놨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다. 공개된 지원의 성능이 좋아 한 턴에 퍼미션 효과를 지닌 몬스터를 5장 이상 뽑을 정도. 수호룡이 금지된 게 다행이다

그리고 드래그니티 드라이브가 리메이크되면서 또다시 추가 지원을 받았다. 이전보다 좀 더 매끄러운 전개와 빌드, 후공 돌파용 덱특소 카드인 질풍의 드래그니티와 퍼미션 효과가 있는 아라드와의 존재로 확실히 상향을 먹었으나, 튜너를 묘지에 묻고 장착 카드로서 다시 필드에 올리는 특유의 전개 과정에서 다양한 패트랩을 맞는데 내성과 착지점이 딱히 없으며, 용의 계곡과 세나트의 패 코스트로 인해 전개 시 패 소모가 크고, 후속도 부실하다는 단점들이 해결되지 않았다.

현재는 상술한 단점으로 인해 드래그니티 덱 자체보다는 드래곤 링크 덱 파츠로서 용의 계곡 서치용 레무스, 로물루스가 주로 활용되며, 호불호에 따라 전개 파츠로서 레가투스까지 활용되는 편이다.

2025년, 터미널 월드 3의 지원 테마로 선정되었다. 지원 자체는 잘 받았지만 드래그니티의 근본적 구조에 변화가 있다거나 하는 건 아닌 탓에 드래그니티 본연의 한계가 남아있어 성능과 별개로 아쉽다는 평.

3.2. 장점

  • 턴제가 없는 전개 파츠들에서 나오는 높은 전개력
    첫 등장 후 10년도 더 지난 구식 테마이니만큼 핵심 전개 파츠 중 가잘그, 벌처, 파랑크스, 용의 계곡에는 턴제나 명칭 제약이 없다. 특히 용의 계곡은 패에 겹쳐 잡아도 전개가 가능하며 정예의 제피로스로 효과를 1번 더 사용할 수도 있고, 가잘그의 경우 성각용왕-아툼스, 윤회룡 삼사라, 드래그니티 글로 등 다시 소환할 수단이 풍부해 이들을 주축으로 전개하게 된다.
  • 강력한 필드
    상술한 높은 전개력 덕분에 패 트랩에 막히지 않으면 크리스탈윙,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천구의 성각인, 아라드와 등 다양한 퍼미션 몬스터들을 한 턴만에 세울 수 있다. 구축에 따라서는 말림을 감수하고 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를 장착한 레바테인 혹은 상대 턴에 천구의 성각룡의 효과로 아모르파지를 소환해 락을 거는 등으로 게임을 닫을 수 있다.

3.3. 단점

  • 전개 시 극심한 패, 엑스트라 덱 소모
    용의 계곡은 턴 제약이 없으나 효과 발동 시 코스트로서 패를 버려야만 하며, 다른 초동 카드인 세나트도 드래그니티 패 코스트가 필요해서 질풍의 드래그니티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전개에 2핸드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엑스트라 덱의 경우도 가잘그와 하급 튜너들을 우려먹을 전개용 파츠들이 전개 도중에 많이 사용되는 편이고, 이 때문에 전개에 성공하더라도 패는 말라있는데 퍼미션이나 전개를 담당할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을 다시 회수할 방법도 자체 기믹 내에 없어서 상대가 작정하고 뚫어냈다면 필드를 복구하기가 쉽지 않다.
  • 뒤떨어지는 돌파력
    공격권이 많지 않으며, 전개 중 안 맞는 견제가 없고 패도 계속 소모한다는 점까지 합쳐져 메인 기믹으로 후공 돌파를 노리기가 상당히 힘든 편이다. 턴 제약 없는 제외 효과로 후공 돌파에 특화된 아스칼론을 소환할 수 있을 정도면 이미 상대에게 남은 방해 수단이 없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황일 것이고, 드래그니티 암즈-그램은 소환 코스트에 비해 좋지 못한 효과, 맞지 않는 레벨까지 겹쳐 잘 채용되지 않는다. 때문에 후공 돌파는 패 하나로 싱크로 소환까지 이어주는 질풍의 드래그니티와 명왕결계파 등의 범용 카드에 의지하는 편.

4. 효과 몬스터 (튜너)

이름은 창 또는 보병진에서 따온 것이 많다. 장착 카드가 될 수 있는 점이나, 몸의 일부분이 무기로 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무기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드래그니티 나이트의 일러스트로 인해 크기가 꽤 클 것으로 여겨졌으나, 용 조종술의 일러스트에 따르면 비행야수족과 비슷한 크기이며, 어려 보이는 외관으로 봐서는 용의 유생(幼生)으로 여겨진다.

4.1. 레벨 1

4.1.1. 드래그니티-브랜디스톡

파일:ドラグニティ-ブランディストッ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브랜디스톡,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ブランディストック,
영어판명칭=Dragunity Brandistock,
속성=바람, 레벨=1, 공격력=600, 수비력=4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장착한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이름의 어원은 롬바르디아 일대를 중심으로 한 북부 이탈리아에서 주로 사용했던 브랜디스톡(brandistoc).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에게 더블 어택이 가능한 지속 효과를 부여하는 룰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4.1.2. 드래그니티-코르세스카

파일:ドラグニティ-コルセス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코르세스카,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コルセスカ,
영어판명칭=Dragunity Corsesca,
속성=바람, 레벨=1, 공격력=800, 수비력=7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종족 / 속성이 장착 몬스터와 같은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이름의 어원은 창의 일종인 코르세스카(Corcesca).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시 장착한 몬스터와 같은 종족 / 속성의 레벨 4 이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 유발 효과를 부여하는 룰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효과는 없는 셈 치고, 바람 속성 레벨 1 드래그니티 튜너라는 점 때문에 남정룡과 용의 계곡에 동시에 대응한다는 점을 높이 산 정룡 덱이 이용했었다.

4.2. 레벨 2

4.2.1. 드래그니티-파랑크스

파일:ドラグニティ-ファラン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파랑크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ファランクス,
영어판명칭=Dragunity Phalanx,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500, 수비력=11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장착 카드로 취급되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름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의 보병 방진 팔랑크스.

장착 카드로 취급된 상태에서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장착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특소가 가능하여 손쉽게 6레벨 싱크로로 이을 수 있다보니 발매 직후부터 지금까지 드래그니티 덱에서는 단 한 번도 빠진 적이 없다.

주의사항으로, 텍스트에 "1턴에 1번"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재정상 파랑크스가 마법 & 함정 존에서 특수 소환된 후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상태에서 카드 효과로 다시 장착되면 그 턴 중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하술할 쿠제와는 다르다.

이 카드의 효과는 '장착 카드(=마법 카드)'의 효과로, '몬스터 효과'가 아니라는 재정이다. 공식 사이트(일본어) 참고. 사용 시 주의할 것.

일본에서는 한 때 드래그니티, 사이버 다크에서 가장 비싼 몸값을 하는 몬스터로 스트럭처 덱에서 재판되지 않아서 몸값이 계속 오르고 있었다. 2010년 7월 시점에서, 일본 옥션에서는 장당 싸면 1200엔 비싸면 2000엔 이상으로 거래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스페셜 에디션의 동봉으로 튀어나와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죽하면 일본에서도 "한글판이라는게 그렇게 거슬리지 않는다면 차라리 이걸 구해서 써라"고 조언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리미트 레귤레이션과 함께 룰이 개정되면서 다른 언어판의 카드끼리 호환이 불가능해지자 일본 유저들이 구한 한글판들이 종이쪼가리가 되었다. 당연하지만 현재는 이 모두 옛말이 되었고, 링크 브레인즈 팩과 스트럭쳐 덱에서의 재록으로 더는 구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는 카드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19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스페셜 에디션 동봉 카드
SD19-KRSE1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숨겨진 세력 3 HA03-KR035 시크릿 레어 한국

4.2.2. 드래그니티-레무스

파일:ドラグニティ-レム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레무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レムス,
영어판명칭=Dragunity Remus,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8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드래그니티"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용의 계곡"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이 턴에\,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덱에서 용의 계곡 1장을 패에 넣는 기동 효과. 로물루스에 이어 드래그니티에서 자체적으로 용의 계곡을 서치할 수 있는 수단이 하나 더 생기게 되었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할 경우 필드를 벗어났을 때 제외되며 그 턴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만 특수 소환이 가능한 디메리트가 적용된다. 덤핑하거나 ①의 효과로 스스로 묘지로 보내거나 싱크로 소재로 사용한 후 이 효과를 발동해서 추가 전개를 노리는 것도 가능.

이 카드로 인해 드래그니티에도 드디어 1핸드 전개법이 생겼다. 레무스 + 패 코스트 2장이면 천구의 성각인, 드래그니티 나이트 아라드와, 로물루스를 단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파괴검을 단 레바테인까지 소환 가능하다. 레무스 + 패 코스트 1장으로 일반 소환 없이 크리스탈윙이나 아라드와 중 하나를 로물루스를 단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과 함께 뽑아낼수 있는 것도 덤.링크

이름의 유래는 로물루스의 동생 레무스로, 일러스트는 로물루스가 성장하기 전의 모습을 하고 있다.

4.2.3. 드래그니티-쿠제

파일:ドラグニティ-クー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쿠제,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クーゼ,
영어판명칭=Dragunity Couse,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1000, 수비력=2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드래그니티"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이 카드의 레벨을 4로서 취급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 카드 취급으로서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등장한 드래그니티의 신규 튜너.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레벨 4로서 취급할 수 있는 룰 효과. 고레벨 드래그니티의 싱크로 소환을 용이하게 해준다. 둑스를 포함한 레벨 4 드래그니티와 조합하면 기존의 드래그니티 내에선 활용하기 힘들었던 벌처를 쉽게 소환할 수 있게 해주고, 바쥬란다와 조합하면 레벨 10인 아스칼론이나 아라드와로 이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장착 카드 취급인 상태에서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파랑크스와 완전히 똑같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데, 파랑크스는 효과 발동 후 모종의 사유로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장착되면 그 턴 중에는 다시 특수 소환할 수 없고, 이 카드는 턴 제약이 없어서 다시 장착 카드가 되더라도 재소환할 수 있다.

그 대신 효과 외 텍스트로 드래그니티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어 범용 싱크로를 활용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물론 링크 소재로서는 제약이 없으니 여의치 않으면 로물루스나 다른 범용 드래곤족 링크 몬스터로 이어가는 변칙 활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모티브는 독일권에서 쓰였던 글레이브의 일종 쿠제(Kuse). 14세기부터 등장했으나 이후 도태되어 의장용으로 쓰이게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YBERNETIC HORIZON CYHO-JP017 일본 세계 최초수록

4.2.4. 드래그니티-아큐리스

파일:ドラグニティ-アキュリ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아큐리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アキュリス,
영어판명칭=Dragunity Aklys,
레벨=2,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를 장착 마법 카드 취급으로 장착한다.,
효과2=②: 몬스터에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름의 어원은 라틴에서 쓰이던 투창 아큐리스. 적을 확실히 끝내기 위한 디자인이며, 나중에는 로마에서도 비슷한 투창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 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 뒤 이 카드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간단하게 하급 드래그니티가 하급 드래그니티 튜너를 장착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그 대신 이 효과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프리머스 필러스 같이 유발 효과 발동 타이밍이 "때"인 카드들은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에 장착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지정해서 파괴하는 유발 강제 효과. 레기온과 조합하면 2장을 날려버릴 수 있고, 바쥬란다의 효과로 장착해 상대 필드를 제거하면서 타점을 올리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강제 효과이기 때문에 상대 필드에 카드가 없다면 자신의 카드를 터뜨려야 하며 이 카드는 능동적으로 스스로를 묘지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은근 까다롭다.

5D's 당시에는 바쥬란다와의 콤보로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며 공격력 3800으로 비트할 수 있어 곧장 사용된 카드였다.

이 카드의 파괴 효과의 발동 가능 여부는 이하와 같다.
  • 장착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효과 발동 불가
  • 장착 몬스터와 동시에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효과 발동 불가
  • 장착 몬스터가 달의 서 등으로 표시 형식이 바뀌거나, "아공간 탈출장치" 등으로 필드에서 벗어나, 그것이 원인이 되어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효과 발동 불가
  • 데미지 스탭에 효과를 쓸 수 있는 주제에, 전투 등으로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효과 발동 불가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19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D19-KR003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4.2.5. 드래그니티-자베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9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자베린,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ジャベリン,
영어판명칭=Dragunity Javelin,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1200, 수비력=8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묘지로 보내지 않고 장착 마법 카드 취급으로 자신 필드의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DUEL TERMINAL 7에 등장. 이름의 어원은 재블린.

4.2.6. 드래그니티-파르티잔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2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파르티잔,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パルチザン,
영어판명칭=Dragunity Partisan,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1200, 수비력=8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를 장착 마법 카드 취급으로 장착한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를 튜너로 취급한다.)]

이름의 어원은 파르티잔.

①의 효과는 소환 시 패에서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자신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그 몬스터에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아큐리스와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으로는 조금 차이가 있는데, 아큐리스는 아무 드래그니티 몬스터이면 되지만 이 카드는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에 한정된다. 즉, 드래곤족은 장착할 수 없다. 아큐리스와 마찬가지로 임의 유발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면 효과 발동 타이밍을 놓치므로 유의.

②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를 튜너로 취급하는 룰 효과.

4.2.7. 드래그니티-팔시온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그니티-팔시온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ドラグニティ-ファルシオン,
영어판 명칭=Dragunity Falchio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2,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3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 /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드래곤족인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대상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드래그니티" 몬스터에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이름의 어원은 펄션. 창 종류에서 이름을 따오던 드래그니티에서 이례적으로 검이 모티브다.

①의 효과는 패 /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덱 / 묘지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에 장착하는 기동 효과. 패에서 제외하면 당연히 손해이므로, 묘지로 보낸 뒤에 효과를 사용하게 된다. 덱 덤핑으로 보내든, 필드에 소환한 뒤 소재로써 보내든, 어떤 식으로든 묘지로 보낸 다음 효과를 격발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드래곤족 드래그니티를 장착시킬 수 있다. 덱뿐만 아니라 묘지도 효과 적용 대상이 되니 묘지로 보내진 카드의 재활용에도 도움이 된다.

②의 효과는 드래그니티 몬스터에 장착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지정해서 제외하는 기동 효과. 비슷한 필드 견제 효과를 가진 아큐리스와 비교하면 아큐리스는 앞면 / 뒷면과 자신 / 상대 필드를 가리지 않는 대신 스스로를 묘지로 보낼 수 없어 활용이 까다로우나 이 카드는 상대의 앞면 표시 카드에만 대응하지만 스스로를 묘지로 보낼 수 있으며 파괴보다 더 강한 제외이기 때문에 상대의 자원 회수를 골치아프게 만든다. 후공에서 장착 상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상대 필드를 견제한 다음 바로 ①의 효과를 사용하는 플레이도 가능.

아스칼론의 원본격 몬스터이자 게오르기아스가 타고 다니던 용으로 추정되는데, 게오르기아스의 일러스트에서는 형상이 제대로 드러난데 반해 이 카드의 일러스트에선 반투명한 형태를 띄고 있다. 육체째로 봉인되어 있던 아라드와와 달리 죽어서 영혼만 남은 것으로 보이며, 훗날 둑스가 발휘한 비술에 의해 아스칼론으로 다시 강림하게 된다.
수록 시리즈
2025-1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W03-JP019 | TERMINAL WORLD 3

4.3. 레벨 3

4.3.1. 드래그니티-기잠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0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風霊媒師ウィン.jpg
파일:焔聖騎士-リナルド.jpg
파일:アーマード・ビットロン.jpg
파일:マシンナーズ・メタルクランチ.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73
풍령매사 윈
VJMP-JP174
불꽃성기사-리나르도
VJMP-JP175
아머드 비트론
VJMP-JP176
머시너즈 메탈크런치
파일:電脳堺姫-娘々.jpg
파일:暗黒騎士ガイアオリジン.jpg
파일:百年竜.jpg
파일:太陽の魔術師エダ.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80
전뇌계희-냥냥
VJMP-JP181
암흑 기사 가이아오리진
VJMP-JP182
백년룡
VJMP-JP183
태양의 마술사 에다
파일:超重禽属コカトリウム.jpg
파일:ドラグニティ-ギザーム.jpg
파일:カオス・グレファー.jpg
파일:迅雷の暴君 グローザー.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87
초중금속 코카트륨
VJMP-JP188
드래그니티-기잠
VJMP-JP189
카오스 그레퍼
VJMP-JP190
신뢰의 폭군 그로자
정기구독 특전
VJMP-JP177 SR 블록큰롤
VJMP-JP178 SR 카르터보
VJMP-JP179 DD 도그
VJMP-JP184 레프티아 에그
VJMP-JP185 다크 앨리게이터
VJMP-JP186 윤회룡 삼사라
}}}}}}}}} ||
← 2019년2021년 →

파일:ドラグニティ-ギザー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기잠,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ギザーム,
영어판명칭=Dragunity Guisarme,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600, 수비력=16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바람 속성 / 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 몬스터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V 점프 동봉으로 수록된 신규 드래그니티.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시 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잡지에서 드래곤족과 비행야수족을 지원한다고 선언한 대로 둘 모두를 지원하는 효과로 나왔다. 드래그니티 덱은 조화의 패 혹은 레무스의 용의 계곡 서치 효과 코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드래곤족을 덤핑할 수 있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다. 이렇게 살린 카드는 링크 소환이나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묘지의 둑스나 세나트를 불러내고 고름파바르을 소환한 다음 후술할 기동 효과를 사용해서 아라드와를 띄워 낼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파랑크스처럼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자신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기동 효과. 대신 명칭 제약이 있어 1턴에 1번밖에 효과를 못 쓰는 점은 유의.

효과 자체만 보면 우수한 편이지만, 문제는 이 카드의 레벨이 3이라는 것에 있다. 몇몇을 제외한 드래그니티 주력 싱크로 몬스터들의 레벨이 6인데 이 카드로는 레벨을 맞추기 상당히 애매해져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놈의 레벨 때문에 싱크로 연계로만 따지면 계륵 취급을 받는다. 드래그니티의 주력인 둑스의 효과로 이 카드를 장착하고 자체 효과로 자신을 특수 소환한다 치면 드래그니티 덱에서 이 카드와 둑스로 싱크로 소환할만한 몬스터는 트라이든트와 고름파바르 밖에 없다.

링크 소재로 쓰기에는 비행야수족에게 일반 소환권을 주는 편이 더 나은 편이라, 기잠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고름파바르를 투입한 구축을 따로 짤 필요가 있다. 그 외에는 사이딩 후 후공 돌파 플랜으로 질풍의 드래그니티로 소환해 블랙 로즈 드래곤을 꺼내는 정도.

이름의 유래는 중세 시대에 사용했던 언월도창 기잠(gisarme).

4.3.2. 드래그니티-블랙스피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0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블랙스피어,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ブラックスピア,
영어판명칭=Dragunity Darkspear,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비행야수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름의 어원은 검은 창.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설정 상 이후에 벨즈화되어 벨즈 자하크가 된다. 여담으로 유희왕 5D's 작중에서 WR-GPX 포스터에 이 녀석이 그려져 있었다.

4.3.3. 드래그니티-필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필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ピルム,
영어판명칭=Dragunity Pilum,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10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를 장착 마법 카드 취급으로 장착한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몬스터가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이름의 어원은 로마제국군의 군단병이 쓰던 창.

①의 효과는 소환 시 패에서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자신을 장착 카드로 취급해 그 몬스터에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파르티잔과 완전히 동일하다.

②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는 지속 효과를 부여하는 룰 효과. 대신 그 경우 장착 몬스터가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으로 줄어든다.

5. 효과 몬스터 (非 튜너)

5.1. 레벨 1

5.1.1. 드래그니티-트리블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7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트리블,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トリブル,
영어판명칭=Dragunity Tribus,
속성=바람, 레벨=1, 공격력=500, 수비력=3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름의 어원은 '트리브누스'. 라틴어에서 부족장이나 군대의 지휘관을 의미하는 단어. 고대 로마에서는 특정의 공직이나 군대의 고급장교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장교답게 자신은 안 싸우고, 무기를 조달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소환 시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는 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몬스터.

아무 레벨 3 이하 드래곤족이면 덤핑을 실행할 수 있지만 그게 끝이라 혼자서 초동이 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도 터미널 월드 3 지원으로 팔시온이 추가되면서 이 카드 혼자로도 전개를 시동할 수 있게 되긴 했다.

5.2. 레벨 3

5.2.1. 드래그니티-레기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0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레기온,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レギオン,
영어판명칭=Dragunity Legionnaire,
레벨=3, 속성=바람,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12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 레벨 3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름의 어원은 로마 제국의 군단, 그 후 군단 그 자체를 의미하는 단어로 고착되었다. 말 그대로 드래그니티의 군단병.[5]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자신에게 장착하는 유발 효과. 하술할 둑스와 동일하지만 둑스와는 달리 이 카드의 레벨은 3인 탓에 6레벨 싱크로 소환으로 잇기 어렵다.

②의 효과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지정해서 파괴하는 기동 효과. 아큐리스와 활용하면 상대 카드를 2장 제거할 수 있으며, 장착한 카드만이 아니라 아무 드래그니티 카드여도 되기 때문에 이 카드가 장착한 카드 외에도 다른 몬스터가 장착한 카드나 장착 마법 / 지속 마법 / 지속 함정도 탄환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때 정룡 덱이 현역으로 한창이던 시절 라이벌이던 벨즈 덱을 견제하기 위해 한 장씩 용병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정룡을 묘지로 보내기 위해 용의 계곡을 투입하고 레벨 1 튜너로서 드래그니티-코르세스카를 넣기도 하는 정룡 덱에서 염정룡-블래스터 없이도 상대 벨즈의 선턴 오피온을 잡아낼 수 있는 몇 안 되는 카드였기 때문.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19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D19-KR00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5.3. 레벨 4

5.3.1. 드래그니티-둑스

파일:ドラグニティ-ドゥ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둑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ドゥクス,
영어판명칭=Dragunity Dux,
레벨=4, 속성=바람,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15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 레벨 3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카드의 수 × 200 올린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장착하는 유발 효과. 상술한 레기온과 완전히 효과가 동일하지만 이 카드는 레벨 4이기 때문에 레기온보다 우선적으로 쓰인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의 공격력을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카드의 수 x 200 올리는 지속 효과. 자기 자신도 효과 대상에 포함되기에 기본적으로 1700의 공격력을 가진다. 물론 이 카드는 대체적으로 전개 용도로 쓰이기에 전개가 망한 게 아닌 이상 어태커로 쓸 일은 없다. 이론상 최대 공격력은 마법 & 함정 존과 몬스터 존을 전부 드래그니티 몬스터로 채웠을 경우의 3700.

드래그니티 전개의 핵심 중 하나로, 어떤 식으로든 파랑크스(혹은 쿠제)를 묘지에 묻은 뒤 둑스를 일반 소환해 싱크로 소환으로 잇는 전개는 출시 직후부터 지금까지도 잘 사용되고 있다.

듀얼 터미널 스토리에서는 1년 내내 따뜻한 기후인 용의 계곡에 한파가 몰아치게 되자, 직감적으로 이것을 빙결계의 3마리의 용들의 소행인 것을 직감하고, 용의 계곡에 전해지는 비술로 8용을 결합시킨 아스칼론과 거룡 아라드와를 강림시켰고, 그 둘의 활약으로 빙결계를 몰아내었다.

스트럭처즈에서는 스트롱 쥬큐가 드래그니티를 사용하면서 등장. 정석대로 파랑크스를 장착했지만 바로 성각인으로 바운스되어버렸다. 관전하는 사이킥 텐도는 드래그니티는 초동이 끊기면 위험하다며 이 카드의 중요성을 해설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19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D19-KR004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숨겨진 세력 3 HA03-KR031 시크릿 레어 한국
듀얼 터미널 6 -질풍의 드래그니티!!- DT06-JP009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19 -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D19-JP004 노멀 일본
듀얼 터미널 크로니클 Ⅱ "혼돈의 장" DTC2-JP061 슈퍼 레어 일본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1 18SP-JP104 슈퍼 레어 일본 10기판 텍스트

5.3.2. 드래그니티-밀리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밀리텀,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ミリトゥム,
영어판명칭=Dragunity Militum,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700, 수비력=12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름의 어원은 라틴어로 병사를 의미하는 밀리툼(militum).

1턴에 1번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 1장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를 가진 하급 몬스터.

마스터 듀얼에서 12기로 갱신되기 이전에는 '마법 & 함정 존의 "드래그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라고 되어있었는데, 당연히 재정상 신창이나 드래프트를 소환할 수는 없다.

드래그니티에선 보기 힘든 여전사이자 아이돌 카드로, 마스터 가이드 DT에 따르면 둑스를 보좌하는 역할이라고 한다.

5.3.3. 드래그니티-세나트

파일:ドラグニティ-セナ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세나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セナート,
영어판명칭=Dragunity Senatus,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6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고르고\,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에 장착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발매된 드래그니티의 신규 몬스터. 드래그니티 / 사이버 드래곤 덱 체험회에서 유출되었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버리는 것으로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이 카드에 장착하고, 턴 종료시까지 자신에게 드래곤족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제약을 거는 기동 효과. 이를 통해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를 끌어올 수 있으며, 둑스를 사용할 때처럼 파랑크스나 쿠제를 장착시킨 후 소환해 싱크로로 이을 수 있다.

문제는 패에서 "드래그니티" 카드 1장을 버려야 한다는 코스트가 있기 때문에 막히면 막대한 어드밴티지 손실로 이어진다. 용의 계곡을 쓸 때처럼 드래그니티 튜너를 버리면 되므로 이 카드 1장으로 용의 계곡의 덤핑을 어느 정도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도 작용할 수 있지만, 코스트와 함께 잡지 못하면 말림패 밖에 되지 않으면서 다수의 용병 카드를 사용하는 드래그니티 특성상 세나트를 튜너와 함께 잡을 확률이 그렇게 높지 않고, 레가투스와 달리 패에서 자체적으로 소환되는 효과도 없어서 초동으로서의 안정성이 낮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시 대신 이 카드에 장착된 드래그니티 카드를 파괴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룰 효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드래그니티가 턴킬형으로 계속해서 쓰이자, 무제한이었던 이 카드와 기존의 제한 2였던 드래그니티의 신창과 자리가 바뀌었다. 그러던 와중에 백룡, 오노마토와 같은 강력한 티어덱들의 등장과, 드래그니티 한정 하드 카운터인 해피덱이 티어에 오르면서 사용률이 급격히 떨어졌고, 결국 이 환경에서 풀어도 될 것으로 판단해 아스칼론과 제한2 자리를 맞바꾸며 무제한으로 풀렸다.

일러스트는 트리블이 성장, 진급한 모습. 견대와 투구를 보면 두 몬스터는 동일인임을 알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로마 원로원을 뜻하는 세나투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YBERNETIC HORIZON CYHO-JP016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5.3.4. 드래그니티-레가투스

파일:ドラグニティ-レガトゥ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레가투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レガトゥス,
영어판명칭=Dragunity Legatus,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12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몬스터 혹은 "용의 계곡"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몬스터나 용의 계곡이 존재할 경우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용의 계곡으로 가겨오자마자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일소권을 소모하지 않고 바로 몬스터를 가져오는 게 가능하다. 자신을 패에서 버리고 용의 계곡을 서치하는 레무스와 조합하면 일소권 없이 로물루스나 레벨 6 싱크로 드래그니티를 소환할 조건이 갖춰진다.

②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존에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하는 기동 효과.

다른 하급 드래그니티와의 차별점은 간단한 조건으로 스스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것. 자체 특수 소환 효과는 코스트가 필요한 드래그니티 암즈들만이 가지고 있었지만 이 카드는 드래그니티 몬스터나 용의 계곡만 있어도 바로 패에서 꺼낼 수 있다보니 전개에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레무스와 호궁합으로, 레무스 - 용의 계곡 - 레가투스 순서로 서치하고 둘을 특수 소환하면 일반 소환 없이도 가잘그를 꺼내 전개를 시작할 수 있다.

간단한 특소 조건을 가졌음에도 따로 제약을 안 걸기 때문에 드래곤 링크가 가끔 용병으로 채용하기도 했다.

위에 존재하는 레기온과 비슷하게 생겼다. 세나트가 트리블이 성장한 존재임을 감안하면 이쪽 또한 레기온이 성장해서 진급한 존재인 듯 하다.

이름의 유래는 고위 장교를 뜻하는 고대 로마의 관직 레가투스.

5.3.5. 드래그니티-퀴리누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그니티-퀴리누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ドラグニティ-クイリヌス,
영어판 명칭=Dragunity Quirinu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바람,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니티"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한\, 자신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다른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 덱에서 드래그니티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드래그니티 후열 서치는 로물루스 밖에 없었고 로물루스는 대개 글로를 서치하기 때문에 정작 드래그니티 후열은 서치할 방법이 부족했었는데, 이 카드의 등장으로 후열 서치 수단이 더 늘어나 좀 더 안정적인 후열 활용이 가능해졌다. 가장 좋은 카드는 신창으로, 자체 효과나 이 카드의 ③의 효과와 연동하여 사실상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행위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장착 카드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에게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지속 효과. 사실상 덤에 가까운 효과로, 어자피 장착된 드래그니티나 이 카드는 대게 소재로 쓰일 것이기에 크게 의미는 없다.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다른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 1장을 패나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 후 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지 임의 선택할 수 있는 기동 효과. 몬스터 "카드"이므로 마법 & 함정 존의 드래그니티를 바운스하고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특수 소환은 임의 효과라 안 할 수도 있고, 바운스한 몬스터와 다른 몬스터를 소환할 수도 있다.

모티브는 로마의 수호신 퀴리누스. 추후 로물루스와 동격화되었다고 한다.
수록 시리즈
2025-1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W03-JP018 | TERMINAL WORLD 3

5.4. 레벨 5

5.4.1. 드래그니티-앙그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2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앙그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アングス,
영어판명칭=Dragunity Angusticlavii,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2100, 수비력=10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①: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하고 있는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이름의 어원은 '트리브누스 앵스티크라위우스'가 가장 유력. 지휘관과 군단병의 중간관리를 하는 공직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다.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장착한 이 카드에게 관통을 부여하는 지속 효과를 가진 상급 몬스터.

5.4.2. 드래그니티-프리머스 필러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프리머스 필러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プリムス・ピルス,
영어판명칭=Dragunity Primus Pilus,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2200, 수비력=1600, 종족=비행야수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 장착한다.)]

이름의 어원은 고대로마군의 계급 중 하나로 하사관, 군단병의 최고위. 라틴어로는 '제1의 창'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의 군대로 말하자면 대령에 속한다.

소환 시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에게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몬스터.

효과 자체는 강력하지만 레벨 5가 걸린다. 질풍의 드래그니티나 윤회룡 삼사라가 투입된 덱에서 고점 하나만 보고 쓰는 사람이 간혹 있는 정도.

5.5. 레벨 6

5.5.1. 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

파일: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ミスティ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ミスティル,
영어판명칭=Dragunity Arma Mystletainn,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15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패에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이름의 어원은 북구 신화에서 등장하는 겨우살이로 만든 꼬챙이 미스틸테인(Mystletainn). 빛의 신 발두르를 죽인 무기다. 원래 형태는 창이지만, '신을 죽인 마검'으로 상정하고 카드를 만든 것 같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룰 효과. 무조건 몬스터만 묘지로 보내야 하기에 마법 & 함정 존의 몬스터는 소재로 쓸 수 없음을 유의하자. 초동을 위해 소환한 둑스 / 세나트가 견제를 맞고 무효화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것으로 우회 전개를 시도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패에서 소환했을 시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에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레벨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드래그니티 튜너들은 물론 엑스트라 덱 드래그니티 몬스터까지도 장착할 수 있어 대상이 폭넓다. 이렇게 장착한 몬스터는 글로로 특수 소환할 수도 있고, 만약 아레우스를 장착한 상태라면 아레우스를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면서 추가 전개를 노릴 수도 있다. 여러모로 다방면에서 활용하기 좋은 효과.

아무 드래곤족 드래그니티를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글로와 연계하거나 파랑크스 / 쿠제와 함께 레벨 8 / 10 싱크로 소환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거기에 레벨 6이라서 가잘그와 함께 성각용왕-아툼스의 소재로도 사용이 가능한 전개의 핵 중 하나다.

5.6. 레벨 8

5.6.1.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파워 오브 펠로우즈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レヴァテイ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レヴァテイン,
영어판명칭=Dragunity Arma Leyvaten,
속성=바람,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12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는 "드래그니티" 카드를 장착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이외의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에 장착되어 있던 자신 / 상대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름의 어원은 북구신화에 나오는 검[6] '레바테인'.

①의 효과는 드래그니티 카드를 장착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제외하고 자신을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룰 효과. 위의 미스틸과는 달리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장착하고 있어야 한다는 좀 까다로운 조건이 붙은데다 코스트로 사용할 카드를 제외해야 해서 재활용이 쉽지 않지만 대신 아무 몬스터면 되기에 별 실용성은 없지만 드래그니티 튜너를 장착한 사이버 다크 몬스터로도 이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소환 시 레바테인 이외의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에 장착하는 유발 효과. 미스틸보다 더 범위가 넓어져 아예 모든 드래곤족을 대상으로 장착 효과가 발동한다. 다만 이렇게 해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카드들이 한정되어 있어 다른 드래그니티 몬스터들과 크게 차별화할 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

③의 효과는 상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시 이 카드에 장착되었던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상대에게 의존하는데다 반드시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야 하기에 전투 파괴 / 제외 / 바운스로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드래그니티 내에서는 까다로운 소환 조건과 너무 높은 레벨 때문에 사용이 힘들지만, 묘지의 드래곤족이라면 아무거나 장착할 수 있기에 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를 장착하는 락 플랜을 사용한다면 투입한다.

5.7. 레벨 10

5.7.1.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파워 오브 펠로우즈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グラ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암즈-그램,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アームズ-グラム,
영어판명칭=Dragunity Arma Gram,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2900, 수비력=22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그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의 수 × 1000 내린다.,
효과3=③: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스트럭처 덱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에서 추가된 신규 드래그니티 암즈.

①의 효과는 자신 묘지에서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2장을 제외해 자신을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정룡과 흡사한 소환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애석하게도 드래그니티는 제외 자원을 활용할 방법이 많지 않아 사실상 아드를 깎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나마 아무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이면 되기에 드래그니티가 아닌 다른 카드를 제외하거나 풍정룡을 제외해 추가 서치를 노리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무효화하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의 수 × 1000만큼 깎는 기동 효과. 우선 무효로 하고 추가로 공격력을 낮추는 효과라 장착 카드가 1장도 없어도 사용은 가능하다. 유발즉시 효과가 아니라서 상당히 가치가 떨어진다.

③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그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이 카드에 장착하는 유발 효과.

이래저래 아쉬운 효과들만 있는 애매한 카드이다. 자체 특수 소환 가능은 매력적이지만, 레벨 10은 드래그니티에서 싱크로 소재로 쓸 수 없는 레벨이고, ②효과는 말 그대로 아쉬움의 극치를 달린다.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지도 않고 대상 비지정도 아니라 돌파에 사용해야만 한다. 때문에 드래그니티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드래곤 링크의 60장 구축에서 취향에 따라 후공 돌파용으로 채용을 고려해볼 만한 정도에 그친다. 하지만 듀얼링크스에서는 몇 안 되는 무효계 돌파 카드에다 손쉬운 소환 덕에 사용하기 굉장히 좋다.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검 그람. 헌데 국내판은 BF-황성의 그램처럼 gram을 그대로 읽는 바람에 그이 되었다.

6. 싱크로 몬스터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가 드래곤족 드래그니티에 탄 것을 표현한 싱크로들. 다만 드래곤족 드래그니티는 다 자라서인지 크기가 거대해져 있다.

드래그니티 링크 몬스터는 다른 드래그니티 몬스터와는 다르게 로마 또는 그외 켈트국가 왕의 이름이 붙는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판 카드명 표기가 조금 복잡했다. 첫 등장 당시에는 '드래그니티 나이트'로 표기되어 있으나,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신규 등장 카드부터 원판처럼 띄어쓰기를 생략하여 '드래그니티나이트'로 표기했기 때문. 이후 링크 브레인즈 팩 3에서 로물루스가 '드래그니티 나이트'로 표기되다가,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에서는 재록된 적이 없는 하룬을 제외하고 전부 '드래그니티 나이트'로 에라타되었다.

6.1. 레벨 6

6.1.1. 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ハール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튜너=,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ハールーン,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Luin,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1200, 수비력=19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그니티"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공격력 / 수비력 1000 올리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대상의 자신 몬스터에 장착한다.)]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등장한 드래그니티 전용의 싱크로 튜너 몬스터. 전체적으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와의 연계를 염두에 두어서 낸 카드로 보이지만, 액셀 싱크로 관련 효과는 없다.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자신에게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싱크로 소환만이 아닌 특수 소환 전반에 대응하기 때문에 묘지 혹은 마법 & 함정 존에서 특수 소환 시키거나 게오르기아스의 효과로 소환해도 효과가 격발하며, 드래그니티 몬스터이기만 하면 종족 / 종류를 가리지 않기에 글로와의 연계는 상당히 좋다. 묘지에 묻힌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를 장착한 다음 글로로 꺼내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에게 이 카드를 공격력 1000 올리는 장착 카드로서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전투 / 효과뿐만 아니라 엑스트라 덱에서 덤핑되거나 필드에서 코스트 / 소재로써 묘지로 보내져도 이 효과를 격발시킬 수 있다. 아레우스 / 게오르기우스의 애매한 타점을 보완해줄 수 있으며 두 카드는 장착 카드(게오르기아스는 드래그니티 카드 한정)를 장착했을 때 이득을 보는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궁합이 뛰어나다.

이 카드의 단점은 튜너라는 것에 있다.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파랑크스 / 쿠제 / 기잠을 장착해도 둘로는 싱크로 소환이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비튜너인 비행야수족 몬스터들과 함께 싱크로 소환에 활용하자니 레벨이 6으로 지나치게 높아 선택폭이 매우 좁다. 사실상 소환할 수 있는 드래그니티는 잘 쳐봐야 아스칼론 / 아라드와로 한정된다. 그래도 용도를 찾자면 레벨 6이라 미스틸과 조합해 얼티마야 촐킨의 소재로 삼을 수 있고, 싱크로 소환만 까다로울 뿐 링크 소환에는 제약이 없으니 로물루스 + 이 카드 + 파랑크스 / 쿠제 / 기잠과 조합해 게오르기아스 혹은 링크 4 몬스터를 꺼낼 수 있다. 물론 레무스 / 세나트 / 질풍 같이 드래곤족 특수 소환 제약을 거는 카드들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주의.

모티브는 핀 막쿨의 창인 막아 루인 또는 하룬 알 라시드로 추정. 실존하는 창도 전설의 창도 아닌 사람 이름을 모티브로 차용했다. 유희왕 카드 위키에서는 이 모티브 이외에도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창 '룬 켈트하르(Lúin of Celtchar)'나 하푼을 뜻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보인다.

일러스트는 드래그니티-세나트가 드래그니티-쿠제에 탑승한 모습이며 실제로 이 2장으로 싱크로 소환될 수 있다.

한글판에서는 "드래그니티나이트"로, 기존 번역대로라면 띄어쓰기를 하던 것을 안 하고 붙여서 발매되었다. 이후 재록되지 않아 아스칼론이 교정되는 와중에도 이 카드는 계속 이 상태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YBERNETIC HORIZON CYHO-JP032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6.1.2. 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ヴァジュランダ.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ヴァジュランダ,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Vajrayana,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1900, 수비력=12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곤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에 장착된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배가 된다.)]
리미티드 에디션 16에 수록.

이름의 어원은 고대 인도신화에 나오는 창 바즈라. 생긴걸 보면 '드래그니티 - 밀리텀'이 '드래그니티 - 아큐리스'에 탑승하여 파워업한 모습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둘로 싱크로 소환 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큐리스를 장착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이 카드에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둑스 / 레기온과 효과가 완전히 동일한데, 이 카드는 싱크로 소환 시에만 한정된다.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이 카드에 장착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배로 하는 기동 효과. 단번에 공격력을 어지간한 최상급도 때려잡는 3800으로 끌어올릴 수 있고, 아큐리스를 코스트로 사용했다면 상대 카드 제거까지도 가능하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당연히 어태커 용도로 쓰였다가, 드래그니티가 비트 중심보다는 전개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이 카드는 비트다운을 강화하는 ②의 효과보다 ①의 효과에 주목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퍼미션 요원인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매우 쉽게 뽑을 수 있다는 점이 이 카드의 매력 포인트.

리미티드 에디션 소속이라 몸값이 비쌌지만, 국내에서는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스페셜 에디션의 동봉으로 튀어나오면서 값이 엄청나게 싸졌다. 그 때문에 13년 9월 룰 개정으로 일본의 공인 대회에서 일본판 카드만 사용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파랑크스와 마찬가지로 일본 등지에서 "한글이라는 게 거슬리지 않다면(하략)"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이후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재록되면서 이것도 옛날 얘기. 오히려 일본판 쪽이 이젠 값이 싸다. 한글판도 쉽게 구할 수야 있지만.

6.1.3. 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ゲイボル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ゲイボルグ,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Gae Bulg,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1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곤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부터 데미지 계산 전에 1번\, 자신 묘지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이름의 어원은 켈트 신화에 나오는 창 '게 볼그'.

전투 실행 시 자신 묘지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자신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리는 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싱크로 몬스터.


마스터즈 가이드에 의하면 '드래그니티-둑스'가 '드래그니티-파랑크스'에 탑승한 모습으로, 실제로 둘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6.1.4. 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ガジャル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ガジャルグ,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Gae Dearg,
속성=바람, 레벨=6, 공격력=2400, 수비력=8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곤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드래곤족이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패에서 드래곤족이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버린다.)]

1턴에 1번 덱에서 레벨 4이하의 드래곤족이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은 다음 패에서 드래곤족이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버리는 기동 효과를 가진 상급 싱크로 몬스터.

유희왕 5D's DUEL TERMINAL 액셀러레이션 가이드 3에 수록되었다.

이름의 어원은 위의 게이볼그(게 볼그)와 마찬가지로 고대 켈트 신화에 나오는 창인 게 다러그. 디어르머드 우어 디브녀가 사용했다. 그러나 한글판에서는 게임에서부터 저 '가잘그'라는 표기로 나오더니 결국 프리미엄 팩 7에서 발표된 실물의 이름도 '가잘그' 그대로였다.

드래그니티 덱에서는 핵심 카드로, 서치와 덤핑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제피로스, 안개 골짜기의 유괴조를 패에서 버리고 전개 파츠로 사용할 수 있다. 옛날 카드답게 효과 발동 횟수 제약 따위 없어 벌쳐나 미스틸에 장착한 후 글로로 다시 살려내 이 콤보를 반복하거나, 볼 일 다 보면 성각용왕의 엑시즈 소재가 된 후 레다메로 살려내 이 콤보를 또 쓰는 등 작정하고 부리면 계속 우려먹을 수 있다. 이 카드 자체는 장착하는 효과가 없지만, 상술했듯 자체 소생 효과가 있는 용병, 혹은 스트 R에서 발매된 자가소생 튜너 레무스를 이용하면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로 이어나갈 수 있다.

생긴 걸 보면 '드래그니티-레기온'이 '드래그니티-블랙스피어'에 탑승하여 파워업한 모습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들 둘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6.2. 레벨 7

6.2.1. 드래그니티 나이트-트라이든트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トライデ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트라이든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トライデント,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Trident,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7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곤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카드를 3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해\,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 묘지로 보낸 매수와 같은 수만큼 카드를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카드를 3장까지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보낸 수만큼 상대 엑스트라 덱에서 카드를 골라 묘지로 보내는 기동 효과를 가진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DUEL TERMINAL 7에 등장. 공격명은 아마도 드래그니티 블래스트인 듯.

레벨대가 너무 따로 노는 카드였으나 터미널 월드 3에서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 없이 엑스트라 덱에서 꺼낼 수 있게 되어 선공에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저격하는 용도가 생겼다.

이름의 어원은 트라이던트. 아마도 로마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쓰던 그 '트라이던트'를 의미하는 것 같다. 기수쪽은 '드래그니티-프리머스 필러스'이며, 용 쪽은 실루엣이 '드래그니티-자베린'. 정체가 나오기 전에는 형상이 닮은 '드래그니티-블랙스피어'나 갑주의 디자인으로 인해 '드래그니티-파랑크스'라는 가설도 있었다.

6.2.2. 드래그니티 나이트-고름파바르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ゴルムファバ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고름파바르,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ゴルムファバル,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Gormfaobhar,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23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그니티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에 장착되어 있는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드래그니티의 두 번째 레벨 7 싱크로 몬스터.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장착하는 유발 효과. 자신이 레벨 7이기에 파랑크스와 쿠제와의 연계는 힘들고, 대신 기잠을 이용해서 아스칼론이나 아라드와로 연계하거나 ②의 효과를 위한 탄환 마련을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장착하고 있는 장착 카드를 코스트로 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까지 제외하는 프리체인형 유발 즉시 효과. 그동안 묘지 견제가 부실했던 드래그니티에서는 상당히 강력한 효과로 이 효과가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프리체인 효과이기에 신창을 장착시켜 상대 턴에 효과를 발동할 탄환을 추가로 공급해 줄 수 있다.

단점은 트라이든트와 마찬가지로 드래그니티 덱에서 사용하기 힘든 레벨 7이라는 점. 메인 덱에 기잠을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묘지 견제가 아프게 박히지 않는 상대라면 더욱 우선도가 떨어진다.

생김새와 레벨로 보아 '드래그니티-레가투스'가 '드래그니티-기잠'에 탑승하여 파워업한 모습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이 둘로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이름의 고름파바르는 켈트 신화의 영웅 쿠 훌린이 게이볼그 외에도 7종류 지니고 있는 독창 중 하나, 고름 나 브파바르(Gorm na bhFaobhar)에서 유래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BLAZING VORTEX BLVO-JP045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6.3. 레벨 8

6.3.1. 드래그니티 나이트-벌처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バルーチ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벌처,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バルーチャ,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Barcha,
속성=바람, 레벨=8, 공격력=2000, 수비력=12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곤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에 장착된 "드래그니티" 카드의 수 × 300 올린다.)]

이름의 어원은 인도에서 쓰던 기병용 창 네자(Neza)의 일종인 바르차(Barcha). 신화에 나오는 창의 이름이 아닌 얼마 안 되는 드래그니티 나이트다. 생긴 걸 보면 '드래그니티-앙그스'가 '드래그니티-필룸'에 탑승하여 파워업한 모습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둘로 싱크로 소환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이 카드에 장착시키는 유발 효과. 1장도 아니고 여러장을 한꺼번에 장착시킬 수 있기에 파랑크스와 쿠제를 최대한 묻은 후에 소환할 필요가 있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의 공격력을 이 카드에 장착된 드래그니티 카드의 수 x 300 올리는 지속 효과.

다른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비행야수족 비튜너를 써야함에도 레벨이 높은 탓에 사용하기 어려웠지만, 자신을 레벨 4 튜너로 취급하는 쿠제의 추가로 소환 난이도가 확 내려가 강력한 전개 파츠로 급부상했다. 혹은 붉은 용으로 8레벨 싱크로 몬스터를 찍고 나올 수도 있으며, 이렇게 소환된 벌처를 통해 게오르기아스를 소환할 개체수나 10레벨 싱크로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6.3.2.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레우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아레우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アーレウス,
영어판 명칭=Dragunity Knight - Areio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900, 수비력=25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 몬스터 카드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가 장착 카드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묘지에서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터미널 월드 3에서 추가된 드래그니티 몬스터.

비튜너는 싱크로 몬스터가 요구되는데, 드래그니티는 예로부터 바쥬란다 + 파랑크스의 연계로 이 카드와 똑같은 소재를 요구하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세우기 쉬웠기에 이 카드도 세우기 쉽다.

①의 효과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 몬스터 카드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지정해서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하는 기동 효과. 이 카드가 장착 카드를 장착한 상태일 경우에는 프리체인형 유발 즉시 효과가 되어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처럼 써먹을 수 있는 퍼미션이 된다. 다만, 이 카드 자체는 다른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장착하는 효과가 없으므로 신창이나 드라이브 등의 보조를 받아야 한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뒤 묘지의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할지 임의 선택할 수 있는 기동 효과. 선턴에 ①의 효과만을 보는 결과물이 아니라 이 효과를 이용한 전개 파츠로도 삼을 수 있다. 소환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 상태에서 하룬이나 벌처의 효과로 장착한 다음 특수 소환해 개체수를 불려 필드에 개체수를 늘리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당연하겠지만, 정규 싱크로 소환을 해야 소생 제약에 안 걸리니 행여나 게오르기아스의 효과로 불렀을 경우에는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하자.

일러스트는 갑주의 형태를 보아 등장하는 용은 로물루스이고 거기에 8쌍의 날개가 추가로 달려있어 팔시온이 추가로 합체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타고 있는 인물은 로물루스와 마찬가지로 퀴리누스. 로물루스는 링크 몬스터이므로 실제로는 로물루스 + 팔시온으로 소환할 수 없으나, 해당 카드를 싱크로 몬스터로 가정했을 경우 레벨 6(퀴리누스 4 + 레무스 2)이므로 거기에 팔시온을 추가하면 레벨 8로 맞게 되긴 한다.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 속 군신 아레스아이올리스 방언으로 추정된다. 로마에서 아레스(마르스)는 퀴리누스와 동일시되다가 습합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5-1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W03-JP020 | TERMINAL WORLD 3

6.4. 레벨 10

6.4.1. 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アスカ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アスカロン,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Ascalon,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3300, 수비력=32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그니티"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2=②: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공격력 3000 이하의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갑작스럽게 등장한 새로운 드래그니티로 이전 드래그니티에게 없던 피니셔급 성능을 지니고 나왔다. 카드군 내에선 딱히 이렇다할 피니셔가 없어 트라이든트 드라기온이나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의 용병을 대신 피니셔로 쓰던 드래그니티에게 매우 좋은 지원.

우선 능력치가 3300/3200으로 기본 공격력이 2400[7]을 넘기는 카드가 없었던 드래그니티에게 강력한 어태커가 생겼으며 레벨이 10이기에 트라이든트 드라기온 소환하듯이 레바테인 + 파랑크스 조합으로 나올수 있어 소환도 간편하다. 또한 같은 팩에 나온 쿠제가 싱크로 소재로 쓸 시 레벨을 4로 취급할 수가 있기에 바쥬란다 + 쿠제 조합으로도 쉽게 소환이 가능해졌다.

①의 효과는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1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지정해서 제외하는 기동 효과. 참고로 이 효과에는 턴 제약이 전혀 없기 때문에 묘지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만 충분하다면 1턴 만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모조리 제외해버리는 짓도 가능하다. 다만 대상을 지정하기에 대상 지정 내성을 지닌 몬스터들에겐 통하지 않으니 주의.

②의 효과는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 엑스트라 덱에서 공격력 3000 이하의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 취급으로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비록 상대에게 의존해야 하지만 아스칼론이 돌파에 쓰이는 특성상 주로 바쥬란다나 벌처를 통해서 두 번째 피니셔를 꺼내는 용도로 활용되며, 메인 덱을 압박하지 않는 효과란 것도 장점이다.

턴 제약이 없어 강력하지만 돌파에 치중된 효과 때문에 선턴 전개로 게임을 닫는 게 목표인 드래그니티 덱에 있어서 애매한 카드로, 선공이나 단판전을 보고 구축할 때는 빠지는 편이다.

모티브는 성 게오르기우스가 썼다는 검의 이름인 아스칼론. 온갖 그림에서 묘사되듯이 성 제오르지오가 드래곤을 쓰러뜨릴 당시 사용하던 주 무기는 어디까지나 창이었고 단순히 숨통을 끊은 무기가 검이었는데, 15세기 말 리처드 존슨이 쓴 《기독교단의 일곱 용사(Seven Champions of Christendom)》란 책에서 그가 쓴 무기의 이름이 아스칼론이라고 명시되었다. 이게 나중에 와전되어 '창의 이름이 아스칼론이다'는 속설이 생겨서 이 이름을 채용한 듯. 용기사의 이름으로 용의 숨통을 끊은 검의 이름을 쓰고 있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둑스가 용의 계곡에 전해내려오던 비기로 8마리의 용을 합쳐서 만들어진 지고의 용. 365일 따뜻한 기후인 계곡에 이상 한파가 닥쳐오자 빙결계 삼룡과 연관된 일임을 확신한 둑스가 아라드와와 함께 강림시켰으며, 폭주하는 빙결계 삼룡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따라서, 아스칼론에는 둑스가 타고 있다.

드래그니티의 신창의 원본인 몬스터로, 그 싸움을 지켜봤던 빙결계의 상정이 훗날 네크로즈의 전사 에그자가 된 후 빙결계 삼룡의 힘을 얻은 엘섀도르 아노마릴리스를 쓰러트리기 위해 신창을 강림시켰다.

훗날 이 카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팔시온이 공개되었는데, 아스칼론과 신창은 8마리의 용을 합쳐 육체를 만들고 팔시온의 영혼을 강림시킨 형태로 보인다.

한글판에서는 다른 드래그니티 나이트 카드들과 다르게 "드래그니티나이트"로 띄어쓰기를 안 하고 발매해버렸다. 추후 에라타가 필요한 부분이었고 후일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이 발매되면서 정정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YBERNETIC HORIZON CYHO-JP033 일본 세계 최초수록

6.4.2.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파워 오브 펠로우즈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アラドヴァ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アラドヴァル,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 - Areadbhair,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3300, 수비력=3200, 종족=드래곤족,
소재="드래그니티"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묘지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3=③: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드래그니티의 쌍벽을 이루는 성창이여!! 와라!!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
스트롱 쥬큐,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

스트럭처 덱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에 수록된 새로운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 레벨, 공격력, 수비력, 싱크로 소재 전부가 아스칼론과 동일하다.

①의 효과는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묘지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하는 유발 즉시 효과. 간단한 조건으로 퍼미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외까지 시키고, 심지어 특정 대상을 지정하지도 않아서 매우 강력하다.

②의 효과는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그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는 유발 효과. 전투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의 효과를 차단하는 데 용이하다. 임의 효과라 반드시 제외할 필요는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 선택하자.

③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한 상태에서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유발 효과. 함정을 자주 사용하는 테마 또는 펜듈럼 테마에게 효과적이라 파괴를 부담스럽게 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흔히 브류나크로 알려진 켈트 신화 루 라와더의 창의 올바른 이름 중 하나인 아라드와(Areadbhar)로, 일본판은 영어철자 그대로 읽어서 아라드바르가 되었으며 한글판은 어원에 맞게 번역되었다.

용의 계곡에 전해내려오던 비기로 강림한, 아스칼론과 쌍벽을 이루는 거룡. 아라드와 위에는 레가투스가 타고 있다. 극한 상태에 이른 트리슈라에게 만신창이가 되었으나 궁지에 몰렸을 때 뿜어낸 연옥의 화염으로 삼룡의 힘을 급격히 깎아내 재봉인에 공헌했다.

하지만 그 탓에 3부에서는 인페르노이드가 삼룡의 힘을 흡수할 때 그 안에서 타오르는 연옥의 불꽃까지 같이 집어삼켜버리게 되고, 네크로즈의 술사 슈릿트는 그런 아노마릴리스를 쓰러트리기 위해 과거에 삼룡을 쓰러트렸던 아라드와의 힘을 영의로서 두르게 된다.

이렇듯 연옥의 힘을 지니고 있으며, 빙결계 삼룡이 봉인되는 장면의 카드명이 뜬금없이 연옥의 함정 속으로인 이유를 10여 년만에 회수한 몬스터. 한편으론 연옥과 관련되어 있는[8] 인페르노이드와 어떤 식으로든 연관이 있다는 떡밥을 남겼는데, 자세히 보면 꼬리 끝이 인페르노이드 티에라와 동일한 생김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스트롱 쥬큐다크 쿠로다와의 듀얼에서 사용. 쿠로다의 쓰리버스트샷 드래곤을 공격하여 피니셔가 되었다. 공격명은 '드래그니티 어썰트([ruby(竜騎鉾牙突, ruby=ドラグニティ・アサルト)])'로, 패배를 받아들인 쿠로다가 크게 공격기명을 외치라고 부탁하여 영창했다.

7. 링크 몬스터

7.1. 링크 2

7.1.1. 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

파일:ドラグニティナイト-ロムルス(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ナイト-ロムルス,
영어판명칭=Dragunity Knight-Romulus,
속성=바람,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200, 종족=드래곤족,
소재=토큰 이외의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니티" 마법 / 함정 카드나 "용의 계곡"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드래곤족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이 카드의 링크 앞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드래곤족이나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효과가 무효화되고\,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링크 브레인즈 팩 2에서 등장한 최초의 드래그니티 링크 몬스터.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 시 덱에서 용의 계곡이나 드래그니티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유발 효과. 발매 당시엔 드래그니티 마법 / 함정 카드의 종류가 적었으나 스트 R 발매 이후 이것저것 늘어난 지금은 신창이나 용의 계곡을 서치하고 전개를 이어나가거나, 글로를 서치하고 레바테인 / 미스틸을 서치하거나, 보이드를 서치해 일적 / 명결파를 대비하는 등 여러 가지 핵심 카드를 집어온다. 당연히 이렇게 강한 효과를 가진 만큼 턴 제약이 있으므로 어떤 카드를 가져올지 상황을 보고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가 이 카드의 링크 앞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패에서 드래곤족 또는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해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로, 이렇게 소환한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쓸 수 없다는 제약이 붙는다. 효과가 무효화되는 건 아쉽지만 패에 잡혀서 장착할 수 없는 드래그니티 튜너, 혹은 묘지로 보내져야 제 역할을 하는 제피로스 등을 패에서 털어내고 전개 파츠로 이어나갈 수 있다. 이렇게 뽑은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은 링크 소재로 쓸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하며 플레이하자. 물론 링크 소재로만 할 수 없을 뿐, 싱크로 / 엑시즈 등의 특수 소환 소재로는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전개가 가능하다. 열풍의 결계상을 소환하면 자신 턴에는 구애받지 않고 전개하다가 상대 턴에는 효과가 돌아와 강력한 락을 형성할 수 있다.

간단한 소환 조건 덕분에 드래그니티 덱 외에도 드래곤 링크 덱 등에서 용의 계곡 서치를 위해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로마 건국 시조 로물루스. 이후 스트럭처 R에서 진화 이전 버전인 레무스도 발매되어 로마 건국 형제가 다 모였다. 레무스 위에 타고 있는 인물은 퀴리누스.[9]

7.2. 링크 4

7.2.1. 드래그니티 로드-게오르기아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그니티 로드-게오르기아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ドラグニティロード-ゲオルギアス,
영어판 명칭=Dragunity Lord Georgiu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link1=, link3=, link4=, link6=,
소재=튜너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 또는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레벨 5 이상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드래그니티"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한\, 상대는 묘지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3=③: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터미널 월드 3에서 커버를 담당한 드래그니티의 2번째 링크 몬스터이자 신규 에이스. 이름의 모티브는 성인 게오르기우스. 원본인 빙결계의 검사 게오르기아스에서 공격력이 400 올랐다.

링크 소재는 특이하게 싱크로 소환처럼 튜너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을 요구한다. 다만 싱크로 소환과는 달리 튜너만으로도 소환할 수 있고, 링크 3 몬스터 1장 + 튜너 1장으로도 소환이 가능하고, 링크 2 몬스터 1장 + 튜너 1장 + 비튜너 1장, 또는 링크 2 + 튜너 2장으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①의 유발 효과는 링크 소환 시 혹은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시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레벨 5 이상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의 싱크로 드래그니티를 소환했을 경우에는 소생 제한 룰이 걸리긴 하지만, 효과는 그대로 발동할 수 있어 가잘그를 이용한 서치나 아라드와를 이용한 몬스터 퍼미션을 마련할 수 있다.

②의 지속 효과는 드래그니티 카드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사실상, 상대 몬스터 한정 묘지봉인. 다만 상술한 아레우스와 마찬가지로 이 카드 자체가 장착 카드를 장착하는 효과는 없기에 신창 / 드라이브 등의 효과로 보조해야 한다. 대신 카드 장착에 성공만 했다면, 상대가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되는 대단히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③의 유발 즉시 효과는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시 자신 필드의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효과를 무효로 하는 것. 장착 카드를 코스트로 하므로 자칫해서 이 카드의 장착 카드를 묘지로 보낼 경우 ②의 효과가 사라지는 점은 유의. 다만 아라드와는 몬스터 효과만을 무효로 하기에, 장착 카드가 충분하다면 이 카드로 마법 / 함정을 견제할 수 있다.

빙결계의 검사 게오르기아스가 란세아를 쓰러트리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고 안개 골짜기에 터를 잡은 후 드래그니티를 창설하게 된 시기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둘 다 공통으로 소환했을 경우 자신이 속한 카드군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 및 묘지의 몬스터 효과 발동 금지 효과가 있으며, 갑주와 무기의 형태가 비슷하다. 상대의 특수 소환에 반응하거나 엑스트라 덱에서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빙령산의 용조 란세아의 효과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날개 수로 보아 타고 있는 용은 팔시온으로, 게오르기어스가 탑승한 이 드래그니티가 아스칼론으로 불리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수록 시리즈
2025-1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W03-JP021 | TERMINAL WORLD 3

8. 마법 카드

8.1. 드래그니티의 신창

파일:ドラグニティの神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의 신창,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の<ruby>神槍<rp>(</rp><rt>しんそう</rt><rp>)</rp></ruby>,
영어판명칭=Dragunity Divine Lance,
효과외1="드래그니티"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는 공격력이 장착 몬스터의 레벨 × 100 오르고\,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족의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골라\, 이 카드의 장착 몬스터에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장착한다.)]

드래그니티 전용 장착 마법 카드.

①의 효과는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그 레벨만큼 올리고 함정 카드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타점 보조에 함정 내성까지 부여해주지만 함정 내성은 대체적으로 무한포영 케어가 아니라면 크게 의미는 없다. 참고로 레벨이 없는 링크 몬스터인 로물루스나 게오르기아스는 이 카드를 장착해도 타점 보조가 안 된다는 점을 주의.

②의 효과는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 1장을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에 장착시키는 효과. 귀중한 덱 튜너 조달 효과지만, 장착시킬 몬스터가 필요하므로 신창 자체로는 초동이 될 수 없고, 로물루스나 퀴리누스로 서치해올 필요가 있다.

일러스트에선 네크로즈의 전사 에그자가 신창을 만들고 있는데, 드래그니티 튜너 중 파르티잔의 머리가 창날을 이루고, 다른 튜너 7마리의 날개가 창대에 붙은 모습이다. 에그자가 8마리의 룡성의 영혼을 촉매로 과거의 종족인 드래그니티의 여덟 드래곤들을 다시금 강령시켰고, 그 8마리 용의 영혼이 합체해 변한 신창이며, 이 신창을 넘겨받은 sophia의 네크로즈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는 엘섀도르 아노마릴리스를 쓰러뜨렸다.

그리고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이 신창이 드래곤 형태로 변화한 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이 등장, 이후 천룡설옥의 일러스트에서 과거 폭주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가로막은 게 드래그니티 나이트-아스칼론임이 드러나면서 떡밥이 풀렸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 이후로 추가된 설정에 의하면 아스칼론은 드래그니티 8마리 용을 용의 계곡에 전해내려오는 비기를 통해 합체시킨 것이라고 하며, 에그자는 빙결계 소속이지 드래그니티 소속이 아니기에 그 비기를 알 수 없어 그 대신 아스칼론과 비슷한 형태의 신창으로 구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SECE-KR06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링크 브레인즈 팩 2 LVP2-KR035 노멀 한국
스트럭처 덱 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R11-KR028 노멀 한국
THE SECRET OF EVOLUTION SECE-JP06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INK VRAINS PACK 2 LVP2-JP035 노멀 일본
STRUCTURE DECK R -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R11-JP028 노멀 일본
Secrets of Eternity SECE-EN06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2. 드래그니티 드래프트

파일:ドラグニティ・ドラフ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드래프트,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ドラフト,
영어판명칭=Dragunity Draf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에\,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고\, 원래 레벨이 5 이상인 자신의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공격할 경우\, 그 몬스터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 효과를 받지 않는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에 추가된 신규 지속 마법.

①의 효과는 발동 시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생비지 효과.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원래 레벨이 5 이상인 자신의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공격할 시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 효과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전개에 쓰기에는 샐비지만 존재하고, ②의 효과는 타이밍이 나빠서 밸류가 낮다.

일러스트는 둑스와 레무스가 빙결계의 삼룡의 영향으로 인한 눈보라 속에 서 있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R11-JP024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R11-KR024 노멀 페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8.3. 질풍의 드래그니티

파일:疾風のドラグニテ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질풍의 드래그니티,
일어판명칭=<ruby>疾風<rp>(</rp><rt>しっぷう</rt><rp>)</rp></ruby>のドラグニティ,
영어판명칭=Dragunity Whirlwind,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와 비행야수족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1장씩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상대 필드에 존재할 경우\, 추가로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만을 싱크로 소재로서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제한됨 3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제한됨 3}}}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R에 수록된 드래그니티 신규 지원 마법. 카드명인 질풍의 드래그니티는 듀얼 터미널 시리즈의 6번째 작품으로 드래그니티 카드군이 처음으로 등장한 시리즈이기도 하다.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덱에서 드래그니티 튜너와 비행야수족 드래그니티 몬스터를 1장씩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하고, 상대 필드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추가로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만을 소재로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지 임의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효과 자체는 강력하지만 선공 전개를 목표로 하는 드래그니티와는 잘 안 맞는 카드로, 메인 덱에는 들어가지 않고 사이드에 투입해 후공 돌파용으로 쓰이고 있다. 일단 통과되면 그대로 전개하거나 구축에 따라 기잠 + 4레벨 드래그니티로 블랙 로즈 드래곤을 소환해 돌파를 노려볼 수 있고, 반대로 다른 카드들로 방해 효과를 소모시킨 뒤에 발동해 전개를 시작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둑스에 의해 강림하는 아스칼론. 아스칼론의 저 구도는 나중에 나온 동옥의 빙결계의 빙결계에 이어지는 청람에서 다시 나온다. 웃기게도 이 카드의 효과로 둑스와 함께 소환 가능한 튜너 중 가장 레벨이 높은 것은 쿠제인데, 쿠제의 효과가 무효화되므로 패에 추가 자원이 없는 상태에서는 레벨 6 싱크로밖에 할 수 없다. 대신 이를 통해 바쥬란다를 소환하여, 그 효과로 파랑크스나 쿠제를 불러 아스칼론을 소환하는 것은 가능하다.

레벨 3 튜너와 프리머스 필러스를 소환하여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를 불러오는 것도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R11-JP025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R11-KR025 한국 한국 최초수록

8.4. 드래그니티 글로

파일:ドラグニティ・グロ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글로,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グロー,
영어판명칭=Dragunity Glow,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5 이상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장착하고 있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5 이상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효과. 서치 자체에는 종족 제한이 없으나 드래그니티 상급 비행야수족은 잉여라 사실상 드래그니티 암즈 전용 서치 카드로 봐야 한다. 주로 가져오는 것은 소환도 쉽고 전개 효과가 붙은 미스틸.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장착하고 있는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몬스터 카드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파랑크스나 쿠제와 달리 스스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다른 드래그니티를 불러내거나 그람의 효과로 장착한 상대 몬스터를 이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턴 제약이 없는 가잘그를 벌처나 미스틸의 효과로 장착한 후 다시 불러내면 유괴조 콤보나 제피로스 덤핑 등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기에 링크 몬스터는 장착해도 의미가 없다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그램이 빙결계의 용 궁니르와 대치하고 있는데, 트리슈라의 영향으로 덩달아 폭주하는 궁니르를 막기 위해 온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R11-JP026 노멀 페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R11-KR026 노멀 페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8.5. 신풍의 드래그니티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신풍의 드래그니티,
일어판 명칭=<ruby>神風<rp>(</rp><rt>しんぷう</rt><rp>)</rp></ruby>のドラグニティ,
영어판 명칭=,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 "용의 계곡"이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효과2=●자신 묘지에서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드래곤족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에 장착할 수 있다.)]

용의 계곡에 이어 등장한 드래그니티 전용 필드 마법으로, 용의 계곡과는 달리 최초로 드래그니티의 카드명이 들어간 필드 마법이다.

두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 묘지에 용의 계곡이 존재할 경우에는 두 효과를 전부 적용 가능하다.
  • 1번째 효과는 자신 묘지에서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덤핑한 카드나 소재로 사용한 몬스터를 재활용할 수 있다. 드래곤족 / 비행야수족 제한 이외에는 레벨 제한이 없다.
  • 2번째 효과는 패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 뒤 덱에서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해 그 몬스터에 장착할지 임의 선택할 수 있다. 신창과 유사한 효과로, 일소권 소모 없이 바로 전개 준비가 가능하다.

일러스트는 하늘에서 안개 골짜기의 신풍과 함께 나타난 아레우스가 벨즈화된 브류나크와 대치하고 있다.

9. 함정 카드

9.1.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스트럭처 덱}}}에 대한 내용은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스트럭처 덱: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스트럭처 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영어판명칭=Dragunity Leg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은 "드래그니티"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골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대상의 자신 몬스터에 장착한다.)]

카드명은 동명의 스트럭처 덱의 이름을 오마주했다. 북미판 명칭인 '드래그니티 레기온(Dragunity Legion)'도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의 TCG판 명칭이다.

일러스트는 네크로즈의 강령술로 강령하고 있는 드래그니티 나이트의 바쥬란다, 가잘그, 게이볼그, 하룬.
수록 시리즈
2018-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YHO-JP074 | サイバネティック・ホライゾン [ CYBERNETIC HORIZON ]
2020-08-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1-JP03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
2018-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YHO-KR074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2010-09-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19-KR035 | 스트럭처 덱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스페셜 에디션
2018-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YHO-EN074 | CYBERNETIC HORIZON
2019-08-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9-EN130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9.2. 드래그니티 보이드

파일:ドラグニティ・ヴォイ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드래그니티 보이드,
일어판명칭=ドラグニティ・ヴォイド,
영어판명칭=Dragunity Oubliett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한다. 자신 필드에 레벨 10의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자신의 제외 상태인 앞면 표시 카드의 수 × 100 올릴 수 있다.)]

자신 필드에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의 마법 / 함정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하며, 자신 필드에 레벨 10 드래그니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자신 필드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자신의 제외 존의 앞면 표시 카드의 수 x 100 올릴지 임의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카운터 함정.

드래그니티에게 처음으로 주어진 카운터 함정. 아라드와로는 못 막는 마법 / 함정을 막아주며, 레벨 10 이상의 드래그니티가 존재하면 추가로 타점을 올려준다. 당연히 가장 궁합이 좋은 건 몬스터 효과를 막아주는 레벨 10 싱크로 몬스터인 아라드와. 아라드와의 제외 효과가 타점 상승 효과와 연동할 수 있고, 싱크로 몬스터이기에 발동 조건도 채워준다.

일러스트에서는 아라드와가 빙결계의 용들에게 브레스를 뿜어 연옥의 함정 속으로 밀어넣고, 그 사이 빙결계의 신정령이 빙결계의 용들을 재봉인하고 있다.

카드명인 보이드는 TCG권에서 연옥의 번역어이며 마스터 가이드5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아라드와가 연옥의 화염을 뿜어내 빙결계의 용들을 약화시키고 있는 장면이라고 한다. 정작 TCG권에서는 "Void" 카드군과 겹치는 문제 때문에 oubliette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SR11-JP034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SR11-KR034 한국 한국 최초수록

10. 관련 카드

10.1. 용의 계곡

10.2. 용 조종술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용 조종술,
일어판명칭=<ruby>竜操術<rp>(</rp><rt>りゅうそうじゅつ</rt><rp>)</rp></ruby>,
영어판명칭=Dragon Mastery,
효과1=①: "드래그니티" 몬스터 카드를 장착한\,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드래곤족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골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의 자신 몬스터에 장착한다.)]

일러스트는 밀리텀이 파랑크스를 말 그대로 조종하는 모습.

11. 같이 사용하면 좋은 카드

싱크로 테마임에도 전개의 핵심인 레무스의 2번 효과 등에서 드래곤족 소환 제약을 걸기 때문에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와는 궁합이 좋지 않으며, 덕분에 하리파이버의 금지에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 성각용왕-아툼스, 천구의 성각인
    아툼스는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나 레바테인을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용도로 쓰인다. 드래그니티 덱에서는 미스틸, 가잘그, 하룬을 엑시즈 소재로 사용해 뽑을 수 있으며, 이렇게 살려낸 레다메로 엑시즈 소재로 보내진 가잘그를 부활시켜 가잘그의 효과를 한 번 더 쓸 수 있다.
    천구의 성각인은 드래그니티 덱에 귀중한 비대상 비파괴 제거기로, 보통 다 쓰고 남은 0/0 레다메와 아툼스, 혹은 싱크로 소재로 미처 보내지 못한 드래그니티 튜너 등을 링크 소재로 뽑는다. 윤회룡 삼사라를 사용하는 구축이라면 각각 전개 파츠 겸 결과물로 2장을 사용한다.
  • 붉은 용 + 싱크로 럼블
    레다메 + 2레벨 튜너 등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싱크로 럼블을 서치한 뒤 레벨 8의 벌처, 아레우스, 크리스탈윙, 새비지 드래곤, 레벨 10의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와 아라드와 중 하나를 추가로 전개할 수 있다.
  • 남정룡-템피스트
    주 용도는 제외시 드래곤족 / 바람 속성 몬스터를 서치해오는 4번 효과로, 빙옥룡 트리슈라나 황금궤로 덱에서 제외하거나, 묘지에 묻고 그람으로 제외하는 것으로 발동시켜 드래그니티 튜너들을 서치해 올 수 있고, 패에 잡혀도 레바테인, 미스틸, 파랑크스, 쿠제를 같이 버리고 초동인 레무스나 세나트 소재로 쓰기 좋은 파랑크스, 쿠제를 서치할 수 있다.
  • 빙옥룡 트리슈라
    효과를 쓴 수호반룡, 피스티, 스트라이커를 이용해 소환할 수 있다. 이어 남정룡을 제외하여 레바테인을 서치하고, 피스티 효과로 소환한 가잘그 효과로 가루다를 서치하고 레바테인을 버림으로써 전개를 이어가는 발판을 마련해 주는 중요한 돌다리다.
  •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
    드래그니티는 루트가 정형화되어 있고, 그 루트가 끊기면 게임 진행이 불가능하다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당연히 이걸 보완하려면 지명자를 풀투입하고 패 트랩 견제를 의존해야 한다.
  • 윤회룡 삼사라
    가잘그로 덤핑한 뒤 사용하는 전개 파츠. 필드에 천구의 성각인이 있고 묘지에 드래그니티 암즈 미스틸이 있으면 효과로 미스틸을 샐비지한 뒤 그대로 천구의 성각인을 제물로 어드밴스 소환하는 것으로 자신 턴에 천구의 성각인의 덱 특소 효과를 쓸 수 있다.
  • 백금룡-링고블룸
    유괴조와 달리 기동 효과로 2레벨 튜너 토큰을 놓을 수 있는 2레벨 드래곤족 튜너. 정작 토큰은 환룡족이라 로물루스의 소재로는 쓸 수 없고, 빛 속성이라 비스테드에 저격당할 수 있으나, 유괴조와 달리 가잘그를 거치지 않아도 묘지로 보낼 수만 있다면 토큰 생성 효과를 쓸 수 있으며, 제외된 뒤 디스 파테르의 효과로 소환하여 추가 전개도 가능하다.
  •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
    레벨 10 드래곤족 싱크로 용병. 빛 속성에 자체 효과로 제외되는 윤회룡 삼사라 혹은 백금룡-링고블룸을 회수하면서 필드를 불릴 수 있고, 상대 턴에는 제외된 카드를 되돌려 소모한 자원을 복구하면서 동시에 견제까지 넣어줄 수 있다.
  • 조화의 패
    주로 듀얼링크스 환경에서 채용되는, 대부분의 드래그니티 튜너가 해당되는 드래그니티 입장에서 유용한 카드.

[1] 같은 조인이라지만 안개 골짜기와는 생김새가 전혀 다르다. 안개 골짜기는 기본적으로 손발이 새의 그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외의 부위도 털 대신 깃털이 돋아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드래그니티는 날개만 빼면 인간이나 다름 없는 외형을 가지고 있다.[2] 그 중 X-세이버는 손실이 너무 커 기존 멤버의 가족이나 제자 등을 끌어올 뿐 아니라 파시울처럼 사지가 기계가 되고도 전장에 투입된 사례가 있었고, 안개 골짜기 역시 미스트 우옴이 죄다 쓰러트리고 드래그니티가 나타나지 않았으면 부대까지 전멸할 뻔 했을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3] 마스터 가이드5에서는 용의 계곡을 지키기 위해 드래그니티가 일어섰다고 묘사되어있으며, 이를 보아 드래그니티는 A·O·J와 완전히 별개행동 중이었고, 어쩌면 그저 안개 골짜기 방위에만 전념하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4] 드래그니티 드라이브R 이후로 덧붙여진 설정에 의하면 이는 에그자가 빙결계의 상정이었던 시절에 삼룡을 쓰러뜨리는 드래그니티의 모습을 목격한 덕분이기도 하다.[5] 군단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legion을 영어식으로 읽으면 '리젼'처럼 발음되지만, 라틴어처럼 읽으면 읽는 그대로 레기온으로 발음된다. 참고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도 Legion of honor이다. 불어라서 발음이 독특한 것.[6] 지팡이라는 설도 있다.[7] 용병 제외하고, 드래그니티 싱크로 몬스터 중에서는 공격력 2400으로 가잘그와 트라이든트 정도뿐이었고 레바테인은 2600이라서 가장 높았지만 싱크로 몬스터가 아니다. 효과까지 포함한다면 바쥬란다가 3800으로 제일 높긴 하다.[8] 마법 / 함정 카드들이 전부 "연옥" 카드군으로 지정되어 있다.[9] 과거에는 드래그니티 드래프트의 일러스트를 근거로 둑스로 추정되었었다.[10] 팔시온이 아스칼론과 생김새가 비슷하고, 게오르기어스가 사용하던 창 아스칼론은 펄션 모양의 검으로도 알려져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드래그니티-파랑크스, version=44, uuid=e7b2ad37-b524-4281-b371-858fdf1019d8,
title2=드래그니티-아큐리스, version2=29, uuid2=c94eccce-97d3-4bc5-badb-e84d4ed8cd84,
title3=드래그니티-레기온, version3=21, uuid3=37692a9b-f56f-4eef-a03d-80c068d74018,
title4=드래그니티-둑스, version4=36, uuid4=4fa8981c-fcf3-4466-b96a-53f3a99eea63,
title5=드래그니티의 신창, version5=68, uuid5=56d820122-7927-438d-85ed-01c5dc7115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