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즈아크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패왕권룡 · 패왕문 · 패왕 · 패왕룡 즈아크 · 펜듈럼그래프 펜듈럼 드래곤 · 엑시즈 드래곤 · 싱크로 드래곤 · 퓨전 드래곤 | ||||
서브 에이스 | 에이스 | |||
ARC-V 패왕권룡 오드아이즈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 패왕권룡 클리어윙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 ARC-V 패왕룡 즈아크 OCG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 |||
심복 카드(ARC-V) | 심복 카드(OCG) |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패왕권룡 다크브룸 | 크로노그래프 매지션 패왕권룡 라이트브룸 패왕문의 마술사 |
패왕 관련 카드군 | ||
패왕권룡 | 패왕문 | 패왕룡 즈아크 서포트 카드 |
패왕룡 즈아크 | |||||
한국어판 명칭 | 패왕룡 즈아크 | ||||
일어판 명칭 | [ruby(覇王龍, ruby=はおうりゅう)] ズァーク | ||||
영어판 명칭 | Supreme King Z-ARC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어둠 빛 | 드래곤족 마법사족 악마족 | 펜듈럼 마법 / 함정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몬스터 카드 패왕룡 즈아크의 관련 카드들을 모아놓은 문서.소속 카드 자체는 오래 전부터 존재했으나 그 중 함정 카드인 패왕의 역린과 패왕룡의 혼은 어느 테마에도 속하지 않아 서치가 불가능한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마술사 덱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다이놀피어 같은 덱에서나 용병으로 쓰고는 했다.
그러던 중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패왕문의 마술사로 서치 가능하도록 지정되면서 불완전하게 나뉘어있던 원작 패왕 테마가 하나로 묶이게 되었다. 범위상 패왕문 소속 카드를 전부 포함하기에 서치 구조가 굉장히 유기적으로 바뀌며 마술사 덱의 주축을 패왕술사라는 아키타입으로 바꿔버릴 정도의 영향력을 보였다. 성능 면에서는 패왕(유희왕/카드군) 문서 참조.
즈아크를 서포트하는 카드 대부분이 함정 카드인 것이 특징. 원작에서도 즈아크에게 반격하려는 상대에게 함정 카드로 역공을 거는 장면이 있었고 펜듈럼 몬스터가 몬스터와 마법 양쪽에 포함되니 서포트를 함정에 몰아준 것도 있을 것이다.
2. 효과 몬스터 (펜듈럼)
2.1. 레벨 4
2.1.1. 패왕권룡 라이트브룸
2.2. 레벨 7
2.2.1. 패왕문 제로
2.2.2. 패왕문 인피니티
3. 융합 몬스터 (펜듈럼)
3.1. 레벨 12
3.1.1. 패왕룡 즈아크
3.1.2.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4. 싱크로 몬스터 (펜듈럼)
4.1. 레벨 12
4.1.1. 패왕룡 즈아크-싱크로 유니버스
5. 마법 카드
5.1. 펜듈럼 에볼루션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펜듈럼 에볼루션,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エボリューション,
영어판 명칭=Pendulum Evolu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되돌린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공격력 2500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이 엑스트라 덱의 뒷면의 펜듈럼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몬스터의 펜듈럼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패왕룡 즈아크"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스트럭처 덱 펜듈럼 에볼루션의 작명을 그대로 가져왔다.
오랜만에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로 서치할 수 있는 '펜듈럼' 마법카드이다.
①번 효과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카드명이 다른 공격력 2500의 펜듈럼 몬스터로 교환하는 것. 공격력 2500의 펜듈럼 몬스터는 마술사, 오드아이즈를 비롯해 상당수의 펜듈럼 덱들이 채용하는 파워 카드인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이 있으므로 보통 최우선으로 가져오게 될 것이다. 다만 패 돌리기가 코스트라서 패 트랩에 극도로 취약하므로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이 효과의 대상에는 인공지능 ME-PSY-YA가 포함되기 때문에 루닉 등의 덱 상대로 서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서치할 수 있는 몬스터
②번 효과는 엑스트라 덱 펜듈럼 몬스터를 뒷면 표시 상태에서 특수 소환한 턴에 펜듈럼 소환권을 추가로 부여하는 효과이다. 메인 덱에 들어가는 펜듈럼 몬스터들은 엑스트라 덱에 갈 경우 앞면 표시로 놓이므로, 어디까지나 뒷면으로 투입되는 융합/펜듈럼, 싱크로/펜듈럼, 엑시즈/펜듈럼 몬스터들을 뒷면인 상태에서 엑덱에서 뽑아와야 효과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펜에볼 투입형 패왕이라면 패왕문의 마술사를 소재로 사용할 수 있고, 패왕천룡의 혼의 소재 및 문술사의 덤핑용 코스트도 될 수 있으며, 나름대로 준수한 돌파 능력도 있는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조건 충족용으로 채택한다. 그 외에 희망의 마술사라면 레벨 4 2장만 모아도 쉽게 소환이 가능하기에 이 조건을 충족하기 쉬운 편.
오리엑드보다는 소환하기 힘들지만, 패왕룡 즈아크-싱크로 유니버스도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몬스터 중 하나이다. 싱크로 즈아크는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의 소재가 될 수 있어 엑스트라 덱 펜듈럼 몬스터 중 몇 안되는 패왕덱과 시너지가 나는 카드이므로, 나름대로 투입할 가치는 있다. 이 경우 정규 소환이 어려운 상황에는 패왕문 제로의 몬스터 효과로 비정규 특수 소환하는 방법도 있다. 단 제로를 통한 전개는 어디까지나 펜듈럼 에볼루션의 조건만을 위한 우회 용도이며, 제로로 소환한 싱크로 즈아크는 효과가 무효화되어 카드명을 패왕룡 즈아크로 취급하지 않으므로 아크레이의 소재로 릴리스하여 이어나갈 수는 없고 링크 소재 및 파괴되어 펜듈럼 존에 놓이는 정도로만 활용할 수 있다.
조건 충족을 위해 소환해야 하는 몬스터는 해당 틀 참조. 여기서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등의 의식/펜듈럼은 해당되지 않는다.
③번 효과는 즈아크를 대상으로 광역 공격 능력을 주는 효과. 보통 즈아크가 나오면 필드 클린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내성 효과로 버티거나 상대 턴 전개를 통해 새로 소환된 몬스터들이 있을 시 그 몬스터들을 전투로 밀어버릴 수 있다는 점이 강점. 패왕권룡을 불러오는 즈아크의 3번 효과는 턴 제약이 없으므로 몬스터를 하나 부술 때마다 패왕권룡을 끌어올 수 있다. 따라서 즈아크가 직접 공격을 하지 못하더라도 소환된 패왕권룡들이 상대의 라이프를 줄일 수 있다. 즈아크를 이미 소모했거나 소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싱크로 유니버스나 아크레이에 적용하는 방법도 있다.
아스트로그래프를 서치할 수 있는 또다른 수단이 생긴 건 분명히 좋지만, 우라라나 토끼 등에 무력화되면 패 2장을 내다버린 것이나 마찬가지고, 전개 루트의 최적화 과정에서 이 카드 없이도 비슷한 강도의 필드 구축이 가능하다. 패왕룡 즈아크의 광역 공격 효과도 써먹을 일이 크지 않은 편. 따라서 ②의 두번째 펜듈럼 소환으로 상대의 견제를 흘리는 능력이 메인이다.
수록 시리즈 |
2023-07-22 |
AGOV-JP047 | エイジ・オブ・オーバーロード [ AGE OF OVERLORD ] |
2023-10-13 |
AGOV-KR047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2023-10-20 |
AGOV-EN047 | AGE OF OVERLORD |
5.2. 광익의 용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광익의 용,
일어판 명칭=<ruby>光翼<rp>(</rp><rt>こうよく</rt><rp>)</rp></ruby>の<ruby>竜<rp>(</rp><rt>りゅう</rt><rp>)</rp></ruby>,
영어판 명칭=Wings of Ligh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패왕권룡" 펜듈럼 몬스터나 "패왕문"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자신 필드에 "패왕룡 즈아크"가 존재할 경우\, 패에 넣지 않고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덱에서 패왕권룡/패왕문 펜듈럼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추가로 즈아크가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한다면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상대 메인 페이즈 시에도 발동 가능해 자유롭게 서치 및 전개를 할 수 있다. 라이트브룸이나 패왕문의 마술사로 추가 서치를 하거나, 패왕문 제로/인피니티로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카드 발매 시점에서 존재하는 메인 덱의 패왕권룡 및 패왕문 몬스터는 모두 펜듈럼 몬스터이다.
특수 소환 효과는 패에 넣지 않고 바로 소환 취급이라 사실상 덱에서 바로 소환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즈아크가 필드에 나온 상황이면 이미 게임이 굳어져있기 마련이라 어지간하면 발휘될 일은 없다. 사실상 즈아크 서포트 범위에 들어가기 위한 부가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 효과 탓에 특수 소환을 포함하는 효과로 판정되어서 신의 경고나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도미나스 임펄스처럼 특수 소환 대응 퍼미션에도 막혀버리는 리스크가 있다.
패왕룡 즈아크의 카드명이 기재되어 있기에 패왕문의 마술사로 서치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패왕룡을 안 쓰는 덱에서도 패왕문과 패왕권룡이 서치 가능한 것만으로 잘 채용되고 있다. 다만 속공 마법임에도 드로우 페이즈에 발동이 불가능해 드롤 & 로크 버드 케어는 불가능.
일러스트에서는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의 가슴에서 빛이 나오고 있고, 그 사이에서 패왕권룡 라이트브룸이 날고 있다. 패왕천룡이 즈아크로 취급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 카드로 라이트브룸이 소환되는 걸로 보면 된다. 실제로 필드에 4레벨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가 있는 상태에서 패왕룡(패왕천룡)의 혼으로 필드에 패왕룡(또는 패왕천룡)을 낸 뒤 이 카드로 라이트브룸을 소환하면, 라이트브룸의 회수 효과에 딸린 싱크로 소환으로 패왕권룡 클리어윙을 소환하여 추가타를 날릴 수 있어 실전성이 높은 콤보이기도 하다.
수록 시리즈 |
2023-07-22 |
AGOV-JP048 | エイジ・オブ・オーバーロード [ AGE OF OVERLORD ] |
2023-10-13 |
AGOV-KR048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2023-10-20 |
AGOV-EN048 | AGE OF OVERLORD |
6. 함정 카드
6.1. 패왕의 역린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패왕의 역린,
일어판명칭=<ruby>覇王<rp>(</rp><rt>はおう</rt><rp>)</rp></ruby>の<ruby>逆鱗<rp>(</rp><rt>げきりん</rt><rp>)</rp></ruby>,
영어판명칭=Supreme Rag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패왕룡 즈아크"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왕룡 즈아크"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패 / 덱 /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카드명이 다른 "패왕권룡" 몬스터를 4장까지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패왕권룡"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 / 묘지에서 "패왕권룡" 몬스터 2장을 고르고\, 대상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 [ 원작 효과 ]
- ||<tablewidth=100%><width=20%> 한글판 명칭 ||패왕의 역린||
일어판 명칭 [ruby(覇王, ruby=はおう)]の[ruby(逆鱗, ruby=げきりん)] 영어판 명칭 Supreme Rage 일반 함정 ①: 자신 필드에 "패왕룡 즈아크"가 존재하고, 자신이 2000 이상의 전투 데미지를 받은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왕룡 즈아크"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패왕권룡 스타브베놈" "패왕권룡 클리어윙"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 "패왕권룡 오드아이즈"를 1장씩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여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그 후,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의 "패왕권룡 다크브룸" 2장을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다.
유희왕 ARC-V에서 즈아크가 사용한 함정 카드.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OCG화되었다.
효과 자체는 강력하다. 이 카드 1장만으로 단번에 최상급 몬스터 4장을 전개해주며 효과 무효나 소제 제약 등이 일절 없기에 평범하게 전투로 써먹든 효과를 사용하든 아니면 릴리스나 융합, 싱크로, 엑시즈, 링크 소재로 써먹어도 아무 제한이 없다. 오드아이즈로 즈아크의 전투 데미지를 2배로 불리고, 스타브 베놈은 몬스터 효과를 베끼면서 관통효과를 부여, 클리어윙으로 귀찮은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고 효과 데미지를 주고, 다크 리벨리온의 엑시즈 소재를 충전할 여건이 된다면 바로 소재를 충전해 피니셔로 써먹을 수도 있는 등 다채로운 플레이가 가능하다.
참고로 패왕룡 즈아크가 펜듈럼 존에 있어도 발동할 수 있다. 어느 존이냐를 안 따지고 그냥 필드에 있는 것만 따지기 때문.
즈아크 자체는 마술사 위주로 덱을 짜면 전용 덱으로 낼 수 있었으며, 아예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조건을 무시하고 불러오는 패왕룡의 혼도 있어 쉽게 불러낼수 있지만 정작 두 카드 다 서치할 수단이 없어서 트랩트릭 같은 범용 서치 카드를 쓰는 수밖에 없었다. 이후 패왕문의 마술사가 등장해준 덕에 서치 수단이 생겼으며, 역시 같은 서치 범위 내에 들어가고 더 궁합이 잘 맞는 패왕천룡의 혼도 같은 범위 내라 더욱 사용하기 편해졌다.
원작과 비교하면 크게 상향된 카드로, 2000 이상의 데미지를 입을 필요도 없고 엔드 페이즈란 조건이 삭제되었으며, 그냥 자신 필드에 패왕룡 즈아크만 있으면 발동할 수 있게 되었고 소환되는 장소도 패, 덱까지 포함시켜 메인 덱 몬스터인 패왕권룡 다크브룸이나 패왕권룡 오드아이즈도 쉽게 불러낼 수 있게 되었다. 턴 종료시까지 효과 무효화도 삭제되어서 전개가 훨씬 편해졌다. 게다가 불러내는 몬스터도 정확히 지정하는 게 아니라서 덱/엑덱에 다 투입할 필요 없이 라이트브룸이나 다크브룸을 불러내는 것도 가능하다. 원작의 효과로 다크브룸 2장을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는 OCG화되면서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여 묘지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들 중 패왕권룡 2장을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로 바뀌었다. 즉, 이 카드를 제외해야 엑시즈 소재를 충전할 수 있는 대신, 다크브룸이 아니더라도 패왕권룡 몬스터이기만 하면 엑시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 셈. 다크브룸이 제한이 됐던 것도 크지만, 바로 직전 팩에서 나온 우라라에게 1번 효과가 막혀도 엑시즈 소재 충전 효과는 자유로이 쓸 수 있게 된 것도 크다.
발매 당시에는 신 마스터 룰이 적용되고 있었기에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수에 제한이 있어 사용이 굉장히 어려운 카드였다. 링크 몬스터로 억지로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 가능한 공간을 늘린 후에 즈아크를 준비하거나, 아예 패왕권룡들을 정규 소환한 후 묘지로 보내는 등 말도 안 되는 수고를 들여야 했다. 2020년 4월부터 펜듈럼 몬스터를 제외한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는 엑스트라 덱에서 메인 몬스터 존에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되어 겨우 원작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원작에서는 아카바 레이지가 소환한 열화대왕,질풍대왕,노도대왕에게 패왕문 카드들이 공략당하고 패왕룡 즈아크가 공격당해 큰 데미지를 입자 자신에게 상처를 낸 대가를 치르게 해주겠다며 발동했다. 이 카드의 효과로 패왕권룡 4천룡들을 전부 꺼내 레이지가 꺼낸 3대왕들을 전부 파괴하고 레이지의 라이프를 0으로 만들었다.
조건이 빡세긴 하지만 효과 하나는 정신 나간 카드로 1장 1장이 강력한 패왕권룡들을 4장이나 그것도 엑스트라 덱과 묘지에서 소환조건까지 무시해서 모조리 불러내준다. 거기다 이 효과로 부른 다크 리벨리온에겐 엑시즈 소재 충전까지 해줘서 효과까지 맘껏 쓸 수 있다. 3대왕을 전부 불러내고 펜듈럼 존의 마도현자들의 효과로 전투/효과 데미지에 대한 대책까지 갖춘 레이지였으나 이 카드 1장으로 포진이 무너지고 원 턴 킬 당해버린 것만 봐도 이 카드의 무서움을 알 수 있다.
일러스트엔 사천룡의 오리지널 일러스트 버전이 실루엣 형식으로 그려져있다.
②번 효과는 패왕권룡 내의 엑시즈 몬스터가 다크 리벨리온밖에 없음에도 카드군을 지정하는데, 이 문제는 훗날 발매하는 패왕권룡 라이트브룸의 ①번 효과가 답습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CODE OF THE DUELIST | COTD-JP070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6.2. 패왕룡의 혼
6.3. 패왕룡의 기적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패왕룡의 기적,
일어판명칭=<ruby>覇王龍<rp>(</rp><rt>はおうりゅう</rt><rp>)</rp></ruby>の<ruby>奇跡<rp>(</rp><rt>きせき</rt><rp>)</rp></ruby>,
영어판명칭=Miracle of the Supreme King,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패왕룡 즈아크"가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명의 이하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선택할 수 없다).,
효과2=● 자신 필드의 "패왕룡 즈아크" 1장을 파괴하고\,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오드아이즈" 펜듈럼 몬스터 또는 빛 속성의 "패왕룡 즈아크"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여 특수 소환한다.,
효과3=●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4=● 덱에서 속공 마법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패왕룡 즈아크의 서포트 함정 카드.
즈아크가 존재할 경우 3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 할 수 있다. 몬스터 존이라는 언급이 없기에 패왕의 역린과 마찬가지로 펜듈럼 존에 즈아크가 있어도 발동이 가능. 당연히 룰 상 패왕룡 즈아크로 취급되는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이 존재해도 발동 가능하다. 단 발동 조건은 만족했어도 효과 처리 도중에 상대가 즈아크를 먼저 치워버리면 첫 번째 효과는 적용할 수 없다.
첫 번째 효과는 패왕룡 즈아크[1]를 파괴하고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오드아이즈 몬스터나 빛 속성의 패왕룡 즈아크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하는 몬스터에는 앞뒷면 제약이 없기에 앞면인 몬스터도 소환이 가능하다. 현 시점에서 빛 속성 패왕룡 즈아크는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밖에 없기에 사실상 이 카드를 지정한 거나 다름 없다.[2] 몬스터 존에서 파괴된 즈아크는 펜듈럼 존에 세팅되기에 상대의 서치 방해와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봉쇄하는 강력한 영속 카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소환 조건을 무시하기 때문에 소환 제약이 빡세게 걸린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 등도 쉽게 불러올 수 있다. 물론 베놈, 펜듈럼그래프, 레볼루션 등은 정규 소환하여 소생 제한 룰을 만족했다면 앞면 표시인 상태에서 불러오는 것도 아무 문제 없다. 또한 덱에서 필요한 오드아이즈 몬스터를 불러오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패왕천룡을 불러오는 효과는 어차피 패왕천룡 자신의 룰 특소로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턴에는 쓰는 메리트가 적고[3], 주로 상대 턴에 즈아크를 펜듈럼 존으로 넘겨 서치 효과에 대한 퍼미션 및 융싱엑 몬스터 효과 발동에 락을 걸거나 비대상 비파괴 제거 효과가 발동했을 때 즈아크를 펜듈럼 존으로 이동시키며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다. 단, 이 방법으로 엑스트라 덱 뒷면에서 소환된 패왕천룡은 융합 소환 및 자신의 효과로 소환된것이 아니기 때문에, 펜듈럼 존으로 가도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펜듈럼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대신 정규 소환된 후 펜듈럼 존으로 간 패왕천룡을 이 효과로 파괴한 뒤, 다시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하여 덱의 원하는 펜듈럼을 펜듈럼 존에 놓는 식의 변칙적인 활용이 가능하긴 하다.
두 번째는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펜듈럼 존에 놓는 재활용 효과. 펜듈럼 존이 비어 있을 때 쓰는 것이 좋다. 즈아크를 릴리스해 패왕천룡을 정규 소환했을 경우, 즈아크는 엑스트라 덱에 놓이게 되는데, 이 즈아크를 다시 펜듈럼 존에 놓아 즈아크의 락 효과를 사용하거나, 패왕천룡을 펜듈럼 존으로 이동시켜 즈아크를 다시 특수 소환시킬수도 있다.
세 번째는 꽤나 파격적인데, 즈아크 덱이라면 아무 속공 마법 카드든지 상관없이 가져올 수 있다. 속공 마법이라 세트한 턴에는 발동할 수 없지만, 덱에서 세트이므로 우라라나 드롤에 걸리지 않는다. 서포트 카드인 광익의 용이 속공 마법 카드로 발매되어 광익의 용과의 연계를 상정한 듯하나, 굳이 지원 카드가 아니더라도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나 금지된 일적을 비롯한 범용성 높은 속공 마법을 불러와도 무방하다. 다만 함정 카드 및 속공 마법 특성 상, 보통 이 카드의 효과로 속공 마법을 가져와 쓸려면 다음 자신의 턴까지 기다려야하는 것은 주의. 패왕 관련 카드가 아닌 그냥 속공 마법인 이유는 원작에서 즈아크를 막타칠 때 활용한 스마일 유니버스를 의식한 듯 하다.
패왕룡의 혼으로 불러낸 즈아크가 있어도 쓸 수 있기에 생각보다 발동 조건은 어렵지 않은 편. 즈아크가 필드를 벗어나기 전에 첫번째 효과를 사용한다면 상기한 방법으로 즈아크를 다시 필드로 불러낼 수도 있으며 이렇게 소환된 즈아크는 효과를 전부 사용할 수 있기에 필드를 제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러스트가 굉장히 인상적인데 정황상 즈아크의 것으로 보이는 듀얼디스크에 세팅된 패왕권룡 다크브룸과 패왕룡 즈아크가 각각 패왕권룡 라이트브룸과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으로 변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온 적이 없던 부분이나, 보통 일러스트가 카드나 효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우에는 실제 OCG 카드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면, 패왕룡 즈아크를 비롯한 즈아크의 카드들이 레이라의 화조풍월의 효과로 인해 일반 몬스터로 변하는 장면을 의식하여 신규 카드로 표현 한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보면 원작의 말 많던 전개를 코나미의 if 전개로 한을 푼 셈.
카드명은 아크파이브 마지막 화의 제목인 펜듈럼이 그리는 기적을 의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4] 또한, 작중 즈아크를 쓰러트리는 스토리는 좋게 말하면 기적, 나쁘게 말하면 급전개로 진행되는데, 기적적으로 레이라에 깃들어 부활한 레이가 나타나 화조풍월 카드를 사용하여 즈아크를 파괴하였으며, 이 영향으로 즈아크 안의 유우야가 기적적으로 표면으로 나올 수 있었고(첫 번째 효과), 악의만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순수한 마음이 있어야 흔들리는 펜듈럼이 유우야의 손으로 돌아왔으며(두 번째 효과), 덱 위의 카드가 빛나며 기적이 일어나 스마일 유니버스를 드로우, 즈아크의 패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세 번째 효과)
수록 시리즈 |
2023-07-22 |
AGOV-JP068 | エイジ・オブ・オーバーロード [ AGE OF OVERLORD ] |
2023-10-13 |
AGOV-KR068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2023-10-20 |
AGOV-EN068 | AGE OF OVERLORD |
6.4. 패왕천룡의 혼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패왕천룡의 혼,
일어판명칭=<ruby>覇王天龍<rp>(</rp><rt>はおうてんりゅう</rt><rp>)</rp></ruby>の<ruby>魂<rp>(</rp><rt>たましい</rt><rp>)</rp></ruby>,
영어판명칭=Soul of the Supreme Celestial King,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원래 공격력이 2500 의 마법사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엑스트라 덱 / 필드 /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패왕룡 즈아크" 1장을 융합 소환한다. 자신의 제외 상태인 "펜듈럼 드래곤" "엑시즈 드래곤" "싱크로 드래곤" "퓨전 드래곤" 몬스터가 각각 존재할 경우가 아니면\,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의 즈아크 지원 카드이자 패왕룡 전용 융합 카드로, 원작의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의 효과를 재현 및 상향시켰다. 원작의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의 효과는 필드, 덱, 묘지, 엑스트라 덱을 지정했어도, 패를 지정하지는 않았기에 사천룡 중 하나인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패에 있으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었으나, 이 쪽은 거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패도 지정하기에, 필드 / 패 / 덱뿐만 아니라, 묘지와 엑스트라 덱에서도 융합 소재를 조달할 수 있어 즈아크의 소환이 더 간편해졌다.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패왕문의 마술사가 원래 공격력 2500의 마법사족 펜듈럼 몬스터라 발동 조건도 충족하기에 세트해두고 상대 턴에 즈아크를 정규 소환해 전개를 방해할 수도 있다. 마술사 덱 외에도 보통 패왕룡 즈아크를 사용한다면 패왕룡의 혼의 2번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엑스트라 덱에 각각 해당하는 카드를 집어넣기 때문에 소재 조달 자체도 어렵지 않은 편.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패왕룡의 혼의 2번 효과로 해당 카드들을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해서 묘지에 묻힌 상태에서 이 카드의 효과로 융합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펜듈럼 드래곤, 엑시즈 드래곤, 싱크로 드래곤, 퓨전 드래곤 몬스터가 제외 상태가 아니라면 패왕룡의 혼처럼 효과가 무효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카드는 OCG화된 아스트로그래프/크로노그래프 매지션과 달리 소재를 바꿀 수는 없으므로 4장의 드래곤 마술사들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카드로 패왕룡 즈아크를 불러낼 거라면 융합,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드래곤족 몬스터가 필요하다.
- 퓨전 드래곤들은 대부분 소재가 무겁기 때문에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외에는 범용성이 낮으며, 그 스타브 베놈도 일반적으로는 소환되지 않는다. 패왕문의 마술사 등으로 덤핑해서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이 베낀다 쳐도 싱크로 드래곤을 베끼는 게 더 범용성과 성능이 좋기도 하고.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사이드에 초융합을 넣거나, 아예 불러낼 생각 없이 스타브 베놈을 투입하고, 사이드가 없는 마스터 듀얼에서도 카드 레어도가 비교적 낮아 구하기 쉬운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 사용되는 편.
- 싱크로 드래곤들은 성능이 비교적 떨어지는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외에는 어느 쪽이든 패왕권룡으로 베꼈을 때 제각각 이점이 있어서[5] 괜찮은 편. 주로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 투입된다.
- 엑시즈 드래곤 쪽에서는 패왕권룡으로 베껴도 아크 리벨리온의 지속 효과 외엔 전부 소재를 제거하는 효과라 의미가 없고, 그 지속 효과도 엑시즈 소환된 아크 리벨리온 한정이라 적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단순히 효과보다는 후의 전개용도로 쓸 수 있는 카드를 넣는다. 주로 패왕문의 마술사 등으로 7축 소환이 쉬워져 이를 사용 할 수 있는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사용한다.
- 가장 큰 문제는 펜듈럼 드래곤. 위의 셋과 달리 메인 덱에만 사실상 투입할 수 있다.[6] 이 경우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나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을 넣어야 한다. 그나마 스케일이라도 멀쩡해 패에 잡히면 사고라도 적게 나는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이 투입 대상으로 고려된다. 오드아이즈 덱에서도 아크펜듈럼이 더 선호되는 편.
보기 드문 상황이지만, 즈아크의 융합 소재 조건(드래곤족의 융합/싱크로/엑시즈/펜듈럼 몬스터)과 패왕천룡의 혼으로 무효화되지 않는 조건(제외 상태의 "펜듈럼 드래곤","퓨전 드래곤", "싱크로 드래곤", "엑시즈 드래곤" 몬스터)이 별개라는 점을 이용해 미리 조건에 해당하는 몬스터를 제외한 상태에서 패왕천룡의 혼으로는 즈아크의 소재 조건만 만족시킬 경우, 정상적으로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펜듈럼 소환된 조현의 마술사의 효과로 "펜듈럼 드래곤" 취급인 홍채의 마술사를 끌어온 다음, 필드에서 치워버리기만 한다면 패왕천룡의 혼으로 패왕권룡 다크브룸과 같은 아무 드래곤족/펜듈럼 몬스터를 소재로 써먹어도 즈아크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물론 제외 상태가 "앞면"인지는 따지기 때문에 설령 같은 제외 상태일지라도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 같은 것에 찍혀서 뒷면으로 제외된 상태일 경우에는 얄짤없이 무효화되니 이것 또한 주의할 것.
엑스트라 덱의 소모가 심하긴 하지만, 서치가 많아 드롤 & 로크 버드가 강세인 현 메타에서 고전하던 유우야 테마들에게 서치 한 번만으로 억제력을 가져다 주는 이 카드는 강력한 저점 보완 역할을 할 수 있는 카드라 할 수 있다. 카드 한 장만으로 상대 턴에 소환되는 즈아크가 상당히 강하기 때문. 프랭키즈가 환경 톱에서 놀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 상대 턴 프리 체인 전체 파괴 효과는 막강한 효과이며, 효과를 받아낼 수 있다고 하더라도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급의 하드웨어를 가진 즈아크를 또 뚫어야 한다.
일러스트에서는 패왕문의 마술사가 패왕천룡을 소환하기 위해 빛의 궤적을 그리는 모습이다. 아직 소환 과정이라 그런지 즈아크과 사천룡이 다 나오는 패왕룡의 혼과 달리 이 카드에는 즈아크도, 심지어 소재였던 사천룡도 없다.
수록 시리즈 |
2023-07-22 |
AGOV-JP069 | エイジ・オブ・オーバーロード [ AGE OF OVERLORD ] |
2023-10-13 |
AGOV-KR069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2023-10-20 |
AGOV-EN069 | AGE OF OVERLORD |
7. 서포트 카드
7.1. 패왕문의 마술사
이 카드군을 성립시키는 핵심 카드.8. 서포트 범위 외의 카드
서치 범위 외인 마법사족이고, 이 문서의 서포트 대상인 "패왕룡 즈아크" 취급을 가지고 있지 않은 카드들.[1] 패왕룡의 혼과 달리 원문이 1마리(1体)가 아닌 1장(1枚)으로 되어있어서 몬스터 존 뿐만 아니라 펜듈럼 존의 즈아크도 활용 가능하다.[2] 원래의 카드명이 "패왕룡 즈아크"인 몬스터로 지정할 수 있느냐 할 수 있지만, "패왕룡 즈아크"로 카드명을 바꾸는 효과, 정확히는 그 룰이 효과 외 텍스트라 그렇게 못한다.[3] 패왕천룡은 즈아크를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하기에 즈아크를 펜듈럼 존에 놓을 수 없지만 이 카드는 파괴하고 특수 소환이기에 즈아크를 펜듈럼 존에 놓을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불러낼 경우 후술할 단점도 있다.[4] 보통 팩 발매 전, 해당 팩과 관련된 애니메이션 스토리를 유튜브에서 프리미엄 공개하는데,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의 경우 즈아크가 등장하는 화가 아닌, 유우야 VS 레이지의 147화와 148화가 공개되었다.[5]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은 몬스터 퍼미션이 있으며 다른 둘과 달리 마술사 덱에서도 구축에 따라서 불러낼 수는 있다.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은 마함 퍼미션이 있으며, 몬스터 효과 내성을 부여한다. 크리스탈클리어윙 오버 싱크로 드래곤은 만능 퍼미션이 있다.[6] 융합 몬스터인 카드들도 있지만 정작 이들은 펜듈럼 몬스터가 아니고, 펜듈럼/드래곤족 몬스터 중에서 퓨전 드래곤에 속하는 카드는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패왕룡 즈아크, version=887, uuid=10357b52-3a4f-42af-a81b-1e45a54fc92e,
title2=펜듈럼 에볼루션(스트럭처 덱), version2=35,
title3=광익의 용, version3=21,
title4=패왕천룡의 혼, version4=52,
title5=패왕룡의 기적, version5=70,
title6=패왕의 역린, version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