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02:03:39

새크리파이스(유희왕/카드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 새크리파이스
서브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 진화체
원작 · DM
툰 월드
데블 박스
빛의 피라미드·GX
툰 블랙 매지션 걸
툰 킹덤
새크리파이스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툰 드래곤
원작 · DM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OCG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나이트메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
새크리파이스
<nopad> 한국어판 명칭 새크리파이스
일어판 명칭 サクリファイス
영어판 명칭 Relinquished
Eyes Restrict (융합 몬스터)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마법사족
[ 접기 ]
효과
의식
융합
링크
컨트롤 탈취

1. 개요2. 설명3. 성능
3.1. 장점3.2. 단점
4. 의식 몬스터5. 융합 몬스터
5.1. 레벨 1
5.1.1.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5.1.2.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5.1.3. 나이트메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6. 링크 몬스터7. 관련/서포트 카드
7.1. 일반 몬스터7.2. 효과 몬스터
7.2.1. 황금의 사교신7.2.2.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7.2.3. 환상마술사 노페이스
7.3. 마법 카드
7.3.1. 환술의 의식7.3.2. 새크리파이스 퓨전
8. 기타 "새크리파이스" 카드9. 참고 카드
9.1. 융합 & 의식 소재 카드9.2. 융합 소환 관련 카드9.3. 의식 소환 관련 카드9.4. 장착 마법 관련 카드9.5. 소생계 카드9.6. 제거계 카드9.7. 링크 몬스터9.8. 기타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등장인물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사용한다.

2. 설명

마법의 지배자에서 처음 등장한 새크리파이스를 시조로 하는 테마로, 해당 카드가 등장하고 20년 8개월 정도의 세월이 흘러서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에서 정식 카드군으로 성립되었다.

카드군으로서의 지정은 보통 원본 의식 몬스터 새크리파이스와 융합 몬스터인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같이 지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만 황금의 사교신통상 소환할 수 없는 "새크리파이스" 몬스터를 지정하며 새크리파이스 아니마까지 포함해 포괄적으로 지정하였다. 영문판에서는 Eyes Restrict(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 Relinquished(새크리파이스)로 지칭된다.

서포트 카드를 포함해 몬스터들은 전원 어둠 속성/마법사족/공격력 0/수비력 0(링크 몬스터라 수비력이 없는 아니마는 예외)의 스텟을 가지고 있다. 원조 새크리파이스의 능력을 따라 상대의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만들어 빼앗는 효과가 특징이다.[1] 여러 서포트를 받을 수 있는 스텟과 파괴 이외의 방법으로 제거하는 능력은 강력하지만, 의식, 융합을 병행하기 때문에 자원 소모가 큰 편이다. 때문에 카드군 전체의 컨셉을 살리기보다는 일부 카드를 용병으로 채용했을 때 성능이 더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애니메이션 출신 테마가 별의 별 지원을 받으나 이례적으로 주연 인물이 사용한 카드군임에도 상당히 테마 지정이나 지원이 더딘 편이다. 특히 서포트 카드들은 지정이 아예 되어있지 않아 테마 내에서 서치할 방법이 없어, 일부 카드가 밀레니엄 카드군이나 퓨전 카드군에도 발을 걸친다는 점을 이용해야만 굴릴 수 있다.[2]

3. 성능

몬스터를 장착하여 능력을 흡수하는 컨셉의 몬스터 락 덱. 상대의 전략을 읽고 이를 봉쇄하는 플레이가 원작의 재현도가 높다고 평가된다. 락이 통하는 상대에게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근본적으로 상성과 선/후공 승률을 많이 타는 테마이기 때문에 한계가 명확하다.

이 테마는 특이하게도 단독 에이스로 굴리는 것보다 용병으로 채용했을 때 더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테마화 이전부터 사우전드 아이즈가 돌연변이의 금지에 일조하였으며 새크리파이스 단신으로는 몬스터 밖에 견제할 수 없어 약점이 뻔하지만 간단한 소환 조건[3]을 특화시켜 타 에이스 몬스터 옆에 굳히기로 불러놓거나 인스턴트 퓨전 1핸드로 소환시켜 돌파 및 패트랩 방어 용으로 사용하는 등 보조 용병에서 강한 모습을 보인다.

3.1. 장점

  • 강력한 몬스터 견제 능력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가 에이스 카드로, 장착한 몬스터의 효과를 영구적으로 무효화하는 강력한 몬스터 봉쇄 능력을 보유한다. 또한 새크리파이스 계열은 카드명 턴 제약이 없기 때문에 2마리 이상을 소환해도 그대로 밥값을 한다.
  • 넓은 서포트 범위
    새크리파이스 몬스터들은 "마법사족 / 1레벨 / 어둠 속성 / 공수 0"이라는 스탯에, 의식 / 융합 소환 병행이라는 컨셉으로 카테고리가 곂치는 다양한 카드들의 활용이 가능하다.
  • 다양한 용병 채용 가능
    소재 제약이 느슨하여 소재 대체 몬스터를 비롯한 각종 우회로를 모두 이용가능하다. 융합 테마라 낙인, 티아라멘츠 등의 우수한 용병도 채용가능하며 실전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의식 쪽으로도 활로를 뚫을 수 있다.
  • 마인드 스캔
    황금의 사교신의 능력으로, 아무 조건 없이 상대 패를 확인할 수 있다. 사교신은 그밖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어 채용에 무리가 없으며, 패 트랩을 케어하고 상대 전략을 읽으며 게임할 수 있다.

3.2. 단점

  • 마법 / 함정 견제의 부재
    약점은 마법 / 함정이다. 새크리파이스는 모든 효과에서 몬스터를 한정으로만 봉쇄하며 마함을 견제하는 능력이 전혀 없다. 파괴에 한정하면 환상마술사 노페이스로 1회 보험을 마련할 수 있지만 그것 뿐이다. 따라서 제거 마함 위주로 굴러가는 테마를 만나거나, 스킬 드레인 같은 강력한 지속 마함을 만나면 영 힘을 쓰지 못한다. 특히 테마 자체의 한계이기 때문에 용병으로 극복하기도 어려운 가장 치명적인 단점.
  • 극심한 어드밴티지 소모
    의식, 융합 중심의 테마이기 때문에 어드밴티지 소모가 많은데, 관련 서포트 카드는 소모된 어드밴티지를 복구하기보다는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는 류의 효과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한 번 필드를 구축하면 패가 남아나질 않는다. 반면에 재생을 담당하는 노페이스는 영 못미더운 카드라 필드가 뚫리면 그저 패배로 직결된다.
  • 자체 서포트의 빈약
    이 테마는 실질적으로 에이스 몬스터인 새크리파이스&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 전용 융합, 서포트 몬스터 3장이 전부인 아주 빈약한 카드풀을 자랑하는데, 자체 서치가 없다는 이상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스탯을 통한 서포트는 받지만 이 또한 한정적이고 협소하여[4] 전용 덱 구성에 고심이 필요하고 사람마다 레시피가 천차만별이다.
  • 상대 의존도 높음
    상대의 강력한 몬스터를 흡수한다는 컨셉이기에, 정작 상대가 비전투형 덱이거나 흡수할 몬스터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공격력/수비력 0의 잡몹에 불과하다.

4. 의식 몬스터

4.1. 레벨 1

4.1.1. 새크리파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새크리파이스(유희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크리파이스(유희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크리파이스(유희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융합 몬스터

5.1. 레벨 1

5.1.1.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밀레니엄(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GX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암드 드래곤 LV10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사이버 다크 드래곤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패왕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5D's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ZEXAL~9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없음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
파일:ミレニアム・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일어판명칭=ミレニアム・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
영어판명칭=Millennium-Eyes Restrict,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마법사족,
소재="새크리파이스" + 효과 몬스터,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상대의 필드 / 묘지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효과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 각각의 수치만큼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와 원래의 카드명이 같은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그 효과는 무효화된다.)]
에라타
誤 : [카드 텍스트] 같은 이름의 몬스터
正 : [카드 텍스트] 원래 카드명이 같은 몬스터 참고.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에서 커버 카드를 맡은,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의 리메이크 카드.

밀레니엄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원본에 달려있던 1,000개의 눈알이 전부 천년 아이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본체의 색상도 검붉은 색에서 황금색으로 바뀌었다.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천년 아이의 사용자임을 반영한 듯 하며, 페가수스 이전의 소유자였던 아크나딘의 어둠의 대신관 가면도 목 뒤에 붙어 있다.

원본과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퓨전으로도 쉽게 소환할 수 있다. 또한 융합 소재가 새크리파이스랑 그냥 효과 몬스터이기만 하면 되기에 초융합으로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 있는 것도 장점. 물론 새크리파이스를 꺼내놓는 일은 상당히 부담되지만, 널리고 널린게 융합 대체 몬스터라서 전혀 문제 없다. 널널한 조건 덕분에 티아라멘츠 메인 몬스터의 효과로 묘지의 새크리파이스 또는 융합 소재 자원을 회수하면서 뽑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가 있으면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 같은 경쟁자가 더 실용성이 높은 점에는 유의.

①의 흡수 효과는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때와는 다르게 능동적으로 상대 몬스터를 잡아올 수 없다. 대신 상대 몬스터의 효과에 반응하므로 상대 턴에도 효과 발동이 가능하며, 필드는 물론 묘지의 상대 몬스터도 흡수할 수 있다. 그래서 발동시 묘지로 가는 패 트랩 몬스터의 효과에 체인을 걸어서 흡수하고 효과를 무효화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재정이 있다. 물론 상대가 이 카드가 있는 걸 알고도 뻔히 효과를 쓰길 기다리지만 말고,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의 서포트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한 발동한 효과를 무효화하진 않으므로 그 역시 주의.

원본처럼 패러사이트 퓨저너와의 궁합도 썩 괜찮은 편으로, 상대가 효과를 발동하기 전에 상대 턴에 기습 소환해서 융합 소재로 사용하면 상대의 몬스터 효과를 사실상 봉쇄할 수 있다. 단, 상대가 발동한 몬스터 효과에 체인해서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소환 및 융합 소환을 하면 밀레니엄 아이즈의 효과 발동 타이밍을 놓쳐서 상대 몬스터를 흡수할 수 없다.

②의 효과는 새크리파이스 공통의 능력치 상승 효과.

③의 효과는 원작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의 강렬한 눈빛으로 인한 효과를 계승한 듯한 효과. 여전히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가 도와야 제대로 써먹을 수 있겠지만, 상황만 되면 상대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다. 또한 효과를 무효화하는 건 필드라는 언급이 없기에 패나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도 막을 수 있어 1번 효과로 상대의 패 트랩 몬스터를 낚아채와 2, 3장째의 패 트랩을 봉인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 새크리파이스들이랑은 다르게 이 카드는 장착하는 카드 장수에 제한이 없기에 여건만 된다면 여러 장을 장착하여 공격력 / 수비력을 불려나갈 수가 있다.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밀레니엄이 카드군화되면서 뜬금없이 새크리파이스 외 다른 카드군에도 편입되었다. 카드군 내 시너지는 거의 없으나 어떤 방식으로든 이 카드를 불러내면 천년의 십자의 덱 바운스를 피하면서 환상의 소환신 엑조디아가 막을 수 없는 몬스터 효과에 대한 퍼미션이 생기니 용병으로 채용하는 것 정도는 나쁘지 않은 편. 도로도로곤[5]이나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 같은 자체 융합 효과를 내장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사용해 소환하는 것도 괜찮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초기에는 에라타 이전 기준 텍스트였고, 효과 처리 역시 동일했으나 이후 수정되었다. 전용 라이브 2D도 적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2편DP19-JP003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전설의 듀얼리스트 2편DP19-KR003울트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5.1.3. 나이트메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파일:2355_20251002024651_VJpQsoMGeCOBEk8Ae3beKVlMBbawg4pOXgCaygTQKg2iuq5p6ieE1SE4NacIm6i0.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나이트메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ナイトメア・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
영어판 명칭=NIghtmare-Eyes Restric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1, 속성=어둠, 종족=환상마족, 공격력=0, 수비력=0,
소재=종족이 다른 악마족 / 환상마족 / 마법사족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또는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그 2장은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④: 상대 몬스터는 다른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다.)]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환상마족 리메이크. 환술사 노페이스, 환술사 다크 아이즈 등 원작에서 소환마족이 환상마족으로 설정된 몬스터들과 새크리파이스를 함께 사용했던 덱 구성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 시 또는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상대 필드 몬스터를 장착하는 효과. 비대상이므로 기존 새크리파이스 카드군의 하드 카운터인 대상 내성 몬스터를 드디어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원본과 달리 여러 장을 장착할 수 있기에 매턴마다 효과를 쓸 때마다 공격력이 더욱 더 올라갈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새크리파이스 공통의 타점 상승 효과. 여러장을 먹으면 계속 강해진다.

③의 효과는 환상마족 공통의 상호 전투파괴 내성. 덕분에, 타점에서 밀리더라도 ①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직접 공격한 후 잡아먹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④의 도발 효과는 ③의 효과와 시너지를 내서 자신의 몬스터 전반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①의 효과를 의식한 상대가 배틀을 포기하게 만든다.

프리즈마틱 서몬 박스의 다른 신규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사우전드 아이즈의 효과를 그대로 상향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공격불가는 상대에게만 걸고 장착 가능 한도가 사라졌으며 전투파괴 내성도 상향되었다. 밀레니엄 아이즈와 달리 효과 퍼미션은 없어서 소환시의 1회성 견제 이후로는 전투에서만 장기를 드러낼 수 있다. 그래도 지킬 수만 있다면 매 턴마다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며 공격력을 올려갈 수 있기에, 상대의 케어 플레이에 따라 공뻥을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기 쉽고 전투내성도 없는 밀레니엄 아이즈에 비해 피니셔 에이스로서 유용한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소재 조건에 새크리파이스가 없어서 완화된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성원들이 마법사족 단일 종족인 새크리파이스 덱에서 뽑기엔 더 어려워졌다. 사실 원작과는 전혀 관련 없는 악마족이 소재에 포함된 시점부터 말만 새크리파이스지 범용 카드로 출시된 것에 가깝다.[6] 따라서 쓰고자 한다면 최대한 범용 악마족/환상마족 몬스터를 확보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존 새크리파이스 덱에서도 자주 쓰는 카드 중에서는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 서치용으로 쓰이던 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이 환상마족인 밀레니엄 문 메이든을 서치해올 수 있으며, 악마족을 쓰겠다면 융합 축에서 주로 쓰는 데스완구 패치워크 및 에지임프 체인, 아니면 어느 덱에 들어가도 대충 밥값하는 데먼스미스트로이메어 등이 있다.

오히려 해당 소재 조건을 만족하는 덱은 새크리파이스 덱이 아닌, 아자미나키메라 덱이다. 양쪽 모두 환상마족 + 악마족[7] 몬스터를 사용하는 데다가, 속공 융합[8]에 접속이 가능하므로 굳이 새크리파이스 퓨전을 쓸 필요도 없다. 특히나 아자미나 쪽은 아자미나 모아 레지나의 효과로 재사용할 수 있으며, 키메라 쪽은 효과 ④까지 심연의 결계상 등의 락 몬스터를 지키는 데 쓸 수 있어 궁합이 좋다.

인스턴트 퓨전에는 대응하므로 일회성 제거기로 사용할 수는 있으며, 초융합 용도로 사용할 수는 있긴 하나 생각보다 조건이 빡빡하다.
수록 시리즈
2025-12-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DB-JP002 | DUELIST BOX-PRISMATIC SUMMON-

6. 링크 몬스터

6.1. 링크 1

6.1.1. 새크리파이스 아니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새크리파이스 아니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크리파이스 아니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크리파이스 아니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몬스터가 아니기 때문에 노페이스, 일루져니스트의 서포트를 받지 못한다. 하지만 사교신은 가능.

7. 관련/서포트 카드

7.1. 일반 몬스터

7.1.1.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효과 몬스터

7.2.1. 황금의 사교신

파일:黄金の邪教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황금의 사교신,
일어판 명칭=<ruby>黄金<rp>(</rp><rt>おうごん</rt><rp>)</rp></ruby>の<ruby>邪教神<rp>(</rp><rt>じゃきょうし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Golden-Eyes Idol,
레벨=1,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전부 확인한다. 이 카드의 카드명은 엔드 페이즈까지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또는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통상 소환할 수 없는 "새크리파이스" 몬스터 1장에 장착한다. 이 효과로 몬스터를 장착하고 있는 한\, 그 공격력만큼\,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린다.)]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의 리메이크. 환술사 다크 아이즈환술사 노페이스는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로 리메이크 되었는데 사교신 혼자만 3년이나 지나고서야 리메이크되었다.

①의 효과는 원작의 페가수스의 천년 아이로 사용하는 '마인드 스캔'처럼 상대 패를 확인할 수 있는 유발 즉시 효과. 코스트도 없고, 자기 턴, 상대 턴 모두 확인 가능하다. 덤으로 이름을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으로 취급할 수 있다. 비록 지속 시간이 턴 중으로 제한되기는 하지만 능력치가 낮아 특수 소환이 용이한 데다 효과 발동 전후로 아무런 제약이 없어서 패 확인 효과 중에서는 가히 최강이라고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처럼 상대 몬스터를 새크리파이스 몬스터에게 장착하게 해주는 새크리파이스의 상징과 같은 능력. 새크리파이스 아니마는 링크 앞의 몬스터만 장착할 수 있었는데, 황금의 사교신을 이용하면, 굳이 링크 앞이 아니더라도 몬스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발동 타이밍이 제외 및,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때라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패/필드/묘지/덱 아무데서나 보내도 효과가 발동 가능하며 엑시즈 소재인 상태에서 제외[9]되어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새크리파이스 시리즈의 효과로서 장착한 게 아니라서 관련된 추가 효과는 얻을 수 없지만, 그 대신 황금의 사교신의 효과로 장착한 판정이 된다. 원래부터 여러 마리를 장착할 수 있었던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 달리 새크리파이스,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새크리파이스 아니마자신의 효과로 장착 가능한 카드는 1개까지라는 제약 때문에 이전의 추가 지원을 크게 응용하기 힘들었던 반면, 이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장착하고도 새크리파이스 시리즈가 자기 자신의 효과로 1장을 더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효과에 의해 묘지로 보내질 때와 달리 제외시의 발동은 다른 카드의 발동 코스트/소환 소재로 제외되어도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혼자 늦게 나온 만큼 삼총사 중 효과의 응용력이 가장 뛰어나며 레벨을 비롯한 스테이터스도 완벽, 고점을 절묘하게 끌어올릴 수 있는 카드라 기존의 새크리파이스 유저들은 굉장히 잘 만든 카드로 평가한다. 하지만 단독으로는 1번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필드에 나올 수도, 2번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묘지/제외존으로 이동할 수도 없어 반드시 콤보로 사용해야 해 덱 구성에 고심을 요한다.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처럼 몸에 붙어 있던 눈이 전부 천년 아이로 바뀌었고, 자세도 '사교신답게' 더욱 당당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또한 효과도 쓸만한 것이 붙으면서 원본의 플레이버 텍스트가 제값을 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PRISMATIC GOD BOX PGB1-JP005 밀레니엄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7.2.2.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천년(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ミレニアム・アイズ・イリュージョニ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
일어판 명칭=ミレニアム・アイズ・イリュージョニスト,
영어판 명칭=Millennium-Eyes Illusionist,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또는 "새크리파이스" 1장을 고르고\, 그 효과에 의한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의 상대 효과 몬스터를 장착한다.,
효과2=②: 필드에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또는 "새크리파이스"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묘지의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환술사 다크 아이즈의 리메이크 버전. 광대 같은 모습에서 온몸에 톱니바퀴가 달린 모습이 되었고 얼굴은 천년아이가 되었다.

①의 효과는 프리 체인으로 패에서 버려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새크리파이스 계열에 장착 카드로 취급해 장착하는 유발즉시 효과. 꽤나 강력한 서포트 패 트랩으로, 이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는 그 새크리파이스 몬스터의 효과로 장착된 것으로 취급하기에 새크리파이스들의 능력치 상승도 적용되게 해준다. 다만 나이트메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제외한 새크리파이스들은 1장만 장착할 수 있기에 제약이 걸린다. 밀레니엄의 경우 장착 수 제한도 없고 대상 카드명을 무효화하는 효과도 갖고 있기에 대부분 밀레니엄에게 쓰게 될 것이다.

②의 효과는 새크리파이스 계열이 특수 소환되었을 때 자동으로 샐비지되는 강제유발효과로 또 다시 방해되는 상대 몬스터를 장착하는 데에 쓸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 후에 새크리파이스를 의식 소환하면 간접 서치할 수도 있다. 어둠 속성은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카드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쉽다.

전용 서포트 삼총사 중에선 저점을 담당한다. 새크리파이스가 등장하면 알아서 패로 올라오고, 아무때나 패에서 버리면 효과를 쓸 수 있어 가장 간편하게 활용 가능하다. 서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하술한 것처럼 좋은 서치 카드가 추가되어 더욱 좋아졌다.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밀레니엄이 카드군화되면서 뜬금없이 새크리파이스 외 천년 카드군에도 편입되었다. 덕분에 서치 수단이 없던 이 카드를 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으로 서치가 가능해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2편DP19-JP001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7.2.3. 환상마술사 노페이스

파일:幻想魔術師・ノー・フェイ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환상마술사 노페이스,
일어판 명칭=<ruby>幻想魔術師<rp>(</rp><rt>マジカルイリュージョニスト</rt><rp>)</rp></ruby>・ノー・フェイス,
영어판 명칭=Illusionist Faceless Magician,
레벨=5,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2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또는 "새크리파이스"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또는 "새크리파이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2편에서 발매된 환술사 노페이스의 리메이크 버전. 원본과는 달리 새크리파이스 관련 몬스터로 리메이크되었다. 일어판의 경우 '환상마술사' 부분은 '매지컬 일루저니스트'라고 읽는다.

상급 몬스터지만, ①의 효과로 패 / 묘지에서도 소환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어둠 속성 몬스터로 묘지로 보내는 방법은 많이 존재해 묘지로 보내는 것도 어렵지 않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새크리파이스 계열 몬스터를 소생하는 효과. 당연히 이게 핵심 효과인데, 이 카드의 소환 자체로는 아무런 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 턴에 소환해서 벽으로 삼거나 다른 카드와 병용해서 어드밴티지를 챙긴다던가 새크리파이스의 의식 소환을 위한 릴리스,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의 융합 소재로서 사용되었을 경우 등 새크리파이스를 소생시키는 것이 이 카드의 존재 의의. 새크리파이스가 터져서 필드가 비는점에 대한 보험용 카드 감각으로 사용하면 되겠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소생 제한 룰을 따르기 때문에 부활시킬 새크리파이스는 정규 소환을 한 번은 해야한다.

잘 보면 1,2번 효과가 연동이 가능한데 새크리파이스가 파괴되면 패 / 묘지의 이 카드를 불러오고 그렇게 불러온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지면 다시 묘지에서 새크리파이스를 부활시킬 수 있다. 물론 둘다 명칭 제약이 있기에 계속해서 서로 부활하는 무한 루프는 불가능.

전용 서포트 삼총사 중에서 재생력을 담당하지만, 수동적이라는 단점이 있어 믿음직스럽진 못하다. 새크리파이스가 파괴되는 건 보통 상대 턴이라 노페이스가 튀어나와도 상대 입장에선 그냥 제외하거나 바운스시켜 재생을 끊을 수 있기 때문. 게다가 스테이터스가 형편없어 서치하기가 매우 어렵다.[10] 그래도 통과되었을 때 재생 능력 자체는 꽤 강력하다는 것이 위안.

일러스트는 원작에서 환혹의 눈을 사용할 때의 모습인듯. 리메이크되면서 이집트스러운 분위기가 가미되었으며 환하게 웃으면서 더더욱 기괴해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2-DP19-JP002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DP19-KR002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7.3. 마법 카드

7.3.1. 환술의 의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환술의 의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술의 의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술의 의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2. 새크리파이스 퓨전

파일:サクリファイス・フュージ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새크리파이스 퓨전,
일어판명칭=サクリファイス・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Relinquished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 몬스터 또는 "새크리파이스" 1장을 고르고\, 그 효과에 의한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의 상대 효과 몬스터를 장착한다.)]
새크리파이스 전용 융합 카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는 주로 인스턴트 퓨전으로 뽑기에 애매하지만 같은 팩에서 나온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는 필드에 오래남아 있으면서 압박을 가하는 스타일이기에 이 카드가 제격.

융합 소재로 쓰는 몬스터는 제외되긴 하지만 패 / 필드 뿐만 아니라 묘지에서도 조달할 수가 있기에 기존 융합보다 소재 구하기가 널널한 편. 즉, 패에서 새크리파이스늪지의 마신왕을 융합해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또는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뽑은 후, 묘지로 간 새크리파이스늪지의 마신왕을 제외 융합하여 나머지 새크리파이스를 뽑는 기행이 가능해졌다는 뜻. 거기다가 더구나 속공 마법이라, 할 것 다 하고 이 카드로 새로운 새크리파이스를 융합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2번 효과 역시 꽤나 강력한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면 노 코스트로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새크리파이스 계열에 장착시켜준다. 거기다 이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는 그 새크리파이스의 효과로 장착한 것으로 취급하기에 새크리파이스들의 능력치 상승도 그대로 적용시켜준다. 또한 마법 카드로써의 장착이라 몬스터 효과에 내성이 있는 클리포트버제스토마에게도 손길이 미친다. 다만 구 새크리파이스들은 1장까지밖에 장착할 수 없단 제약이 있기에 쓴다면 여러장 장착 가능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에게 쓰는게 좋을 듯. 아님 장착된 몬스터가 파괴되었을때 묘지에서 제외하여 빠르게 후속 장착을 마련하는 용으로 쓰는 것도 좋다.

덱 융합이 대세인 현 환경에서 단독 파괴력은 떨어지는 카드이지만, 이 카드의 최고 장점은 바로 속공 마법이라는 것이다. 무덤의 지명자에 찍힌 몬스터를 체인하여 소재로 먹어버리거나, 상대 턴에 황금의 사교신으로 제거를 할 수도 있고 가빙려월처럼 서치 타이밍을 엔드 페이즈로 지정하여 이 턴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류의 페널티를 피해갈 수도 있다.

본래는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융합몹들이 죄다 원본 새크리파이스를 소재로 필요로 했기에 새크리파이스 본인이나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가 필수였으나 나이트메어아이즈 새크리파이스의 등장으로 굳이 새크리파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범용 악마족 몬스터를 채용해 다른 환술사 몬스터들과 융합 소환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일러스트에선 새크리파이스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이 융합하고 있으며,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듯이 배경에 눈들이 다 뜨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2편DP19-JP004 슈퍼 레어 일본세계 최초수록

8. 기타 "새크리파이스" 카드

통상 소환할 수 없는 '새크리파이스' 몬스터 이외의 '새크리파이스' 카드들. 사족으로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으로 하단에 기재된 몬스터들의 이름을 복사할 경우, 통상 소환할 수 없는 새크리파이스 몬스터가 되기 때문에, 황금의 사교신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9. 참고 카드

덱의 구축 방향성은 크게 두 가지인데, 새크리파이스를 투입하여 융합 + 의식으로 굴릴 것인지, 아니면 의식을 포기하고 순수 융합 축으로 갈 것인지가 있다. 사실 팬심으로 굴리는 게 아닌 이상 순수 융합 축으로 가는 것이 훨씬 낫다. 새크리파이스는 구식 몬스터이기 때문에 기껏 소환해도 밥값을 하지 못하기 때문. 밀레니엄을 에이스로 하는 융합 축이 실용성 있으며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사용하면 원본 새크리파이스는 아예 투입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덱의 구성 난이도는 높은 편이다. 쓸 수 있는 용병은 많은데, 자체 기믹에는 서치 루트가 없어 덱마다 플레이 루트가 천차만별이기 때문. 메인 기믹과 용병 간의 최적의 조화를 찾는 것이 중요하며, 하술된 용병 일부는 오히려 새크리파이스를 투입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굴리는게 더 강하다는 딜레마도 존재한다. 다만 이건 고점을 끌어내려 할 때 얘기고, 그냥 굴러만 가는 정도의 성능을 목표한다면 대강만 짜도 돌아가는 포용력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9.1. 융합 & 의식 소재 카드

환술의 의식은 새크리파이스가 1레벨이라 아무 몬스터나 릴리스하면 의식 소환할 수 있고,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는 새크리파이스 외의 나머지 하나의 소재를 '효과 몬스터'로 굉장히 널널하게 지정한다. 따라서 보통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추가 어드밴티지나 전개권을 주는 카드와의 조합을 통해서 덱을 구축하게 된다. 덱 특성 상 융합, 의식 양쪽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 높은 카드들이 선호받는 편이다.
  • 티아라멘츠 메이루, 허프니스, 셰이렌
    1번 효과는 새크리파이스에서 쓸 일이 없으나 중요한 건 2번 효과. 융합 소재나 의식 소재로 사용하면 묘지 자원을 회수하며 융합 소환을 한다. 의식 소재로 쓰거나 융합하여 밀레니엄 아이즈를 소환했다면 즉시 티아라멘츠 효과로 소재를 재활용하면서 밀레니엄을 하나 더 꺼낼 수 있다. 게다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회수한다면 선택지가 넓어져 다재다능한 운용이 가능하다. 의식 소재로 쓰든 융합 소재로 쓰든 전개력을 더해주는 준 필수 파츠. 효과를 쓰면 묘지에서 새크리파이스가 사라져 새크리파이스 퓨전과의 궁합은 떨어지는 편이나, 어차피 일반 새크리 + 대체 몬스터를 전부 쓸 경우 묘지에 새크리파이스가 모자란 경우는 많지 않다.
  • 캡쉘
    융합 소재로 사용해도, 의식 소재로 사용해도 카드를 한 장 뽑을 수 있다. 융합, 의식을 둘 다 사용하는 새크리파이스와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해도 드로우를 보충해주므로 호궁합이다. 융합 소재로 제외되어도 카드를 뽑기 때문에 새크리파이스 퓨전의 효과로도 드로우를 볼 수 있다. 다만 어느 쪽이든 1턴에 1번이라 의식 소재로 쓴 턴에 바로 융합을 해도 2드로우를 볼 수는 없다.

9.2. 융합 소환 관련 카드

  • 인스턴트 퓨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몬스터를 간편하게 꺼내기 가장 쉬운 카드. 새크리파이스와 전혀 연관이 없는 덱들조차 밀레니엄 + 인퓨만 패 트랩 케어용으로 채용할 정도로 성능은 확실하다. 정규 소환으로 취급하므로 소생계 카드들과의 궁합도 매우 좋은 편이고, 효과 조건이 까다로운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꺼내는 데에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 초융합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는 효과 몬스터만 소재로 지정하므로, 필드에 새크리파이스가 있다면 초융합으로 모든 효과 몬스터를 잡아먹을 수 있다.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를 활용하면 패 코스트도 충당 가능하다. 단점은 새크리파이스를 필드에 내놓아야 한다는 것인데, 일단 한 번 정규 소환을 성공하면 소생하기도 쉽고, 하술할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새크리파이스 덱에서 견제 카드로 쓰기 좋다.
  • 낙인융합 + 알버스의 낙윤
    낙인융합으로 낙윤과 새크리파이스를 묘지로 보내 루벨리온을 소환한 뒤 루벨리온의 효과로 둘을 다시 덱으로 되돌리면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투 핸드로 뽑을 수 있다. 인스턴트 퓨전보다는 가성비가 떨어지지만 융합 몬스터와 초융합을 잘 사용하는 덱 특성 상 알버스의 낙윤의 효과도 나름 쓸만하고 상황에 따라 미라제이드로 우회가 가능하다. 대부분 융합 몬스터로 게임을 풀어나갈 새크리파이스 특성 상 낙인융합의 디메리트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새크리파이스 본인의 서치는 저레벨 의식 몹이라 쉬운 편이지만, 의식 소환을 넣으면 말림률이 높아지고 그렇다고 안 넣으면 새크리파이스 본체는 말림패가 된다. 게다가 상술했듯이 새크리파이스 자체만으로는 공격력이 0에 상대 의존이라 게임을 끝내기 어려워, 새크리파이스 본체를 대체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융합 소재를 공유하는 다른 몬스터를 뽑기 위한 윤활유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러 가지 선택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이하와 같다.
    • 늪지의 마신왕 + 융합(마법 카드)
      가장 범용적으로 무난한 조합. 이미 패에 새크리파이스가 있다면 버리고 융합을 서치하여 그걸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진화체를 뽑거나, 혹은 패에 새크리파이스 퓨전은 있는데 묘지에 새크리파이스가 없으면 스스로 버려져서 묘지에서 새크리파이스 퓨전의 소재로 제외할 수도 있다.
    • 패러사이트 퓨저너 + 가빙려월
      패러사이트 퓨저너는 새크리파이스와 같은 1레벨 어둠 속성 몬스터이기 때문에, 새크리파이스가 받는 1레벨 서포트를 모두 받는다. 마법사족 덱인 새크리파이스는 가빙려월의 효과로 패에 있는 황금의 사교신 등을 특수 소환하여 효과를 쓸 수 있다. 가빙려월은 새크리파이스 퓨전을 서치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우수한 카드이며, 서치 타이밍이 엔드 페이즈지만 속공 마법이라 즉시 발동할 수도 있다. 운이 좋으면 드래곤족 바운스 효과도 써먹을 수 있다.
    • 융합 주술봉인 생물-빛, 심안의 여신
      단독으로는 위의 두 카드에 밀리지만, 상술한 낙인융합과의 조합을 사용할 경우 빛 속성인 이 카드를 덤핑하여 루벨리온이 아닌 낙인룡 알비온으로 패 소모 없이 밀레니엄 아이즈를 뽑을 수 있기에 낙인 축이라면 1장 정도 투입할 가치가 있다.
  • 데스완구 패치워크 + 에지임프 체인
    융합 + 체인을 서치하는 패치워크와, 의식 & 융합 소재로 사용하면 패치워크를 다시 가져오는 체인의 궁합으로 패 소모를 보충한다. 당연하지만 가디언 키메라와의 상성도 좋다.
  • 매지컬라이즈 퓨전
    4장째의 새크리파이스 퓨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단독 활용도는 새크리파이스 퓨전의 하위호환이나 이쪽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와 병행할 경우의 선택지가 더 늘어난다는 장점이 있다. 혁언룡 그랑기뇰 + 데스피아안 루루와릴리스 구성을 채용해 심연룡 알버 레나투스를 덤핑하고 엔드 페이즈의 다른 일반 융합 카드의 서치로 잇거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를 소환하면 어드밴티지 소모가 빠른 단점을 드로우로 어느 정도 보완해준다. 시간의 마도사를 채용하면 실패 시 디메리트는 좀 뼈아프지만 확정 필드 클린으로 이어줄 수 있고, 게임이 중반 이후로 가서 마법사족이 많이 쌓였다면 퀸텟 매지션도 고려할 수 있다.
  • 프레데터 플랜츠 파츠
    비브리스프를 서치 요원으로 채용하고, 스콜피오 + 달링 코브라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새크리파이스 퓨전을 서치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루트이며, 둘을 소재로 쿠로시프 등을 링크 소환하여 전개 루트를 더 뚫을 수 있다. 그밖에도 융합을 대체할 수 있는 부포리큘라, 퓨전을 서치할 수 있는 키메라플레시아, 밀레니엄을 소재로 융합할 수 있는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되는 암불로메리도스 등이 쓸만하다.

9.3. 의식 소환 관련 카드

  • 의식의 준비, 의식의 밑준비, 만수의 신
    범용 서포트 카드들. 새크리파이스는 환술의 의식에 직접 대응하므로 의식의 밑준비 채용이 가능하다.
  • 디클레어러 디바이너
    아크 디클레어러를 덤핑하고 새크리파이스 파츠를 서치하거나, 구신 누토스를 덤핑하여 파괴 용도로도 쓰는 의식 덱의 핵심 카드. 새크리파이스 덱에서는 2번 효과로 에어로피Ξ를 소환하여 상대의 몬스터를 강제로 2 / 4번 위치로 끌어내서 아니마의 대상으로 만드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푸아소니에르 드 누밸즈
    소환 시 서치하는 레벨 1의 의식 몬스터에 새크리파이스도 들어간다. 또한 환술의 의식의 제물로 릴리스하면 스스로 펜듈럼 존에 놓인 뒤 다시 특수 소환되어, 링크 소재나 엑시즈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여차하면 파티시엘 쿠베르를 엑스트라 덱에 투입한 뒤 살벌한 요리 대결로 불러오면, 새크리파이스로 상대 필드에 내놓은 쿠베르를 흡수해 최소한의 전투력을 확보할 수 있다.

9.4. 장착 마법 관련 카드

  •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필드 / 묘지의 장착 마법 1장을 제외하고 특수 소환되며, 필드의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소환의 코스트와 퍼미션의 코스트 모두를 새크리파이스 특유의 장착 효과로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새크리파이스 옆에 세워서 실질적 전투 겸 퍼미션으로 쓸 수 있다. 다만 일단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어야 그 때부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선턴에 잡히거나 새크리파이스 단계에서부터 막히면 애물단지가 된다는 점에 주의. 제대로 써먹고 싶다면 새크리파이스를 보조할 프레임 버디 에카를 섞고, 이를 보조할 불꽃성기사 카드를 조금 섞는 것이 좋다.
  • VV-진라만상 + VV-쾨니히 비센
    새크리파이스들의 장착 효과와 진라만상의 마법/함정 존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를 결합해 상대의 몬스터를 영구적으로 컨트롤 탈취 후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특히 진라만상 + 쾨니히 비센 조합은 상대의 필드 마법을 묘지로 보낼 수 있고,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의 카드를 놓아 포영, 길항, 라스톰 케어도 되는 조합이다보니 일반적으로 채용하기도 좋다.
  • 수월의 아듈라리아
    앞면 표시로 마함이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은 새크리파이스로 채울 수 있고, 3의 효과로 장착한 상대 몬스터를 치우면서 덱에서 황금의 사교신을 덤핑하면 즉시 하나를 더 잡아먹을 수 있다.

9.5. 소생계 카드

  • 쿠로시프
    이 몬스터의 링크 앞에 의식 몬스터가 소환되면 카드를 2장 뽑고 2장 버리며, 융합 몬스터가 소환되면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특히 융합 몬스터가 전부 1레벨이라 경우에 따라 융합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게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소환 제약도 간단한데다 의식과 융합 양쪽으로 쓸만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황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쓸 지를 정하면 된다.
  • 금화고양이
    일반 소환에 성공하면 묘지의 레벨 1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스피릿 카드. 새크리파이스 본체를 특수 소환하면 바로 하나를 더 잡아먹을 수 있고,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소환했다면 즉시 이 카드와 퓨저너를 융합해 밀레니엄 아이즈를 뽑을 수도 있다.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제외되는 디메리트는 소생한 카드를 아니마로 바꾸거나 2링크 및 1랭크로 우회하면 문제 없다. 특히 새크리파이스 본체라면 다이너 몬드의 링크도 가능하다. 금화고양이가 스피릿이라는 점에 착안해 아라타마 + 사키타마 파츠를 채용하면 일소권 보충 및 상황에 따른 금화고양이 샐비지도 가능하다.
  • 흑아의 마술사
    새크리파이스 및 서포트 카드들은 환상마술사 노페이스를 제외하면 전부 어둠 속성 / 마법사족이라 흑아의 마술사에 의한 소생이 가능하다. 특히 새크리파이스는 상대 몬스터가 있어야 제 효율을 발휘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몬스터가 있어야만 소생 효과를 쓸 수 있다는 흑아의 마술사의 단점도 어느 정도는 상쇄된다.
  • 마술사의 재연, 마술사의 오른손
    재연의 효과로 새크리파이스를 소생할 수 있고, 재연이 묘지로 가면 서치되는 오른손은 상대의 마법 효과를 1번 무효로 한다. 소생과 견제를 양면으로 수행하는 좋은 카드지만, 새크리파이스는 스스로 필드의 재연을 묘지로 보낼 방법이 없으므로 다른 카드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제일 좋은 건 역시 레벨도 겹치고 새크리파이스로 장착한 몬스터를 드로우로 바꿔주는 매지션즈 소울즈.
  • 스톤헨지
    공격력 0의 몬스터를 소생시키기 때문에 모든 새크리파이스 몬스터들에 대응된다. 황금의 사교신을 특수 소환하여 상대의 패를 본 뒤, 이 카드를 치워 사교신을 효과로 파괴시키면 장착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재융합, 계약 이행 등의 다른 소생 카드나 상술한 가빙려월과 같이 집어넣고 공작상자를 투입해서 소생 수단을 늘릴 수도 있다.

9.6. 제거계 카드

  • 파괴수, 용암 마신 라바 골렘
    가장 범용적으로 쓰이는 룰 제거 수단. 상대의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새크리파이스의 타점도 보조할 수 있다. 특히 대량 제거가 힘든 새크리파이스라면 파과수를 여러 장 넣고 방파잠까지 채용하는 구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 용사 파츠
    용사 파츠 중 하나인 일리걸 나이트가 상대의 몬스터 둘을 바운스하고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되기 때문에, 상대의 몬스터 둘을 바운스하면서 새크리파이스의 장착 소재를 충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가 막혀서 만수의 신이나 디바이너 등의 일소권 초동이 막히는 것이 단점이지만, 상대를 잡아먹는 효과 자체는 특소 카드들만 사용하므로 자체 기믹이 막히지는 않는다.

9.7. 링크 몬스터

  • 링크리보,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새크리파이스를 전투에서 지켜줄 수 있는 링크 몬스터이다.
  • 에스:피 리틀나이트
    제거용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 2링크 몬스터이며, 제외 효과를 사교신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신성마황후 셀레네
    마법사인 새크리파이스를 소생시킬 수 있다.
  • 서몬 소서리스
    새크리파이스는 마법사 통일 덱이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서치가 어려운 일루져니스트, 노페이스 등을 불러오는 데 유용하다. 특히 검은 숲의 마녀와 연계하면 웬만한건 다 서치할 수 있다.
  • 아카식 매지션
    전방 몬스터를 패로 되돌려, 소서리스 후속으로 제격이다.
  • 암영의 암령사 달크
    효과로 3링크 소환을 노릴 수 있고 파괴되면 서치 효과도 쓸만하며 마법사족이 필요할 때 소환하는 등 다재다능하다.

9.8. 기타

  •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 크리터
    새크리파이스는 서치 수단이 많은 의식 몬스터라 만수의 신 의존도가 낮아, 일반 소환권 용병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몬스터는 데스가이드다. 보통 효과로 크리터를 가져와 크리터의 효과로 공격력이 전원 1500 이하인 서포트 몹들을 서치한다. 서포트 몬스터들은 패 트랩 계열 카드들이라 그 턴에 효과를 발동하지 못 하는 디메리트가 크지 않고, 여차하면 그냥 우라라나 증G를 가져오면 된다.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파괴신 버사고를 투입하거나 3레벨 의식마인 몬스터들을 채용하여 의식 소환을 보조할 수도 있다. 보통 데스가이드 + 크리터 = 쿠로시프로 이어준 뒤 의식 / 융합 소환으로 쿠로시프의 효과를 격발하거나, 허공해룡 리바이엘 소환으로 새크리파이스 퓨전으로 제외한 몬스터의 재활용도 가능하다.
  • 네메시스
    새크리파이스 퓨전에 더해 어둠 속성 몬스터가 많아 어둠의 유혹까지 채용할 경우 제외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재활용 수단으로 네메시스를 활용하는 운용도 가능하다. 보통 키스톤을 채용해 회수하면서 1레벨 개체를 깔고, 새크리파이스 퓨전의 효과로 제외하여 스스로를 회수한다. 비슷한 이유로 비스테드 + 복낙인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다.
  •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어둠의 유혹, 루드라의 마도서
    범용 부스팅 카드.
  • 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
    환술사를 서치할 수 있고 소환권도 쓰지 않으며 타점도 강력, 쉽게 어드밴티지 +1 이라 상당히 우수하다.
  • 멍멍이!?, 잭 인 더 핸드, 원 포 원
    레벨 1 서포트 카드.
  • 드롤 & 로크 버드, 이펙트 뵐러
    패 트랩으로는 당연히 강력하고, 새크리파이스와 속성을 제외한 스텟을 공유하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서 써먹을 수 있다.
  • 검은 숲의 마녀
    서치 효과가 강력하여 자체 서치가 부족한 새크리파이스에게 도움이 되며, 크리터와 달리 마법사족이라 서포트를 공유 가능하다.
  •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소재 대체 몬스터와 마법사족 몬스터로 융합 가능하며, 본인도 어둠 속성 마법사족이라 부포리큘라, 매지컬라이즈 퓨전 등의 융합 카드를 공유한다. 효과 또한 어드밴티지 소모가 심한 새크리파이스와 궁합이 좋으며, 특히 드로우한 속공 마법을 세트하는 능력과 새크리파이스 퓨전과의 콤보는 일품.
  • 어리석은 매장
    서치가 어려운 일루져니스트, 노페이스 등을 묻을 수 있다.

그 밖에, 환경의 변화로 더 이상 채용하지 않는 카드는 다음과 같다.
  • 쓰쿠요미(유희왕)
    매 턴 달의 서를 갈기며 뒷면 표시로 새크리파이스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도왔다. 몬스터의 대량 전개와 무효화 카드들의 범람으로 위력이 급감했기에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의식마인
    의식 소환에 사용되었을 경우, 그 의식 몬스터에 효과를 부여해준다. 의식마인 릴리서로 강력한 락을 걸 수 있었으나, 릴리서가 금지된 이후에는 채용하지 않는다.
  • 돌연변이(유희왕)
    뭐든 1레벨 몬스터라면 곧바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로 갈아치울 수 있었다. 현재 모든 포맷에서 금지 카드.
  •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아무 효과 몬스터 2장으로 곧바로 덱에서 융합을 발동할 수 있었던 카드. 현재 OCG/TCG 금지 카드.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if external != "o"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uuid=5be417b3-6bf8-427c-819a-d8a55d08ecfd|r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uuid=5be417b3-6bf8-427c-819a-d8a55d08ecf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from=7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if external != "o"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uuid=5be417b3-6bf8-427c-819a-d8a55d08ecfd|r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uuid=5be417b3-6bf8-427c-819a-d8a55d08ecf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from=7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반대로 그레이돌은 자신들이 장착 마법 카드가 되어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빼앗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2] 일단 공통적으로 원본 새크리파이스를 지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처럼 "새크리파이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로서 카드군화하기는 어렵지 않다. 다만 이 경우 황금의 사교신은 카드군에 포함되지 못한다.[3] 인스턴트 퓨전은 물론이고, 소재 대체 몬스터로도 쉽게 융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무 덱에 마신왕과 새크리파이스 퓨전만 넣으면 원핸드로 튀어나온다.[4] 사교신과 새크리파이스는 스텟을 공유하지만 환상마술사 노페이스,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는 스텟이 따로 논다.[5] 싱크로 소재로는 지박수인 그랜드 키퍼 등 원핸드로 6렙 싱크로가 가능한 몬스터를 사용한다.[6] 뜬금없이 지정된 이 악마족 소재는, 유희왕 듀얼링크스페가수스의 스킬 '사우전드 아이즈 일루전'으로 소환할 수 있는 데블 박스를 의식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7] 아자미나는 디아벨스타하얀 숲으로 마법사족 몬스터도 사용한다.[8] 하얀 숲의 죄보, 키메라 퓨전[9] 이 조건이 성립하려면 매크로 코스모스와 같은 제외 카드가 필드 위에 있는 상태에서 이 카드가 엑시즈 소재인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해당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 발동 등을 위해 제거되어 제외되어야 한다.[10] 레벨이 애매하여 일반 소환이 어려우며 차라리 하나 더 높았으면 매지션즈 소울즈의 코스트로 사용 가능했을텐데 현실은 시궁창. 수비력도 쓸데없이 높아 삼총사 중에서 혼자만 검은 숲의 마녀로 서치가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