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72837> | 정발판 부스터 일람 13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DUELIST ADVANCE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DUAD) [[둠 오브 디멘션즈| DOOM OF DIMENSIONS 둠 오브 디멘션즈 (DOOD) [[버스트 프로토콜| BURST PROTOCOL 버스트 프로토콜 (BPRO) [[블레이징 도미니온| BLAZING DOMINION 블레이징 도미니온 (BLDO) |
| 1~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13기 덱 빌드 팩 · 13기 번외 팩 |
DUELIST ADVANCE / デュエリスト・アドバンス
1. 개요
| 𝐃𝐔𝐄𝐋𝐈𝐒𝐓 𝐀𝐃𝐕𝐀𝐍𝐂𝐄 |
| <nopad> |
| 듀얼 시작해보자고![1] 우와, 엄청 반짝여! 다양한 테마를 수록! 물론 우리도 강해진다고! 보여주지, 우리들의 미래를! 엑시즈 소환! 나타나라, FNo.0 미래황 호프 제알!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듀얼몬스터즈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발매! +1 어시스트 팩으로 캇토빙이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025년의 부스터 팩이다. 발매일은 2025년 4월 26일(일본). 2025년 7월 29일(한국).[2] 2025년 7월 4일(TCG).
커버 카드는 FNo.0 미래황 호프 제알.
==# 발매 전 정보 #==
'듀얼리스트'라는 명칭이 들어간 팩은 각 기수의 첫 팩을 맡는다는 전통에 따라서 "12기는 8기까지처럼 얼라이언스 인사이트로 8팩으로 종료되고 이번 팩부터 13기로 이양한다."는 설이 사실상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다.[3] 이에 맞춰 팩 디자인도 변경되었고, 다시 분기 첫 팩을 상징하는 초록색으로 되돌아갔다. 거기다 어드밴스 소환의 텍스트가 A(어드밴스) 소환으로 변경된 걸로 보아 사실상 확인사살이라 봐도 될듯.
팩명이 워낙 두루뭉실해서 커버 테마로 짐작가는 후보가 별로 없었는데, 그나마 팩명이 비슷한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를 근거로 사카키 유우야의 EM 오드아이즈가 주로 꼽히는 후보였고, 팩 발매일에 동시 출시되는 섬도희 슬리브와 더불어 유희왕 카드게임 더 크로니클즈와의 연계로 아예 기존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아닌 섬도희가 커버를 맡지 않냐는 추측도 있었다. 하지만 모든 예상을 깨고 츠쿠모 유마의 오노마토축 유토피아가 커버를 차지했다. 어드밴스라는 명칭은 진전이나 발전을 의미하며 전 시리즈 주인공 중에서도 유독 성장이 두드러지는 유마의 특성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12기에서 유일하게 커버를 먹지 못했던 주인공이 13기가 되어서야 첫 팩 커버를 담당하게 되었다.
2025년 13기 첫 팩임을 감안하여 OCG 타임즈와 별개로 3월 26일에 NEXT TURN 2025라는 방송을 진행. 이 팩의 섬도희 지원, 택티컬 트라이 팩, 리미티드 팩 GX-오시리스 레드 등을 공개하였다.
4월 17일에 진행된 OCG 타임즈에서는 세레나가 출연하여 문라이트의 지원을 공개, 그 밖에도 요리 유튜버 카네코(키마구레 쿡)이 햄버거 요리를 직접하면서 누밸즈 지원을,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프로게이머 가치쿤과 제알 1기 엔딩곡을 부른 GOLDEN BOMBER의 우타히로바 쥰이 VS 지원을 공개하였다. 그 밖에 리미티드 팩 GX-오시리스 레드 카드도 일부 공개.
듀얼리스트 어드밴스의 공개 이후 영어판과 일본어판 공식DB의 일부 데이터가 수정되는 일이 있었는데, 그 카드들이 제왕, 초량, 문라이트, 제외 사이킥 카드들이라서 주목을 받기도 했으며, 정말로 지원이 공개되었다. 이후 방계와 진룡 카드들도 같은 방식으로 갱신되어 추후 지원을 기대해볼 수 있게 되었다.
카드 팩과 관련해 큰 보안 사고가 발생했는데, 2025년 3월 29일 경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카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TCG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의 월드 프리미어 카드와 본 팩의 카드 총 43장이 유출되었다. 이후 공개된 카드들이 유출과 완전 일치해 전부 사실로 판명되었다. 유출된 방식은 해당 링크를 참조. 카드의 유출은 코나미의 공식 행사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다, 실물 카드의 시세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회사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는 대형사고다.
2. 상세
CM은 유마 역의 하타나카 타스쿠가 맡았다. 공식의 픽업 에피소드는 제알의 최종 듀얼을 다룬 144~146화.이 팩부터는 사양이 변경되었다. 일단 12기의 특징이었던 쿼터 센추리 시크릿 레어와 25주년 기념 0번 카드 수록이 끝난다.[4] 기본 레어도 또한 기존의 울트라 / 슈퍼 / 레어 / 노멀의 4종에서 울트라 위에 얼티미트 레어가 추가되어 5종이 되었다.[5] 상위 레어에서는 상술한 이유로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가 복귀하고 얼티미트 레어가 빠졌으며, 별개로 홀로그래픽 레어도 사라졌다. 또한 이전에는 상위 레어가 슈레나 울레 중에서만 선정된 것과 달리 노멀이나 레어 중에서도 선정되도록 변경되었다.
초회생산한정 +1 보너스 팩이 박스 구입 특전으로 본 팩의 수록 테마에 연관된 재록 카드가 랜덤으로 들어가 있는 '+1 어시스트 팩'으로 바뀌었다. 레어도는 전원 울레이며, 그 중 1종은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사양이 존재한다.
같은 시기에 방영을 시작하는 유희왕 카드게임 더 크로니클즈 지원으로서 섬도희 지원이 수록된다. 또한 팩 이름인 어드밴스에 맞게 어드밴스 소환을 대표하는 테마인 제왕이 지원받았다. 저스티스 헌터즈 테마들은 간접지원을 받았고, 월드 프리미어 팩 2024의 테마 3종이 직접 지원을 받았으며, 12기 내내 의문의 홀대를 받았던 와일드 서바이버즈 테마들인 VS와 누밸즈가 추가 카드를 받았다. 이 와중에도 초월룡은 끝내 지원이 주어지지 않았다.
신테마로는 아르토메기아가 등장했는데, 죄보 스토리가 완결된 직후인데다 "감옥신"이라는 키워드도 가지고있는지라 스토리 테마로 추측되고있다.
대량 지원이 꽤 많은 팩이다. 제외 사이킥은 10장, 아르토메기아는 무려 13장의 카드를 받아간다. 보통 가장 많이 받는 커버 테마도 8~9장 정도였던 걸 생각하면 이례적인 카드 배분. 그런 반대급부로 범용 카드 및 잡카는 그 수가 매우 적다. 13기 내내 계속될 기조인지는 불명.
누벨즈 지원으로 인해 실로 오랜만에 정규 부스터에서 의식 몬스터가 수록되었다.
노멀 레어 카드는 WAKE CUP! 모카, 봄, 스피릿 헌터. 이 중 WAKE CUP은 노멀 레어인데도 프싴을 배정받았다.
발매 이후 환경은 본 팩으로 지원을 받은 VS가 K9과의 조합 구축으로 단번에 환경 최상위티어로 도약했고, 야미가 이에 대항하는 덱으로 자리를 잡은 가운데, 섬도희나 문라이트도 티어 중위권에 자리잡았다. 아르토메기아의 경우는 테마의 잠재력 자체는 있다는 평을 받았다. 메인 지원인 오노마토의 경우에는 자체적인 전개 안정성 상승과 더불어 라이제올을 용병으로 채용하는 등 전체적으로 체급을 많이 끌어올린 팩으로 평가받는다.
한글판은 +1 어시스트 팩의 사양이 일부 변경되어 디클레어러 디바이너와 괴염성왕-소우코가 재록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5년 10월 28일부터 누밸즈와 초량, 모르가나이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록이 시작되었다. 11월에는 유토피아, 섬도희, 제왕, 문라이트가 수록된다.
3. 지원 카드군
4. 카드 일람
| 부스터 팩 𝐃𝐔𝐄𝐋𝐈𝐒𝐓 𝐀𝐃𝐕𝐀𝐍𝐂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풀 리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카드 번호 | 카드명 | 분류 | 레어도 |
| DUAD-JP001 | 주바바바 나이트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02 | 가가가 간바라 나이트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03 | 고고고 고블린드버그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04 | 도도도도 워리어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 슈퍼 레어 | |
| DUAD-JP005 | 문라이트 골드 레오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06 | 문라이트 실버 하운드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07 | 링크슬레이어@이그니스터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08 | 무구한 자 메디우스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09 | 아르토메기아 파인멜트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10 | 아르토메기아 그라플레어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11 | 아르토메기아 리테라 | 효과 몬스터 | [[노멀| N ]]노멀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12 | 아르토메기아의 감옥신수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13 | 정적의 사이코 걸 | 튜너/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14 | 과묵한 사이코 미니스터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15 | 멘탈프로시저 | 튜너/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 슈퍼 레어 | |
| DUAD-JP016 | 프로토타입 사이코거너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17 | 명 제왕 에이도스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18 | 원 제왕종기 테세라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19 | 흑화염의 검사-블랙 플레어 스워드맨-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20 | 결장룡 티스티나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21 | 정의의 전설 카이바맨 | 튜너/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22 | VS 홀리 수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23 | 셰프 드 누밸즈 | 펜듈럼/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24 | 초량요정 제탕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25 | 초량사 블랙레이어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26 | 눈동자의 마녀 모르가나 | 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27 | 검은 마족-레오 위저드 | 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28 | WAKE CUP! 모카 | 리버스/효과 몬스터 | [[노멀| N ]]노멀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29 | 앵그리 버거 | 의식/효과 몬스터 | [[노멀| N ]]노멀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30 | 문라이트 라이거 댄서 | 융합/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31 | 문라이트 퍼퓸 댄서 | 융합/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32 | 아르토메기아 디아크트로스 | 융합/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033 | 창감옥신 네르바 | 융합/효과 몬스터 | [[얼티미트 레어| UL ]]얼티미트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34 | 앱솔루트 사이키커 | 융합/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35 | 원석룡 네더 베르셀리우스 | 융합/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036 | 시조의 용왕 | 융합/효과 몬스터 | [[얼티미트 레어| UL ]] 얼티미트 레어 | |
| DUAD-JP037 | 사크라멘툼 드라군 | 융합/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38 | 침묵의 사이코 매지션 | 싱크로/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39 | 멘탈크로스 데몬 | 싱크로/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40 | 사이코거너 Mk-Ⅱ | 싱크로/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041 | 더 스타햄 | 싱크로/효과 몬스터 | [[노멀| N ]] 노멀 | |
| DUAD-JP042 | FNo.0 미래황 호프 제알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43 | 가가가가 걸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44 | H-C 매그넘 엑스칼리버 | 엑시즈/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45 | ARG☆S-용준의 아리온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46 | VS 록스 | 엑시즈/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47 | 유려의 기사 가이아스트림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SR ]] 슈퍼 레어 | |
| DUAD-JP048 | 초념총사 발롱 | 엑시즈/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49 | 섬도희=제로 | 링크/효과 몬스터 | [[얼티미트 레어| UL ]]얼티미트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50 | 질로프소니아 고르곤 | 링크/효과 몬스터 | [[얼티미트 레어| UL ]]얼티미트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51 | 우카노미츠네노오나리 | 링크/효과 몬스터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52 | 가가가 호프 택틱스 | 지속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53 | 문라이트 마스커레이드 | 지속 마법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54 | 신예학도 아르토메기아 | 필드 마법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55 | 테오리얼라이즈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56 | 아르토메기아 마스터워크 -계승- | 속공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57 | 아르토메기아 반달리즘 -습격- | 지속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58 | 아르토메기아 버니시 -개변-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59 | 패러렐 텔레포트 | 속공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0 | 텔레포트 퓨전 | 속공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1 | 제왕의 책략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2 | 반역의 제왕 | 일반 마법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63 | 리제네시스 펜타튜크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4 | 회멸의 겁화 | 지속 마법 | [[레어(유희왕)| R ]] 레어 | |
| DUAD-JP065 | 원석 융합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6 | Start for VS! | 필드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7 | Recettes de Nouvellez~누밸즈의 요리법 노트~ | 지속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8 | 제19레이어 『습래간섭! 칠흑의 초량사!!』 | 속공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69 | 섬도아식-렘니스게이트 | 속공 마법 | [[레어(유희왕)| R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70 | 죄를 품은 모르가나이트 | 일반 마법 | [[레어(유희왕)| R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71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일반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2 | 급뢰의 수렁 | 지속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3 | 봄 | 필드 마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4 | 엑시즈 언브레이커블 베리어 | 카운터 함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5 | 아르토메기아 메세나 -각성- | 일반 함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6 | 제왕의 극치 | 지속 함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7 | 리제네시스 커맨드먼츠 | 일반 함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78 | 트랩호릭 | 일반 함정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079 | 시핑 에러 | 일반 함정 | [[노멀| N ]] 노멀 | |
| DUAD-JP080 | 스피릿 헌터 | 지속 함정 | [[노멀| N ]] 노멀 | }}}}}}}}} |
4.1. 어시스트 팩 카드 목록
한국어판과 일본판은 일부 카드 구성이 다르다.| 𝐃𝐔𝐄𝐋𝐈𝐒𝐓 𝐀𝐃𝐕𝐀𝐍𝐂𝐄 +1 어시스트 팩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풀 리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회색 칸은 한국어판 한정 수록 카드. 동일 번호의 일본어판 카드를 대체한다. | |||
| 카드 번호 | 카드명 | 분류 | 레어도 | |
| DUAD-JPS01 | 가가가 걸 (2nd 일러스트)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
| DUAD-JPS02 | 가가가가 매지션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3 | No.39 유토피아 라이징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KRS03 | 디클레어러 디바이너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4 | 문라이트 블랙 시프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5 | 문라이트 울프 | 펜듈럼/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6 | 문라이트 타이거 | 펜듈럼/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7 | 문라이트 카레이드 치크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8 | 문라이트 에머랄드 버드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09 | 문라이트 옐로 마틴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0 | 문라이트 라이오 댄서 | 융합/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1 | 월광향 | 일반 마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2 | 염무-「천기」 | 지속 마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KRS12 | 괴염성왕-소우코 | 엑시즈/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3 | 문라이트 세레나데 댄스 | 지속 함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4 | 천 제왕 아이테르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5 | 명 제왕 에레보스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6 |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7 | 천 제왕종기 이데아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8 | 제왕의 심원 | 일반 마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19 | 진제왕영역 | 필드 마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DUAD-JPS20 | 범신의 제왕 | 일반 마법 | [[울트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 }}}}}}}}} |
4.2. TCG 선행 발매
| 𝐃𝐔𝐄𝐋𝐈𝐒𝐓 𝐀𝐃𝐕𝐀𝐍𝐂𝐄 WORLD PREMIERE CARD | |||
| 카드 번호 | 카드명 | 분류 | 레어도 |
| DUAD-EN081 | Buio the Dawn's Light | 효과 몬스터 | |
| DUAD-EN082 | Luce the Dusk's Dark | 융합/효과 몬스터 | |
| DUAD-EN083 | Mutiny in the Sky | 일반 마법 | |
| DUAD-EN084 | Miracle Raven | 의식/펜듈럼/효과 몬스터 | |
| DUAD-EN085 | Ashlan U1000 | 링크/효과 몬스터 | |
| DUAD-EN086 | Readying of Rites | 일반 마법 | |
| DUAD-EN087 | Steel-Stringed Sacrifice | 효과 몬스터 | |
| DUAD-EN088 | Xyz Lay | 장착 마법 | |
| DUAD-EN089 | Psychic Omnibuster | 싱크로/효과 몬스터 | |
| DUAD-EN090 | R.B. Ga10 Driller | 효과 몬스터 | |
| DUAD-EN091 | R.B. Ga10 Cutter | 효과 몬스터 | |
| DUAD-EN092 | R.B. VALCan Rocket | 효과 몬스터 | |
| DUAD-EN093 | R.B. VALCan Booster | 링크/효과 몬스터 | |
| DUAD-EN094 | R.B. The Brute Blues | 링크/효과 몬스터 | |
| DUAD-EN095 | R.B. Funk Dock | 필드 마법 | |
| DUAD-EN096 | R.B. Stage Landing | 일반 마법 | |
- 81~83번은 악마족/천사족을 서포하는 카드들이다. 파괴내성 및 효과 무효를 보아 피안에 대한 간접 지원으로 추정된다.
- 84~86번은 의식 소환을 서포트하는 카드들이다. 악마족이 포함된 다종족 다속성 의식 덱에 대한 서포트란 점에서 리브로맨서에 대한 간접 지원으로 추정된다.
- 87번은 제왕, 88번은 오노마토, 89번은 제외 사이킥 관련 카드다.
- 90~96번은 기계족 링크 테마 R.B.가 등장한다.
[1] 제알 1기 엔딩의 듀얼 퀴즈가 나오기 전에 유우마가 외치던 대사이다. 더빙판에선 "듀얼을 시작해볼까?"로 번역되었다. 제알 시절 첫 스타터 덱인 스타터 덱 2011에서도 비슷한 대사가 쓰인 적 있다.[2] 18일에 선행 판매를 했다.[3] 이 외에도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시기에 출시되는 토너먼트 팩이 실제로는 2025년 출시임에도 불구하고 '2024 Vol.5'로서 발매된다는 것, 죄보 스토리가 얼라이언스 인사이트를 끝으로 마무리되는 것도 12기 종료의 근거로 일컬어지기도 한다.[4] 직전 달에 발매되는 저스티스 헌터즈도 마찬가지로 쿼싴 수록이 되지 않는지라 이쪽도 13기 취급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존재한다. 애초에 기수라는 것 자체가 룰 개정이 없는 이상 OCG 타임즈에서 언급해야만 구분되는 애매모호한 기준이긴 하지만.[5] 원래 얼티미트 레어는 9기 중반부터 ALIN까지 울트라 레어 카드들의 상위 레어도로서 수록되었는데, 13기부터는 기본 레어의 최상 등급 레어도로 분류된다. 이 팩부터 얼티미트 레어로만 수록되는 카드들이 생긴다는 것.[6] 제외 사이킥 지원과 함께 신규 카드군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