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7:52:58

엑시즈(유희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유희왕 OCG의 소환 방식에 대한 내용은 엑시즈 소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유희왕 OCG의 소환 방식:
엑시즈 소환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유희왕의 소환법별 서포트 카드군
융합 / 퓨전 싱크로 / 싱크론 엑시즈 펜듈럼 링크
''' 엑시즈'''
<colbgcolor=#111> 한국어판 명칭 <colbgcolor=#fff> 엑시즈
일본어판 명칭 エクシーズ
영어판 명칭 XYZ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다양 효과
엑시즈
마법 / 함정

1. 개요2. 효과 몬스터
2.1. 레벨 22.2. 레벨 32.3. 레벨 4
2.3.1. 엑시즈 리모라2.3.2. 엑시즈 어벤져2.3.3. 엑시즈 슬라이돌핀2.3.4. X-레이 피어스2.3.5. 흑아의 마술사
3. 마법 카드
3.1. 일반 마법
3.1.1. 엑시즈 에너지3.1.2. 엑시즈 기프트3.1.3. 엑시즈 버스트3.1.4. 엑시즈 리셉션3.1.5. 엑시즈 시프트3.1.6. 엑시즈 포스3.1.7. 엑시즈 리벤지3.1.8. 펜듈럼 엑시즈3.1.9. 아머드 엑시즈3.1.10. 엑시즈 엔트러스트
3.2. 속공 마법
3.2.1. 엑시즈 더블 백3.2.2. 엑시즈 오버딜레이3.2.3. 엑시즈 임포트3.2.4. 엑시즈 얼라인
3.3. 지속 마법3.4. 장착 마법
3.4.1. 엑시즈 유닛
3.5. 필드 마법
3.5.1. 엑시즈 테리토리3.5.2. 엑시즈 오버라이드
4. 함정 카드
4.1. 일반 함정
4.1.1. 엑시즈 이펙트4.1.2. 엑시즈 리본4.1.3. 엑시즈 열전!!4.1.4. 엑시즈 리벤지 셔플4.1.5. 엑시즈 유니버스4.1.6. 엑시즈 도시락4.1.7. 원더 엑시즈4.1.8. 엑시즈 디멘션 스플래시4.1.9. 엑시즈 리바이브 스플래시4.1.10. 엑시즈 포세이돈 스플래시4.1.11. 엑시즈 리버설4.1.12. 엑시즈 소울4.1.13. 풀 아머드 엑시즈
4.2. 지속 함정
4.2.1. 엑시즈 베일4.2.2. 엑시즈 트라이벌4.2.3. 엑시즈 퍼니시4.2.4. 리설감 엑시즈
4.3. 카운터 함정
4.3.1. 엑시즈 리플렉트4.3.2. 엑시즈 블록4.3.3. 엑시즈 언브레이커블 배리어
5. 엑시즈 몬스터6. 관련 서포트 카드7. OCG화되지 않은 카드

[clearfix]

1. 개요

유희왕의 카드군. 엑시즈 소환을 보조하는 카드들이 모여있다.

융싱엑링 소환법 서포트 카드군 중에서는 융합 / 퓨전 다음으로, 제너레이션 포스에 의해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융합 / 퓨전이나 싱크로 / 싱크론과 달리 몬스터도 포함하여 지정하고 있다.

융합에 비견될 정도는 아니지만 실전에서 사용되는 레벨의 서포트가 존재하는 카드군으로, 유토피아 덱에서는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가가가로, 샤크 덱에서는 FA-다크 나이트 랜서와 제트 샤크로 이 카드군과 직접적인 연계가 기능한다.

하위 카드군으로는 CX(카오스 엑시즈), 아머드 엑시즈, 엑시즈 드래곤이 있다.

ZEXAL 애니메이션에서는 엑시즈 카드군 못지않게 '오버레이'라고 이름붙은 카드들도 많이 등장했지만 카테고리화도 되지 못하고 OCG화도 별로 되지 못하였다.

2. 효과 몬스터

2.1. 레벨 2

2.1.1. 엑시즈 에이전트

유토피아 카드군의 전용 서포트 카드.

2.2. 레벨 3

2.2.1. 아머드 샤크

샤크 카드군의 카드. 룰상 "아머드 엑시즈" 카드로도 취급하기에 "엑시즈" 카테고리에도 들어간다.

2.3. 레벨 4

2.3.1. 엑시즈 리모라

파일:エクシーズ・リモー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엑시즈 리모라,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リモーラ,
영어판명칭=Xyz Remora,
속성=물,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800,
종족=어류족,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 묘지의 어류족 / 레벨 4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어류족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되고\, 표시 형식의 변경도 할 수 없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경우\, 물 속성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샤크 덱과 같이 사용할 것이 의도된 어류족 몬스터. OCG 사상 최초로 "엑시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이기에 제너레이션 포스 등의 서포트를 받고, 어류족이기에 샤크의 범용 어류 서포트를 대부분 받을 수 있다. 사실상 샤크 덱과 일체화된 탓에 잊기 쉽지만, 이 카드의 이름에는 샤크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빅 죠스와 제트 샤크의 서포트를 받을 수 없는 점에는 주의.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해야 하며, 특수 소환한 몬스터에 각종 제약이 붙지만 단숨에 4레벨 몬스터 3장을 전개할 수 있는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엑시즈 몬스터들은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기에 주요 소환 대상은 바하무트 샤크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이 되고, 여차하면 No.32 샤크 드레이크를 정규 3소재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효과가 무효되어있기에 3/5축으로 조정가능한 효과나 소재 2장으로 취급하는 효과는 무효화된다는 점에 주의.

일반적인 엑시즈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가 없으면 효과를 사용할 수 없지만, 이 카드와의 연계를 상정한 듯 이후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를 쓰지 않고도 효과를 쓸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엑시즈 몬스터 속에 갇혀있어서 묘지 활용을 못하고 있는 몬스터를 끄집어내거나, 엑시즈 아머 포트리스-FA처럼 엑시즈 소재를 가지고 있으면 곤란한 디메리트를 회피하는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

디플레이션이 많던 8기 중반에 나온 카드지만 13기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특이한 카드. 특히 10기 이터니티 코드에서 지원받은 이후로는 샤크 덱의 핵심 카드로 부상했다. 샤크 덱은 바하무트 샤크로 꺼낸 랭크 3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에 FA-블랙 레이 랜서를 겹치고 그 둘로 FNo.0 미래황 호프-FNo.0 미래용황 호프를 뽑는 것이 핵심인데, 그 콤보 도중에 이 카드를 사용하면 바하무트 샤크와 블랙 레이 랜서의 엑시즈 소재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고, 추가 전개까지 가능해지기 때문. 당시에는 이 카드 하나만을 위해 제너레이션 포스가 투입되기도 했다. 11기에 OCG화된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 또한 이 카드의 효과로 소환하기 좋은 덕에 가치가 더욱 올랐다.

12기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지원 후로도 여전히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드레이크 샤크에 의존하지 않으면 3소재를 요구하는 No.32 샤크 드레이크가 덱의 핵심 에이스가 된데다, 옛날 카드인 덕에 명칭 턴제가 없다는 덕에 FA-다크 나이트 랜서로 "엑시즈" 카드인 리모라를 묘지에서 퍼와서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 특히 떡 깨구리가 무제한인 TCG에서는 바하무트 샤크리버추 드래곤에만 할당하지 않고 떡 깨구리를, 그것도 여러 번 소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보니 리모라의 중요도가 훨씬 크다.

특이하게도 동시기에 출시된 다른 엑시즈 소환 보조 카드들과 달리 이 카드나 특수 소환한 몬스터 둘다 싱크로 소환에 제약이 없기에 실러캔스 축에서 용궁의 백뱀장어를 부르거나 하는 용도로 쓰인 적도 있다.

원작에서는 카미시로 료가Dr.페이커전에서 사용했다. 원작에서는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해 제거한 수만큼 추가로 엑시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엑시즈 소환 한정 더블 코스트 몬스터였다. 효과로 No.39 유토피아의 엑시즈 소재를 하나 제거해서 2장 만큼의 엑시즈 소재가 되어 해머 샤크와 함께 No.32 샤크 드레이크의 엑시즈 소재로 쓰였다.

료가가 사용한 카드답게 이 카드도 상어 몬스터. 이름의 '리모라'라는 것은 영어로 빨판상어라는 뜻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OSMO BLAZER CBLZ-JP011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Cosmo Blazer CBLZ-EN011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2.3.2. 엑시즈 어벤져

파일:attachment/엑시즈 어벤져/Xyz_Avenge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엑시즈 어벤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アヴェンジャー,
영어판명칭=Xyz Aveng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7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는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엑시즈 몬스터와의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 엑시즈 몬스터의 랭크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발동한다.,
효과3=●랭크 3 이하: 상대는 엑스트라 덱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4=●랭크 4: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고\, 그 중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5=●랭크 5 이상: 상대는 그 엑시즈 몬스터의 랭크의 수까지 가능한 한\, 엑스트라 덱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받지 않는 지속 효과, 엑시즈 몬스터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강제 유발 효과를 가졌다. 이론상으로 최대 13장까지 상대의 엑스트라 덱 견제가 가능하다.

엑시즈 몬스터 메타 카드이지만, 전투 파괴라는 한정된 타이밍에, 때에 발동이므로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는 점, 발매 당시에도 이 이후로도 계속 이 카드를 견제할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는 차고도 넘치기에 메타 카드로써 성능은 너무나 저조하다.

일러스트에는 티라스에게 당해 차원의 저편으로 넘어간 그라파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LVAL-KR042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JP042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EN042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2.3.3. 엑시즈 슬라이돌핀

파일:エクシーズ・スライドルフ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엑시즈 슬라이돌핀,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スライドルフィン,
영어판명칭=Xyz Slidolphin,
속성=물,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800, 종족=해룡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엑시즈 소환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특수 소환한 후 이 카드의 처리가 문제가 된다. 링크 소환 소재로 쓰는 게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는 효과. 엑시즈 소재가 없는 몬스터나 엑시즈 소재에 수에 비례하여 강화되는 몬스터 등에게 쓰는 게 주 목적. 단, 묘지에 보내진 턴에 발동할 수 없어 즉효성이 없는 게 단점이다.

엑시즈라는 명칭과 엑시즈 소재를 다루는 효과. 물속성 레벨 4라는 점. 그리고 특유의 둥근 구멍과 줄무늬 등, 엑시즈 리모라와의 연관성 또한 엿볼 수 있는 카드.

이터니티 코드에서 샤크 지원이 등장한 이후로는 상기한 리모라와 함께 샤크 덱에 투입되기도 했다. 샤크는 리모라를 위해 제너레이션 포스까지 투입하는 게 일반적이라 "엑시즈" 카드군에 속하는 이 카드 또한 원하는 타이밍에 쉽게 가져올 수 있으며, 자체 패 특소 효과와 엑시즈 몬스터가 나올 때마다 소재를 보충해주는 효과로 덱의 윤활유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 물 속성이기 때문에 여차할 때는 랜턴 샤크사일런트 앵그러의 효과를 받을 수도 있다. 어류족이 아니긴 하지만 어차피 샤크 덱에서 어류족을 지정하는 건 커터 샤크요해어 데드리프 정도이고, 이 카드는 기본적으로 패나 묘지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카드들의 효과를 못 받는 게 크게 거슬리지는 않는다. 이후 샤크 덱이 정립되면서 빠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다크 네오스톰 DANE-KR023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DARK NEOSTORM DANE-JP023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ark Neostorm DANE-EN023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2.3.4. X-레이 피어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797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X<rp>(</rp><rt>엑시즈</rt><rp>)</rp></ruby>-레이 피어스,
일어판 명칭=<ruby>X<rp>(</rp><rt>エクシーズ</rt><rp>)</rp></ruby>-レイ・ピアース,
영어판 명칭=Xyz-Raypierce,
레벨=4, 속성=화염,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700, 수비력=200,
효과외1="X(엑시즈)-레이 피어스"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의 묘지에서 드래곤족 몬스터와 환룡족 몬스터를 각각 1장씩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X(엑시즈)-레이 피어스"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한글판 월드 프리미어 3호.

이름은 엑시즈 + X-레이 + 레이피어 + 피어스로, 무려 4개 단어를 뒤섞은 말장난이다. 그 덕분에 엑시즈 카드군에 속해서 제너레이션 포스의 서치 범위에 들어간다. 일러스트에서도 X-레이를 쬔 듯 뼈가 훤히 드러나 있으며, 양쪽 발로 레이피어를 쥐고 있다.

공격력 1700은 영 못마땅한 능력치이지만, 수비력이 200이기 때문에 진염의 폭발에 대응한다.

1번 효과는 자기 자신을 불러내는 효과. 이름에 걸맞게 랭크 4 엑시즈 소환에 최적화된 효과이며, 코스트로 묘지에서 드래곤족/환룡족 몬스터를 1장씩 제외하도록 하고 있어, 환계돌파의 드래곤족/환룡족 혼성 덱 컨셉을 계승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환룡족은 독자적인 환룡족 지원으로 드래곤족과 분리되어 두 종족이 양립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환룡족은 싱크로 테마가 다수이기 때문에 이 카드로 엑시즈 소환을 실행하기 위해 환룡족을 끼워넣기 애매하다.

2번 효과는 게릴라카이트마냥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번 효과. 엑시즈 소환 서포트 카드지만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면 이 효과가 발동되지 않는다.

동명의 카드를 1장 더 불러오는 부분이 유사한 패러렐엑시드가 있다. 이 카드와 달리 자체 특수 소환 효과도 내장하고 있으며, 묘지 자원을 일절 소모하지 않고 패러렐엑시드를 1장 더 소환할 수 있어 실전에서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위해 채용하려고 하면 X-레이 피어스는 완벽하게 패러렐엑시드에 밀리게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DUEA-KR083 노멀 한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5 EP15-JP053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World Superstars WSUP-EN046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2.3.5. 흑아의 마술사

마술사 카드군의 카드. 룰상 "엑시즈 드래곤" 카드로도 취급하기에 "엑시즈" 카테고리에도 들어간다.

3. 마법 카드

3.1. 일반 마법

3.1.1. 엑시즈 에너지

파일:エクシーズエナジ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엑시즈 에너지,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エナジー,
영어판명칭=Xyz Energy,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다.)]
자신 필드 위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제거하고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으로 파괴하는 효과. 굳이 파괴가 아니더라도, 앞면 표시 몬스터가 아니더라도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제거하는 엑시즈 몬스터가 수두룩하기에 굳이 이 카드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 그나마 엑시즈 소재를 없애는 게 목적이라면 드로우가 가능한 엑시즈 기프트 쪽을 쓰자.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타터 덱 ZEXAL YSD6-KR023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스타터 덱 2012 ST12-KR021 노멀 한국
스타터 덱 2011 YSD6-JP023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타터 덱 2012 ST12-JP021 노멀 일본
Starter Deck: Dawn of the Xyz YS11-EN023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Starter Deck: Xyz Symphony YS12-EN021 노멀 미국

3.1.2. 엑시즈 기프트

파일:エクシーズ・ギフ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엑시즈 기프트,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ギフト,
영어판 명칭=Xyz Gift,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로, 엑시즈 몬스터가 2장 이상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엑시즈 소재 2개를 제거하는 것으로 덱에서 2장 드로우하는 카드이다.

코스트는 젬나이트 펄이나 군관처럼 소재를 제거하지 않는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를 쓰면 된다고 쳐도, 발동 조건이 까다롭다. 자기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를 2장 이상 소환할 수 있다면 이 카드를 쓰느니 그냥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쓰는 게 낫다. 두 몬스터가 모두 자체 소재 제거가 안 되는 패왕흑룡같은 몬스터라도 굳이 이 카드를 쓸 필요가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아니면 엑시즈 소재 같은게 없어도 마법 퍼미션 효과는 발동하는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와 조합하던지 아니면 엑시즈 소재가 좀 많아질 수 있고 엑시즈 몬스터가 2체쯤 튀어나올 수 있는 퓨어리에서 엑시즈 소재로 먹어놓은 퓨어리 속공 마법 2장이나 다른 엑시즈 소재를 빼먹고 예능용으로나마 사용할 수는 있다.

유희왕 ZEXAL 12화에서 카미시로 료가리쿠오&카이오를 상대로 한 태그 듀얼 중 사용하였고, 이땐 단순히 엑시즈 몬스터가 둘 이상 있다면 드로우할 수 있는 효과였다. 이후 츠쿠모 유마가 이 카드의 상위호환 카드인 엑시즈 트레저를 사용했다. 엑시즈 트레저를 실물로 내기에 곤란했는지 듀얼리스트 팩 유마 편에 이 카드가 대신 수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빛의 충격파 PHSW-KR04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마 편2 고고고&도도도- DP14-KR023 노멀 한국
PHOTON SHOCKWAVE PHSW-JP04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遊馬編 2 ゴゴゴ&ドドド- DP14-JP023 노멀 일본
Photon Shockwave PHSW-EN049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1.3. 엑시즈 버스트

파일:エクシーズ・バー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엑시즈 버스트,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バースト,
영어판 명칭=Xyz Burst,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랭크 6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발매 당시에는 랭크 6 엑시즈 몬스터 소환이 쉽지 않았고, 랭크 6 이상 엑시즈 소환이 용이해진 시기에는 이미 다른 제거 수단이 넘쳐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발매 이후에는 랭크와 상관없이 엑시즈 덱이라면 제거 수단을 갖추고 있어 더욱이 실용성이 없어졌다.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것은 썬더엔드 드래곤.

여담으로 OCG 최초로 랭크를 언급하는 카드이다. TCG 기준으로는 엑시즈 테리토리.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 ORCS-KR061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JP061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EN061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3.1.4. 엑시즈 리셉션

파일:エクシーズ・レセプション(19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엑시즈 리셉션,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レセプション,
영어판 명칭=Xyz Receptio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레벨인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0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된다.)]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등장.

나와있는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불러주는 효과지만 이 효과로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공격력 / 수비력은 0이 되기에 사실 상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밖에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름은 엑시즈지만 싱크로 소환에 제약이 없기에 같은 레벨의 튜너를 꺼내 싱크로 소환으로 이을 수도 있다. 가가가 덱에서라면 레벨을 다양하게 변동 가능한 가가가 매지션이 있기에 다른 가가가 몬스터들도 쉽게 소환해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또,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이 0이 되는 것을 역으로 이용해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고 레벨 몬스터를 대량전개해 강력한 비트를 할 수도 있다.

지정하는 몬스터의 레벨에는 제약이 없으므로 고레벨 몬스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이 카드는 주로 레벨을 통일한 덱에 들어갈 터인데 실상 고레벨 몬스터를 덱에 잔뜩 넣어놓는 덱은 많이 없기에 웬만하면 저랭크 엑시즈 용으로 쓰는 일이 많을 것이다. 신수왕 바르바로스가변기수 간나드래곤을 이용하는 스킬 드레인 덱이라면 소환이 쉬운 고 레벨 몬스터가 많이 들어가가기에 그럭저럭 사용해 볼만은 하나, 문제는 이러면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가 무효가 되기에 실상 어태커로 밖에 쓸수 없는데, 공격력 3000의 어태커인 바르바로스가 있는 이 덱에서 굳이 엑시즈 소환까지 해가며 다른 몬스터를 뽑을 필요가 있을지... 일단 스킬 드레인이 뽑히지 않았을 때의 대책용으론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름에 "엑시즈"가 붙으므로 제네레이션 포스로 가져올 수도 있다.

유희왕 ZEXAL에서 츠쿠모 유마가 사용. 자신 필드의 도도도 워리어와 같은 레벨을 가진 레벨 6 차차카 아처를 패에서 특수 소환해 건틀릿 슈터를 엑시즈 소환했다. 이 때는 상대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있어야 발동이 가능했다. OCG화되면서 발동 조건이 느슨해진 셈.

일러스트에 그려진 건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와 싸우고 있는 마돌체 마죠레느가 마돌체 바트라스크를 부르는 모습. 실제로 이 둘의 레벨이 4라서 이대로 퀸마돌체 티아라미스를 엑시즈 소환해서 아드레우스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60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60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TOURNAMENT PACK 2019 Vol.1 19TP-JP110 노멀 일본
Judgment of the Light JOTL-EN060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3.1.5. 엑시즈 시프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22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엑시즈 시프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シフト,
영어판명칭=Xyz Shif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종족 / 속성 / 랭크가 같은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진다.)]
엑시즈 몬스터를 이름이 다른 몬스터로 바꿀 수 있는 카드. 종족 / 속성 / 랭크만 같으면 어떤 몬스터로라도 바꿀 수 있다. 일러스트에 나온 건 H-C 엑스칼리버No.39 유토피아. 실제로 일러스트 재현이 가능하다.

문제는 고생해서 소환해도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고, 정규 엑시즈 소환 취급이 아니므로 소생도 안 된다는 것. 이걸 쓰느니 한층 더 강한 몬스터를 소환해 주는 데다 디메리트도 없고 자체 회수 효과까지 있는, 같은 팩에 나온 RUM-아스트랄 포스를 쓰는 게 낫다.

원작에선 츠쿠모 유마가 쓴 카드. 드로와와의 태그 듀얼에서 나이트 버터플라이 어쌔신H-C 엑스칼리버로 바꿔먹어 아리트의 부하가 된 고슈의 세뇌를 풀려고 했다. 실제론 나이트 버터플라이 어쌔신과 H-C 엑스칼리버의 속성이 달라 불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LVAL-KR061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JP061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EN061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1.6. 엑시즈 포스

파일:エクシーズ・フォ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엑시즈 포스,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フォース,
영어판 명칭=Xyz For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엑시즈 포스" 이외의 "엑시즈"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엑시즈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묘지로 보내지 않으며 패에 넣을 수도 있다.,
효과2=②: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한 엑시즈 소재가 엑시즈 몬스터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그 엑시즈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북미판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공개된 마법 카드. 일러스트와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제너레이션 포스의 리메이크 카드이다.

1의 효과는 "엑시즈" 카드를 덤핑하는 효과. 엑시즈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엑시즈 몬스터가 있다면 대신 패에 넣을 수도 있다. 묘지에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엑시즈 카드는 엑시즈 에이전트, 엑시즈 슬라이돌핀, 엑시즈 도시락, 풀 아머드 엑시즈, 엑시즈 리바이브 스플래시밖에 없기에 보통은 덤핑 효과보단 서치 효과를 노리게 될 것이다. 엑시즈 몬스터가 있기만 하면 발동해서 서치할 수 있는 제너레이션 포스와는 달리 엑시즈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있어야 서치가 가능하기에 유토피아, 갤럭시아이즈,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세이크리드, 테라나이트 같은 자체적으로 겹쳐 소환이 가능한 테마에서 사용하게 될 것이며, 범용 엑시즈 중에는 네가로기어 아제우스가 해당 범위 안에 들어간다.

2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1개 제거시키는 효과. 이 효과로 제거한 소재가 엑시즈 몬스터일 경우 자신의 묘지나 제외 존에서 그 몬스터를 수비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상대 엑시즈를 견제하기보단 겹쳐 소환 상태인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제거하고 부활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다. 가령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지정해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부활시키고 2장째 인피니티를 소환한다거나 유토피아, 갤럭시아이즈를 지정해 소재로 깔려있는 몬스터를 부활시켜 다른 몬스터를 겹치는 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묘지와 제외 존을 동시에 지정하고 있어서 차원의 틈류 락에도 대응 가능하다. 덤으로 특정 카드가 크로노다이버 리단,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 등에게 소재로 강탈당한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쓸 수 없어 속공성은 떨어지니 주의.

전체적으로 전 팩에 등장한 아머드 엑시즈 테마를 지원하려고 내준 듯한 카드로 기본적으로 엑시즈 몬스터를 줄줄이 겹치는 것이 컨셉이기에 이 카드의 서치 조건을 채우기 좋으며 덤핑 효과 역시 FA-다크 나이트 랜서에게 엑시즈 마함을 샐비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풀 아머드 엑시즈를 덤핑해 프리체인 견제도 가능하기에 궁합이 좋다. 2번 효과 역시 소재로 깔려있는 엑시즈 아머 몬스터들을 부활시켜서 다른 FA 엑시즈로 진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단순히 서치 목적이라면 원본인 제너레이션 포스에 밀리는 감이 있으나 이 카드 자신이 엑시즈 카드군이라 제너레이션 포스로 서치해올 수 있고 2번 효과로 콤보도 사용가능하기에 어느 정도 차별화는 할 수 있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것은 SNo.39 유토피아 ONE. 제너레이션 포스의 리메이크라는 것을 나타내듯 원본에 그려진 No.39 유토피아와 비슷한 포즈에 노란빛으로 빛나고 있다. 실제로 유토피아 one은 유토피아 위에 겹쳐 소환할 수 있기에 이 카드의 1의 효과로 엑시즈 마함을 서치해올 수 있으며 2의 효과로 소재로 겹쳐진 원본 유토피아를 부활시켜 새로운 몬스터로 진화시킬 수도 있다.
수록 시리즈
2024-02-09 |
[[미국|]][[틀:국기|]][[틀:국기|]] PHNI-EN089 | PHANTOM NIGHTMARE
2024-09-28 |
[[일본|]][[틀:국기|]][[틀:국기|]] WPP5-JP064 | WORLD PREMIERE PACK 2024

3.1.7. 엑시즈 리벤지

효과 자체는 별 볼 일 없지만, 듀얼 터미널 스토리에 속하는 카드.

3.1.8. 펜듈럼 엑시즈

펜듈럼 카드군에도 속하는 카드.

3.1.9. 아머드 엑시즈

아머드 엑시즈 카드군 소속 카드.

3.1.10. 엑시즈 엔트러스트

아머드 엑시즈 카드군의 서포트 카드.

3.2. 속공 마법

3.2.1. 엑시즈 더블 백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18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엑시즈 더블 백,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ダブル・バック,
영어판명칭=Xyz Double Back,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엑시즈 몬스터가 파괴된 턴에\,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턴에 파괴된 자신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1장과\, 그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엑시즈 몬스터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대상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가 파괴되어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때 발동할 수 있는 카드.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 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엑시즈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가 핵심인데, 이렇게 소재 없이 부활한 몬스터는 1회용 방어벽 이상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일러스트는 이 카드의 효과로 묘지로부터 부활하는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 실제로도 이 카드의 두 번째 효과 대상은 첫 번째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몬스터이기에 공격력이 같은 두 몬스터를 이 카드로 소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희왕 ZEXAL에서 츠쿠모 유마텐조 카이토와의 2번째 듀얼에서 사용. 카이토의 턴에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유토피아 레이가 자폭하자 체인해 발동해 유토피아와 유토피아 레이를 부활시킨뒤 다음 턴을 노렸으나 카이토도 이 카드를 발동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부활시켜 포톤 드래곤과 네오 포톤의 공격으로 유토피아와 유토피아 레이를 파괴해 피니시를 냈다. 원작에서는 자괴 타이밍이 다음 자신 턴 엔드 페이즈였다.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우주의 섬광 CBLZ-KR05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COSMO BLAZER CBLZ-JP05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Cosmo Blazer CBLZ-EN056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2.2. 엑시즈 오버딜레이

엑시즈판 융합 해제. 엑시즈가 환경에 들어왔을 때의 저격 카드.

3.2.3. 엑시즈 임포트

파일:エクシーズ・インポ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엑시즈 임포트,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インポート,
영어판 명칭=Xyz Impor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과\, 그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지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그 자신 몬스터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가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흡수하는 속공 마법. "엑시즈" 카드라 제너레이션 포스로 서치할 수 있고, 속공 마법이라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 소환이 완료되는 타이밍에 발동해 그대로 빼앗을 수도 있다. 2장 모두를 대상 지정하는 건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해서 상대가 그 엑시즈 몬스터의 컨트롤을 뺏으면 "그 자신 몬스터 아래"라는 효과 처리를 할 수 없어니 효과가 불발된다.

공격력을 참고해야 해서 앞면 표시 몬스터밖에 제거할 수 없는 것도 주의. 엑시즈 소재를 보충한다는 점에서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과 상성이 좋을 듯하지만, 뒷면 수비 표시로 몬스터를 꺼내면 엑시즈 소재 자체로 삼을 수 없게 되니 결국 남은 소재의 고갈로 이어지게 된다.

일러스트는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시조의 수호자 티라스에게서 힘을 빼앗는 모습이다. 실제로 공격력이 둘 다 2600이라서 아드레우스의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티라스를 이 카드로 아드레우스의 엑시즈 소재로 흡수해버릴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팬텀 레이지 PHRA-KR06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HANTOM RAGE PHRA-JP06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 DLCS-EN145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Phantom Rage PHRA-EN066 노멀 미국

3.2.4. 엑시즈 얼라인

파일:エクシーズ・アライ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엑시즈 얼라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アライン,
영어판명칭=Xyz Alig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12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포함하는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레벨이 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대상 몬스터의 어느 것과 같은 종족의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TCG판 Photon Hypernova에 등장한 카드로, 몬스터 2장의 레벨을 선언한 레벨로 조정하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이다.

당연히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엑시즈 소환을 위해 쓰게 될 것이지만, 정작 엑시즈 소환 관련 테마는 이 카드가 없어도 아예 랭크에 맞춰 메인 덱 몬스터를 마련하게 되므로 이 카드까지 필요한 일이 그다지 많지 않다. 추가적으로 턴 종료시까지 대상의 몬스터들과 같은 종족의 몬스터들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는 디메리트가 걸리는데, 선택한 두 몬스터의 종족이 다르다면 소환할 수 있는 종족도 2종류가 된다.

기계족 몬스터를 선택하고, 레벨 12로 조정해서 자주 채용하는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메인 페이즈 1에도 띄울 수는 있다. 다만 기계족 엑시즈를 자주 사용하는 땅/기계덱 에서는 굳이 이 카드를 경유할 필요없이 무한기동의 자체 기믹으로 아제우스를 선공에 쓴다.

이 카드를 채용할 경우 10랭크 열차 엑시즈 몬스터나 뽑기 애매한 9랭크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이나 머시너즈 포트리스 등과 연계를 한다면 7랭크의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 등의 다양한 활용법도 있다. 그 이외도 일단은 싱크로 소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속공 마법이란 점에서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데 나머지 하나를 상대 필드에서도 고를 수 있다. 따라서 레벨을 소재로 소환하는 의식 소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을 견제할 수 있을 것이다.

Align은 "정렬", "조정"을 뜻하는 단어로 얼라인이라고 읽는데, 뒤의 라인이라 읽는 것을 유도했는지 일러스트는 라인몬스터 K호스라인몬스터 스피어 휠가 있다.

3.3. 지속 마법

3.3.1. 엑시즈 체인지 택틱스

유토피아의 전용 서포트 카드.

3.4. 장착 마법

3.4.1. 엑시즈 유닛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8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엑시즈 유닛,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ユニット,
영어판명칭=Xyz Unit,
효과외1=엑시즈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랭크 × 2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장착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이 카드는 제거할 엑시즈 소재의 1개로서 취급할 수 있다.)]
엑시즈 몬스터 전용 장착 마법으로, 랭크에 따라 공격력이 증가하는 첫번째 효과,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발동을 위한 엑시즈 소재 1개로 취급할 수 있는 두번째 효과다.

비슷하게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채워주는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와 비교하면 타점 증가, '장착 마법'이기에 암즈 홀 등으로 서치가 가능하고, "엑시즈" 카드이기에 제너레이션 포스 등 관련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효과를 발동할 경우의 코스트에만 대채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에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경우(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크로노다이버 리단 등등), 룰 효과나 지속 효과로 제거되는 것을 대신하지 못한다. 때문에 엑시즈 소재가 없으면 유리하지만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특이한 케이스가 나오지 않는 이상은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의 하위 호환이다.

유희왕 ZEXAL 108화에서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에게 조종당하는 카미시로 리오가 이 카드를 써서 고르고닉 가디언의 공격력을 600 올린 후 카미시로 료가를 직접 공격해 료가의 라이프를 200까지 내리는 데 쓰였다.

일러스트에 있는 몬스터는 샤인 엘프.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갤럭틱 오버로드 GAOV-KR062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GALACTIC OVERLORD GAOV-JP062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Galactic Overlord GAOV-EN062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3.5. 필드 마법

3.5.1. 엑시즈 테리토리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48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엑시즈 테리토리,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テリトリー,
영어판 명칭=Xyz Territory,
효과1=①: 엑시즈 몬스터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만\, 그 엑시즈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그 랭크 × 200 올린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할 수 있다.)]
TCG판 빛의 충격파에서 선행 발매된 필드 마법 카드로, 엑시즈 몬스터의 부족한 능력치를 보강해준다. 랭크 2 이상이면 상승 폭이 최소 400이 되며, 랭크가 높으면서 높을 수록 호화로운 상승 폭을 자랑한다. 이 때문에 싱크로 몬스터와 동급 혹은 그 이상의 순수 화력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엑시즈 소재를 안 쓰는 젬나이트 펄이나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은 순수 어태커로서의 성능도 크게 올라가고 이 카드를 지키기 위해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도 아깝지 않다. 거기에 공격력뿐만 아니라 수비력도 올려주니 까칠까칠 간테츠는 2600의 수비력을, 발조기뢰 태엽마인은 2700의 수비력을 자랑하게 되는 등 방어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마스터 룰 3 이전엔 필드 마법이라 상대 필드 마법을 파괴할 수 있어서 암흑계의 문이나 용의 계곡, 뱀파이어 엠파이어삼라의 영봉 및 고스트릭 필드 마법들에 대한 견제가 가능했다. 반대로 말하면 상대 필드 마법에 대한 약점도 있었다. 물론 필드 마법 2장이 사이좋게 공존할 수 있게 되면서 그런 견제는 불가능해졌다.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 카드의 파괴를 막는 내성 효과가 있는데, 이 효과를 쓴다면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하지만 엑시즈 소재만 잘 공급해주면 인벨즈 로치 같은 컨트롤형 엑시즈의 성능을 한층 더 끌어낼 수 있게 해주므로 상당한 메리트.

필드 마법이라 랭크 8 또는 10을 주축으로 하는 덱에서라면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으로 메인 덱 몬스터 배틀에서 압도하거나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으로 이 카드를 제거로부터 지키면서 엑시즈 소환을 위한 시간을 벌 수도 있다. 랭크 10 전문 덱인 열차 덱에서 전회조차와 같이 채용되기도 한다.

또한 카드명에 "엑시즈"가 들어가는 필드 마법이라, 테라포밍은 물론 제너레이션 포스로도 서치할 수 있다.

일러스트에 있는 건 에볼카이저 돌카.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엑스트라 팩 2012 EXP5-KR029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EXTRA PACK 2012 EP12-JP029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Photon Shockwave PHSW-EN088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3.5.2. 엑시즈 오버라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22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엑시즈 오버라이드,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オーバーライド,
영어판 명칭=Xyz Override,
효과1=①: 양쪽 플레이어는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가 그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제거할 엑시즈 소재 1개 대신에 자신의 패 1장을 뒷면으로 제외할 수 있다.)]
효과는 1턴에 1번 엑시즈 소재를 패 1장 제외로 대체할 수 있게 해 주는 필드 마법 카드. 다만 이 카드의 효과로 제외하는 패는 뒷면 표시가 되기 때문에 회수해 사용하기 곤란해지므로 주의. 거기다가 이 효과는 상대도 사용할 수 있다.

그래도 엑시즈 소재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카드, 예컨대 CXCNo., 헤이즈비스트 바질리코크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과 상성이 좋다. 특히 위해신룡은 소생 시 제외된 카드의 매수에 비례해 공격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찰떡궁합을 자랑한다. SNo.0 호프 제알이 있다면 공격력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상대턴의 상대 효과를 봉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패 한장 한장이 소중한 유희왕이기도 하고, 엑시즈 몬스터가 없으면 잉여인 주제에 보통은 그냥 소재를 쓰면서 바닥날 때까지 기다리려고 할 텐데 대량 전개와 효과 제거가 판치는 환경 때문에 그 전에 죽기 일쑤다. 거기다 1턴에 1번뿐인 것도 문제.

또한, 같은 엑시즈 카드군에 들어가는 필드 마법인 엑시즈 테리토리와는 일장일단이 있다. 엑시즈 테리토리는 공격력도 늘려 주면서 엑시즈 소재로 파괴를 대신할 수 있지만, 그 때문에 엑시즈 소재의 소모가 가속화된다. 덱에 따라 알맞은 필드를 골라서 넣자. 물론 아예 둘 다 안 넣는 것이 더 잘 굴러가는 경우가 더 많겠지만...

No.86 H-C 론고미언트의 ①의 효과의 디메리트를 막기 위해 채용을 생각할 수도 있으나, 론고의 소재 제거는 코스트가 아닌 효과에 의한 제거이기 때문에 이 카드로 회피할 수 없다. 이는 똑같이 효과로 소재를 제거하는 크로노다이버 리단도 마찬가지.

요약하면, 단순히 능력치를 올리거나 엑시즈 소재를 대체할 카드가 필요할 때에는 그냥 엑시즈 유닛으로 충분할 듯하니, 필드 마법이 꼭 필요한 덱에서 소재 대체 효과를 써먹을 용도로 쓰는 것이 가장 좋겠다.

일러스트는 환상수기의 병기 공장을 나타내는 것 같다. 일러스트 아래쪽, 구도상 맨 앞에 환상수기 드래고사크가 보이며, 그 위쪽에는 여러 환상수기들이 우산 모양의 격납고에 매달려 있다. 살펴보면 일러스트 오른쪽 위에 워브란, 드래고사크 위에는 레이스텔스가 보이며, 레이스텔스 왼쪽에는 위에서부터 블랙팔콘, 콜트윙, 햄스트래트가 보인다.

정작 환상수기는 위의 드래고사크나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 초거대 공중궁전 강가리다이를 채용하지 않는 한 토큰과 싱크로 소환, 링크 소환을 주력으로 삼는 덱이다 보니 궁합이 좋지 않다.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LVAL-KR068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JP068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4. 함정 카드

4.1. 일반 함정

4.1.1. 엑시즈 이펙트

파일:エクシーズエフェク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엑시즈 이펙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エフェクト,
영어판명칭=Xyz Effect,
효과1=①: 자신이 엑시즈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했을 때\,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엑시즈 소환시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엑시즈 소환 자체야 어려울 것 없지만, 일반 함정 특유의 뒤쳐지는 발동 속도로 인해 자신의 엑시즈 소한에 맞추기는 힘들다. 발동 타이밍이 극히 한정되어 있어서 원하는 때에 쓰기도 힘드니 속공성 면에서는 디멘션 슬라이드보다 못한 수준. 상대 턴에 엑시즈 소환 저격용으로 쓰이는 편이 나을 것이다.

엑시즈 소환에 성공한 몬스터가 상대가 발동한 나락의 함정 속으로강제 탈출 장치로 필드에서 제거되더라도 발동이 가능하지만 신의 심판, 신의 경고등으로 아예 소환 자체를 취소해버리면 발동이 불가능하니 유의하도록 하자.

굳이 비교하자면 번개족만 쓸 수 있는 번개의 심판이 일반소환/반전소환/특수소환에 대응하는 상위호환이나, 번개족이 흔한 것도 아니고 이 카드가 더 좋다.

싱크로 소환에 대응하는 일반 마법 버전인 정신동조파도 존재한다.

유희왕 ZEXAL에서는 IV타케다 테츠오&토도로키 타카시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작중 발동은 하지 않고 레벨 크로스의 패 코스트로 묘지로 보냈다. 이 덕분인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IV의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
수록 시리즈
2011-03-19 |
[[일본|]][[틀:국기|]][[틀:국기|]] YSD6-JP032 | STARTER DECK 2011
2012-03-17 |
[[일본|]][[틀:국기|]][[틀:국기|]] ST12-JP030 | STARTER DECK 2012
2013-03-16 |
[[일본|]][[틀:국기|]][[틀:국기|]] ST13-JP036 | STARTER DECK 2013
2011-07-12 |
[[미국|]][[틀:국기|]][[틀:국기|]] YS11-EN032 | STARTER DECK DAWN OF THE XYZ
2012-04-17 |
[[미국|]][[틀:국기|]][[틀:국기|]] YS12-EN030 | STARTER DECK XYZ SYMPHONY
2013-06-14 |
[[미국|]][[틀:국기|]][[틀:국기|]] YS13-EN036 | SUPER STARTER V FOR VICTORY
2014-02-21 |
[[미국|]][[틀:국기|]][[틀:국기|]] SP14-EN037 | STAR PACK 2014
2011-09-06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YSD6-KR032 | 스타터 덱 2011
201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T12-KR030 | 스타터 덱 2012 스페셜 에디션
2013-06-2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T13-KR036 | 스타터 덱 2013

4.1.2. 엑시즈 리본

파일:エクシーズ・リボ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엑시즈 리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リボーン, 영어판명칭=Xyz Reborn,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엑시즈 몬스터 전용 소생 카드.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를 비롯한 묘지 특수 소환 카드들은 해당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소환 대상도 필드를 벗어나는 제약이 있는데, 이건 그런 것도 없고 엑시즈 소환에 특성에 걸맞게 소재도 채워준다.

참고로 소생과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하는 건 동시 처리다. 따라서 엑시즈 리본(체인1) - 엑시즈 리본을 대상으로 하는 제거 카드(체인2)라면 소생 효과는 성공하고 엑시즈 소재로 넣는 효과는 처리되지 않는다. 체인이 반대인 경우라면 제거 카드가 대상을 잃고 불발이다.

유희왕 ZEXAL 102화에서 아스트랄이 사용했다. No.96 블랙 미스트가 블랙 미스트와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로 공격을 선언하자, 이 카드로 묘지의 No.39 유토피아를 부활시켜 그 턴을 무사히 넘겼다. 츠쿠모 유마의 덱을 빌렸으니 일단은 유마의 카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 ORCS-KR076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 DS13-KRL40 노멀 한국
부스터 SP - 윙 레이더스 SPWR-KR045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ORDER OF CHAOS ORCS-JP076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 DS13-JPL40 노멀 일본
BOOSTER SP - WING RADERS SPWR-JP045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Order of Chaos ORCS-EN076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Wing Raders WIRA-EN060 슈퍼 레어 미국

4.1.3. 엑시즈 열전!!

4.1.4. 엑시즈 리벤지 셔플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60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엑시즈 리벤지 셔플,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リベンジ・シャッフル,
영어판 명칭=Xyz Revenge Shuffle,
효과1=①: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자신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대상 엑시즈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대상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름 그대로 필드와 묘지의 엑시즈 몬스터를 맞바꾸는 카드. 공격력이 낮은 엑시즈 몬스터나 효과 등으로 약체화가 되어 공격당하는 엑시즈 몬스터를 기습적으로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려 묘지의 다른 엑시즈 몬스터로 맞바꿀 수 있다.

기본적으론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등으로 사용하고 묘지에 공격력이 높은 엑시즈 몬스터가 있다면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를 높은 몬스터로 바꿔서 회피할 수도 있다. 소환에 성공하면 이 카드 자체를 소생시킨 몬스터의 소재로 쓸수 있기에 엑시즈 리본처럼 직속으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No.39 유토피아까칠까칠 간테츠 같은 카드들을 소생한다면 방어책으로도 쓸 수 있고, 방어에 성공해 턴을 넘기게 되면 다음 자신 턴에 RUM으로 진화시킬 수도 있다.

일단 쓰려면 묘지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해야하고 무조건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가 공격당했을 때만 발동할 수 있긴 하지만 엑시즈 소환을 주축으로 하는 덱이라면 쉽게 조건을 맞출수 있기에 발동은 어렵지 않다. 엑시즈 카드군에 속하므로 제너레이션 포스로 서치할 수 있단 점도 장점.

원작에서는 츠쿠모 유마벡터와의 듀얼에서 사용하였다.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랄에게 CNo.39 유토피아 레이 V가 공격당하자 발동해 유토피아 레이 V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묘지의 No.39 유토피아를 소생시킨다. 원작에선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 기회를 한번 더 주는데다 이 카드를 소재로 쓸 수도 없었기에 대신 묘지의 매직 리사이클러의 효과로 묘지에 보낸 엑시즈 에이전트의 효과로 유토피아의 엑시즈 소재를 재충전시키고 효과를 발동해 공격을 막았다.

일러스트는 CNo.39 유토피아 레이No.39 유토피아와 체인지 되고 있는 모습이다. 범용 엑시즈 몬스터에 넘버즈를 그려놓았는데, 큰 문제가 되지도 않는다. 월드 듀얼 카니발의 준결승의 츠쿠모 유마 vs 카미시로 료가, 그리고 결승전의 츠쿠모 유마 vs 트론No.39 유토피아CNo.39 유토피아 레이가 당당하게 등장했었다. 게다가 CNo.39 유토피아 레이의 경우,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서 엑시즈 소환을 한다는 독특한 소환 방식으로 대중들에게 확인되었을 것이므로, 딱히 등장하더라도 무리는 아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71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71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4.1.5. 엑시즈 유니버스

4.1.6. 엑시즈 도시락

파일:エクシーズ弁当.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엑시즈 도시락,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ruby>弁当<rp>(</rp><rt>べんとう</rt><rp>)</rp></ruby>,
영어판 명칭=Xyz Bento,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또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대상 몬스터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 원작 효과 ]
파일:XyzBento-JP-Manga-ZX.png
한글판 명칭 엑시즈 도시락
일어판 명칭 エクシーズ[ruby(弁当, ruby=べんとう)]
영어판 명칭 Xyz Bento
일반 함정
몬스터 엑시즈가 수비력 2000 이상의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그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다.

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 프린세스 코론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사용. No.22 프랑켄이 유마의 폿포포 나이트를 파괴했을 때 발동하여 그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하였다.

OCG화하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해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②의 효과가 추가되었으며, ①의 효과는 전투 파괴 뿐만 아니라 묘지로 보내지는 것도 발동 트리거로 할 수 있게 된 데다 수비력을 참고하지 않게 되었고 묘지의 아무 몬스터나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게 조건이 완화되어 상향되었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의 사용자 코론의 넘버즈인 프랑켄의 OCG판 효과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1]

상대 필드에 의존하며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해야 한다는, 발동 조건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지만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를 노리거나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 싱크로 / 링크 소재로 써서 묘지로 보낸 몬스터를 이용해 후속 전개를 준비하는 상대를 엿먹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수비력 자체가 없는 링크 몬스터에겐 통하지 않는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그럭저럭 보험으로 써먹기엔 나쁘지 않은 편.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PREMIUM PACK 2022 22PP-JP016 노멀
패러렐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1.7. 원더 엑시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166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원더 엑시즈,
일어판명칭=ワンダー・エクシーズ,
영어판명칭=Wonder Xyz,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시즈 소환한다.)]
엑시즈 소환 등장 5년 만에 나온 엑시즈 버전 긴급동조. 배틀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었던 긴급동조와는 달리 완전 프리 체인으로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2]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기만 하면 특수한 방법으로 엑시즈 소환하는 것도 가능한데,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과 같이 필드 위의 적절한 몬스터 위에 겹치는 것으로 엑시즈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 역시 소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 배틀 페이즈에 뜬금없이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 출현할 수 있다.

단, 필드 위의 몬스터를 소재로 엑시즈 소환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발동이 불가능하다. 재정, 번역 이는 특수한 엑시즈 소환을 행할 경우도 동일하다. 예를 들면 자신 필드 위에 레벨 10 몬스터의 숫자가 3장 미만일 경우 이 카드를 통해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을 소환하려 한다면, 자신 필드 위에 "유토피아"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패에 RUM 마법 카드가 존재해야만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으며, 이 카드로 효과 발동을 노리고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이나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을 소환하려면 상극의 마술사를 펜듈럼 스케일로 세팅해둔 상태로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있어야 한다.

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선 프린세스 코론이 이 카드의 하위 호환인 "퀵 엑시즈"란 카드를 썼다. 해당 카드는 상대 턴에만 발동 가능하고, 같은 레벨의 몬스터 2장만을 소재로 엑시즈 소환하는 효과였다.

일러스트에 등장한 건 고고고 골렘 + 간바라 나이트. 엑시즈 소환을 프랜차이즈로 한 유희왕 ZEXAL의 대표 몬스터들이다. 참고로 작중에서는 주인공 츠쿠모 유마의 아버지인 츠쿠모 카즈마가 과거에 아들과의 듀얼에서 이 두 몬스터로 엑시즈 소환을 시도했다가 엑시즈 몬스터가 덱에 없어서 실패하는 장면이 나온다.
수록 시리즈
2016-05-17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HVI-KR076 | 샤이닝 빅토리즈
2016-01-09 |
[[일본|]][[틀:국기|]][[틀:국기|]] SHVI-JP076 | シャイニング・ビクトリーズ
2016-05-06 |
[[미국|]][[틀:국기|]][[틀:국기|]] SHVI-EN076 | SHINING VICTORIES
2017-08-25 |
[[미국|]][[틀:국기|]][[틀:국기|]] MP17-EN042 | 2017 MEGA-TINS MEGA PACK

4.1.8. 엑시즈 디멘션 스플래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1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엑시즈 디멘션 스플래시,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ディメンション・スプラッシュ,
영어판 명칭=Xyz Dimension Splash,
효과1=①: 세트된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물 속성 / 레벨 8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되어\, 릴리스할 수 없다.)]

유희왕 ZEXAL 70화에서 카미시로 료가츠쿠모 유마&텐조 카이토와 함께 한 Dr. 페이커와의 3vs1 듀얼 중 사용.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의 효과를 이용해서 고대 샤크 하이퍼 메가로돈 2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 이후 텐조 카이토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엑시즈 소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제외 효과에 당한 채 주저 앉아 좌절한 것으로 보이던 료가가 페이커의 비웃음을 받아치듯 갑자기 폭소를 터뜨리며 이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닥터 페이커! 함정에 걸려든 건...네 녀석 쪽이다!!!라고 멋지게 선언을 때리는 이 장면이 압권.

다만 이런 강렬한 전개와는 별개로, 저레벨 몬스터 위주로 덱을 짜는 료가가 이 시점에서 알지도 못하는 카이토의 에이스 몬스터를 위해 레벨 8 몬스터를 2장과 그것을 쓸 이 카드까지 넣은 기묘한 상황이 발생했다.[3] 아마 IV를 이겨서 기믹 퍼핏 엑시즈를 소유하게 될 때를 대비해 넣었던 카드로 추정된다.

단순히 세트된 상태에서 제외되면 되므로, 자신/상대의 효과를 가리지 않으며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로 제외해도 발동이 가능하다. 이 카드+제외할 수단 = 몬스터 2장이므로, 교환비를 고려하면 범용성 좋은 코즈믹 싸이크론 정도가 추천된다. 제약을 피하기 위해서는 싱크로/엑시즈/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카드가 실용성을 갖출려면 '레벨 8 물 속성 몬스터를 대거 투입하면서 제거 기믹까지 가진 덱'이거나 '제외를 통한 견제 수단이 유행할 때 레벨 8 물 속성 몬스터를 사용하는 덱'이라는 배경이 있어야 하는데, 발매 이후 그다지 이와 같은 발판이 마련되지 않았다. 그나마 육화가 '물 속성 / 엑시즈 소환 / 레벨 8 존재'라는 점에서 근접하나 테마 내 마함 제외 수단이 없고 릴리스가 특징인 테마라 여전히 충돌한다.

일러스트는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스파이럴 드래곤이 소환되고 있는 모습인데, 네오다이달로스는 특수 소환 몬스터라서 일러스트 재현이 불가능하다. 설령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고 가정해도 릴리스도 불가능하고, 효과 무효화에 공격 선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의미가 없다.
수록 시리즈
2012-11-17 |
[[일본|]][[틀:국기|]][[틀:국기|]] CBLZ-JP069 | コスモ・ブレイザー [ COSMO BLAZER ]
2013-01-25 |
[[미국|]][[틀:국기|]][[틀:국기|]] CBLZ-EN069 | COSMO BLAZER
2013-02-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CBLZ-KR069 | 우주의 섬광

4.1.9. 엑시즈 리바이브 스플래시

파일:エクシーズ・リバイブ・スプラッシュ(AC04).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엑시즈 리바이브 스플래시,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リバイブ・スプラッシュ,
영어판명칭=Xyz Revive Splas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랭크 4 이하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물 속성이 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높은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 몬스터의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랭크 4 이하의 엑시즈 몬스터를 물 속성으로 바꿔 소생시키는 효과. 단순한 소생 카드로 보자면 엑시즈 리본이 더 쓰기 쉬우니 속성 변경이나 ②의 효과를 고려해 운영할 것. 랭크 3 이하라면 FA-블랙 레이 랜서를 겹쳐 파괴 내성 부여 어태커로 바꿀 수 있다. 물 속성으로 바꾸는 점 덕에 어둠 속성인 블랙 레이 랜서를 살려와도 FA로 진화시킬 수 있단 게 깨알같은 재미 포인트.

②의 효과는 자신을 묘지에서 제외하고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를 랭크 업하는 효과. ①의 효과로 소생한 몬스터를 랭크 업하는 게 가장 표준적인 발동이지만, 다른 몬스터에게 발동할 수도 있다. 프리 체인 효과라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나 배틀 페이즈 추격에도 적합하다. 상대 턴에 꺼낸다면 견제나 방해에도 쓸 수 있는 밸리언트 샤크 랜서, 심연에 숨은 자, 트라이에지 리바이아,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 CNo.32 샤크 드레이크 리바이스 등이 후보가 되겠다.

두 효과는 서로 시너지를 이루지만, 같은 턴에 둘 다 쓸 순 없으니 주의. 세트하고 나서 바로 다음 상대 턴에 ①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다음 자신 턴까지 그 몬스터를 유지하지 않으면 ②의 효과로 연계할 수 없다. 엑시즈 소재가 없는 저랭크는 약소한 벽으로밖에 기능을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니, 콤보를 노리겠다면 엔드 페이즈에 소생시키는 게 낫다.

바하무트 샤크를 투입한 덱이라면 랭크 4와 3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를 균형 있게 채용했을 테니 상성이 좋다. 이 경우 패나 덱에서 직접 묘지로 보내 ②의 효과를 발동하는 방법도 있다. 효과 발동 후의 바하무트 샤크를 랭크 업시키면 공격을 못하는 제약도 무시할 수 있다. 같은 덱에선 제너레이션 포스와도 상성이 좋으니 서치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시너지가 생긴다.

카드의 모티브는 작중에서 쓰인 샤크 리벤지 스플래시. 폭류에서 솟아나오는 샤크 드레이크를 소생시키는 점이 유사하다. 일러스트에선 No.32 샤크 드레이크를 소생시키고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를 랭크 업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으며, 양쪽 다 유희왕 ZEXAL에서 카미시로 료가의 에이스 몬스터로 쓰인 카드들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이터니티 코드 ETCO-KR07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ETERNITY CODE ETCO-JP075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Eternity Code ETCO-EN075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1.10. 엑시즈 포세이돈 스플래시

파일:エクシーズ・ポセイドン・スプラッシュ.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엑시즈 포세이돈 스플래시,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ポセイドン・スプラッシュ,
영어판명칭=Xyz Poseidon Splas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엑시즈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 필드의 몬스터의 속성을 1개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장착 마법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가 아닌\, 필드의 선언한 속성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어류족 / 해룡족 / 물족 몬스터 1장을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특정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장착 마법 카드를 단 몬스터를 제외하고, 피아 안 가리고 지정한 속성의 몬스터들을 전부 파괴하는 효과. 엑시즈 몹을 소재로 한 엑시즈 몹이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랭크 업한 CNo. / CX 또는 기타 겹치기 소환으로 나온 엑시즈 몬스터가 이에 해당될 것이다. 샤크 덱 지원임을 감안하면 상대가 물 속성 덱이거나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과 같이 쓰려면 자신의 몬스터가 말려드는 물 속성을 지정해야 하는데 그때 아머드 엑시즈 기믹 등으로 미리 장착 마법을 세팅하는 것으로 자신의 카드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노린 제한으로 추정되며, 이를 역이용해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 같은 카드의 효과를 발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와 엑시즈 소재 1개를 코스트로 물족/해룡/어류 몹 소생. 특이사항으로 상대 필드 위에도 소생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무난하게 No.32 샤크 드레이크와 콤보를 준비하는 용도는 물론 무한포영 같이 필드가 비어있을 때 나오는 퍼미션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어전시합, 군웅할거, 크라겐과 조합해서 상대가 어류족/물족/해룡족 주축의 덱이 아닌 이상 돌파하기 힘든 강력한 락을 걸어 버릴수도 있다. 안타깝게도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암석족이라 상대에게 넘겨 줄 수 없다.

효과 자체는 좋지만 샤크 기믹 내에서 서치할 방법이 없기에 발매 당시에는 이론상 샤크에서도 쓸 수도 있는 잡카 취급을 받았다. 그러다 다음 팩에서 제트 샤크로 덤핑이 가능해지면서 그대로 2번 효과를 쓰거나 아니면 FA-다크 나이트 랜서로 회수해서 쓰는 등 좋은 활용법을 얻었다. 특히 1번 효과만 노리고 쓴다면 매 턴마다 다크 나이트로 회수하며 상대를 견제할 수 있으므로 한번 접속만 하면 장기전에서 강력한 제압력이 된다.

일러스트에 그려진건 유적의 넘버즈의 수호자인 어비스. 일러와 카드 이름으로 보아 카미시로 료가가 사용한 포세이돈 웨이브도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4-07-27 |
[[일본|]][[틀:국기|]][[틀:국기|]] ROTA-JP069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2024-10-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OTA-KR069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2024-10-11 |
[[미국|]][[틀:국기|]][[틀:국기|]] ROTA-EN069 | RAGE OF THE ABYSS

4.1.11. 엑시즈 리버설

듀얼 터미널 스토리에 속하는 카드.

4.1.12. 엑시즈 소울

듀얼 터미널 스토리에 속하는 카드.

4.1.13. 풀 아머드 엑시즈

아머드 엑시즈 카드군 소속 카드.

4.2. 지속 함정

4.2.1. 엑시즈 베일

파일:エクシーズ・ヴェ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엑시즈 베일,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ヴェール,
영어판 명칭=Xyz Veil,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엑시즈 소재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엑시즈 소환 도입 초기에 등장했던 엑시즈 몬스터 지원 카드. TCG판 제너레이션 포스의 Sneak Preview 이벤트 배포 카드이기도 하다.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은 꽤 많은 실용적인 카드들을 막아주기는 한다. 마법 / 함정은 물론이요 각종 몬스터 효과에 의한 제거도 대부분 원천적으로 봉쇄해주어 까칠까칠 간테츠발조기뢰 태엽마인 같은 건 매우 단단해진다. 강력한 내성을 지닌 시조의 수호자 티라스도 약점인 제외와 바운스를 대부분 막아낼 수 있다.

다만, 효과의 적용 범위가 '엑시즈 소재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로 너무 좁다. 엑시즈 몬스터가 소재를 다 썼거나 엑시즈 소환 자체가 안 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이 카드는 마법 & 함정 존 하나를 차지하는 지속 함정인데 지속 함정이 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는 기간이 짧아서는 곤란하다.

게다가 더 골때리는 것은 저 효과가 상대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에게도 적용된다는 것. 기껏 이 카드를 발동해 놨는데 상대는 대상 지정 안하는 대지 분쇄 써서 내 몬스터를 날려먹고 자기 엑시즈 몬스터는 차원 유폐에서 지켜내면 아마 당장이라도 이 카드를 집어들고 찢어버리고 싶을 것이다.(…) 극단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카드는 유용하게 평가받고 잘 쓰이기 때문에 실제로 있을 수도 있는 일이다. 또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있으면 자신이건 상대건 엑시즈 소재가 남아 있는 몬스터에게는 RUM을 사용할 수 없다. RUM은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하기 때문.

그렇다고 발동을 안 해놓고 있다가 상대 효과에 체인해서 발동하자니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막을 뿐 효과를 막진 않기 때문에 이미 효과의 대상으로 지정된 상태에서는 체인해서 이 카드를 발동해봤자 소용이 없다.

비슷하게 몬스터를 효과로부터 지키는 카드로는 금지된 성창, 금지된 성의안전지대도 있다. 이들은 엑시즈 몬스터 외의 다른 몬스터에게도 쓸 수 있으며 쓸데없이 상대 몬스터까지 보호해주지도 않는다. 엑시즈 몬스터 한정이더라도 아예 대상 지정 효과의 발동 자체를 무효로 하고 파괴해버리는 엑시즈 리플렉트가 더 쓰기 편하다.

일단 성창이나 성의와는 달리 공격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좋으니 굳이 이 카드를 쓰겠다면 엑시즈 소환의 비중을 최대한 늘리거나 자기가 쓰는 카드도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카드 위주로 고르던가 해서 상대 몬스터를 보호해버리는 상황은 피하는 게 좋을 듯 하다.

일러스트에서는 이 카드가 나온 제너레이션 포스의 커버 몬스터였던 No.17 레비아단 드래곤이 보호를 받고 있다. 효과에 맞게 주변에 오버레이 유닛도 돌고 있는 건 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엑스트라 팩 2012 EXP5-KR011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EXTRA PACK 2012 EP12-JP011 레어 일본 일본 최초수록
Generation Force
Sneak Preview 이벤트
GENF-ENSP1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수록
절판
Generation Force GENF-EN000 슈퍼 레어 미국

4.2.2. 엑시즈 트라이벌

파일:エクシーズ・トライバ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엑시즈 트라이벌,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トライバル,
영어판명칭=Xyz Tribalrivals,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엑시즈 소재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고\,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효과는 그 자신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을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엑시즈 소재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과 전투 이후 파괴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

엑시즈 소재를 쓸 일이 없는 젬나이트 펄,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각성의 용사 가가기고와도 궁합이 좋고 한번 효과를 사용해도 엑시즈 소재가 2개 남기 때문에 이 카드의 효과를 받을 수 있는 No.83 갤럭시 퀸도 어느 정도는 이 카드와 연계가 가능하다. 물론 샤이니트 매지션과 같은 소재 조건이면서 필요한 소재수가 하나 많으니 갤럭시 퀸 자체가 외면당하겠지만 말이다.

군관덱에서도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군관 엑시즈 몬스터들은 엑시조 소재를 쓸일이 없기 때문에 이 카드와 궁합이 좋다. 효과 파괴 내성은 "공모군관-시라오우형특무함"도 보유하고 있지만 군관 카드군 한정인데다 시라우오형 자체가 다른 두 군함 엑시즈에 비해 소환 시 밸류가 떨어지는 편이기도 해서 소환을 안 하는 경우도 많다보니, 다른 범용 엑시즈 몬스터도 사용한다면 투입해서 나쁠 건 없다.

참고로 엑시즈 소재가 2개 이상인 몬스터끼리 전투를 벌이면 이 카드의 효과를 이 카드가 막기 때문에 파괴 효과는 불발이 된다.

일러스트는 내성적인 성격이 극에 달해 외출을 하지 않고 집에서 연구만 하던 샤이니트 매지션을 찾아온 친구 알케믹 매지션의 모습이다. 샤이니트의 성격을 고치기 위해 밖으로 나가자고 계속 권유했지만 말을 듣지 않자 밖으로 억지로라도 끌어내려고 하는 중. 그래도 저항하는 샤이니트였지만 도중에 아카식 매지션들어오고, 알케믹과 아카식이 싸우기 시작해 내쫓는다. 하지만 친구들이 자기를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지 태도를 바꾸게 되는데
수록 시리즈
2012-11-17 |
[[일본|]][[틀:국기|]][[틀:국기|]] CBLZ-JP077 | コスモ・ブレイザー [ COSMO BLAZER ]
2022-08-20 |
[[일본|]][[틀:국기|]][[틀:국기|]] DBAD-JP045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アメイジング・ディフェンダーズ -
2013-01-25 |
[[미국|]][[틀:국기|]][[틀:국기|]] CBLZ-EN077 | COSMO BLAZER
2023-01-20 |
[[미국|]][[틀:국기|]][[틀:국기|]] AMDE-EN045 | AMAZING DEFENDERS
2013-02-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CBLZ-KR077 | 우주의 섬광
2022-12-13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BAD-KR045 | 덱 빌드 팩 어메이징 디펜더즈

4.2.3. 엑시즈 퍼니시

파일:エクシーズ・パニッシュ.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엑시즈 퍼니시,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パニッシュ,
영어판명칭=Xyz Wrath,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고\,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하여 파괴한다.)]
무한 천벌이긴 한데, 지정된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서 버려진 카드. 카오스 솔저 -개벽- 같은 경우는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로 날아간다. 게다가 상대가 랭크 4 이하의 엑시즈 소환에만 주력하는 덱이라면 그나마 나온 상급 몬스터의 효과도 못 막는다.

어차피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만 막을 수 있고, 이들이 보통 특수 소환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범위가 살짝 더 좁기는 해도 아예 효과 발동 자체를 막아버리고 공격까지 동시에 막는 초고대 생물의 묘지도 있다. 일반 소환으로 레벨 5 이상을 꺼내는 제왕 덱을 상대로는 유용할지도 모르겠지만, 제왕 덱 상대로는 제물봉인 가면이라는 더 좋은 메타 카드가 있다.

천벌과는 달리 카운터 함정이 아니다라는 사실 역시 미묘하게 발목을 잡는 단점이다.

게다가 발동 무효와 효과 무효의 차이로 대미지 스텝에 발동하는 효과에는 끼어들 수 없다는 재정이다. TCG판 카드가 처음 나올 때는 대미지 스텝에 발동할 수 없다는 사실이 아예 텍스트에 써 있다.

사실 효과뿐만 아니라 일러스트도 천벌의 패러디. 에볼카이저 소르데에서 나온 번개가 메가캐논 솔저를 파괴하고 있다. 다만 소르데에는 몬스터 효과를 막는 효과가 없다. 그냥 소르데가 이 카드의 효과를 빌리고 있는듯한 모양새. 카드 이름도 천벌의 영어명 Divine Wrath에서 따온 것이다. OCG판 이름인 엑시즈 퍼니시도 엑시즈가 내리는 벌이라는 의미.

기묘한 점은 천벌에서 응징을 당하던 캐논 솔저가 사출 효과 때문에 정말로 OCG 환경에서 금지가 되었듯이, 메가캐논 솔저도 비록 효율은 낮을지언정 사출 효과라는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에 2018년 10월 금제에서 금지 카드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엑스트라 팩 -스워드 오브 나이츠- EXP6-KR010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EXTRA PACK -SWORD OF KNIGHTS- EP13-JP010 노멀 일본 일본 최초수록
Galactic Overlord GAOV-EN089 노멀 미국 세계 최초수록

4.2.4. 리설감 엑시즈

4.3. 카운터 함정

4.3.1. 엑시즈 리플렉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94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엑시즈 리플렉트,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リフレクト,
영어판 명칭=Xyz Reflect,
효과1=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상대에게 800 데미지를 준다.)]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막고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준다. 대상 지정 효과를 카운터하는 함정 카드는 많기 때문에, 서치가 가능하다는 점과 효과 데미지 이외에는 경쟁력이 없다.

유희왕 ZEXAL에서 아스트랄이 사용했다. 텐조 카이토No.39 유토피아를 대상으로 갤럭시 스톰을 발동하자, 아스트랄이 엑시즈 리플렉트로 무효화하고 800 데미지를 주었다.

일러스트에선 까칠까칠 간테츠가 오버레이 유닛으로 반격을 하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 ORCS-KR066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JP066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Order of Chaos ORCS-EN066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4.3.2. 엑시즈 블록

파일:エクシーズ・ブロッ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엑시즈 블록,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ブロック,
영어판 명칭=Xyz Block,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유희왕의 카운터 함정 카드로, 패 코스트를 엑시즈 소재로 바꾼 천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에볼카이저 돌카의 효과를 함정 카드로 옮겨놓은 것이다.

엑시즈 몬스터에게 엑시즈 소재는 효과를 쓰기 위해 필요한 기반이므로 천벌보다 코스트가 막중한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와 같이 엑시즈 소재가 하나 남거나, 혹은 소재를 하나 사용하고 다음 턴까지 버티기 힘든 몬스터들도 있다. 아니면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처럼 엑시즈 소재를 재충전할 수 있는 카드들도 있고,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No.58 염압귀 버너 바이서처럼 효과를 쓸 때 소재를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버너 바이서의 장착 효과의 경우 엑시즈 소재를 쓰고 발동하는 것이 아닌, 유니온 몬스터에 가까운 효과라...

원작 사용자는 아리트. 츠쿠모 유마와의 듀얼에서 BK 구속만병 리드블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해 건틀릿 슈터의 파괴 효과를 막았다. 원작에선 파괴 효과까진 없었으니 꽤나 큰 상향을 받은 것. 실제로도 파괴 이외의 제거에 약한 리드블로의 약점을 보완해주며 자기 효과로 공격력까지 올라가니 상성이 좋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LTGY-KR07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LORD OF THE TACHYON GALAXY LTGY-JP07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ord of the Tachyon Galaxy LTGY-EN07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3.3. 엑시즈 언브레이커블 배리어

엑시즈 몬스터 범용 카운터 함정. 부가 효과는 호프 카드군 한정 서포트가 있다.

5. 엑시즈 몬스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CX
,
,
,
,
,

6. 관련 서포트 카드

6.1. 제너레이션 포스

파일:ジェネレーション・フォ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제너레이션 포스,
일어판 명칭=ジェネレーション・フォース,
영어판 명칭=Generation Forc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엑시즈"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라이트 오브 디스트럭션, 사이버다크 임팩트!를 잇는 동명의 부스터 팩 제너레이션 포스에서 따온 카드.

이 카드의 등장으로 "엑시즈"라는 이름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게 되었다. 몬스터건 마법이건 함정이건 상관없이 이름에 '엑시즈'가 붙어있기만 하면 패로 가져올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서치 카드이다.

자신의 필드 위의 엑시즈 몬스터의 특징에 따라 서치해와야 할 카드가 달라지는데, 공격력이 약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파괴되기 쉬운 엑시즈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있다면 엑시즈 리본을, 랭크 6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가 있다면 엑시즈 버스트를 서치해 오는 것이 유리하다. 그 외에 엑시즈 소재를 쓸 일이 적고 상대가 몬스터 효과를 많이 사용하거나 내성이 걱정된다면 엑시즈 블록이나 엑시즈 리플렉트를,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가 모두 떨어졌다면 엑시즈 유닛, 엑시즈 임포트를 가져오는 것도 좋다.
수록 시리즈
2012-07-03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EDU-KR063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2012-04-14 |
[[일본|]][[틀:국기|]][[틀:국기|]] REDU-JP063 | RETURN OF THE DUELIST
2020-07-01 |
[[일본|]][[틀:국기|]][[틀:국기|]] 20TP-JP313 | 토너먼트 팩 2020 Vol.3
2012-08-28 |
[[미국|]][[틀:국기|]][[틀:국기|]] REDU-EN063 | Return of the Duelist

6.2.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마법 / 함정에 한해 덱에서 서치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6.3. 엑시즈 포스

마법 / 함정에 한해 덱에서 서치하는 효과를 가진 마법 카드.

6.4. 제트 샤크

마법 / 함정에 한해 덱에서 덤핑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6.5. FA-다크 나이트 랜서

마법 / 함정 / 몬스터를 가리지 않고 묘지에서 회수하는 효과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

6.6. 가가가가 걸

마법 / 함정 / 몬스터를 가리지 않고 덱에서 서치하는 효과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

7. OCG화되지 않은 카드

해당 문서 참조.


[1] OCG판 프랑켄의 효과는 이 카드가 공격 표시일 때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한 다음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변경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하는 프리 체인 효과다.[2] 엑시즈 유니버스가 있지만 정규 소환이 아닌 데다, 조건이 까다롭고 디메리트가 많다.[3] 다만 애니판의 고대 샤크 하이퍼 메가로돈의 경우 물 속성 1장을 릴리스해서 소환가능한데다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줄 경우, 데미지 대신 그 수치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카드였기에 샤크 드레이크를 입수하기 전, 샤크가 블랙 레이 랜서처럼 넘버즈의 전투 내성을 공략하기 위해 고안한 수단 중 하나라 생각하면 말이 되긴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엑시즈(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version=98,
title2=엑시즈 리모라,version2=32,
title3=엑시즈 어벤져,version3=19,
title4=X-레이 피어스,version4=31,
title5=엑시즈 슬라이돌핀,version5=16,
title6=엑시즈 기프트,version6=33,
title7=엑시즈 더블 백,version7=29,
title8=엑시즈 리셉션,version8=33,
title9=엑시즈 버스트,version9=14,
title10=엑시즈 시프트,version10=31,
title11=엑시즈 얼라인,version11=17,
title12=엑시즈 에너지,version12=51,
title13=엑시즈 임포트,version13=12,
title14=엑시즈 오버라이드,version14=27,
title15=엑시즈 유닛,version15=16,
title16=엑시즈 테리토리,version16=27,
title17=엑시즈 포스,version17=25,
title18=엑시즈 도시락,version18=11,
title19=엑시즈 디멘션 스플래시,version19=69,
title20=엑시즈 리벤지 셔플,version20=25,
title21=엑시즈 리본,version21=48,
title22=엑시즈 리플렉트,version22=18,
title23=엑시즈 베일,version23=19,
title24=엑시즈 블록,version24=24,
title25=엑시즈 이펙트,version25=23,
title26=엑시즈 트라이벌,version26=50,
title27=엑시즈 퍼니시,version27=8,
title28=원더 엑시즈,version28=72,
title29=제너레이션 포스,version29=105,
title30=엑시즈 리바이브 스플래시,version30=17,
title31=엑시즈 포세이돈 스플래시,version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