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11:26:06

정크 싱크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정크(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싱크론]]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3. 서포트 카드
3.1. 싱크로 몬스터
4. 기타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ジャンク・シンクロン(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정크 싱크론,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シンクロン,
영어판명칭=Junk Synchron,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300, 수비력=5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레벨 2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5D's 초창기부터 등장한 고참 튜너들 중 하나로, 예부터 데브리 드래곤과 함께 우수한 소생 효과로 사랑받은 고성능 튜너.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발동하는 유발 효과로 레벨 2 이하의 몬스터를 소생한다. 비슷한 카드로는 가면레온, 상애의 언브레캄, 블랙 봄버, 요코튜나 등이 있다. 이런 카드들 중에서는 최초로 등장한 카드.

특히나 도플 워리어와의 콤보는 옛날부터 꽤 주목을 받아왔었다. 그래서 아예 정크도플이라는 벽듀얼의 시초격 덱 타입의 주인공이 될 정도로 인지도가 확실하다.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가 범용 견제로서 현역이던 시절엔 같이 사용되기도 했다.

듀얼 환경이 가속화되면서 묘지에 몬스터를 마련해야만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소 번거로우나 능동적으로 자턴 발동이 가능한 레벨 2 범용 패 트랩인 증식의 G가 있으며, 정크 컨버터의 출시로 그러한 문제가 크게 완화되었다. 정크 컨버터는 자신과 튜너를 패에서 버리는 것으로 덱에서 '싱크론' 몬스터를 패에 넣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자기 자신이 레벨 2이므로 정크 싱크론을 서치한 뒤 소생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로선 정크 싱크론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정크 컨버터를 넣는다는 점에서 도플 워리어보다 더 단짝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특이하게도 싱크론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전사족이다. 바로 다음에 3화에서 등장한 니트로 싱크론을 시작으로 유세이의 모든 싱크론이 기계족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특이 케이스.

2023년부터 정크도플 덱이 용사 테마를 혼합하는 용사 싱크론 구축이 정석이 되면서 비중이 줄어들었다. 아라메시아의 의는 발동한 턴 일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 발동이 막히기에 이 카드와 궁합이 좋지 않다. 때문에 정크 스피더의 레벨 3 싱크론 조달 용도로만 채용되다가 신규 레벨 3 싱크론이자 용사와 시너지가 좋은 레볼루션 싱크론이 출시되면서 아예 빠지게 되었다.

2025년 스트럭처 덱 파워 오브 펠로우즈에서 정크 워리어 테마 중점의 지원을 받으면서 정크 싱크론을 지정하는 카드들도 출시되었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 유세이의 간판 튜너로, 정크 워리어와 달리 첫 듀얼부터 최종화[1]까지 비중 있게 사용하였다. 안 쓰이거나 등장하지 않는 듀얼이 없다고 해도 될 정도. 초반에는 유세이는 소생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엔젤 리프트 등으로 우회하면서 다른 소재 몬스터를 소생시켰지만, VS 우시오 3차전에서야 비로소 소생 효과를 사용, 볼트 고슴도치를 소환해 정크 워리어를 싱크로 소환하였다. 이때 듀얼에서 볼트 고슴도치는 터보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로 쓰이기 위해 이 녀석의 효과를 쓴 듯하며, 애초에 이 녀석에게 효과를 붙여줄 생각이 없었던 걸로 보인다. 여담으로 5D's의 튜너들 중 전투로 제일 많이 파괴 당했다.

유희왕 D팀 제알에서는 신디 크로스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에서 사용. 선공 첫 턴에 소환되어 효과로 좀비 캐리어를 소생시킨 후, 도플 워리어와 함께 A·O·J 카타스톨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이후 또 1장이 등장하여 효과로 도플 워리어를 소생시킨 후 함께 정크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슈팅 스타 드래곤을 이 카드 한 장만으로 소환하는 콤보가 나오면서 푸른 눈 몬스터들을 제치고 메인 덱 몬스터 픽률 1위를 찍는 기염을 토한 적도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유희왕 스타터 덱 2008 YSD3-KR011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8 유성 편 DP08-KR001 노멀 한국
유희왕 스타터 덱 2009 YSD4-KR014 노멀 한국
유희왕 스타터 덱 2010 YSD5-KR017 노멀 한국
스트럭처 덱 - 싱크론 익스트림 SD28-KR004 노멀 한국
크로니클 팩 2 20AP-KR063 패러렐 레어 한국
듀얼리스트 에디션 Vol.3 DE03-JP158 시크릿 레어 일본

3. 서포트 카드

3.1. 싱크로 몬스터

정크 싱크론을 싱크로 소재로 지정하는 싱크로 몬스터 일람.

4. 기타 관련 카드


[1] 유세이가 잭과의 라스트 듀얼에서 마지막에 드로우한 카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