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싱크로(유희왕)]]{{{#!if 문서명2 != null
, [[워리어(유희왕)]]}}}{{{#!if 문서명3 != null
, [[싱크론]]}}}{{{#!if 문서명4 != null
, [[스타더스트(유희왕)]]}}}{{{#!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싱크로 체이스, 일어판 명칭=シンクロ・チェイス, 영어판 명칭=Synchro Cha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그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 한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원래의 카드명에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워리어 , 싱크론 , 스타더스트 의 싱크로 소환 에 성공했을 경우에 그 싱크로 소재 1장을 소생시키는 효과. 소비된 싱크로 소재를 즉시 보충할 수 있다. 수비 표시로 소생하니 공격은 못하지만, 효과가 무효가 되진 않으니 여러 콤보가 가능하다. 또한 튜너도 필연적으로 소생 대상으로 들어가니 연속 싱크로 소환으로 연계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상대의 체인을 막는 효과. 따라서 이들의 효과를 확실히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의 수혜자 중 스타더스트 계열에서 가장 큰 혜택을 본 경우는 바로 섬광룡 계열. 3종류 모두 이름에 스타더스트가 포함되어 있는데다가 모두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유발즉시 효과 인 덕분에 상대 턴에 발동하여 상대의 효과 발동을 끊어내거나 자신의 효과 발동을 확실하게 성공시킨다. 이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 싱크로 체이스를 제거하거나 무효화하지 않는 이상 이들에게 휘둘릴 위험이 있다. 일러스트의 구도는 유희왕 5D's 3기부터 등장한 라이딩 듀얼 전용 레인에서 정크 싱크론 이 정크 워리어 를 따라 질주하는 장면으로,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에서 후도 유세이 가 패러독스 와 라이딩 듀얼할 때 나온 장면을 모티브로 한 걸로 보인다. 이 카드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에 관한 효과나 정크 싱크론의 모습을 보면 후도 유세이의 에이스 몬스터인 스타더스트 드래곤 을 싱크로 소환하기 직전의 상황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애니 초반부때 유세이의 스타더스트 주 소환법인 정크 싱크론과 스피드 워리어로 정크 워리어를 뽑고 그 후 다시 정크 싱크론을 불러 스타더스트를 소환한다는걸 보면 카드 일러스트나 효과나 이 전법 그 자체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대놓고 후도 유세이 카드군 모음이지만 의외로 정크 는 없다. 정크 싱크로 몬스터 중에 실전성 높은 게 별로 없긴 하지만, 정크 스피더 가 해당이 안 되는 건 아쉬운 점.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9-11-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JP026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20-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6-EN026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2022-07-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DS3-EN123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26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