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11:24:03

정크 스피더

후도 유세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정크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 싱크로
서브 에이스 에이스
5D's
정크 워리어
코믹스
라이트닝 워리어
OCG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
코믹스
섬광룡 스타더스트
OCG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OVA)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슈팅 스타 드래곤
코믹스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OCG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5D's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
코믹스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OCG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 ||
유희왕 5D's 시그너의 에이스 관련 OCG 오리지널 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시그너 드래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드래곤
잭 아틀라스
레드 데몬즈 드래곤
이자요이 아키
블랙 로즈 드래곤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스카레드 데몬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브랜블 로즈 드래곤
블러드 로즈 드래곤
루카
고대 요정 드래곤
고대 요정 라이프 드래곤 -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그 외 에이스 몬스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도 유세이
정크 워리어
잭 아틀라스
-
이자요이 아키
스플렌디드 로즈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레드 라이징 드래곤 헤이트 로즈 위치
루카
-
-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BF-풀아머드 윙
}}}}}}}}} ||
정크 스피더
<nopad> 파일:dg39xra-634d30af-6060-4b41-8985-19925e17197b.png

1. 개요2. 설명3.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ジャンク・スピー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정크 스피더,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スピーダー,
영어판명칭=Junk Speeder,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1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소재="싱크론"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덱에서 "싱크론" 튜너를 가능한 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같은 레벨은 1장까지).,
효과2=②: 이 턴에 싱크로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100점

싱크론 덱의 핵심 카드로, 이 카드의 통과 여부에 따라 승패가 갈린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②번 효과는 스피드 워리어를 위시한 팬서비스성 효과고 핵심은 ①번이다.

①번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레벨이 다른 "싱크론" 튜너를 가능한 한,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맹세 효과로 싱크로 제약이 걸리므로, 그 턴에 링크 소환 등 다른 엑스트라 덱 소환을 할 수 없고, 이 효과를 발동하기 전에 소환해둔 경우 효과를 아예 발동할 수 없음에 주의. 레벨이 달라야 하는 제약이 있어 다수의 싱크론을 투입해야 하고, 비튜너는 다른 방법으로 조달해야 하지만, 그것을 감안해도 최대 5장이나 되는 카드를 덱에서 꺼내오는 효과는 발매 당시는 물론 13기 시점에서도 거의 없다.

주로 소환하게 될 싱크론 몬스터는 다음과 같다. 괄호는 해당 몬스터의 레벨.

튜너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비튜너를 따로 조달해야 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휠 싱크론처럼 튜너 외로도 취급되는 몬스터를 소환하거나 정크 컨버터와의 연계, 싱크로 펠로우즈로 고슴도치를 묻어 따로 소생시켜야 한다. 휠 싱크론은 말림패라 채용률이 낮고, 컨버터는 패 소모가 많아 주로 고슴도치를 통해 비튜너를 조달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더의 효과 발동 후 필드에는 1~4레벨의 튜너 몬스터와 비튜너인 정크 스피더(5)가 남게 되고, 필드/묘지에서 추가로 레벨 2의 비튜너 몬스터를 뽑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만 봐도 이 카드로 만들어낼 수 있는 필드의 가짓수가 무궁무진하게 늘어나는데, 컨버터나 펠로우즈를 통해 정크 싱크론+2레벨 몬스터 조합으로 뽑아내면 이 카드와 3레벨 튜너로 정확하게 5소환째에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뽑아 니비루를 케어할 수 있다. 이후에는 액셀 싱크론 등의 카드로 계속 전개를 이어나가면 된다.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효과로 소환했을 경우에는 이 카드와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완전 내성을 갖추고, 위의 언급된 튜너들은 전원 자체 소생이 가능하기에 니비루의 의미가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폭발적인 전개력을 가진 만큼 싱크론 덱은 이 카드에 들어오는 견제기를 최우선적으로 방어해야 한다. 대표적으로는 흑마녀 디아벨스타로 원죄보-스네이크아이를 서치, 제트 싱크론을 소환해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소환하고, 그 효과와 제트 싱크론의 연계로 완전 내성의 스피더를 뽑는 방법이 있다. 용사 파츠를 사용하면 마찬가지로 7레벨 몬스터 + 제트 싱크론으로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으며, 스트럭쳐 덱 파워 오브 펠로우즈 이후로는 싱크로 펠로우즈를 활용해 정크 컨버터 외의 수단으로 일소권까지 추가하면서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단독 파워가 엄청난 카드이지만 반대로 일반적인 싱크론 덱은 이 카드 하나에 덱의 전개 플랜이 몰려 있기에 의존도가 극심하다. 대표 패트랩인 뵐러, 포영, 우라라는 기본이고 설령 이 패트랩을 뚫고 전개를 했다하더라도 니비루가 날라올 수 있다.[1] 시대를 막론하고 강력한 대량 전개 효과 덕분에 늘 압도적인 고점을 보장하나, 동시에 이 카드의 존재로 인해 싱크론 덱은 고질병인 저점 보완을 전혀 못 받고 있으며, 용사죄보 등의 용병을 끌어다 써서 스피더를 보호하는 식으로 덱을 구성한다. 그렇다고 스피더를 배제한 구성을 하자니 다른 전개 덱에 비해 경쟁력이 뒤떨어진다. 이 점 때문에 싱크론 유저들의 온갖 애증을 한 몸에 받는 카드이기도 하다.

이후 스트럭쳐 덱 파워 오브 펠로우즈에서 이 카드를 쓰지 않고도 전개가 가능한 정크 워리어/서포트 카드가 나왔지만, 해당 테마는 기존의 선공 전개와 달리 정크 워리어를 최종 결과물로 내세우는 후공 턴킬에 중점을 두고 있다. 때문에 선공 전개는 해당 지원을 사용한 원 핸드 전개 루트만 늘었을 뿐, 이 카드가 막혔을 때의 파멸적인 저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는 못했다. 오히려 그 후공 턴킬 전개에서조차 고점을 위해 이 카드를 써야하는 상황이 있어서, 선후공 막론하고 이 카드의 의존도가 높다는 싱크론 덱의 한계는 여전하다. 다만 해당 팩에서 나온 지원 카드 덕분에 용병의 힘을 빌리지 않아도 스피더 전에 퍼미션을 세워 상대의 패트랩이나 견제로부터 보호하는 식의 전개가 가능해졌다.

모티브는 이름과 모습, 효과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정크 싱크론스피드 워리어에 튜닝시킨 모습. 애니에서 최초로 등장한 싱크로 소환은 정크 싱크론과 스피드 워리어를 소재로 정크 워리어를 소환한 것이며, 그 이후로도 둘은 종종 싱크로 소재 파트너가 돼 정크 워리어의 소환에 쓰였는데, 그걸 의식해 아예 스피드 워리어를 정크 버전으로 만든 듯하다.[2] 실제로 이 카드의 공격력인 1800은 스피드 워리어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 배가 된 공격력과 같고, 소환된 턴에 공격하면 원래 공격력이 배가 되는 것도 스피드 워리어의 효과에서 따왔다.

유희왕 SEVENS 공개와 함께 발표된 신규 마스터 룰이 적용되는 것에 맞춰, OCG에선 2020년 4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가 2021년 1월에 준제한, 2021년 4월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수록 시리즈
2019-0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3-KR041 | 크로니클 바인더
2018-1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TH-JPB14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18-08-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15-EN002 | 2018 Mega-Tins
2020-06-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3-EN007 | OTS Tournament Pack 13

3. 관련 카드

3.1. 스피드 워리어

3.2. 정크 싱크론


[1] 특히 파워 오브 펠로우즈가 발매되기 전까지는 이 카드를 소환하기까지 3번, 튜너를 불러오는 효과를 끝내고 나면 4번으로, 다음 소환때부터 즉시 니비루의 발동 조건이 만족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나마 스크랩 싱크론이 나오면서 패 싱크로로 소환수를 한 번 줄일 수 있게 됐다.[2] 정크 워리어는 안경(?)등 정크 싱크론이 주 디자인이 되었으며 정크 스피더는 반대로 스피드 워리어가 주 디자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