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네오 스페이시언]]#!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땅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 ||||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 |||||
|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 | 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 |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 미러클 엑스클루더 | |||||
|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 | [[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 |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 [[미러클 엑스클루더|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물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 |||||
|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 ||||||||
|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화염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 |||
|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바람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 ||
|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 |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빛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 ||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 |||||
| 날개 크리보 LV6 |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 ||||||
| [[날개 크리보 LV6| |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어둠 속성 ]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다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 ||||||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다크맨| |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미러클 엑스클루더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ミラクル・エクスクルーダー,
영어판명칭=Miracle Ejecto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400, 수비력=400,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엘리멘틀 히어로"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덱에서 "네오 스페이시언"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GX 리마스터 가이드북에 동봉된 카드 엑스클루더의 리메이크 카드.
유우키 쥬다이의 카드답게 날개 크리보 LV6처럼 엘리멘틀 히어로 카드로 취급된다. 덕분에 에어맨 같은 히어로 서포트는 물론이거니와 히어로 얼라이브나 E-이멀전시 콜 같은 엘리멘틀 히어로 서포트도 다 받을 수 있다.
환경 레벨의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땅 속성이라 프레임 슛이나 볼틱 썬더의 융합 소재로 쓰기에 용이하다. 또한 네오스 크루거 다음 두 번째로 나온 마법사족 엘리멘틀 히어로인데, 이는 전사족이 아니라서 증원으로 서치할 수 없고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의 링크 소재로 쓸 수 없는 등 불이익이 되기도 하니 주의.
①의 효과는 네오 스페이시언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히어로에서 보기 드문 소환권 없는 매우 간편한 소환 효과이며, 네오스 덱이라면 코스트로 덤핑을 시켜줘서 확실하게 묘지 자원을 쌓아 이를 통해 미러클 콘택트에 쓰일 융합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통합 히어로의 경우 EN셔플로 1드로우로 치환된다. 다만 네오스 덱이 아니면 네오 스페이시언을 1장만 넣게 될 텐데 덱에서만 덤핑되기에 네오 스페이시언이 패에 잡히면 이 카드도 특소가 막히고 네오 스페이시언이 호감패가 된다.[1]
서큘러를 시초로 삼은 덤핑 패특소 계열 효과지만, 덤핑할 카드는 특별히 어드밴티지가 되지 않기에 원본처럼 1:2 교환을 이루는 건 아니다. 대신 이 카드 자신의 후술할 효과가 강력하다는 것에 기믹이 집약되어있다.
②의 효과는 소환 시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관련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엘리멘틀 히어로 스피릿 오브 네오스와 서치 범위가 겹치며 따라서 이 효과로 서치 가능한 카드에 관해서는 스오네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일반 소환이나 자신 이외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여 사실상 스오네를 대체하는 상위 호환이다.[2] 이 덕분에 "스오네를 꺼내려면 스오네로 서치할 마함이 필요한" 치명적인 모순이 해결되어 관련 카드 밸류가 크게 상승하였다. 네오스 덱에서는 덱 융합 네오스 퓨전을 비롯한 수많은 서포트 카드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상술한 미러클 콘택트도 서치 범위에 포함되니 ①의 효과와 시너지도 강하다. 통합 히어로에서도 EN 셔플을 서치할 수 있으므로 원 핸드 초동으로 기능하며, 카운터 함정 엘리멘트의 가호를 서치해 후열 퍼미션 확보 및 착지점으로도 기능하거나 플레임 슛을 막아도 페이버릿 콘택트를 가져오는 등의 역할을 맡을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시 상대 묘지의 카드 1장을 지정해서 제외하는 유발 효과. 원본의 기동 효과를 유발 효과로 바꾼 것으로, 수단 가릴 것 없이 묘지로 가면 그만이므로 발동하기는 매우 편하다. 카드 종류를 따지지 않기에 덤 효과 치고는 매우 우수한 견제나 후속 차단이 된다.
전반적으로 매우 강력한 카드이며, 단순 파워뿐만 아니라 사장되어 있던 네오스 마함 등에도 접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덱의 확장성을 크게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허나 이 정도의 강함을 대가로서 네오 스페이시언의 채용을 강제하고, 패에 잡혀서는 안 되는 운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밸런스를 맞췄으며, 때문에 통합 히어로보다는 네오스축에서 더 큰 메리트가 되는 카드다. 네오스축이라면 애초에 네오 스페이시언을 2~3종류 채용하기에 채용 강제와 패에 들어오는 문제 모두 해결된다. 또한 통합 히어로 덱에서는 간간히 니비루 케어를 위해 넣어지기도 하던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을 넣으면 그만이기에, 결론적으로 통합 히어로에서도 굉장히 환영하고 있는 카드. 물론 이 경우 돌핀이 패에 잡혔을 땐 가치가 폭락하니 주의. 이 카드 하나로 엘리멘틀 히어로 코스모 네오스를 상대 턴에 소환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자세한 루트는 네오스 문서 참조.
성능과는 별개로 최소한 네오스축에서는 3장 투입이 필수인 카드인데, 2,000엔짜리 책 동봉이라 가격이 꽤나 있다는 것도 단점. 물론 한글판 OCG가 그러하듯이 국내 정발이 되면 가격문제는 해소되겠지만, 문제는 썬더 자이언트 볼틱썬더도 계속 밀리는판에 이녀석도 정발은 매우 늦을 확률이 높다는점. 때문에 한글판을 선호하는 유저들에겐 아직 머나먼 미래의 꿈같은 이야기...
일러스트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4기 오프닝 영상에서 등장한 카드 엑스클루더의 포즈에서 따온 것. 옷 색깔도 원작을 따라가 주황색이 되었다. 딱히 연계성이 있지도 않았던 네오 스페이시언 관련 효과가 붙은 것은 이런 이유로 보인다. 덤으로 정식 히어로로서 인정받은 만큼 엘리멘틀 히어로 마크가 새겨진 히어로 메달[3]도 차고 있다.[4] 정작 원작에서는 유벨전에서 딱 한 번 쓰이고 끝났던데다, 그 유일한 등장마저 효과가 무효과되어 파괴된 게 전부였던 것을 생각해보면 매우 파격적인 대우라고 볼만하다.
3.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2025-12-29 | ABGX-JP001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GX アニメコンプリートガイド アカデミア決闘録』同梱カード |
4. 관련 카드
4.1. 카드 엑스클루더
4.2. 미러클 플리퍼
[1] 물론 이래도 일반 소환은 가능하니 전개가 불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이러면 패에 다른 히어로가 있고, 비전 히어로 인크리스나 바이온이 덱에 남아있어야 전개가 가능하다. 아쿠아 돌핀이라면 여차하면 크로스 가이 소재로도 사용 가능하니 통합 히어로 덱에서 익스쿨루더를 쓴다면 대부분 돌핀을 채용할것이다.[2] 완전 상위 호환은 아닌 게 융합은 서치할 수 없다. 하지만 마스크드 히어로 덕분에 이미 접속 루트가 많아져서 큰 문제는 아니다.[3] 원본 히어로 메달과는 좀 다르게 히어로 시그널에 나오는 문양이다.[4] 이 때문에 이후 프렌도그 등 쥬다이가 사용한 히어로가 아닌 몬스터를 히어로화시키는 지원이 나오는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