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 - |
부천역 (부천대학교) | ||||||
연천 방면 소 사 ← 1.1 ㎞ | 1호선 (148) | 인천 방면 중 동 1.7 ㎞ → | ||||
용산 방면 역 곡 ← 2.6 ㎞ | 1호선 ''' 경인선 급행 ''' | 동인천 방면 송 내 2.7 ㎞ → | ||||
1호선 ''' 경인선 특급 ''' | ||||||
역명 표기 | ||||||
경인선 | 부천 (부천대) Bucheon (Bucheon Univ.) 富川 / [ruby(富川, ruby=プチョン)]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1] (운전간이역)[2] / 2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인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인선 | 1899년 9월 18일 | |||||
1호선 | 1974년 8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구로 방면 소 사 ← 1.1 ㎞ | 경인선 부 천 | 인천 방면 중 동 1.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지된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기점 | 김포선 | 김포 방면 -.- ㎞ → | }}}}}}}}} |
민자역사 | |
정식명칭 | 부천역사 주식회사 |
영어명칭 | Bucheon Station Shopping Mall |
설립일 | 1990년 9월 29일 |
업종명 | 도소매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홈페이지 |
현 역사(1999년 준공) |
야간의 부천역사(2010년 초까지 모습) |
2018년의 부천역광장 |
[clearfix]
1. 개요
부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와 복사꽃을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고객지원실에 비치 중이다. |
1899년 경인철도 개통과 함께 소사역으로 개업
부천역은 1899년 9월 소사역이라는 이름의 경인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1년에는 군수물자와 유류수송을 위한 부천역과 김포공항을 잇는 김포선이 건설되었다가 도로교통의 발달로 1980년 폐선되기에 이른다. 1973년 소사역이 소속한 소사읍을 중심으로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이듬해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추어 소사역의 이름을 부천역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부천역 옆에 1997년 신설된 역사가 소사역으로 이름 붙여졌다.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과 함께 준공되었던 옛 역사는 선상역사였지만 1980년 지하역사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는 민자역사가 들어섰다. 이처럼 발전하는 도시와 함께 도시의 중심인 부천역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48번.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소재.부천역은 1899년 9월 소사역이라는 이름의 경인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1년에는 군수물자와 유류수송을 위한 부천역과 김포공항을 잇는 김포선이 건설되었다가 도로교통의 발달로 1980년 폐선되기에 이른다. 1973년 소사역이 소속한 소사읍을 중심으로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이듬해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추어 소사역의 이름을 부천역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부천역 옆에 1997년 신설된 역사가 소사역으로 이름 붙여졌다.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과 함께 준공되었던 옛 역사는 선상역사였지만 1980년 지하역사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는 민자역사가 들어섰다. 이처럼 발전하는 도시와 함께 도시의 중심인 부천역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부천시가 부천트램의 시종착역으로 추진하고 있다.
2. 역 정보
구 남부역사(1953년 준공, 1974년 철거) |
구 선상역사(1974년 준공, 1993년 철거) |
1979년의 부천역 승강장 |
구 북부역사(1974년 준공, 1997년 철거) |
1993년 당시 부천역 역명판[3] |
역 안내도 크게 보기 |
역 개설 이래 1974년까지 남쪽으로만 역사가 존재했다. 그전에는 부천역 서부에 위치한 '땡땡이 지하도' 자리에 철길건널목이 있어서 북쪽에서 이 건널목을 건너 남부의 역사를 이용했다. 먼 옛날 심곡고가도로가 개설되기 전에는 이 건널목을 지나는 길이 지방도 또는 국도가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곳을 통해 차량 통행 및 이용객 이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심곡고가 및 소명지하차도가 개설되면서 이 건널목의 필요가 낮아져 건널목을 없애고 지하보도가 생겼다. 이름이 "땡땡이 지하도"가 된 것은 바로 이곳에 건널목이 있어 기차가 다닐 때마다 "땡땡"하고 울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1974년에는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춰 선상역사를 신축하여 북쪽 출입구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미 6만 명이 이용하던 부천역 선상역사는 역사 협소로 인해 극심한 혼잡에 시달렸고, 결국 1980년에 부천역지하도상가와 연결되는 지하 맞이방을 새로 개설했다. 이후 선상역사는 잠시 폐쇄하고 보수하여 1983년에 하차객 전용으로 다시 개방하였다. 1984년에는 부천역 북부에도 역무실과 개찰구 등을 설치하여 역사 규모를 확장하였다.
현 역사는 1993년에 착공하여 1999년에 완공된 민자역사이다. 민자역사 공사에 따라 지하 맞이방을 제외한 모든 역사를 철거하였고, 그 기능은 규모가 크게 확대된 민자역사로 대체되었다. 1994년 당시 북부역사 사진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북부역 출구는 지금의 북부역 광장 한가운데로 나오게 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1993년부터 시작된 민자역사 공사 당시에는 지금의 3번 출구 옆 이마트 부천점 주차장 진입로에 임시 계단을 설치하여 이용하게 했었다.
경인선 주요 역이 거의 그렇듯 이 역에도 지하상가가 존재하며, 민자역사에 딸린 지상 맞이방과 부천역 지하상가로 통하는 지하 맞이방이 모두 존재한다.
수도권서부본부 산하의 관리역이었으나 개정된 열차 운전 시행세칙에 따르면 역원배치간이역에 부천역의 이름이 실려 있었고(별표5), 제어 및 피제어역 목록(별표7)에 제어역 오류동역에 피제어역 부천역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관리역에서 배치간이역이 되었다. 경인선에 보통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역은 많지만 이 정도로 떨어진 역은 대곡역과 더불어 흔치 않다. 관리역으로 1달 만에 재승격한 것처럼 알려졌더니 2013년 3월 25일 또다시 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사실 배치간이역 격하 자체는 2008년 1월 17일경(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08-2호)에 이루어졌는데 이 사실이 상당히 늦게 알려졌다. 이 역과 같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역은 주안역, 광명역, 천안아산역이 있다.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개정안(2013년 3월 25일)[4] |
2015년 7월 25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에도 여전히 역원 배치 간이역에 부천역의 이름이 있다.
2017년 12월 4일 한국철도공사가 밝힌 최신 철도노선도에는 부천역이 관리역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김포선의 분기역이었던 과거가 있었다.
수도권 1호선 전철만 정차하는데도 일반열차 표를 구매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역 중에 하나였다. 2014년 1월부터 발권 창구를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부천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부천 역명만 방송한다.
2021년 8월 기준으로 이 역에서 23시 26분에 동인천발 급행 막차가 끊기고 주박한다. 급행과 동묘앞행 일반열차 막차가 같은 시간에 승강장에 진입해 연계가 된다. 인천역에서 첫 번째로 출발한 양주행 완행열차가 시간표상 이 역에 매일 새벽 5시 30분에 도착하는데, 이 역에서 주박한 용산행 급행열차가 5시 32분에 출발한다. 3~4분 이상 열차가 지연되지 않는 한 일반 열차가 도착하고 15초 정도까지는 급행 열차가 대기한다.
토요일 오전 9시 10분에 인천행 + 의정부행 + 용산급행 + 동인천급행 열차 4대가 30초 ~ 1분 차이로 거의 동시에 진입한다. 경인선 선로가 복복선인 데다가, 정기 화물열차나 여객열차 없이 전철만 운행하기에 가능하다. 열차 출발 1분 뒤에는 승강장이 한산해진다.
3. 역 주변 정보
부천역 주변은 중동신도시 개발 전 부천시의 원도심으로 대단히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매우 좁은 도로와 심하면 1960년대에 지어져 현재까지 내려오는 낡은 건물 등 구시가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2010년대 이후에는 조금씩 재건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오래된 건물이 많아 80~90년대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손꼽힌다. 역 주변 번화가 외에 오래된 주택가가 있으며, 구시대의 유물인 여인숙 및 여관도 여전히 상당수 남아있다. 역 근방은 시 차원에서 리모델링이 이루어졌지만 역에서 조금만 떨어지면 나오는 오래된 주택가까지는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북부역 쪽은 재건축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남부역 쪽은 여전히 옛날 모습을 간직한 곳이 많다.1990년대에 이미 부천역 주변에 맥도날드가 있었다. 당시 국내에서 맥도날드는 서울을 제외하면 부산이나 대구 등 주요 지역이거나 미군 부대가 있는 지역이 아니면 흔치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부천역 주변이 번화가이자 상권이 상당히 발달해있던 셈이다. 원래는 부천역 지하 1층에 맥도날드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4년경 북부역 잼존프라자에 맥도날드가 새로 개업해 부천역 근처에만 2개가 존재했다가, 2020년경 부천역점이 폐업하면서 잼존프라자점만 남게 되었다. 지하 1층에 함께 있던 KFC는 여전히 영업 중이고, 북부역 쪽으로 조금만 더 나가면 버거킹도 존재해, 상권 내에 KFC, 버거킹, 맥도날드, 롯데리아가 함께 존재한다.
부천역 남쪽으로는 46번 국도(경인로)가 동서로 지나가고, 부천역 서쪽에서는 남북으로 39번 국도가 지나간다. 부천역 2번 출구 앞에 있는 경원여객 버스터미널은 46번 국도와 39번 국도의 공용 구간이다. 부천역 근처에는 고속도로가 없고, 46번 국도를 타고 서쪽으로 가서 송내역까지 가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가 있다.
소신여객 차고지 (북부역) | 부천역차고지 (남부역) |
부천역의 주변지역은 중동신도시와 함께 부천시의 양대 번화가이므로 유동인구가 정말 많다. 소신여객과 경원여객의 터미널이 각각 북부역과 남부역에 있다. 모두 197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라서 낡아 있다. 그리고 근처에 부천대학과 서울신학대학교가 있다. 서울신학대학교 자체는 소사역에서 가는 것이 더 빠르다.
지하의 분수대 광장은 약속 장소로 꽤 오랫동안 시민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역사 내에는 교보문고, 경륜장(Speezon), 이마트 부천점, 식당가, KFC,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롯데리아, 던킨도너츠, ATM(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이 입점해 있다. 북광장에서는 위로 올라가면 대성병원이 있고, 근처에 로얄쇼핑(구 로얄백화점)과 영화관, 웨딩홀, 술집 골목, 모텔이 있는 번화가이다. 왜 이렇게 형성되어 있냐면, 인근에 부천대학교가 있기 때문이다. 소신여객 차고지가 위치한 쪽에는 포장마차와 횟집이 있다. 그 근방에도 여인숙과 모텔이 즐비하다. 특히 심곡동 자체에 모텔촌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이다.
2009년경에는 남부역의 광장 조성 공사가 완료되었고 번화가인 북부역은 2015년부터 공사를 시작하더니, 2016년 여름경에 북부역의 광장 조성 공사가 완료되어 택시 승강장을 밀고 꽤 넓은 광장이 생겼다. 광장 무대에는 간간히 중장년층의 트로트 공연 행사에 이용되고 있다. 평상시에는 노숙자들의 쉼터이다.
북부역의 광장 모습 |
역 부근에 일이 있어서 부천역을 이용해야 한다면, 남부역과 북부역 중 어느 곳에 볼일이 있는지 알아둬야 한다. 부천버스 소속의 88번을 타야 한다든지, 장을 본다든지 하면 남부역으로 나가야 한다. 남부역 오른편에 큰 규모의 재래시장이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천대학교나 중동/상동, 서울 강서구 방면으로 가거나 PC방, 노래방, 오락실, 음식점, 술집, 영화관 등 놀 만한 곳을 찾는다면 북부역으로 나가야 한다. 롯데시네마 부천역(구 잼존), CGV 부천역이 북부역에 있다.
지하상가에는 옷가게가 있는데 부천역 지하상가는 수도권에 사는 젊은이라면 한 번쯤은 와봤을 정도로 꽤나 유명하다. 동묘앞역이 구제 시장으로 유명하다면, 여기는 저렴한 가격의 옷가게가 즐비해 있다. 선하 역사에는 음식점, KFC, CU, 배스킨라빈스가 있고, 1층에는 롯데리아와 부천연세365의원이 있으며 1층과 4층에 약국이 있다. 그리고 4층에는 사진관이 있다. 원래는 부천역에 롯데리아가 2개 위치해 있었으나, 2024년경 부천역EXP점이 폐업하면서 부천역점만 남게 되었다. 부천역EXP점 자리에는 부산미도어묵과 프랭크버거가 들어왔다. GS25 편의점은 세 개 지점이 개설되어 있는데 부천북부역에 두 개, 부천남부역에 한 개가 입점해 있다. 북부역을 등지고 오른편에는 알라딘 중고서점이 입점해 있다.
예전에는 부천역 - 소사역간 모텔촌에서 호객 행위도 많이 일어났지만, 지금은 단속 때문인지 더 이상 호객 행위를 하지 않는다.
2008년 라디오스타에 배우 조한선이 출연해서 경기도 부천시 출신이라 학창시절에 부천역 인근에서 주로 놀았다고 이야기하자, 김구라가 부천역 인근은 1990년대 초반 '전화방의 온상'이라는 발언을 했고, 조한선은 지금도 전화방이 엄청 많다고 함께 맞장구쳤다.
위에서 나와 있듯 승강장에서 지상 3층과 지하 1층 개찰구로 나갈 수 있게 계단이 나뉘어 있으며, 양쪽 다 북부역과 남부역으로 갈 수 있다. 하지만 지하에는 지하상가가 있고, 북부역과 남부역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그 지하상가를 약간 지나가야 하는데, 초행길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역 특성상 길을 헤맬 수 있다. 따라서 지상 3층으로 가는 것이 편하다. 평일에도 꽤 북적이므로 이마트로 가지 않는다면 인근 주민들은 거의 지상 3층으로 가는 편이다.
4번 출구로 내려가면 역사 벽면에 어느 미용실 광고판이 붙어있는데, 광고판에 있는 헤어 모델이 치어리더 서현숙이다.
부천에 BJ들이 많이 살아 아프리카TV 낮방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역인데, 정작 지역 주민들은 크루방송의 소음공해 등 폐해로 인해 BJ들을 반갑게 여기지는 않는다.[5] 2020년 8월 대광장, 2022년 8월 소광장에서 개인방송과 버스킹이 금지되었다.
대한민국 최대의 성지급 오락실 중 하나인 어택이 이곳에서 도보 7~8분 거리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15,606명 | |||
1975년 | 16,221명 | ||||
1976년 | 20,240명 | ||||
1977년 | 30,524명 | ||||
1978년 | 47,784명 | ||||
1979년 | 62,401명 | ||||
1980년 | 64,903명 | ||||
1981년 | 71,486명 | ||||
1982년 | 77,322명 | ||||
1983년 | 98,570명 | ||||
1984년 | 115,412명 | ||||
1985년 | 125,394명 | ||||
1986년 | 132,496명 | ||||
1987년 | 126,756명 | ||||
1988년 | 136,508명 | ||||
1989년 | 146,426명 | ||||
1990년 | 165,692명 | ||||
1991년 | 151,577명 | ||||
1992년 | 152,690명 | ||||
1993년 | 153,688명 | ||||
1994년 | 139,476명 | ||||
1995년 | 139,448명 | ||||
1996년 | 125,150명 | ||||
1997년 | 110,457명 | ||||
1998년 | 93,018명 | ||||
1999년 | 97,704명 | ||||
2000년 | 96,646명 | 비고 | |||
2001년 | 116,119명 | ||||
2002년 | 128,417명 | ||||
2003년 | 131,903명 | ||||
2004년 | 101,083명 | [6] | |||
2005년 | 101,131명 | ||||
2006년 | 100,747명 | ||||
2007년 | 101,329명 | ||||
2008년 | 105,672명 | ||||
2009년 | 105,140명 | }}}}}}}}} | |||
2010년 | 106,695명 | ||||
2011년 | 110,214명 | ||||
2012년 | 105,399명 | ||||
2013년 | 89,787명 | ||||
2014년 | 87,883명 | ||||
2015년 | 86,099명 | ||||
2016년 | 84,520명 | ||||
2017년 | 83,712명 | ||||
2018년 | 81,410명 | ||||
2019년 | 80,411명 | ||||
2020년 | 56,824명 | ||||
2021년 | 56,536명 | ||||
2022년 | 60,462명 | ||||
2023년 | 62,704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1호선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이보다 승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 영등포역, 용산역(경의·중앙선 승객 수 합한 것), 종각역 뿐이며, 코레일이 운영하는 비환승역 중 영등포역에 이은 2위이다. 심지어 단일 노선 기준으로는 수원역(수인·분당선 승객 수 포함)보다도 탑승객이 많다. 이렇게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이유는 역시 부천시의 중심역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부천의 전통적인 중심지로서 현재도 수많은 유흥가가 집결된 주요 번화가이기에 유동인구가 많고, 유흥 목적이 아니더라도 버스로 환승하기 위해 이용하는 사람들 역시 상당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용객 수가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한해 80,000명 초반대의 이용객이 들르는 곳이지만, 원래는 하루에 100,000명이 넘게 타고 내리던 역이었다. 즉 현재보다 대략 20,000~30,000명이 더 부천역을 이용했다는 이야기이다. 출퇴근시간만 되면 승강장부터 대합실까지 발 디딜 틈이 없을 만큼 붐비던 곳이었지만 2012년 7호선이 부평구청역까지 연장개통되면서 길주로 연선에서 전철을 타려고 내려오는 사람들이 대거 빠져나갔다. 이것이 승객 감소에 결정적 영향을 끼쳐서 100,000명대가 바로 붕괴되어 80,000명대까지 내려왔다. 게다가 승하차 인원이 전반적으로 회복한 2019년에도 부천역의 이용객 수는 줄었다.
그런데도 부천역 이용객 수는 여전히 경인선 전체 1위이며, 경기도의 모든 도시철도역 중 수원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수원역은 환승역이기라도 하지만, 부천역은 비환승역이므로, 경기도의 비환승역 중에서는 1위가 된다. 부평역의 경인선 + 인천 1호선 승하차객 수를 합쳐도 부천역의 승하차객에 미치지 못한다. 부평구, 계양구의 경우 인천 시내나 부평 내부에서 일을 보는 일이 부천보다 많다. 즉, 시외로 나갈 만한 일 자체가 부천보다 적으며, 서울로 간다고 했을 때의 대체 노선도 공항철도, 7호선으로 부천역보다 하나가 더 많다.
1번 출구 |
부천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7호선의 신중동역과 부천시청역으로 많이 분산됐지만 7호선 개통 후에도 계속 부천역을 이용하는 중동신도시 주민도 적지 않다. 버스로 부천시내 각지에서 접근이 편리하고 특급/급행열차도 운행되고 있어서 서울 영등포나 강북에 갈 때는 경인선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 강남으로는 노량진역이나 신도림역에서 갈아타는 것보다 7호선이 더 편리할 때도 있다.
5. 승강장
1호선 승강장 |
역명판 |
↑ 소사 | ↑ 역곡 | 소사 ↓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ㅣ |
↑ 중동 | 송내 ↓ | 중동 ↓ |
1 | 1호선 | 완행 | 구로·광운대·연천 방면 |
2 | 급행 특급 | 역곡·구로·용산 방면 | |
3 | 급행 특급 | 부평·주안·동인천 방면 | |
4 | 완행 | 부평·주안·인천 방면 |
6. 사건 사고
- 2015년 9월 16일 오후 2:36분 경, 부평역 인근의 빌라 건설현장 크레인이 선로 방향으로 넘어지면서 전차선이 단전되는 사고[7]가 일어나 양방향 열차의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이로써 1호선 경인선은 복구될 때까지 일반열차는 부천역까지만, 급행열차는 구로역까지만 운행되었고, 구로급행은 급행의 의미가 없으므로 급행을 타는 게 손해였으며, 퇴근길에는 극도로 혼잡했다. 이로 인해 몇몇 인천 시내버스 노선들이 비상 수송대책으로 부천역, 소사역까지 운행하는 진풍경을 보였다.
- 2020년 2월 27일, 오전 6시 50분 즈음에 부천역과 중동역 사이의 선로 옆을 걷던 10대 후반의 남성이 인천행 전동차에 치여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날 인천 방향 전동차 운행이 1시간 넘게 지연돼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사고 발생 약 1시간 뒤인 7시 45분에 수습이 완료되어 열차운행이 재개됐다.[8]
- 2023년 6월 5일 새벽 즈음 부천 유튜버 포크 피습 사건이 일어났다.
- 2024년 9월 21일 오전 7시 58분 즈음에 부천역 인근에 있는 육교에서 20대 남성 A씨가 선로로 투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운행이 일시적으로 지연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이 사고로 A씨가 다리를 다쳐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포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 개봉역, 오류동역, 온수역, 역곡역, 소사역, 부천역, 중동역(KN), 송내역과 서해철도 업무위탁역 7개(소사역, 소새울역, 시흥대야역, 신천역, 신현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를 관할한다.[2] 몇 안 되는 운전취급을 하지 않는 역이다.[3] 땜질된 중동역 글씨 아래에 희미하게 Songnae가 보인다.[4] 한국철도공사 > 사규 > 열차운전시행세칙, 2013년 4월 26일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별표 부분을 클릭한 뒤 'TXT로 보기'를 선택하면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볼 수 없다(2023년 7월 5일에 확인함).[5]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6] 여기까지는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7] 「크레인 2대 넘어져 동인천∼부천역 전철 운행 중단」, 연합뉴스, 2015-09-16[8] 「지하철1호선 부천역 인근서 10대 전동차 치여 사망(종합2보)」, 연합뉴스,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