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3:41:48

민청학련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bgcolor=#ffffff,#1c1d1f> {{{#!wiki style="min-height: 28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정부 연도 민주화운동 지역
제1공화국
[[이승만 정부|
이승만 정부
]]
1959년 보안법 반대 시위 대구
1960년 2.28 학생민주의거 대구
3.8 민주의거 대전
3.15 의거 경남
3·17 민주의거 서울
4.19 혁명U, M 전국
제2공화국
[[장면 내각|
장면 내각
]]
1961년 2대악법 반대투쟁P 전국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1964년 6.3 항쟁M 서울
1965년 한일협정 반대투쟁
1969년 3선 개헌 반대운동 전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
]]
1973년 유신헌법 반대운동M 전국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서울
1979년 부마민주항쟁M 부산·마산
제4공화국
[[최규하 정부|
최규하 정부
]]
YWCA 시국 선언M 서울
1980년 서울의 봄M 서울
5.18 민주화운동U, M 광주·전남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
전두환 정부
]]
1984년 민정당사 점거투쟁 서울
1985년 지하학생운동 서울
1986년 인천 5.3 민주항쟁P 인천
10.28 건국대학교 항쟁P 서울
1987년 6월 항쟁 전국
노동자 대투쟁P 전국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
]]
1991년 분신정국P 전국
U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M 계엄 상황 하 민주화운동
P 혁신 계열 활동
}}}}}}}}}

<keepall>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35b38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835b38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835b38><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3공) · 인사(4공) · 통일주체국민회의
여당 민주공화당
연립여당 유신정우회
정책 및 방향 제1~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중화학공업화 · 수출주도산업화 · 한강의 기적 · 남동임해공업 벨트 · 녹화사업 · 그린벨트 · 새마을운동 · 관치금융 · 관선임명제 · 국민교육헌장 · 중·고교 평준화 · 특성화 학과 · 국토건설단 ·경부고속도로 · 1기 지하철 계획 · 전원개발계획 · 농어촌 전화 사업 · 고리원자력본부 · 승압 사업 · 한일수교 · 한미행정협정 · 파독 근로자 · 중동 건설 · 베트남 파병 · 혼분식 장려 운동 · 통일미 · 율곡사업 · 핵무장 · 향토예비군 · 주민등록증 · 재형저축 · 한글전용 ·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 부가가치세 · 백지계획 · 강남 개발 · 산아제한 · 서산개척단 · 선감학원 · 형제복지원 · 서울시립갱생원 · 대구 희망원 · 덕성원 · 성혜원 · 미군 위안부 · 컬러TV 송출 금지 · 금지곡 · 판금도서 종용제 · 장발, 미니스커트 단속 · 만화 검열제 · 긴급조치 · 군가산점 · 이중배상금지 · 국가모독죄 · 교련 · 방위세 · 방위병
평가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 외교 · 안보·국방
타임라인
대한민국 제2공화국: 박정희 군정
1961년 5.16 군사정변 · 국가재건최고회의 설립 · 혁명공약 및 포고령 · 혁명재판 · 반공법 · 전국 18개 학군단 창설 · 수도방위사령부 창설 · 서울시립갱생원 설립 · 농어촌고리채법 · 은행국유화(금융기관에 대한 임시조치법) · 경제기획원 설립 · 중앙정보부 창설 · 한국전력주식회사 창설 · 건설부 산하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안 발표 · 농업협동조합 창설 · 8.12 성명(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계획 발표) ·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 · 연호에 관한 법률 개정
1962년 서력기원 사용 · 문화재보호법 제정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울산공업센터 지정 · 주민등록법 제정 · 화폐개혁 · 4대 의혹 사건 · 마포아파트 준공 · 김종필-오히라 메모 · 대한항공공사 설립 · 5차 개헌 공포 · 제1차 국민투표
1963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발족 · 민주공화당 창당 · 8.15 계획서 · 3.16 성명(박정희 의장 민정이양 거부 및 군정연장 발표) · 군정연장반대운동 · 감사원 개원 · 박정희 의장 군정연장 철회 · 의정부역-능곡역 구간 교외선 개통 · 서울 대확장 · 부산 직할시 승격 · 박정희 의장 전역 후 민주공화당 입당 및 대선후보 지명수락 · 삼양라면 출시 · 서울가정법원 개원 ·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구로공단 조성 · 황태성 사건 · 의료보험법 제정
대한민국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1-3기
1963년 박정희 정부 출범 ·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 파독 근로자 파견
1964년 미터법 실시 · 삼분폭리사건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보완계획안 발표 · 부산화력발전소 준공 · 24시간 무제한송전 실시 · 울산정유공장 준공 ·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 6.3 항쟁 · 베트남 전쟁 파병안 통과 · 제1차 인민혁명당 사건 · 무즙 파동 · 서독 공식 방문 · 국가기술자격 시행
1965년 한국독립당 내란 음모 사건 · 독도 밀약 · 수출제일주의 표방 · 제2한강교 준공 · 춘천댐 준공 · 광복회 발족 · F-5 20대 도입 · 원충연 반혁명 사건 · 한일기본조약 조인(한일협정 반대투쟁) · 전매청 신탄진공장 준공 · 야당 불참 속 한일협정 비준 및 베트남 전쟁 파병 동의안 가결 · 베트남 전쟁 1개 전투사단 파병 · 이승만 대통령 서거 · 한국해외개발공사 발족 · 농어촌 전화 사업 추진
1966년 KIST 설립 · 국세청 발족 · 장면 총리 별세 · 태릉선수촌 설립 · 한미행정협정 조인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 국회 오물 투척 사건 · 사카린 밀수 사건
1967년 산림청 개청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 한국외환은행 발족 · 대도시 그린벨트 설정 · 짜빈동 전투 · GATT 가입 · 과학기술처 신설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동백림 사건 ·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설립 · 지리산국립공원 지정 · 정부종합청사 착공
1968년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684부대 창설 · 서울사범대학 독서회 사건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설립 · 향토예비군 창설 · 주민등록법 개정 · 통일혁명당 사건 · 만화 검열제 · 육군3사관학교 창설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주민등록증 발급 실시 · 국민교육헌장 발표 ·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오산 구간 개통 · 경인고속도로 개통
1969년 교련 과목 개설 · 한국도로공사 발족 · 가정의례준칙 · 서울 중학교 무시험 제도 · 금화시민아파트 준공 · 경부고속도로 오산-천안-대전 구간 개통 · 호남정유 여수공장 준공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MBC 개국 · 3선 개헌 · 제2차 국민투표 · 제3한강교 개통 · 울산고속도로 개통 · 경부고속도로 대구-부산 구간 개통
1970년 정인숙 살해사건 ·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고 · 포항종합제철소 착공 · 새마을운동 제창 · 우편번호제 도입 · 경부고속도로 대전-대구 구간 개통 (완공) · 호남고속도로 대전-전주 구간 개통 · 백원 주화 발행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병무청 설립 · 모산 수학여행 참사 · 전태일 분신 사건 · 번개사업 · 남영호 침몰사고 · 4대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 확정 · 정부종합청사 개청
1971년 전국 중입시험 폐지 ·대한항공 F27기 납북 미수 사건 · 고리 원자력 발전소 기공 · KAIS 설립 · 주한미군 7사단 철수 · 제7대 대통령 선거 · 진산 파동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무령왕릉 발굴 · 광주대단지 사건 · 브레튼우즈 체제 종료 · 실미도 사건 · 제1차 국토종합계획 발표 · 10.2 항명 파동 · 통일로 개통 · 영동고속도로 신갈-새말 구간 개통 · 대연각호텔 화재
1972년 정병섭 군 자살 사건 · 경주고도개발 10개년 계획 확정 · 7.4 남북 공동 성명 · 통일미 개발 · 8.3 사채 동결 조치 ·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 · 10월 유신 · 박정희 정부의 홀치기 특허 포기 강요 사건 · 울산석유화학단지 준공 · 제3차 국민투표 · 통일주체국민회의 발족 · 제7차 개헌 ·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 금오공업고등학교 설립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4-5기
1973년 중화학공업화 선언 ·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추진 · 남서울아파트 분양 · 장발 및 미니스커트 단속 · 승압사업 개시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KBS 설립 · 베트남 전쟁 종전 · 유신정우회 창립 · 윤필용 사건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 ·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 · 1973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화전민정리 5개년 계획 수립 · 포항종합제철소 준공 · 대덕연구단지 착공 · 불국사 복원공사 준공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 김대중 납치 사건 · 소양강댐 준공 · 제1차 오일쇼크 ·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 낙검자 수용소 설립 · 태백선 고한-황지 구간 개통(완공) · 호남고속도로 전주-순천 구간, 담양지선 개통(완공) · 남해고속도로 개통 · 친아랍 성명 4개 조항 발표
1974년 율곡사업 추진 · 긴급조치 1·2호 선포 · 긴급조치 3호 · 현대울산조선소 제1호선 진수 · YTL30호 침몰 사건 · 창원, 여천, 옥포, 죽도, 통영, 여천 산업기지개발구역 최종선정 및 개발 계획 발표 · 서울/부산 고등학교 평준화 첫 실시 · 창원국가산업단지 조성 · 민청학련 사건 · 긴급조치 4호 선포 · 팔당댐 준공 · 속초해전 · 제2차 인민혁명당 사건 ·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새마을호 운행 시작 · 긴급조치 1·4호 해제 · 현대조선폭동사건 · 대왕코너 화재사고 · 주안국가산업단지 준공 ·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1975년 제4차 국민투표 · 한강 이북지역 택지개발금지조치 · 핵확산금지조약 비준 · 민방위 결성 · 긴급조치 7호 선포 ·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사형 집행 · 김상진 할복 사건 · 종합무역상사 제도 실시 · 여의도 국회의사당 준공 · 영동고속도로 새말-강릉 구간 개통(완공) · 동해고속도로 개통 · 여천석유화학단지 기공 · 학원 침투 간첩단 사건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장 · 1975 서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 형제복지원 설립 · 장준하 의문사 사건
1976년 포항 석유 발견 사건 ·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한독맥주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 ·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한국수출입은행 발족 · 잠수교 개통 · 국산자동차 현대 포니 첫 수출 · 코리아게이트 · 안동댐 준공 · 함평 고구마 사건 · 직업훈련기본법 제정
1977년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백지계획 발표 · 박흥숙 살인사건 · 월성 원자력 발전소 기공 ·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가동 · 의료보험 시행 · 부가가치세 시행 · 남해화학 여수공장 완공 · 반국가행위자의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 구마고속도로 개통 · 이리역 폭발사고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 발족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여천석유화학단지 준공 ·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 · 제9대 대통령 선거 · 8.8 조치 시행 · 백곰 미사일 발사 성공 · 자연보호헌장 선포 ·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9년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설립인가 · 서울 지하철 2호선 착공 · 정부 제2청사 착공 · 보문관광단지 개장 · 고리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 착공 · 2차 오일 쇼크 · YH 사건 · 성수대교 개통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형욱 실종 사건 · 부마항쟁 · 삽교천방조제 준공 · 10.26 사건 ·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서울의 봄 · YWCA 위장결혼식 사건 · 12.12 군사반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참고
}}}}}}}}}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502444_STD.jpg
1974년 4월 3일 유신정권이 발표한 민청학련 사건 명단
파일:Mincheonghakryon.jpg
민청학련 사건 조직 체계도[1]

1. 개요2. 배경3. 전개4. 평가5. 관련 인물6. 참고 자료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전국민주청소년학생총연맹과 이에 관련되는 제 단체(이하"단체"라 한다)를 조직 하거나 또는 이에 가입하거나, 그 구성원과 회합, 또는 통신 기타 방법으로 연락하거나, 그 구성원의 잠복, 회합·연락 그밖의 활동을 위하여 장소·물건·금품 기타의 편의를 제공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단체나 구성원의 활동에 직접 또는 간접오로로 관여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 대통령 긴급조치 제4호, 1974년 4월 3일 시행, 제정.

1. 개요

제4공화국 유신정권에서 선포한 '긴급조치 4호'에 의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을 중심으로 180명이 구속, 기소된 사건.

그 실체는 박정희 유신독재 정권이 반독재 민주화 운동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서 고문과 강압수사를 통해서 조작해낸 것으로 한국 현대사 최대의 비극 중 하나로 기록된 사법살인사건이다.

2. 배경

1972년 10월 박정희는 장기집권을 위해서 전격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10월 유신이라는 친위 쿠데타를 결행하였다. 반(反)유신체제 움직임은 여기저기서 나타났지만 사회적 공포 분위기에 누구도 쉽사리 나서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 사건으로 국내외 여론이 크게 자극받으면서 반(反)유신체제 운동이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김대중 납치 사건의 영향으로 대학생들은 '10월 유신 이후 첫 시위'로 회자되는 10.2 시위를 일으켰고 점차 반독재·반체제 슬로건까지 내걸었다.[2] 이에 더해 장준하, 백기완, 함석헌, 지학순, 윤보선 등 지식인·종교인과 야당 인사들도 민주헌정 회복을 요구하고 정권의 인권 탄압을 규탄하면서 '100만인 개헌서명운동'에 들어갔다.

1974년 1월 8일 박정희 정권은 반유신운동을 탄압하기 위해서 긴급조치 1, 2호를 각각 공포하여 일체의 개헌 논의를 금지시켰다. 하지만 대학생들의 저항은 지하신문 발행, 동맹휴학 등 음성적인 방법으로 계속해서 진행되었으며 나아가 계속해서 지식인들은 시국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비밀리에 개헌서명운동이 꾸준히 전개되었다.

3. 전개


대한뉴스 1974년 <민청학련 수사 발표> 보도.

1974년 4월 3일 박정희 정부는 “반체제운동을 조사한 바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이라는 불법단체가 불순세력의 조종을 받고 있었다는 확증을 포착했다”고 발표하면서 긴급조치 제4호를 발동해 대학생들의 수업거부와 집단행동을 일절 금지시켰다.

중앙정보부는 대부분 대학생이었던 유신헌법 위반자 1024명을 조사했고 이들 중 비상군법회의[3] 검찰부가 180명을 구속기소했다. 이때 구속된 사람들 가운데 윤보선 전 대통령, 원주교구지학순 다니엘 주교, 한국기독교장로회 서울제일교회의 박형규 목사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민청학련 주도자로 지목되어 구속된 학생들을 색깔론만으로는 처벌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는지 추가로 '민청학련의 배후로 조종한 인민혁명당 세력이 있었다'며 '인혁당 재건위 사건'을 조작했다. 그리하여 인혁당 재건위 사건 관련자들이 민청학련에 지시를 내린 것처럼 무리하게 묶어 조작해낸 것. 추가로 인혁당 재건위 사건으로 73명이 구속되면서 총 구속자는 253명이 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구속된 이들을 상대로 물고문과 전기고문 등 갖가지 고문을 통해 강제로 자백을 받아냈다. 민청학련 사건에 엮여서 구속된 180명은 비상군법회의에 넘겨졌지만 재판 과정도 처음부터 엉터리였다. 정보부에서 폭력혁명의 증거로 제시한 것은 쓰지도 않은 화염병 몇 개뿐일 정도로 반체제세력의 국가변란 사건이라는 처음의 발표와는 달리 엉성했다.

그러나 긴급조치 2호로 설치된 비상군법회의는 중앙정보부의 기소 내용을 모두 인정해서 민청학련의 지도부로 조작된 6명한테는 사형, 주모자급은 무기징역, 나머지 피고인들한테는 최고 징역 20년에서 집행유예까지 선고하였다. 참고로 비상군법회의(제1심인 비상보통군법회의와 항소심인 비상고등군법회의)의 각 심판부는 재판장으로 국군현역장관급장교 1인, 법무사로 군법무관 1인, 심판관으로 국군현역장관급장교 1인과 판사, 검사 또는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 2인 등 5인의 재판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법원 1975. 4. 8., 선고, 74도3323, 판결

하지만 이에 대해 국내외의 비난이 커지면서 박정희 정권은 1974년 8월 23일 전격적으로 긴급조치 1호, 4호를 해제했다. 그리고 다음해인 1975년 2월 15일 대통령 특별조치를 통해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들의 대부분을 석방하였다. 주모자로 몰려서 사형을 선고받았던 이들은 계속 수감돼 있었지만 그들도 얼마 안 가서 전부 석방되었다.

4. 평가

학생들이 유신체제에 반대하기 위해 전국 각 대학, 재야 세력, 종교세력 등과 조직적인 연결을 해나가자 유신정권이 이를 철저히 차단하고 탄압하기 위해서 민주화운동가들을 용공세력으로 몰아넣어 처벌한 유신 최대의 조작극이다. 국가 권력에 의해 무자비한 고문이 가해진 인권 탄압 사건이기도 하다.

일단 사건의 이름이 된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란 단체부터가 중앙정보부가 만들어낸 허구인데 이게 이 사건의 최대 특징이자 정권의 무리수였다. 이전까지 독재정권의 민주화 운동 탄압을 보면 독자적인 민주화 운동 단체를 북한과 어거지로 연결시켜서 간첩단으로 만들거나 단순한 학습 모임을 반체체 혁명 조직으로 부풀리는 식으로 어느 정도 실체가 있는 조직을 가지고 조작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그런데 이 사건은 중앙정보부가 아예 존재도 하지 않는 조직을 만들어 놓고 거기에 사람들을 끼워맞추는 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소설을 썼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유죄 판결을 받아내기 위해서 가혹한 고문으로 강제로 자백을 받아내는 수밖에 없었다. 증거라고는 고문으로 받아낸 자백과 견강부회식으로 갖다 맞춘 허술한 것 몇가지뿐. 무리수가 잇따르자 정권은 반공반북 이데올로기로 비판을 봉쇄하기 위해서 인혁당 재건위 사건 조작이란 더한 무리수까지 연타로 두었다. 그리고 이런 무리수에 굳이 반독재 의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도 반발할 수밖에 없었고 국내외의 비난이 쏟아지면서 오히려 정권이 국내외적으로 사면초가에 몰리는 결과가 되었다.

이런 허술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군사독재 정권의 통제 하에 있던 법원은 기소된 사람 모두에게 중형을 선고하였다. 이철, 유인태, 김지하 등 사형 7명, 무기징역 7명, 징역 20년 12명, 징역 15년 6명 등 기소자들의 형량 합계는 무려 1650년이었다. 이때 법원은 검찰의 최종구형과 한 치도 틀리지 않게 그대로 판결을 내려서 '정찰제 판결'이란 비아냥까지 들었다. 그야말로 대한민국 사법부의 흑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건 자체는 박정희의 첫 발표, 그리고 중형 선고와는 달리 완전히 용두사미로 끝나서 사형수 이철, 유인태를 시작으로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 전원이 3년 이내에 석방되었다. 반체제 국가변란 사범으로 몰아서 사형, 무기징역, 징역 20년 이상을 선고했던 중범죄자들을 고작 3년만에 풀어주는 나라가 세상에 어디 있나? 이건 민청학련 사건이 처음부터 끝까지 조작이었기 때문에 정권에서 부담을 느껴서 할 수 없이 내보낸 것이다.

또 사법역사상으로도 엄청난 흑역사인데 국내 최초로 재판 중에 변호사가 구속된 사건이기 때문이다. 1974년 7월 9일 민청학련 사건 결심 공판에서 강신옥 변호사가 변론을 하던 도중 재판이 갑자기 휴정되더니 중앙정보부 요원들이 강신옥, 홍성우 변호사를 무작정 연행해간 것이다. 결국 강신옥 변호사는 긴급조치 4호 위반, 법정모독죄로 구속되었고 이에 격분한 동료 변호사 99명이 대규모 변호인단을 결성해서 재판에 임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4]

박정희 유신정권이 민주화 운동 세력을 일망타진하고자 무려 1024명을 수사하고 253명을 저인망식으로 싹쓸어서 구속했기 때문에 훗날의 유명인사들 상당수가 여기에 관련되어 있다. 정치권, 언론, 학계, 종교(특히 정의구현사제단 소속의 천주교 사제, NCCK 소속의 개신교 목회자), 시민운동, 노동운동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인사들의 프로필을 보면 '민청학련 사건 구속'이라는 항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철 전 국회의원의 증언에 의하면 민청학련 사건이 발생한 후 김재규는 자신의 선산학교 후배인 고교 교사에게 "민청학련 사건의 관련자들은 의로운 일을 한 사람들이며 공산주의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말하면서 이런 무고한 사람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붙이는 박정희에게 분개하였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이후 10.26 사건을 촉발하여 피고인이 된 김재규의 변호인이 민청학련 사건의 변호를 담당했던 강신옥 변호사였다.

민청학련 사건 관계자들은 2004년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및보상심의위원회(민보상위, 위원장 변정수)에서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인정받았다.

2022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당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던 이들의 처분을 취소했다.중앙지검 발표자료, 민청학련 사건 관련 기소유예 처분을 바로잡아 혐의없음 처분을 하였습니다.

5. 관련 인물

윤보선, 종교계 인물 등을 제외하면 사건이 사건인 만큼 상당수의 인물들이 참여정부 즈음에 데뷔했거나 요직에 중용되었다.

6. 참고 자료

  • 『사법살인 1975년 4월의 학살』
  • 『실록 민청학련』
  • 『한국민주화운동사(2권)』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이해찬투명.svg이해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52484,#008ccd> 일생 생애 및 정치경력
비판과 논란 비판과 논란 · 부초서천 · 이해찬 사케 오찬 논란
사건사고 민청학련 사건 · 서울의 봄
기타 여담 · 이해찬 세대
}}}}}}}}} ||

[1] 민청학련 위에 인민당(인혁당) 재건위가 지하당 세력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고 보고 있다. 잘 보면 맨 왼쪽에 조총련일본공산당까지 엮었다.[2] 이 당시 주요 인물이 이철, 유인태, 나병식 등이다.[3] 민간인을 군법회의에서 다룬다는 것 자체가 유신정권의 군사정부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당시 정권은 유신헌법을 "한국적 민주주의"라고 강변했지만.[4] 덤으로 같은 해(3개월 후)에는 법정에서 피고가 원고측 인사를 살해하는 사건도 터졌다.[5] 1954년 전라도 광주 출생. 서울대 불문과에 72학번으로 입학한 후 유신 반대 운동 중 1974년 해당 사건에 연루돼 내란음모와 긴급조치 위반 혐의로 징역 10개월을 선고받아 징역살이를 하고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조치로 이듬해 2월 석방됐다. 그리고 1975년에 제적됐고 1986년이 되어서야 복학하여 이듬해에 졸업했다. 장장 15년이 걸린 셈.# 해당 사건은 재심을 통해 2011년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2019년 2월에 정년퇴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