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나들목 大田 나들목 Daejeon Interchange | ||
대전 요금소 Daejeon Tollgate | ||
부산 방면 비룡JC ← 3.5 km | 경부선30 | 서울 방면 회덕JC (공사중) 6 km → |
주소 | ||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송촌동 | ||
관리기관 | ||
경부선 | 한국도로공사 대전충남본부 대전지사 | |
개통 | ||
1969년 12월 10일 | ||
접속도로 | ||
동서대로 |
[clearfix]
1. 개요
경부고속도로 30번.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송촌동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대전광역시에서 유래했다. 톨게이트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서대로 1855 (송촌동 579-2)에 소재하고 있다.대전복합터미널에 도착하거나, 대전복합터미널에서 타 지역으로 출발하는 고속/시외버스가 이 나들목을 이용하며, 해당 나들목을 나와서 '동부네거리'라는 큰 사거리 하나만 지나면 바로 대전복합터미널이 나온다.[1]
2. 구조
2.1. 부산 방향
2.2. 서울 방향
3. 역사
- 1968년 4월 3일 수요일 - 경부고속도로 대전IC ~ 수원신갈IC 4차로(서울)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 대전광역시 최초의 고속도로 착공이었다.
- 1969년 12월 10일 수요일 - 경부고속도로 대전IC ~ 천안IC 4차로(서울) 구간과 함께 대전광역시 최초의 나들목으로 개통됐다.
- 1970년 7월 7일 화요일 - 경부고속도로 동대구JC 4차로(서울) 구간 연장으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 1995년 12월 - 경부고속도로 비룡JC ~ 회덕JC 2차로(부산) 구간 확장 공사가 시작됐다.
- 1997년 9월 13일 토요일 00:00[2]
- 1997년 9월 22일 월요일 00:00 - 임시확장 기간이 끝나 부산 방향 도로가 도로 닫히며 4차로로 원상복구.
- 1999년 6월 30일 월요일 10:00[3]
- 1999년 9월 6일 월요일 12:00[4]
4. 특징
- 울산 나들목과 함께 방위명이 붙지 않은 2개 뿐인 광역시 이름으로만 된 나들목이다. 부산, 대구는 아예 없고, 광주 나들목은 광주광역시가 아닌 경기도 광주시에 있으며, 경인고속도로 인천 나들목은 있었지만, 해당 구간이 일반도로인 인천대로로 변경되었다.[5]
- 대전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나들목이다.
- 1969년 12월 10일 경부고속도로 천안 ~ 대전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곳은 나병환자촌이었다고 한다.
- 이 나들목 인근에 대전복합터미널, 비래동 시내버스 종점, 한국도로공사 대전지사가 있다.
- 경부고속도로는 고속도로 거리기준표에 표시된 서울, 대전, 대구, 부산으로 4가지 주요 도시들이 표시가 되는데, 대전의 기준점이 바로 이 나들목이다. 이 나들목에서 서울 방향으로 진행하면 거리기준 표지판이 서울로 바뀌며, 부산 방향으로 진행하면 표지판이 대구로 바뀌게 된다. 하지만 부산 방향으로는 남청주 나들목 부터 대구를 표시한다. 또한 서울 방향으로는 금강 나들목부터 서울을 표시한다.
- 고속도로 35호선 이정표에는 동서울, 대전, 무주, 함양, 진주, 통영의 6가지 주요도시들이 표기되는데, 중부고속도로에서 거리기준표에서 대전의 기준점이 이 나들목이다. 통영 방향은 이 나들목에서 부산 방향으로 진행하고, 비룡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진입한 뒤 산내 분기점에서 다시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통영 방향으로 이동하면 거리기준 표지판이 무주로 바뀌게 되고 동서울 방향은 서울 방향으로 진행하고, 남이 분기점에서 중부고속도로로 하남 방향으로 진입을 하면 동서울로 표시가 된다. 통영대전고속도로에서는 대전의 기준점이 비룡 분기점이다.
- 나들목 아래에 대전IC지하차도라는 지하차도를 뚫어 놓았다. 이 대전IC지하차도는 한국도로공사 대전본부의 입구로 사용되며 대전IC로 잘못 들어온 차량을 다시 시내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한 역할도 하고 있다. 반대로 골목길을 통해 이 지하차도로 들어와 대전IC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한데 주의할 점은 지하차도를 지나면 유턴하여 대전IC로 진입해야 하는데 이 때 역주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노포JC() - - 양산JC() - - - - 서울주JC() - - 언양JC() - - - - - - - 영천JC() - - - - - - 도동JC()1 - - - 칠곡JC() - - - - - - - 김천JC() - - - - - - - - - - - - - - - - 죽암SA2 - - 청주JC()2 - 남이JC() - - - 옥산JC()3 - - - - - - - - - - 안성SA부산방향 - 안성JC() - 안성SA서울방향 - - - 동탄JC() - - - - - 신갈JC() - - - - 판교JC() - - 금토JC() - - - | ||
1: 중앙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2: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3: 당진청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1] 단 전주, 광주 노선은 정부청사를 경유한 뒤 호남고속도로지선 유성IC로 진입한다.[2] 추석연휴때 고속도로 일부구간 임시개통 연합뉴스 970903[3] 경부고속도로 회덕-대전간 확장 조기개통 연합뉴스 990629[4] 경부고속도 회덕-비룡 확장선 6일 개통 연합뉴스 990903[5] 반면 광역시 이름으로만 된 요금소는 대구에만 없다.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 상행선 한정으로 있었지만,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철거 및 폐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