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22:43:07

서울시립갱생원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의 국가폭력 사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구한말~해방기
(1941~1982)선감학원A C / (1946)대구 10.1 사건R M / (1947~1954)제주 4.3 사건R M
1공화국기
(1948)여수·순천 10.19 사건R M / (1949)문경 양민 학살사건M / (1950)국군의 형무소 재소자 학살M / (1950)대전형무소 학살 사건M / (1950)보도연맹 학살 사건M / (1950)경산 코발트광산 학살 사건M / (1950)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M / (1950)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M / (1950~1951)국민방위군 사건D / (1951)거창 양민 학살사건M / (1950~1953)한국군 위안부 / (1951~1996)한국정부의 위안부(양공주) / (1952~2000)덕성원A C / (1958)진보당 사건F P / (1958~1975)서울시립아동보호소 사건A C /(1958~2016)대구 희망원A C / (1958~1998)양지원A C
3공화국기
(1960~)신안 염전 노예 문제 A C / (1960~)영호남 섬노예 문제 A C / (1961)대한청소년개척단(일명 서산개척단) A C / (1961)서울시립갱생원 사건 / (1962)국토건설단 사건 / (1964)인민혁명당 사건F / (1964~1972)홀치기 특허 포기 강요 사건A F / (1968)국민교육헌장E / (1969)교련E / (1969)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P / (1971)실미도 사건D
4공화국기
(1972)긴급조치 / (1973)동림호 사건F T / (1973)김대중 납치 사건A P / (1973) 장애인 강제 불임 수술(모자보건법 의거) / (1974)민청학련 사건F 인혁당 재건위 사건F / (1974~1997)장항 수심원 사건A C / (1975)금지곡대마초 파동 H / (1975~1987)부산 형제복지원 사건A C / (1979)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P / (1979)YH 사건L R / (1979)YWCA 위장결혼식 사건P T / (1980)사북사건L R / (1980)5.18 민주화운동/학살R M S / (1980)언론통폐합S / (1980)삼청교육대A C / (1980)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F P / (1980)10.27 법난P
5공화국기
보도지침S / 폭력성 만화영화 금지 정책H S / (1981~1983)녹화사업A D E F / (1981)학림 사건F / (1981)부림사건F / (1981)아람회 사건F / (1981)무림파천황 사건S H / (1982)오송회 사건F T /(1985)국제그룹 해체 사건P / (1985)서울대학교 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F / (1986)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T / (1986)유성환 국시론 파동P / (1987)박종철 고문치사 사건T / (1987)수지 김 간첩 조작 사건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6공화국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노태우 정부 (1991)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F / (1992)즐거운 사라 사건S H
국민의 정부 (2002)서울지검 고문치사 사건T
참여정부 (2006)대추리 사태R
이명박 정부 (2008)정연주 KBS 사장 불법 해임 논란P / (2009)용산 참사R / 이명박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블랙리스트S / (2010)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P /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T / (2011)윤종오의 코스트코 불법 입점반려 사건 / (2012)박정근 사건S / (2013)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F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2015)백남기 사망 사건R / (2017)계엄 시행 계획 문건 작성 논란A R P
문재인 정부 (2018)문재인 정부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S / (2019)탈북 어민 강제 북송 논란A / (2020)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F
윤석열 정부 (2022)윤석열 욕설 파동 이후 언론탄압 논란S 문체부의 '윤석열차' 엄중경고 논란H S 문화방송 취재기자단 대통령전용기 탑승 불허 사건S / (2024)강성희 진보당 의원 강제 퇴장 사건P 김선재 진보당 예비후보 강제 퇴거 사건P 한국과학기술원 학위수여식 졸업생 강제 퇴장 사건P 화성동탄경찰서 성범죄 누명 사건F 검찰의 정치인 및 언론 사찰 논란P S 12.3 비상계엄A D R P S
}}}}}}}}} ||
<colbgcolor=#7C0000,#7C0000><colcolor=#fff> A: 납치, C: 강제수용, D: 군대 관련, E: 교육 관련, F: 누명, L: 노동 관련, M: 민간인 학살, R: 폭동적 시위진압, P: 정치탄압, S: 검열, T: 고문, H: 대중문화 관련
※ 여러 시대에 걸친 경우 시작 시점이 기준.
※ 3공화국기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를 포함.
}}}}}}}}}

<colcolor=#fff> 서울시립갱생원
<nopad> 파일:서울시립갱생원.jpg
<nopad>
<colbgcolor=#bc002d> 발생일 1961년~1981년(?)
발생 위치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유형 강제 수용소, 강제노동, 폭행, 성폭행
원인 군사정권의 장애인부랑아, 노숙자 수용
인명피해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사망 최소 1000명[1]
실종 불명
부상 최대 1,900여 명

1. 개요2. 상세3. 관련 자료 및 언론 보도4. 유사 사례

1. 개요


1961년 6월에 세워진 부랑인 갱생시설이나 당시 실상은 강제 수용소로, 현 시립은평의마을의 뿌리. 초기에는 중구 주자동에 있다가 10월 현 위치인 은평구 구산동으로 옮겼다.

박정희 정권 시절 '거리 정화'라는 명목으로 부랑자들을 강제로 수용한다며 최소 수백 명을 학살한 곳이다. 이런 곳이 늘 그렇듯이 부랑자가 아닌데도 끌려가서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경찰이 할당량을 채우고 실적을 올리려고 마구잡이로 잡아갔기 때문이다.

2020년에야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으며, 2024년에 진실화해위원회는 갱생원 사건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과 동일한 유형의 사건으로 규정했다. 즉 서울판 형제복지원인 셈이다. 언론에서는 대구시립희망원, 충남 천성원, 경기 성혜원 등과 함께 제2의 형제복지원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의 수감자들은 매일을 강제노동에 시달리다가 제대로 먹지 못해 굶어 죽었다. 그러면 아침에 '파란 열 십자'가 그려진 탑차가 와서 실어갔다고 한다.

2. 상세



당시 서울시청에 근무하던 공무원에게 자초지종을 물어보니 '부랑인들이 많이 다니면 외국인들한테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고 해서 '어디 시설을 만들고 사람들을 강제로 수용을 하자'는 목적에서 운영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1963년 기준으로 수용자의 약 75%가 원래 직업이 있다고 답했고 54%는 갑자기 경찰이 끌고 왔다고 답했다. 노숙이나 부랑 여부와는 관계없이 그냥 할당량을 채우려고 끌려온 것이다.[2] 경찰들은 부모가 있는 아이도 마구 납치했다. 겨우 시설에서 탈출해 사실을 폭로하려고 해도 다시 잡혀왔다고 한다. 그리고 무의탁 중환자들도 시에 의해 강제 수용되어 열악한 의료 상황 속에서 제대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죽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를 검색해보면 당시에도 서울시립갱생원의 열악한 시설과 높은 사망률이 언론에도 오르내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제복지원 강제 입소의 법적 근거가 된 내무부 훈령 제410호가 발표된 1975년보다 훨씬 이전인 60년대부터 벌어진 일이다.

때문에 1967년 5월 29일에는 원생 100여명이 집단탈원하기도 했다.

2021년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립갱생원에서의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적극적으로 보상하겠다고 밝혔지만 2024년까지 서울시 차원의 배상과 사과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시설 자체는 1981년 (재)마리아수녀회에 운영을 맡겨 1996년 '서울특별시립 은평의마을'로 바꾸어 존속 중이며 2011년 사회복지법인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를 거쳐 2019년 재대한구세군유지재단법인에 위탁권을 넘겼다. 2012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후 종전의 부랑인 수용시설에서 노숙인 요양시설로 변모했다.

3. 관련 자료 및 언론 보도

본 항목보다 훨씬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한다면 첨부 링크 참고 요망.

4. 유사 사례


[1] 1980년 당시 수용자 추정 인원 1000명(서울시립갱생원의 수용 정원이기도 하다) 중 262명이 죽었다고 하는데 저 추정 인원의 25%가 넘는 수치다. 연간 200여명이 죽었다는 기록이 나왔는데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운영되었으므로 더 많이 죽었을 수도 있다. 심지어 1967년에는 하루 평균 2명이 죽었다는 기사도 있다.[2] 하필이면 60년대 한국은 몹시 빈곤했기에 평범하게 살던 가난한 사람들이 할당량 충당용 타겟이 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