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폭력 사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6공화국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노태우 정부 | (1991)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F / (1992)즐거운 사라 사건S H |
국민의 정부 | (2002)서울지검 고문치사 사건T | |
참여정부 | (2006)대추리 사태R | |
이명박 정부 | (2008)정연주 KBS 사장 불법 해임 논란P / (2009)용산 참사R / 이명박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블랙리스트S / (2010)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P /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T / (2011)윤종오의 코스트코 불법 입점반려 사건 / (2012)박정근 사건S / (2013)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F | |
박근혜 정부 |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H S / (2015)백남기 사망 사건R / (2017)계엄 시행 계획 문건 작성 논란A R P | |
문재인 정부 | (2018)문재인 정부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S / (2019)탈북 어민 강제 북송 논란A / (2020)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F | |
윤석열 정부 | (2022)윤석열 욕설 파동 이후 언론탄압 논란S 문체부의 '윤석열차' 엄중경고 논란H S 문화방송 취재기자단 대통령전용기 탑승 불허 사건S / (2024)강성희 진보당 의원 강제 퇴장 사건P 김선재 진보당 예비후보 강제 퇴거 사건P 한국과학기술원 학위수여식 졸업생 강제 퇴장 사건P 화성동탄경찰서 성범죄 누명 사건F 검찰의 정치인 및 언론 사찰 논란P S 12.3 비상계엄A D R P S |
<colbgcolor=#7C0000,#7C0000><colcolor=#fff> A: 납치, C: 강제수용, D: 군대 관련, E: 교육 관련, F: 누명, L: 노동 관련, M: 민간인 학살, R: 폭동적 시위진압, P: 정치탄압, S: 검열, T: 고문, H: 대중문화 관련 | |
※ 여러 시대에 걸친 경우 시작 시점이 기준. ※ 3공화국기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를 포함. | }}}}}}}}} |
<colcolor=#fff> 서울시립갱생원 | ||
<nopad> | ||
<nopad> | ||
<colbgcolor=#bc002d> 발생일 | 1961년~1981년(?) | |
발생 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 |
유형 | 강제 수용소, 강제노동, 폭행, 성폭행 | |
원인 | 군사정권의 장애인 및 부랑아, 노숙자 수용 | |
인명피해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사망 | 최소 1000명[1] |
실종 | 불명 | |
부상 | 최대 1,900여 명 |
1. 개요
1961년 6월에 세워진 부랑인 갱생시설이나 당시 실상은 강제 수용소로, 현 시립은평의마을의 뿌리. 초기에는 중구 주자동에 있다가 10월 현 위치인 은평구 구산동으로 옮겼다.
박정희 정권 시절 '거리 정화'라는 명목으로 부랑자들을 강제로 수용한다며 최소 수백 명을 학살한 곳이다. 이런 곳이 늘 그렇듯이 부랑자가 아닌데도 끌려가서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경찰이 할당량을 채우고 실적을 올리려고 마구잡이로 잡아갔기 때문이다.
2020년에야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으며, 2024년에 진실화해위원회는 갱생원 사건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과 동일한 유형의 사건으로 규정했다. 즉 서울판 형제복지원인 셈이다. 언론에서는 대구시립희망원, 충남 천성원, 경기 성혜원 등과 함께 제2의 형제복지원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의 수감자들은 매일을 강제노동에 시달리다가 제대로 먹지 못해 굶어 죽었다. 그러면 아침에 '파란 열 십자'가 그려진 탑차가 와서 실어갔다고 한다.
2. 상세
당시 서울시청에 근무하던 공무원에게 자초지종을 물어보니 '부랑인들이 많이 다니면 외국인들한테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고 해서 '어디 시설을 만들고 사람들을 강제로 수용을 하자'는 목적에서 운영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1963년 기준으로 수용자의 약 75%가 원래 직업이 있다고 답했고 54%는 갑자기 경찰이 끌고 왔다고 답했다. 노숙이나 부랑 여부와는 관계없이 그냥 할당량을 채우려고 끌려온 것이다.[2] 경찰들은 부모가 있는 아이도 마구 납치했다. 겨우 시설에서 탈출해 사실을 폭로하려고 해도 다시 잡혀왔다고 한다. 그리고 무의탁 중환자들도 시에 의해 강제 수용되어 열악한 의료 상황 속에서 제대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죽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를 검색해보면 당시에도 서울시립갱생원의 열악한 시설과 높은 사망률이 언론에도 오르내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제복지원 강제 입소의 법적 근거가 된 내무부 훈령 제410호가 발표된 1975년보다 훨씬 이전인 60년대부터 벌어진 일이다.
때문에 1967년 5월 29일에는 원생 100여명이 집단탈원하기도 했다.
2021년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립갱생원에서의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적극적으로 보상하겠다고 밝혔지만 2024년까지 서울시 차원의 배상과 사과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시설 자체는 1981년 (재)마리아수녀회에 운영을 맡겨 1996년 '서울특별시립 은평의마을'로 바꾸어 존속 중이며 2011년 사회복지법인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를 거쳐 2019년 재대한구세군유지재단법인에 위탁권을 넘겼다. 2012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후 종전의 부랑인 수용시설에서 노숙인 요양시설로 변모했다.
3. 관련 자료 및 언론 보도
본 항목보다 훨씬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한다면 첨부 링크 참고 요망.- "시신 수백 구 절차도 없이 해부 실습용으로"… 37년 만에 드러난 '제2의 형제복지원' 사건
- 37년만에 밝혀진 제2의 형제복지원…친권포기 강요·시신 교부도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① 인권 침해 현장…서울시립갱생원의 역사는?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② 진실화해위가 규명한 서울시립갱생원 실체는?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③ 현실에 존재했던 '지옥'…잊혀지지 않는 '인권 유린'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④ 베일에 쌓였던 과거…세상에 알려진 배경은?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⑤ "국가가 준 고통"…피해자들이 바라는 보상·사과는?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⑥ 선감학원·형제복지원 지자체 차원 보상…'국가 배상'은 아직
- [제2의 형제복지원, 서울시립갱생원] ⑦ 오세훈 "충분히 보상"…"진정한 사과·피해자 발굴" 요구
- 길거리 정화한다며…성인·아동 구별없이 강제 수용
4. 유사 사례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 선감학원
- 대한청소년개척단
- 삼청교육대
- 부산 덕성원 사건
- 대구 희망원 사건
- 성람재단 복지시설 사건
- 대전 성지원 사태: 부랑아 수용시설이었지만 노동 능력이 있는 사람을 경찰의 무작위 검거나 시설 측의 직접적인 납치를 통해 수감한 사건이다. 혹독한 체벌과 폭행 속에서 하루 12시간 강제 노동에 혹사시킨 끝에 1984년부터 1987년까지 12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