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08:54:07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산업단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 -0.5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colbgcolor=#FFFFFF,#1F2023>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대구국가산업단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주안국가산업단지 · 남동인더스파크 · 부평국가산업단지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온산국가산업단지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스마트국가산업단지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반월국가산업단지 · 시화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포승국가산업단지 · 파주출판문화정보국가산업단지 · 파주탄현중소기업전용국가산업단지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북평국가산업단지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보은국가산업단지 · 오송생명과학단지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고정국가산업단지 · 대죽기원비축산업단지 · 석문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군산국가산업단지 · 새만금국가산업단지 · 전주탄소소재국가산업단지 · 익산국가산업단지 · 국가식품클러스터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여수국가산업단지 · 광양국가산업단지 · 대불국가산업단지 · 삼일자원비축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구미국가산업단지 · 포항철강산업단지 · 포항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 월성전원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밀양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 · 안정국가산업단지 · 옥포국가산업단지 · 죽도국가산업단지 · 지세포자원비축단지 · 진해국가산업단지 · 창원국가산업단지 · 마산자유무역지역 · 항공국가산업단지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蔚山尾浦國家産業團地)
파일:Ulsan Mipo NIC1.jpg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1. 개요2. 역사3. 현황
3.1. 효문·연암지구3.2. 여천지구3.3. 부곡·용연지구3.4. 매암지구3.5. 미포지구3.6. 석유화학단지
4. 여담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남구, 동구, 북구 지역에 있는 대한민국 1호 국가산업단지. 대한민국 근대화의 상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지정면적 48,443,934 ㎡의 부지에 석유정제품, 석유화학, 1차금속, 자동차, 조선, 운송장비, 조립금속 제조업, 금속·비금속원료재생업, 기타(전기,전자,일반기계) 등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2년 현재 10만 4천 여명의 인원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이 공단에서만 국내 생산의 28%, 수출 32%를 차지할 정도로 대한민국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국가산단 내 대한민국의 주요 주력산업들 중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등의 대기업들과 협력업체 다수가 입주해 있고 효문·연암지구, 여천지구, 부곡·용연지구, 매암지구, 미포지구, 석유화학단지 등으로 구분된다.

2. 역사

대한뉴스가 보도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1962년 1월 27일,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울산이 동해 바다와 인접해 깊은 수심과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고, 태화강회야강 등이 있어 공업단지에 공급할 공업용수가 풍부하고, 부산과 대구 등 대도시 사이에 있고 동해남부선 등 철도가 지나는 점, 공업단지 예정지가 평탄하고 광활하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해 특정공업지구로 지정·공포하면서 출발했다. 이어 2월 3일에 현재의 남구 매암동 납도 마을에서 박정희 의장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울산공업센터 기공식을 거행하고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다.

1962년~1966년, 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울산특별건설국을 설치해 울산산업단지의 기틀을 닦았고 대한석유공사의 울산정유공장이 준공되면서 산업수도로의 첫 걸음을 걸었다. 이후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기 영남화학과 한국비료공업 등이 입주했고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또한 이 시기에 지어지면서 공단이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한다. 3차 경제 개발 5개년 때는 정부의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기존의 대한석유공사 정유공장 외 석유화학 공장 8개가 추가됐고, 현대조선 울산조선소가 미포지구에 문을 열었다. 이후 여천·매암 지구에 각종 공장들이 입주해 공단 규모가 점점 커졌고 울산이 국내 최대 중화학공업단지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계속 성장을 거듭하면서 울산과 대한민국 경제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하지만 2012년 이후 3대 주력 산업인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등이 부진에 빠지면서 그동안 주력 산업 외 신성장 사업 발굴에는 미흡했다는 분석이 나왔고, 시간이 흘러 점점 공단 설비 등이 노후되어 가스 누출, 폭발, 화재 등의 사건·사고가 빈발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 3월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선정되어 미래산업 전환 및 탄소중립형 산업단지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고 공단 설립 60주년이 되던 2022년부터 사업을 진행중에 있어 현재도 대한민국의 최대 수출 거점이자 산업수도로써의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현황

파일:Ulsan Mipo NIC.jpg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구역

3.1. 효문·연암지구

북구 효문동 일대에 위치해 있어 일명 효문공단으로 불린다. 공단 남쪽에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이 있어 이 공장에 자동차 부품 등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들과 중소기업들이 다수를 차지하며 배후 시설로 울산화물터미널, 각종 자동차 공업사 등이 있다.

2022년 환경부 공모에서 효문공단 저탄소그린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선정되어 시행중에 있다.

3.2. 여천지구

남구 여천동 일원에 위치한 이 지구는 인근에 석유화학단지 등이 있어 이를 지원하는 업종의 공장들로 한화솔루션 울산공장, 롯데정밀화학 울산공장, 대한유화 울산공장, 태광산업 석유화학공장 등이 입주해 있다.

3.3. 부곡·용연지구

남구 부곡동, 용연동, 용잠동 등의 지역에 위치한 이 지구는 61만 6,000여㎡ 부지로 석유화학·전기 복합용지로 개발되거거나 아직 개발이 진행중인 지역이다. 롯데케미칼 울산공장 등이 입주해 있고 인근에 울산신항이 있다.

3.4. 매암지구

남구 매암동, 장생포동 일대에 있는 이 지구는 울산만과 인접해 있어 동쪽의 울산항의 배후단지로 일반 제조공장 외 물류터미널 등이 존재하고 남쪽에는 장생포항과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효성 울산공장, 삼양사 울산공장, 쌍용C&E, 팜한농, 현대모비스 매암동 공장 등이 있다.

3.5. 미포지구

동구 동부동, 서부동, 전하동, 일산동, 방어동의 미포지구와 북구 효문동(일부), 양정동, 염포동의 염포지구에 조성되어 있는 이 지구는 조선, 자동차, 금속, 화학 등의 업종의 공장들로 구성되어 있고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현대제철 울산공장, KCC 울산공장, 현대모비스 울산공장 등이 입주해 있다.

3.6. 석유화학단지

남구 선암동 등지에 위치해 있다. 1966년 당시 상공부의 석유화학공업 개발계획에 의해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에 들어가 화학섬유 등의 원료 국산화에 큰 기여를 했다.

SK이노베이션 울산공장, 한화솔루션 울산공장, 금호석유화학 울산공장, 이수화학 울산공장, HDC현대EP 울산공장, 코오롱인더스트리 울산공장 등이 있다.

4. 여담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는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관계로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서 항공지도가 블러 처리되어 있고, 거리뷰나 로드뷰 상에서도 일부 주요 공장들이 블러 처리되어 나타난다.
  • 울산공업지구를 개발하면서 북한의 간첩 침투 등에 대비해 만든 울산경비사령부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