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2:31:39

도넛

도너츠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TWICE의 일본 싱글 9집}}}에 대한 내용은 [[Doughnut]]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oughnut#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oughnut#|]]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창작물의 신체 관통 클리셰}}}에 대한 내용은 [[도넛(클리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도넛(클리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도넛(클리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미국의 힙합 프로듀서 J Dilla의 3집}}}에 대한 내용은 [[Donuts]]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Donuts#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Donuts#|]]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이미지 생성형 AI의 학습 방지 도구}}}에 대한 내용은 [[Glaze]]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Glaze#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Glaze#|]]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TWICE의 일본 싱글 9집: }}}[[Doughnut]]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oughnut#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oughnut#|]]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창작물의 신체 관통 클리셰: }}}[[도넛(클리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도넛(클리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도넛(클리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미국의 힙합 프로듀서 J Dilla의 3집: }}}[[Donuts]]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Donuts#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Donuts#|]]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이미지 생성형 AI의 학습 방지 도구: }}}[[Glaze]]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Glaze#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Glaze#|]]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도나스'''{{{#!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별명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에 대한 내용은 [[김재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재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재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별명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김재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재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재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keepal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b133e><colcolor=#fff>고기류 치킨, 프라이드치킨, 버팔로 윙, 비어 캔 치킨, 치킨너겟, 바비큐, 칠면조 구이, 스테이크 - 포터하우스, 스팸, 터덕킨, 미트로프
빵류 햄버거, 핫도그, 콘도그, 시카고식 피자, 당근 케이크, 치즈케이크, 레드 벨벳 케이크, 시폰케이크, 브라우니 - 대마초 브라우니, 도넛, 컵케이크, 머핀, 베이글, 사과 파이, 호박 파이, 호두 파이, 크림 파이, 팬케이크, 옥수수빵, 피넛 버터 앤드 젤리, 몬테크리스토 샌드위치, 코블러
밥류 잠발라야, 캘리포니아 롤, 무스비
면류 치킨누들수프, 크림소스 스파게티, 마카로니 앤 치즈
해산물류 랍스터 롤, 시푸드 보일, 크랩 케이크, 포케
과자류 비스킷, 초코칩 쿠키, 팝콘, 나초, 시리얼, 오레오, 감자칩
액체류 콘수프, 호박죽, 콜라, 카페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밀크셰이크, 살구수프
기타 바나나 스플릿, 베이크드 빈즈, 검보, 클램차우더, 그래놀라, 나폴리탄 아이스크림, 땅콩버터, 루트비어, 마시멜로, 스모어, 스크램블드에그, 아메리칸 브렉퍼스트, 에그 베네딕트, 감자 샐러드, 해시 브라운, 웨지 포테이토, 어니언링, 치즈볼, 치즈스틱, 미국식 중화 요리, 하와이 요리
}}}}}}}}} ||



파일:도넛들.jpg

1. 개요2. 역사3. 레시피4. 종류5. 비슷한 음식
5.1. 도나쓰
6. 영양7. 위생 논란8. 관련 프랜차이즈9. 미국 경찰과 도넛10. 미디어
10.1. 도넛에서 파생된 캐릭터
11. 기타

1. 개요

도넛(doughnut/donut[1])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재료를 섞은 반죽기름으로 튀겨 만든 이다. 어원은 밀가루 반죽(dough)+견과류(nuts). 과거에는 일본어식 발음(ドーナツ)에서 유래한 '도나츠', '도나쓰'라고 하기도 했는데 중장년층 이상에서는 아직도 간혹 이렇게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현재는 거의 쓰지 않는다. 외래어 표기법상 '도넛'이 맞는 표현이다. 영어 복수형 표현(doughnuts)을 한국어로 그대로 옮기면 '도너츠', '도넛츠'가 되지만 외래어 표기법은 복수형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한국식으로 변형된 특유의 간식 찹쌀도넛을 칭할 땐 '도너츠', '도넛츠'라고 하기도 한다. 사실상 이미 도너츠가 별개의 음식으로써 고유명사화된 게 있다.

도넛의 기원은 빵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반죽을 사용하여 기름으로 튀긴 '과자'인 '올리쿡(Olykoek, 기름진 케이크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 역사

기원에 대해서는 설이 다양하다. 과거 미국에 이민 온 네덜란드계 미국인이 즐겨 먹은 음식이라는 설이 가장 신빙성있다고 여겨진다. 실제 당시 네덜란드인은 튀김 요리를 즐겨 먹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도넛 비슷한 튀긴 전통 빵을 쉽게 볼 수 있다. 당시 조리법은 돼지기름에 밀가루 반죽을 동그랗게 말아 던져 건져낸 뒤, 설탕에 굴렸다고 한다.[2] 그런데 원조 네덜란드식 '올리볼(Oliebol)'은 구멍이 없고 한국의 찹쌀도넛과 비슷한 모양이다.

즉, 원래 도넛은 구멍이 없었으나 안쪽까지 골고루 빠르게 익혀 빠른 시간 내에 대량 생산하기 위해 구멍을 뚫어 고리 모양으로 만들었던 것이 그대로 이어진 것이다. 도넛에 구멍을 처음 뚫은 사람으로 조타륜에 도넛을 꽂았다는 19세기 사람 한센 그레고리 선장의 이야기가 유명하지만 그보다 반세기는 앞선 그림에 구멍 뜷린 도넛이 묘사되어 그 이야기는 거짓으로 판명났다.

도넛은 상술된 그레고리 이야기처럼 항해 중의 선상 식량으로 소비되지는 않았지만 포경선 선원들의 항해 후 잔치 음식으로 유명했다. 고래를 잡는데 성공한 후 육지에서 갓 짜낸 고래 기름에 도넛을 튀겨 먹은 것이다.

1600년대에서 1700년대 독일네덜란드를 포함한 유럽 전반에서 가락지 모양의 빵을 먹었다. 특히나 동부유럽베이글 등을 포함한 가락지 모양의 빵을 많이 먹었다.

간식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미국에서는 아침 식사나 간단한 한끼 메뉴로 먹기도 한다. 실제로 세계 대공황 시절에는 사설 구호소에서 실업자에게 베푸는 구호식으로 커피와 도넛이 많이 애용되었다[3]. 만들기도 쉽고, 고열량이라 빵 하나 사먹기 어려운 빈민층이 쉽게 열량을 채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도넛은 간단한 제조법과 이에 바탕을 둔 저렴한 가격을 무기 삼아 널리 퍼지게 된 것이다. 반면, 과거 미국 의학계에서는 도넛을 인체에 유해한 음식으로 규정했다. 그와 반대로 독일계 음식햄버거는 적극 권장했다.[4] 이는 당대에도 과도한 지방 섭취나 당분 섭취가 건강에 나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물론 지금도 의사가 권장하지 않는 음식인 것은 마찬가지이다. 모양은 비슷하지만 구워서 만들기 때문에 건강에 나쁘지 않은 베이글이 권장되기도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아침으로 많이 먹는다.
파일:172d16d74db2e26cc.jpg

제1차, 2차 세계대전에서도 영국군미군은 최전선에서도 트럭에서 직접 도넛을 튀기고 커피를 내리며 도넛을 공급하여 병사의 사기를 북돋았다. 이걸 기념하기 위해 미국에는 6월 첫 번째 금요일이 도넛의 날(National Doughnut Day)이 되었다. 이 날에는 미국의 많은 도넛 매장이 무료 도넛을 제공한다.

3. 레시피

우유, 설탕, 베이킹 파우더, 밀가루를 함께 체로 쳐서 섞는다. 버터, 계란은 큰 그릇에 넣고 잘 섞는다. 여기에 섞어놓은 가루를 넣고 주걱으로 돌려가며 3~5회 저어 섞는다. 반죽이 묽을수록 다루기는 어려우나 튀겼을 때 연하고 부드럽다.

도마에 밀가루를 뿌리고 반죽을 떠놓고 반죽 위에 밀가루를 다시 뿌린 후 방망이로 약 4cm 두께로 밀어 형을 뜬 다음 냄비에 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180~195℃가 되면 집어 넣고 약 5~10분간 튀겨 낸다.

뜨거울 때 설탕을 뿌리거나 식혀서 시럽이나 초콜릿을 끼얹는다. 도넛 틀로 찍고 남은 가운데 동그란 반죽으로 먼치킨을 만든다고 하는데, 폰데링도 만들 수 있다. 미스터 도넛에서는 폰데링을 모티브로 폰 데 라이온이라는 마스코트도 만들었다.

4. 종류

파일:attachment/c0026408_4c03ecbb510c5.jpg

크게 "케이크 도넛" 과 "이스트 도넛"[5]의 두 가지가 있다. 케이크 도넛은 베이킹 파우더로 부풀리기 때문에 반죽을 하여 형을 뜬 후 즉시 튀겨야 한다. 이스트 도넛은 반죽하여 형을 뜨고 효모로 발효시킨 다음에 튀긴다.

제과제빵기능사 시험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종목이 각각 나뉘기도 했었다. 케이크 도넛은 제과기능사, 이스트 도넛은 제빵기능사의 실기시험 종목이다. 2012년 7월 이후로 케이크 도넛은 찹쌀도넛으로 바뀌었다.

가장 유명한 형태는 바로 고리 형태의 모양. 고리 모양 빵 하면 가장 먼저 도넛을 떠올릴 정도로 가장 상징적인 도넛의 형태이다. 하지만 고리형 뿐만 아니라 가운데가 막힌 것 부터 구체 모양인 것, 길쭉한 것 등 도넛의 모양은 다양하다.
  • 글레이즈드 - 설탕 시럽이 코팅되있는 도넛. 플레인 도넛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장 흔하고 저렴한 도넛이다. 상당히 달지만 설탕 함량은 의외로 적은 측에 속한다.
  • 찹쌀도넛 - 도나쓰와 시장도넛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속에 팥소를 넣고 겉에 설탕을 도포하는 것이 특징.
  • 폰데링(츄이스티) - 사진 종류 먼치킨처럼 작고 동그란 구슬같은 도넛 여러 개를 고리처럼 이어붙인 모양의 도넛. 쫄깃한 식감이 아이덴티티. 미스터도넛의 대표 메뉴로 같은 형태의 도넛을 던킨도너츠와 파리바게트도 취급한다.
  • 프렌치 크롤러 - 사진 소용돌이같은 표면의 도넛으로 도넛 속의 공백이 많아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이 특징이다. 미스터도넛에서 폰데링 다음으로 유명한 메뉴이기도 하다. 던킨에서는 예전에 취급했으나 현재는 보기 어렵다.
  • 크로넛 - 크루아상과 도넛을 합친 것. 모양은 도넛이지만 질감은 크루아상에 가깝다. 크루아상처럼 겉과 속에 빵결로 된 층이 있다.

5. 비슷한 음식

다른 나라에도 도넛 비슷한 음식이 많다.

가령 튀르키예에서는 Lokma이라는 음식이 있다. 그리스에서는 Λουκουμάδες(루쿠마데스)라고 불리는 도넛이 있다. 이 둘은 동로마 제국 시절까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만큼 유서깊다. 다만 로크마/루쿠마데스는 흔히 아는 도넛과는 조금 다른데, 한 입 크기로 동글동글하게 반죽한 밀가루 반죽을 한번 튀긴 다음, 그 위에 설탕, 시럽 혹은 을 푹 잠기도록 가득 뿌려준 다음 계피 가루를 뿌려서 먹는 식이다. 튀르키예 간식답게 매우, 매우 달다. 꿀빵과 상당히 닮았고, 요리하는 법도 똑같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맛볼 수 있다. Luqaimat라고 한다. 이것이 변형되어 젤리같이 된 음식이 지금의 로쿰이다.

중국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있다. 유탸오(油條)라는 튀김빵으로, 쫄깃한 식감에 약간 소금기가 있다. 유래는 악비에 대한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진회명장 악비를 모함해 죽였고, 이로 인해 중국 역사상 손꼽히는 간신으로 취급받게 되었다. 임안(자금의 항저우시)의 한 간식 가게는 진회에 대한 증오심에 특이한 빵을 만들었다. 진회 부부[6]를 밀가루로 빚어 신나게 두들겨 패 반죽한 뒤, 하반신이 처럼 보이게 등을 붙여 한쌍으로 꼬아서 기름에 넣고 튀겼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한 음식이 유탸오다. 문자 그대로 진회를 튀긴다고 유작회(油灼檜)라 불렀다. 그러나 당시에는 서슬퍼런 진회측의 감시를 피해 유작귀(油炸鬼)라고 돌려 불렀고, 도리어 진회가 이 별명으로 불리게 된다. 지금도 광동어를 사용하는 광둥성홍콩 등지에서는 저 빵을 표준 중국어식의 유탸오가 아닌, 유작귀의 광동어 발음인 야우짜꽈이라고 부른다.

중국인은 아침 식사로 이 유탸오를 간장[7]에 찍어먹거나, 더우장(豆漿)이라고 하는 두유[8], 죽 같은 유동식과 같이 먹는다. 또는 다른 음식을 싸서 먹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안산이나 서울 구로동, 인천부산차이나타운 등지에서 맛볼 수 있다. 중국인 중 특히 양쯔강 이남의 강남 지방 사람은 이북 사람이 먹는 만터우보다 이 유탸오를 더 선호해 그야말로 거의 매일 아침마다 먹는다.

유탸오를 응용한 마화(麻花)[9]도 있다. 매실, 호두, 참깨 등을 섞어 반죽한 뒤 튀겨 복숭아씨를 뿌려먹는 꽈배기 모양의 단맛이 도는 빵이다. 특히 톈진(天津)의 마화가 유명해 톈진마화는 하나의 고유명사화 되어 있다. 슈퍼에서 파는 마화는 빵이라기보단 과자 수준이라 본래 맛과 많이 다르다.

후베이성 지역에 '몐워(面窝)[10]'라는 쌀 도넛이 있다. 쪽파와 다진 생강이 들어가는데 식사용으로 애용된다.

인도에도 차파티를 기름에 튀겨 만든 '푸리'라는 튀김빵이 있다. 일상식으로 커리와 먹기도 하고 결혼식 등의 경축일이나 축제에는 이것이 올라오기도 한다.

오키나와사타안다기하와이말라사다, 스페인추로스, 독일의 베를리너 판쿠헨[11]의 제조 과정이 유사해 도넛 비슷한 취급을 받기도 한다. 베를리너는 튀긴 도우 안에 등을 넣고 겉에 설탕이나 설탕 파우더를 뿌려 먹는, 던킨도너츠 등에서 파는 그 도넛과 거의 같은 물건으로,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던 음식이다.

유대인도 오랫동안 도넛을 명절 음식으로 먹어왔는데, 히브리어로 수프가니아(סופגנייה/Sufganiyah. 복수형 수프가니오트 סופגניות/Sufganiyot)라고 하며, 원형으로 빚은 밀가루 반죽 속에 잼이나 크림을 채워서 튀긴 뒤 슈가파우더를 뿌리거나 초콜릿 등을 씌워서 판다. 감자전 비슷한 감자 팬케이크인 라트카스(לאַטקע/Latkas)와 함께 유대교 명절인 하누카필수요소로, 한국의 송편과 비슷한 위상을 갖고 있다. 이스라엘군에서도 하누카 때면 장병에게 수프가니아를 특식으로 배급한다.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서아시아 북부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러시아볼가 강-우랄 강 지역 일대에서는 "피쉬메, 피쉬(pishme, pişi)" 또는 "바우르삭(Baursak/Bauyrsaq)"이라는 네모, 세모, 모양의 튀긴 빵들이 있다. 몽골에도 "보르초그(Boortsog)"라는 밀가루 반죽을 튀겨낸 빵이 있다. 여기에 설탕을 뿌려 먹거나, 잼 및 시럽(아니면 꿀) 등과 곁들여 먹는다.

리비아알제리북아프리카마그레브 문화권에서는 "사판즈(سفنج)"라고 불리는 북아프리카식 도넛 요리가 있다. 참고로 마그레브 유대인도 이 요리를 먹으며 이스라엘에도 전해졌다고 한다.

5.1. 도나쓰

파일:도나쓰.jpg
아래부터 팥도너츠, 꽈배기, 찹쌀도너츠, 생도너츠

한국에는 서양 계통의 도넛에서 파생되어 토착음식으로 진화한 도나쓰가 있다. 미국에서 밀가루와 식용유용 콩이 대량으로 수입되기 시작한 197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1970년대에서 1980년대 빵집, 재래시장 등지에서 많이 팔았기 때문에 옛날 도너츠, 시장 도너츠 등으로도 불린다. 어원이나 의미나 위 문단의 도넛과 정확히 일치하여 본래는 이쪽도 도넛이라 함이 옳지만, 구분을 위해 도너츠, 도나쓰로 표기되는 일이 잦다.[12] 현재도 전통시장 같은 곳에서 많이 팔고 취급하는 빵집도 많은 현역 빵이다. 동네 노메이커 제과점이든 프랜차이즈 제과점이든 웬만한 곳에는 다 있다.

종류로는 찹쌀도넛, 도넛, 생도넛, 꽈배기, 고로케 등이 있다. 찹쌀도넛은 찹쌀가루로 반죽을 하고 안에 팥앙금이 든 동그란 모양의 도넛으로 찹쌀이 들어가 차지고 쫄깃하다. 팥도넛은 둥글넓적한 튀김빵 속에 팥앙금이 들어있다. 생도넛은 케이크 도넛 반죽에 백앙금을 넣은 것이다. 꽈배기는 말그대로 길쭉한 빵을 접은 뒤 꼬아서 튀긴 것이며 따로 앙금이 없으므로 설탕을 뿌려서 파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미국식 도넛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인기가 약한 편인데 도나쓰가 비싸고 고급화된 미국식 도넛에 비해 맛과 가성비가 좋다보니 그렇다는 견해가 있다.

꿀빵도 넓은 의미에서 보면 도나쓰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6. 영양

영양학적으로 최악의 식품 중 하나다.

대부분의 도넛은 끓는 식용유에 상당히 오래 튀겨서 익히기 때문에 지방이 과다하며, 단백질이나 비타민 등 기타 영양소는 전무한 수준이라 영양 불균형 음식이라는 사실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빵에 설탕만 씌운 글레이즈 도넛 기준으로 한 개가 최소 200~300kcal로 반 공기 칼로리를 넘어가기에 3개만 먹어도 한 끼 식사 분량의 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

그마저도 쇼트닝마가린 범벅에 정제당도 콘 시럽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고혈압, 당뇨병성인병 환자나 다이어트 중이라면 피하는 게 좋다. 생전 크리스피 도넛을 무척이나 좋아했던 엘비스 프레슬리는 말년에 100kg이 넘는 거구가 된 일까지 있었다.

혈당지수가 최상위인 96이다. 공복혈당이 낮다고 느낄 때 도넛을 먹으면 단기간에 혈당이 오르고 잠이 깨는 것을 느낄 수도 있다.

건강 자체에 안 좋은 건 사실이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곁들여 먹는 음료나 도넛 외에도 추가적인 뭔가를 먹는 게 더 비만의 원인이 된다. 상술한 엘비스 역시 도넛을 많이 먹은 것도 문제지만 PBJ샌드위치에 베이컨 등을 끼워서도 엄청 먹은 것도 비만의 원인이었다.

대부분의 기호식품이 그렇듯이 식사나 간식 때 이것만 1개나 반 개로 먹는다면 살이 찔 가능성은 낮아지므로, 한번 먹은 것만으로 요요가 온다는 식으로 너무 두려움에 떨 필요는 없다. 애초에 어떤 음식이든 권장 칼로리 이하로만 먹는다면, 단백질, 지방, 비타민, 탄수화물 등이 과잉이 되거나 부족이 되거나 해서 영양결핍이 올수는 있을지언정 살은 찌지 않는다. 도넛도 어디까지나 사람이 먹으라고 만든 음식이다.

7. 위생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던킨도너츠 공장 식품위생법 위반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1년 던킨도너츠 공장 식품위생법 위반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1년 던킨도너츠 공장 식품위생법 위반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기업 체인점이나 대형마트에서 파는 것도 세균투성이에 위생 불량으로 종종 언론에 보도된다. 실제로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 마트에서 제조해 팔던 도넛에 비위생적인 재료로 쓴다는 방송이 나오기도 하고 해당 도넛에는 대장균까지 검출되기도 했다.

또, 도넛을 전문으로 파는 대기업 던킨도너츠 서울 구로 공장에서는 2007년 유해 재료로 도넛을 만들었는데 그야말로 싸구려 도넛 저리가라급으로 막장인 제조공장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 # 해당 공장은 2달 영업정지를 당했으나 던킨 코리아 측이 오히려 항소하고 사진을 공개한 블로그를 고소하는 바람에 더더욱 욕을 처먹었다. 지금은 사진 자료 찾기도 어려운데 당시 공개된 사진을 보면 그야말로 충격일 정도였다. 벽은 곰팡이 투성이에 솥은 기름때가 가득했다. 그리고 역시 재활용을 몇 번이나 한 건지 곰팡이가 끼고 기름 투성이인 천을 깔고 대충 도넛 재료를 쌓아둔 것도 찍혀있던 적나라한 사진이었다. 오죽하면 동네 시장에서 파는 도넛은 적어도 손님 앞에서 튀기는 걸 보여주니 재료는 어떨지 몰라도 저렇게 더럽진 않았다고 분노하는 반응이 수두룩했다. 결국 던킨도너츠는 패소하고 보건식품부는 영업정지 처벌 기간을 2배인 4개월로 연장해버렸다.[13]

8. 관련 프랜차이즈

  • 던킨도너츠
  • 크리스피 크림 도넛
  • 미스터 도넛 - 과거 던킨, 크리스피와 더불어 한국 3대 도넛 프랜차이즈 위치를 자랑했지만 현재는 철수했다.[14]
  • 팀홀튼 - 캐나다 국민 커피와 도넛 체인으로 북미에서는 스타벅스만큼 대중적인 브랜드이다. 캐나다에서는 1964년에 설립, 한국에는 2023년에 들어왔다. 크롤러라는 곱창 머리끈 같이 생긴 도넛이 유명하다.
  • 랜디스 도넛 - 196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시작된 도넛 브랜드. 한국에는 2019년 제주 애월점이 처음으로 매장을 열었다. 아이언맨 2에 등장해 인지도를 높였다.
  • 노티드 - 2017년GFFG가 론칭. 우유 생크림 도넛이 유명하며, 케이크나 스콘도 판다.
  • 도넛 플랜트 뉴욕 시티 - 대한민국의 많은 프랜차이즈들이 이스트 도넛을 주로 판매하는 것과 달리 케이크 도넛이 시그니처로 크림 브륄레 도넛을 처음 개발한 곳이기도 하다. 도넛 평균 가격이 목록에 있는 다른 회사 도넛의 2배다! 단 가격이 비싼만큼 도넛 크기도 크다. 참고로 힐러리 클린턴이 좋아하는 도넛이라고 한다. 한국 진출 초기에는 고급 도넛 컨셉으로도 나름 공격적으로 확장을 시도했으나, 현재는 대한민국에서 철수하였다.
  • 도나스데이 - 미국 '내셔널 도넛 데이'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된 한국의 도넛 브랜드이다. 미운 우리 새끼
  • 서울페이스트리 - 2016년에 오픈한 크로넛 전문점이다.
  • 퀸즈베리 도넛하우스 - 2022년 약수역 인근에 오픈한 호주식 케이크 도넛을 판매한다.
  • 올드페리 도넛 - 서울 한남동에서 2016년에 시작한 도넛 브랜드. 아메리칸 스타일 도넛을 한국식으로 재해석해 크림과 토핑이 풍성한 편이다.
  • 아임 도넛 - 일본 후쿠오카에서 건너온 브랜드. 현재는 서울 성수동에만 있으며 웨이팅이 상당하다.
  • 도너츠윤 - 찹쌀도넛에 다양한 크림을 넣어 판매. 2021년, 생방송 투데이에서 크림찹쌀도넛으로 소개된 바 있다.
  • 베르그 - 베니(Bennie)라는 이름의 작은 도넛이 시그니처 제품이다.
  • 홀리앤졸리 도넛&커피 - 2023년 유행한 브랜드로 주문 즉시 도넛에 신선한 크림을 넣어준다. 레스큐어버터를 사용하며 시그니처 메뉴로 크림 브륄레 도넛을 판다. 도넛 외 샌드위치와 구움 과자를 판다.
  • 오릴리 (O’Reilly) - 일산, 부천에 위치한 도넛 브랜드로 브리오슈 도넛이 인기 제품이다.
  • 글로어
  • 케빈스 크림 도넛 - 도넛 외에 와플도 판다.
  • 윈첼도넛
  • 알리바바 커피앤도넛

9. 미국 경찰과 도넛

도넛 가게를 털려다가 역으로 가게에 있던 경찰에게 털리는 강도[15]
흔히 미국 할리우드 영화 등지에서 미국 경찰이 도넛을 먹는 장면 때문에 미국 경찰이 도넛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봉에다 힘든 신체활동이 요구되는 경찰관이 값싼 열량 공급원을 찾는 것은 당연할 수 있지만[16], 그런 서글픈 이유 외에도 다른 사연이 있는데 이에 대한 몇 가지 설이 있다.

1930년대 미국에서 Adolph Levitt가 자동화된 도넛기계를 개발한 이후로 도넛은 미국 대공황 시기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한 간식거리였다. 당시에도 박봉이였던 경찰이 점심 식사 대용으로 먹기엔 딱이였으며 이후로 1950년대에 최초의 도넛 프렌차이즈였던 던킨 도넛의 창업자 윌리엄 로젠버그는 이 점을 이용해 야간 근무를 서는 경찰 고객을 공략했다고 회고한다. 즉 도넛은 대공황 시기부터 경찰과 함께하는 간식거리였으며, 던킨 도넛이 이 점을 노려 야간에도 경찰이 가게에서 도넛을 사가게 만들어서 치안이 좋은 이미지를 확보한 것이다.

아예 미국 경찰도 도넛과 연관된 자조적인 농담을 한다. 가령 1개를 먹으면 순경, 2개를 먹으면 경위, 그리고 3개를 먹으면 돼지. Pig는 말 그대로 돼지라는 뜻도 되지만, 경찰을 비하하는 은어이기도 하다. 한국말로 하면 짭새견찰과 비슷한 위상의 말이다. 다른 예로 도넛을 미끼로 경찰을 유인한다는 유머도 있다.#, ##

도넛 자체도 경찰 업무에 어울리는 면이 있다. 적당한 크기 덕분에 한 손에 들고 빠르게 열량을 섭취할 수 있는 데다 실온에 오래 방치해도 맛이 크게 변하지 않고, 냄새도 많이 나지 않아 음식 냄새가 경찰차에 배일 염려가 없다. 도넛 가게는 24시간 여는 경우가 많고 커피까지 동시에 팔기에 주야간 언제든지 커피를 사먹으며 몸을 잠시 녹일 수도 있다.[17] 몇몇 경찰은 도넛 가게에서 도넛을 먹으며 서류 작업을 마치는 걸 선호하기도 했다고 한다. 옛날에는 지금과 달리 24시간 여는 가게가 도넛 가게 아니면 다이너 밖에 없었다. 경찰이 다이너보다 도넛을 선호한 이유는 다이너는 음식을 주문해서 기다린 뒤 식사를 마친 뒤에야 일어나지만, 도넛 가게는 바로 도넛을 사서 나올 수 있어서 출동을 해야할 시 바로 출동을 할 수 있었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도넛은 잠복근무에 최적화된 음식이다.

비슷한 예로 일본 형사잠복근무 때 식사를 간단히 해결하기 위해 단팥빵우유를 자주 먹는다고 한다. 일본 영화드라마에서도 형사가 잠복 근무 때 단팥빵을 먹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비슷하게 한국 경찰도 잠복 근무 때 컵라면을 먹으며, 이는 드라마에서도 묘사된다. 다만 컵라면만 먹는 것은 아니고 일본 형사처럼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단팥빵에 우유를 자주 먹는다. 연식이 조금 있는 매체에서는 짜장면을 배달시켜 먹는 장면도 자주 나온다.

일설에서는 도넛 가게가 주로 24시간 영업을 하고 상품 단위 가격이 낮아 주로 현금 거래를 하기 때문에 강도의 쉬운 타겟이라 그래서 점주들이 고민 끝에 팔다 남은 도넛을 경찰에게 무료 제공한다는 아이디어를 내어 사람이 많이 없는 새벽에 배고픈 경찰을 가게에 묶어 놔서 강도가 습격하지 못하도록 했다는 것이라는 말도 있다. 그러나 타임지 등 해외 사이트와 신문 기사 등지에서도 그러한 언급은 전혀 없다. 일부 도넛 가게가 정말로 경찰에게 무료 제공을 했다 하더라도, 모든 가게가 제공했을 가능성은 낮다.[18] 야간 근무 시 음식, 커피 등을 구해야 하는데 식당이나 카페가 문을 닫아 선택지가 도넛 밖에 없었다는 이유가 해외 기사에서 언급되므로 근본적인 이유로 보기에는 부적합하다.

10. 미디어

10.1. 도넛에서 파생된 캐릭터

11. 기타

  • 미국에서는 6월 첫 번째 금요일에 도넛의 날(National Doughnut Day)이라는 기념일이 있다. 1918년에 구세군1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에게 도넛을 지원한 사람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날이라고 한다. 당시 구세군에 있던 에반젤린 부스는 11명의 자원봉사자와 함께 최전방에서 도넛을 만들어 미군 장병에게 제공했다. 미군은 이들에게 도넛 걸(Donut Girls)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우리는 장병의 사기를 위해 갓 만든 따뜻한 도넛을 장병에게 바로바로 제공한다고 홍보했고, 지원도 빵빵하게 해 주면서 전성기에는 하루에 2,500개의 도넛을 만들어 제공했을 정도가 되었다.[24] 이 날이 되면 미국의 많은 도넛 매장이 도넛을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연다.(#1, #2)[25]
  • 2009년 9월에 공개된 안드로이드 1.6 버전의 코드명도 '도넛'이다. 구글파이까지 운영체제 코드명을 모두 음식 이름으로 붙였다. 이후로는 그냥 숫자를 쓴다.
  • 네브래스카 주의 리하이(Lehigh) 마을에서는 도넛에 구멍뚫기가 금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정확히는 흔히 던킨도너츠의 주력 메뉴라고 알려져 있는 도넛 홀의 판매가 마을 조례로 금지되어 있었다. 이 조례는 1887년에 성문화되었다는 것 말고는 자세한 기원이 전해지지 않지만 오늘날 르하이 주민들이 추측하는 바로는 "빵에 구멍 뚫고 남은 것을 팔아서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막기 위함"인데, 당시 이 마을 사람이 도넛홀을 제대로 된 음식이 아니라 낭비로 생각했을 것이라는 것이다.[26]# 현대에 와서는 사문화되어 있었으나, 이야깃거리로 만들기 위해 일부러 끄집어내 1997년 만장일치로 폐지하였다. 하지만 인터넷에서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법이 현역인 것처럼 전해지고 있다.
  • 한국계 미국인 교포가 미국에서 수제 도넛 상점을 많이 운영하기로 잘 알려져 있다. 큰 기술 없이도 창업이 가능한데다가 가게 문을 아침 일찍 열고 저녁 늦게 닫는게 습관화된 한국인 교포들의 특성이, 지나치게 일찍 도넛을 찾는 사람이나 반대로 지나치게 늦게 도넛을 찾는 사람들에게 잘 맞아떨어져서 교포가 운영하는 도넛가게가 꽤나 흥행했기 때문이다. 비단 도넛뿐만 아니라 세탁소나 마트, 일식집[27] 등 교포가 운영하는 곳들은 다 그렇게 장사가 잘되긴 하지만. 물론 단지 오래 열기만 하는것 하나 때문에 장사가 잘되는건 아니고 가족 단위로 가게를 운영하면서 인건비를 최대한 절약해서 나온 저렴한 가격에 어울리지 않는 높은 퀄리티의 제품과 서비스로도 유명한 것이다.
  • 전설적인 힙합 프로듀서 J Dilla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한다. 오죽하면 유작 이름이 Donuts일 정도.
  • 기하학적으로 이런 형태의 도형을 토러스 또는 원환면이라고 부른다. 위상수학에서도 빠질 수 없는 물건인데, 손잡이가 달린 머그잔에서 토러스로 변형되는 모습으로 자주 나타난다. 2016년 노벨물리학상의 주제가 위상부도체였는데, 시상식에서 도넛을 들고 심사위원이 기자에게 선정 사유를 설명하려 했다.
    파일:attachment/토러스/mug_and_torus.gif
  • 토스터기에도 구워서 먹기도 한다. 주로 글레이즈드 도넛을 반으로 썬 뒤에 틈에다가 넣어서 굽는 방식. 생각보다 맛있다고 한다.
  • 2021년 들어 한국에서 마카롱의 뒤를 이어 도넛이 유행하고 있다.
  • 담배 연기로 도넛 모양을 만드는 묘기도 있다. 이를 영어로 smoke ring이라고 한다.
  • 경우에 따라서, 도넛 모양으로 반죽을 만들어 기름에 튀기는 대신 오븐에 굽는 비스킷도 있다. 몇몇은 이 비스킷을 '오븐에 구운 도넛'이라고도 한다.
  • 2023년 8월 9일, 시청역 에서 수상한 상자가 발견돼 테러 소동이 있었으나, 도넛 상자였다. #
  • Cristy's donut의 창립자 겸 회장인 테드 느고이라는 캄보디아인캄보디아 대학살을 피해 미국으로 급히 이민을 온 직후 생계벌이를 위해 시작한 것이 도넛이었다. 이걸로 주유소 가게에 사업을 시작해 열심히 일했으며 그의 도넛을 맛 본 고객들이 꾸준히 찾아오면서 노력의 대가로 사업이 크게 성공한 동시에 프랜차이즈로 커졌고 느고이와 같은 처지로 이민 온 캄보디아인에게 느고이를 희망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28] 최근에 느고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인 '도넛 킹'이 개봉이 되었다.
  • 헤일리 비버의 뷰티 브랜드 이름은 '글레이즈드 도넛 스킨'인데 글레이즈드 도넛처럼 맑고 촉촉하게 빛나는 피부를 의미한다.

[1] 후자는 주로 미국에서 볼 수 있는 철자법으로 던킨도너츠가 대표적으로 이 철자를 사용한다.[2] 심슨 가족의 배경인 스프링필드에 위치한 도넛 가게의 이름이 'Lard Lad' 즉 '돼지 기름 꼬마'이다.[3] 미국의 도넛 프랜차이즈던킨도너츠노동자의 식사로 도넛과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항목 참조.[4] 사실 햄버거는 영양면에서 괜찮은 음식이다. 소고기, 치즈단백질양파, 양상추야채를 고르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음식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단품만 먹거나 물이나 주스나 아메리카노 커피 혹은 우유를 곁들였을 때의 이야기다. 그러나 패스트푸드점 햄버거를 먹을때 세트로 콜라, 감자튀김과 같이 먹기 때문에 살이 찐 사람들이 많아서 건강에 안 좋은 음식이라는 인식이 생긴 것이다.[5] 던킨이나 크리스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도넛 프렌차이즈는 이스트 도넛이 주력이다. 케이크 도넛의 경우 특성상 바리에이션 만들기가 쉽지 않은 데다 식감이 뻑뻑해서 호불호가 많이 갈리기 때문. 그러다보니 원래 프렌차이즈 업체들이 기원이 뭐였던 간에 케이크 도넛의 경우 흔히 올드패션 계열이라 불리는 도넛정도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6] 아내까지 빚어서 팬 이유는 진회가 악비를 처형하도록 부추긴 것이 그 아내였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7] 그냥 간장이 아니라 설탕을 넣어 졸여서 달게 만든 간장 소스다. 단짠 그 자체의 소스로 데리야끼 소스와 비슷하다.[8] 한국 두유와는 맛이 많이 다르다. 점도가 낮고 간도 많이 약해서(설탕, 소금 둘 다 쓸 수 있다) 음료수에 가깝게 묽은 느낌. 여기에 익숙해지면 한국 두유 먹기가 힘들어진다.[9] 파일:마화 (도넛).jpg[10] 총여우빙(葱油饼)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11] 파일:베를리너 판쿠헨.jpg[12] 단어의 표기에서 느껴지는 세월의 흐름이 마찬가지로 오래된 이 빵을 기막히게 연상시켜 주기 때문.[13] 참고로 대한민국 던킨 경우 모회사가 비알코리아 SPC그룹의 계열사다. 2022년 평택 제빵공장 직원 기계끼임 사망 사고와 성남 제빵기계 끼임 사망 사고등. 안전불감증으로 산업 재해를 일으켜 공분한 대중들이 불매운동을 진행했는데 이 리스트에 던킨 도넛도 포함되었다.[14] 매장 수가 전성기 때 60개 가까운 수준이었다가, 4분의 1로 줄면서 원래 운영하던 회사(GS리테일)가 손을 떼기까지 해서 다른 법인이 인수한 뒤 다시 확장 노력을 했으나 여전히 20대 초반 정도의 매장 수 밖에 유지하지 못하다 결국 철수했다. 다른 도넛 체인점도 수가 줄었지만, 던킨은 여전히 700개 이상의 매장을 가지고 있고, 크리스피 쪽은 운영 방침을 바꾸고 두자릿수 매장에서 오히려 매장을 늘려서 100개가 훨씬 넘는 매장을 갖추고 있다.[15] 이 장면이 나온 영화는 다름 아닌 로보캅 시리즈 최악의 졸작으로 꼽히는 3편. 실제로 프랑스의 한 맥도날드 지점에서 이 장면과 비슷한 일이 있었다. 다만 강도를 제압한 건 경찰이 아닌 국가 헌병대 소속 대테러 부대 GIGN. #[16] 미국 경찰관에게는 피자가 고급 먹거리일 정도다. 사건이 터져 밤샘 근무를 할 경우 특식으로 피자를 여러 판 주문해 돌리는데 경관들이 매우 좋아한다.[17] 도넛 가게는 24시간 열진 않아도 새벽부터 일찍 여는 가게가 많았는데, 그 이유가 새벽부터 장사 준비를 해서 아침에 출근하는 직장인에게 도넛을 팔기 위해서였다.[18] 애초에 미국 경찰은 법률상 근무 중에 시민으로부터 무료로 무언가를 받는 행위가 금지되어 있다. 한국으로 따지면 김영란법과 유사한 개념. 즉 일부 가게에서 남는 도넛을 몰래 주고 경찰도 이를 눈감아 줄 수는 있었을지 몰라도 대놓고 떠벌리고 다닐 수 있는 일은 아니었다.[19] 한국에서 비슷한 도넛을 찾는다면 그나마 던킨의 수줍은 스마일이라는 도넛이 있지만, 웃는 표정이 그려진데다 속에 딸기가 채워진 점 등 다소 차이가 있다.[20] 다만, 하루토가 도넛을, 그것도 플레인 슈거만 유독 고집하는 이유에는 본인의 비극적인 과거와 관련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21] 키리코의 집을 보면 피자 상자도 한가득 나오는 것이 보이는데 도넛과 피자만 먹고서 건강을 유지하는 건 힘들다는 점과 키리코의 스토리 설정을 생각해보면 정말로 여우신령이 키리코의 건강도 유지시켜주는 듯하다.[22] 도넛 외에는 세속적 욕망이 결여된 사람[23] 이 때문에 팬아트에서는 대부분 도넛을 먹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24]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인 1920년에 도넛을 양산하는 기계가 발명되면서 3대 도넛 기업이 탄생하는 계기가 된다.[25] 반면 이 당시 독일 제국군은 감자도 없어서 가축사료로 쓰던 순무를 쪄서 군인들에게 배급하는 순무의 겨울을 보냈다.[26] 특히 당시의 청교도적 문화를 생각해 보면 이런 '게으른' 음식을 팔아 돈을 번다는 게 나쁘게 보였을 수도 있다.[27] 미국인에게 너무 낯선 한국 요리는 팔기 어렵고, 중국 요리는 이미 화교들이 꽉 잡고 있기 때문에 남은 선택지가 미국인들에게 그나마 인지도가 있는 일식집을 개업한 것이다. 때문에 의외로 미국 내 일식집 주인들 중 일본인이 사장으로 있는 가게는 수가 매우 적고 많은 수가 한국 교포가 사장으로 있는 집들이다.[28] 실제 느고이가 운영하는 Cristy's donut 매장에 일하는 직원들 대다수가 캄보디아계 미국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