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꼼[1] (2006~) Backkom | Bernard Bear | ||||
<nopad> | ||||
{{{#498cfd,#498cf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장르 | <colcolor=#373a3c,#ffffff>슬랩스틱 코미디, 개그, 옴니버스, 일상, 스포츠 | ||
제작 | EBS, RG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시너지미디어 → 알파 애니메이션 | |||
감독 | 임아론 | |||
음악 | 김태균 | |||
출연 | 김태균, 박상호, 장현주, 기타 등 | |||
방영 기간 | 2006. 08. 28. ~ 2006. 12. 25. (1기) 2008. 06. 09. ~ 2008. 07. 14. (2기) 2009. 08. 24. ~ 2010. 02. 19. (스핀오프[2]) 2010. 08. 29. ~ 2010. 11. 21. (3기) | |||
방송국 | ||||
화수 | 91부작[3] | |||
편당 러닝타임 | 3분[4]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2002년경 한국에서 만들어진 캐릭터 빼꼼을 원안으로 제작된 한국과 미국, 스페인 합작 애니메이션이었다.[7][8] 과거 주 제작은 RG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시너지미디어에서 관리했지만 2014년(추정)에 구 시리즈 저작권이 Anima kids와 BRB로 넘어갔고,[9] 2015년 7월 16일 이후 중국으로 판권이 넘어가면서 시즌 3 이후의 2019년에 시작해 새 시즌들은 중국에서 제작되고 있다.[10] 즉, RG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현재 어떤 권리도 가지고 있지 않다.북극에 살던 덩치 크고 사고뭉치 덜렁이에 호기심 많은 백곰 빼꼼이 도시로 오게 되면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건, 사고들!! 미워할래야 미워할 수 없는 빼꼼의 이야기 속으로 우리 함께 떠나볼까요~
사고뭉치 덜렁이에 호기심 많은 덩치 큰 북극곰 빼꼼이 도시에서 대사없이 벌이는 각종 사건과 조금 모자란 듯 좌충우돌 실수투성이지만 무언가를 끊임없이 시도하고 도전하는 과정에서 친근한 감동과 웃음을 주는, 모든 사람들이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다.빼꼼이 일상생활에서 뭔가를 하려고 하면 대부분의 물건들이 박살나는 애니메이션이다. 물건들이 개박살 이상으로 산산조각이 난 사금파리와 잔해만 남는다. 빼꼼이 만지는 물건은 90% 이상 부서지거나 고장난다. 아예 손을 대거나 쳐다보기만 해도 플래그가 성립된다.
2. 특징
온갖 물건이 파괴되는 것과 빼꼼 및 주변 등장인물들의 열연으로 애니는 무척 재미있다. 사물을 통한 몸개그도 일품이다.2006년 8월 28일부터 12월 25일까지 매주 월~수 저녁 7시 30분마다 처음에 EBS에서 방영한 바가 있었고, 2006년 12월 26일부터 2007년 2월 21일까지 재방영했고, 2007년 8월 27일부터 2008년 6월 6일까지 월~금 오후 7시 20분 → 오후 7시 25분마다 재방영했다. 또한 2009년 2월 28일부터 8월 22일까지 토요일 오전 11시 55분마다 다시 재방영한 적이 있었고, 2011년 9월 2일부터 2012년 4월 10일까지 매주 금 오후 7시 40분 → 월~화 오후 7시마다 2차로 시즌 1기를 다시 재방영했고, 그리고 2012년 7월 16일부터 3차로 시즌 1기를 재방영하며 2013년 2월 19일까지 방영했고, 2014년 2월 24일부터 2014년 11월 25일까지 매주 월~화 오전 9시 35분마다 시즌 1기를 다시 재방영한 적이 있었다.
모든 에피소드가 짧기 때문에 투니버스에서 잠깐씩 틀어주기도 했으며,[11] 아이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았다. EBS에서 방영했을 당시에는 뽀롱뽀롱 뽀로로 다음가는 인기를 자랑했다. 성인들도 웃으면서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 중 하나이다. 어수룩하고 바보 같은 북극곰이라는 주제가 대중들에게 흥미롭게 보인 것 같다. 특히 항상 어딘가에서 떨어지면서 연출하는 개그씬이 특히 그렇다.
초기에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에서 쓰인 효과음이나 음악을 넣기도 했었다.[12][13]
첫 극장판인 <빼꼼의 머그잔 여행>은 2007년 개봉당시 한국 애니메이션들 중 최고로 높은 퀄리티를 보여주며 현재까지 재미있다는 평을 많이 받는 작품이다. 당연히 역대 빼꼼 극장판들중 가장 높게 평가받는 것도 덤.
2008년 6월, <야무야무 참참>의 후속으로 시즌 2기인 "빼꼼 2"라는 EBS에서 2008년 6월 9일부터 7월 14일까지 매주 월~금 저녁 6시 50분마다 방영했고,[14] 2008년 7월 15일부터 2009년 8월 18일까지 시즌 2기를 재방영했고, 그리고 2012년 4월 16일부터 7월 10일까지 시즌 2기를 2차로 재방영했다.
한때 스핀오프인 "빼꼼과 웃기는 녀석들"이라는 이름으로 EBS에서 2009년 8월 24일부터 2010년 2월 19일까지 매주 월~금 저녁 6시 50분부터 7시 10분까지에 방영을 했다. 여기서 레온, 고고피그, 못말리는 어린양 숀, Gazoon, 비키와 조니, 우당탕마을 또한 팻 & 스탠과 같이 나왔다.[15]
2010년 8월 3기인 "빼꼼 스포츠"라는 이름으로 EBS에서 2010년 8월 29일부터 2010년 11월 21일까지 방영했고, 2010년 11월 28일부터 2011년 2월 27일까지 시즌 3를 재방영했고, 2011년 12월 5일부터 2012년 2월 20일까지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에서 인서트 애니메이션을 재방영했다.
시즌 3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기념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2015년 7월, 국내 제작사였던 RG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중국선전알파문화유한공사에 80억원을 받고 판권을 팔았고, 이후 중국에 판권이 팔린 뒤의 극장판들은 중국 감독에 의해 만들어졌다. 원래는 한중 합작으로 시즌 4가 만들어질 계획도 있었던 듯하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영국 <CBBC>, 미국 <카툰네트워크>,[16] 프랑스 <M6>, 독일 <KIKA> 등을 포함한 북아메리카와 유럽 15개국에 수출했다고 한다. 몸개그는 지구촌 어디서든 공감이 되는 듯하다.
2002~2003년 파일럿판으로 추정되는 에피소드가 하나 있는데#,[17] 특이하게도 빼꼼이 메인이 아닌 족제비로 추정되는 한 캐릭터가 메인으로 나온다.[18] 해당 캐릭터는 빼꼼의 머그잔 여행 티저 트레일러에서도 나오는데, 정식으로 나올 때는 디자인이 리파인되어서 나왔다. 구 트레일러
이외에 현재 시즌 1 에피소드인 스카이다이빙,헬스클럽,빙벽타기,익스트림 스포츠(중후반부), 산행, 자판기,[리메이크][20] 골프,[리메이크] 풍선, 오아시스, 외계인과의 만남 2,[리메이크] 사진찍기[리메이크][24] 등이 파일럿 에피소드였다.[25]
플레이애니에서 무료로 볼 수 있었지만 계약이 종료되었는지 현재 비공개되었다. 현재는 TVING과 왓챠에서 스핀오프작 "빼꼼과 웃기는 녀석들"을 제외한 전 시즌과 극장판을 구독하여 시청할 수 있다.[26]
3.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애니메이션)/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애니메이션)/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만행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만행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만행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회차 목록
5.1. 시즌 1
통산 | 화수 | 방영제목 | 방영일자 (한국)[A] |
001 | 1기 01화 | 스카이다이빙[28] | 2006.08.28 |
002 | 1기 02화 | 외계인과의 만남 | 2006.08.29 |
003 | 1기 03화 | 헬스클럽 | 2006.08.30 |
004 | 1기 04화 | 빙벽타기 | 2006.09.04 |
005 | 1기 05화 | 복수혈전[29] | 2006.09.05 |
006 | 1기 06화 | 다이빙[30] | 2006.09.06 |
007 | 1기 07화 | 익스트림 스포츠 | 2006.09.11 |
008 | 1기 08화 | 스키타기[31] | 2006.09.12 |
009 | 1기 09화 | 산행 | 2006.09.13 |
010 | 1기 10화 | 꽃을 살려라 | 2006.09.18 |
011 | 1기 11화 | 자동차 여행 | 2006.09.19 |
012 | 1기 12화 | 스쿠버다이빙 | 2006.09.20 |
013 | 1기 13화 | 무인도 | 2006.09.25 |
014 | 1기 14화 | 자판기 | 2006.09.26 |
015 | 1기 15화 | 쥐잡기 | 2006.09.27 |
016 | 1기 16화 | 야구 | 2006.10.02 |
017 | 1기 17화 | 그네타기 | 2006.10.03 |
018 | 1기 18화 | TV보기 | 2006.10.04 |
019 | 1기 19화 | 볼링 | 2006.10.09 |
020 | 1기 20화 | 회전문 | 2006.10.10 |
021 | 1기 21화 | 자동차 경주 | 2006.10.11 |
022 | 1기 22화 | 카트 | 2006.10.16 |
023 | 1기 23화 | 농구 | 2006.10.17 |
024 | 1기 24화 | 골프 | 2006.10.18 |
025 | 1기 25화 | 박물관에서 | 2006.10.23 |
026 | 1기 26화 | 경비원 | 2006.10.24 |
027 | 1기 27화 | 풍선 | 2006.10.25 |
사진찍기 | |||
028 | 1기 28화 | 나방의 꿈 | 2006.10.30 |
029 | 1기 29화 | 피자 배달 | 2006.10.31 |
030 | 1기 30화 | 외발자전거 | 2006.11.01 |
031 | 1기 31화 | 감옥탈출 | 2006.11.06 |
032 | 1기 32화 | 자다가 생긴 일 | 2006.11.07 |
033 | 1기 33화 | 저주의 팬던트 | 2006.11.08 |
034 | 1기 34화 | 잠자기 | 2006.11.13 |
035 | 1기 35화 | 소매치기 | 2006.11.14 |
036 | 1기 36화 | 투우 | 2006.11.15 |
037 | 1기 37화 | 기찻길 | 2006.11.20 |
038 | 1기 38화 | 모터보트 | 2006.11.21 |
039 | 1기 39화 | 슈퍼마켓 | 2006.11.22 |
040 | 1기 40화 | 멧돼지 | 2006.11.27 |
041 | 1기 41화 | 로봇 1 | 2006.11.28 |
042 | 1기 42화 | 바퀴벌레 1[1,2?] | 2006.11.29 |
043 | 1기 43화 | 로봇 2 | 2006.12.04 |
044 | 1기 44화 | 꼴통[33] | 2006.12.05 |
045 | 1기 45화 | 집 떠나기 | 2006.12.06 |
046 | 1기 46화 | 산악 마라톤[34] | 2006.12.11 |
047 | 1기 47화 | 오아시스 | 2006.12.12 |
048 | 1기 48화 | 외계인과의 만남 2 | 2006.12.13 |
049 | 1기 49화 | 운수 좋은 날[35] | 2006.12.18 |
050 | 1기 50화 | 창문닦기[36] | 2006.12.19 |
051 | 1기 51화 | 보물찾기 | 2006.12.20 |
052 | 1기 52화 | 바퀴벌레 2[37][1,2?] | 2006.12.25 |
5.2. 시즌 2
통산 | 화수 | 방영제목 | 방영일자 (한국)[A] |
053 | 2기 01화 | 오케스트라 | 2008.06.09 |
무료입장[40] | |||
054 | 2기 02화 | 채플린 빼꼼[41][42] | 2008.06.10 |
도도 구하기 | |||
055 | 2기 03화 | 크리스마스 | 2008.06.11 |
검도 | |||
056 | 2기 04화 | 부메랑 | 2008.06.12 |
번지점프 1 | |||
057 | 2기 05화 | 마술램프 | 2008.06.13 |
조립라인 | |||
058 | 2기 06화 | 인라인 스케이트 | 2008.06.16 |
스케이트보드 | |||
059 | 2기 07화 | 헬스클럽 2 | 2008.06.17 |
다이어트 | |||
060 | 2기 08화 | 마술사 | 2008.06.18 |
기부하기 | |||
061 | 2기 09화 | 동물원 | 2008.06.19 |
포토부스 | |||
062 | 2기 10화 | 번지점프 2 | 2008.06.20 |
복싱 | |||
063 | 2기 11화 | 낚시 | 2008.06.23 |
신문 배달 | |||
064 | 2기 12화 | 보이스카우트 1 | 2008.06.24 |
외나무다리 | |||
065 | 2기 13화 | 열기구 | 2008.06.25 |
성화 봉송 | |||
066 | 2기 14화 | 스케이트 | 2008.06.26 |
스쿠버다이빙 2 | |||
067 | 2기 15화 | 축구 | 2008.06.27 |
포켓볼 | |||
068 | 2기 16화 | 오페라/지하철[43] | 2008.06.30 |
놀이공원 1 | |||
069 | 2기 17화 | 사과도둑 | 2008.07.01 |
놀이공원 2 | |||
070 | 2기 18화 | 화석[44] | 2008.07.02 |
엘리베이터 | |||
071 | 2기 19화 | 생일 | 2008.07.03 |
연날리기 | |||
072 | 2기 20화 | 식충식물[45] | 2008.07.04 |
잔디깎기[46] | |||
073 | 2기 21화 | TV보기 2 | 2008.07.07 |
원숭이 숲 | |||
074 | 2기 22화 | 사우나 | 2008.07.08 |
공사장[47] | |||
075 | 2기 23화 | 달나라여행 | 2008.07.09 |
보이스카우트 2 | |||
076 | 2기 24화 | 요리사 | 2008.07.10 |
첫 출근 | |||
077 | 2기 25화 | 배관공사 | 2008.07.11 |
벽지 바르기 | |||
078 | 2기 26화 | 신호등 | 2008.07.14 |
유령의 집 |
5.3. 시즌 3
통산 | 화수 | 방영제목 | 방영일자 (한국)[A] |
079 | 3기 01화 | 탁구 | 2010.08.29 |
에어로빅 | |||
수영 | |||
윈드서핑 | |||
080 | 3기 02화 | 경기장 가는 길 | 2010.09.05 |
스키 | |||
핸드볼 | |||
해머 던지기 | |||
081 | 3기 03화 | 배드민턴 | 2010.09.12 |
마라톤 2 | |||
펜싱 | |||
펠로타 | |||
082 | 3기 04화 | 스키 2 | 2010.09.19 |
장대 높이뛰기 | |||
창 던지기 | |||
역도 | |||
083 | 3기 05화 | 양궁 | 2010.09.26 |
가라데 | |||
패들 테니스 | |||
스포츠 기자 | |||
084 | 3기 06화 | 경보 | 2010.10.03 |
모터 레이싱 | |||
체스 | |||
골볼 | |||
085 | 3기 07화 | 농구 2 | 2010.10.10 |
실내축구 | |||
철인 3종 경기 | |||
높이뛰기 | |||
086 | 3기 08화 | 마장마술 | 2010.10.17 |
리듬체조 | |||
마라톤 3 | |||
럭비 | |||
087 | 3기 09화 | 단거리경주 | 2010.10.24 |
스노우보드 | |||
테니스 2 | |||
하키 | |||
088 | 3기 10화 | 축구 2 | 2010.10.31 |
비치 발리볼 | |||
모터사이클 | |||
올림픽 경기장 | |||
089 | 3기 11화 | 기계체조 | 2010.11.07 |
테니스 3 | |||
휠체어농구 | |||
유도 | |||
090 | 3기 12화 | 경보 2 | 2010.11.14 |
산악 자전거 | |||
카누 | |||
패러글라이딩 | |||
091 | 3기 13화 | 멀리뛰기 | 2010.11.21 |
농구 3 | |||
사이클 | |||
요트경기 |
한국에서만(?) 방영되지 않은 에피소드가 하나 있다. 몇 년 전까지는 한국에서 스페인판 버전으로 유튜브에서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 한국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해졌다.[줄거리]
6. 비판 및 논란
6.1. 지나친 폭력성
아동 애니메이션 치고는 폭력 묘사가 다소 지나치다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꼽힌다. 빼꼼이 지하철에 타다가 출입문에 머리가 끼이는 에피소드[50]나 노골적으로 캐릭터들의 폭력을 사용하는 에피소드가 그 예시인데, 옴니버스 애니메이션 답게 진짜로 죽는 에피소드도 많다.[51] 물론 죽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지는 않고 죽은 채로 끝난다. 아니면 아예 죽지 않고 기절하거나 부상만 입었을지도 모른다.빼꼼만 등장하는 에피소드[52]와 후다닥이나 꽁꽁 등과 자주 다투는 에피소드에서 이와 같은 폭력 묘사가 상당히 자주 나온다. 시즌이 지날수록 조금씩 줄어들기는 했지만 이와 같은 묘사는 빼꼼 시리즈 오리지널인 빼꼼 시즌 1의 폭력 묘사 빈도가 가장 높다. 빼꼼 시즌1 총 52개의 에피소드 중에서 절반이 넘는 약 26개 이상의 에피소드가 거의 대부분 액션을 연출하기 위해 이와 같은 문제가 나온다. 빼꼼 본인만 등장 하는 에피소드에서는 자신이 잘못해서 주로 벌어지는 일들이기는 하지만 인과응보를 묘사하기 위해 좀 과한 장면들이 나오며 심지어, 빼꼼이 폭력을 당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친구들(대표적으로 후다닥)에게도 폭력을 저지르기도 했다.
외계인과의 만남: 외계인이 자신의 의사를 잘 알아듣지 못한다는 이유로[53] 빼꼼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고 뺨을 갈겼다.[54]
산행: 멀쩡하게 산을 오르는 도중 산사태가 의심될 정도로 많은 바윗돌이 굴러떨어지는가 하면 우산을 접었을 때 비가 내리거나[55] 끝내 잘못한 것도 없는[56] 애꿎은 빼꼼에게 번개를 떨어뜨려 재로 만드는 등 누가 봐도 고의적인 폭력 묘사가 여러 번 나와 빼꼼이 불쌍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카트: 빼꼼이 화물차에 실려있던 드럼통을 도로에 떨어뜨려서 후다닥이 오토바이 충돌 사고로 죽는 묘사가 나온다.
농구: 농구공을 발로 차 튕겨 날려 후다닥이 맞고 서로 주고받는가 하면 후다닥의 긴 꼬리가 빼꼼의 큰 손에 거칠게 붙잡히는 장면이 클로즈업되어서 나온다. 빼꼼이 후다닥의 꼬리를 세게 잡아당기자 이를 버틸 수 없는[57] 후다닥의 꼬리가 늘어나며 후다닥이 꼬리에 엄청난 고통을 느끼게 되고, 이를 못 이긴 후다닥이 비명을 지르며 발버둥치는 장면이 나온다. 힘 차이가 너무 커서 후다닥은 저항조차 할 수 없었고, 빼꼼이 이미 완벽히 이긴 상황이었지만 빼꼼은 아랑곳하지 않고 화가 풀릴 때까지 후다닥의 꼬리를 더 세게 잡아당겨 후다닥을 사실상 고문했다. 이후 빼꼼이 고통에 몸부림치며 비명을 지르는 후다닥을 보고 웃는 장면이 나온다.
경비원: 빼꼼이 후다닥이 박물관을 빠져나가려는 때를 노리고 기계문을 닫아 결국 후다닥의 꼬리가 빠른 속도로 내려오는 문에 끼어버린다. 아동 애니라 그렇지 문의 무게와 기계의 출력을 감안하면 사실 후다닥의 꼬리는 문에 끼이는 순간부터 크게 다쳤을 것인데, 문제는 이 기계문이 말 그대로 길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 한 번 작동했는데 후다닥의 꼬리가 문과 바닥 사이에 끼어있어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후다닥의 꼬리를 짓누르더라도 완전히 닫힐 때까지 작동이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58] 잘못하면 기계문에 끼인 후다닥의 꼬리가 잘릴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지만 빼꼼은 그런 후다닥을 보고 웃음을 지었다. 후다닥은 급하게 꼬리를 빼내려 했지만 아무리 안간힘을 써도 꼬리는 꿈쩍도 하지 않았고, 빼꼼이 그를 보고 비웃자 후다닥이 빼꼼의 다리를 무는 장면이 나온다.
운수 좋은 날: 마지막에 빼꼼이 전신주에 깔리는 묘사가 나오는데, 이것도 빼꼼이 욕심을 부려 생선 트럭을 일부러 파손시켰으니 벌을 줘야겠다는 이유로 천사 모습을 한 꽁꽁이 일부러 전신주를 넘어뜨린 것이다. 폭력을 폭력으로 정당화한 셈이다.
이외에도 실제로 경험한다면 높은 곳에 매달리는 등 무서울 모습들이 많이 묘사된다. 심지어는 다른 것은 다 괜찮은데 유독 곤충의 모습(바퀴벌레 등)을 너무 쓸데없이 고퀼리티로 표현한지라 사람 보기에 따라 무섭거나 징그러울 수 있는데,[59] 이 때문에 바퀴벌레2 에피소드 논란까지 일었다.
6.2. 시즌 1 바퀴벌레2 에피소드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애니메이션)/시즌 1 52화 에피소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애니메이션)/시즌 1 52화 에피소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판권 이전 후 완전히 달라진 시리즈
판권이 중국으로 이전됨에 따라 사실상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 이후부터 나오는 영화는 사실상 캐릭터만 같은 기존 빼꼼 시리즈와는 전혀 다른 시리즈가 되었다.[60]역시나 가장 큰 비판점은 너무나도 달라진 이야기의 방향성이다. 원래는 옴니버스식 스토리로 톰과 제리와 같은 애니메이션이었지만 판권이 넘어간 이후부터는 기존에 있었던 옴니버스식 스토리 라인을 다 엎어버리고 빼꼼을 스파이 요원으로 내세워 아예 새로운 서사가 있는 스토리를 가진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특수요원 빼꼼에서 빼꼼이 언어를 구사한다는 설정을 넣으면서 엄청난 호불호, 특히 고전 팬들은 대다수 불호를 표출할 정도로 이전의 빼꼼과는 티가 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달라졌다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큰 비판점은 판권이 넘어가면서 질이 낮아진 극장판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뻔한 스토리, 어색한 CG 그래픽, 억지스러운 서사 등 평가는 극장판이 나올수록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영화보다는 나은 수준이긴 하지만 바뀐 성우와 더욱 깊어진 현대화,[61] 캐릭터 디자인 등으로 이질감이 느껴진다. 다만, 빼꼼이 2002년에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7. 미디어 믹스
7.1. 극장판
7.1.1. 빼꼼의 머그잔 여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의 머그잔 여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의 머그잔 여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2.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7년 5월 3일 10년 만에 오랜만으로 돌아온 빼꼼의 극장판. 중국에 판권이 넘어가면서 표면상으로는 중국 측에서 제작했지만 실제로는 알지애니메이션과 임아론 감독이 대부분 제작했다. 2017년 1월에 중국에서 먼저 개봉했다. 한국 관객은 전국 9만 9천명.
7.1.3. 특수요원 빼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특수요원 빼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특수요원 빼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의 후속작. 3번째 극장판.
7.1.4. 빼꼼: 미션 투 마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 미션 투 마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 미션 투 마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빼꼼의 4번째 극장판.
7.2. 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빼꼼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오류
의외로 이 애니메이션에도 오류가 많다.8.1. 고증 오류
- 북극곰인 빼꼼이 다이어트 편에서 몸무게를 쟀을 때 180kg으로 나왔는데, 실제 수컷 북극곰은 300kg을 넘는다. 다만, 이는 고증 오류가 아니라면 빼꼼이 어렸을 때로 추정된다.
- 도마뱀인 후다닥이 펭귄인 꽁꽁과 도도 혹은 베베보다도 크다.
- 펭귄은 남극에 사는 동물인데, 극장판에서는 꽁꽁과 도도가 북극에 있었다. 또한, 꼬리가 없는 경우가 있다.
8.2. 설정 오류
- 캐릭터들이 살고 있는 집의 모습이 자주 바뀌는데, 이사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런 것 치고는 너무 자주 바뀐다. 이는 옴니버스 애니라고 퉁치면 별 문제가 없는 부분이다.
8.3. 작화 오류
- 시즌 1 14화 자판기에서 플러그가 없었다가 생겼다.
- 시즌 1 15화 쥐잡기에서 빼꼼이 뿅망치를 들었는데 원래 있던 자리에 망치가 그대로 있었다.
- 시즌 1 30화 외발자전거에서 빼꼼과 후다닥이 H빔 위에 올라가고 집게가 H빔을 들어올렸을 때 후다닥의 선글라스가 사라졌다. 이후 공사장 끝에 갔을 때 후다닥의 눈에 선글라스가 생겼다가 다시 사라졌다.
- 시즌 1 39화 슈퍼마켓에서 빼꼼이 진열대에 부딪혀 떨어진 캔 하나가 후다닥의 카트 쪽으로 굴러갈 때 상품 진열대가 하나 더 생겼다.
- 시즌 1 52화 바퀴벌레 2는 다른 에피소드들보다 작붕이 많은데, 아마 원본 논란 때문에 리메이크 버전을 급하게 만들다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빼꼼이 지하실로 굴러떨어졌을 때 열려있던 환풍구 블라인드가 갑자기 닫혔고, 선반 위의 양동이도 사라졌다.[62] 이후 후다닥이 빼꼼을 쫓아낼 때 밖에 문 손잡이가 2개 있었는데, 아마 후다닥은 몸집이 작으니 1개 더 달아놓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안쪽에는 문 손잡이가 하나만 있고 후다닥이 위에 있는 손잡이로 문을 열었다. 그리고 빼꼼이 후다닥을 때리고 당황한 빼꼼의 모습을 보여주고 다시 후다닥의 모습을 보여줄 때 파리채의 한쪽 부분이 세모 모양이 되었는데, 후다닥이 빼꼼에게 던질 때 모양이 원래대로 되돌아왔다.
- 시즌 2 12화 마술램프에서 후다닥의 선글라스의 한쪽 알이 빠졌는데, 이후 후다닥이 감옥에 갇혔을 때 고쳐져 있었다.
- 시즌 2 28화 포토부스에서 후다닥을 쫓아갈 때 꽃병 1개가 떨어져 깨지고 이후 4개를 떨어뜨렸는데, 깨진 꽃병 1개가 사라졌다.
- 시즌 2 44화 첫 출근에서도 작붕이 많은데, 빼꼼이 서류를 복사할 때 복사기에서 나온 종이 아랫부분이 일시적으로 검은색이 되었고, 빼꼼이 복사기를 칠 때 종이들이 사라졌다. 그리고 빼꼼이 복사기에서 종이를 뺄 때 처음에는 손이 엉뚱한 곳에 갔고, 이후 빼꼼이 사무실에서 쫓겨날 때 유리에 비쳤던 후다닥과 빼꼼의 모습이 사라졌다.
- 시즌 2 45화 요리사에서 케이크가 날아갈 때 밑에 있던 꽁꽁과 숟가락이 사라졌다.
- 시즌 3 27화 철인 3종 경기에서 꽁꽁이 수영 경기에서 도착 지점에 다다랐을 때 머리에 있던 수영모가 사라지고 꽁꽁의 머리카락도 사라졌다가 나중에 생겼다. 게다가 인라인 스케이트 경기에서 꽁꽁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바퀴가 달려있지 않았다.
9. 기타
- 현재 시즌 1, 2, 3은 Anima kids와 BRB가 공동으로 관리해서인지 유튜브에서 한국 IP로 볼 수 없는 영상들이 많다. 또한, 예전에는 Anima kids가 빼꼼의 스페인 버전인 El Oso Berni도 방영했지만 관련 영상은 모두 내려갔고, 이제는 BRB에서도 Bernard bear(미국 버전)만 방영한다.
빼꼼은 방영조차 되지 않았다는 것이 함정
- 외국판으로 방영할 때 음악, 효과음, 음성 전부 재더빙되었다. 음악이 더 진지해진 편이고 빼꼼의 음성도 조금 더 으르렁거리는 편이다.[63]
[1] 빼꼼 2, 빼꼼과 웃기는 녀석들, 빼꼼 스포츠[2] 스핀오프는 빼꼼과 웃기는 녀석들.[3] 1기: 52화 + 2기: 26화(53화~78화) + 3기: 13화(79화~91화)[4] 1화당[5] 영어[6] 러시아어[7] 시즌 1~3까지[8] 한국의 RG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EBS, 스페인의 BRB라는 회사가 공동으로 제작했다. 미국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지원했는지 알 수 없다.[9] 이 때문인지 EBS에서 저작권 등을 이유로 빼꼼 다시보기가 내려갔다.[10] 시즌 4까지는 어느 정도로 전작의 캐릭터들이 등장하지만 시즌 5~6에서 꽁꽁과 도도만 나오고, 시즌7부터 완전히 다른 캐릭터들이 등장하게 된다.[11] 정식 방영은 EBS에서 한다.[12] 시즌 2부터는 넣지 않는다.[13] 특히 스카이다이빙, 외계인과의 만남, 헬스클럽, 빙벽타기 에피소드에서 많이 볼 수 있다.[14] 이때 오프닝이 과거 플레이애니가 업로드한 오프닝이 아닌, 빼꼼 오프닝에서 로고만 빼꼼 2로 변경했었다. 이는 후속작이자 스핀오프인 빼꼼과 웃기는 녀석들에서도 동일하다.[15] 2009년. 2009년에 대한 프로그램은 EBS 목록 참조.[16] sunday pants라는 프로그램에서 방영했다.[17] 내용은 족제비로 추정되는 캐릭터가 껌을 씹다가 껌을 하늘 위에 뱉다가 떨어지던 껌이 발에 달라붙어서 떼어내려고 몸부림치지만 잘 떨어지지 않는 내용이다.[18] 마지막에 빼꼼도 등장하는데, 껌이 족제비로 추정되는 캐릭터의 입에 들어간 것을 보고 구토하며 도망간다.[리메이크] 이 에피소드는 EBS 방영 때 다시 만들었다.[20] 구 배경은 해변가로, 후다닥이 선글라스를 쓰지 않고 빼꼼 2마리가 후다닥을 괴롭히는 식이다. 이외의 줄거리도 다르다.[리메이크] [리메이크] [리메이크] [24] 이전 배경은 북극이었다.[25] 일부 빼꼼 사망 에피소드에는 빼꼼의 영혼이 벽에 'rg animation studio'라고 적힌 문구를 보고 뛰어가는 에필로그가 나온다.[26] 해외판과 과거 EBS 녹화본으로 무료로 시청하는 것도 가능은 하다.[A] 한국 방영일은 EBS 방영 기준.[28] 이 에피소드는 빼꼼의 머그잔 여행 극초반에 다시 사용되지만 떨어지는 장소가 다르다.[29] 후다닥 첫 등장 에피소드.[30] 꽁꽁 첫 등장 에피소드.[31] 최초로 사람에 대한 사망이 암시된 에피소드인데, 주변에 가방, 고글 등이 널브러져 있는 것에서 사람들이 스키를 타다가 조난당한 것을 암시한다. 에피소드 자체는 밝아보이지만 이후 블랙 코미디적인 요소가 점점 짙어지는 것으로 보아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1,2?] 내용만 봐서는 2가 바퀴벌레 소독 회사에 입사한 것으로 묘사되지만 1은 이제 어느 정도 익숙해져 집집마다 소독하러 가는 것으로 묘사되어 2에 비해 더 프로다운 모습을 보여서인지 각 OTT(티빙, 아이들나라)에서 설명이 혼돈되있다.[33] 꼴통 첫 등장 에피소드.[34] 꼴통과 도도(꼴통은 시즌 1 44화에서만, 도도는 시즌 2부터 등장한다.)를 제외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신호총을 든 캐릭터는 베베로 추정된다.[35] 빼꼼이 도로를 향해 돌멩이를 걷어찰 때 다섯 번째 건물이 보이는데, 스튜디오 이름인 위의 간판에 '알지 뷔페'라고 적혀있는 이스터에그가 있다.[36] 빼꼼이 풍선으로 떨어질 때 오른쪽 옆 건물의 위에 있는 간판에 '알지 뷔페'라고 적혀있는 이스터에그가 있다.[37] 모든 에피소드 중 유일하게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한 버전은 이슈화되지는 않았지만 논란 문서에서 보듯이 모든 사람들이 보기에 문제가 되는 버전이다. 제작진에서도 이 사실을 인지했는지 리메이크 버전으로만 재방송했다.[1,2?] [A] [40] 플레이애니에서는 '공짜입장'이라고 쓰여있다.[41] 플레이애니에서는 '찰리빼꼼'이라고 쓰여있다.[42] 도도 첫 등장 에피소드.[43] 중간에 부산 전철 노선도가 나온다.[44] 플레이애니에서는 '고생물'이라고 쓰여있다.[45] 플레이애니에서는 '식빵식물'이라고 쓰여있다.[46] 플레이애니에서는 '잔디깍기'로 오타가 나 있다.[47] 플레이애니에서는 '공사현장'이라고 쓰여있다.[A] [줄거리] 모든 인물이 휠체어를 타고 있는데 빼꼼이 휠체어를 타며 횡단보도를 건너려는데 차가 많아서 지나가지 못한다. 이때 꽁꽁이 횡단보도 신호기 설명을 해줘 건너다가 차 앞에서 장난을 치고 신호가 바뀌어 치일 뻔했다. 이후 도도와 합류하여 어찌저찌 경기장 앞까지 갔으나 매우 긴 계단에 일행은 놀란다. 꽁꽁과 도도는 포기하지만 빼꼼만 포기하지 않고 가까스로 휠체어를 타고 계단을 오른다. 간신히 도착했지만 옆에는 장애인 전용 길이 있었고, 화가 난 빼꼼은 성질을 부리다 계단으로 떨어지며 끝이 난다.[50] 사실 회전문 에피소드에서도 한 번 끼었었다.[51] 1기에서는 내용답게 죽는 에피소드가 많았으며, 2기에는 조금 나오지 않지만 살짝 나오는 것은 마찬가지다. 3기에서는 나오지 않는다.[52] 즉, 자신의 잘못으로 인과응보를 맞이하는 개인형과 다른 캐릭터들과 다투는 단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53] 빼꼼이 구조 신호를 보내달라는 외계인의 의사를 알아듣지 못했다. 그런데 솔직히 보면 당연한 것이 캠핑을 와서 자다가 일어난 동물의 캠핑카에 난데없이 들어와서는(심지어 급하다는 이유로 무단침입했다.) 이거 하랴 저거 하랴, 안 하면 때리는데 이해가 될 리가 없다.[54] 이마저도 도와달라는 자세가 아니라 누가 봐도 안 하면 때리겠다는 모습이다.[55] 빼꼼이 우산을 접고 펼 때마다 그 속도에 맞춰 비도 내렸다 그쳤다를 점점 빠르게 반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6] 등산 도중 실수로 돌부리에 발을 찧은 것이 전부이기 때문이다.[57] 후다닥의 긴 꼬리를 감싸쥐고 있는 빼꼼의 손가락 하나하나가 잡힌 후다닥의 꼬리보다 2배는 두꺼웠다.[58] 일반적인 기계문이라면 경고음과 함께 작동이 멈췄겠지만 이 기계문은 그렇지 않았다. 실제로 완전한 차단을 위해 만들어진 방화문에 사람이 끼어 크게 다치는 사례가 있다.[59] 물론 벌레만 나온다고 해서 심의에 걸릴 수는 없다. 아예 대놓고 벌레에 대해 다루는 전체이용가 프로그램도 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불쾌감은 어느 정도 든다.[60] 그래도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 편은 임아론 감독이 판권을 넘기기 직전에 제작되어서 어느 정도 전통성을 갖추고는 있다. 캐릭터가 시즌 3풍에서 시즌 1~2풍으로 돌아갔고, 밸런스도 적절히 맞춘 편이다.[61] 사실 이 부분은 시즌 2부터 완전히 망가졌다. 북극곰의 이미지가 이때부터 사라지기 시작한 것이다.[62] 원본에서는 이런 작붕이 없었다.[63] 이는 중국판을 제외한 해외 수출판이 모두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