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20:24:23

케이팝 데몬 헌터스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케이팝 데몬 헌터스|{{{#!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3b0c9><tablebgcolor=#fff,#1c1d1f> 파일: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letter-spacing: -.2px"
파일:openseason.png 부그와 엘리엇 · 부그와 엘리엇 2 · 부그와 엘리엇 3 · 부그와 엘리엇: 늑대 인간의 공포
파일:surfsup.png 서핑업 · 서핑 업 2: 웨이브 마니아
파일:cwacom.png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2
파일:smurfs.png 개구쟁이 스머프 · 개구쟁이 스머프 2 · 스머프: 비밀의 숲
파일:hoteltransylvania.png 몬스터 호텔 · 몬스터 호텔 2 · 몬스터 호텔 3 · 몬스터 호텔 4: 뒤바뀐 세계 · 몬스터 모텔
파일:goosebumps.png 구스범스 · 구스범스: 몬스터의 역습
파일:spiderverse2.png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 · 스파이더펑크
단독 영화 <colbgcolor=#808080><colcolor=#fff,#000> 2010년대 아더 크리스마스 · 허당 해적단 · 이모티 더 무비 · 더 크리스마스 · 피터 래빗 · 앵그리 버드 2: 독수리 왕국의 침공
2020년대 미첼 가족과 기계 전쟁 · 위시 드래곤 · 비보의 살아있는 모험 · 케이팝 데몬 헌터스 · 오늘만은 수컷이고 싶어 · 고트 }}}}}}}}}


파일:케데헌로고.webp
[ 등장인물 ]
||<tablewidth=100%><bgcolor=#462955,#324b74> 파일:헌트릭스_로고.png||<bgcolor=black> 파일:사자보이즈로고.png ||
귀마 · 더피와 서씨· 기타 등장인물
[ 사운드트랙 ]
||<tablewidth=100%><width=10000><bgcolor=#462955,#324b74> 파일:헌트릭스_로고.png ||<color=#000,#fff><bgcolor=#ffffff,#1c1d1f><width=75%>How It's Done | Golden | Takedown | What It Sounds Like ||
파일:사자보이즈로고.png Soda Pop | Your Idol
그 외 TAKEDOWN(TWICE) | Strategy | Free | 사랑인가 봐 | 오솔길 | Score Suite | Prologue (Hunter’s Mantra)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bgcolor=#fff,#1c1d1f><:> 줄거리
설정
( 헌터 · 악령 )
무대탐방
논란 및 사건 사고 ( AI 합성 음란 영상 논란 )
NETFLIX 오리지널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
K-Pop Demon Hunters
파일:케이팝 데몬 헌터스.jpg
<colbgcolor=#000080,#000080><colcolor=#afeeee,#afeeee> 장르 어반 판타지, 음악, 뮤지컬, 슈퍼히어로, 퇴마, 액션, 코미디 호러, 무속, 아이돌
감독 매기 강[1]
크리스 아펠한스[2]
각본 다냐 히메네스
해나 맥메찬
매기 강
크리스 아펠한스
원안 매기 강
제작 미셸 웡
출연 아덴 조, 안효섭, 메이 홍, 유지영, 김윤진, 켄 정, 이병헌
편집 네이선 샤우프
음악 마르셀루 우쇼아 자르부스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넷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파일:미국 국기.svg 컬럼비아 픽처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크리에이티브 BC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넷플릭스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6월 20일 제한 개봉[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5년 8월 23일 싱어롱 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25년 9월 20일 제한 개봉[4]
공개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6월 20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8월 25일 싱어롱 버전
화면비 2.35:1
상영 시간 99분 (1시간 39분)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81498621|▶]]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82125877|▶]]
#!if 주석2 != null
^^싱어롱 버전^^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5][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_logo.pn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비스테이지 아이콘.svg공식 팬 커뮤니티

1. 개요
1.1. 포스터1.2. 티저 포토
2. 예고편
2.1. 시놉시스
3. 등장인물4. 설정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무대탐방8. 평가9. 흥행
9.1. 역대 신기록 목록9.2. 넷플릭스9.3. 영화관9.4. 사운드트랙
10. 탐구
10.1. 모티브10.2. 현실과 다른 점
11. 밈12. 논란 및 사건 사고13. 콜라보
13.1. 삼성전자13.2. 농심13.3. 서울특별시13.4. 파리바게뜨13.5. 에버랜드13.6. 카카오톡13.7. GS2513.8. 에잇세컨즈13.9. 포트나이트13.10. 유사 콘텐츠
14. 기타
14.1. 제작 관련14.2. 국적 관련14.3. 지적재산권 관련14.4. 후속작 가능성 (협상 중)
15.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6월 20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대한민국K-POP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최초의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이며 역사상 최초로 K-POP 음악을 활용한 뮤지컬 애니메이션이다. 한국 약칭은 '케데헌', 영미권 약칭은 'KPDH'로 통하는 경우가 많다.

==# 개봉 전 정보 #==
  • 세계적 인기를 누리는 케이팝 걸그룹이 주인공으로 이들이 가수로 활동하는 와중에 비밀리에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악마 사냥꾼으로도 활약하는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 슈렉 시리즈의 제작자 애런 워너도 프로듀서로 제작에 합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TWICE정연, 지효, 채영이 사운드트랙에 참여한다는 것을 공개했다.

1.1. 포스터

파일:케이팝 데몬헌터스 포스터(한국).jpg
▲ 포스터

1.2. 티저 포토

파일:루미_티저포토.jpg 파일:미라_티저포토.jpg 파일:조이_티저포토.jpg
루미 미라 조이
파일:사자보이즈_티저포토.jpg
사자 보이즈

2. 예고편

▲ 공식 예고편 ▲ 한국어 공식 예고편

2.1. 시놉시스

파일:케데헌 한글 로고.jpg

케이팝 슈퍼스타 루미, 미라, 조이. 매진을 기록하는 대형 스타디움 공연이 없을 때면 이들은 또 다른 활동에 나선다. 바로 비밀 능력을 이용해 팬들을 초자연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줄거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줄거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사운드트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무대탐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4205554, IMDb_user=7.6,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kpop_demon_hunters, 로튼토마토_tomato=95, 로튼토마토_popcorn=99,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kpop-demon-hunters, 메타크리틱_critic=77, 메타크리틱_user=8.0,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kpop-demon-hunters, 레터박스_user=3.6,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왓챠=mW42oMq, 왓챠_user=3.5,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43536, 키노라이츠_light=95.55, 키노라이츠_star=3.6,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케이팝 데몬 헌터스, 네이버영화_audience=9.59,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91011, 알로시네_presse=없음, 알로시네_spectateurs=4.1,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8043830, 키노포이스크_user=7.9,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TMDB=803796, TMDB_user=83,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k-pop-demon-hunters, 무비파일럿_user=7.1,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JustWatch=keipab-demon-heonteoseu, JustWatch_user=90, ## JustWatch_highlight=display,
Filmarks=117010, Filmarks_user=3.8,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391124, 도우반_user=6.6, ## 도우반_highlight=display,
기획을 제대로 관철시키는 스타일과 귀에 쏙쏙 꽂히는 수록곡의 파워.
이동진 (★★★)
단순히 K-POP에 대한 러브레터가 아닌, K-POP을 둘러싼 문화에 대한 예리한 관찰, 그리고 흔들리지 않는 시선
- 데이비드 티자드(David Tizzard) / 코리아 타임스 리뷰 中
  • 2021년 처음 제작을 시작했을 때는 제목에 '케이팝'이 대놓고 들어가는 것부터 한류의 인기에 편승하려는 것, 또는 흔한 국뽕 계열 미디어가 아니냐는 냉소적인 인식이 있었다.[7] 게다가 2021년에 제작을 발표한 이후로 4년간 소식이 없기까지 해서[8] 진짜 베이퍼웨어 아니냐며 불안해하는 의견도 커졌다. 하지만 2025년 예고편 공개 후 높은 퀄리티로 기대치가 반등했고, 'K-POP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주인공들이 저승사자 보이그룹에 맞서 팬들을 지켜낸다'는 콘셉트도 재밌다는 평이다. 악령을 사냥하는 퇴마 아이돌굿을 행하는 무당을 현대 어반 판타지 히어로로 재해석[9]한 것으로, 남산서울타워, 한국 요리, 사인검, 일월오봉도, 까치호랑이(작호도) 스타일의 호랑이, 기와집 등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 문화자연스럽게 묘사되어 있다는 점도 호평받았다. 즉, 제목을 유치하게 지어서 진입장벽을 스스로 만든 것이 문제이지 퀄리티는 준수한 작품이다.[10]
  • 공개 이후에는 장단점이 아주 명확히 존재하는 애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으로 일단 이러한 장르적 문법을 충실히 따르는 정통 왕도물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킬링타임 용도의 뮤지컬 오락 상업 애니메이션으로 특별할 것 없는 예상 가능한 스토리와 메시지를 가졌지만 이게 주 타깃인 아이들의 입장에서 이해가 쉬웠기에 결과적으로 저연령 여아와 가족 계층의 공략에 성공했다는 평이 있다.[11]
  • 과거 동양을 소재로 한 해외 자본의 작품에서 한중일 3국의 요소가 마구 혼재되어 이도저도 아닌 배경의 어색한 작품들이나 그냥 동양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동양풍 요소들을 적당하게 섞은 오리엔탈리즘적인 작품들이 많이 나왔고[12] 실제와 다른 구현 오류가 넘쳐났던 것과 다르게 실감 나는 묘사를 보여주고 있어 호평하는 의견이 있다.[13]
  • 비판도 존재하는데 일단 후반부 스토리는 날림에 가깝게 전개된다는 평가가, 루미를 제외한 다른 구성원인 미라와 조이의 서사가 지나치게 추측에 의존하는 면이 있다는 점, 혼문 자체에 갑작스레 절망하게 된 루미가 돌연 개심하는 등 절정부의 플롯이 급작스럽게 전개되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평론가 이동진도 스토리 문제에 대해서 비판했다.
  •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특히 오히려 외국인들은 얼핏 반영 오류 아닌가 의문을 표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작 한국인들이 현실 반영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부분은 옷차림에서도 드러난다. 온대기후에 사계절이 뚜렷하다 못해, 겨울은 시베리아를 방불케 하는 엄동설한, 여름은 더 습하고 더운 동남아에서 온 사람들도 더 힘들어 할만큼 극단적이면서, 특히 이 사이 환절기에 해당하는 봄 가을에는 패딩 점퍼, 스웨터, 하와이안 반팔, 민소매 탱크탑, 얇은 후드와 두꺼운 후드티나 집업 등이 모두 같은 시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제대로 표현한 것 역시 고평가 요소이다. 당장, 베이비의 스웨터, 애비의 하와이안 반팔 티셔츠, 미스터리의 팔토시, 조이의 탱크탑, 루미의 터틀넥+두꺼운 후드 및 중간중간 드러나는 일반인들의 패딩점퍼 차림과 반팔 또는 여성 민소매 패션 등등이 그것.
    심지어, Han의원 방문 때의 헌트릭스 멤버들의 복장을 보면 더 가관이다. 바로 직전에는 미라가 하의실종 롱스웨터, 조이가 팔꿈치 반팔 박스티, 루미는 터틀넥+후드티였으나 다음날 미라는 아예 민소매 조끼 한 겹에 박스핏 팬츠, 조이는 봄가을용 두꺼운 라운드티에 두꺼운 린넨 점퍼 두 겹에 반바지, 루미는 터틀넥+후드티+린넨 트랜치 코트로 세 겹에 조거팬츠다. 아예 봄 가을에는 기분, 컨디션, 날씨, 체질에 따라 완전히 서로 다른 옷을 입는 실제 상황을 그대로 재현한 것에 가깝다.
  • 본래는 죽은 자들을 저승으로 인도한다는 저승사자가 인간들의 영혼을 노리는 악역으로 나오는 부분은 공개 전후를 통틀어 호불호가 갈렸는데, 단지 인간이었다가 악귀가된 자들이 저승사자의 '모습'만 띠고 있을 뿐 실제 설정상 저승사자는 아니다.
  • 한국 문화 재현이나 이야기만 좋은 것에 그치지 않고, 뮤지컬 영화로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완성도가 큰 호평을 받았다. 해외 한국계 예술가들이 한국계의 자존심을 걸고 다 같이 모여서 혼을 갈아 넣은 품질의 기획과 작사·작곡을 선보인 데다 헤메코와 안무와 카메라 워킹까지 더해지면서 플롯의 설득력을 크게 끌어올렸다. 모든 사운드트랙이 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공개 일주일 만에 스포티파이 최상위권에 OST 전곡이 올랐다. 기존 뮤지컬 영화가 이야기 전개 도중에 음악이 삽입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기에 작중에서도 실제 뮤직비디오 형태 또는 안무를 동반한 무대로 노래를 선보였는데, 뮤직비디오 및 무대 모두 기억에 남을 만큼 멋지게 뽑았다는 반응이 많다. 특히 사자 보이즈의 무대는 남자 아이돌에 관심 없던 남성 시청자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이 사운드트랙 호평에 힘입어, 2025년 7월 4일에는 미국 스포티파이 데일리 송 차트에서 사자 보이즈Your Idol(1위)과, Soda Pop(10위)이, 그리고 헌트릭스Golden(2위)과, How It's Done(8위)이 나란히 차트 최상위권에 차트인했고, 이어서 7월 9일에는 헌트릭스의 Golden이 사자 보이즈의 Your Idol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며 현실에서 가상의 두 아이돌 그룹이 영화 내용처럼 엎치락뒤치락하며 차트 경쟁을 벌이는 기현상까지 낳았다. 이는 그룹 명의로 발표된 K-POP 장르 곡 중 역대 최고의 성적으로, 기존의 방탄소년단이나 BLACKPINK 등의 최정상 K-POP 아이돌도 달성하지 못했던 기록이다(기사). 흔히 한국에서 주목하는 빌보드는 앨범 구입 등 팬덤파워가 작용할 수 있는 반면 스포티파이나 애플뮤직에서 선전하는 것은 대중적 관심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 주역 3인방의 맥락 없는 얼굴개그가 은근한 병맛을 자랑[14]하는데, '케이팝 아이돌'이라는 존재 역시 무대 위 모습 외 인간적인 면모가 넘치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점을 보여준 부분도 호평을 받았다.
  • 아이돌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보니 시청자들이 실제 아이돌 팬덤처럼 덕질하는 특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헌트릭스사자 보이즈의 팬이 되어 서로를 견제하는 듯이 말다툼하는 등의 상황극에서 나아가, Soda Pop이나 Your Idol 아이돌 멤버별 직캠을 따로 업로드한다거나 기존 케이팝 곡들에 많이 있던 '한국어 한글 표기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영어 해석' 형식의 가사 영상이 업로드되거나, 챌린지 영상들이 만들어지는 등.
  •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보니 양쪽 덕후들이 모두 유입된 것 또한 특징이다.[15] 아이돌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애니메이션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아이돌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그만큼 작품 내에서 아이돌과 그들의 음악, 무대를 현실에 가깝게 멋지게 표현해냈으며 애니메이션 자체의 완성도도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 게다가 대흥행에 힘입어 실제 케이팝 아이돌들도 본 작품을 감상하고 나서 Soda Pop 등의 안무 챌린지 영상을 직접 찍고 Golden 커버에 도전하는 등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 도입부가 시청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기대를 한껏 높였다는 팬들의 평이 존재한다. 조선 시대 무당에서 이어져 오는 서사를 통해서 왜 케이팝 가수가 퇴마를 하는지 명료하게 설명해주었고, 비행기에서의 전투와 How It's Done 공연을 통해서 작품의 뛰어난 노래를 소개해주는 동시에 헌트릭스의 전투력을 보여줘서 왜 악령 측이 아이돌 작전으로 나서는지에 대한 개연성도 깔끔하게 설명해주었다.[16]
  • 무엇보다 넷플릭스 1위를 석권하고 사운드트랙이 빌보드 1위까지 가는 등 흥행에 성공하면서 생긴 현상은 오징어 게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 작품으로 등극했다. 최대 1조원의 IP가치와 영화 자체의 수익은 미국의 넷플릭스와 일본의 소니 측에서 벌었다고 해도, 이 영화의 존재가치 하나만으로 전세계적으로 다시 한류 열풍을 일으켰다는 평가도 있다. 구글 검색어 트렌드부터가 2025년 8월 말 한국 전반에 관한 검색량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 당시 수준을 넘었을 정도였으며 전세계적으로 영화에 대한 인기가 넘쳐나는 바람에 대한민국의 관광, 식품, 전자, 뷰티업계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관련한 마케팅을 이용하면서 크게 활성화되었다.[17] 각종 한국적 요소들과 캐릭터들로 문화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은 연일 최다 관람객을 돌파했고 대통령도 국제 외교무대에서 마음 편하게 이야기를 꺼낸뒤 감독을 만나 지원을 약속했을 정도. 여러모로 단순 흥행작을 넘어 오징어 게임처럼 세계적으로 한류 열풍을 끌어낸 작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 넷플릭스는 이전부터 한국 컨텐츠가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한국에 투자해온 OTT 기업으로 유명한데, 본 작품이 흥행에 크게 성공하면서 한국에 더욱 더 적극적으로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감독 매기 강이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으로는 처음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소니측에 먼저 제의를 했었으나 거절당했고, 이후 넷플릭스에 제안했는데 매기 강의 제안을 무척 마음에 들어하며 계약에 성공했다고 한다.# 제작하는 동안 제작진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

9. 흥행


작품이 처음 발표됐을 때까지만 해도 대중들의 인식은 넷플릭스에서 나오는 K-POP 홍보 애니메이션이라는 정도가 전부였으나, 빠르게 입소문을 타면서 미국을 위시로 한 전 세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아래 성적표를 보면 알겠지만 어지간한 국가에서 넷플릭스 조회수 1위를 달성했을 뿐 아니라 빌보드 차트에서 케데헌 OST 역시 1위인 Golden을 포함해 대부분 10위권 내에 안착했으며, 엄청난 인기 덕분에 미국 일부 극장에서 개봉한 싱얼롱 상영관이 전부 매진되기도 하였다.

또한 케데헌의 성공은 미디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미국에 사는 한인들 사이에서도 케데헌의 인기는 과장이 아닌 현실이라고 증언하고 있으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케데헌 OST를 듣거나 노래 부르는 것을 정말 흔하게 볼 수 있다고 한다. 외국인들은 애니메이션에 관심을 갖는 것을 넘어 아예 한국한국 문화 자체에 관심을 가지게 됐으며, 실제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오픈런 대기줄이 생겨 굿즈가 품절나고, 관광객 수도 전년도 대비 크게 늘어났음이 확인되었다.

9.1. 역대 신기록 목록

  • 넷플릭스 부문 #TUDUM
    • 넷플릭스 영화/TV쇼 작품 역대 통합 조회수 1위 최종 누적 시청 그래프[18]
    • 넷플릭스 역사상 최초 3억 조회수 돌파(공개 13주차)[19]
    • 넷플릭스 영화 부문 역사상 최초 5억 시청시간 돌파(공개 13주차)[20]
    • 넷플릭스 영화/TV쇼 작품 최초 글로벌 주간 순위 8주 1위 돌파(공개 15주차)[21]
    • 넷플릭스 영화/TV쇼 작품 역대 최장기간 연속 글로벌 TOP10 기록. 15주 연속 TOP10 기록 중(현재 진행형)[22]
  • 음원 부문
    • 미국, 빌보드 차트
    • 영국, 오피셜 차트
      • Golden,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 애니메이션 OST 역사상 최다 기록8주 1위 기록.[28] 이는 21세기 애니메이션 OST 기준으로는 단독 최장 기록이며 1969년 발표한 The Archies의 Sugar, Sugar와 타이 기록.#
      • 오피셜 차트 역사상 최초로 OST 3곡[29]이 동시에 TOP5 순위를 기록한 케이팝 등극#
      • 싸이강남스타일 이후 13년만에 처음으로 1위를 기록한 케이팝
    • 스포티파이
      • Golden, 스포티파이 6억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2025년 여성 아티스트 최다 스트리밍 곡 등극#
      • 아시아 아티스트 역사상 가장 빠르게 30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사운드 트랙
      • Golden, 스포티파이 글로벌 차트 기준, 케이팝 역사상 최장기간 1위 기록#[30]
    • 국내 음원 사이트
  • 극장
    • OTT 오리지널 작품 최초, 주말 박스오피스 1위 기록[31]

9.2. 넷플릭스

역대 넷플릭스 시청수 순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작품 공개 후 91일간 시청수를 집계한 상위 10위
<rowcolor=#000,#fff> 영화부문 TV부문
<rowcolor=#000,#fff> 순위 제목 시청수 순위 제목 시청수
1위 케이팝 데몬 헌터스 3억 2510만 회 1위 오징어 게임: 시즌 1 2억 6520만 회
2위 레드 노티스 2억 3090만 회 2위 웬즈데이: 시즌 1 2억 5210만 회
3위 캐리온 1억 7210만 회 3위 오징어 게임: 시즌 2 1억 9260만 회
4위 돈 룩 업 1억 7140만 회 4위 오징어 게임: 시즌 3 1억 4580만 회
5위 애덤 프로젝트 1억 5760만 회 5위 소년의 시간 1억 4260만 회
6위 버드 박스 1억 5740만 회 6위 기묘한 이야기 4 1억 4070만 회
7위 백 인 액션 1억 4720만 회 7위 다머 1억 1560만 회
8위 리브 더 월드 비하인드 1억 4340만 회 8위 브리저튼: 시즌 1 1억 1330만 회
9위 그레이 맨 1억 3930만 회 9위 퀸스 갬빗 1억 1280만 회
10위 댐즐 1억 3800만 회 10위 웬즈데이: 시즌 2 1억 700만 회
출처: Netflix Top 10 }}}}}}}}}
넷플릭스 글로벌 1위 영화
2025년 25주 차 2025년 26주 차 2025년 27주 차
벼랑 끝에 서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올드 가드 2
2025년 27주 차 2025년 28주 차 2025년 29주 차
올드 가드 2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년 28주 차 2025년 29주 차 2025년 30주 차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해피 길모어 2
2025년 32주 차 2025년 33주 차 2025년 34주 차
옥스퍼드에서의 날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년 33주 차 2025년 34주 차 2025년 35주 차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년 34주 차 2025년 35주 차 2025년 36주 차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의문의 발신자: 고등학교 캣피싱 사건
2025년 36주 차 2025년 37주 차 2025년 38주 차
의문의 발신자: 고등학교 캣피싱 사건 케이팝 데몬 헌터스 내가 몰랐던 파리
2025년 38주 차 2025년 39주 차 2025년 40주 차
내가 몰랐던 파리 케이팝 데몬 헌터스[38]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넷플릭스 공식 순위
<rowcolor=#afeeee,#afeeee> 날짜 전체 순위 영어 순위 시청 시간 시청 횟수
2025-06-16(월) ~ 2025-06-22(일) 2위 2위 15,400,000시간 9,200,000회
2025-06-23(월) ~ 2025-06-29(일) 1위 1위 40,300,000시간 24,200,000회
2025-06-30(월) ~ 2025-07-06(일) 2위 2위 37,800,000시간 22,700,000회
2025-07-07(월) ~ 2025-07-13(일) 1위 1위 40,400,000시간 24,200,000회
2025-07-14(월) ~ 2025-07-20(일) 1위 1위 43,000,000시간 25,800,000회
2025-07-21(월) ~ 2025-07-27(일) 2위 2위 43,900,000시간 26,300,000회
2025-07-28(월) ~ 2025-08-03(일) 2위 2위 43,800,000시간 26,300,000회
2025-08-04(월) ~ 2025-08-10(일) 2위 2위 43,100,000시간 25,900,000회
2025-08-11(월) ~ 2025-08-17(일) 1위 1위 43,300,000시간 26,000,000회
2025-08-18(월) ~ 2025-08-24(일) 1위 1위 42,400,000시간 25,400,000회
2025-08-25(월) ~ 2025-08-31(일) 1위 1위 50,200,000시간 30,100,000회
2025-09-01(월) ~ 2025-09-07(일) 2위 2위 42,400,000시간 25,400,000회
2025-09-08(월) ~ 2025-09-14(일) 1위 1위 37,700,000시간 22,600,000회
2025-09-15(월) ~ 2025-09-21(일) 2위 2위 35,400,000시간 21,200,000회
2025-09-22(월) ~ 2025-09-28(일) 1위 1위 32,200,000시간 19,300,000회
누적 시청 시간 591,300,000시간
누적 시청수 354,600,000회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넷플릭스 주요 국가 일간 최고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국가 최고 순위 달성 날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위 2025년 6월 21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위 2025년 6월 26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위 2025년 7월 11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위 2025년 6월 21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위 2025년 6월 21일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위 2025년 6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위 2025년 8월 26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위 2025년 6월 24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위 2025년 6월 23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위 2025년 7월 2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위 2025년 6월 24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위 2025년 8월 14일
}}}}}}}}} ||
플릭스패트롤 월드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날짜 순위 점수 1위 국가수
2025-06-21(토) - 1일 차 1위 715점 17개국
2025-06-22(일) - 2일 차 1위 771점 26개국
2025-06-23(월) - 3일 차 1위 781점 31개국
2025-06-24(화) - 4일 차 1위 845점 41개국
2025-06-25(수) - 5일 차 1위 807점 22개국
2025-06-26(목) - 6일 차 1위 817점 23개국
2025-06-27(금) - 7일 차 1위 837점 26개국
2025-06-28(토) - 8일 차 1위 847점 32개국
2025-06-29(일) - 9일 차 1위 841점 33개국
2025-06-30(월) - 10일 차 1위 800점 23개국
2025-07-01(화) - 11일 차 1위 822점 32개국
2025-07-02(수) - 12일 차 1위 784점 26개국
2025-07-03(목) - 13일 차 2위 721점 2개국
2025-07-04(금) - 14일 차 2위 716점 0개국
2025-07-05(토) - 15일 차 2위 725점 4개국
2025-07-06(일) - 16일 차 2위 712점 4개국
2025-07-07(월) - 17일 차 2위 670점 4개국
2025-07-08(화) - 18일 차 2위 774점 19개국
2025-07-09(수) - 19일 차 2위 777점 21개국
2025-07-10(목) - 20일 차 2위 790점 29개국
2025-07-11(금) - 21일 차 2위 751점 23개국
2025-07-12(토) - 22일 차 2위 689점 19개국
2025-07-13(일) - 23일 차 3위 632점 15개국
2025-07-14(월) - 24일 차 4위 605점 12개국
2025-07-15(화) - 25일 차 2위 710점 18개국
2025-07-16(수) - 26일 차 2위 712점 15개국
2025-07-17(목) - 27일 차 2위 742점 16개국
2025-07-18(금) - 28일 차 2위 796점 28개국
2025-07-19(토) - 29일 차 1위 811점 41개국
2025-07-20(일) - 30일 차 1위 785점 30개국
2025-07-21(월) - 31일 차 1위 745점 22개국
2025-07-22(화) - 32일 차 1위 814점 32개국
2025-07-23(수) - 33일 차 1위 826점 34개국
2025-07-24(목) - 34일 차 1위 856점 43개국
2025-07-25(금) - 35일 차 1위 843점 46개국
2025-07-26(토) - 36일 차 2위 769점 8개국
2025-07-27(일) - 37일 차 2위 716점 9개국
2025-07-28(월) - 38일 차 2위 703점 9개국
2025-07-29(화) - 39일 차 2위 732점 7개국
2025-07-30(수) - 40일 차 2위 745점 10개국
2025-07-31(목) - 41일 차 2위 769점 14개국
2025-08-01(금) - 42일 차 2위 798점 20개국
2025-08-02(토) - 43일 차 2위 711점 6개국
2025-08-03(일) - 44일 차 2위 698점 3개국
2025-08-04(월) - 45일 차 2위 680점 3개국
2025-08-05(화) - 46일 차 2위 745점 4개국
2025-08-06(수) - 47일 차 2위 762점 4개국
2025-08-07(목) - 48일 차 2위 788점 15개국
2025-08-08(금) - 49일 차 2위 812점 18개국
2025-08-09(토) - 50일 차 2위 824점 25개국
2025-08-10(일) - 51일 차 2위 826점 27개국
2025-08-11(월) - 52일 차 2위 784점 27개국
2025-08-12(화) - 53일 차 1위 832점 38개국
2025-08-13(수) - 54일 차 1위 841점 35개국
2025-08-14(목) - 55일 차 1위 865점 54개국
2025-08-15(금) - 56일 차 1위 881점 63개국
2025-08-16(토) - 57일 차 1위 826점 34개국
2025-08-17(일) - 58일 차 2위 784점 23개국
2025-08-18(월) - 59일 차 2위 758점 17개국
2025-08-19(화) - 60일 차 2위 819점 27개국
2025-08-20(수) - 61일 차 1위 825점 32개국
2025-08-21(목) - 62일 차 1위 835점 41개국
2025-08-22(금) - 63일 차 2위 770점 16개국
2025-08-23(토) - 64일 차 2위 761점 18개국
2025-08-24(일) - 65일 차 2위 739점 16개국
2025-08-25(월) - 66일 차 2위 710점 14개국
2025-08-26(화) - 67일 차 2위[39] 734점 15개국
2025-08-27(수) - 68일 차 2위[40] 738점 16개국
2025-08-28(목) - 69일 차 2위[41] 750점 25개국
2025-08-29(금) - 70일 차 1위[42] 1,013점#[43] 6개국[44]
2025-08-30(토) - 71일 차 2위[45] 653점[46] 1개국
2025-08-31(일) - 72일 차 2위[47] 629점 1개국
2025-09-01(월) - 73일 차 2위[48] 584점 0개국
2025-09-02(화) - 74일 차 2위[49] 608점 1개국
2025-09-03(수) - 75일 차 2위[50] 608점 1개국
2025-09-04(목) - 76일 차 2위[51] 636점 4개국
2025-09-05(금) - 77일 차 2위[52] 648점 4개국
2025-09-06(토) - 78일 차 2위[53] 674점 7개국
2025-09-07(일) - 79일 차 1위[54] 695점 8개국
2025-09-08(월) - 80일 차 1위[55] 679점 6개국
2025-09-09(화) - 81일 차 1위[56] 688점 13개국
2025-09-10(수) - 82일 차 1위[57] 710점 18개국
2025-09-11(목) - 83일 차 1위[58] 718점 22개국
2025-09-12(금) - 84일 차 1위[59] 744점 20개국
2025-09-13(토) - 85일 차 2위[60] 727점 11개국
2025-09-14(일) - 86일 차 2위[61] 737점 8개국
2025-09-15(월) - 87일 차 2위[62] 689점 3개국
2025-09-16(화) - 88일 차 2위[63] 651점 1개국
2025-09-17(수) - 89일 차 2위[64] 647점 0개국
2025-09-18(목) - 90일 차 2위[65] 642점 0개국
2025-09-19(금) - 91일 차 2위[66] 650점 0개국
2025-09-20(토) - 92일 차 2위[67] 615점 1개국
2025-09-21(일) - 93일 차 3위[68] 625점 5개국
2025-09-22(월) - 94일 차 3위[69] 519점 2개국
2025-09-23(화) - 95일 차 4위[70] 479점 1개국
2025-09-24(수) - 96일 차 4위[71] 468점 2개국
2025-09-25(목) - 97일 차 2위[72] 530점 6개국
2025-09-26(금) - 98일 차 2위[73] 590점 8개국
2025-09-27(토) - 99일 차 2위[74] 531점 6개국
2025-09-28(일) - 100일 차 2위[75] 574점 7개국
2025-09-29(월) - 101일 차 4위[76] 498점 1개국
2025-09-30(화) - 102일 차 4위 525점 2개국
2025-10-01(월) - 103일 차 3위[77] 537점 2개국
2025-10-01(월) - 104일 차 3위[78] 534점 4개국
출처: FlixPatrol }}}}}}}}}
파일:GzTBpQAX0AE6xCN.jpg
{{{#afeeee,#afeeee 역대 넷플릭스 영화 시청수 1위[79]첫 3억 조회수 돌파 작품이자 영화 부문 기준 시청 시간 첫 5억 시간 돌파 작품이기도 하다.]}}}
파일:3억뷰.jpg
{{{#afeeee,#afeeee 넷플릭스 사상 유일무이한 3억뷰+로 공식 집계 마감 []1위 케데헌 3.25억 뷰, 2위 오징어게임(시즌1) 2.65억뷰, 3위 웬즈데이(시즌1) 2.52억뷰, 4위 레드 노티스 2.3억뷰]}}}
  • 공개 1일 차, 한국 넷플릭스에서는 '오늘 대한민국의 TOP 10 영화'에 4위로 들었다. K-POP의 본고장인 한국보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해외에서 더 인기를 끌어 17개국에서 1위를 달성해 플릭스패트롤 집계 기준으로 영화 부분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 공개 2일 차, 입소문을 타며 한국 넷플릭스에서 2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26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
  • 공개 3일 차, 상승세를 이어가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3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이 미국 아이튠즈 앨범 차트100에서 1위를 차지했다.#
  • 공개 4일 차,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하며 한국에서 마침내 일간 순위 1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4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공개 일주일 후인 6월 27일에《오징어 게임 3》이 공개된 후, 2025년 6월 23일 - 6월 29일 기준《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 영화 영어 부문 글로벌 1위에#,《오징어 게임 3》는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비영어 부문 글로벌 1위에# 등극했다. 이로써 배우 이병헌은 넷플릭스 TV/영화 출연진으로서 동시에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
  • 2025년 7월 16일, What's on Netflix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또한, 4주 만에 시청뷰 8,030만 회를 기록하며 다음 주에는《레오》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공개 4주 차[81]에는 오히려 2위를 기록했던 3주 차보다 시청 시간 및 시청 횟수가 늘어 역주행 1위를 다시 찍어버렸다. 수치로만 보면 일반적으로 가장 고점을 찍어야할 1~2주 차 기록보다도 높다. 안그래도 낙폭 자체가 상당히 낮은 편이었는데 되려 등락폭 수치가 마이너스가 아닌 플러스를 찍어버린 것.[82]
  • 2025년 7월 18일, 넷플릭스 2025년 2분기 실적 보고서가 발표됐다. 실적 발표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5.9% 증가해 110억 7,900만 달러(약 15조 4,400억 원)를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7억 7,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실적에 기여한 작품들을 보면 다른 작품들과 달리《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따로 분류해서 소개될 정도로 실적 관여에 큰 영향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가 제작한 가장 성공적인 애니메이션 영화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 공개 29일 차, 플릭스패트롤 811점을 기록하며 다시 1위를 탈환했고 미국, 영국을 포함해 41개국에서 1위를 했다. 이는 공개 4일 차에 세웠던 최고 기록인 41개국 1위와 동일한 기록으로[83] 최고 기록을 세웠던 날로부터 25일만에 다시 동일한 기록을 재현하게 되었다.
  • 공개 5주 차[84]에는 이미 역주행 1위와 더불어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던 4주 차의 성적을 뛰어넘은 시청수 25,800,000회를 기록하며 누적 시청수 1억회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 기록을 달성했다.# 넷플릭스는 공식 X계정을 통해 공개 5주 차에 새로운 시청률 최고치를 달성한 넷플릭스 작품은 본 작품이 최초라 밝혔다.#
  • 공개 34일 차[85], 기존 41개국 1위 기록을 갈아 치우며 43개국 1위 달성 기록과 함께 856점을 받으며[86] 자체 신기록을 경신했다.
  • 공개 35일 차[87], 또 다시 46개국 1위 달성 기록을 세우며 하루 만에 역주행 1위 기록을 연속으로 경신했다.
  • 공개 36일 차[88], 애덤 샌들러 주역 영화 신작인《해피 길모어 2》의 공개 여파로 2위로 물러났으나, 공개 한 달이 넘은 작품으로선 이례적인 높은 점수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 공개 6주 차[89]에는 5주 차의 기록을 경신한 시청수 26,300,000회를 기록했다.[90] 이로써 누적 시청수 132,400,000회를 달성하며 공식적으로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애니메이션 영화로 발표했다.# 또한 역대 넷플릭스 영화 시청수 TOP 10 진입은 기정사실이 되었다.[91]
  • 공개 7주차[92]엔 공개 6주차 때 세웠던 자체 신기록과 동일한 기록을 세우며 낙폭 0%를 달성했고, 순위 역시 6주차에 이어 2주 연속 2위를 기록했다. 동시에 넷플릭스 역대 가장 많이 시청된 영화 4위에 올랐다. 현재 추이를 고려했을 때 빠르면 바로 다음 주차에 역대 2위 등극은 사실상 확정인 수순이며 230,900,000회[93]를 기록한《레드 노티스》의 기록을 깨고 1위에 등극할지 말지가 관건인 상황이다.
  • 공개 8주차[94]에는 전 주와 거의 비슷한 시청수를 기록하며 단숨에 넷플릭스 역대 가장 많이 시청된 영화 2위에 등극하였다. 역대 1위인《레드 노티스》의 기록까지 단 4,630만 시청수만을 남기고 있는 상황이며, 매주 2,500~2,600만 시청수가 꾸준히 기록되고 있는 현재 추이가 그대로 이어질 경우[95] 빠르면 10주차에 역대 1위 등극이 매우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나 공개 후 91일간 기록[96]이 기준이기 때문에 만약 역대 1위에 등극할 경우 최종 성적은 2위와의 매우 큰 격차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되며《오징어 게임(시즌 1)》과 나란히 역대 넷플릭스 영화 부문/TV 부문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 공개 53일 차[97]Golden빌보드 핫 100 1위 소식이 전해진 뒤 38개국 1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 번 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하였다.
  • 공개 55일 차[98]54개국 1위를 달성하며 플릭스패트롤 점수 865점과 함께 자체 최고 기록을 또 다시 한 번 경신하였다. 이전 자체 최고 기록은 20일 전 35일차 46개국 1위[99]였다.
  • 공개 56일 차[100]엔 자체 최고 기록을 세운지 하루만에 무려 63개국 1위를 달성해버리며 자체 신기록을 하루만에 또 경신했다. 플릭스패트롤 점수 역시 881점을 달성하며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다.
  • 공개 9주차[101]에는 본 작품 역사상 2번째로 높은 2,600만 시청수[102]를 기록하며 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함과 동시에 드디어 2억 시청수를 돌파하였다.[103] 이로써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인 레드 노티스의 유일했던 2억 시청수 영화 기록을 깨뜨림과 동시에 1위 달성까지 단 2,040만 시청수만을 남긴 상황이 되었다. 9주차까지 약 1~2% 내외의 등락폭만을 보였던 추이가 10주차까지 그대로 이어질 경우 빠르면 바로 다음 주차 넷플릭스 역대 1위 영화 등극은 사실상 확정인 수순에 접어들었으며 1위 등극을 넘어 누적 3억 시청수를 돌파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되었다. 역대 시청수 순위가 공개 후 91일간 기록[104]임을 감안했을 때 33일간 추가로 8,950만 시청수 이상을 확보하면 3억 돌파에 성공하게 된다.[105] 1, 2위 시청수 추이를 보면 케데헌 시청수는 영화 사상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꺾이지 않고 계속 오르고 있다.
  • 한국 시간 8월 20일 자정을 넘긴 0시 29분,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 된 Golden의 공식 뮤직 비디오 역시 2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
  • 공개 61일차[106]엔 32개국 1위를 달성하며 일간 순위 역주행 1위와 함께 1위 자리를 재탈환하였다.
  • 2025년 8월 25일 월요일에 공개된 싱어롱 버전이 공개 67일차에 플릭스패트롤 99점으로 글로벌 일간 순위 9위로 진입하였다. 그리고 다음날인 공개 68일차에는 241점을 기록하며 6위로 상승했고 그 다음 날 69일차에는 263점을 기록해 또 다시 5위로 상승하였다. 차기 시즌이 공개되어 전 시즌 작품이 함께 순위에 오르는 경우가 아닌 두 가지 버전 작품이 동시에 TOP10에 드는 경우는 극히 드문 사례다. 공개 70일차인 8월 29일자 금요일 성적부터는 본편 버전과 합산해 집계되기 시작되었으나 하루만에 철회되었다.
  • 공개 67일차[107], 넷플릭스 주요 서비스 국가 중 유일하게 2위가 최고 기록이었던 일본에서도 드디어 일간 1위를 달성하였다.
  • 공개 10주차[108]엔 2주 연속 주간 순위 1위와 함께 레드 노티스를 제치고 드디어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영화 1위에 등극하였다. 넷플릭스는 기록이 업데이트가 되자마자 자신들의 X계정을 통해 이 소식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OFFICIALLY the most popular Netflix film OF ALL TIME 10주차의 경우 주말 극장 싱어롱 이벤트로 인해 시청수 낙폭이 다소 생기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있었으나 약 2%의 낙폭 정도만 있었을 뿐 평소와 거의 비슷한 기록을 세우며 여전히 저력을 과시하였고[109] 앞으로 26일간 단 6,400만 시청수만 확보하면 영화와 드라마 통틀어 넷플릭스 역사상 처음으로 3억 시청수 돌파 작품에 등극하게 된다. 본 작품의 시청수 추이를 보면 케데헌은 영화 사상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공개(개봉) 10주가 지난 아직까지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110]
  • 본 작품이 넷플릭스 역대 영화 1위에 등극함으로써 넷플릭스 역대 드라마/영화 1위 모두 한국 소재의 작품들인 오징어 게임(시즌 1)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나란히 차지하게 되었다. 동시에 두 작품에 모두 출연한 이병헌은 넷플릭스 역대 드라마/영화 1위 작품에 모두 출연한 배우라는 유일무이한 기록을 갖게 되었다.
  • 이로써 공개 10주차 같은 주에 넷플릭스 영화 1위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111]를 비롯해 빌보드 역사상 처음으로 4개의 곡이 동시에 TOP10 순위에 오른 사운드트랙[112]이라는 전무후무한 신기록까지 모두 동시에 세우게 되었다.
  • 공개 70일차[113], 플릭스패트롤에서 넷플릭스와 싱어롱 버전 점수를 단순 합산 처리해버리면서, 무려 1,013점이라는 전무후무한 점수가 기록되었다.#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는 총 93개국이기 때문에 최고 점수는 930점인데[114], 두 버전의 점수를 단순 합산해버리면서 천 단위 점수라는 나올 수 없는 점수가 나와버린 것. 다만 이건 플릭스패트롤에서 자발적으로 계산한 수치이고, 아직까지 넷플릭스 공식 집계 수치는 밝혀지지 않았다. 플릭스패트롤 점수는 상대평가 점수이기 때문에 기존 최고점수였던 930점을 초과 달성하더라도 실제 시청수가 역대 최고 점수임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재는 930점 만점으로 점수 보정이 들어가 915점으로 수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 공개 11주차[115]에는 낙폭이 발생하기는 커녕 본 작품 주간 최고 기록인 3,010만 시청수를 기록하며 글로벌 3주 연속 주간 1위 기록과 함께 자체 신기록을 경신하였다. 또한 작품 공개 이후 처음으로 일본에서 역시 주간 1위를 달성하였다. 본편 영화가 쟁쟁한 신작들 사이에서도 굳건히 일간 2위를 지켜내던 와중에도[116], 팬서비스 차원으로 공개된 싱어롱 버전 역시 꾸준히 일간 TOP10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며 순항 중이었는데, 이 두 기록들이 합산 집계되며 자체 신기록을 세울 수 있게 된 것. 이로써 본 작품은 오징어 게임(시즌 1)을 제치고 역대 넷플릭스 영화/TV쇼 작품 통합 시청수 1위에 오르게 되었다.# 앞으로 19일간 단 3,390만 시청수만 확보하면 영화와 드라마 통틀어 넷플릭스 역사상 처음으로 3억 시청수 돌파 작품에 등극하게 된다. 시청수 추이
  • 2025년 9월 6일,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 된 소다팝 공식 뮤직 비디오가 2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 Golden의 공식 뮤직 비디오3억 조회수를 돌파하였으며[117], 뒤이어 9월 11일, How It's Done 공식 뮤직 비디오 역시 2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
  • 공개 79일차[118]엔 싱어롱 버전을 제외한 본편 성적만으로 또 다시 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싱어롱 버전까지 단순 합산했던 70일차를 제외하면 62일차 이후 17일만의 1위 재탈환이며 플릭스 패트롤 기준 공개 79일차에 역주행 1위를 차지하는 사례는 본 작품이 넷플릭스 최초이다.[119]
  • 공개 12주차[120]에는 싱어롱 버전 공개 이전과 동일한 2,540만 시청수를 기록하면서 장기적으로 시청수 추세가 꺾이지 않는 기현상이 유지되고 있으며시청수 추이 최종 집계까지 12일이 남은 시점, 앞으로 단 850만 시청수만 확보하면 영화와 드라마 통틀어 넷플릭스 역사상 유례없는 3억 시청수 돌파 작품에 등극하게 되며 사실상 다음주에 신기록 달성이 확실시된 상황이다.
  • 공개 13주차[121], 글로벌 주간 1위를 재탈환함[122]과 동시에 드디어 넷플릭스 역사상 처음으로 영화/TV쇼 부문을 통틀어 3억 조회수를 돌파한 작품에 등극하였다.[123] 뿐만 아니라 영화 부문 기준 넷플릭스 역사상 처음으로 시청 시간 5억 시간을 돌파한 첫 작품이 되었다.[124]#시청 그래프 추이
  • 글로벌 주간 1위 7회를 달성함으로써 오징어 게임 시즌1웬즈데이 시즌1의 기록을 제치고 넷플릭스 영화/TV쇼 부문을 통틀어 최다 주간 1위 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는 기묘한 이야기 4와 동일한 기록이다.
  • 공개 14주차[125]엔 1위 작품과 약 60만 조회수 차이로 아쉽게 글로벌 주간 2위를 차지하였다. 다만 전 주차 대비 약 6%대의 매우 낮은 낙폭을 보여줬기 때문에 이 추세가 그대로 이어질 경우 장기 롱런을 할 가능성이 높다.
  • 공개 후 91일간 총 3억 2,510만 조회수, 5억 4,180만 시청시간를 기록하며 공식적인 넷플릭스 ALL TIME 집계가 마무리되었다.# 이는 영화 부문 2위인 레드 노티스무려 9,420만 조회수 차이이며, 기존 영화/TV쇼 통합 1위였던 오징어 게임(시즌 1)과는 5,990만 조회수 차이이다.
  • 2025년 9월 26일, 헐리우드 리포터를 통해 본 작품이 닐슨 스트리밍 차트에서 장기간 방영된 이후 처음으로 영화와 TV쇼 부문 전체 1위에 등극했음 알렸다. 즉,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파라마운트 플러스, 프라임 비디오 등 모든 OTT를 통틀어 전체 1위에 등극하였다는 의미이다.#
  • 공개 15주차[126], 또 다시 글로벌 주간 1위를 재탈환함으로써 넷플릭스 역사상 처음으로 영화/TV쇼 부문을 통틀어 글로벌 8주 1위 기록을 경신하게 되었다.[127] 뿐만 아니라 15주 연속 글로벌 TOP10에 이름을 올림으로써, 넷플릭스 역대 최장기간 연속 TOP10 기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오징어 게임 시즌1, 기묘한 이야기 4과 타이 기록으로, 케데헌은 15주차에도 주간 1위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다음주에 신기록 달성이 확실시된 상황이다.

9.3. 영화관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2025년 8월 22일 $18,000,000[128] 2025년 8월 24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위 북미, 2위인 중국은 넷플릭스 서비스 미지역이므로 제외한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2025년 8월 22일 $18,000,000 2025년 8월 24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5년 33주 차 2025년 34주 차 2025년 35주 차
웨폰 케이팝 데몬 헌터스 웨폰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넷플릭스는 아카데미상 출품 자격을 충족하기 위하여 2025년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캘리포니아뉴욕의 3개 극장에서 제한적 상영을 진행하였다.[129] #
  • 전세계적으로 매우 많은 사람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극장에서 보고 싶다고 요청하고 있지만 넷플릭스 영화를 극장 상영하는 일은 드물다. 넷플릭스는 극장 산업과 적대관계이므로 극장에서 보이콧하기 때문이다. 아카데미 후보작에 들기 위한 자격 요건을 채우기 위해 일부 극장에서 일주일만 꼼수 개봉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넷플릭스 영화는 극장 상영이 이뤄지지 않으며, 따라서 케데헌이 정식 극장 개봉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 2025년 8월 16일, 넷플릭스는 사람들의 계속된 열광에 호응하여 극장에서 같이 따라부를 수 있는 케데헌 더 싱어롱 이벤트를 8월 23일, 24일 이틀간 진행하기로 하였다.# 북미 1,700개 극장에서 상영이 진행되며[130] 8월 21일 기준 이미 1,100개 타임이 매진됐다. 해당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며, 그럴 시 OTT 오리지널 영화 최초로 한 주라도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한 작품이 된다.[131]
  • 2025년 8월 22일, 한국에서도 싱어롱 상영이 결정되었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특별상영될 예정이다.#
  • 북미에서 단 2일동안 1,920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132]하며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했다.#[133] 미국에만 약 8,000여개 이상의 상영관을 보유한 미국 최대 극장 체인인 AMC 시어터스가 보이콧함에 따라 미국 전역에서 고작 1,700개 상영관만 오픈하였음에도 2,000만 달러에 가까운 흥행을 기록하며 1위를 달성해낸 것. 약 1,000여개의 상영관이 매진되었다고 한다.
  • OTT 오리지널 영화 중 최초로 박스오피스 1위를 한 영화로 기록되었다.

9.4. 사운드트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성적|성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한국 시각 2025년 8월 2일 기준,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Golden이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케이팝으로서는 싸이강남스타일 이후 13년 만의 기록이다. 8월 15일, Golden이 격주만에 두번째로 1위를 차지했다. 6위와 7위에 각각 소다팝과 유어 아이돌이 올라 10위안에 세곡이 차트인 했다.
  • 결국 2025년 8월 11일, 차트 진입 7주 차에 Golden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이 선발표[138]되면서 케이팝 걸그룹 노래로서는 최초의 Hot 100 1위 곡이 되었다. “Golden” goes up, up, up 케이팝뿐 아니라 걸그룹이 빌보드 1위를 한 것 자체가 비욘세가 있던 걸그룹 데스티니스 차일드 이후로 24년만에 처음이다. 또한 같은 날 Your Idol 역시 순위가 상승하여 Hot 100 8위를 달성했다. 골든의 1위 소식의 영향으로 작품 역시 넷플릭스 일간 순위 역주행 1위를 달성하였고 이 기세가 계속 이어져 자체 최고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하였다.[139]
  • 대한민국에선 음원사이트 통합 아이차트에서 2025년 7월 14일 골든이 역주행 끝에 퍼펙트 올킬을 달성했으며 동년 8월 11일에는 퍼펙트올킬 횟수 655회를 돌파해 뉴진스의 디토를 넘고 역대 1위를 기록했다.#
  • 2025년 8월 25일, 차트 진입 9주 차에 GoldenHot 100 1위를 재탈환하였다. 동시에 Your Idol은 4위, Soda Pop은 5위, How it's done은 10위를 차지하였고, 빌보드 측에선 공식 X계정을 통해 빌보드 역사상 처음으로 OST 4곡이 동시에 Hot 100 TOP10에 이름을 올린 최초의 사운드트랙임을 발표했다.#X[140]
  • 2025년 9월 6일, 영국오피셜 차트 측에서 Golden이 통산 5주째 1위 중임을 알렸다. 또한 같은 사운드 트랙에 있던 Soda Pop이 5위, Your Idol이 8위 등이 함께 이름을 올렸다. #
  • 2025년 9월 9일에 공개된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Golden이 또다시 1위를 차지하며 4주동안 1위를 기록하였다.# 동시에 Your idol은 5위, Soda Pop은 6위, How It's Done은 9위를 차지하며 또 다시 TOP10에 4곡의 이름을 모두 올렸다.
  • 2025년 9월 14일 0시 38분, 아이차트에서 퍼펙트 올킬 1,200회를 달성하였다. 국내 음원 강자들이 대거 신곡을 발표하면서 잠시 주춤하였으나 이내 금방 1위를 회복하면서 1,200회 달성에 성공하였다.#
  • 2025년 9월 16일, 빌보드 측에서 Golden애니메이션 OST 역사상 최다 기록인 빌보드 Hot 100 5주 1위를 달성하였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142] 뿐만 아니라 Your idol은 4위, Soda Pop은 5위, How it's Done은 8위를 차지하며 3곡 모두 각각 1계단씩 순위가 상승하였다.[143]
  • 2025년 9월 20일,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 Golden이 7주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Soda Pop이 3위, Your Idol이 5위를 차지하며 오피셜 차트 측에서 공식적으로 케이팝 역사상 최초로 3곡이 동시에 TOP5에 이름을 올린 신기록을 세웠다는 소식을 전했다.#
  • 2025년 9월 20일 밤 11시 38분, 아이차트에서 퍼펙트 올킬 1,300회를 달성하였다. 이전 1,200회 달성 6일만의 기록이다.# 또한 18시간 뒤인 9월 21일 오후 18시 37분, PAK를 1,310회를 달성함에 따라 기존 2위였던 뉴진스Ditto[144]와 더블 스코어 격차를 벌리게 되었다.
  • 2025년 9월 27일, 영국 오피셜 차트 측에서 Golden무려 8주 1위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엔칸토: 마법의 세계We Don't Talk About Bruno의 기록을 제치고 56년만에 오피셜 차트 역사상 애니메이션 OST 최장 기록을 경신하였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이는 21세기 애니메이션 OST 기준으로는 단독 최장 기록이며 1969년 발표한 The Archies의 Sugar, Sugar와 동률 기록이라고 한다.# Soda PopYour Idol 역시 전 주 대비 다소 하락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각각 5위, 6위를 차지하며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2025년 9월 29일 저녁 7시 30분, 아이차트에서 퍼펙트 올킬 1,400회를 달성하였다. 이전 1,300회 달성 9일만의 기록이다.#
  • 2025년 9월 30일, 빌보드 측에서 Golden빌보드 Hot 100에서 7주 1위를 달성하였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기록을 통해 역대 OST 중 가장 오랜 시간 정상의 자리를 지킨 TOP10에 등극하였다고 하며[146] 7주 1위 기록은 빌보드 역사상 걸그룹 히트곡 중 2번째로 긴 집권기라고 한다.#[147] How It's Done은 10위 밖으로 하락하며 TOP10 4곡 연속 TOP10 기록은 끊겼으나 Soda Pop이 무려 2계단이나 상승하여 3위를 기록하였고 Your Idol은 전 주 소다팝의 기록이었던 5위를 기록하며 빌보드 Hot 100 TOP5에 3곡의 이름을 올리게 되는 기록을 세웠다. #

10. 탐구

10.1. 모티브

  • 시대 별로 헌터의 무기는 다 다른데, 1세대 헌터들이 사용했던 무기[149]는 각각 석장, 쌍검[150], 각궁이었다.
  • 작중 묘사되는 조이의 무기는 무당이 쓰는 무구인 신칼이다.[151]
    파일:조이_단도.png
  • 미라의 무기인 곡도가야의 곡도를 모티브로 한 컨셉 아트가 공개되었다.
    파일:미라 월도 .jpg
  • 헌트릭스로고는 한국의 전통 장신구인 노리개의 전통 매듭 부분 형상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된 것이다. 헌트릭스의 공식 응원봉에도 이 로고가 쓰였다. 그리고 평상시 모습에서 멤버들마다 각자 다른 디자인의 노리개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152]
    파일:헌트릭스로고.jpg 파일:미라노리개.png
  • 양머리 수건등장했는데 현실의 외국인들 사이에서 챌린지가 있었다.
  • 악령 세계에서 탄생한 보이그룹 사자 보이즈1세대 보이그룹H.O.T.에서 영감을 받았다.

    매기 강 감독은 캐나다 매체 CBC와의 인터뷰에 H.O.T.는 자신이 성장하며 존경했던 원조 아이돌 그룹이라며, H.O.T.가 밝고 경쾌한 싱글을 발표한 후 한두 달 동안 활동을 쉬었다가 다음 싱글에서는 어둡고 날카로운 분위기로 돌아온 경험이 '사자 보이즈'에 녹아 있다고 말하면서 "팬으로서 이러한 경험이 궁극적으로 기억에 남았고, 그것을 영화에 반영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 사자 보이즈의 모티브인 '창백한 얼굴에 검은 도포[153]을 입고 을 쓴' 저승사자는 1970년대 말 전설의 고향 시리즈에서 처음 묘사된 후 근현대에 정착한 이미지다. 그렇다고 해서 해당 묘사가 '가짜'라거나 틀린 것은 아닌데, 50년간 지속되어 온 이상 근현대에 변화한 형태도 그 자체로 학술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154] 실제 전승에 의하면 갓을 쓴 선비의 모습보다는 단령을 입은 고귀한 중앙 관료의 모습이나 근엄한 갑옷과 무기를 찬 채 말타고 다니는 장군의 모습이었다.[155][156]
  • 위에 서술한 '검은 도포와 갓을 쓴 저승사자'가 비교적 현대에 창작된 이미지라는 주장과는 별개로 이와 비슷한 이미지의 상여장식 문화재들이 존재한다.
    파일:저승사자 상여장식1.png 파일:상여장식-해태를 탄 저승사자.png 파일:상여장식-꼭두.png

    저승사자
    (국립민속박물관)
    해태를 탄 저승사자
    (목인박물관)
    길 안내 꼭두
    (통영시립박물관)

    전통 장례식에서는 상여를 장식하는 꼭두 혹은 목우라고 하는 다양한 형태의 나무 인형을 만들곤 했는데, 이 인형들이 망자를 사후세계로 안내하고 호위한다고 믿었다. 이는 저승사자의 역할에도 부합되는데 아래처럼 검은 옷을 입은 갓을 쓴 선비가 호랑이나 해태 등의 동물을 타고 있는 형태도 종종 발견된다. 모든 꼭두가 검은 옷과 갓을 쓴 형태는 아니기에 이것이 일반적인 저승사자의 이미지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다양한 이미지 중에 하나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꼭두들은 주로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이 많고 19세기까지도 거슬러 올라가며 현대에도 제작되고 있다.
  • 전령으로 나오는 호랑이와 까치는 조선의 민화인 까치호랑이(작호도)모티브이다. 하는 짓은 영락없는 집고양이이지만 특유의 호랑이 그림체를 잘 살렸다는 반응을 얻었다. 작중에서 귀마 관련 능력은 마젠타색인데 이 호랑이의 털 색이나 공간이동 능력을 쓸 때 나오는 빛은 혼문이나 헌터들이 능력을 사용할 때 나오는 푸른빛과 똑같다. 이 떡밥은 해결되지 않았다.[157]
  • 악령들의 디자인은 괴수와 같은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도깨비 기와의 모습[158], 탈춤에 쓰이는 노장탈이나 각종 전통 탈 등을 활용하여 서양식 카툰 스타일로 재해석한 묘사로 보인다.
  • 진우의 400년 전 회상씬에서 궁에 들어갈 때 왕이 중전과 함께 용상에 같이 앉아 있는 장면이 나온다.
    파일:1000012014.jpg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가 아닌 보료를 깔고 바로 앉은 모습, 조정 중신들의 흉배가 달린 붉은 관복[159], 뒷배경의 궁녀들의 배치와 함께 명백한 역사적 구현 오류 장면으로 꼽히지만, 이는 영화 왕의 남자에서 연산군이 장녹수를 옆에 끼고 어좌에 앉아 있는 장면에서 레퍼런스를 따온 장면이다.# 그래서 진우가 살던 시대가 사실은 400년 전 인조 시대가 아닌 연산군 시대가 아니었냐는 이야기도 있다. 반영 오류가 있다고 해도 이러한 장면 또한 오랫동안 사극에서 어전회의의 이미지로 굳어지며 새로운 ‘미디어 전통’의 하나가 됐다.
  • 작중의 헌터들은 세대마다 새로 3인조가 선발되어 춤과 노래의 힘으로 사람들의 유대를 연결하여 악령을 막아낼 장벽인 '혼문'을 세우는 임무를 전승해 간다. 여기에 한국 대중가요 역사상의 걸그룹 발전사를 접목하여 표현했는데, 선배 세대들의 모티브는 한반도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최초의 한류가수로 분류되는 김시스터즈, 1970년대 3인조 걸그룹 희자매, 1980년대 댄스 뮤직을 주 콘셉트로 삼은 최초의 걸그룹이라 할 수 있는 세또래로 추정된다. 또한 헌트릭스 바로 이전 세대의 퇴마사 '선라이트 시스터즈'들은 1990년대 후반의 1세대 걸그룹으로 표현되는데 S.E.S.[160]에 대한 레퍼런스다. 흡사한 헤어스타일에 더해 시기상으로도 적합한 것이 1990년대에 아이돌을 했던 당사자들이 20대 중후반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다면 그 딸이 3~4세대 아이돌로 데뷔할 나이가 되기 때문이다.[161]
  • 미라가 패션쇼에서 선보였던 침낭 패션은 캠핑클럽에서 선보였던 핑클의 리더 이효리의 모습이 연상된다. 그리고 그녀는 실제로 2020년 시상식 영상에서 이불 드레스를 선보였다.
  • 작중 등장인물들이 현실의 특정 연예인이나 그룹을 참조하여 제작되었다는 기사가 있지만포브스, 메기 강 감독의 X에 따르면 기사에 나온 아이돌 이름은 인터뷰어가 언급한 것이고 메기 강 본인은 아이돌 개인을 특정해서 말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메기 강 X
  • 영화 중간에 나오는 '우리랑 놀자!' 버라이어티 쇼는 형돈이와 대준이가 진행했던 주간 아이돌의 패러디이다. 그 외에도 헌트릭스가 타고 내려오는 미끄럼틀과 볼풀은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아이덴티티인 미끄럼틀 세트,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가 '우리가 더 영광이죠'라고 하면서 고개 숙이는 각도로 대결하는 장면은 한국에서 짤방으로 돌아다닌 우왕ㅋ굳ㅋ로도 유명한 본격 미안해지는 만화(#)의 패러디로 보인다.
  • 음악이 주가 된 애니메이션이지만 데몬 헌터답게 액션 씬에도 공을 들였다. 각종 무기를 사용하는 장면은 실제 무예가들의 모션을 따왔고 태권도 국가대표 출신의 태미가 격투 액션을 맡았다. 거기에 더해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제작진 답게 화려한 카메라 웍을 보여주며 액션씬 역시 훌륭한 볼거리로 자리 잡았다.

===# 의문점 및 미회수 떡밥 #===
시리즈가 아닌 1시간 39분(99분)짜리 장편 애니메이션[162]이다 보니 러닝타임 내 분량 조절을 위해 일부 묘사나 설정 등 해명되지 않거나 풀리지 않은 부분이 있어, 관객들이 궁금해하거나 의문을 가진 점을 정리한 문단이다. 이중 일부는 추후 후속작이나 비하인드 공개 등으로 풀릴 가능성이 있다.
  • 루미의 아버지악령의 정체와 류미영의 사망 경위 (부분 해결)
    초기 컨셉 아트를 통해 일반적인 저승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류미영의 사망 경위는 셀린과 연관되어 있다는 콘셉트 아트가 밝혀졌다.
  • 루미가 문양이 있음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
    작중 문양이 있는 악령들은 귀마의 힘에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되며 극후반 부에는 일반인들은 물론 헌터인 동료들까지도 세뇌에 걸리게 될 정도로 강력해졌으나 루미는 거의 반 악령화가 된 상태임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루미와 셀린의 갈등 이후 묘사되지 않은 셀린의 행보
    공교롭게도 이 갈등이 있고 난 뒤부터 셀린은 작중 끝날 때까지 모습을 비추지 않는다. 더욱이 셀린의 가치관은 '자신의 약점은 감춰야 한다(완벽주의)'로 삼인방의 '나약한 자신의 모습도 받아들여야 한다(수용주의)'의 입장과 대척되는 입장이다. 이 갈등은 끝내 작중에서 해소되지 않는다.
  • 주인공 삼인방의 과거
    주인공 삼인방 모두 아이돌 활동에 따른 애칭을 쓸 뿐, 본명이나 과거사 등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다. 콘셉트 아트에서 본작에 반영되지 못한 일부 과거 관련 설정이 공개되기도 했으나 주인공 삼인방 모두 개인 간의 갈등은 해결했을지언정 가족들과의 갈등은 여전히 풀지 못하고 작품이 끝났다.
  • 끝내 완성되지 못한 황금 혼문
    최종장에 펼쳐진 혼문은 기존에 있던 푸른빛 내지는 오로라빛 혼문이지 작중 언급되었던 황금 혼문이 아니다.
  • 호랑이와 까치의 정체 (부분 해결)
    첫 등장 시 저승에 있을 때는 진우의 곁에 있으면서 붉은 안광이 나와 악령으로 보이는가 했지만, 이승에서는 오히려 푸른 오라를 사용하는 모습과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정체에 대한 의구심이 남아있다. 이후 작가의 SNS에 '어느 세계에서도 있을 수 있는 중립적인 존재 / 착한 귀신'이라는 설정이 공개되었다. 제한된 분량으로 인해 해당 관련 스토리는 넣지 못했다.
  • 연이은 좌절을 겪은 루미가 깨달음을 얻은 과정 (부분 해결)
    셀린과의 갈등 때 루미가 혼문 따위 없어져도 좋다면서 사라졌다가 콘서트장에 나타나기까지의 심경 변화 과정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이후 콘셉트 아트를 통해 자신의 악령으로서의 힘을 통제하고 어머니를 죽인 셀린에게 분노한 감정을 달래려고 어머니의 무덤 앞에서 노래하는 장면이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10.2. 현실과 다른 점

이 작품이 한국 문화에 대한 재현성에 대해 호평을 얻었고 그것이 일정 부분 흥행의 기반이 되기도 했지만, 한국인을 타겟으로 한국에서 제작된 영화는 아니다 보니 한국 문화가 서구 감성으로 각색된 부분도 많다.
  • 조선 시대 때 악령들이 쳐들어오자 한 여인이 쇠스랑을 들고 한 악령에게 위협을 가하는데 쇠스랑은 서양에서 농민들이 반란 등일 때에 무기로 주로 쓰는 농기구다.
  • 이국적인 인명의 비중이 높다. 물론 작중 이름이 대사로 불리는 인물들은 과거 세대인 셀린을 포함 대부분 연예인이니 예명[163]이라면 외국어 계통의 예명을 쓰는 일은 한국 가수들 사이에 매우 흔한 일이므로 오히려 현실에 맞는 자연스러운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164] 다만 연예인이 아닌 바비와 이제는 은퇴한 셀린을 가족 사이의 일상에서도 그 이름으로 부르는 등 본명도 어느 정도 영미권의 편의로 이름이 지어진 면이 있다.
  • 헌트릭스가 휴식기에 들어갔음에도 루미가 독단적으로 새 싱글을 발매하는데, 이렇게 아이돌이 직접 노래를 독단적으로 공개하는 건 한국에서는 절대 불가능하다. 이는 할리우드 음악계가 반영된 부분으로, 할리우드에서는 탑가수라면 얼마든지 노래는 물론 앨범도 발매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로 인한 서프라이즈 발매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비욘세가 극비리에 제작되어 소속사조차 모르던 정규 5집을 깜짝 발매한 적이 있다.
  • 이름 말고도 호칭 또한 서구권 관객을 위해 다분히 서구적으로 각색해 놓은 요소들이 많다. 본작의 등장인물들은 유럽계 언어 사용자들이 그런 것처럼 이름으로만 상대를 호칭한다. 헌트릭스의 '막내'인 조이는 다른 두 멤버보다 한 살이 어리지만, 루미와 미라를 이름으로만 부른다. 당연히 작중에 이나 후배와 같은 호칭이 나오는 점을 비롯한 제작진의 한국 이해도로 볼 때, 한국에서는 나이 차가 한 살이라도 나면 언니-동생이 된다는 것을 몰랐거나 호칭 부분에서 재현을 포기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헌트릭스 멤버들은 현실의 한국이었으면 당연히 '실장님'과 같은 직책으로 불렀어야 할 매니저 바비, 심지어 멘토인 셀린조차 이름으로 부르는데, 이는 등장인물 간의 상호 평등성을 강조하거나, 관객들로 하여금 불필요한 부분에 관심을 기울일 여지를 지우기 위한 각색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 극적 전개를 위해 K-POP 아이돌판 등에 대한 묘사는 한국의 현실과 크게 다른 부분이 많다. 연예계 부분은 제작사가 있는 미국 할리우드 엔터테인먼트판의 팬덤 양상에 기초하고 있다.
    • 헌트릭스가 공연 직전에 만반의 준비를 하자며 칼로리 보충을 위해 어마어마한 탄수화물 야식을 먹어치우는데 이 장면을 시청한 실제 K-POP 아이돌들은 '당연히 공연 전에는 이렇게 먹을 수 없다. 위장에 음식물이 차 있으면 몸이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가용혈액과 폐활량도 줄어들고 식곤증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공연 끝나고는 이렇게 펼쳐놓고 먹기도 한다'고 평했다.
    • 루미가 김밥 냄새를 맡는 표정이 매우 익살스럽긴 하지만, 얼굴개그 연출과 별도로 루미가 김밥 냄새를 진득히 맡는 행동은 한국인들에게는 의아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한국인들이 생각하기에는 김밥은 기본적으로 속재료인 단무지나 양념인 참기름 정도를 빼면 특별한 냄새가 안 나는 음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는 한국인과 외국인(특히 미국인)의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1988 서울 올림픽 직후 미국에 김밥이 '코리안 스시 롤'로 소개될 때만 해도 미국인들은 특유의 참기름 냄새를 질색팔색했다. 한국인들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 면이지만, 미국인들이 보기에는 이 참기름 냄새는 멀리서 옅게 맡으면 스컹크의 독한 가스 냄새와 비슷하게 느꼈고, 상대적으로 스컹크를 자주 보는 미국인들은 경험적으로 이를 터부시했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한류 문화의 영향으로 참기름 냄새가 거의 없는 한국산 냉동 김밥[165]이 2020년대 초반부터 뉴욕시 등 미국 동부를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케데헌에 와서는 주인공이 짙은 참기름 냄새나는 (냉동이 아닌) 생 김밥 냄새를 맡으며 마치 치즈의 풍미를 즐기듯 "이거야 이거!"하는 장면이 삽입되기에 이른 것이다. 즉 이 씬은 문화인류학적으로 새로운 문화가 기존 편견을 뒤집어버린 사례로 특기할 만하다.[166]
    • 사자 보이즈가 방송에서 아기 차림을 하고 우유병에 담긴 핫소스를 마셔서 버티는 대결을 하는데 이런 식의 가학적인 방송은 한국보다는 일본에 많다. 특히 아이들이 매운 것을 못 먹는다는 관념은 일본이 더 강하고(한국은 아이들도 김치떡볶이 정도는 잘 먹는다), 한국도 1980년대 일본 쇼를 베끼던 시절에는 고추장 샌드위치 같은 괴식 벌칙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2020년대 현재는 TV판 자체가 자체 기획력이 성숙하게 되면서 굳이 일본식 쇼를 진행하지 않는다. 다만 해당 장면 자체의 모티브가 된 주간 아이돌에서, 다양한 음식으로 아이돌 그룹 간의 먹방 대결을 펼치는 등 비슷한 구도 자체가 없지는 않다. #
    • 데뷔 1년도 안 된 신인 보이그룹이 5년차 선배 인기 걸그룹에게 예의를 지키지 않고, 걸그룹과 보이그룹의 경쟁 구도 및 합동 팬사인회[167], 후반부 헌트릭스에게 문제가 생기자 기분전환을 위해 자신들의 라이브를 보러 오라며 티배깅하는 사자 보이즈[168] 등등 데뷔 연도와 나이 서열을 엄격히 따지는 한국 아이돌판에서 실제로 일어났다면 인성 논란부터 시작해 아이돌 팬덤 전체가 심각하게 불탈 만한 일들이 있기는 했다.[169]
    • 작중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커플로 엮는 팬들이 나오는데, 사실 이러한 아이돌 간 커플링2차 창작해외, 특히 서양권에서는 흔한 풍경이다.[170] 그러나 정작 한국에서는 헌트릭스나 사자 보이즈 급의 당대 탑티어 아이돌 그룹의 비주얼 센터는 절대 저런 공개적인 방식으로 엮일 수 없다. 그룹 내부의 케미 혹은 커플링은 팬들 사이에서 양지와 음지를 오가며 소비되고 소속사도 이를 참고하지만[171] 이런 식으로 아예 다른 소속사의, 차트 1위와 시상식 대상[172]을 두고 경쟁하는 타 그룹을 엮는 행위는 음지 중의 음지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그게 동성 커플링이 아니라 이성 커플링이라면 더욱 더. 심지어 작중에서와 같이 실제 당사자들 앞에서 저런 비공식 커플링을 언급하는 것은 절대로 하면 안될 일로 여겨진다. 양측 팬덤에서 엄청나게 욕을 먹고 팬덤에서 매장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예전같았으면 온갖 물리적인 폭력이 오갔을 정도이다. 당장 1세대의 베이비복스만 해도 멤버 간미연이 H.O.T. 멤버 문희준과 교제 루머만 터졌는데도 감히 우리 오빠한테 꼬리치는 여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쓰면서 온갖 주말 가요프로에 출연하는 내내 1세대 남돌 팬덤들로부터 집단 야유와 폭언을 듣는 등 엄청난 수모를 당했다.[173] 이때문에 아예 요즘 몇몇 소속사들은 최대한 이성 아이돌과 접촉할 일 자체를 최대한 만들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도 있으며, 굳이 인지도 상승을 위해 방송기믹으로 커플링을 한다 해도 김종국-윤은혜나 조권-가인처럼 철저히 실력파 멤버끼리만 붙이거나 닉쿤-빅토리아 같이 외국인 멤버끼리 붙이는 것에 제한된다. 이 때문에 진우-루미 커플링을 지지하는 팬의 팬아트가 '무언가 잘못되었다'라는 느낌이 들도록 그려졌다. 실제로 한 중국 K-POP 팬이 남돌과 여돌의 커플링 문제 등 돌판에선 하면 안 되는 일을 작품 내에서 묘사한다는 지적의 글을 SNS에 올리기도 했다. 즉, 외국인 K-POP 팬들도 해당 부분에 관해선 어색함을 느낄 묘사였다는 뜻.
    • 작중 보이그룹이 걸그룹의 팬을 빼앗아가는 설정이 있지만, 현실에선 남녀 아이돌 팬층은 많이 겹치지도 않고 빼앗아가는 관계는 더더욱 아니기 때문에 스토리 전개를 위한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이는 한국 2세대 그룹 판에서 특유의 현상이었다. 1990년대에는 신승훈이나 김건모의 팬들이 서태지와 아이들 노래를 따라 부르는 모습이 흔했고[174] 1세대 아이돌판에서 H.O.T.젝스키스, NRG태사자, S.E.S.핑클, 신화god 등과 같은 경쟁구도가 생겨났다. 이후 2000년대로 넘어가며 드림콘서트 텐미닛 보이콧 사건으로 대표되는, 보이그룹의 팬덤이 걸그룹과 그 팬덤을 견제하는 등의 팬덤간 대립각이 자리잡는다.[175] 하지만 3~4세대 이후로는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불문하고 모든 팀의 팬들이 서로서로 우호적으로 대하는 분위기가 자리잡혔다. 여러 아이돌들이 동시 출연하는 콘서트의 경우 모두가 환호하면서 응원에 참여하기도 한다. 같은 성별의 아이돌 팬덤은 라이벌 의식이 있긴 하지만 다른 성의 아이돌 팬덤은 애초에 성향 자체가 다르기에 서로 별다른 관심이 없는 편이다. 사실 이런 팬덤간의 대립은 오히려 1970년대~1990년대 미국/유럽 음악계에서 더 흔히 보이는 편으로, 서양 쪽 대중에게는 익숙한 구도이다. 애초에 이는 악귀가 사람들의 마음을 홀리는 힘이 있다는 작중 설정상으로 충분히 이해 가능한 전개이다.
      한편으로는 여전히 트위터와 레딧을 중심으로 형성된 해외 케이팝 온라인 팬덤에서는 그룹의 성별을 가리지 않고 팬덤 간의 감정 싸움이 상당히 심각한 편이다. 상대방 그룹에 대한 가짜 뉴스를 유포하는 일은 일상이고,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적대적 팬덤의 네임드 계정들을 해커를 고용해 집주소 등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다 포함된 신상정보를 털어버리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케이팝 팬덤에서도 팬덤의 이름을 걸고 진짜로 오프라인에서 물리적인 싸움을 벌이는 경우는 없어졌지만 여전히 온라인에서는 팬덤 간의 키배가 상당히 자주 벌어진다. 특히 아예 익명으로 활동 가능한 더쿠의 케이돌토크 게시판 같은 경우라면 자신이 어떤 팬덤인지를 숨기고 경쟁 그룹에 대한 욕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마전 비스무리한 모습을 보여준다. 정말 팬덤끼리 아예 터치를 하지 않는 분위기는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 기본적으로 저연령대를 타깃으로 하는 작품이다 보니, K-POP 산업을 최대한 단순화하고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묘사하고 있다. 작중 헌트릭스 멤버들의 팬 사랑은 조금의 가식 없는 진심 그 자체이며, 반대로 가수의 연애 사실이 밝혀졌을 때 결별을 종용하는 극성 팬덤도, 소속사도 없다. 이러한 K-POP 아이돌의 그늘진 모습은 헌트릭스의 진짜 기획자라고 할 수 있는 셀린이 악귀 혈통임을 나타내는 문양을 드러내지 말 것을 루미에게 강요하는 것으로 은유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앨범 녹음이나 뮤직비디오 촬영 같은 가수들이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는 모습은 철저히 배제되어 모든 주요 의사 결정을 가수들 스스로 기꺼이, 알아서 하는 것처럼 그려진다. 모든 K-POP 아이돌의 활동은 기획사의 철저한 기획으로부터 여러 가지 공정을 거친 것으로 본작에서처럼 그룹 리더의 즉흥적인 결정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이는 BIGBANG, 방탄소년단, KISS OF LIFE, i-dle처럼 곡을 만드는 데 멤버들의 작사 작곡 참여 지분이 높은 경우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싱어송라이터형 아이돌은커녕 기획사의 수장인 박진영조차 가수로서 활동할 때는 본인 곡을 언제 출시할지에 대해서 결정권을 가지지 못한다. 또 헌트릭스의 매니저 바비는 정작 가장 중요한 임무인 스케줄 관리나 관련자들과 연락, 접촉해서 의견이나 일정을 조율하는 등의 모습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는데, 이는 '연예인한테 매니저라는 사람이 붙어다니는 것은 알지만 뭘 하는지는 잘 모르는' 어린이들의 시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Golden의 경우 유난히 루미의 파트 비중이 압도적인데#, 본작이 공개된 2025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이런 파트 분배가 나왔으면 팬덤 내에서 어마어마한 논란이 터졌을 것이다.[176] 그 외에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의 작중 곡들은 멤버별 파트 분배가 비교적 현실적이기 때문에, 이는 K-POP에 대한 몰이해라기보다는 스토리 전개를 위한 주인공 보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후 루미의 보컬을 맡은 EJAE가 인스타에 올린 골든의 풀버전으로 추정되는 가사의 사진에는 미라의 가사가 상당량 존재한 것을 보면, 루미 중심의 서사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조정이 된 듯하다. #

11.

  • 작중 아이돌들이 혼문이라는 결계를 만들어 악귀들을 막고 세상을 구한다는 콘셉트 때문인지, 케이팝 가수들이 전지구적 사고가 발생할 때 세상을 구했다는 밈적 농담들이 SNS에서 조금씩 퍼지고 있다. 주로 혼문이라는 설정에 맞게 어마어마한 위업을 이룬 가수나, 파격적인 콘셉트로 유명한 가수들이 언급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싸이2012년우리 모두를 지켜냈다"는 농담이 있다.# ##[177] 특히 싸이의 경우 귀마뮤직비디오를 찍어서 밈이 흥했다.#
  • 박진영의 경우 2025년 워터밤 행사 때의 모습 때문에 케이팝 데몬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공교롭게도 박진영이 이날 입었던 의상의 색상도 귀마를 상징하는 자홍색이었다.##
    파일:케이팝데몬jyp.jpg 파일:Gv6VB1Ua4AMOLNR.webp

    그런데 절묘하게도 매기 강 감독이 코스모폴리탄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초기에 귀마를 구상할 때, 귀마도 아이돌이 되고 싶어했다는 설정이 있어서 실제로 박진영을 캐스팅에 고려했었다.#
  • 대한민국을 포함해 미국 빌보드나 여러 해외의 음원 차트에서 헌트릭스의 음원이 사자 보이즈의 음원 순위보다 더 높아지면 '혼문이 완성되었다'라고 하며, 반대로 사자 보이즈의 음원이 헌트릭스의 음원보다 더 순위가 높아지면 '혼문이 깨졌다'라고 한다.
  • 실존 케이팝 아이돌이자 엔딩 테마 'TAKEDOWN'을 부른 TWICE정연, 지효, 채영헌트릭스 멤버들의 의상을 리뷰하는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 루미김밥 한 줄을 통째로 먹는 장면이 인기를 끌면서 이 된 바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김밥|김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초반부의 콘서트 후에 숙소에서 조이미라가, 후반부 엔딩 직전에 헌트릭스 셋이서 Couch! Couch!를 외치는 부분이 인기를 끌고 있다.
    파일:CouchCouchCouch.gif
    Google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풀네임으로 치면[178] 검색결과 바로 윗부분의 띠에서 Couch! Couch!가 지나간다.
  • 과 도포를 쓴 사자 보이즈의 이미지가 해외에 계속 퍼져나가다 보니, 레딧에서 바티칸 사자 보이즈(vatican saja boys)라는 제목으로 바티칸에 있는 성 김대건 신부 조각상이 게시글로 올라왔다.[179] 김대건 성인이 천주교 신부이다 보니 '너의 죄까지 사랑해 준다'는 Your Idol의 가사와 엮는 밈도 생겼다.[180] 물론 김대건 신부는 사자 보이즈보다는 데몬 헌터에 더 어울린다는 말도 나왔으며, 실제로 '가톨릭 세계 청년의 날 2027' 계정이 '사제 보이즈'라고 재치있게 답글을 달았다. #, KBS 뉴스(레딧 반응)
  • 2025년 9월 4일, 저스틴 비버가 신규 앨범 <SWAG II>의 발매를 예고하며 세계 주요 도시의 랜드마크에 앨범 타이틀이 새겨진 프로모션 이미지를 깜짝 공개하였는데, 남산서울타워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미국 시간으로 자정에 발표하는 신곡을 남산타워에서 분홍빛 조명으로 홍보하는 바람에 영화 속 사자 보이즈의 Your Idol 콘서트가 생각난다는 반응이 많다.# 공교롭게도 해당 앨범은 1번 트랙부터 제목이 SPEED DEMON이다.(...)

===# 소셜 챌린지 #===
  • Soda Pop
    • 하성진[181] - #, 튜토리얼
    • 케빈[182] - #, ##, 커버
    • ZEROBASEONE - #
    • TWS - #
    • RIIZE - #
    • CRAVITY - #
    • IVE[183] - #
    • QWER - #
    • 방탄소년단 - 비공식
    • LE SSERAFIM - #
    • FIFTY FIFTY - #1, #2
    • NMIXX - #
    • 차은우 - 비공식
    • 원호 - 커버
    • STAYC - #
    • PLAVE - #
    • 온앤오프 - #
    • MAYTREE - #
    • 타타타타 TATATATA - 계산기 커버 #1 계산기 커버 #2 계산기 5개로 연주한 버전
    • 비트세이버 - 커버
    • BOYNEXTDOOR[184] - #
    • POW - #
    • Davie504 - 소다캔 커버
    • NathanLust - #
    • 정훈남JHN STUDIO - 8비트커버
    • 수마일 - #
    • 창팝 - 쌀 다 팜#
    • 아크사인 - 만리로 쏘라우 팍
    • 한지아뮤직 - 술 다 깜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oda Pop|Soda Pop]]}}}{{{#!if external != "o"
      [[Soda Pop]]}}}}}}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oda Pop?uuid=b45e24d2-2abf-4f3b-9cc2-586e261569bd|r1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oda Pop?uuid=b45e24d2-2abf-4f3b-9cc2-586e261569bd#s-6|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Soda Pop?from=14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oda Pop|Soda Pop]]}}}{{{#!if external != "o"
      [[Soda Pop]]}}}}}}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oda Pop?uuid=b45e24d2-2abf-4f3b-9cc2-586e261569bd|r1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oda Pop?uuid=b45e24d2-2abf-4f3b-9cc2-586e261569bd#s-6|6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Soda Pop?from=14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 Raon - 커버
    • 좀비딸[185] 조정석 이정은 조여정 윤경호 최유리 나영석 - #, #조정석
    • 정성하 - 기타커버
    • Stray Kids[186] - #
    • 세븐틴[187]- #NG with 민규
  • Golden
  • How It's Done
  • Free
  • Takedown & TAKEDOWN(TWICE)
  • Your Idol
  • What It Sounds Like
  • 아카펠라
  • 코스프레

12.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콜라보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해외 각종 레딧과 SNS에서 인기를 얻자 해외 많은 게임사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콜라보하기 위해서 넷플릭스에게 연락을 보내고 있다.[200]

13.1. 삼성전자

13.2. 농심

  • 본작에 나오는 다양한 한국 음식들 중엔 神라면, 새우깡의 제형을 닮은 과자 등 농심의 제품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소품들이 있었고 상표인 농심까지 심으로 살짝 어레인지되어 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소품들은 농심과는 따로 상표권 계약을 맺지 않아 상당히 변형된 형태로 등장했다. 그래서인지 이런 제품들이 은근히 작품의 흥행으로 인해 메리트를 누리고 있던 와중 2025년 8월 20일, 농심 측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공식 콜라보 제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콜라보 제품 대상은 신라면 시리즈[202], 새우깡[203] 시리즈다. #기사 신라면의 경우 헌트릭스 3멤버 버전이 모두 개인 버전이 존재한다.# 마치 아이돌 개인 커버 앨범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는 반응이다. 매기 강 감독에 따르면 한국어 라면을 표기한 로마자 철자가 라멘(Ramen)이 아닌 라면(Ramyun)[204]으로 된 상품은 농심뿐이었다고 한다.
  • 작품 속 등장했던 컵라면 디자인과 동일한 농심 신라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페셜 패키지가 한정 판매로 진행되었다.# 2025년 8월 29일 오전 10시에 진행된 1차 판매분 1,000세트가 1분만에 모두 품절되었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 2차 판매는 동년 9월 중에 예정되어 있다.
  • 새우깡 역시 본작에서 조이가 새우깡을 닮은 매운 감자칩을 사악하게 웃으며 흡입하는 장면을 콜라보 제품의 패키지에 그대로 집어넣었다.

13.3.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공식 영상
  • 2025년 9월 7일 오후 8시, 뚝섬한강공원에서 '2025년 한강 불빛 공연'의 첫 번째 공연으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주제로 하여 1,200대의 드론을 활용한 드론 라이트쇼가 진행되었다. 본격적인 드론쇼에 앞서 저녁 7시에는 OST 커버댄스와 노래를 포함한 문화예술공연도 진행되었다.# 공교롭게도 뚝섬한강공원 바로 옆에 있는 청담대교자양역[205]은 영화 속 주요 장면의 무대가 된 장소이다.
  • 서울관광재단에서는 2025년 8월 28일부터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온 작품 속 장소들을 배경으로 하는 서울 트립 헌터스 스탬프투어를 운영중이다. 지정된 명소는 N서울타워, 서울한방진흥센터, 북촌한옥마을, 낙산공원, 코엑스 케이팝 스퀘어, 한강공원, 명동거리, 롯데월드타워의 8곳. 해당 장소들에서 스탬프를 찍고 추가로 영화 속에 등장한 설렁탕, 핫도그, 김밥, 컵라면 등을 즐기는 인증사진을 올려 추가 스탬프를 받으면 스탬프 수에 따라 미니 노리개, 호작도 키링 등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13.4. 파리바게뜨

  • 2025년 9월 12일에 제품 5종이 출시된다. 사자 보이즈소다팝’ 무대를 표현한 ‘소다팝 케이크', 헌트릭스를 모티브로 한 '골든 버터번', 더피의 메시지 카드가 동봉된 '치즈가 부드러운 시간', 호랑이와 곶감 스토리를 담은 '파바 곶감파운드', 오메기빵을 연상시키는 '제주쑥 오메기빵’을 출시했다.
  • 2025년 9월 26일에 '헌트릭스 케이크', 더피를 모티브로 한 '파바 쑥떡쿠키', '파바 약과 티그레', 헌트릭스의 대표곡 '골든'을 형상화한 '촉촉한 골든 바나나 케이크'와 사자 보이즈의 대표곡 '소다팝'의 무대 의상을 연상시키는 '촉촉한 핑크 딸기 케이크'를 추가 출시한다. 제품을 구매하면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 등 주요 캐릭터의 사진이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랜덤 렌티큘러 스티커가 동봉되어있다.

13.5. 에버랜드

  • 2025년 9월 26일에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와 K-분식 등 작품 속 인기 캐릭터와 세계관을 생상하게 경험할 수 있는 '케데헌' 테마존을 오픈한다고 한다. 이 테마존에서는 한국적 감각과 전통을 살린 신비로운 공간 속에 작품에 수록된 인기 OST와 명장면 등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고, 캐릭터별 스토리를 살린 미션형 게임(비행기 슈팅, 두더지 잡기)과 인터랙티브 포토존이 마련된다고 한다. 또한 캐릭터 분장, 한정판 굿즈 등 여러 체험형 콘텐츠를 준비중이라고 한다.# 스페셜 프로모션 정보

13.6. 카카오톡

  • 콜라보라고 하기 애매하지만 카카오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이모티콘을 출시했다. 헌트릭스, 사자 보이즈 2종이며 특정 기간까지 이모티콘을 구매한 이용자에게 추가 이모티콘 더피와 서씨를 증정한다.

13.7. GS25

  • 케데헌의 콘텐츠 화제성과 K-푸드 트렌드를 결합해 참치마요&전주비빔 반반김밥, 전주비빔&제육 커플 주먹밥, 모둠 분식세트 등 대표 간편식 상품을 출시했다. 또한 올해 GS25 판매 우수 상품으로 꼽힌 아이스 브륄레를 '아이스 브륄레 골든망고'와 '아이스 브륄레 소다팝'으로 변형해서 선보였다. 출시되는 모든 상품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42종)이 랜덤으로 동봉되어있다.

13.8. 에잇세컨즈

  • 삼성물산SPA(패션) 브랜드 에잇세컨즈는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의 의상에서 영감받은 디자인으로 티셔츠, 후드티, 볼캡을 출시한다. 서울 성수동에서 팝업 매장도 열 예정이라고 한다.

13.9. 포트나이트

[[https://www.fortnite.com/item-shop/bundles/kpop-demon-hunters-bundle-c7f91d7f|
Demon Rush
]][206]
  • 작품 속 조이의 보컬을 맡은 레이 아미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포트나이트 공식 콜라보 스킨 출시가 최초로 알려졌다.#
  • 협업 콘텐츠 기반의 이벤트는 2025년 10월 2일,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오전 4시부터 시작되었다.
  • 대한민국 표준시(UTC+9) 기준 2025년 10월 2일 오후 5시에 포트나이트의 Demon Rush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207]
  • 해당 업데이트는 포트나이트 배틀로얄에서 기존의 특별 게임모드인 호드 러시의 변형으로, 작품 속 HUNTR/X가 헌터로서 활동할때 사용하는 무기인 루미의 사인검, 미라의 곡도, 조이의 신칼이 마찬가지로 무기로 등장하며, 이 밖에도 호랑이 '더피'의 얼굴을 본뜬 가면이 순간이동 능력을 지닌 유틸리티 장비로써 등장한다.
  • 원작에서는 만화적 표현으로 취급되어 행방이 묘연했던 HUNTR/X의 두 동강 난 전용기의 후방 동체가 이번 콜라보 기간 동안 포트나이트의 섬 맵에서 발견되는 이스터 에그로 등장한다.#
  • 급하게 제작된 탓인지 일부 캐릭터 스킨에서는 리깅 실수가 발견되었다. 특히, 루미의 캐릭터 스킨은 공연 복장의 재킷 겨드랑이 부분 리깅이 잘못되어 특정 자세에서는 매우 비현실적으로 늘어난다.#

13.10. 유사 콘텐츠

작중 후반부 Saja Boys의 공연 복장으로 나온 이나 호랑이 '더피'와 까치 '서씨'의 모티브가 된 까치호랑이 그림처럼 본작과의 공식 협업은 아니나 이미 기존 상품과의 유사성으로 팬덤에서는 '비공식' 콜라보로 취급되는 사례도 나왔다.
  • 국립중앙박물관의 굿즈(뮷즈) 중 '흑립 갓끈 볼펜', '갓 모양 키링', '나전 호랑이 손거울' 가 케데헌 속 장면을 떠올리게 해 비공식 케데헌 굿즈샵으로 불리고 있다.
  • 이외에도 더피의 모티프가 된 호작도 관련 굿즈가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오리온에서는 비쵸비 국립중앙박물관 에디션을 출시했으며 스타벅스가 2024년 선보인 호작도 굿즈(머그, 텀블러, 키체인)도 다시 역주행 중이다.

14. 기타

  • 한국 작품 원작 기반을 빼면[208] 한국을 주요 소재와 배경으로 삼은 최초의 외국산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단편까지 포함하면 남산타워를 배경으로 한 미키 마우스 단편 애니메이션〈Locked in Love#〉, 게임에서 파생된 미디어 믹스인 오버워치의 단편 애니메이션〈슈팅 스타〉와 리그 오브 레전드K/DA[209]POP/STARS〉뮤직비디오[210], 발로란트의 〈Can't Slow Me Down〉 뮤직비디오가 있기는 했지만 이렇게 장편 분량으로 제작된 해외산 애니메이션으로는 본작이 최초다.
  •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 조회수 인기순 상위권 영상 대부분이 케데헌일 정도로 케데헌 영상만 유독 조회수가 월등히 높은 위엄을 보여준다. 다른 영상들은 조회수가 많아도 500만을 넘기는 게 무척 드문데 반해서 케데헌은 트레일러만 600만을 넘고 트레일러를 제외한 모든 영상들이 수천만 ~ 1억 이상의 조회수를 보여주고 있다. 조회수가 낮아도 3천만 대 이상이며 골든은 무려 조회수 3억을 넘었다. 넷플릭스에서 올린 영상들도 수백만 ~ 수천만 대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 미국 애니메이션인 만큼 작품 밖의 원어 대사는 영어이고, 애니메이션의 입모양도 원래 만들어진 영어판에 더 맞지만 한국이 배경인지라 작품 안의 인물들의 대사는 마계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한국어일 것이고, 영어판에서도 '가자~' 등의 우리말이나, '후배' 같은 영어에 없는 표현 등은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쓴다. 한국 비속어인 "아이씨" 대사도 두 번 나오며, "루미 님", "조~이~"라든가 "바이"처럼 한국식 음절 단위로 발음을 하는 대사도 종종 나온다. 이는 '설정상' 이들이 작중에서 한국어를 씀을 암시하는 부분. 한국어 더빙도 입모양은 다소 안 맞을지언정 성우 캐스팅과 연기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어판과 영어판의 대사가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는데, 재관람을 원한다면 언어를 바꿔서 보는 것도 재미있다.
  • 그리스어, 일본어[211], 러시아어, 스페인어(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스페인), 튀르키예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프랑스어, 필리핀어, 히브리어, 힌디어에서는 노래까지 더빙했고, 그 외 다른 언어는 전부 노래 파트에서 원어(영어)를 사용한다. 한국어판에서 노래 가사를 별도로 번안하지 않은 이유는, 애초에 케이팝 가사에 영어가 섞여 있는 경우가 흔하고 본작의 OST 수록곡인 트와이스의 "Strategy"처럼 가사가 아예 영어로만 된 경우도 있으며, 원어에서도 중간중간 한국어 가사가 들어가기 때문에 위화감이 크지 않아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듯하다.[212] 노래 파트를 더빙한 경우 전문 가수가 아닌 성우이다 보니 성우의 노래 실력에 언어에 따른 퀄리티가 천차만별인데, 특히 히브리어는 도저히 못들어주겠다는 평이 자자하다. 프랑스어 버전 더빙은 의외로 굉장히 호평이 많다. 다만 프랑스인들에게는 소다팝의 가사에 많이 낯뜨거운 단어와 평소에 잘 안 쓰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 노래 가사로써 사용된 단어라는 인상이 있다.
  • 애니메이션은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부터 보여준 특유의 2D스러운 낮은 초당 프레임 수를 유지하는 기법을 사용한다.[213] 인물들의 동작은 대부분 현실적인 관절의 움직임을 보이지만 소다 팝 공연 중 아주 잠시 안무에서 다리가 휘고 늘어나는 등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시리즈, 몬스터 호텔 시리즈처럼 만화스러운 과장된 인체 표현이 나타난다.[214] 2분 29초 부근 마침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디즈니의 빅 히어로의 리드 캐릭터 디자이너로 유명한 한국계 미국인 아티스트인 김시윤이 본작의 캐릭터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배경의 3D 애니메이션인 데다가 장르가 무속, 어반 판타지, 퇴마이고 '미라'라는 이름의 등장인물이 나오는 공통점을 갖고 같은 해에 개봉된 퇴마록과 섞은 2차 창작들이 나온다. 사실 공개 예고편이 나왔을 때부터 SNS에서 퇴마록 케이팝 버전이라는 드립이 나왔었고, 개봉 후 둘 다 한국에서 어느 정도 이슈가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개봉되자마자 X 등 SNS에서 두 작품을 엮은 2차 창작들이 어느 정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측면뿐만 아니라 춤과 가사, 음악 등 다양한 방면으로 분석 리뷰가 올라오고 있다. 전곡 가사를 해석하여 첫 곡부터 마지막 곡까지의 모든 노래의 가사들이 많은 복선으로 소름돋을 정도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소개, 초대형 남돌 사자 보이즈의 데뷔곡 Soda Pop의 안무 분석, Your Idol안무 분석 등 깊이 있고 재미있는 분석들이 늘고 있다.
  • 초안에서는 성인향 작품이었지만, 제작사가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아동용 영화로 제작할 것을 제안하여 수용했다. 성인향 작품이었던 흔적은 악귀를 가차 없이 살해하는 헌트릭스와, 루미가 진우로 생각된 마네킹을 공격하자 그 마네킹의 목이 떨어진 것, 루미와 진우와의 썸 묘사는 자제하는 게 오히려 더 자극적이라는 제작진의 인터뷰로 흔적이 남아 있다.
  • 영화를 인상 깊게 시청한 팬들이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를 버츄얼 아이돌과 유사하게 받아들이며 무대 영상이나 직캠 같은 추가적인 컨텐츠를 요청하기도 하나, 애니메이션버츄얼은 엄연히 다른 영역이라 제작방식이 크게 달라 해당 컨텐츠들이 만들어지기는 어렵다.
    버츄얼 유튜버나 버츄얼 아이돌들의 컨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또는 이를 녹화한 유튜브 영상이 메인이기에 대부분 언리얼 엔진이나 유니티 엔진과 같은 게임에 사용되는 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 덕분에 다양한 영상을 비교적 간단하고 수월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델링이나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215] 하지만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나 픽사와 같은 애니메이션 업체가 만들어내는 영상들은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 상당히 보장되어야 하는 영상물이고, 모델링과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가 매우 높은 만큼, 대부분 RenderMan, Arnold와 같은 비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거기다 기본적으로 제작 규모가 버츄얼 유튜버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압도적으로 오래 걸리고, 대신 퀄리티가 굉장히 높다. 그렇다고 컨텐츠 양산을 위해 빠른 제작을 하려고 모델링이나 맵핑 등의 품질을 낮추면 원작의 분위기가 살지 않아 원작 훼손이라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컨텐츠를 만들어내기가 굉장히 어렵고, 추가적인 컨텐츠가 나오더라도 영화의 일부를 그대로 가져온 뮤직비디오나, 성우 또는 가수를 인터뷰하는 컨텐츠가 한계일 수밖에 없다.
    또한 애니메이션과 버츄얼 영역의 차이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특유의 제작방식에서도 어쩔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들은 넷플릭스가 제작비를 전부 지원하고, 제작사 측은 리스크를 지지 않는 대신 수익의 대부분과 IP의 소유권을 넷플릭스가 가져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16] 이 때문에 대흥행하더라도 결국 판권은 넷플릭스가, 제작 에셋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가 갖고 있어 소니 측에서 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2차 영상을 제작하면 넷플릭스만 좋은 꼴이기에 굳이 만들어줄 필요성이 없다.[217] 이 때문에 오리지널 컨텐츠가 흥행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주체는 거의 대부분 넷플릭스 측이다.[218] 물론 2차 컨텐츠를 넷플릭스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계약하여 이에 대한 제작비를 보장받으면 추가적으로 생산할 수는 있겠지만, 3D 애니메이션이라는 영상 특성상 제작 단가와 제작 기간이 상당할 수밖에 없는 만큼 이는 단순히 유튜브용 컨텐츠가 아닌 넷플릭스의 정식 컨텐츠 혹은 2편의 제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본작이 흥행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해외 팬들 사이에서는 그간 디즈니픽사, 드림웍스를 비롯한 미국 애니메이션 3강 체계를 담당하는 3사가 작품성보다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거나 이미 사용한 소재를 또 사용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정체된 사이 소비층 사이에서도 누적된 이러한 불만을 케데헌이 어느 정도 해소해 주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라는 영어식 제목을 한국어로 풀어서 '우리가락 마구니 사냥꾼'이라고 풀이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국 버추얼 유튜버 향아치의 본작 리뷰 영상인 우리가락 마구니 사냥꾼 후기 제목에서 따왔다.
  • 오리지널 컨텐츠가 한정적이라서 2차 창작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비밀을 밝힐 수 없는 루미, 아이돌 경험이 있었던 귀마, 집을 잘못 찾아온 미스터리, 조이는 두번 묻지 않는다, 웅심 ~헌트릭스~[219]
  • 작중 등장하는 루미의 팔찌는 국화매듭, 생쪽매듭, 도래매듭, 그리고 평매듭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1 #2
  • 매기 강 감독은 8월 20일 방한하여 MC 장성규의 진행 아래 이재명 대통령과 걸그룹 TWICE의 정연과 지효 등이 참석한 자리에서 '케데헌'과 K팝의 인기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케데헌'의 인기와 함께 작중 호랑이 민화를 살린 캐릭터 더피, 저승사자 의상 등 한국적 디테일을 살린 요소들이 호평받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호랑이가 너무 깜찍하더라. 저승사자도 봤다"라며 놀라워 했다. '문화 강국'을 강조해 온 이 대통령은 문화 산업 발전이 주요 과제 중 하나라면서 자유로운 문화·예술 창작 환경 조성과 공연시설 확대, 순수예술 지원 등을 약속했다. MBC, 조선일보
  • 매기 강 감독이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했다.
  • 작품이 흥행하자 정식 라이센스를 받지 않은 각종 짝퉁, 저작권 위반 굿즈들이 중국을 중심으로 쏟아졌다.[220] 심지어 그중에서는 한국인이 그린 팬아트를 무단으로 도용한 굿즈도 버젓이 팔리고 있는데, 원작자가 이 소식을 모르는지 대응을 하지 않고 있어 피해는 계속 커지고 있다.
  • 서구권에서는 세 명의 여성 팀으로 구성된 전투원을 주력으로 다루는 특징과 개그 분위기 때문에 파워퍼프걸[221] 내지 Totally Spies!(舊 말괄량이 삼총사, 現 스파이 삼총사) 등의 작품을 한국식으로 만든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물론 이 분야의 원전은 미녀 삼총사다.
  • 평가 문단에서 상술했듯이 작중 패딩 점퍼와 반팔 차림의 시민들이 공존하는 것과 Han의원의 한의사 허준봉의 진료실 책상 위 달력으로 보아 작중 시간대는 2월로 추정된다.
  • 노박 조코비치의 딸 타라가 이 작품의 팬이다. 현지 시각 2025년 9월 2일 노박 조코비치가 US 오픈에서 4강 진출 세리머니로 사자 보이즈가 부른 Soda Pop 을 췄다. 알고보니 타라가 가르쳐주었고 마침 9월 2일이 딸의 8번째 생일이라서 보여준 것이었다.

14.1. 제작 관련

  • 그룹명 후보로는 헌트릭스와 더불어 다이아시(Diacy)[222]라는 이름도 있었다.#
  • 계획 도시가 아니라 세월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강, 구옥과 문화유산, 현대 고층 빌딩이 어우러진 서울특별시의 특색이 잘 묘사됐다. 제작진은 이러한 서울다움을 잘 표현하기 위해 특히 신경을 썼다. 실제로 대도시, 특히 수도에 빌딩 숲과 산과 강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구조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기에, 외국인들이 특색있게 여기는 서울의 대표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제작 컨셉집에 "벽같은 고층빌딩·담요같은 저층빌딩·그들을 감싸는 산(을 묘사하라) / 과하게 높은 빌딩과 중간급 빌딩 군집을 피해라-너무 뉴욕 같다! / 다양한 크기 빌딩을 산없는 평야에 뿌리지 마라-너무 도쿄 같다!"라 해 독창적인 스카이라인을 신경 썼음을 알 수 있다.[223]
  • 실존 K-POP이 작중 직접 인용되기도 한다. 중간에 비춰지는 음악 순위 차트에서 헌트릭스How It's Done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와중에 2위는 TWICEStrategy로, 실제 OST로 삽입됐다. 반대로 TWICE의 TAKEDOWN 뮤직비디오에서는 TWICE의 Take Down이 How It's Done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온다. 사자 보이즈의 첫 등장 씬에서는 EXOLOVE ME RIGHT이 등장하고 극 중반 공연 대기실 장면[224]에서는 TWICEMEOVV의 포스터가 배경으로 등장했다.[225] 게다가 1990년대를 풍미한 한국 가요들도 상당히 많이 나오는데, 콘서트장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중 하나로 듀스나를 돌아봐가 나왔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잘 들리지는 않지만 진우가 성벽에서 루미를 기다릴 때 작게 나오는 배경음악은 서태지와 아이들이 밤이 깊어가지만이다.[226] 심지어 바비의 전화벨 소리에서 나오는 노래는 신라의 달밤이박사 버전이다.[227]
  •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방영된 미국 드라마 LOST에 등장해 큰 인상을 남겼던 한국인 캐릭터 백선화 역의 김윤진권진수역의 다니엘 대 킴이 이 작품에서 각각 셀린과 한의사 허준봉의 영어 목소리를 맡으며 오랜만에 같은 작품에 출연했다. LOST는 예산의 한계와 지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한국의 모습을 제대로 묘사하지는 못한 편이지만[228] 어쨌든 당시 미국 매체로서는 흔치 않게 한국인 캐릭터가 엄청난 비중을 지녔고 미숙하게나마 한국 문화를 표현하려 노력했으며[229] 그 배역을 한국인 혹은 한국계 미국인이 맡았던 드라마이다. 당시는 한국계 배우들이 가뭄에 콩 나듯 나오는 동양인 배역이라면 국적을 가리지 않고 출연해야 하던 시기였으며 한편으로는 한국계 등장인물이 나와도 다른 동양계 배우가 이를 맡아 전혀 한국인 같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이런 배역들이 심각한 인종차별적 스테레오타입과 오리엔탈리즘을 그대로 반영한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예시가 미국 현지에서는 아직도 레전드 드라마로 대접받는 M.A.S.H.[230], 특히 초반 시즌.[231] 실제로 해당 드라마가 방영되던 1970-80년대는 나름 대한민국이 중진국으로서 도약하던 시기였고 미국에 자동차와 전자제품까지 수출할 정도였는데 드라마에서 보이는 한국의 낙후된 모습 탓에 한국의 이미지가 1950년대 그 시절에 고착화되어 재미교포들이 마음고생을 좀 많이 했다고 한다. 아무튼 LOST의 백선화와 권진수 커플은 매력적이고 입체적인 서사를 지닌 캐릭터로서 주역들 중 가장 인기가 많은 편에 속했기에 나름 재미동포들에겐 위로를 주고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이미지를 조금이나마 올리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병헌을 캐스팅한 것처럼 이 쪽도 캐스팅에 오마주의 느낌이 많이 들어가 있는 셈. 다만 작중에서 셀린과 허준봉이 마주치는 장면은 없다.
  • 한국 드라마사내맞선》의 OST인 멜로망스사랑인가 봐가 삽입곡이자 이 작품의 정식 OST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사내맞선》의 남자 주인공인 강태무역을 맡은 것이 진우의 성우인 안효섭이라 일종의 배우 개그로 볼 수 있기도 하다.[232] 감독인 매기 강이 안효섭의 캐스팅을 결정 지은 것도《사내맞선》에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씬을 봤기 때문이다.[233]
  • 진우는 조선 시대 악사였으며 현재 유명 아이돌 가수로 활동 중인데, 안효섭이 드라마 데뷔작《퐁당퐁당 LOVE》에서 조선 시대 음악가 박연, 현재 시점에선 가수 역할을 맡았던 것을 떠올려 보면 안효섭 관련 배우 개그가 또 하나 성립된다.
  • 한국계 제작진들에 의하면, 제작 과정 중 한국적인 요소를 넣으면서도 그 역사성을 지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어필을 했다. 다양한 참여 아티스트들이 아트워크들을 공개하거나#[234] X에서 팬들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활발하게 답해주는 중이다.
    •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일부러 김치는 아예 언급하지 못하게 했다. 김치는 한국의 너무 뻔한 스테레오타입이고 한국의 다른 다양한 음식들을 소개하고 싶어서 그랬다.#
  • 영어 더빙판 성우는 리자 코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한국계 인물로 캐스팅했다.
  • 한국어 녹음 음성은 Pixelogic APAC에서 제작했으며, 번역은 서승희, 연출은 김형석이 담당했다.
  • 소니 엑스페리아가 작중 등장인물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나오는데, 이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모회사 PPL로 추정된다. 2024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1 VI로 추정되는데 실제론 소니 엑스페리아는 2018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XZ3를 마지막으로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물론 해외직구로 어찌어찌 구할 순 있겠지만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중 소니 비율은 1% 미만이기 때문에 PPL 때문에 현실성을 포기한 묘사라 볼 수 있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모바일 시장은 삼성 갤럭시AppleiPhone이 다수인 걸 보면 더더욱. 다만 케이스를 끼고 있기도 하고 삼성전자갤럭시 S25갤럭시 A 시리즈(2025년)와도 비슷하게 생겨서 위화감이 큰 편은 아니다. 다만 일부 장면에서는 2013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Z 울트라가 나온다.
  • OST에 THEBLACKLABEL의 프로듀서들[235]이 참여했다.#
  • 안무는 리정JAM REPUBLIC 그리고 K-TIGERS가 참여했다.# SODAPOP 안무가버전 Golden 안무가버전 Your Idol 안무가버전SODAPOP 시안풀버전
  • 헌트릭스의 보컬 파워를 상징하는 색상 연출은 처음에는 골든 혼문이라는 단일하고 이상적인 색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캐릭터의 성장과 테마에 맞지 않는다는 제작진의 고민 끝에 레인보우 혼문으로 변화되었다. 이 레인보우 혼문은, 각자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연결됨으로써 더 깊은 유대를 형성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실제로 작중 새로 만들어진 혼문의 색은 이전과 달리 한 가지 색상이 아닌 프리즘처럼 무지갯빛으로 은은하게 빛나고 있다. 인터뷰 원문
  • 합동 팬사인회 장면은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처음엔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즉 아육대를 소재로 쓰려고 했다. 하지만 임원들이 '대체 왜 아이돌이 허들을 뛰고 양궁을 하는 거죠?'라며 이해를 하지 못하는 바람에 팬사인회로 대체한 것이란다. 다만 아트디렉터도 아육대 소재는 스토리적으로 문제가 많아[236] 제외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 개봉 직후 굿즈가 제작진 한정 배포품으로 언급될 뿐 판매되지 않아 팬들의 아쉬움을 샀으나, 얼마 뒤 공식 상품 판매처가 생겼다. 가장 이목을 끄는 상품은 위의 제작진 한정 배포로 아쉬움을 샀던 더피 인형.[237]
  •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 인터뷰#에서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는 원래는 케이팝이 없고 Demon hunter라는 소재만 있었는데, 이후 이 구상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K-POP이 추가되었다고 들었다. 매일경제와 진행한 메기 강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이 작품은 본래 메기 강 감독이 드림웍스를 나온 후, 워너 애니메이션에서 잠시 몸을 담았을 때, 구상이 시작된 작품으로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가 나왔으면 멋질 거라는 생각을 품고 있다가 감독이 된 뒤 한국의 Demon(저승사자, 물귀신, 도깨비 등)의 디자인이 멋져서 Demon hunter를 구상했고 그 뒤로 Demon hunter의 정체를 숨기는 직업을 고민하다가 케이팝을 선택하게 되었다[238] 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를 구매할 여러 회사들을 찾고 있었는데, 이때 소니는 한국문화 중심의 아시아 배우들로만 채우는걸 큰 모험으로 생각해 거절했다. 그래서 넷플릭스에 제안했는데 넷플릭스에서 아주 좋아했고[239] 메기 강 감독과 아펠한스 감독 등 제작진이 모두 소니 직원이었기 때문에 넷플릭스와 소니의 협업을 통해 소니팀으로 제작했다.# 그외에도 제작 기간에 대해 밝혔는데, 중간에 코로나 때문에 딜레이가 있어서 길어져 7년 걸렸다고. 만약 코로나가 없었다면 작품 제작에 5~6년 정도 걸렸을 것이다.
    • 본 작품의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곰나'가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와 진행한 후속 인터뷰에 따르면, 마감 기한이 다가오는데도 제작 진척도는 목표치에 못 미쳤고 제작 일정이 매우 타이트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작품 내의 한국 문화 구현이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었다고 하는데, 제작팀 내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은 아예 공간을 따로 마련해서 모인 후, 실시간으로 영상이 제작되면 그걸 다시 검토하고 의견을 취합한 후 피드백하는 힘든 과정을 반복했다. 비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의 경우 한국 문화를 잘 몰라서 잘못되거나 어색한 장면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예를 들면 삭제된 부분 중에는 루미가 뜨거운 국밥 뚝배기를 컵처럼 손에 말아쥐고 젓가락으로 국밥을 찍어먹는 장면도 있었다.#[240] 결국 제작 후반기에는 이런 실수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전담하게 되면서 제작 속도가 훨씬 빠르게 진척되었고, 이에 따라 업무 분배를 맡는 관리자 측에서도 많은 작업을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에게 맡기는 방식으로 작업을 효율화했다.[241]
  • 감독 매기 강에 따르면 처음 귀마 콘셉트는 아이돌이 되고 싶어했기 때문에 박진영을 캐스팅하고 싶었다고 한다.#
  • 본작 제작진 중 유일한 한국인 3D 모델러인 류인선의 인터뷰 영상에서 밝히기를 초반부 HUNTR/X 전용기 안에서의 탄수화물 파티 장면에 나온 김밥, 순대나 중반부 설렁탕을 비롯한 작중 모든 한국 음식 및 진우의 회상 장면과 루미와 진우의 밀회 장면에서 나온 각종 한옥들을 묘사한 3D 모델 제작을 모두 혼자서 맡았다고 한다. 정작 작가 스스로는 시간에 쫓기며 작업한 탓에 음식 묘사의 디테일이 부족했다고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 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그룹의 음반 부서 대표 Spring Aspers는 TWICE와의 콜라보야 말로 케데헌 캠페인의 시작(트레일러)과 끝(비하인드)라고 하며 TWICE의 역할에 대해 크게 강조를 했다.#

14.2. 국적 관련

일본 회사소니의 자회사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보니[242] 작품의 흥행 이후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어느 국가의 작품이냐를 두고 웹상에서 국적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국적 논란은 비디오 게임인 칼리스토 프로토콜의 국적 논란에서도 이미 잘 서술되어 있지만 보통 모기업이 아닌 스튜디오의 국적으로 판단하므로 법적으로 따지면 미국 애니메이션으로 분류하는 게 더 맞다는 평이 우세하다. 당연하지만 스튜디오의 소재가 위치해 있는 미국인들이나 하물며 일본인들조차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만든 작품인 몬스터 호텔이나 스파이더버스 같은 작품의 국적을 일본 애니라고 말한 적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243] 또 쿵푸팬더를 중국영화라고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편하다. 라스트 사무라이를 일본영화가 아닌 할리우드 작품으로 분류하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혹은 배경이 100% 인도인데다 인도/파키스탄계 배우들이 주연을 포함해 대다수의 배역을 맡았으며 인도의 문화를 다루고 발리우드 특유의 군무 장면까지 재현한 슬럼독 밀리어네어[244] 역시 인도 영화로 분류되지 않는 것과 같다.

한편 사운드트랙TWICE가 부른 StrategyTAKEDOWN(TWICE)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실제 케이팝 그룹이 노래한 것도 아니고 한국 엔터테인먼트사가 제작한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이를 K-POP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이 곡들의 제작 과정에는 BIGBANG, 2NE1, BLACKPINK의 프로듀싱을 맡아온 테디를 비롯한 THEBLACKLABEL 소속 프로듀서들, BTS·TWICE와 작업한 Lindgren, BTS·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협업한 Stephen Kirk, 그리고 BTS〈Butter〉의 공동작곡가 Jenna Andrews 등 실제 케이팝 산업에서 활동해온 글로벌 프로듀서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이러한 참여는 사운드트랙이 단순히 ‘케이팝풍 음악’에 그친 것이 아니라 실제 케이팝 제작 시스템과 동일한 창작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곡의 구성(랩·보컬·댄스 브레이크), 정교한 프로덕션, 안무와 시각적 콘셉트까지 케이팝의 전형적 특징을 충실히 반영했기 때문에, 빌보드와 같은 주요 차트에서도 케이팝 음악으로 공식적으로 분류되고 소비될 수 있었다. 제작진 또한 인터뷰에서 “수준 높은 진짜 케이팝 음악을 만들고 싶었고, 이를 위해 한국 레이블과 프로듀서들과 협업했다”라고 밝히며, 처음부터 케이팝으로 인식될 만한 음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음을 강조했다. 나아가 2010년대 후반 이후에는 한국인 멤버나 한국어 가사가 없거나, 심지어 한국에 기반하지 않은 엔터테인먼트사가 제작한 곡들까지 케이팝으로 분류되는 사례가 등장하면서, 케이팝은 이미 특정 국가적 배경을 넘어 스타일·제작 방식·소비 방식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장르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 역시 케이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케이팝으로 정의하는 예시 #1#2#3

한편 매기 강 감독은 유퀴즈에 출연하여 이병헌 배우가 합류한 것으로 '이 영화가 진정한 한국 영화라는 느낌을 준다'라고 표현하였다.# 엄밀히 따져 공식·산업적 분류로는 한국 영화는 아니지만 한국계 캐나다인이 감독하고, 스탭중에도 한국계 출신이 일부 있으며, 한국을 배경으로 하고, 유명 한국인 배우가 합류한 점에서 '정서적·상징적 의미'로는 한국 영화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 감독이 한국계 인거야 기존에도 넬슨 신, 박성후 등 해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인 애니메이터나 감독들은 많았지만, 케데헌은 단순히 감독만 한국계라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을 주 배경으로 하며 한국 문화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경우기 때문. 케데헌과 비슷한 케이스를 따지자면 갓 오브 하이스쿨 정도가 있다. 제작사는 엄연히 일본의 MAPPA지만, 한국 웹툰이 원작이며 한국을 배경으로 하고있고 감독도 한국인인 박성후이기에 정서적으로는 한국 애니로 받아들여지는 경향도 있다.

반면 이러한 '정서적 국적 분류'에 반감을 가진 쪽에서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업계 몇 년 차 기술과 노하우가 있는데, 만약 순수 국산 애니메이션이었다면 이런 퀄리티가 나올 수 있었겠느냐', '그들의 기술과 업계 노하우를 '한국' 것으로 편입시켜 퉁치는 일'이라며 스튜디오의 국적 역시 축소해선 안된다며 반문을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쇼군의 경우, 일본어로 제작되었고 영상에 나오는 주연들도 대부분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일본드라마로 분류하거나 일본콘텐츠 논란이 일어난 적도 없는만큼 케데헌은 미국의 작품이 맞다는 주장을 한다. 케데헌을 한국배경의 작품이라고 한국영화로 치부한다면 벤허는 미국이 아닌 이탈리아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 쇼군은 일본영화와 일본드라마이며 고스트 오브 쓰시마도 미국게임이 아닌 일본게임이, 역으로 데스 스트랜딩은 일본 게임이 아닌 미국 게임이 되어버려서 법적 분류, 즉 저작권 권리 행사를 할수 있느냐 아니냐로 분류하는 게 객관적으로 깔끔하다는 입장이다.

14.3. 지적재산권 관련

케데헌이 흥행한 이유와 지적재산권을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한동안 의견이 분분하였다. 소니가 넷플릭스에 저작권을 넘겼다는 의견#이나 이에 대한 반론#도 나왔지만 실질적인 저작권은 넷플릭스에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저작권 사이트 'publicrecords.copyright.gov'에서 'K-Pop Demon Hunters'로 모두 4건의 항목이 검색되며, 이중 2022년 3월 30일 에 등록된 'KPop: Demon Hunters ;Project'#, 'KPop: Demon Hunters ;motion picture project'# 두 건의 문서를 보면 각각 'Copyright Mortgage and Assignment'(저작권 담보 및 양도 계약), 'Instrument of Transfer and Short Form Assignment Schedule'(양도 증서 및 약식 양도 일정표) 라고 명시 되어 있어, 본 작의 저작권은 소니에서 넷플릭스로 양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소니 픽처스의 CEO Ravi Ahuja의 인터뷰#에 따르면 "Netflix owns the franchise, including merchandise rights."라고 언급하여 후속편, 머천다이징, 브랜드 확장 등 모든 형태의 2차적 저작물 권리까지 포함된 포괄적 양도임을 알 수 있다.

포브스에 기사에 따르면 소니는 케데헌을 약 1억 달러에 제작한 후에 넷플릭스에 판권을 넘겼다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음반 저작권도 소니 뮤직이 아닌 라이벌 유니버설 뮤직 계열 리퍼블릭 레코드에 판매한 것으로 보인다.#1#2@

부산에서 개최된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현장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케데헌을 우리가 제작할 순 없었나요. 가슴 아프다”와, 티빙 대표가 “저도 참 뼈아프다”며 케데헌이 국내 플랫폼을 통해 스트리밍됐다면 좋았을 것이라는 소감을 밝혔다.# 하지만 대중들은 이에 비판적이다. 단순히 생각해 봐도 전세계 지역에 서비스되는 넷플릭스가 아니라 오직 한국 지역에서만 서비스되는 티빙 같은 플랫폼에 케데헌을 스트리밍해봤자 지금 같은 인기를 얻기는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게다가 2020년대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케데헌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는, 애니메이션 분야에 1,000억이라는 거금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이다. 설령 제작비가 수천억 원 지원이 가능하더라도 성공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질과 양도 중요한데, 한국의 창의성을 억누르는 사회 풍토 및 교육 환경이 애니메이션 관련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현실도 문제의 원인이다. 때문에 차관과 티빙 대표의 이런 발언은 문제에 대한 성찰 없이 그저 단물만 빨아먹길 바라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14.4. 후속작 가능성 (협상 중)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41개국에서 넷플릭스 1위를 기록했고 그 외 90여 개국에서도 최상위권을 기록하는 등 상당한 인기를 모으자, 넷플릭스 측은 전통문화와 현대 대중문화의 융합이 시청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간 것 같다며 본 작품에 대해 속편과 시리즈화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 밝혔다.[245] 매기 강 감독도 후속 스토리에 대한 여러 아이디어가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넷플릭스의 발표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환영 일색으로, 속편 역시 실사화가 아니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미 상당한 팬층과 인지도를 확보한 상황이기 때문에 속편이 나올 경우 더 큰 예산 지원을 통한 영상미와 스케일의 상승을 기대하는 팬들도 적지 않다.

다만 제작사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당장 2026년에는 고트 개봉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고,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가 2027년 개봉을 위해 사전 제작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후속작을 동일한 제작사에서 맡게 된다면 단기간에 작품을 내놓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246]

포브스에 글을 기고하는 작가인 폴 타시는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두 편의 속편과 프리퀄, TV 시리즈, 그리고 실사 영화까지 넷플릭스에서 제작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이는 개인 생각으로 답변한 글로, 이렇게 성공했는데 당연히 후속작들이 나올 것이라고 극찬하는 어투다. 애초에 넷플릭스 관계자도 아니고, 나온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시점에 저렇게 많은 프로젝트를 확정 짓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외에도 확정이 되었다는 듯이 언급하는 글이 많으나 전부 루머에 불과하며, 아직까지 후속작 여부는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하지만 초대박 흥행을 일으킨 작품이기 때문에 후속작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 여기는 사람이 많다.

매기 강 감독은 언론 인터뷰에서 2편이 나온다면 트로트나 헤비메탈처럼 1편에서 보여주지 못한 한국의 여러 가지 음악 스타일을 더 보여주고 싶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27일 후속작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다.#

<데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토리>라는 제목의 단편 애니메이션 관람 등급을 확정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데뷔’라는 부제를 보아 루미, 미라, 조이의 헌트릭스 결성 과정을 다루는 프리퀄 작품이 아닐까 하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관련기사)

15. 둘러보기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오늘만은 수컷이고 싶어

[1] 한국 이름은 강민지, 한국계 캐나다인이다. # 5살 때 아버지 회사 일로 토론토에 갔는데 1-2년만 체류할 줄 알았으나 5년 뒤 이민을 가게 됐다. 초등학생 때 여름방학은 모두 한국에서 보냈기에 한국 문화에 친숙하다. #[2]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모린 구(Maurene Goo) 작가의 남편. 공교롭게도 구 작가 역시 2019년 K-POP 아티스트를 소재로 한 'Somewhere Only We Know'라는 소설을 냈으며 현재 이 작품도 넷플릭스에서 드라마화가 확정되어 제작 준비 중이다.[3] 아카데미상 출품 자격 충족을 위해 1주일 간 3개 극장에서 제한적으로 상영. #[4] 부산국제영화제 싱어롱 특별상영[5]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6]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에서 네 번째로 12세 이상 관람가를 받았다. 2018년 이후로 12세 관람가를 받은 건 처음이다.[7] 동시에 공개된 컨셉 아트 역시 국적 불명의 이상한 복장을 입은 아이돌들이 등장해서 김치 전사 같은 괴작을 연상시킨 면도 있다.[8] 공개 후 감독 매기 강코멘트(7 years later, it lives.)를 보면 그보다 긴 7년 동안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즉, 2018년부터 디벨롭한 것. 소니에서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언급(This journey started with a random idea to mash demon hunters and K-Pop together and now, almost seven years later, we have a movie.)이 확인되었다.[9] 메인 보컬이자 악령무당혼혈인 루미는 반인반귀 비형랑이 모티브로 보인다.[10] 오히려 자칫 유치할 정도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제목이 기대치를 낮춰놔서 더욱 호평을 받은 것이라는 의견도 꽤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업계에서 30년을 일한 미국의 에릭 칼데론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똑같이 2025년 6월 20일에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인 본작과 픽사의 엘리오를 비교하는 영상을 통해 단순히 주인공의 이름 외에 그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 엘리오와 달리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용사가 되지 못한 나는 마지못해 취직을 결심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암살자, 이세계 귀족으로 전생하다 등의) 문장형 제목이 유행하는 사례를 언급하면서 본작의 직관적인 제목이 (예의 문장형 제목에 익숙한) 관객의 몰입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11] 특히 저연령 아이들의 경우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경향이 강하기에 그들을 겨냥한 단순한 클리셰 스토리와 음악 위주의 구성이 흥행에 있어서는 적합했다는 의견이 종종 보인다.[12] 대표적으로 쿵푸팬더 시리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한 시대를 풍미한 중국/홍콩권 무협 영화들에 대한 헌정격 레퍼런스가 가득한 작품으로, 무술을 주요 소재로 삼는 해당 영화들에 등장하는 중국적인 관념 및 분위기를 잘 보여주어 큰 찬사를 받았지만, 그 배경으로 등장하는 마을, 지역, 주민 등은 작중에서 분명히 '중국'이라는 언급이 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그 양상이 지역 불명, 시대 불명, 중국적인 문화라기보다 서양에서 상상하는 동양인 사회나 마을의 모습에 가깝다는 식의 비판이 존재한다. 작중 분위기상으로는 이미 청나라 성립과 함께 여러 변화가 정착한 근대 중국의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애매모호하고 두루뭉술하게만 묘사가 된다. 특히, 무술과 관련된 요소를 제외하면 '일상'의 모습에서 드러나는 중국적 요소는 먹는 음식이나 입는 복장 정도를 제외하면 상당히 드문 편.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많아서, 동양권에서 만드는 서양 판타지는 온갖 시대의 유럽 각국의 오만가지 문화의 잡탕인 경우가 많다.[13] 제작사는 당연히 미국 기업이지만 작중 배경과 콘셉트 자체는 완전히 한국적인 작품으로, 젓가락 밑에 휴지를 깐다거나 노랑 파랑 선이 그어진 문 닫힌 상점의 셔터 등 사소한 요소 하나하나에서 한국적인 스타일이 드러난다. 빠르게 지나가서 놓치기 쉽지만 헌터의 역사를 훑는 장면에서 황금 혼문의 범위가 주변으로 펼쳐지는 와중에 휴전선 구간은 제대로 펼쳐지지 않는, 분단된 한반도의 현재 상황을 반영한 묘사도 있다. 즉, 작중 헌터의 역사에 등장한 황금 혼문은 불완전한 황금 혼문일 가능성이 있다.[14]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팅은 얼굴 표현이 다양하지만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처럼 얼굴을 가린 캐릭터들이 다수거나, 시리어스 노선의 작품이 많았던 특성상 얼굴 포징이 다소 제한되어 있었는데, 본작에서는 얼굴 포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를 많이 한 느낌이다. 악역 캐릭터들 또한 개그신이 하나씩은 존재하며, 진우는 아예 주역 3인방처럼 얼굴개그 단독 샷 장면이 있다. 목욕탕에 악령들을 풀어놓고 혼자 실실대며 도망치다가 루미에게 추격당하는 장면.[15] 일본 아이돌을 다룬 일본 애니메이션은 많지만, 한국의 애니 시장 특성상 한국 아이돌을 다룬 아이돌물 애니메이션은 매우 드물다. 샤이닝 스타가 케이팝을 다루긴 했지만 음악을 제외하면 일본식 아이돌물에 가까운 편.[16] 물론 진우와 다른 사자보이즈의 외모를 보여주면서 아이돌 데뷔의 성공률이 100%일 것이라는 것도 한방에 해결한다.[17] 해외에서부터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관련된 각종 챌린지 쇼츠가 유행하거나 노래에 열광하는 서양 어린이들의 영상이 크게 떴고##2#3#4 북미 지역에 단 이틀만 상영되었던 싱어롱 버전 극장상영회는 300관만 잡아둔 극장이 1700관까지 늘었을 정도로 관객들이 몰려들어 그주 박스오피스 1위를 등극할 정도였다.[18] 91일 기준, 1위 케데헌 3.25억 뷰, 2위 오징어 게임(시즌 1) 2.65억뷰, 3위 웬즈데이(시즌 1) 2.52억뷰, 4위 레드 노티스 2.3억뷰[19] 91일 기준, 3억 2,510만회. 기존 역대 1위인 오징어 게임(시즌 1)과 5,990만회 차이[20] 91일 기준, 5억 4,180만 시간. 기존 1위인 레드 노티스와 8,760만 시간 차이[21] 기존 역대 1위인 기묘한 이야기(시즌 4)의 경우 글로벌 주간 7주 1위. 영어/비영어 통합 순위 기준[22] 오징어 게임(시즌 1)기묘한 이야기(시즌 4)의 15주 연속 TOP10과 타이 기록. 영어/비영어 통합 순위 기준[23] 2위인 엔칸토: 마법의 세계 OST, We Don't Talk About Bruno의 경우 5주 1위 기록. 애니메이션 OST가 아닌 역대 모든 곡들 기준으로 했을 땐 역대 5번째로 긴 집권기.[24] 이전 최고 기록은 각각 글로벌200 기준,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한 알렉스 워렌의 Ordinary, 레이디 가가브루노 마스Die With A Smile, 미국 제외 글로벌 200 기준 역시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한 해리 스타일스As It Was[25] Golden, Soda Pop, Your Idol, How It's Done[26] 디즈니 작품까지 포함할 경우 역대 3번째 작품. 최초는 알라딘(1992년 영화)A Whole New World, 2번째는 엔칸토: 마법의 세계We Don't Talk About Bruno.[27] 2025년 9월 30일 기준, 9위 기록[28] 2위인 엔칸토: 마법의 세계 OST, We Don't Talk About Bruno의 경우 7주 1위 기록.[29] Golden, Soda Pop, Your Idol[30] 기존 1위였던 방탄소년단 정국SEVEN의 경우 71일 1위 기록[31] 단 2일 상영으로 1,920만 달러 수입 기록. 미국 내 약 8,000개 이상의 상영관을 보유한 AMC 시어터스의 보이콧으로 1,700개 상영관에서만 상영 진행. 약 1,000여개 극장 매진 기록[32] 플릭스패트롤 기준, 2025년 8월15일 56일차 기록[33] 1위 33회, 2위 56회, 3위 1회, 4위 1회[34] 2025년 9월25일#[35] 2025년 10월2일#[36] 각각 How It's Done 9월11일, Your Idol 9월25일 돌파[37] Golden, Your Idol, Soda Pop, How It's Done, What It Sounds Like, Take Down, Free 순[38] 넷플릭스 영화/TV쇼 작품 최초 글로벌 주간 8주 1위 돌파[39] 싱어롱 버전, 공개 1일차 9위(99점)[40] 싱어롱 버전, 공개 2일차 6위(241점)[41] 싱어롱 버전, 공개 3일차 7위(263점)[42] 싱어롱 버전, 공개 4일차 본편과 합산 집계[43] 이전까지 별도로 집계되던 싱어롱 버전이 합산되며 플릭스패트롤 역사상 930점을 넘은 최초의 작품이 되어버렸다. 현재는 915점으로 표기 되는데 93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 보정이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44] 최초 기록 공개 시엔 싱어롱 버전과 합산 집계되어 정확한 본편 기록을 알 수 없었으나 현재는 본편 6개국 1위 달성 기록으로 확인된다.[45] 싱어롱 버전, 공개 5일차 7위(222점)[46] 합산 집계 하루만에 다시 분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47] 싱어롱 버전, 공개 6일차 5위(293점)[48] 싱어롱 버전, 공개 7일차 7위(211점)[49] 싱어롱 버전, 공개 8일차 6위(221점)[50] 싱어롱 버전, 공개 9일차 6위(210점)[51] 싱어롱 버전, 공개 10일차 6위(294점)[52] 싱어롱 버전, 공개 11일차 6위(265점)[53] 싱어롱 버전, 공개 12일차 6위(297점)[54] 싱어롱 버전, 공개 13일차 5위(274점)[55] 싱어롱 버전, 공개 14일차 7위(180점)[56] 싱어롱 버전, 공개 15일차 6위(206점)[57] 싱어롱 버전, 공개 16일차 8위(211점)[58] 싱어롱 버전, 공개 17일차 7위(195점)[59] 싱어롱 버전, 공개 18일차 7위(226점)[60] 싱어롱 버전, 공개 19일차 6위(216점)[61] 싱어롱 버전, 공개 20일차 3위(293점)[62] 싱어롱 버전, 공개 21일차 7위(185점)[63] 싱어롱 버전, 공개 22일차 7위(187점)[64] 싱어롱 버전, 공개 23일차 3위(222점)[65] 싱어롱 버전, 공개 24일차 3위(249점)[66] 싱어롱 버전, 공개 25일차 3위(238점)[67] 싱어롱 버전, 공개 26일차 5위(184점)[68] 싱어롱 버전, 공개 27일차 5위(223점)[69] 싱어롱 버전, 공개 28일차 9위(110점)[70] 싱어롱 버전, 공개 29일차 10위(103점)[71] 싱어롱 버전, 공개 30일차 9위(116점)[72] 싱어롱 버전, 공개 31일차 9위(124점)[73] 싱어롱 버전, 공개 32일차 9위(132점)[74] 싱어롱 버전, 공개 33일차 차트 아웃[75] 싱어롱 버전, 공개 34일차 10위(124점), 차트 재진입[76] 싱어롱 버전, 공개 35일차 차트 아웃[77] 싱어롱 버전, 공개 37일차 재진입, 10위(105점)[78] 싱어롱 버전, 공개 38일차, 10위(90점)[79] 넷플릭스 역사상[] [81] 2025년 7월7일~13일 기록 (17~23일차)[82] 만약 극장에서 개봉했다면 천만 관객 돌파 영화,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가 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83] 점수 자체는 25일 차보다 4일 차 때가 좀 더 높다.[84] 2025년 7월 14일~20일 기록 (24~30일차)[85] 2025년 7월 24일 기록[86] 이전 본 작품의 최고 점수는 8일 차 847점이었다.[87] 2025년 7월 25일 기록[88] 2025년 7월 26일 기록[89] 2025년 7월 21일~27일 기록 (31~37일차)[90] 시청 시간 역시 4,390만 시간으로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91] 2025년 7월 넷째주 기준 TOP 10의 10위는《오늘부터 히어로》의 1억 3730만 회로 500만 회 정도의 차이밖에 안 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6주 차가 되도록 하락폭이 거의 보이지가 않는 중이라, 현재《레드 노티스》가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2억 시청수에 도달할 수 있을지도 주목되고 있다.[92] 2025년 7월 28일~8월 3일 기록 (38~44일차)[93] 공개 후 91일간 기록 기준[94] 2025년 8월 4일~8월 10일 기록 (45~51일차)[95] 현재까지 3일간의 기록만이 포함된 1주차를 제외하곤 2,200만 시청수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96] 13~14주차까지 누적 기록[97] 2025년 8월 12일 기록[98] 2025년 8월 14일 기록[99] 플릭스패트롤 점수 기준으로는 34일차 856점[100] 2025년 8월 15일 기록[101] 2025년 8월 11일~8월 17일 기록 (52~58일차)[102] 가장 높은 시청수는 6주차 2,630만 시청수이다.[103] 2억 1,050만회[104] 약 13~14주차 누적 기록[105] 현재 추이가 기록 마감까지 이어질 경우 최대 3.4억 시청수까지 도달 가능하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또한 정말 3억뷰를 기록한다면 넷플릭스 사상 첫 3억뷰 돌파이자, 오징어 게임 이후 넷플릭스 영화부문에서 처음으로 드라마의 시청수 기록을 깨는 기염을 토하게 된다.[106] 2025년 8월 20일 기록[107] 2025년 8월 26일 기록[108] 2025년 8월 18일~8월 24일 기록 (59~65일차)[109] 10주차 기록 기준 6번째로 높은 시청수다.[110] 절대 다수의 작품들이 공개 초반에 시청수가 몰린 이후 자연스럽게 시청수가 떨어지는 소위 로그함수 그래프 형태를 띠고 있는데 케데헌은 매주 2,500~2,600만 시청수를 꾸준히 유지하며 마치 자대고 그린 듯 일차함수 그래프 형태를 띠고 있는 게 특징이다.[111] Golden[112] 1위 Golden, 4위 Your Idol, 5위 Soda Pop, 10위 How It's Done[113] 2025년 8월 29일 기록[114] 2025년 기준으로는 오징어 게임 시리즈시즌2시즌3가 유일하다.[115] 2025년 8월 25일~8월 31일 기록 (66일~72일차)[116] 23일차, 24일차 기록을 제외하곤 단 한 번도 2위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117] 이는 지난 2억 조회수 돌파로부터 19일만의 기록이다.[118] 2025년 9월 7일 기록[119] 2개월 이내로 범위를 좁혀도 본 작품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120] 2025년 9월 1일~9월 7일 기록 (73일~79일차)[121] 2025년 9월 8일~9월 14일 기록 (80일~86일차)[122] 작품 공개 3개월 만에 처음으로 10% 수준의 낙폭을 보여줬다. 다른 작품의 2~3주차 낙폭과 비교해도 매우 적은 수치이다.[123] 이는 역대 2위인 레드 노티스와 무려 8,330만 조회수 격차이며 아직 작품 공개 91일을 채우지 않았기 때문에 격차를 더 벌릴 여지가 존재한다.[124] 이전 4억 시간 돌파 작품들은 레드 노티스돈 룩 업뿐이었다.[125] 2025년 9월 15일~9월 21일 기록 (87일~93일차)[126] 2025년 9월 22일~9월 28일 기록 (94일~100일차)[127] 기존 1위 기록은 기묘한 이야기 4의 7주 1위 기록이었다.[128] 넷플릭스에서 극장 수익을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정치이다.[129] 오스카상은 OTT가 아닌 극장에서 최초 공개된 작품에 한해 후보 자격을 부여한다. 따라서 OTT 오리지널 영화라도 OTT 공개일 전이나 적어도 당일에 극장 상영을 진행했어야 출품이 가능해진다.[130] 보통 와이드 릴리즈 영화들은 3천 개 이상의 극장에서 개봉하는데, 이 경우 북미 극장 체인 1위인 AMC 시어터스가 같은 기간 너자 2 더빙판에 개봉관 2천여개 이상을 몰아주며 불참해 1,700개에 그쳤다. 참고로 AMC가 그렇게 밀어준 너자2 더빙판은 극장별 매출이 700달러도 안 되는 수준으로 폭망했다.[131] 다만 넷플릭스는 자사 작품을 극장에서 상영하더라도 박스오피스 수입을 공개하지 않아 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132] 넷플릭스가 극장 수익을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추정 기관마다 차이가 있다.[133] 케데헌은 주말 1위를 달성했으나#, 주말 2일동안만 상영하였기 때문에 위클리 순위에서는 주중 수익까지 포함된 웨폰스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134] 앨범의 오리지널곡 8곡 모두 빌보드 Hot 100에 차트인한 놀라운 성과로, 앨범 중 대표곡 한두 곡만 차트인 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인기이다.[135] 미국 제외 차트[136] 오스카 최종 후보 명단은 2026년 1월 22일 목요일에 발표되며, 제98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26년 3월 2일 일요일에 열린다. 한국계 작곡가가 오스카 주제가상 후보에 오르는 것은 사상 두 번째이며, 수상하면 최초가 된다.[137] 오스카 후보에 오르기 위해서는 OTT가 아닌 극장에서 최초 공개된 작품이어야 하는데,《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넷플릭스 2025년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 동안 세 개의 극장에서 상영된 뒤에 넷플릭스에 올라온 것이어서 출품 자격이 있다. 여담으로 Golden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자 8월 23~24일에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 싱어롱 버전으로 극장에서 상영할 예정이고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특별상영으로 싱어롱 버전이 상영될 예정이다.#[138] 8월 16일 순위 선공개[139] 공개 55일차 54개국 1위 달성[140] 5개의 곡이 TOP10에 이름을 올렸던 사례는 1995년 Waiting To Exhale(사랑을 기다리며)이 있었으나 4곡이 동시에 TOP10에 올라간 사례는 빌보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141] 미국 내 음원 다운로드 순위 차트[142] 이는 엔칸토: 마법의 세계와 동률의 기록이다.[143] OST 4곡이 동시에 빌보드 HOT100 TOP10에 이름을 올린 것 자체가 빌보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인데 이 기록을 9월16일 기준 4주 연속으로 유지 중이다.[144] PAK 655회[145] 5주 연속으로 HOT100 차트 TOP10에 4곡의 이름을 올린 사운드트랙 기록을 현재진행형으로 경신 중이다.[146] 공동 9위[147] 빌보드 역사상 걸그룹 중 가장 긴 집권기는 11주 1위를 기록한 비욘세가 속해있던 그룹인 데스티니 차일드Independent Women Part I이다.[148] 이전 최고 기록은 글로벌200 기준,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한 알렉스 워렌의 Ordinary, 레이디 가가브루노 마스Die With A Smile, 미국 제외 글로벌 200 기준 역시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한 해리 스타일스As It Was이다.[149] 석장은 기존의 고리가 아닌 무당의 방울을 달아 변형했으며 무당들이 쌍검을 들고 검무를 춘 것에 기인한 쌍검술, 한국의 전통 활인 각궁을 각각 모티브로 했다.[150] 날 부분의 모양이 임진왜란 당시 일등공신이었던 김명윤 유품 쌍검과 동일한 디자인이다.[151] 대(大)신칼의 형태. 조이의 경우 소환형 무기라는 점을 백분 활용하여, 투척다시 소환하는 식으로 비도 형식을 병행하여 전투에 사용한다. 디렉터는 한국적 이미지를 참고했다는 컨셉 아트를 밝히며, 제작진에게 '쿠나이나 수리검처럼 보이지 않도록 해 달라'라고 요청했다. 참고 링크 서구권에선 동양 무술이나 무기에 대한 몰이해가 많고 동양무술+비도술=닌자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52] 제작진에 따르면 헌트릭스 멤버들의 노리개는 전통적인 노리개에 귀엽고 현대적인 느낌을 첨가하여 디자인하였다고 한다.[153] 작중에선 소창의에 가깝게 묘사된다.[154] 비슷한 예시로, 한국의 전통 요괴는 아니지만 비교적 이른 시기, 현대에 창작된 요괴 장산범도 '구전과 소문이 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 덕분에 학술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부대찌개 또한 소시지와 햄이라는 6.25 전쟁 이후 미군부대를 통해 유입된 서양 식재료가 사용된 20세기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한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155] 현대 이전의 저승사자의 모습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문무백관이 입었던 관복의 한 종류인 단령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저승사자가 단순히 영혼을 데려가는 존재가 아니라, 저승의 공무원이자 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고귀한 존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156] 예를 들어 어사 박문수가 주인공인 그 유명한 무주 구천동 설화를 보면 근처 관아에서 재주넘기 잘 하는 광대들을 데려와서 화려한 무관복을 입히고 자신이 부르면 등장하도록 해서 마을 사람들을 위압했다는 내용이 있다.[157] 원본인 까치호랑이는 학계에서 벽에 걸어 잡귀를 쫓기 위해 만들어진 그림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호랑이의 눈이 사팔뜨기인 이유도 호랑이를 탐관오리 등 권력자에 비유하여 바보같이 그리려는 목적도 있지만, 어느 시점에서 보더라도 바라보는 사람을 똑같이 바라보도록 그려져 있기에 집 안에 들어오는 침입자나 잡귀 등을 놀래켜 쫓아내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그래서 초반부 진우가 호랑이를 끌고 올 때 악령들이 두려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58] 축구 대표팀의 공식 서포터즈 상징인 붉은 악마와 비슷한 형상[159]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 없이 바로 앉거나 조정 중신들의 흉배 달린 붉은 관복은 한국 사극에서도 나타나는 흔한 역사적 구현 오류이기도 하다. 붉은색 관복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붉은 관복은 공식 석상이 아닌 일반 집무용 의상이었고 흉배가 달려 있지 않았다. 400년 전인 조선 중후기 당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가슴에 흉배가 달린 아청색의 흑단령을 착용했다.#[160] 실제로 그룹명 '선라이트 시스터즈'를 SunLight Sisters, 즉 S.L.S로 축약할 수 있다.[161] 1세대 아이돌의 자녀가 데뷔한 케이스는 아직 없지만, 그들보다 몇 년 이른 1990년대 초에 활동했던 가수들의 2세가 아이돌로 활동 중인 사례는 있다. 대표적으로 방대식의 아들 방예담, 윤상의 아들 앤톤 등이 있다.[162] 뒤의 엔딩 크레딧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러닝타임은 1시간 25분(85분) 정도로 더욱 줄어든다.[163] 오히려 진우를 제외한 사자 보이즈 멤버들은 예명일 수밖에 없는 이름들이다. 영미권 사람이라고 사람 이름을 베이비, 로맨스, 미스터리 같은 식으로 지을 리도 없고, 나중에 근육남이 될 걸 미리 알고 abs에서 유래한 애비(Abby)라는 애칭을 붙일 리도 없다.[164] 진우미라는 한국 이름이며, 조이재미동포 출신이니 논외.[165] 참고로 수도권보다는 주로 경상북도 등의 지방 식료품 공장에서 만든 것이 수출된다.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166] 비슷한 사례로 일본의 초밥, 그리고 한국의 떡볶이 등 여러 사례가 있다. 냉면이나 분짜, 메밀국수 등은 현재도 영국, 독일, 북유럽 등 게르만권에서는 날씨 탓인지 "왜 면을 차갑게 먹지?"라는 평이 많다. 특히 초밥은 "날 생선을 먹으면 난쟁이가 되어버린다"라는 속설이 있었고(19세기 일본인들의 작은 평균키에서 파생된 악담. 닐스의 신기한 여행에서는 아예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떡볶이는 "질겅거리는 게 꼭 고무 타이어 씹는 것 같다"며 혹평받았다. 그러던 것이 초밥은 1980년대 '재팬 인베이전' 이후로는 여피족힙스터들이 선호한 것을 계기로 완전히 힙한 음식으로 다리잡았고, 떡볶이도 K팝, K드라마 등 한류문화 덕에 "코리안 스파이시 뇨끼"로 뉴욕 힙스터들이 원하는 음식으로 완전히 이미지를 탈바꿈했다.[167] 심지어 서로간의 합의하에 진행된 것이 아니라 사자 보이즈헌트릭스팬사인회를 방해하기 위해 난입한 것으로, 이 와중에 첫 순서로 들어오기 위해 팬들보다 일찍 꼭두새벽부터 팬사인회 현장 앞에서 침낭을 두르고 대기하고 있는 깨알 같은 모습이 지나간다.[168] 다만 이 시점에서는 사자 보이즈와 귀마가 사람들을 홀려버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 그럴 여지 자체가 없었다.[169] 일각에서는 저런 일 중 단 하나라도 일어났다가는 엑스(전 트위터)에 실트로 #진우 제정신(...)이 뜰 거라고 말하기도.[170] 'relationship'에서 따온 말인 'ship'이라고도 한다. 커플링(동인) 문서 참고.[171] 2024년 국정감사를 통해 촉발된 HYBE 위클리 음악산업 리포트 논란 당시 유출된 HYBE의 내부 문건 중에는 자사 남자 아이돌 그룹 멤버들을 소재로 쓴 팬픽의 인기를 언급 및 평가하면 이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지 고민하는 내용이 적혀있기도 했다.[172] 이런 상들은 남발되는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해외 케이팝 팬들 사이에서도 이미 Daesang과 Bonsang은 고유명사화되어 어느 그룹이 대상을 받네 못받네 하는 것으로 싸우는 일이 잦을 정도이다.[173] 또한, 베이비복스의 명성이 확고한 오늘날에는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2집으로 인기가 생기기 시작할때 은퇴한 SES의 세미힙합 컨셉을 따라해서 떴다는 이유로 HOT와 신화 등 SM팬덤의 증오를 한몸에 받았던 이유도 있다.[174] 사실 이는 해체 전 서태지와 아이들이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인기와 명성을 가진 존재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링크된 영상의 공연의 경우 당시 잠실 주경기장 수용 인원을 아득히 뛰어넘는 10만 명의 관람객이 운집했는데 각각의 가수 팬들을 모두 합한 10만 명이 한꺼번에 떼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75] 마침 본작의 감독과 각본을 맡은 매기 강 감독이 바로 이 세대를 경험했기도 하다.[176]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메인보컬 위주의 보컬 분배와 이른바 '피자판'식의 공평한 분배 가운데 어떤 것이 낫느냐 하는 것은 꾸준한 논쟁거리이나 악기 연주 롤이 따로 있어서 보컬이 한 명에게 집중되는 밴드가 아닌 이상 이렇게 80% 대의 파트 배분이 나오는 것은 이름부터 센터를 거명하는 서태지와 아이들 외에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 이는 미국의 아이돌 그룹이 사장된 원인이기도 한데, 아이돌 그룹을 결성시킬 때 재능이 출중한 센터 한두명한테 가창 라이브를 몰빵하고 나머지는 백업댄서와 코러스를 맡게 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이런 비정상적인 파트 배분이 나올 수밖에 없었고, 장기적으로 nSync나 Pussycat dolls에서 나타났던것 같은 멤버 간 불화를 피할 수 없었던 것. 심지어 'Golden'이 고음역 폭격을 때리는 유형의 곡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메인보컬 혹사로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부터 의문이 드는 곡 구성. 루미가 제대로 노래를 못하는 것이 그냥 목이 나가서가 아니냐는 농담까지 나올 정도.[177] 지구멸망 제지 드립은 해당 영상의 베스트 댓글에서 발췌, 영상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텍스트는 "싸이가 귀마였다면 우린 다 죽었을 거야" 라는 내용이다.[178] 언어는 상관 없다.[179]에서 교황 레오 14세를 언급하기도 했는데 공교롭게도 레오 14세는 교황이 되기 전 아우구스띠노회 총장 자격으로 방한했을 때 을 쓴 적이 있다.[180] 하지만 진지하게 얘기하자면 천주교 교리상 '죄인'은 사랑해도 '죄'는 절대 사랑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며 Your Idol의 해당 부분 가사 자체가 가톨릭교회 입장에서는 신성모독적인 내용이다. 천주교에선 악령 역시 전적으로 구제의 대상일 뿐 어떠한 타협이나 연민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181] 원작 안무가[182] 미스터리 보컬[183] 가을,이서[184] 성호, 리우, 명재현[185] 300백만 달성 공약[186] 아이엔, 한, 방찬, 리노, 승민[187] 승관[188] 원작 안무 시안으로, 한글 가사가 없는 제작 중 음악이 들린다.[189] 안유진[190] 한국어판 HUNTR/X 목소리 연기[191] 미연,소연,우기[192] 셀린의 설정 및 외형 모티브[193] 혼문이 완성되었다는 페스티벌 영상에서 사용되는 음악[194] 미라 한국어판 목소리 연기[195] 진우 오리지널(영어판) 목소리 및 모션캡쳐 연기[196] 루미 오리지널(영어판) 목소리 연기 + 진우의 외형 모티브[197] 진우 보컬[198] 자본주의 골반으로 유명해진 안무 시안[199] 미스터리 보컬[200] 제작 및 지원은 소니 픽쳐스에서 했으나 판권은 넷플릭스가 소유하고 있다.[201] 테마를 다운받으려면 갤럭시 스토어 이벤트창을 통해 넷플릭스 앱을 다운받은 후 실행해야 하며, 이후에 이벤트 창으로 다시 들어가면 테마 다운로드가 활성화된다. 기존에 갤럭시 스토어로 넷플릭스 앱을 다운받은 유저라면 다운로드 받기 창을 한번 터치하면 앱이 자동실행된다.[202] 신라면, 신라면 블랙, 신라면 툼바, 신라면 툼바 만능 소스, 신라면 컵 등[203] 새우깡, 매운 새우깡, 와사비 새우깡[204] 참고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면 Ramyeon이 표준이다. 본작의 넷플릭스 공식 자막 중 영어를 비롯한 로마자를 표기에 사용하는 언어에서도 해당 철자를 사용한다.[205] 영화에는 섬유원지역으로 나왔다.[206] 링크는 포트나이트 아이템 상점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번들" 상품 웹페이지로, 이번 협업 콘텐츠로 추가된 장식 아이템은 2025년 10월 17일 현지 시간으로 오전 9시(GMT+09:00)까지 구매할 수 있다.[207] 해당 업데이트를 위해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 16시 30분경부터 매치메이킹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208] 그나마도 갓 오브 하이스쿨 애니메이션 하나 말고는 없다. 물론 갓 오브 하이스쿨이 원작 웹툰부터 중국 신화서유기를 기반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같은 다른 국가의 신화적 요소를 대거 차용하여 혼합한 구성이지만 숭례문을 비롯한 서울시 배경과 등장인물의 이름, 리뉴얼 태권도쌈수택견 같은 일부 설정으로 한국 배경임이 명시된다. 그러나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은 한국어판, 영어판과 달리 일본 내수용인 일본어판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명이 일본 현지화 버전으로 바뀌게 되므로 한국 배경이 아니게 되는데, 다르게 말하자면 나혼렙의 경우 일본 현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한국적이라고 할만한 요소가 적다는 뜻이기도 하다.[209] HUNTR/X라는 그룹명 표기도 이에 대한 레퍼런스일 수 있다. 공중파 유튜브의 흥행 관련 외국인 인터뷰에서는 (뮤비 시퀀스의) 장대함이 K/DA를 연상시킨다는 반응이 있었다.[210] 이마저도 지하철 전광판에 '다음역'과 세탁실에 놓인 세제 이름이 한글로 쓰여 있는 것 말고는 배경이 한국임을 암시하는 부분은 없다.[211] 일본어판의 경우 대사와 노래에 따라 배역을 나눠서 캐스팅했다.[212] 넷플릭스 특유의 오역 문제일 수도 있으나 작중 헌트릭스가 가사를 짤 때 한국어로 짜거나 목욕탕 할아버지와 귀마가 원래 가사인 'My little soda pop'을 '내 작은 소다 팝'이라 번역해서 따라 부르는 장면이 있는 걸 보면 최초에는 번안 계획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추후 한국어 번안곡이 추가된다면 노래에 참여한 이들이 대부분 한국어를 노래에 무리 없이 소화하는 수준이라 다른 국가와는 달리 원곡 가수들이 번안곡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넷플릭스 코리아에 올라온 your idol 영상에서 한국어 더빙 버전 가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노래들도 한국어로 더빙이 추가될 가능성이 생겼다. 또한 한국판 헌트릭스 성우들(신나리, 김도영, 김예림)이 Golden#How It's Done#을 커버했기에 추후 다른 곡들 역시 성우들이 직접 커버할 것으로 예상된다.[213] 이러한 연출은 2D스러움을 극도로 강조해줄 수 있는 대신, 이러한 연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멀미 등을 유발할 수 있기에 본 영화를 시청하기 전 주의가 필요하다.[214] 가끔 영화에서 헌트릭스의 과장된 표정과 역동스러운 움직임을 연출할 때 이전 프레임의 눈알이 그대로 둥둥 떠있는 기괴한 오류가 생기기도 한다.[215] 최근에서야 게임에서도 AAA 게임 기준으로 레이 트레이싱이 보편화되었지만, 영화에 비하면 그 성능이 턱없이 부족해서 자글거림이 심해 AI로 겨우 메꾸고 있는 지경이다. 영화에서는 그 전부터 이미 흔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영화는 영상미가 전부이기 때문에 광선을 가능한 많이 사용하므로 한 프레임 렌더링만 해도 몇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 여러대를 묶어 렌더링하는 렌더팜을 구성해도 그 정도다. 거기에 물리엔진, 모델링도 사실적인 묘사에 집중해야 하기에 게임에 비해 훨씬 무겁다.[216] 그렇다고 제작사의 수익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서 제작비용보다 더 지급을 보장받거나, 흥행 여부에 따른 인센티브를 추가 지급받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이득은 보장한다. 다만 이게 극장 개봉으로 벌어 들이는 수익보다 미미한 것이 문제.[217] 넷플릭스가 수익의 전부를 독식하는 구조 때문에 일견 넷플릭스의 횡포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제작사가 리스크를 지지 않기에 과감한 작품 도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구조 덕분.[218] 오징어 게임의 경우도 배우들의 인터뷰 영상 같은 추가 컨텐츠들도 전부 넷플릭스 공식 계정으로 업로드된다. 오징어 게임과 같은 실사 작품들은 배우들을 불러서 비하인드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는 식으로 2차 컨텐츠를 만들어내기 쉽지만,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 상 제작 에셋이 전부 제작사에 있는 만큼 넷플릭스가 단독으로 컨텐츠를 생산해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219] 웅심 ~비르투스~의 패러디.[220] 참고로 중국은 애초에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도 않는 곳이다. 중국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은 순전히 불법 복제로만 소비, 유통된다.[221] 작중에서도 초반에 팬들이 입은 옷들 가운데 파워퍼프걸 분위기로 헌트릭스가 그려진 윗옷이 있다. 현실 케이팝 업계에서는 NewJeans가 2023년에 파워퍼프걸과 공식으로 콜라보하여 멤버 5명 각각을 파워퍼프걸 그림체로 캐릭터화해 뮤직비디오와 굿즈를 제작한 바 있기도 하다.[222] 다이아몬드의 왕조(Dynasty of Diamond)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빛을 발산하는 다이아몬드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그룹을 상징한다.[223] 뉴욕이나 도쿄는 평야지대에 건설된 도시라 분지 지형에 건설된 서울과는 기본적으로 그 풍광에 차이가 있다.[224] 1:04:20 부분[225] 영화 수록곡의 작곡은 대부분 테디(YG의 BIGBANG, 2NE1 곡을 작곡)를 포함한 THEBLACKLABEL 소속 프로듀서들이다. 그래서인지 THEBLACKLABEL 소속 가수인 MEOVV의 포스터가 등장한 것.[226] 49분 20초부터[227] 절묘하게도 이박사는 일본 소니 뮤직에 한때 소속되어 있었다.[228] 예를 들면 부산은 전형적인 동남아 소도시 어촌처럼 묘사되었고 한강대교를 청계천 돌다리보다 작고 초라하게 묘사할 정도였다. 그래서 2010년 대한민국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왜곡한다며 이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렇게 묘사되던 한국이 케데헌에서 본토 한국인들도 놀랄 정도로 세밀하게 그려졌으니 격세지감이 따로 없다.[229] 예를 들면 백선화가 서울대 출신이라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한다던가, 미국인들은 섬에 표류한 이후 쫄쫄 굶고 있는데 부산 출신 권진수는 성게를 발견하고 맛있게 먹는다던가, "총 쏠줄은 아냐?"라며 반쯤 무시하듯 총을 건네 줬는데 권진수가 군필자라서 약실 확인 절차를 능숙하게 수행한다던가 하는 장면들이 나온다.[230] 6.25 전쟁 당시 미군 야전병원을 다룬 드라마. 의정부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231] 그래도 후반 시즌 들어서는 제작진들이 주한미군 기지를 방문하고 한국계 배우들의 캐스팅을 늘리는 등의 노력을 했다.[232] 작중에서 진우와 루미가 만날 때 이 음악이 흘러나오는데, 한국 드라마에서의 전형적인 남주-여주의 만남 장면을 패러디한 장면이다.[233] 안효섭은 만 6세에 캐나다로 이민 가서 캐나다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마치고 한국에서 또래들과 학교를 다니길 원해 청담고등학교로 고등학교 1학년부터 다시 다녔다.[234] 아트워크를 마음대로 공개해도 되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으나 미국 제작 애니메이션의 경우 공개 후 (특히 퇴사한) 제작진들이 아트워크를 공개하는 행위는 매우 흔하다. 회사의 재산보다는 개인의 작업물이라는 개념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235] TEDDY, 24, ido, Dominsuk, KUSH, Vince, Danny Chung[236] 아육대 자체가 아이돌 가수의 부상 위험이 높고 팬들을 감금하는 프로그램으로 유명해서 방송국을 제외하면 모두 달가워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서 출연진도 신인급들이 주로 출연하며, 최정상급의 아이돌은 거의 출연하지 않는다. 작중에서 헌트릭스는 5년차 최정상급 아이돌이기에 출연하지 않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237] 꿩 대신 닭이라고, 더피 인형 공식 굿즈가 나오기 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까치 호랑이 배지가 완판되는 사태가 벌어졌었다.#[238] 실제로 메기 강 감독이 이 구상을 구체화한 시기는 본격적으로 BTS를 시작으로해서 K-POP 아이돌 그룹들이 미국을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시기와 맞아떨어진다.[239] 넷플릭스에서는 한국적 요소가 있는 오징어 게임이 히트를 친 적이 있다.[240] 이는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본작의 배경 아트 디렉터 Celine Dahyeu Kim의 X(트위터) 내용에서도 일부 드러난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마감 기한은 정해져 있는데 현실성에 맞도록 구현하는 문제로 수정을 반복해야 했으니, 이 때문에 제작진 내부에선 상당한 갈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241] 이 때문에 이후 후속작 제작이 진행된다면, 소니 입장에서는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아예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주축이 된 팀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242] 이와 비슷하게 리그 오브 레전드K/DA모기업이 중국미국 게임사에서 만든 케이팝 컨셉의 그룹이지만,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는 달리 국적 논란이 크게 일어난 적은 없다.[243] 모기업이 소니인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산하의 인섬니악 게임즈Marvel's Spider-Man 시리즈나, 번지헤일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 등을 누구도 일본 게임이라고 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면 소니 픽처스가 소유한 컬럼비아 픽처스의 제작 영화인 토비 맥과이어의 스파이더맨 트릴로지를 일본 영화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당장 한국의 입장에서도 다름 아닌 한국의 롯데그룹에서 개발해 출시한 모든 제품은 일본 제품이라 해야 하는 자기당착에 빠지게 된다.[244] 다만 이 영화는 케데헌과 달리 인도의 어두운 부분을 크게 조명하여 현지인들의 반감을 샀다.[245] 넷플릭스와 소니 측에선 이렇게 많이 뜰지는 몰랐다고 했는데, 홍보를 푸드트럭 한 대에 컵라면을 파는 게 전부였고 흔히 흥행할 영화의 인트로에서는 바리에이션으로 나오는데 해당 영화는 평범한 인트로를 냈기 때문이다.[246]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를 기다리는 스파이더버스 팬들에게서 본작이 눈엣가시로 여겨졌는지 "비욘드는 어디 가고 이런 게 나오냐" 같은 비아냥 같은 반응이 꽤 있었는데, 본작은 2021년부터 기획된 것을 고려하면 억까에 가까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본작의 후속작을 원하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팬들이 비욘드보다 먼저 빨리 본작의 후속작이 나와야 된다는 억지를 부르는 경우도 꽤 있어 양쪽 모두 같은 회사 작품임에도 서로를 까는 신기한 상황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