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8:59:03

W&W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가장 많이 플레이된 트랙을 프로듀싱한 DJ
202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존 서밋 데이비드 게타 디미트리 베가스 티에스토 휴겔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우 P 스티브 안젤로 올리버 헬덴스 라이크 마이크 오드 몹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민 반 뷰렌 스크릴렉스 아니마 피셔 매딕스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맥스 스타일러 디플로 제임스 허 마크 나이트 빈티지 컬처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제임스 하이프 CASSIMM 크리스 레이크 레이튼 지오르다니 하드웰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크러시 캐멀팻 아트베트 메두자 마틴 이킨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엘리 브라운 돈 디아블로 Wh0 주세페 오타비아니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토니 로메라 피에로 피루파 크라이더 로우 스테파 Argy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챕터 & 버스 모르텐 피클 제네시 BLR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마르코 리스 웨스트엔드 OFFAIAH 배스젝커스 KREAM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덥독즈 프레드 어게인 마트로다 마르텐 회르거 산 파초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가브리 폰테 그린 벨벳 딜런 프랜시스 Danny Avila 니키 로메로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고르곤 시티 비스시츠 앨런 와츠 투자모 티미 트럼펫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Andruss 돔 돌라 데이비드 포브스 Alex M.O.R.P.H. 새미 비르지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아담 베이어 크리스 로렌조 알록 굿보이즈 아크레이즈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마쉬 조엘 코리 케빈 드 브라이스 스티브 아오키 CID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W&W Massano 카시안 악스웰 스카이테크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R3HAB 아프로잭 스페이스 92 OMNOM Mairee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플라스틱 펑크 트루스 x 라이즈 톰 엔지 토마스 뉴슨 실버 판다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스페이스 모션 리오르단 로만 메서 미스 모니크 Chase & Status
101위
D.O.D
출처
}}}}}}}}}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5년 1월 17일 발매한 OIIA 밈의 리믹스 곡에 대한 내용은 OIIA OIIA (Spinning Cat)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OIIA OIIA (Spinning Cat)#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OIIA OIIA (Spinning Cat)#|]]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70432><colcolor=#ffffff> 파일:external/pbs.twimg.com/bPFGJ9yP.jpg
이름 W&W (더블유 앤 더블유)
구성원 Willem van Hanegem,[1] Wardt van der Harst
데뷔 2007년 EP 'Mustang / Eruption'
소속 Armada Music, Rave Culture (前 Mainstage Music)
공식 홈페이지
NWYR 홈페이지
Rave Culture 홈페이지
유튜브
1. 개요2. 활동3. Rave Culture4. NWYR

1. 개요

네덜란드의 트랜스, 하우스 DJ 듀오.

2007년 결성되어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Mustang'을 통하여 인기가 올라가다가, 2011년 'Impact' 출시로 정점을 찍게 된다. 이후 2012년에 'Mainstage Music'이라는 레이블을 세웠다.

2. 활동

2007년 Trance Energy 2007에서 서로 만나 결성했고, 그 해 발매한 곡 'Mustang'이 티에스토, 샌더 반 둔, 아민 반 뷰렌, 마르쿠스 슐츠 등에 의해 서포트되면서 본격적으로 상승가도를 타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주로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음악을 프로듀싱했으며, 대표 넘버로는 'Invasion'이 있다. ASOT 550 Anthem을 획득한 적도 있으며, 2011년에 첫 스튜디오 앨범인 Impact를 발매했으며, 2012년에 Armada Music 산하 레이블인 Mainstage Music을 창립하였다. 이후 하우스 열풍을 타고 장르를 하우스로 갈아타서 빅 룸 하우스,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에서 큰 족적[2]을 남겼으며, Hardwell과 공동작업을 하고 2013년 DJ MAG TOP 100에 14위[3]에 등극하는 등 여러 모로 잘 나가고 있다. 다만 트할배 및 빅 룸 혐오자들은 티에스토와 동급 혹은 그 이상으로 싫어한다.

2014년 9월에는 Headhunterz와 합작한 'Shocker'라는 곡을 발매했다. 하드스타일 요소와 빅 룸 하우스가 결합된 곡. 그리고 10월에는 'We Control The Sound'를 발매했다.

2016년 7월에 Hardwell과 공동작업 및 합작하여 'Live The Night'을 발매했다. 보컬은 래퍼 릴 존.
이 뿐만이 아니라 The Chainsmokers의 'Don't Let Me Down'을 리믹스했다. 상당히 장르가 거의 해피 하드코어이다.

2017년 3월에 NWYR이라는 명의로 데뷔하였으며 6월 12일에 트랜스 곡을 오랜만에 발매한다. 이름은 'Voltage'.
현재 이들은 두 명의로 트랜스와 하우스 장르로 왔다갔다 할 것으로 보이며, 이들의 명의를 통해 더 많은 곡을 발매할 계획이다.

2018년 10월 8일, W&W는 오랜만에 새로운 곡을 내놓게 되는데, 바로 'Rave Culture'라는 곡을 출시했다!
이 곡 덕분인지 기존의 'Mainstage Music'은 곡명인 'Rave Culture'를 따와 'Rave Culture'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거 실화냐

또한 최근에는 Darren Styles와 합작하여 'Long Way Down'이라는 곡을 발표해 처음으로 해피 하드코어 합작이 만들어지기도 했고, Groove Coverage의 곡인 'God Is A Girl'을 일렉트로 하우스풍으로 리메이크하기도 하였다.

2018년 12월에는 아민 반 뷰렌과 합작한 하드 트랜스풍의 'Ready To Rave'를 출시하였고, Steve Aoki방탄소년단의 곡 'Waste It On Me'를 리믹스하였다.

이 때문에 2019년이 되자 기존의 프로필도 새로 바꾸었다(...) 심지어 웹사이트까지 완전히 바뀌었다

2019년부터 'Rave Culture'와 'NWYR' 웹사이트가 개장됐는데, 'Rave Culture'같은 경우에는 아직 오픈이 되지 않고 있다가 2019년 4월이 되어서야 개장되었다.

최근 NWYR 명의로 오랜만에 UMF ASOT Stage에 서기도 했다. 이후 2018년에 ASOT 850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2019년 3월에는, 2018년부터 거론되던 키즈나 아이와의 콜라보 싱글 The Light이 발매되었다.

2019년 3월과 5월에는 Maurice West와 콜라보한 Matrix를, Blasterjaxx와 콜라보한 Let The Music Take Control를 각각 출시했다.

2025년 1월에 최근 유행하는 밈인 OIIA Cat을 패러디한 OIIA OIIA (Spinning Cat)을 발매하였다. 발매후 한 달 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유튜브 조회수가 8천 7백만회가 넘어갈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2025년 3월 22일 기준 유튜브 글로벌 인기 뮤직비디오 6위를 기록중이다.

3. Rave Culture

파일:external/www.armadamusic.com/7gqR2A.jpg

공식 웹사이트

Armada Music내에 설립한 레이블. 그들이 발매했던 곡 중 하나인 Mainstage에서 이름을 딴 산하 레이블이었다. 당시 코드네임은 MAIN###. Rave Culture로 바뀐 이후부터는 RVC###로 대체되었다.

대체적으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트랜스, 빅 룸 하우스 등의 곡들을 주로 발매한다.

2018년 10월 8일 'Rave Culture'로 명칭을 변경했다.

2019년 웹사이트가 아직 오픈되지 않았다가 2019년 4월 오픈하였다.

최근에는 하드스타일 DJ Sound Rush와 같이 타 아티스트들이 만든 트랙을 이 곳에 릴리즈하기도 했다.

4. NWYR

공식 웹사이트

2017년 3월 데뷔한 트랜스 명의이다.
[1] 참고로 그의 아버지는 네덜란드의 전 축구선수, 현 해설자인 빌럼 핀하네험이다.[2] 예를 들어, 대표곡인 Bigfoot[3] 2013년 이전에는 70위 정도였으나 점점 올라가며 14위까지 등극했다.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