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ffffff,#66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666>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24년 1월부터 2025년 9월 30일까지 가장 많이 플레이된 트랙을 프로듀싱한 DJ | ||||
| 2025년 |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맥스 스타일러 | 아트배트 | 크리스 레이크 | 데이비드 게타 | 제네시 |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휴겔 | 애니마 | 아민 반 뷰렌 | 마우 피 | 티에스토 |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존 서밋 | 아지 | BLR | 메두자 | CASSIMM |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빈티지 컬처 | 레이튼 지오다니 | 마사노 | 오드 몹 | 디미트리 베가스 |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KREAM | 크리스 로렌조 | 올리버 헬덴스 | 캐멀팻 | 스카이텍 |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크러시 | 아담 베이어 | 알록 | 제임스 허 | 맷 사사리 |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 제임스 하이프 | 모르텐 |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 데이비드 포브스 | Wh0 |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 라이크 마이크 | 스티브 안젤로 | 사이드피스 | 페리 코스턴 | 토니 로메라 |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 피셔 | 돈 디아블로 | HNTR | TH;EN | 로우 스테파 |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 Alex M.O.R.P.H. | 마트로다 | 페데 르 그랑 | 마틴 개릭스 | 루카스 & 스티브 |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 알렉산드르 포포프 | 카시안 | 스크립트 | 아담 포트 | 엘리 브라운 |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 마틴 킨 | 주세페 오타비아니 | RUBACK | 데이비드 펜 | 마리 번트 |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 배스젝커스 | 가브리 폰테 | 앨런 와츠 | R3HAB | Öwnboss |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 스티브 아오키 | 웨스트엔드 | 매딕스 | 챕터 & 버스 | 로만 메서 |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 힐스 | 인넬리아 | 하드웰 | 가비 바론 | 미스 모니크 |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 클루니 | 새미 버지 | W&W | 고르곤 시티 | GREG (BR) |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 투자모 | CID | D.O.D | 코로로바 | 돈트 블링크 |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 BISCITS | 아드리아티크 | Guy J | 굼 검 | PAWSA |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 스페이스 92 | 산 파초 | 라파엘 세라토 | Samm (BE) | 마시 |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 조샤 | 니키 로메로 | 마크 셰리 | 마르텐 회르거 | 엑시마인즈 | |
| 101위 | |||||
| 마크 나이트 | |||||
| ※ 출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전 순위 펼치기 · 접기 ]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가장 많이 플레이된 트랙을 프로듀싱한 DJ | ||||
| 2024년 |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존 서밋 | 데이비드 게타 | 디미트리 베가스 | 티에스토 | 휴겔 |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마우 피 | 스티브 안젤로 | 올리버 헬덴스 | 라이크 마이크 | 오드 몹 |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아민 반 뷰렌 | 스크릴렉스 | 아니마 | 피셔 | 매딕스 |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맥스 스타일러 | 디플로 | 제임스 허 | 마크 나이트 | 빈티지 컬처 |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제임스 하이프 | CASSIMM | 크리스 레이크 | 레이튼 지오르다니 | 하드웰 |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크러시 | 캐멀팻 | 아트베트 | 메두자 | 마틴 이킨 |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 엘리 브라운 | 돈 디아블로 | Wh0 | 주세페 오타비아니 |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 토니 로메라 | 피에로 피루파 | 크라이더 | 로우 스테파 | Argy |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 챕터 & 버스 | 모르텐 | 피클 | 제네시 | BLR |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 마르코 리스 | 웨스트엔드 | OFFAIAH | 배스젝커스 | KREAM |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 덥독즈 | 프레드 어게인 | 마트로다 | 마르텐 회르거 | 산 파초 |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 가브리 폰테 | 그린 벨벳 | 딜런 프랜시스 | Danny Avila | 니키 로메로 |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 고르곤 시티 | 비스시츠 | 앨런 와츠 | 투자모 | 티미 트럼펫 |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 Andruss | 돔 돌라 | 데이비드 포브스 | Alex M.O.R.P.H. | 새미 비르지 |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 아담 베이어 | 크리스 로렌조 | 알록 | 굿보이즈 | 아크레이즈 |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 마쉬 | 조엘 코리 | 케빈 드 브리스 | 스티브 아오키 | CID |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 W&W | 마사노 | 카시안 | 악스웰 | 스카이테크 |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 R3HAB | 아프로잭 | 스페이스 92 | OMNOM | Mairee |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 플라스틱 펑크 | 트루스 x 라이즈 | 톰 엔지 | 토마스 뉴슨 | 실버 판다 |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 스페이스 모션 | 리오르단 | 로만 메서 | 미스 모니크 | 체이스 앤 스테터스 | |
| 101위 | |||||
| D.O.D | |||||
| ※ 출처 | |||||
| | |
| 본명 | 티모시 주드 스미스 Timothy Jude Smith |
| 국적 | |
| 출생 | 1982년 6월 9일 ([age(1982-06-09)]세) 시드니 |
| 직업 | 프로듀서, DJ |
| 활동 시기 | 2005년 - 현재 |
| 장르 | 일렉트로 하우스, 빅 룸, 하드스타일, 싸이키델릭 트랜스 등 |
| 소속 | Spinnin' Records, Revealed 등 |
| 관련 링크 | |
1. 개요
시드니 출신의 디제이, 프로듀서. 이름에서부터 트럼펫이 붙은 것처럼 트럼펫을 이용한 프로듀싱과 공연을 하는 것이 특징이며 현 EDM씬 내에서도 금관악기를 다룰 수 있는 뮤지션이기도 하다.매우 어린 나이인 4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트럼펫을 배웠던 사람으로 13살에 전액장학금을 받고 시드니 대학교 음악대학에 입학했으며 2년 뒤에 호주의 재즈 음악 버라이어티 쇼인 호주 올스타 재즈 밴드에서 솔로 트럼펫 연주자로 활동했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초반에 다프트 펑크의 노래를 듣고 EDM씬으로 전향한 매우 특이한 케이스로 2010년대 초반까지 트럼펫 활동과 프로듀싱을 병행했다.
이후 2015년에 발표한 Freaks가 When Mama Isn't Home 밈과 시너지를 이루어 북미 내에서만 50만장 이상 팔리는 초대박이 나면서 본격적으로 EDM씬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디제잉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2년 뒤 Blasterjaxx와 함께 만든 Narco가 좋은 평가를 얻은 동시에 에드윈 디아즈의 등장곡으로 선정되면서 더욱 인지도를 얻게 되었으며 2022년 에드윈이 등장할때 직접 마운트해 트럼펫 연주를 한 영상이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기도 하는 등 EDM씬 내에서도 매우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뮤지션이다. 국내에서도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응원가로 유행을 탔으며[1], 이 외에도 JTBC 최강야구에서 활약중인 송원대학교 소속 정현수의 최강야구 내 등장곡으로 쓰였고.[2]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SBS의 타이틀곡, 미스트롯3 3라운드 인트로 BGM, 개그콘서트의 뼈GYM과 심곡 파출소에 BGM으로 쓰였다. 2024년에는 다시 Blasterjaxx와의 합작으로 Con te partirò[3] 의 리메이크인 Time To Say Goodbye를 발매하였다.
2. 여담
- 위와 같은 대중적인 인지도와 별개로 일렉트로니카 음악 리스너들 사이에서 디제잉과 프로듀싱 능력은 활동 대다수에 논란딱지가 붙었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리스너들에게는 평가가 좋지 않다. 위에서 서술한 대표곡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곡이 고스트 프로듀싱 논란이 달려있고 디제잉 선곡 또한 분위기를 띄울 수 있는 빅 룸, 하드스타일, 싸이키델릭 트랜스 등의 곡들로 전혀 유기성 없이 트는 것이 그 이유.[4] 이러한 행보 때문에 트럼펫이 없으면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이유로 여론이 안 좋은 편이며 레딧에서도 티미의 스타일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싫어하는 사람들끼리 키배가 심심찮게 벌어지는 편이다.
3.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아티스트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Elements | A-Trak | Afro Bros | Alesso | Alan Walker | Alok |
| AN21 | Armand Van Helden | ARTY | Audien | Bassjackers | Bingo Players | |
| Bhaskar | Bolier | Borgeous | Breathe Carolina | Blasterjaxx | Burak Yeter | |
| Burns | Cedric Gervais | Chasing Abbey | Cheat Codes | Chico Rose | Crossnaders | |
| Curbi | Cuebrick | CYRIL | Damien N-Drix | Danny Avila | Danny Howard | |
| David Guetta | Dastic | deadmau5 | Declain | Deepend | Dimitri Vegas & Like Mike | |
| Dirty South | DJ Snake | DJs From Mars | Don Diablo | Dubdogz | Dubfire | |
| DubVision | DVBBS | Dr Phunk | EDX | Eric Prydz | Faulhaber | |
| Fedde Le Grand | Famba | Firebeatz | Fisher | Galantis | Gabry Ponte | |
| Garmiani | Giorgio Prezioso | GORDO | Hardwell | Hedegaard | Henri PFR | |
| HI-LO | Holy Goof | Inna | Jack Wins | Jaden Bojsen | Jauz | |
| Janieck | Jewelz & Sparks | Joel Corry | Joe Stone | John Cala | Josh Charm | |
| Joshua Robbie | Juicy M | Julian Jordan | Justus | KABBA | Kaskade | |
| Kim Kaey | KSHMR | Kris Kross Amsterdam | Kryder | La Fuente | Le Shuuk | |
| Lodato | Lucas & Steve | LUM!X | Lvndscape | MAKJ | Marnik | |
| Marf | Martin Garrix | Martin Solveig | Matisse & Sadko | Matthew Koma | Mercer | |
| Mesto | Michael Calfan | Mike Hawkins | Mike Mago | Mike Williams | Millean. | |
| MOGUAI | MORTEN | Mr. Belt & Wezol | NERVO | NIVIRO | Nicky Romero | |
| Naeleck | Nora En Pure | Ofenbach | Oliver Heldens | Oomloud | Pajane | |
| Paul Oakenfold | Pep & Rash | Pickle | POLTERGST | Purple Haze | Quintino | |
| R3HAB | Robbie Mendez | Robbie Rivera | Ryan Marciano | Sam Feldt | Sander van Doorn | |
| Selva | Showtek | Sick Individuals | Sidney Samson | Sikdope | SLANDER | |
| SLVR | Sophie Francis | Stevie Appleton | Sunnery James & Ryan Marciano | Sunstars | SUPAFLY | |
| TELYKAST | The Boy Next Door | The Chainsmokers | The Him | The Partysquad | The Stickmen Project | |
| Tiësto | Timmy Trumpet | Tom Enzy | Tom Staar | Tommie Sunshine | Tommy Trash | |
| Tujamo | Tungevaag | TV Noise | Ummet Ozcan | Vicetone | VINAI | |
| VIZE | Voost | Wave Wave | Yves V | Zedd | Zeds Dead | |
| Ziggy | Zonderling | |||||
| ※ 현재 Spinnin' Records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팔로우하고 있는 아티스트들의 목록입니다. 제외된 아티스트들은 새로 추가 바라며 Spinnin' Records에서 곡을 내지 않은 아티스트들은 삭제 바랍니다. | ||||||
[1] 티미 트럼펫도 이를 알고 감사하다는 반응을 보였다.티미 트럼펫의 반응 진짜 야구계의 유행가를 만들었다[2] 정현수 선수 또한 디아즈와 마찬가지로 포지션이 투수이다. 실제로 성균관대전에서 정현수가 선발로 등판했을 때 이 노래의 라이브 연주와 함께 등장했는데, 이를 본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위에 디아즈의 등장씬을 오마주 한 것에 대한 반응이 줄을 이었다. 다만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해 프로에 진출한 이후는 사용하지 않는다.[3] KIA 타이거즈의 팀 응원가 기아를 응원하라의 원곡으로도 알려져 있다.[4] 이마저도 Tomorrowland 공연 당시에 미리 믹싱된 프리셋을 큐버튼만 누르고 트는 것이 목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