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One Club Player스포츠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오직 한 클럽에서 보낸 사람을 일컫는 말. 원클럽맨(One Club man)이라는 말도 자주 사용되며 특히 한국에서는 '플레이어'라는 말보다 훨씬 자주 사용된다. 팀을 많이 옮겨다니는 경우는 저니맨이라고 한다.
선수라면 돈이나 명성을 따라 팀을 옮기는게 예삿일이 되어버리고 클럽의 부익부 빈익빈 추세가 짙어지는 현대에 와선 이적설도 흔한 뉴스가 되어버린 현 세태와 다르게 오직 한 클럽에게만 충성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가는건 드문 일이다. 선수로서의 충성심과 은퇴까지도 팀에 기여할 수 있는 실력 유지와 더불어 클럽 입장에서도 레전드를 향한 대우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경영[1] 여러 요소들이 맞물려야만 이룩할 수 있는 경지로서, 선수생활 전체를 통틀어 희귀한 태그나 다름없고 돈과 개인적 명예를 좇는 이적이 난무하는 세태 속에서도 충성과 의리를 지켜낸다는 의미에서 낭만의 영역으로도 불린다.
프랜차이즈 스타와는 개념이 좀 다른데, 한 클럽에서 오랫동안 활약하며 발자취를 남긴 선수라는 점은 비슷하지만, 원클럽맨은 한 번도 이적 없이 데뷔부터 은퇴까지 한 클럽에서만 선수생활을 해야 성립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특징
원 클럽 플레이어는 한 클럽에서만 오랜 시간을 보내므로 자연히 그 클럽의 상징이 되거나 주장을 맡는 일이 많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선수 항목에서도 보이듯 한 팀에만 머문다고 팬들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는다고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2] 프로는 당연히 성적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뛰어난 실력을 기본으로 갖추고 팀에 대한 헌신과 사랑이 엿보일 때 팬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을 수 있다.원 클럽 플레이어는 대개 본래 실력에 비해 저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팀이 암흑기에 접어들면 이적해버리는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팀의 암흑기까지 함께하기 때문이다.
축구에서 원 클럽 플레이어는 유스서부터 시작해 프로 은퇴 때까지 모두 한 클럽에서 뛰는 것이 원칙이지만, 전세계의 축구선수들이 몰려오는 유럽 빅리그의 특성상 유스는 다른 클럽에서 뛰더라도 자국 리그의 A팀 데뷔 이후 한 팀에서 쭉 뛴다면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인정해주는 편이며 임대로 잠시 다른 팀 가서 뛴 선수들도 인정해주는 게 보통이다. 보통 원 클럽 플레이어의 경우 최소 진골 취급은 해준다.[3] 또한 해외 진출 경력이 있어도 국내에서 한 팀에서만 오래 뛰었다면 인정해 준다.
선수 커리어의 초년부터 특정 팀에만 머물러야만 하는 조건이기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리버풀 FC, 바이에른 뮌헨 처럼 유스 시스템이 발달한 빅클럽에 집약되어있는 편이다. 반대로 유소년 시스템이 좋아도 선수 매매가 활발한 AFC 아약스, FC 포르투 등 셀링 클럽이나 자금력으로 선수 영입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첼시 FC, 맨체스터 시티 FC, 파리 생제르맹 FC 등의 부자 구단들은 원클럽맨이 비교적 드문 편이다. 다만 현대로 올수록 빅클럽들은 이적시장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외부 영입을 가져가고 그만큼 유스 자체 승격 사례가 줄어들어서 팀을 막론하고 장기 근속하는 원 클럽 맨은 쉽사리 보기 힘들어졌다.
로컬 보이와 더불어 은퇴 이후에 해당 팀의 감독이 되기 쉬운 케이스이기도 하다. 특히 NPB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선수 생활은 물론, 코칭 스태프 커리어까지도 오로지 요미우리에서만 보낸 선수만을 감독으로 선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4] 대다수의 남성 선수가 상무팀에 입단해 18개월간 병역 의무를 치러야 하는 관계로 순도 100%의 원클럽맨이 나오긴 힘든 환경이다.[5] 때문에 상무팀 이적은 원클럽맨 결격 사유로 치지 않는 것이 보통이며 아래 목록의 원클럽맨 K리거 또한 대개 이런 케이스다.[6]
3. 축구
※ 기준은 10년 이상으로, 한국인의 경우 군복무를 위해 군경팀이나 하부 리그팀에 소속되어 있었던 기간은 비고란에 별도로 기록하도록 하며 원 클럽 기간은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한다.<rowcolor=black>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
헥토르 후팅크 | 클뤼프 브뤼허 KV | 1903 | 1928 | 커리어 중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5년의 공백이 있음 | |||||
호세 피엔디베네 | CA 페냐롤 | 1908 | 1928 | 1군 선수, 감독 모두 CA 페냐롤에서만 활동. | |||||
게오르크 슈나이더 | FC 바이에른 뮌헨 | 1910 | 1925 |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4년 간의 공백기가 있음. | |||||
조지 킴튼 | 사우스햄튼 FC | 1910 | 1920 | ||||||
프란시스코 올라사르 | 라싱 클루브 | 1910 | 1922 | ||||||
피치치(라파엘 모레노 아란사디) | 아틀레틱 클루브 | 1911 | 1922 | ||||||
알베르토 오아코 | 라싱 클루브 | 1912 | 1923 | ||||||
유제프 카우자 | KS 크라코비아 | 1912 | 1931 | ||||||
울리세스 포이리에르 | 라 크루스 | 1916 | 1933 | ||||||
하인리히 슈툴파우트 | 1. FC 뉘른베르크 | 1916 | 1933 | ||||||
후안 몬하르딘 | 레알 마드리드 CF | 1918 | 1929 | ||||||
산토스 우르디나란 |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 1919 | 1933 | ||||||
페르낭 아당 | RSC 안데를레흐트 | 1919 | 1933 | ||||||
잔피에로 콤비 | 유벤투스 FC | 1921 | 1934 | ||||||
마흐무드 모크타르 | 알 아흘리 SC | 1922 | 1940 | ||||||
안젤로 스키아비오 | 볼로냐 FC 1909 | 1922 | 1938 | ||||||
펠릭스 케사다 | 레알 마드리드 CF | 1922 | 1936 | ||||||
헤유스 판데르묄런 | 코닝클러크 HFC | 1922 | 1935 | 나치 부역 혐의로 프랜차이즈 선수 대접은 불가능함. | |||||
게오르크 후트슈타이너 | FC 바이에른 뮌헨 | 1922 | 1932 | ||||||
레오 할러 | 고 어헤드 이글스 | 1923 | 1939 | ||||||
안데르스 뤼드베리 | IFK 예테보리 | 1923 | 1937 | ||||||
에른스트 쿠초라 | FC 샬케 04 | 1923 | 1950 | ||||||
푸크 판헤일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923 | 1940 | ||||||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 | SK 슬라비아 프라하 | 1923 | 1939 | ||||||
헨뤼 요한센 | 볼레렝아 포트발 | 1923 | 1946 | ||||||
기예르모 에이사기레 | 세비야 FC | 1924 | 1936 | ||||||
레몽 파셀로 | 세르베트 FC | 1924 | 1936 | ||||||
아르만도 카스텔라치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924 | 1936 | ||||||
알베르 헤레망 | 로열 다링 클럽 몰런베이크 | 1924 | 1942 | ||||||
토레 셸레르 | IK 슬레이프네르 | 1924 | 1940 | ||||||
닐스 로시엔 | 헬싱보리 IF | 1925 | 1938 | ||||||
디에고 가르시아 | CA 산 로렌소 | 1925 | 1940 | ||||||
안토닌 보디치카 | SK 슬라비아 프라하 | 1925 | 1938 | ||||||
토니 샬 | SK 아드미라 빈 | 1925 | 1941 | ||||||
프레기뉴 | 플루미넨시 FC | 1925 | 1939 | ||||||
프리츠 스체판 | FC 샬케 04 | 1925 | 1949 | ||||||
군나르 올손 | GAIS | 1926 | 1937 | ||||||
레오나르트 피옹테크 | AKS 호주프 | 1926? | 1947 | 1군팀 데뷔 연도에 관한 정확한 기록이 없다. | |||||
루이 베르시프 | 클뤼프 브뤼허 KV | 1926 | 1937 | ||||||
셰프 판륀 | PSV 에인트호번 | 1926 | 1942 | ||||||
안토니 가웨츠키 | ŁKS 우치 | 1926 | 1939 | ||||||
알바로 헤스티도 | CA 페냐롤 | 1926 | 1944 | ||||||
요프 판넬런 | DHC | 1926 | 1938 | ||||||
플라비우 코스타 | CR 플라멩구 | 1926 | 1936 | ||||||
스벤 요나손 | IF 엘프스보리 | 1927 | 1946 | ||||||
아브라함 뉴델만 | 하포엘 텔아비브 FC | 1927 | 1938 | ||||||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 OFK 베오그라드 | 1927 | 1940 | ||||||
요하난 수케니크 | 하포엘 텔아비브 FC | 1927 | 1940 | ||||||
후안 발디비에소 | 클루브 알리안사 리마 | 1927 | 1941 | ||||||
브와디스와프 슈체파니아크 | 폴로니아 바르샤바 | 1928 | 1947 | ||||||
빌리 부슈 | 아인트라흐트 뒤스부르크 1848 | 1928 | 1948 | ||||||
스벤 안데르손 | AIK 포트볼 | 1928 | 1940 | ||||||
조르제 부야디노비치 | OFK 베오그라드 | 1928 | 1940 | ||||||
조르주 베리에스트 | RC 루베 | 1928 | 1938 | ||||||
헹크 펠리칸 | TSV 롱가 틸뷔르흐 | 1928 | 1946 | ||||||
루돌프 그람리히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29 | 1939 | ||||||
바스 파우어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929 | 1947 | ||||||
블라디미르 크라기치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29 | 1939 | ||||||
스탄 판덴에인더 | K 베이르스홋 VA | 1929 | 1939 | ||||||
알빈 키칭거 | 1. FC 슈바인푸르트 05 | 1929 | 1946 | ||||||
카를 치셰크 | SC 바커 빈 | 1929 | 1948 | ||||||
라자르 줄러 | 페렌츠바로시 TC | 1930 | 1943 | ||||||
레이다르 크밤멘 | 비킹 FK | 1930 | 1952 | ||||||
빌리 비골트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 1930 | 1940 | ||||||
빌리 슈마우스 | 피르스트 비에나 FC | 1930 | 1942 | ||||||
샤로시 죄르지 | 페렌츠바로시 TC | 1930 | 1948 | ||||||
아델포 마가야네스 | 클루브 알리안사 리마 | 1930 | 1944 | ||||||
아드리안 판말러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930 | 1940 | ||||||
아르네 브루스타 | 륀 1896 FK | 1930 | 1949 | ||||||
에리크 페르손 | AIK 포트볼 | 1930 | 1941 | ||||||
테오도로 페르난데스 | 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 | 1930 | 1953 | ||||||
프란츠 빈더 | SK 라피트 빈 | 1930 | 1949 | ||||||
로제 리오 | FC 루앙 | 1931 | 1951 | ||||||
마뉘스 프라우브된트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931 | 1947 | ||||||
알베르 갱샤르 | 세르베트 FC | 1931 | 1947 | ||||||
요제프 가우헬 | TuS 노이엔부르크 | 1932 | 1948 | ||||||
클레안티스 비켈리디스 |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 1932 | 1949 | ||||||
벌로그 이슈트반 | 우이페슈트 FC | 1933 | 1946 | ||||||
호세 아벤다뇨 | 데포르테스 마가야네스 | 1933 | 1945 | ||||||
에리크 닐손 | 말뫼 FF | 1934 | 1953 | ||||||
외이빈 홀름센 | 륀 1896 FK | 1934 | 1945 | ||||||
크누트 브뤼닐센 | 프레드릭스타드 FK | 1934 | 1950 | ||||||
프란스 호헨비르크 | 베 카위크 1887 | 1934 | 1949 | ||||||
야코프 슈트라이틀레 | FC 바이에른 뮌헨 | 1935 | 1955 | ||||||
프랑코 안드레올리 | FC 루가노 | 1935 | 1947 | ||||||
프레디 비켈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1935 | 1956 | ||||||
아우프레두 두스산투스 | CR 바스쿠 다 가마 | 1937 | 1955 | ||||||
옥타비오 비알 | 클루브 아메리카 | 1937 | 1949 | ||||||
카렐 세네츠키 | AC 스파르타 프라하 | 1937 | 1955 | ||||||
페르난두 페이로테우 | 스포르팅 CP | 1937 | 1949 | ||||||
프리츠 발터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1937 | 1959 | ||||||
핏 더부르 | 레인저스 FC | 1937 | 1954 | ||||||
윌리엄 와델 | 레인저스 FC | 1938 | 1956 | ||||||
지미 멀렌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1938 | 1960 | ||||||
후안 아쿠냐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1938 | 1955 | ||||||
로제 보케 | FC 로잔 스포르 | 1939 | 1954 | ||||||
밥 페이즐리 | 리버풀 FC | 1939 | 1954 | ||||||
빌리 라이트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1939 | 1959 | ||||||
아구스틴 가인사 | 아틀레틱 클루브 | 1939 | 1960 | ||||||
존 애스턴 시니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39 | 1954 | ||||||
비센테 아센시 | 발렌시아 CF | 1940 | 1955 | ||||||
에르빈 카트니치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42 | 1952 | ||||||
로리 휴즈 | 리버풀 FC | 1943 | 1960 | ||||||
에곤 옌손 | 말뫼 FF | 1943 | 1954 | ||||||
요세프 보직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1943 | 1962 | ||||||
르네 바더 | FC 바젤 | 1944 | 1956 | ||||||
호세 나랑호 | CD 오로 | 1944 | 1960 | ||||||
후안 카를로스 곤살레스 | CA 페냐롤 | 1944 | 1956 | ||||||
냇 로프트하우스 | 볼턴 원더러스 FC | 1946 | 1960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이상 가는 이 분야의 끝판왕이자 알파이자 오메가 출생부터 유소년 선수, 1군 선수, 코치, 감독, 스카우트, 회장 등 생애와 경력 모두 볼턴에서만 활동. | |||||
로리 레일리 | 히버니언 FC | 1946 | 1958 | ||||||
리뉘스 미헐스 | AFC 아약스 | 1946 | 1958 | ||||||
마티아스 곤살레스 | CA 세로 | 1946 | 1958 | ||||||
안토니오 푸차데스 | 발렌시아 CF | 1946 | 1958 | ||||||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 유벤투스 FC | 1946 | 1961 | 은퇴 직후부터 구단 프런트직을 맡았으며 1971년부터 1990년까지 유벤투스의 회장직을 역임함. 사망시까지 명예회장 역임. | |||||
지미 디킨슨 | 포츠머스 FC | 1946 | 1965 | ||||||
카를로스 로메로 | 다누비오 FC | 1947 | 1962 | ||||||
니우통 산투스 | 보타포구 FR | 1948 | 1964 | ||||||
빌 에커슬리 | 블랙번 로버스 FC | 1948 | 1961 | ||||||
레프 야신 | FC 디나모 모스크바 | 1950 | 1970 | ||||||
로니 머랜 | 리버풀 FC | 1952 | 1968 | 은퇴하기 2년 전(1966년)부터 플레잉 코치를 겸했으며, 은퇴 후에도 1998년까지 계속 리버풀 코치로 재직함. | |||||
우베 젤러 | 함부르크 SV | 1953 | 1972 | 분데스리가 첫 득점왕. | |||||
지미 암필드 | 블랙풀 | 1954 | 1971 |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에서 우승을 차지한 잉글랜드 최고의 라이트백 중 한명. | |||||
안토니오 라틴 | CA 보카 주니어스 | 1956 | 1970 | ||||||
스야크 스바르트 | AFC 아약스 | 1956 | 1973 | ||||||
플로리안 알베르트 | 페렌츠바로시 TC | 1958 | 1974 | ||||||
자친토 파케티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960 | 1978 | ||||||
피트 케이저르 | AFC 아약스 | 1961 | 1974 | ||||||
산드로 마촐라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961 | 1977 | ||||||
야코프 쿤 | FC 취리히 | 1961 | 1977 | ||||||
볼프강 오베라트 | FC 쾰른 | 1962 | 1977 | ||||||
제프 마이어 | FC 바이에른 뮌헨 | 1962 | 1979 | ||||||
라몬 그로소 | 레알 마드리드 CF | 1964 | 1976 | ||||||
베르티 포크츠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1965 | 1979 | ||||||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벡 | FC 바이에른 뮌헨 | 1966 | 1981 | ||||||
셰놀 귀네슈 | 트라브존스포르 | 1969 | 1987 | ||||||
지크문트 메베스 | 1. FC 마그데부르크 | 1971 | 1985 | ||||||
베른트 뒤른베르거 | FC 바이에른 뮌헨 | 1972 | 1985 | ||||||
카를하인츠 쾨르벨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72 | 1991 | ||||||
헤르만 게를란트 | VfL 보훔 | 1972 | 1985 | 1984-85시즌은 2군 소속 |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 레알 마드리드 CF | 1974 | 1989 | ||||||
장루이 가세 | 몽펠리에 HSC | 1975 | 1985 | ||||||
김철수 | 포항 스틸러스 | 1975 | 1986 | 1976~1979 기간은 상무 축구단 소속 | |||||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 FC 바이에른 뮌헨 | 1976 | 1991 | ||||||
마제드 압둘라 | 알 나스르 FC | 1977 | 1998 | 2022년 기준 사우디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 | |||||
프랑코 바레시 | AC 밀란 | 1977 | 1997 | 은퇴 직후 브랜드 앰배서더로 활동하고 있으며 6년간 유스 팀 감독을 역임함. | |||||
토마스 샤프 | SV 베르더 브레멘 | 1977 | 1995 | ||||||
주세페 베르고미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979 | 1999 | ||||||
김학범 | 국민은행 축구단 | 1980 | 1992 | ||||||
정기동 | 포항 스틸러스 | 1981 | 1991 | ||||||
미하엘 초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981 | 1998 | 로컬 보이 출신으로 78년 유스시절부터 보루센에 입단하여 81년 1군으로 합류하고 주장이 되자마자 24년만의 DFB-포칼 우승을 구단에게 안겨주었고, 첫 분데스리가 우승과 2연패를 견인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선수 생활 말년에 UEFA 챔피언스 리그까지 우승을 거두면서 구단의 최전성기를 함께하였다. 은퇴 직후부터 선수단 단장 역임 하여 암흑기를 함께하다가 위르겐 클롭과 함께 다시 구단을 분데스리가 제패에 성공하였고 16년만에 구단이 챔스 결승에 진출하면서 다시 유럽의 강자로 도약하는데 공을 세운다. 이후 2022년을 끝으로 44년간 있었던 보루센에서의 생활을 마감한다. | |||||
뤼디거 폴보른 | 바이어 04 레버쿠젠 | 1982 | 1999 | ||||||
첸도 | 레알 마드리드 CF | 1982 | 1998 | ||||||
김풍주 | 부산 아이파크 | 1983 | 1996 | ||||||
이길용 | 포항 스틸러스 | 1983 | 1989 | [예외] | |||||
최상국 | 포항 스틸러스 | 1983 | 1991 | [예외] | |||||
이태호 | 대우 로얄즈 | 1983 | 1992 | ||||||
마놀로 산치스 | 레알 마드리드 CF | 1983 | 2001 | ||||||
토니 애덤스 | 아스날 FC | 1983 | 2002 | ||||||
김현태 | FC 서울 | 1984 | 1991 | [예외] | |||||
박경훈 | 포항 스틸러스 | 1984 | 1992[10] | ||||||
파올로 말디니 | AC 밀란 | 1984 | 2009 | 소속 팀 영구결번,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스포츠전략개발 디렉터 역임.[11] | |||||
에리크 시코라 | RC 랑스 | 1985 | 2004 | 유스 시절을 포함하면 12세였던 1980년부터 3년의 공백기를 제외한 현재까지 약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팀을 위해 헌신해온 인물이다. 현재 랭스 U19 감독. | |||||
남기영 | 포항 스틸러스 | 1986 | 1991 | [예외] | |||||
유동관 | 포항 스틸러스 | 1986 | 1995 | ||||||
공문배 | 포항 스틸러스 | 1987 | 1998 | ||||||
사에드 알 오와이란 | 알 샤바브 FC | 1988 | 2001 | ||||||
조덕제 | 대우 로얄즈 | 1988 | 1995 | [예외] | |||||
파코 카마라사 | 발렌시아 CF | 1988 | 2000 | 은퇴 후 선수단장 역임중 | |||||
마르코 보데 | SV 베르더 브레멘 | 1989 | 2002 | ||||||
유대순 | 부산 아이파크 | 1989 | 1994 | [예외] | |||||
호제리우 세니 | 상 파울루 FC | 1990 | 2015 | ||||||
송주석 | 울산 HD FC | 1990 | 1999 | ||||||
이영상 | 포항 스틸러스 | 1990 | 1999 | ||||||
김승희 | 대전 코레일 | 1990 | 2000 | 선수생활과 코치,감독생활을 오직 한국철도에서 한 한국철도의 레전드 | |||||
라이언 긱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90 | 2014 | ||||||
서보원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 1990 | 2001 | 은퇴 후 코치, 수석코치를 거쳐 감독 역임중 | |||||
노태경 | 포항 스틸러스 | 1991 | 2000[15] | ||||||
박태하 | 포항 스틸러스 | 1991 | 2001 | ||||||
모리시마 히로아키 | 세레소 오사카 | 1991 | 2008 | ||||||
훌렌 게레로 | 아틀레틱 클루브 | 1992 | 2006 | ||||||
게리 네빌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92 | 2011 | ||||||
마르쿠스 | SE 파우메이라스 | 1992 | 2011 | ||||||
프란체스코 토티 | AS 로마 | 1992 | 2017 | 은퇴 직후 2019년까지 팀 디렉터 역임. | |||||
올렉산드르 쇼우코우스키 | FC 디나모 키이우 | 1993 | 2016 | ||||||
정광석 | 대우 로얄즈 | 1993 | 1998 | [예외] | |||||
제이미 캐러거 | 리버풀 FC | 1994 | 2013 | ||||||
폴 스콜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94 | 2013 | ||||||
김진우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996 | 2007 | ||||||
최진철 | 전북 현대 모터스 | 1996 | 2007 | ||||||
홀거 베츠 | SSV 울름 1846 | 1997 | 2018 | 은퇴 후 골키퍼 코치 역임중 | |||||
잔파올로 벨리니 | 아탈란타 BC | 1998 | 2016 | 은퇴 후 현재 아탈란타의 U17 팀 코치를 맡고 있다 | |||||
카를레스 푸욜 | FC 바르셀로나 | 1999 | 2014 | ||||||
김대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998 | 2012 | ||||||
레들리 킹 | 토트넘 홋스퍼 FC | 1999 | 2012 | ||||||
스티븐 체룬돌로 | 하노버 96 | 1999 | 2014 | ||||||
토니 히버트 | 에버튼 FC | 2000 | 2016 | ||||||
카를로스 구르페기 | 아틀레틱 클루브 | 2002 | 2016 | ||||||
나카무라 켄고 | 가와사키 프론탈레 | 2003 | 2020 | ||||||
다비트 치붕 | FC 루체른 | 2003 | 2021 | 리저브 팀 소속 기간 포함 시 2001년 입단 | |||||
이고르 아킨페프 | PFC CSKA 모스크바 | 2003 | 현역 | ||||||
박종진 | 대구 FC | 2003 | 2014 | 2008~2009 상주 상무 소속. | |||||
사비 프리에토 | 레알 소시에다드 | 2003 | 2018 | ||||||
조니 팔라시오스 | CD 올림피아 | 2003 | 2019 | ||||||
로이크 페랑 | AS 생테티엔 | 2003 | 2020 | ||||||
황지수 | 포항 스틸러스 | 2004 | 2017 | 은퇴 직후 2018년부터 포항 스틸러스의 코치로 부임해 현재까지도 포항 소속이다. | |||||
고요한 | FC 서울 | 2004 | 2023 | 은퇴 후 서울의 U-18 팀인 오산고등학교 축구부의 코치로 부임하며 여전히 서울과 동행하고 있으며, 구단 역사상 최초의 영구결번 선수로도 선정되었다.[17] | |||||
안톤 슈닌 | FC 디나모 모스크바 | 2004 | 현역 | ||||||
마크 노블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2004 | 2022 | 5대 리그[18] 최장 기간 원 클럽 플레이어 | |||||
가브리엘 아그본라허 | 아스톤 빌라 FC | 2005 | 2018 | ||||||
김영삼 | 울산 현대 | 2005 | 2016 | ||||||
브루노 소리아노 | 비야레알 CF | 2006 | 2020 | ||||||
최명성 | 창원시청 축구단 | 2006 | 2018 | ||||||
최철순 | 전북 현대 모터스 | 2006 | 현역 | 군 복무를 위한 상주 상무 시절만 제외 | |||||
브람 반 폴렌 | PEC 즈볼러 | 2007 | 2024 | ||||||
이스마일 아메드 | 알 아인 FC | 2008 | 2021 | ||||||
마르셀 슈멜처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008 | 2022 | ||||||
토니 얀치케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2008 | 2024 | ||||||
토마스 뮐러 | FC 바이에른 뮌헨 | 2008 | 현역 | ||||||
김진현 | 세레소 오사카 | 2009 | 현역 | ||||||
파트리크 헤어만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2009 | 2024 | ||||||
코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009 | 현역 | ||||||
루이스 덩크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2010 | 현역 | ||||||
박배종(축구선수) | 수원 FC | 2012 | 현역 | 군복무를 위한 아산 무궁화 시절만 제외 | |||||
도메니코 베라르디 | US 사수올로 칼초 | 2012 | 현역 | ||||||
호세 가야 | 발렌시아 CF | 2012 | 현역 | ||||||
아흐메드 바르만 | 알 아인 FC | 2013 | 현역 | ||||||
쩐 민 브엉 | 호앙아인 잘라이 FC | 2013 | 현역 | ||||||
황현수 | FC 서울 | 2014 | 2024 | 음주운전으로 인한 방출 | |||||
우주성 | 경남 FC | 2014 | 현역 | ||||||
이태희 | 인천 유나이티드 FC | 2014 | 현역 | ||||||
김도혁 | 인천 유나이티드 FC | 2014 | 현역 | 군복무를 위한 아산 무궁화 시절만 제외 | |||||
미켈 오야르사발 | 레알 소시에다드 | 2015 | 현역 | ]3.1.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특정 클럽에 장기간 머물러 있는 선수라면 모두 적는다.
4. 야구자세한 내용은 원 클럽 플레이어/야구 문서 참고하십시오.5. 농구※ 기준은 10년 이상으로, 한국인의 경우 군복무를 위해 군경팀이나 하부 리그팀에 소속되어 있었던 기간은 비고란에 별도로 기록하도록 하며 원 클럽 기간은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한다.5.1. 전미 농구 협회자유계약과 트레이드가 활성화된 리그이며, 선수가 이적을 거부할 권리가 없는 탓에 76년의 역사를 가졌음에도 원 클럽 플레이어의 수가 적다. 타 리그에서 뛴 경력은 원 클럽 플레이어의 기준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돌프 셰이스 | 시라큐스 내셔널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A] | 1948 | 1964 | - | |||||
번 미켈슨 |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 1949 | 1959 | - | |||||
폴 아리진 | 필라델피아 워리어스 | 1950, 1954 | 1952, 1962 | NBA 한정 | |||||
밥 페팃 | 밀워키/세인트루이스 호크스[A] | 1954 | 1965 | - | |||||
잭 트와이먼 | 로체스터/신시내티 로열스[A] | 1955 | 1966 | - | |||||
알 비안치 | 시라큐스 내셔널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A] | 1956 | 1966 | - | |||||
클리프 헤이건 | 세인트루이스 호크스 | 1956 | 1966 | NBA 한정 | |||||
빌 러셀 | 보스턴 셀틱스 | 1956 | 1969 | - | |||||
샘 존스 | 보스턴 셀틱스 | 1957 | 1969 | - | |||||
엘진 베일러 | 미니애폴리스/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A] | 1958 | 1971 | - | |||||
할 그리어 | 시라큐스 내셔널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A] | 1958 | 1973 | - | |||||
알 아틀스 | 필라델피아/샌프란시스코 워리어스[A] | 1960 | 1971 | - | |||||
톰 샌더스 | 보스턴 셀틱스 | 1960 | 1973 | - | |||||
제리 웨스트 | 미니애폴리스/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A] | 1960 | 1974 | - | |||||
존 하블리첵 | 보스턴 셀틱스 | 1962 | 1978 | - | |||||
윌리스 리드 | 뉴욕 닉스 | 1964 | 1974 | - | |||||
빌 브래들리 | 뉴욕 닉스 | 1967 | 1977 | - | |||||
톰 보윙클 | 시카고 불스 | 1968 | 1978 | - | |||||
웨스 언셀드 | 볼티모어/캐피탈/워싱턴 불리츠[A] | 1968 | 1981 | - | |||||
루디 톰자노비치 | 샌디에이고/휴스턴 로키츠[A] | 1970 | 1981 | - | |||||
켈빈 머피 | 샌디에이고/휴스턴 로키츠 | 1970 | 1983 | - | |||||
프레드 브라운 | 시애틀 슈퍼소닉스 | 1971 | 1984 | - | |||||
앨번 애덤스 | 피닉스 선즈 | 1975 | 1988 | - | |||||
줄리어스 어빙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1976 | 1987 | NBA 한정 | |||||
마이클 쿠퍼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978 | 1990 | NBA 한정 | |||||
앨런 리벨 | 휴스턴 로키츠 | 1979 | 1989 | NBA 한정 | |||||
래리 버드 | 보스턴 셀틱스 | 1979 | 1992 | - | |||||
매직 존슨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979, 1996 | 1991, 1996 | NBA 한정 | |||||
대럴 그리피스 | 유타 재즈 | 1980 | 1991 | - | |||||
케빈 맥헤일 | 보스턴 셀틱스 | 1980 | 1993 | - | |||||
아이제아 토마스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1981 | 1994 | - | |||||
마크 이튼 | 유타 재즈 | 1982 | 1993 | - | |||||
제임스 워디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982 | 1994 | - | |||||
존 스탁턴 | 유타 재즈 | 1984 | 2003 | - | |||||
조 듀마스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1985 | 1999 | - | |||||
네이트 맥밀란 | 시애틀 슈퍼소닉스 | 1986 | 1998 | - | |||||
레지 밀러 | 인디애나 페이서스 | 1987 | 2005 | - | |||||
릭 스미츠 | 인디애나 페이서스 | 1988 | 2000 | - | |||||
데이비드 로빈슨 | 샌안토니오 스퍼스 | 1989 | 2003 | - | |||||
코비 브라이언트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996 | 2016 | - | |||||
팀 던컨 | 샌안토니오 스퍼스 | 1997 | 2016 | - | |||||
디르크 노비츠키[36] | 댈러스 매버릭스 | 1998 | 2019 | NBA 한정 | |||||
제프 포스터 | 인디애나 페이서스 | 1999 | 2012 | - | |||||
마누 지노빌리 | 샌안토니오 스퍼스 | 2002 | 2018 | NBA 한정 | |||||
닉 콜리슨 | 시애틀 슈퍼소닉스/오클라호마시티 썬더[A] | 2003 | 2018 | - | |||||
유도니스 하슬렘 | 마이애미 히트 | 2003 | 2023 | NBA 한정 | |||||
스테판 커리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2009 | 현역 | - | |||||
드레이먼드 그린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2012 | 현역 | - |
5.1.1.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
이 선수들은 원 클럽 플레이어는 아니지만 한 팀에서 오래 활약하며 뚜렷한 족적을 남겨 해당 선수 얘기가 나오면 바로 그 팀이 연상될 정도로 다른 팀에서 활약한 시기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 웬만한 원 클럽 플레이어 이상의 위상을 지닌 선수들이다. 물론 전원이 해당 팀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데이비드 톰슨 - 덴버 너기츠에서 데뷔해 1975년부터 1982년까지 12시즌을 뛰었고, 이후 시애틀 슈퍼소닉스로 이적해 2시즌을 뛰고 은퇴했다.
- 도미니크 윌킨스 -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데뷔해 1982년부터 1994년까지 12시즌을 뛰었고, 구단이 트레이드 해버리는 바람에 다른 팀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보스턴 셀틱스,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거쳐 올랜도 매직에서 은퇴했다.
- 드웨인 웨이드 - 마이애미 히트에서 데뷔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3시즌을 뛰었고, 연봉 협상의 이견으로 시카고 불스로 이적한 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를 거쳐 2018년 시즌 도중 다시 친정팀 마이애미로 되돌아와 2019년까지 한 시즌 반을 활약하고 은퇴했다.
- 마이클 조던 - 시카고 불스에서 데뷔해 1984년부터 1998년까지 중간에 은퇴했던 한 시즌을 제외하고 13시즌을 뛰고 은퇴했다. 이후 2001년에 다시 복귀해서 2003년까지 2시즌을 워싱턴 위저즈에서 뛰는 바람에 원 클럽 플레이어로 남지 못했다.
- 마크 가솔 - 멤피스 그리즐리스에서 데뷔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1시즌을 뛰었고, 이후 토론토 랩터스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거쳐 다시 멤피스로 돌아와 은퇴했다.
- 밥 쿠지 - 보스턴 셀틱스에서 데뷔해 1950년부터 1963년까지 13시즌을 뛰었고, 마지막 시즌은 신시내티 로열스에서 뛰었다.
- 빌 레임비어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에서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3시즌을 뛰고 은퇴했다. 첫 데뷔는 1980년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서 했으며 여기서 한 시즌 반을 뛰었다.
- 스카티 피펜 - 시카고 불스에서 데뷔해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1시즌을 뛴 후 휴스턴 로키츠와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를 거치며 총 5시즌을 뛰었다. 그리고 커리어 마지막 시즌이 된 2003년 친정팀 불스에 다시 복귀해서 불스 선수로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 앨런 아이버슨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에서 데뷔해 1996년부터 2006년까지 10시즌을 뛰었고, 이후 3시즌 동안 덴버 너기츠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를 거쳤다. 커리어 마지막 시즌인 2009년 멤피스 그리즐리스에서 겨우 3경기를 뛰고 방출당한 후 극적으로 필라델피아에 돌아와 필라델피아 소속으로 NBA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 칼 말론 - 유타 재즈에서 데뷔해 1985년부터 2003년까지 18시즌을 뛰었고, 마지막 시즌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뛰었다.
- 크리스 멀린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 데뷔해 1985년부터 1997년까지 12시즌을 뛰었고, 이후 인디애나 페이서스로 이적해 3시즌 동안 뛰었다. 커리어 마지막 시즌에 골든스테이트로 돌아와 은퇴했다.
- 토니 파커 -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데뷔해 2001년부터 2018년까지 17시즌을 뛰었고, 마지막 시즌은 샬럿 호네츠에서 뛰었다.
- 패트릭 유잉 - 뉴욕 닉스에서 데뷔해 1985년부터 2000년까지 15시즌을 뛰었고, 마지막 2시즌은 각각 시애틀 슈퍼소닉스와 올랜도 매직에서 1시즌씩 뛰었다. 뉴욕의 극성맞은 언론과 싸워가면서 15년을 버틴 유잉은 결국 자신의 무용론을 지껄여대는 언론에 지쳐버렸고 자의로 시애틀로 떠나버렸다. 하지만 유잉은 훗날 이 트레이드에 대해 후회했다고...
- 폴 피어스 - 보스턴 셀틱스에서 데뷔해 1998년부터 2013년까지 15시즌을 뛰었고, 이후 4시즌 동안 브루클린 네츠, 워싱턴 위저즈,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를 거쳐가며 뛰었다. 마지막 시즌 후 친정팀 셀틱스와 1일 계약을 맺고 은퇴를 발표해 끝내 셀틱스 소속으로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 하킴 올라주원 - 휴스턴 로키츠에서 데뷔해 1984년부터 2001년까지 17시즌을 뛰었고, 마지막 시즌은 토론토 랩터스에서 뛰었다. 로키츠는 은퇴를 앞둔 올라주원을 위해 충분한 재계약 조건을 준비했지만 에이전트가 튕겨버리는 바람에(...) 로키츠의 올타임 넘버원 플레이어는 토론토에서 은퇴하게 되었다.
- 클레이 탐슨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서 데뷔해 2011년부터 2024년까지 12시즌을 뛰며 현역 원 클럽 플레이어 중 한 명이었으나 24-25시즌 댈러스로 이적하며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가 되어버렸다.
5.2. WNBA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리사 레슬리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 1997 | 2009 |
5.3. 한국프로농구
- 프로 생활 도중 상무 입단으로 잠시 팀을 떠난 선수도 포함된다.
5.4. 한국여자프로농구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정은순 | 수원 삼성생명 비추미 | 1990 | 2003 | - |
전주원 |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 | 1990 | 2011 | [45] |
박정은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1994 | 2013 | [46] |
이미선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1997 | 2016 | [47] |
김은혜 | 춘천 한빛은행/우리은행 한새 | 2001 | 2013 | - |
최윤아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3 | 2017 | - |
김연주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5 | 2018 | - |
하은주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6 | 2016 | - |
6. 배구
※ 기준은 10년 이상으로, 한국인의 경우 군복무를 위해 군경팀이나 하부 리그팀에 소속되어 있었던 기간은 비고란에 별도로 기록하도록 하며 원 클럽 기간은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한다.6.1. V-리그
6.1.1. 남자부
6.1.2. 여자부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이도희 | 호남정유 배구단 | 1985 | 1995 | - |
장윤희 | 호남정유 배구단/LG정유 배구단/GS칼텍스 서울 KIXX | 1988 | 2001, 2011[53] | - |
정선혜 | 호남정유 배구단/LG정유 배구단 | 1993 | 2003 | - |
김연경 | 천안-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 2005 | 현역 | 국내 팀 한정 |
김나희[54] | 천안-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 2007 | 2024 | - |
양효진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2007 | 현역 | - |
하유정[55] | 구미/성남/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2007 | 2022[56] | - |
김연견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2011 | 현역 | - |
김희진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 2011 | 현역 | 창단멤버 |
문정원 | 성남/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2011 | 현역 | - |
7. 미식축구
7.1. 내셔널 풋볼 리그
NFL의 경우, 선수 생명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한 팀에서 오래 뛰는 경우가 많지 않고, 하드 샐러리캡 제도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쿼터백 같은 포지션이 아니면[57], 선수들의 방출, 이적이 활발한 편이다. 따라서 원 클럽 플레이어로 남아있기 어려운 구조이고, 쿼터백이 아닌 경우임에도 원 클럽 플레이어로 남는다면 더더욱 대단한 경우라 볼 수 있다.2020년 3월에는 영원히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심장으로 남아있을 것만 같았던 톰 브래디가 탬파베이 버커니어스로 이적하면서 원 클럽 플레이어의 대열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하였다. 브래디 외에도 필립 리버스, 제이슨 위튼, 애런 로저스 등의 레전드들도 오랫동안 몸담은 팀을 떠나 새출발을 선택하며 원 클럽 플레이어의 대열에서 탈락하였다.
추가기준은 해당 팀에서 10년 이상 뛴 경우로, 볼드체는 현역
7.1.1. 쿼터백
- 바트 스타 - 그린베이 패커스
- 로저 스타우벅 - 댈러스 카우보이스
- 밥 그리시 - 마이애미 돌핀스
- 테리 브래드쇼 - 피츠버그 스틸러스
- 필 심스 - 뉴욕 자이언츠
- 존 엘웨이 - 덴버 브롱코스
- 짐 켈리 - 버팔로 빌스[58]
- 댄 마리노 - 마이애미 돌핀스
- 트로이 에이크만 - 댈러스 카우보이스
- 토니 로모 - 댈러스 카우보이스
- 일라이 매닝 - 뉴욕 자이언츠
- 벤 로슬리스버거 - 피츠버그 스틸러스
7.1.2. 러닝백
7.1.3. 와이드 리시버
7.1.4. 타이트엔드
7.1.5. 라인맨
7.1.6. 라인배커
7.1.7. 코너백
7.1.8. 세이프티
- 트로이 폴라말루 - 피츠버그 스틸러스
7.1.9.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
1. 쿼터백NFL 역대 최고의 쿼터백.
뉴잉글랜드에서만 6번의 우승을 하며 20년을 뛰고 탬파베이 이적 후 첫해 우승을 한 케이스며, 아직 경력에서 패트리어츠 시절이 기간으로는 훨씬 길다.
말년엔 좀 안 좋게 끝났지만, 아직도 패커스 선수로 기억되고 팬들에게 사랑받는다.
팀 선배 쿼터백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8. e스포츠
8.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2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전태규(ZeuS) | KOR - 온게임넷 스파키즈 | 2001 | 2009 | 은퇴후 2011년까지 hite와 CJ에서 코치직 역임 |
서경종(Shark) | POS - MBC게임 히어로 | 2002 | 2011 | |
서지수(ToSsGirL) | SouL - STX SouL | 2002 | 2012 | |
서지훈(XellOs) | Greatest One - CJ 엔투스 | 2002 | 2011 | 2009-11 공군 ACE에서 군 복무 |
심소명(SiLvEr) | 투나 SG - 팬택 앤 큐리텔 큐리어스 - 팬택 EX - 위메이드 폭스 | 2003 | 2008 | |
안기효(TheROCK) | 투나 SG - 팬택 앤 큐리텔 큐리어스 - 팬택 EX - 위메이드 폭스 | 2003 | 2012 | 공군 ACE에서 군 복무 도중 팀 해체 |
최연성(iloveoov) | 동양 오리온 - 4U - SKT T1 | 2003 | 2009 | 은퇴후 2016년까지 T1 코치, 감독 역임 |
고인규(Canata) | SKT T1 | 2004 | 2013 | |
박종수(sOo) | SouL - STX SouL | 2004 | 2011 | 2009-11 플레잉 코치, 2011-13 코치 역임 |
변형태(Iris) | Greatest One - CJ 엔투스 | 2004 | 2012 | |
송병구(Stork) | 삼성전자 칸 - 삼성 갤럭시 칸 | 2004 | 2016 | 2014-16 선수 겸 감독 역임 |
오영종(AnyTime) | Plus - 르까프 오즈 - 화승 오즈 | 2004 | 2011 | 2008-10 공군 ACE에서 군 복무 |
김동현(Saint) | POS - MBC게임 히어로 | 2005 | 2011 | |
김윤환(Calm) | SouL - STX SouL | 2005 | 2013 | 2012-13 플레잉 코치 역임 |
윤용태(free) | 한빛 스타즈 - 웅진 스타즈 | 2005 | 2013 | |
권수현(Orion) | CJ 엔투스 | 2006 | 2013 | 군 복무 후 2013-16 CJ 코치, 감독 역임 |
김윤중(Shuttle) | STX SouL | 2006 | 2012 | |
도재욱(Best) | SKT T1 | 2006 | 2013 | |
신상문(Leta) | KOR - 온게임넷 스파키즈 - 하이트 스파키즈 - CJ 엔투스 | 2006 | 2013 | |
허영무(Jangbi) | 삼성전자 칸 - 삼성 갤럭시 칸 | 2006 | 2013 | |
김명운(ZerO) | 한빛 스타즈 - 웅진 스타즈 | 2007 | 2013 | |
김현우(Modesty) | STX SouL | 2007 | 2012 | |
우정호(Violet) | KTF 매직엔스 - kt 롤스터 | 2007 | 2012 | 백혈병으로 인해 2012년 사망 |
이영호(FlaSh) | KTF 매직엔스 - kt 롤스터[59] | 2007 | 2015 | |
김성현(Last) | STX SouL | 2008 | 2013 | |
장윤철(Snow) | CJ 엔투스 | 2008 | 2013 |
8.2. 리그 오브 레전드
8.3.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후속작인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는 반영하지 않는다.이름 | 클럽 | 입단 | 탈퇴 | 비고 |
김응태 | ROX Gaming | 2019-2 | 2020-1 군입대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정 원클럽맨[61] |
홍승민 | Afreeca Freecs | 2019-2 | 2021-1 군입대 | 2020-1 무소속 및 불참, 2020-2 재계약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정 원클럽맨 |
박도현 | 한화생명e스포츠 | 2019-2 | 2021-1 | 이벤트 리그인 듀얼 레이스 X는 Afreeca Flame 팀으로 참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정 원클럽맨 |
배성빈 | DFI BLADES | 2019-2 | 2022-S 리그 이후 종목 전향 | 이벤트 리그인 듀얼 레이스 X는 Afreeca Flame 팀으로 참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정 원클럽맨 |
9. 기타 종목
- 엄하진 - 구례군청반달곰씨름단
현재 장사급 선수 중에서 유일하게 원클럽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10. 관련 문서
[1] 일례로 리오넬 메시는 충성심과 실력 개인으로서 갖출 수 있는 FC 바르셀로나의 원클럽맨 자질을 전부 갖췄지만, 구단의 재정 악화로 메시의 봉급을 챙길 수 없는 형편이 되자 작별을 택해야만 했던 사례도 있었다. 단순히 메시 측에서 봉급을 양보해 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던 게, 메시 정도 되는 선수의 주급을 너무 내려치다간 이적 시장에서 주급 체계가 문란해질 위험성까지 있었기에 넉넉치 못한 구단 재정을 탓할 수밖에 없었다.[2] 세르지는 FC 바르셀로나 유스부터 밟고 온 성골이지만 형편없는 실력으로 인해 현지 꾸레들로부터 엄청난 비난과 질타를 받고 있다. 이재원은 입단 당시 류현진을 거르고 뽑혔을 만큼 지역 성골로 평가받았는데 입단 10년이 지나 그나마 괜찮은 성적도 올렸지만 4년 69억 무옵션 FA 계약 이후 리그 최악의 타격 및 수비, 워크에씩, 이른바 "초상집" 발언 등으로 SK~SSG 팬들에게는 사실상 없는 선수 취급이다. 다만 세르지는 2년 사이에 어머니, 할머니, 반려견이 잇따라 세상을 떠나면서 정신적으로 무너진 영향도 컸다.[3] 코치를 다른 팀에서 하면 진골, 선수로 뛰었던 데에서만 하면 성골. 또한 그 구단의 연고 도시에서 출생해 원 클럽 플레이어로 선수 생활을 보내면 이 또한 성골이라 부른다.[4] 메달리스트가 되어 예술체육요원으로 편입하거나, 병역판정검사 5급을 받는 등 병역 면제를 받으면 상무에 입단할 필요 없이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다.[5] 고요한, 김진현 등이 이러한 희귀한 경우에 해당된다.[6] 해외파 선수도 마찬가지로 대다수가 상무팀에 입단해야 하는데, 상무팀은 K리그 클럽 멤버만 입단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에 상무를 가야 한다면 K리그 팀으로의 완전 이적이 불가피하다. 한국영, 권창훈, 구성윤이 이렇게 해외 활동을 접고 국내로 복귀해야만 했던 케이스.[예외] 예전에는 선수생활이 짧기도 했고, 특히 당시 국내에서는 대학 졸업 후 입단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프로 경력이 길지 않다. 때문에 10시즌 기준에 부합하지 않지만 상무나 경찰청도 거치지 않은 명백한 원 클럽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기록한다.[예외] [예외] [10] 은퇴 후 영국으로 유학을 가 있는 동안 세미프로인 7부 리그 예딩 FC에서 조기축구하는 정도로 축구를 했으나, 공식적인 프로경력은 포항 뿐이다.[11] 23-24시즌이 시작되기 전인 2023년 7월~8월 이적시장 도중, 구단의 인색한 지원을 비판하며 선수 영입을 위한 지원을 요구했다가 구단주에 의해 경질되었다. 이로 인해 구단주는 많은 팬들의 질타를 받았다.[예외] [예외] [예외] [15] 2001년, 성남 일화로 이적하였으나 한 경기에도 나서지 못하고 부상으로 은퇴하였다.[예외] [17] 영구결번된 등번호는 현역 시절 가장 오래 사용했던 13번이다.[18] 프리미어 리그, 라리가, 분데스리가, 세리에 A, 리그 1[19] 알비렉스 니가타, 호펜하임, 전북, 알 나스르[20] 유스 팀인 C와 B에서 시작했으며 B팀에 있다가 중간에 1군으로 콜 업 되었다.[21] 보통 원클럽맨이나 이에 준하는 선수들은 이적이 덜 활발했던 과거의 선수이거나, FC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유벤투스처럼 더 올라갈 필요가 없는 빅클럽에서 뛴 경우이거나, 애매한 클럽에서 애매한 활약을 해서 이적 시장에서 별 관심을 못 받은 경우가 흔한데, 마렉 함식은 세리에 A 베스트 일레븐에 세 번, 도움왕을 두 번 차지할 정도라 많은 빅클럽의 관심을 받았음에도 나폴리에 남았다. 구체적으로는 첼시 FC에서 두 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두 번, 리버풀 FC, 맨시티, 아스날 FC에서 각각 한 번씩 관심을 표명한 적이 있다.[22] 신화용은 몇 시즌간 재계약에서 포항만을 선택했으며, 2017시즌에는 연봉을 억 단위로 삭감하면서도 남으려 했다. 최순호 감독도 이후에서야 이적 사건의 전말을 알고 급히 재계약 협상을 요청했으나, 프런트의 막장으로 인해 팀의 레전드는 이미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다.[23] 울산, 요코하마, 카시와[24]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FC 서울로 구단명이 바뀌었기 때문이다.[25] 중간에 레버쿠젠으로 임대를 가기도 했다.[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A] 클럽의 연고 이전.[36] NBA 역사상 최장 기간 활동한 원 클럽 플레이어(21시즌).[A] 클럽의 연고 이전.[38] 1999년 사망 후 등번호 10번은 영구결번 되었다.[39] 은퇴 후 등번호 14번 영구결번[40] 은퇴 후 등번호 10번 영구결번. 다만 이 결번은 본인이 현역으로 활동한적 없는 고양시로 연고이전 후 지정되었고, 2022년 오리온스가 해체하면서 신규 창단된 고양 캐롯 점퍼스로 바뀌면서 결번은 해제됐다.[41] 은퇴 후 등번호 4번 영구결번[42] 은퇴 후 등번호 32번 영구결번[43] 은퇴 후 등번호 6번 영구결번[44] KBL 역사상 최장 기간 활동한 원 클럽 플레이어(18시즌).[45] 은퇴 후 등번호 0번 영구결번[46] 은퇴 후 등번호 11번 영구결번[47] 은퇴 후 등번호 5번 영구결번[48] 원년시즌 이후 은퇴하고 트레이너로 있다가 2006-07시즌에 복귀하여 리베로로 뛰었다.[49] 이후 실업팀에서 뛰었기 때문에 은퇴가 아니라 퇴단이다.[50] 퇴단 후 실업팀인 화성시청에서 뛰었다.[51] 지명은 LIG에서 했지만 얼마 안 되어 우리캐피탈로 이적했기에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이다.[52] 입단전에 독일 프로팀에서 뛰었다.[53] 2001년 은퇴 후 2011년 잠시 선수로 복귀했다가 재차 은퇴했다.[54] 개명 전 김혜진[55] 개명 전 하준임[56] 2016년 은퇴 후 2021년 복귀, 2022년 방출.[57] 쿼터백의 경우도 몸값이 너무 오르면 오히려 팀차원에서 재계약이 어려운 경우가 생긴다. 몸값을 깎으면 자신의 가치도 하락한다는 미국의 사고방식에 따라 이런경우의 이적은 팬들도 쉽게 납득하는 편이다.[58] NFL 한정.[59] 단, 코인호의 경우 연습생 시절은 팬택 출신이다. 하지만 팬택 출신으로 경기를 치른적은 없기에 대부분 KT 원클럽맨으로 취급하고 본인도 팬택은 지나가던 시절 정도로 여긴다.[60] 정확히는 스타테일과 kt는 별개의 팀이나 kt가 스타테일 LoL 팀 해체 직후 소속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시드권이 계승되었기에 한 팀에 계속 있었던 것으로 보는 편이다.[61] 전역 후 2022-2에 복귀해 아마추어팀으로 참여하려 했으나(원래는 Team GP에 입단했지만 팀에 논란이 터져 이틀 만에 해체) 개인전만 진출하고 팀전은 예선 탈락 이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