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 풋볼 리그의 선수 계약 제도에 대한 내용은 프랜차이즈 태그 문서 참고하십시오.
프랜차이즈 선수 Franchise player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축구 | 국내 축구 · 해외 축구(독일 · 스페인 · 이탈리아 · 잉글랜드 · 프랑스) |
야구 | KBO · MLB · NPB | |
기타 | 농구 · 배구 · 미식축구 · e스포츠 |
[clearfix]
1. 개요
Franchise player. 소위 말하는 '간판 선수'로, 해당 구단에 소속되어 활약하며 해당 구단의 이미지를 보인 선수를 일컫는 말이다.[2][3]
자로 잰 듯한 정의가 있진 않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구단의 이미지를 보이며 팬들의 지지를 받는 선수라는 것. 단순히 한 곳에서만 뛰지 않았더라도 하비에르 사네티처럼 오랫동안 구단에서 헌신했거나 카네모토 토모아키처럼 역사에 길이길이 남을 기록을 세웠다거나 구로다 히로키처럼 해외 리그에서 뛰다가 친정으로 돌아와도 인정해 준다. 또한 구단을 떠나더라도 선수는 원치 않았지만 강제로 이적했다거나[4] 충분히 구단에 헌신한 후 선수 생활 말년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보려는 것[5]이라면 대개 프랜차이즈 선수로 인정해 준다. 다른 곳에서 데뷔를 했다가 이적한 후 포텐셜이 터진 것[6]도 물론 인정해 준다.
NFL의 브렛 파브같은 선수는 그린베이 패커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였지만 선수 생활 연장을 위해 하필 지역 라이벌 미네소타 바이킹스로 이적하는 바람에 한동안 완전히 배신자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7][8] 하지만 2014년 ESPN 방송 스케줄로 그린베이를 다시 찾았을 때는 그린베이 주민들의 환호를 받았으며 결국 2015년에는 패커스에서 영구 결번이 결정된 바 있다.
선수 생활의 시작과 끝을 한 곳에서만 한 프랜차이즈 선수는 '원 클럽 플레이어(One Club Player)'라 칭한다. 단, 한국에서는 군 복무로 인해 상무, 경찰청 등에 소속되는 경우가 많아 원 클럽 맨이 나오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군 복무를 위한 이탈 기간을 제외하고 한 클럽에서만 뛰면 대개 원 클럽 맨이라고 지칭해준다. 외국에 갔다 온 경우도 너그럽게 봐 주는 편. 아예 출신지와 프로 데뷔를 시작한 구단의 연고지가 같다면 '로컬 보이(Local Boy)'라고 해서 원클럽맨 계열 프랜차이즈 선수 중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쳐준다.
2. 목록
범례 |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 |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경우(☆) |
-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선수를 구분할 때는 당시의 연고지를 기준으로 한다.
- 상무 팀, 공군 ACE 등은 자의로 팀을 이적한 게 아닌 병역의무이므로 당연히 제외한다.
2.1. 개별 문서
- 프랜차이즈 선수/야구
- 프랜차이즈 선수/야구/KBO
- 프랜차이즈 선수/야구/MLB
- 프랜차이즈 선수/야구/NPB
- 프랜차이즈 선수/국내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해외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독일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스페인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이탈리아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잉글랜드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프랑스 축구
- 프랜차이즈 선수/농구
- 프랜차이즈 선수/배구
- 프랜차이즈 선수/미식축구
2.2. e스포츠
2.2.1.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임요환[9] (SK텔레콤 T1, 2002~2010): 이쪽은 프랜차이즈 스타로도 모자라서 아예 창단에 일조했다. 2006~2008년에는 군 복무 문제로 공군 ACE에서 지냈고, 스타크래프트 2 전향 후 SlayerS 팀을 창단하여 활동하다가 2012년부터 1년간 T1 감독직을 수행하였다.
- 최연성★ (SK텔레콤 T1, 2003~2016): 2010년부턴 코치 업무에 집중하다가 2014년, 임요환의 뒤를 이어 정식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 박용욱 (SK텔레콤 T1, 2003~2009) : 한빛에서 이적한 뒤, 최연성 등과 함께 T1 왕조의 주역이 되었다.
- 정명훈 (SK텔레콤 T1, 2007~2014) : 2014년 말에 출전 시간 보장을 이유로 팀을 탈퇴한 후 Dead Pixels에서 1년간 선수생활을 지속한 후 은퇴하였다. 군 제대 이후 다시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로 복귀했으나, 현재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코치로 활동 중이다.
- 어윤수 (SK텔레콤 T1, 2008~2016)
- 정윤종 (SK텔레콤 T1, 2010~2014)
- 송병구★ (삼성 갤럭시 칸, 2004~2016)
- 허영무★ (삼성 갤럭시 칸, 2006~2013)
- 오영종★[10] (화승 오즈, 2004~2011)
- 이제동 (화승 오즈, 2006~2011): 2011년 화승 오즈의 해체로 제8게임단으로 이적하였다.[11]
- 홍진호[12] (kt 롤스터, 임대-2002~2003 이적-2004~2011) : 한때 임요환과 같은 IS 소속이었으나, 이후 KTF로 이적하며 소속 팀으로서도, 선수로서도 완벽한 라이벌 구도를 이룬다. 임진록 결승이 언제나 그랬듯이 프로리그마저 홍진호의 KTF가 준우승(...)
- 박정석[13] (kt 롤스터, 2004~2012) : 여러 기록들[14]은 비록 한빛에서 이룬 것이지만, 당시 KTF로 완전이적한 선수 중 처음으로 OSL, MSL 결승 진출을 이뤄낸데다[15] 걸출한 개인전, 팀플레이 성적[16]으로 KTF를 포스트시즌으로 견인한 주역이다.
- 이영호★ (kt 롤스터, 2007~2015)
- 김대엽 (kt 롤스터, 2008~2016)
- 주성욱 (kt 롤스터, 2011~2016)
- 우정호★ (kt 롤스터, 2007~2012) : 기록 자체는 등재 기준에 맞지 않으나, KT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 있기 때문에 서술한다.
- 서지훈★[17] (CJ 엔투스, 2002~2011)
마재윤★ (CJ 엔투스, 2003~2010)- 김정우★ (CJ 엔투스, 2007~2010, 2011~2014) : 갑작스러운 첫 은퇴 후 친정팀으로 복귀했다.
- 변형태★[18] (CJ 엔투스, 2004~2010)
- 신상문 (온게임넷-하이트 스파키즈[19], 2006~2010) : 개인리그 커리어가 다소 부족함에도 연봉이 짜기로 유명한 스파키즈에서 1억에 계약했다. 절륜한 에이스결정전 승률로 팀을 견인했던 미라클 스파키즈의 주인공.
- 박성준 (MBC GAME HERO, 2002~2007) : OSL 2회 우승에다 MBC의 전성기를 이끌어냈으나, 웨이버 공시까지 당한 e스포츠판 최동원.
- 박지호 (MBC GAME HERO, 2005~2011)
- 염보성 (MBC GAME HERO, 2005~2011) : 개인리그에서는 다소 빈약하나, MBC게임의 전성기를 이끌어 낸 부동의 에이스.
- 김동수 (한빛 스타즈, 2000~2003)
- 강도경★ (한빛 스타즈, 2001~2006) : 홍진호 이전 스타리그 태동기의 콩라인.
- 김준영[20] (한빛 - 웅진 스타즈, 2004~2008, 2008~2009)
- 윤용태★ (한빛 - 웅진 스타즈, 2005~2013) : 커리어 하이가 4강이지만 장기간 에이스였기 때문에 서술한다.
- 김명운★ (한빛 - 웅진 스타즈, 2007~2013)
진영수★ (STX SouL, 2004~2010)- 김윤환★ (STX SouL, 2005~2013)
- 김구현 (STX SouL, 2006~2011)
- 이윤열 (투나 SG - SG 패밀리 -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 위메이드 폭스, 2004~2010)
2.2.1.1. 한 팀에 정하기 애매한 선수
- 강민 (슈마 GO, kt 롤스터) : GO - 양대리그 우승 / KTF - 예고올킬 및 에이스 결정전 9연승
- 김택용 (MBC GAME HERO, SK텔레콤 T1) : MBC - 개인리그 2회 우승 / SKT - 프로리그 다승왕 및 정규리그, 결승전 MVP
- 박태민 (GO, SK텔레콤 T1) : GO - 개인리그 1회 우승 / SKT - 프로리그 결승전 MVP
- 조용호 (SouL, KTF 매직엔스) : SOUL - 양대리그 동시 결승진출 / KTF - 첫 우승
2.2.2. 리그 오브 레전드
- 이상혁(Faker) (T1, 2013/02 ~)[21]
- 스기우라 유타(Yutapon) (DetonatioN FocusMe, 2013/04 ~)
- 박재혁(Ruler) (Gen.G, 2016/05 ~ 2022/11, 2024/11 ~)
- 도두이칸(Levi) (GAM Esports, 2016/12 ~ 2017/12, 2019/05 ~)
- 스썬밍(Ming) (Royal Never Give Up, 2016/12 ~ 2023/05, 2023/12 ~)
- 문건영(Steal) (DetonatioN FocusMe, 2017/05 ~ 2017/11, 2017/12 ~)
- 조건희(BeryL) (Dplus KIA, 2017/05 ~ 2021/11, 2024/11 ~)
- 허수(ShowMaker) (Dplus KIA, 2017/11 ~)[22]
- 쩡치(Yagao) (JDG Intel Esports Club, 2017/12 ~ 2022/11, 2023/12 ~)
- 로버트 후앙(Blaber) (Cloud9, 2017/12 ~)[23]
- 쩐두이상(Kiaya) (GAM Esports, 2018/05 ~)
- 곽보성(Bdd) (kt 롤스터, 2018/11 ~ 2019/11, 2022/11 ~)
- 라스무스 뷘터(Caps) (G2 Esports, 2018/11 ~)
- 조용인(CoreJJ) (Team Liquid, 2018/11 ~)
- 에밀 라르손(Larssen) (Rogue, 2018/12 ~)
- 미하엘 메흘레(Mikyx) (G2 Esports, 2018/11 ~ 2021/12, 2022/12 ~)
- 자오리제(JieJie) (Edward Gaming, 2019/03 ~)
- 서진혁(Kanavi) (JDG Intel Esports Club, 2019/05 ~ 2019/10, 2019/12 ~)
- 이민형(Gumayusi) (T1, 2019/11 ~)
- 김덕범(DasheR)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2019/12 ~)
- 위원보(JackeyLove) (Top Esports, 2020/04 ~)
- 하비에르 프라데스(Elyoya) (MAD Lions KOI, 2020/11 ~)
- 류민석(Keria) (T1, 2020/11 ~)
- 문현준(Oner) (T1, 2020/12 ~)
- 정지훈(Chovy) (Gen.G, 2021/11 ~)
- 박루한(Morgan) (OK저축은행 브리온, 2021/11 ~)
-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xPeke) (Fnatic, 2011/03 ~ 2014/12)
- 홍민기(MadLife) (CJ 엔투스, 2011/10 ~ 2016/11)
- 다닐 레셰트니코프(Diamondprox) (Gambit Esports, 2011/12 ~ 2015/12, 2016/02 ~ 2016/04, 2016/10 ~ 2020/10)
- 에두아르트 아브가리안(Edward) (Gambit Esports, 2011/12 ~ 2013/06, 2013/11 ~ 2015/11, 2017/06 ~ 2018/11, 2019/12 ~ 2020/05)
- 폴 부아예(sOAZ) (Fnatic, 2012/06 ~ 2015/01, 2016/12 ~ 2018/11)
- 천보(Pyl) (LGD Gaming, 2012/09 ~ 2020/01)
- 고동빈(Score)★ (kt 롤스터, 2012/10 ~ 2019/11)
- 마르틴 라르손(Rekkles) (Fnatic, 2012/11 ~ 2013/04, 2013/11 ~ 2014/11, 2015/05 ~ 2020/11, 2022/12 ~ 2023/10)
- 배성웅(Bengi) (SK telecom T1, 2013/02 ~ 2016/11)[24]
- 김찬호(Ssumday) (kt 롤스터, 2013/02 ~ 2016/11), (100 Thieves, 2017/11 ~ 2022/11, 2023/05 ~ 2023/11)
- 쑤한웨이(xiye) (Team WE, 2013/05 ~ 2019/11, 2021/12 ~ 2022/12)[25]
- 재커리 스쿠데리(Sneaky) (Cloud9, 2013/05 ~ 2020/01)[26]
- 여창동(TrAce)★ (Jin Air Greenwings, 2013/07 ~ 2016/11)
- 배준식(Bang) (Sk telecom T1, 2013/10 ~ 2018/11)
- 이재완(Wolf) (SK telecom T1, 2013/10 ~ 2018/11)
- 황이탕(Maple) (Flash Wolves, 2013/10 ~ 2018/12)
- 후숴제(SwordArt) (Flash Wolves, 2013/10 ~ 2018/12)
- 쇠렌 비에르그(Bjergsen) (TSM, 2013/11 ~ 2020/10)[27]
- 재커리 블랙(aphromoo) (Counter Logic Gaming, 2013/11 ~ 2017/11)
- 지드라베츠 갈라보프(Hylissang) (Unicorns of Love, 2014/01 ~ 2017/12) (Fnatic, 2017/12 ~ 2022/11)
- 밍카이(Clearlove) (Edward Gaming, 2014/02 ~ 2019/12, 2020/12 ~ 2021/01)[28]
- 리쉬안쥔(Flandre) (LNG Esports, 2014/04 ~ 2020/11)
- 다르샨 우파드하야(Darshan) (Counter Logic Gaming, 2014/11 ~ 2019/05)
- 진성준(Mystic) (Team WE, 2014/11 ~ 2019/11)
- 톈예(Meiko) (Edward Gaming, 2014/12 ~ 2023/12)
- 이성진(CuVee) (Gen.G, 2014/12 ~ 2019/11)[29]
- 송의진(Rookie) (Invictus Gaming, 2014/12 ~ 2021/12)
- 루카 페르코비치(Perkz) (G2 Esports, 2015/01 ~ 2015/02, 2015/06 ~ 2020/11)
- 리위안하오(Xiaohu) (Royal Never Give Up, 2015/05 ~ 2022/12)
- 류스위(COLD) (Oh My God, 2015/05 ~ 2022/12)
- 셰톈위(icon) (Oh My God, 2015/12 ~ 2020/12)
- 루카 시몽메슬레(Cabochard) (Team VItality, 2015/12 ~ 2020/12)
- 카스페르 코베룹(Kobbe) (Splyce, 2015/12 ~ 2019/11)
- 이예찬(Scout) (Edward Gaming, 2016/03 ~ 2022/12)
- 젠쯔하오(Uzi) (Royal Never Give Up, 2016/05 ~ 2020/05)[30]
- 송경호(Smeb) (kt Rolster, 2016/11 ~ 2020/11)[31]
- 이다윤(Spirit) (Afreeca Freecs, 2016/12 ~ 2020/11)[32]
- 강승록(TheShy) (Invictus Gaming, 2017/05 ~ 2021/11)
- 조재읍(Joker) (SANDBOX Gaimng, 2017/01 ~ 2020/04)
- 쭤밍하오(LvMao) (JD Gaming, 2017/05 ~ 2021/12)
- 마르친 얀코프스키(Jankos) (G2 Esports, 2017/12 ~ 2022/12)
- 무라세 슌스케(Evi) (DetonatioN FocusMe, 2017/12 ~ 2022/12)
- 김기인(Kiin) (KWANGDONG FREECS, 2017/12 ~ 2022/11)
- 린웨이샹(Lwx) (FPX, 2017/12 ~ 2023/12)
- 김건부(Canyon) (Dplus KIA, 2018/09 ~ 2023/11)
- 줘딩(knight) (Top Esports, 2018/11 ~ 2022/11)
- 박증환(Hena) (OK저축은행 브리온, 2019/12 ~ 2023/11)
- 파트릭 이루(Patrik) (GIANTX, 2019/12 ~ 2024/11)
2.2.3. 오버워치
오버워치 리그의 창설시점과 해체시점을 전후하여 참가팀의 큰 변동이 발생했다. 따라서 해체된 팀의 로스터를 계승하는 팀[33]으로 이적하여 4시즌 이상 활동한 선수도 기재한다.- 김태훈(Edison) (GC BUSAN WAVE, 2016~2019)
- 류제홍(ryujehong) (Lunatic-Hai - 서울 다이너스티, 2016~2019)[34]
- 양진모(tobi) (Lunatic-Hai - 서울 다이너스티, 2016~2020, 2022~2023)[35]
- 박종렬(Saebyeolbe) (LW BLUE - 뉴욕 엑셀시어, 2016~2020)[36]
- 방성현(JJonak) (LW BLUE - 뉴욕 엑셀시어, 2017~2021)[37]
- 매튜 델리시(super) (샌프란시스코 쇼크, 2017~2021)
- 이재혁(carpe) (필라델피아 퓨전, 2017~2022)[38]
- 가엘 구제시(Poko) (서울 인페르날, 2017~2021, 2023)[39]
- 제이콥 라이언(Jake) (휴스턴 아웃로즈, 2017~2019, 2021~2022)[40]
- 조쉬 코로나(eqo) (필라델피아 퓨전, 2017~2021)
- 박민기(Viol2t) (샌프란시스코 쇼크, 2018~2023)
- 쉬추린(Guxue) (항저우 스파크 - Once Again, 2018~)
- 이후(JinMu)☆ (청두 헌터즈, 2018~2023)
- 단테 크루즈(Danteh) (휴스턴 아웃로즈, 2018~2022)
- 김동언(Fits) (서울 다이너스티, 2018~2022)
- 블레이크 스캇(Gator) (애틀랜타 레인, 2018~2023)[41]
- 박준영(Profit) (서울 다이너스티, 2019~2023)
- 젠더 도메크(Hawk) (애틀랜타 레인, 2019~2023)[42]
- 황신(Leave) (청두 헌터즈, 2019~2023)
- 김병선(Fleta) (상하이 드래곤즈, 2019~2023)
- 김민철(IZaYaKI) (상하이 드래곤즈, 2019~2022)
- 정양제(Shy) (항저우 스파크 - Once Again, 2020~)[43]
- 케빈 페르손(kevster) (LA 글래디에이터즈, 2020~2023)
-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Hadi) (런던 스핏파이어 - Spacestation Gaming, 2021~)[44]
- 윌리엄 안데르손(SparkR) (런던 스핏파이어 - Spacestation Gaming, 2021~)[45]
- 후지카와 다이스케(Nico) (VARREL, 2021~)
- 이노우에 토모하루(KSG) (VARREL, 2021~)
- 오타 유키(Mint) (VARREL, 2021~)
- 우키하스 쇼(Mihawk) (VARREL, 2021~)
- 히라야마 나리아키(qki) (VARREL, 2021~)
2.2.4. 카트라이더 시리즈
중소 프로팀의 창단과 해체가 자주 일어나는 리그 특성상 3년 이상 한 팀에서 활동하는 선수가 드물다. 그래서 팀에 활동했던 기간이 적어도 3년차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한다.[46][47] 굵게 표시한 프랜차이즈 선수는 특정 팀을 떠오르게 하는 독보적으로 대표되는 선수들이다.- 노준현 (KWANGDONG FREECS, 2021~2023)
- 이재혁 (ROX, 2019~2021)
- 송용준 (ROX, 2019~2021)
- 사상훈 (ROX, 2019~2021)
- 한승철 (ROX, 2019~2021)
- 최영훈 (DFI BLADES, 2019~2023)[48]
- 홍승민 (아프리카 프릭스, 2019~2021)
- 최윤서 (아프리카 프릭스, 2019~2021)
- 박도현 (한화생명e스포츠, 2019~2021)
- 문호준 (한화생명e스포츠, 2019~2021)
- 이은택 (KWANGDONG FREECS, 2020~2023)
- 유영혁 (KWANGDONG FREECS, 2019~2023)[49]
- 김승태 (Liiv SANDBOX, 2019~2023)
- 박인수 (Liiv SANDBOX, 2019~2023)[50]
- 정승하 (Liiv SANDBOX, 2020~2023)
- 유창현 (DFI BLADES, 2020~2023)
- 배성빈 (DFI BLADES, 2019~2023)[51]
- 박현수 (Liiv SANDBOX, 2019~2023)
2.2.5.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는 선수들은 보통 계약이 끝나면 보통 타 팀으로 이적을 많이 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선수가 많이 없다. 따라서 한 팀에서 3년 동안 활약한 선수도 포함하여 기재한다.- 고정완(Esther) (Gen.G Esports, 2017~2019, 2021~2022, 2023)[52]
- 박정영(Loki) (Gen.G Esports, 2018~2021)
- 차승훈(Pio) (Gen.G Esports, 2019~2021, 2023)
- 박성찬(Under) (Dplus KIA, 2020~2023)
3. 관련 문서
[1] 실제로, 레지 밀러는 수많은 이적 제의를 거절하고 인디애나 페이서스에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고, 결국 영구결번까지 등록된다.[2] 그야말로 그 구단의 이미지를 보이는 선수이기에 대표적인 경우가 원클럽맨이며, 원클럽맨이 아니더라도 10년 언저리 동안 해당 구단에서 활약한 선수를 보통 프랜차이즈 선수로 여긴다. 혹은 그 기간에 조금 못 미치더라도 꾸준한 성적을 보였던 경우에도 프랜차이즈 선수 대우를 받는다. 공식 타이틀 홀더와 같이 구단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경우에도 프랜차이즈 선수로 여겨지기도 한다.[3] 세부 항목으로 프랜차이즈 스타가 있는데, 이는 야구 선수로서의 능력인 성적을 바탕으로 스타로 활약하며 해당 구단에 일정 이상의 기여를 한 선수를 말한다. 단순히 오래 소속되어 있음으로 주어지는 칭호는 아니며, 소속 기간 보단 기여도를 바탕으로 주어지기에 쉬이 얻어지지 않는 칭호다. 다만 원클럽맨의 경우 그 기여도가 다른 프랜차이즈 스타 보다 근소하게 못미치더라도 프랜차이즈 스타로 대우해주는 경우도 있다.[4] 최동원, 패트릭 유잉, 리오넬 메시 등이 있다.[5] 칼 말론, 필 니크로, 최은성,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등이 있다.[6] 박병호, 데이비드 오티즈, 프랭크 램파드 등이 있다.[7] 사실 이건 노쇠화하는 파브를 계속 두고 있다가는 구단 성적을 유지하기 힘든 패커스와, 어쨌든 풋볼을 계속하고 싶은 파브의 이해관계의 충돌의 결과라 파브의 탓만을 할 수는 없다.[8] 심지어 패커스는 파브를 자기 구단에서 은퇴시키기 위해 더이상 NFL에서 뛰지 않는 조건으로 10년간 500만불을 제안하기도 했다.[9]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0]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화승 오즈로 다시 돌아왔다.[11] 제8게임단, 그러니까 진에어 그린윙스는 사실상 화승의 후신팀이다. 명목 상으로는 위메이드 폭스, 화승 오즈, MBC GAME HERO 3개 구단의 선수단을 통합했지만, 위메이드 출신은 전태양 하나 뿐인데다 진에어 그린윙스로 개편하기 직전에 결국 kt 롤스터로 FA 이적했고, MBC게임에서는 프로토스 선수단이 넘어왔지만 모두 은퇴 후 아프리카TV로 떠났기 때문. 이 때문에 진에어 그린윙스에는 화승 출신이 항상 과반수였다. 다만 이제동은 얼마 지나지 않아 EG에 임대 선수로 이적했다가 완전히 이적하여 활동 무대를 해외로 옮겼다.[12]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3]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4] 스타리그 우승과 양대리그 동시 결승 진출, 강도경과의 역대 최강 팀플조합 등[15] 이윤열, 홍진호는 임대 선수[16] 홍진호, 임재덕과 각각 20승씩 쌓았다. 승률도 엄청 좋다.[17]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8]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은퇴했다.[19] 추후 CJ 엔투스와 합병[20] 중간에 CJ 엔투스로 임대 후 다시 돌아왔다.[21] 2020년에 T1과 3년 재계약, 파트오너 계약을 맺으며 T1의 공동 소유주가 되었다. 사실상 T1 원클럽맨 확정이며 선수 생활 이후에도 관계자로서 T1에서 계속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22] T1의 페이커와 함께 현재 LCK에 남은 유이한 원 클럽 플레이어다.[23] C9 Academy 시절 포함.[24] 2017년에 Vici Gaming으로 이적했다가, 2018년에 SK telecom T1 코치로 복귀하였다.[25] 2부팀 Team WE Academy 시절 포함.[26] 은퇴 이후에도 Cloud 9의 소유주 및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27] 페이커와 마찬가지로 TSM의 지분을 받는 계약을 체결, 2020시즌 이후 은퇴하고 TSM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다만 이후 감독직에서 내려와 Team Liquid의 미드라이너로 복귀하였다.[28] 2019시즌 이후 은퇴하고 EDG의 감독으로 부임 하였다가 2021시즌에 선수 복귀. 이후 다시 감독으로 부임했다.[29] 2021시즌 부터 젠지 스트리머로 활동 중이다.[30] 2013시즌과 14시즌을 Royal Club에서 보냈다. RNG는 공식적으로는 Royal Club을 계승하는 팀이 아니지만, 어찌됐든 로얄 클럽 시절에도 우지가 프랜차이즈 스타였기에 RNG의 얼굴마담으로 인식되고 있다.[31] (2019.11.19 ~ 2020.05.29)까지 휴식 후 서머 복귀
(2020.05.29~ 2020.11.16)까지 복귀 후 경력[32] 은퇴 이후에도 아프리카 프릭스 에서 코치로 활동 하고 있다.[33] 리그 이전의 Lunatic-Hai가 리그 창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로 계승된 경우, 리그의 항저우 스파크가 리그 해체 이후 Once Again으로 계승된 경우 등.[34] 오버워치 이전에는 Lunatic-Hai 스페셜 포스 팀에서 활동한 적도 있으나 일단 이 문단에는 기간에 포함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Gen.G Esports 소속 스트리머로 활동했다. 서울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오버워치 최초의 영구결번 사례였다.[35] 류제홍이 서울을 떠난 뒤 유일하게 남은 루나틱 출신 서울 선수였다. 2020시즌 종료 후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21 시즌에는 필라델피아 퓨전으로 이적하여 활동했고 해당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2022시즌에는 서울로 돌아와 감독직을 맡았으며 이는 2023시즌까지 이어졌다.[36] 뉴욕은 새별비와의 계약을 종료하면서 Forever Our Captain이라는 헌정 영상을 업로드했다. 2022년 뉴욕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37] LW BLUE에는 8월 10일에 입단을 했지만 22일에 LW BLUE가 기권 선언을 하며 LW BLUE 소속으로 경기를 뛰진 않았다. 2021년 뉴욕팀의 대대적 리빌딩 이후에는 프랜차이즈 스타를 넘어서 정신적 지주이자 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에 입단했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시즌 시작 전 은퇴 선언을 하면서 사실상 뉴욕 엑셀시어의 원클럽맨이라 봐도 무방하다.[38] 출범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다섯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년부터는 같은 구단의 발로란트 팀으로 넘어가 활동했으며, 동시에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39]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시즌에는 인페르날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했으나 선수 로스터에 등록되어 있었고 실제로 출전하여 경기도 치렀다. 2023년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0]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휴스턴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2시즌에는 휴스턴의 코치로서 활동했다. 중간에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가 번복하여 복귀한 공백이 있는데, 이때 휴스턴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1] 2019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애틀랜타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3시즌에는 선수 은퇴 후 애틀랜타의 감독으로 활동했다. 이로써 게이터는 리그에서의 모든 기간을 애틀랜타 소속으로 활동했고, 애틀랜타 또한 창단부터 해체까지의 모든 기간을 게이터와 함께했다. 또한 2019시즌에는 투웨이 계약을 통해 아카데미 팀에서도 활동했다.[42] 2019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0시즌부터 애틀랜타에서 활동했다.[43]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항저우에서 활동했다.[44]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5]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6] 정식 창단 이후 3년차를 채운 게임단이 리브 샌드박스, 광동 프릭스, DFI 블레이즈, 락스밖에 없기 때문이다.[47] 현재는 남아있는 프로팀이 리브 샌드박스 밖에 없다.[48] 듀얼 레이스 1부터 문호준과 같은 팀이었다.[49] 현재도 광동 프릭스에서 파트너 BJ를 맡고 있다.[50] 샌드박스 게이밍의 카트라이더 팀 창단을 이끌었고 현재는 군입대를 했다.[51] 카트라이더 리그 정규시즌 한정으로 원클럽맨이다. 이벤트리그인 듀얼 레이스 X에서 현 소속팀인 광동 프릭스의 전신인 아프리카 플레임 소속이었기 때문이다.[52] 2020년에 타 팀으로 이적한 뒤 은퇴하였다가 2021년에 다시 젠지에 선수로 돌아왔다. 2022년에 최종적으로 은퇴하며 영구결번 선수가 되었다.
(2020.05.29~ 2020.11.16)까지 복귀 후 경력[32] 은퇴 이후에도 아프리카 프릭스 에서 코치로 활동 하고 있다.[33] 리그 이전의 Lunatic-Hai가 리그 창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로 계승된 경우, 리그의 항저우 스파크가 리그 해체 이후 Once Again으로 계승된 경우 등.[34] 오버워치 이전에는 Lunatic-Hai 스페셜 포스 팀에서 활동한 적도 있으나 일단 이 문단에는 기간에 포함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Gen.G Esports 소속 스트리머로 활동했다. 서울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오버워치 최초의 영구결번 사례였다.[35] 류제홍이 서울을 떠난 뒤 유일하게 남은 루나틱 출신 서울 선수였다. 2020시즌 종료 후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21 시즌에는 필라델피아 퓨전으로 이적하여 활동했고 해당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2022시즌에는 서울로 돌아와 감독직을 맡았으며 이는 2023시즌까지 이어졌다.[36] 뉴욕은 새별비와의 계약을 종료하면서 Forever Our Captain이라는 헌정 영상을 업로드했다. 2022년 뉴욕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37] LW BLUE에는 8월 10일에 입단을 했지만 22일에 LW BLUE가 기권 선언을 하며 LW BLUE 소속으로 경기를 뛰진 않았다. 2021년 뉴욕팀의 대대적 리빌딩 이후에는 프랜차이즈 스타를 넘어서 정신적 지주이자 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에 입단했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시즌 시작 전 은퇴 선언을 하면서 사실상 뉴욕 엑셀시어의 원클럽맨이라 봐도 무방하다.[38] 출범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다섯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년부터는 같은 구단의 발로란트 팀으로 넘어가 활동했으며, 동시에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39]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시즌에는 인페르날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했으나 선수 로스터에 등록되어 있었고 실제로 출전하여 경기도 치렀다. 2023년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0]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휴스턴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2시즌에는 휴스턴의 코치로서 활동했다. 중간에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가 번복하여 복귀한 공백이 있는데, 이때 휴스턴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1] 2019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애틀랜타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3시즌에는 선수 은퇴 후 애틀랜타의 감독으로 활동했다. 이로써 게이터는 리그에서의 모든 기간을 애틀랜타 소속으로 활동했고, 애틀랜타 또한 창단부터 해체까지의 모든 기간을 게이터와 함께했다. 또한 2019시즌에는 투웨이 계약을 통해 아카데미 팀에서도 활동했다.[42] 2019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0시즌부터 애틀랜타에서 활동했다.[43]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항저우에서 활동했다.[44]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5]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6] 정식 창단 이후 3년차를 채운 게임단이 리브 샌드박스, 광동 프릭스, DFI 블레이즈, 락스밖에 없기 때문이다.[47] 현재는 남아있는 프로팀이 리브 샌드박스 밖에 없다.[48] 듀얼 레이스 1부터 문호준과 같은 팀이었다.[49] 현재도 광동 프릭스에서 파트너 BJ를 맡고 있다.[50] 샌드박스 게이밍의 카트라이더 팀 창단을 이끌었고 현재는 군입대를 했다.[51] 카트라이더 리그 정규시즌 한정으로 원클럽맨이다. 이벤트리그인 듀얼 레이스 X에서 현 소속팀인 광동 프릭스의 전신인 아프리카 플레임 소속이었기 때문이다.[52] 2020년에 타 팀으로 이적한 뒤 은퇴하였다가 2021년에 다시 젠지에 선수로 돌아왔다. 2022년에 최종적으로 은퇴하며 영구결번 선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