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8:04:38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4강 탈락 직후의 1557 조롱 의혹}}}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s-2.10|2.10]]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4강 탈락 직후의 1557 조롱 의혹: }}}{{{#!if 같은문서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s-2.10|2.10]]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en.G Esports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2026 시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bgcolor=#000,#000> Gen.G Hanwha Life Esports kt Rolster T1 Dplus KIA
파일:BNK FEARX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BNK FEARX Nongshim RedForce OKSavingsBank BRION DRX DN FREECS
<bgcolor=#1C192B,#1C192B> LCK CL 참가팀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엠블럼_화이트 2.svg 파일:valorantlogo.png
Gen.G Gen.G
Gen.G Global Academy
Gen.G
Gen.G Global Academy
파일:체스 픽토그램_다크.svg 파일:Rocket_League_shield_(white).png 파일:FC ONLINE.svg
Gen.G Gen.G Mobil1 Racing GEN CITY
파일:PUBG_Mobile_Simple_logo_white_TM.png 파일:r6s logo_13510798887991451.png 파일:halo-logo-simple.png
Gen.G Gen.G Gen.G
파일:BrawlStars_small.svg 파일:오버워치 2 프로그램 아이콘.svg 파일:왕자영요_white_logo.png
Gen.G Gen.G Gen.G
파일:마블 라이벌즈_로고.png 파일:apex-white-icon.png
Gen.G Gold Gen.G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젠지
Gen.G
창단 2013년 9월 7일
소속 리그 LCK
팀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통합 이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amsung Galaxy Blue(2013.9~2014.11)Samsung Galaxy Ozone(2013.9~2014.6)
Samsung Galaxy White(2014.6~2014.11)
}}}}}}}}}
Samsung Galaxy(2014.11~2017.11)
KSV Esports(2017.11~2018.5)
Gen.G(2018.5~)
모기업 ㈜케이에스브이이스포츠코리아
소유주 [[케빈 추|케빈 추
Kevin
]]
고문 크리스 박
Chris
CEO [[아놀드 허|아놀드 허
Arnold
]]
상무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Jihun
]]
감독 [[유상욱|유상욱
Ryu
]]
코치
주장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약칭 GEN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파일:비스테이지 아이콘.svg
우승 기록
Worlds
(2회)
2014[SSW], 2017[SSG]
MSI
(2회)
2024, 2025
LCK
(6회)
2014 스프링[SSB],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5[4]
EWC
(1회, 최다)
2025
IEM
(1회)
2016 경기[SSG]
LoL 마스터즈
(1회, 최다)
2014[SS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파일:TOP_icon_gen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기인|김기인
Kiin
]]
파일:JGL_icon_gen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MID_icon_gen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ADC_icon_geng.png
BOT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SUP_icon_gen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 [[주민규(2002)|주민규
Duro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관련 기록5. 스폰서6. 역사 및 역대 시즌7. 특징8. 플레이 스타일9. 성적 및 전적10. 구성원
10.1. 로스터 연혁10.2. 스태프 연혁10.3. 영구 결번
11. 게임단 산하12. 팬덤
12.1. ~ 2021 시즌12.2. 2022 시즌 ~12.3. 다른 팀 팬덤과의 관계
13. 라이벌리14. 여담
14.1. 공식 다큐멘터리 시리즈14.2. Worlds 응원곡14.3. 14.4. 젠지의 삼성 계승14.5. 젠지의 MVP 계승?
15. 사건 사고16.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
16.1. 2014 시즌16.2. 2017 시즌
17. 둘러보기

1. 개요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2025 MSI GEN.jpg
#CHANGE THE GAME, CHANGE THE WORLD
#TIGERNATION #GEN2.0
Gen.G Esports 소속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GEN.[7]

2. 상세

2012년 5월 7일 최초로 팀이 창단되었던 당시에는 MVP 소속이었으나 월드 챔피언십 직전 MVP의 매각을 통해 MVP의 선수단을 이어 받아 삼성 갤럭시 소속으로 활동하였고, 2015년부터 삼성 갤럭시 통합팀으로 출범했으며 2017년 월드 챔피언십이 끝난 이후에 대만계 미국인 사업가 케빈 추가 프로게임단을 인수하면서 팀명이 바뀌게 되었으며 Gen.G로 팀명이 바뀌기 직전에 KSV가 삼성 갤럭시를 인수하면서 삼성 갤럭시 명의로 기록한 모든 기록들을 공백없이 이어받게 되었다.[8]

이미 이전에 세 번의 전례가 있던 쓰리핏을 넘어 LCK 최초로 포핏이라 불리는 LCK 4연속 우승을 기록하며 현재 LCK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해낸 팀이다.[9][10] 이외에도 결승 진출 2위 및 연속 결승 진출 1위[11], LCK 정규시즌 역대 최고 득실 기록[12], LCK 최초의 정규 시즌 라운드 세트 무패 전승[13], LCK 최다 연속 매치 연승[14], LCK 단일 정규 시즌 최다 세트 연승[15], LCK 최다 연속 세트 연승[16] 등의 굵직한 기록을 다수 보유한, 과거와 현재를 통틀어 LCK의 전통강호 팀이다.

국제전에서 역시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LCK 팀들 중 월즈 선발전으로 최다 월즈 진출[17]최고 승률[18]을 기록한 선발전의 강팀이자 무려 11회 월즈 출전을 자랑하는 LCK 최다 월즈 출전 팀이기도 하다.[19] 전신인 삼성 갤럭시 화이트, 삼성 갤럭시 통합팀 시절에 기록했던 2014년과 2017년에 달성한 총 2회의 월즈 우승 팀으로 6회 우승의 T1과 함께 2회 이상의 월즈 우승을 기록한 유이한 팀이다. LCK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Mid-Season Invitational에서는 2024년 대회2025년 대회를 우승하였으며, 2회 우승의 T1과 함께 LCK에서 유이한 MSI 우승팀이자 LCK 소속 최다 우승팀이다.

결론적으로, 젠지는 국내 리그에서나 국제 대회에서나 견줄 팀을 찾기 힘든 수준의 커리어를 쌓아올린 명문 팀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2024년에는 T1, EDG에 이어 리그, MSI, 월즈를 모두 우승한 세 번째 팀이라는 굵직한 기록까지 달성하며 위의 평가에 타당성이 있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해냈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MVP Samsung Galaxy 폐지[20]
HOT6 Champions Spring 2014 우승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Arrows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우승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SK telecom T1
IEM Season XI Gyeonggi 우승
Unicorns of Love Samsung Galaxy 폐지[21]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우승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Invictus Gamin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T1 Gen.G Hanwha Life Esports
2024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2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JDG Intel Esports Club Gen.G 미정
Esports World Cup 2025 우승
T1 Gen.G 미정
2025 LoL Champions Korea 우승
Hanwha Life Esports Gen.G 미정
준우승 경력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준우승
kt Rolster Bullets Samsung Galaxy Ozone NaJin White Shield
HOT6 Champions Summer 2014 준우승
NaJin White Shield Samsung Galaxy Blue GE Tige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KOO Tigers Samsung Galaxy SK telecom T1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 LCK[22] LCK[23]
2018 LoL KeSPA Cup 준우승
Longzhu Gaming Gen.G SANDBOX Gaming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Griffin Gen.G DRX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DRX Gen.G T1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T1 Gen.G T1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T1 Gen.G Hanwha Life Esports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준우승
대회 출범 Gen.G 미정
LCK 어워드 선정
2022 LCK 어워드 롤파크 가정의 평화상

4. 관련 기록

LoL e스포츠 관련
국제 대회 관련

국내 대회 관련*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통합 리그 초대 우승

기타 기록

5. 스폰서

파일:LG 울트라기어 로고 영문.svg파일:LG 울트라기어 로고 영문 화이트.svg 파일:몬스터 에너지 로고.svg 파일:Logitech G 로고.svg
LG 울트라기어 [[몬스터 에너지|MONSTER ENERGY]] logitech G
파일:데상트 로고.svg 파일:YOUR.GG 로고.svg 파일:GGA_LOGO_BLACK-5.png파일:젠지 글로벌 아카데미 로고 화이트.svg
데상트의류 YOUR.GG Gen.G Global Academy
파일:오뚜기심볼마크.png
오뚜기

6. 역사 및 역대 시즌

통합 이전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파일:Samsung white.png
Samsung Galaxy Blue Samsung Galaxy White
삼성 갤럭시 블루 삼성 갤럭시 화이트
통합 이후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300px-KSV_eSportslogo_square.png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Samsung Galaxy KSV Gen.G
삼성 갤럭시 케이에스브이 젠지




팀의 역사는 2012년 창단된 MVP 블루와 화이트에서 시작되는데 2013 스프링에서 MVP 오존이 당시 최강이라 평가받던 CJ 엔투스 블레이즈를 상대로 3연 제드를 앞세워 3:0 우승을 한 뒤 본격적으로 강팀 반열에 들어가기 시작했으며, 이후 삼성에 인수되었고 삼성 갤럭시 블루, 오존 - 화이트로 활동하며 삼성 갤럭시 블루가 2014 스프링 우승, 삼성 갤럭시 화이트가 2014년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허나 직후 엑소더스로 완전히 분해되고 새로 시작하게 된다.

새로 시작한 삼성 갤럭시는 2015 스프링 때 8위, 서머 때 7위로 하위권을 전전하나, 선수들의 성장과 백전노장 앰비션의 영입과 함께 2016 스프링 6위, 서머 4위로 순위가 올라오기 시작, 2년 연속 선발전을 통해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며 2016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2017년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2017 시즌이 끝나고 KSV Esports에 인수되며 2018 스프링엔 KSV Esports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하게 되었다.

스프링에선 5위를 기록하였고 이후 젠지로 리브랜딩 이후 서머에서도 5위를 기록하고, 그렇게 월즈 선발전에 1라운드부터 출발하나 삼성 시절의 선발전 포스 그대로 SKT, 그리핀, 킹존을 모두 꺾고 월즈에 진출하였지만 월즈 그룹 스테이지 1승 5패라는 굴욕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앰비션크라운, 코어장전이 나가고, 그 빈자리를 피넛과 연습생 라이프로 채웠지만, 운영 측면에서 나간 사람들의 빈자리가 제대로 드러나며 2019 스프링에서는 7위, 서머에는 6위를 기록하고 선발전에도 못 나가는 역대급 암흑기를 찍게 되었다.

2019 시즌이 끝나고 룰러를 3년 재계약, 라이프를 1년 재계약으로 붙잡고 나머지 멤버와 과감히 결별을 하며 라스칼, 클리드, 비디디를 영입하며 반지 원정대란 칭호까지 받을 정도로 많은 기대를 받으며 2020 시즌을 시작했으나 스프링 준우승, 서머 3위를 기록하며 리그 우승엔 실패했지만 그나마 선발전을 통해 월즈에 진출하지만 8강에서 G2에게 0:3으로 완패하며 반지 원정대란 칭호와 걸맞지 않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고 2021 시즌 역시 스프링 준우승, 서머 3위를 기록하며 작년과 똑같은 성적을 기록하며 월즈에선 작년보단 발전한 모습으로 우승권을 노려볼 정도로 평가받았으나 4강에서 우승팀 EDG에게 3:2로 패배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022 시즌에는 룰러를 제외한 모든 멤버들과 계약을 마무리한 뒤 피넛을 농심 레드포스와의 트레이드로 다시 데려오고 도란, 쵸비, 리헨즈를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하였고 스프링에선 T1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했으나 서머에선 T1에게 복수를 성공하며 2014 스프링 이후 8년만에 젠지라는 이름으로 첫 LCK 우승을 달성하며 리그 무관귀신을 떨쳐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월즈 8강 담원과의 혈전부터 징조가 보이더니 결국 상체의 기복이 터져 DRX의 미라클런에 휘말려 4강으로 시즌을 마무리하는데 그쳤다.

2023 시즌에는 삼성 시절부터 활약한 리빙 레전드 룰러징동으로 리헨즈KT로 떠난 빈 자리를 페이즈의 1군 승격, 딜라이트를 영입하며 시즌을 준비한다. 스프링 정규 시즌 내내 강팀 KT, T1에게 연전연패했지만 최종 결승 진출전, 결승전에서 KT, T1을 상대로 복수에 성공하며 2023 스프링 우승, 창단 첫 MSI 진출, 창단 첫 LCK 연속 우승, 2023 서머 우승을 달성하였다. 하지만 MSI와 월즈에서 BLG에게 완패를 당해 국제전 커리어를 올리지는 못했다.

2024 시즌에는 쵸비와 페이즈를 제외한 모든 멤버들을 떠나보냈으며 기인캐니언, 리헨즈를 영입하였으며, 새 감독으로 김정수 감독을 코치엔 마타, 헬퍼 코치를 영입하며 또 다른 슈퍼팀을 결성했다. 스프링 우승으로 LCK 최초의 4-Peat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MSI에서도 우승하며 젠지라는 팀명으로 첫 국제전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하지만 서머 결승전에서 한화생명에게 5꽉까지 가는 치열한 경기 끝의 패배로 펜타핏 달성에 실패하며 골든로드 도전에는 실패했다.

2025 시즌에는 마타 코치와 결별하고, 페이즈, 리헨즈를 떠나보냈다. 바텀 듀오로는 룰러의 복귀, 서포터로는 듀로를 영입했다. LCK 컵에서는 결승전에서 한화생명에게 5꽉 끝에 패배했으나, LCK에서는 18전 전승으로 레전드 그룹에 선착했다. 또한 MSI에서도 우승해 작년에 이어 2연속으로 MSI 트로피를 들어올렸으며 바로 다음주 EWC 트로피까지 독식해버리며 무적의 폼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시작된 LCK에서 너무 빡빡한 일정 때문인지 1패를 했지만, 남은 경기를 전부 이기면서 29승 1패. 1위로 마쳤다. 플레이오프에서는 KT에게 충격의 2:3 패배로 패자조로 떨어졌지만, T1를 3:2, KT를 3:0으로 이겨, 결승에서 한화생명을 3:1로 꺾어 2025년 LCK의 왕좌를 되찾았다.

7. 특징

  • 월즈 단골손님
    젠지는 MVP Ozone이 정식으로 창단된 2013년[60]부터 2025년까지, 엑소더스로 로스터가 터진 15년과 암흑기인 19년만 빼고 월즈를 전부 출석했으며 개중 14년에는 유일하게 형제팀이 출석했다는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T1보다도 더 많은 출전 횟수이기도 하다. 하지만 성적은 꾸준하지 못해서 우승부터 조별 리그 탈락까지[61] 나올 수 있는 모든 마감 기록을 달성하는 등 단골 손님이란 평과는 별개로 꾸준히 정상급 성적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 바텀 명가
    많은 세계적인 선수를 배출한 LCK의 바텀 명가로, 대표적인 선수들은 임프[62], 데프트[63], 룰러[64], 페이즈[65] 등이 있다. 월즈를 우승한 임프, 데프트, 룰러는 LCK와 LPL 양대 리그를 석권한 압도적인 원딜 계보이다. 2023 스프링 시즌에서는 젠지산 원딜인 룰러와 페이즈가 각각 LPL과 LCK에서 파엠과 우승을 싹쓸이 해가며 원딜 명가이자 바텀 명가인 것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 또한 이러한 걸출한 원딜과 이에 맞춘 팀 전략 등이 잘 갖춰져 있어, 펜타킬 달성을 굉장히 잘하는 팀이기도 하다. 실제로 LCK 최다 펜타킬 달성자인 룰러가 젠지에서 8번의 펜타킬을 기록했고, 후임 페이즈 역시 한 시즌에 세 번의 펜타킬을 달성했으며 팀 펜타킬 횟수가 무려 20회로 2위인 KT와 9개나 차이날 정도로 압도적인 펜타킬 빈도를 자랑한다. 또한 크라운의 펜타킬 2회, 쵸비의 펜타킬 1회를 제외하면 모든 LCK 경기에서의 펜타킬이 원딜 펜타킬이다.
  • 서포터 사관학교
    원딜만큼이나 뛰어난 서포터들을 배출하기로 유명하다. 형제팀 시절에서는 마타[66], 하트가, 단일팀에서도 레이스, 코어장전[67], 라이프, 리헨즈[68], 딜라이트 등이 있다. 젠지를 거쳐간 켈린과 2군에서부터 뛰였던 카엘 역시 피어엑스와 AL에서 활약 중이고, 25년에는 듀로가 영입되자마자 스플릿 1에서 잠깐 부진한 뒤로 세체폿 포스를 보여주며 MSI 우승과 리그 우승까지 달성하였다.
  • S급 정글
    뛰어난 바텀 라이너들의 역량을 더 크게 돋보이게 해 주는 것은 정글이다. 따라서 젠지는 직전 시즌 타 팀에서 우수한 기량을 보였던 정글러들을 대거 영입을 하는 데에선 돈을 아끼지 않는 편인데 영입한 정글러만 해도 댄디, 앰비션, 피넛, 클리드, 캐니언 등 초호화 네임밸류를 지닌 선수들이다.
  • 가성비 탑솔러
    이미 뛰어난 바텀 라이너들이 있기에 바텀에 지원을 몰아주기 위해서 탑라이너는 가성비형 탑솔러로 꾸렸다. 루퍼, 에이콘, 큐베, 라스칼, 도란이 바로 그러한데, 다른 팀들의 대표적인 탑솔러들인 마린, 스맵, 칸, 더샤이, 너구리 등의 공격적인 캐리형 탑솔러들과는 다른 궤도에 있다. 물론 이것도 다른 공격적인 선수들에 비해 그렇다는 거고, 14 루퍼는 공수가 다 되는 만능 탑솔, 16 큐베는 2023시즌까지도 깨지지 않은 전설의 17세트 17솔킬을 달성한 희대의 괴물 탑솔러였고, 라스칼 역시 시즌 최다 라인전 솔킬을 기록할 정도로 분전했다. 도란 역시 기복만 제외하면 최상위권의 기량을 보여주었다. 대놓고 고연봉의 캐리형 탑솔러를 영입한 것은 24시즌 기인이 첫 사례인데 기인 역시 젠지에 입단한 이후로는 크산테, 스카너, 우디르 등 무난하게 1인분이 가능하면서도 리스크가 적고, 공수 밸런스가 균형 있게 잡힌 챔프들을 선호하고 있다.
  • 선발전의 제왕
    선발전 전승을 자랑하는 팀으로[69] 나진-콩두-브리온, Dplus KIA와 함께 선발전의 황제로 평가받는다. 젠지가 시드 포인트도 못 얻고 탈락한 경우나 우승, 서킷 포인트 직행으로 인해 선발전 자체를 못가거나 안간 경우는 있어도, 선발전에서 탈락한 적은 없다. 이 압도적인 선발전 승률 덕분에 젠지는 LCK에서 월드 챔피언십 최다 진출 팀 기록이 있게 된 것이다.[70] 이는 14년 SKT와의 2-3위 결정전 때부터 유서깊은 팀 컬러로, 16년 아프리카-KT, 17년 아프리카-KT, 18년 SKT-그리핀-킹존, 20년 T1 모두 젠지의 벽에 가로막혀서 고배를 마셨다. 가장 큰 피해자는 16년 19:0 전적을 기록했지만 선발전에서 무참히 산산조각나버렸고, 17년에 슈퍼팀 꾸리고도 월즈에 못 간 KT.[71] 2021년부터는 선발전을 가지 않아도 월즈 2시드 이상의 호성적을 상시로 기록 중이고, 2024년을 마지막으로 선발전이 폐지되었기에 선발전의 젠지 역시 옛 말이 되었었다. 그러다 2025년부터는 월즈 선발전[72] 대신 MSI 선발전이 신설되면서 다시 한 번 선발전 전승 기록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는데, 과연 선발전의 악마답게 2대0으로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도 제카의 5세트 9연승, 한화생명의 다전제 6연승 기록을 모조리 끊어내고 리버스 스윕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2020년대 LCK의 패왕
    2010년대의 LCK를 SKT가 지배한 것처럼[73] 사실상 2020년대의 LCK는 젠지가 지배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만큼 압도적인 성적을 자랑하고 있다.[74] 쵸비가 합류한 2022년부터 무려 7연속 결승전에 진출하는 최강팀의 지위에 올랐으며 이는 LCK 최다 기록이기도 하다. 더 놀라운 점은 2022 스프링부터 2025 시즌까지 7번의 정규시즌동안 치른 138경기에서 124승 14패 승률 89.8%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 기간, 젠지에게 정규시즌 패배를 안긴 팀은 T1, KT, 광동[75], 브리온 단 4팀에 불과하며 그마저도 상대전적에서 밀리고 있을 정도로 LCK 내에서 젠지는 비교대상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2020년대 들어서 LCK 우승을 차지한 나머지 세 팀의 우승횟수를 모두 합쳐야[76] 젠지 단 한 팀의 우승횟수를 간신히 넘길만큼 압도적인 지배력을 과시하고 있으며 LCK 정규리그와는 구분되지만 2025 LCK CUP도 준우승을 기록, 2022년부터 라이엇 주관 모든 국내대회 결승을 진출하는 등 2020년대 LCK의 새로운 지평을 연 팀으로 평가받고 있다.
  • 중국 팀 상대 열세에서 극복으로
    삼갤 시절에는 대 중국팀 상성이 좋았으나[77], 공교롭게도 젠지 리브랜딩 이후 LPL과 상성이 매우 좋지 못했다. 20년에는 TES에게 0:3 패배, 21년에는 EDG에게 2:3 패배, 23년에는 BLG에게 MSI에서는 0:3, 월즈에서는 2:3으로 졌다. 그나마 단판제로 가면 상황이 나았는데 RNG전 2승 3패, JDG전 1승, IG전 1승, LGD전 2승, LNG전 1승 1패로 그놈의 18젠지를 포함해도 7승 4패이다. 다만 징동전, 18 RNG전 빼고 다 젠지가 정배였을 때 얻은 결과였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 젠지 리브랜딩 이후 월즈에서 내전을 제외한 다전제[78]에서 1승 3패[79], MSC, MSI까지 포함하면 매치 3승 5패[80]이지만, 그나마도 LEC, LCS 상대로만 승리하였을 뿐, 후술할 TES전이 있기 전까지는 대 LPL전 다전제 전패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코리안 매드라이온즈[81], 젠지 타이거즈, LPL 5시드 같은 부정적 별명이 붙었다.
하지만 2024 MSI 브래킷 스테이지 상위권 2라운드에서 LPL의 TES를 상대로 3:2로 승리하면서 삼성 갤럭시 시절 2017 월즈 4강 이후 2,386일 만에 LPL 상대 다전제를 처음으로 승리하는데 성공하면서 드디어 LPL 상대 다전제 전패의 잔혹사를 끊어내는데 성공. 그 후 승자조 결승에서 BLG를 3:1로 꺾고, BLG와 다시 만난 결승에서 똑같이 3:1로 승리하면서 MSI 우승을 차지해 상성을 극복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5 MSI에서도 LPL 1시드 AL을 3:2로 꺾고 이후 EWC 결승에서도 AL과의 리턴매치에서 3:2로 승리하면서 이젠 LPL 상대 약팀이라는 오명도 옛말이 되었다.[82]
  • 월즈의 SSG / 내수규격 젠지 / 월즈의 젠지
    삼성 갤럭시 시절엔 LCK 우승 기록이 고작 1번인데다가[83] 2014년 이후론 준우승도 하지 못할 정도였으나 국제전에서는 LCK에서 뛰던 그 팀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의 실력을 보여주어 T1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월즈 결승 3회 진출, 우승 2회라는 대기록을 가지고 있다. 젠지 리브랜딩 이후에는 LCK 최초로 3연 우승 기록을 세운 T1을 4번 연속으로 꺾어 LCK 유일의 4연속 우승 팀이라는 대기록을 세워 LCK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으나 국제전, 특히 결정적인 경기에서는 LCK에서 뛰던 그 팀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의 실력을 보여주는데 18년 이후로 한 번도 결승에 가지 못 하고 있으며[84] 2023년에는 럼자오자레라는 충격적인 참패와, 다데상 2년 연속 노미네이트[85]를 기록하는 정반대의 행적을 보여주고 있다.

    24년에는 MSI에서 TES를 3:2, BLG를 3:1, 3:1로 승리하며 LPL전 전승의 기록을 추가하며 7년간 그 어떤 팀도 이루지 못한 LCK의 MSI 우승을 탈환하면서 내수용 팀이라는 저평가를 지워나가는 중었으나, MSI와 동일한 팀들을 다시 불러 개최한 사우디컵 8강에서 TES에게 2:0 패배를 당하고, 24 월즈에서 상성으로 군림하던 T1에게 3:1로 패배하며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점을 시사했었다. 그러나 2025년 MSI에서는 국제전의 T1을 2번이나 3:2로 꺾고 전승 우승, 이어진 EWC에서도 전승 우승을 차지하며 이제는 빈말으로라도 내수규격이라고 할 수 없어지게 됐다.[86] 여지껏 LCK가 힘을 못썼던 MSI에서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덕분에 국제전 약체의 이미지는 말끔히 벗어던졌고 이제 남은 것은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중에서도 최고의 권위를 갖는 월즈의 약체라는 오명을 씻어내는 것 밖에 남지 않았다.
  • 발밴픽
    21년 주영달과의 계약 종료 이후[87] LCK 내에서는 발밴픽을 한 적이 손에 꼽혔으나, 중요한 경기에서 럼자오자레EWC TES전 2세트의 발밴픽을 유난히 많이 선보였다. 발밴픽은 커녕 조커카드가 제대로 적중했었던 MSI의 경우 매치 패배 없이 우승까지 달려나갔기에 월즈에서의 새가슴 성질과 함께 중요할 때 터지는 오만한 밴픽 역시 수정해야 할 사항이다.[88]
  • 건설회사&노가다단
    2025 시즌을 계기로 생겨난 새로운 별명이자 2025 젠지를 설명할 수 있는 젠지의 확립된 플레이 스타일. 라이벌 관계인 T1이 특유의 크랙 플레이로 명성을 떨치는 서커스단이란 별명이 있듯 젠지는 2025년 시즌이 시작된 이래로 체급과 무력을 키워간 끝에 자신들에게 부족했던 크랙 플레이를 뒷받침해줄 팀의 내실과 기반을 키우는 것을 중점으로 성장했고 이로 인해 체급과 무력을 성장시키며 리그권들을 제패해가는 것을 성공하게 된다. 이러한 플레이를 본 젠지의 팬들과 시청자들은 마치 건설회사 내지 노가다를 하는 일꾼의 공사를 보는 것과 같다고 하여 T1의 서커스단과 매치되는 '건설회사' 혹은 '노가다단'이라는 별명을 붙여주게 되었고 이로 인해 내실을 다지면서 게임을 이끌어가는 것을 기초 공사를 하는 것에 대입하면서 젠지도 본인들의 팀 컬러에 걸맞는 별명이자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89]
  • 스노우볼링 경찰
    "오늘 딱 요약이 가능해. T1이 "야, 굴릴게."하고 젠지가 스노우볼 경찰이 딱 보고 있다가 실수 안해. 그러면은 "OK, 패스. 지나가세요. 잘하셨네. 잘한다 너네가." 가만히 보고 있다가 있다가 또 T1이 "굴릴게." 하는데 젠지 스노우볼링 경찰이 보고 있다가 실수를 했어. 그럼 죽을 때까지 패는거야. "이새끼들이 실수를 해?! 라인전 조합으로 실수를 해?!" 개패는거야.



    강퀴, 2025 LCK 4라운드 T1전 中 22분부터

    2025년 LCK 4라운드에서 3라운드 T1과의 홈그라운드 매치에서의 패배를 설욕한 경기를 본 강퀴가 표현하며 생겨난 별명이자 특징. 강퀴의 설명에 의하면 T1과 같은 강팀이 스노우볼링을 굴린다고 신호를 보내며 굴릴 때 이를 지켜보다 실수를 안하면 그냥 보내주지만 실수를 하는 순간 스노우볼링을 굴리는 도둑을 죽을 때까지 패버리는 경찰과 같다며 해당 경기를 요약해냈다. 이때 젠지를 경찰로 표현한 것이 2024년에 김대호 감독이 T1 전을 앞두고 T1을 설명할 때 나온 인권침해를 하는 폭력적인 팀이라는 C언어와 맞물리면서 인권침해 깡패팀이라는 밈이자 특징을 지닌 T1과의 라이벌리와 맞물리면서 인권침해를 하는 T1을 탄압하는 경찰 포지션을 맞게 되는 그림이 만들어지는지라 강퀴의 찰떡같은 표현과 맞물려 T1의 인권침해를 막는 유일한 경찰 포지션이란 특징이 자리잡리게 되었다.

8.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성적 및 전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구성원

10.1. 로스터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로스터 연혁 ||
<rowcolor=#000,#000>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CuVee 이성진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N/A 2014년 11월 8일 2019년 12월 19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Eve 서준철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2015년 12월 1일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600px-Apexsquare.png Apex Gaming
BlisS 박종원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2015년 12월 11일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600px-Apexsquare.png Apex Gaming 코치
Raven 김애준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Jin_Air_Green_Wings_Falconslogo_square.png Jin Air Greenwings Falcons 2015년 12월 1일 파일:Team WE old.png Team WE
Fury 이진용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파일:Prime_logo.png Prime Optimus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ongzhu Gaming
Wraith 권지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attachment/Sktt1_k.png SK telecom T1 K 2017년 11월 27일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svg Jin Air Greenwings
Ace 김지훈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N/A 2014년 11월 28일 2015년 12월 1일 파일:1280px-Virtuoso_Gaminglogo_square.png Virtuoso Gaming
Crown 이민호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Hyper 2015년 5월 18일 2018년 11월 16일 파일:600px-OpTic_Gaming.png OpTic Gaming
Luna 장경호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Winners_Logo.png Winners 2015년 12월 1일 Discharge OW
Ambition 강찬용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Entus 2015년 11월 30일 2018년 11월 16일 파일:Gen.G 로고.svg Gen.G 스트리머
Helper 권영재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2015년 12월 1일 2016년 11월 30일 파일:300px-Ever8_Winners.png Ever8 Winners
Stitch 이승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파일:Midnight_Sun_Esportslogo_square.png Midnight Sun Esports 2017년 11월 28일 파일:G-Rex.png G-Rex
CoreJJ 조용인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90]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Dignitas.png Team Dignitas 2018년 11월 17일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 Team Liquid
Ruler 박재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Stardust.png StarDust 2016년 5월 7일 2022년 11월 10일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2024년 11월 20일
Haru 강민승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Entus 2016년 12월 19일 2018년 11월 17일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Mong 문창민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bpz.png BPZ 2018년 5월 18일 파일:external/www.apkprince.com/20161026_1477472866.png APK Prince
Fly 송용준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FlyQuest_only_logo.png FlyQuest 2019년 11월 18일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svg Afreeca Freecs
Life 김정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N/A 2018년 6월 8일 2021년 11월 23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Peanut 한왕호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Kingzone only logo.png KING-ZONE DragonX 2018년 11월 24일 2019년 11월 18일 파일:LGD2017.png LGD Gamin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2021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21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Roach 김강희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external/s20.postimg.org/kongdoobig.png KONGDOO MONSTER 2018년 12월 4일 2019년 11월 18일 파일:T1 로고.svg T1
SeongHwan 윤성환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Beşiktaş_Esportslogo_square.png Beşiktaş 2019년 4월 19일 파일:600px-PaiN_Gaminglogo_square.png paiN Gaming
Kuzan 이성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300px-ES_Sharkslogo_square.png ES Sharks 2019년 5월 20일 파일:Team_Dynamics_onlylogo.png Team Dynamics
Rich 이재원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Gen.G 로고.svg Gen.G HOS 2019년 5월 29일 파일:Team_Dynamics_onlylogo.png Team Dynamics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Asper 김태기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파일:Spear.png SPEAR Gaming
Rascal 김광희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agonX 2019년 11월 20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Clid 김태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2021년 11월 19일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oenix
Bdd 곽보성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Rolster 2021년 11월 23일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Kellin 김형규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svg Jin Air Greenwings 2019년 12월 10일 2020년 11월 17일 파일:Team_Dynamics_onlylogo.png Team Dynamics
Flawless 성연준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설해원 Prince 한글.png SeolHaeOne Prince 2020년 11월 30일 2021년 7월 19일 파일:Gen.G 로고.svg GEN Challengers
Karis 김홍조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Gen.G 로고.svg Gen.G Academy
Burdol 노태윤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T1 로고.svg T1 Rookies 2021년 1월 6일 2021년 12월 1일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YoungJae 고영재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Gen.G 로고.svg GEN Challengers 2021년 7월 19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Gen.G 로고.svg Gen.G
파일:Gen.G 로고.svg Gen.G 2021년 12월 20일 2022년 11월 22일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Doran 최현준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2021년 11월 23일 2023년 11월 21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Chovy 정지훈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2021년 11월 24일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2023년 11월 29일
Lehends 손시우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svg Afreeca Freecs 2021년 11월 24일 2022년 11월 22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2023년 11월 29일 2024년 11월 19일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Peyz 김수환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 Challengers 2022년 11월 23일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Delight 유환중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Fredit BRION 2023년 11월 21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Museong 김무성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코치 2023년 5월 25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코치
Kiin 김기인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2023년 11월 29일
Canyon 김건부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Dplus KIA 로고.svg Dplus KIA
Mata 조세형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코치 2024년 2월 21일 2024년 11월 19일 파일:T1 로고.svg T1 코치
Duro 주민규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FearX 로고 옐로우.svg BNK FearX 2024년 11월 20일

10.2. 스태프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스태프 연혁 ||
<rowcolor=#000,#000>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Choi 최윤상 감독 파일:MVP(프로게임단) 로고.svg MVP 총감독 2013년 9월 6일 2014년 11월 17일 파일:2144_Gaminglogo_square.png 2144 Gaming
BanBazi 최명원 코치 파일:MVP(프로게임단) 로고.svg MVP 파일:Qiao_Gu_Reaperslogo_square.png Qiao Gu Reapers
Edgar 최우범 감독[91] 파일:Samsung_Galaxy.png Samsung Galaxy KHAN
SC
2020년 5월 15일 파일:HyFresh_Blade.png hyFresh BLADE
Homme 윤성영 코치 파일:Samsung white.png Samsung Galaxy White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2014년 2월 5일 2014년 11월 17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Horang2 이경민 코치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Entus SC 프로게이머 2015년 1월 9일 2015년 12월 1일 은퇴
KIM 김정수 코치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Oh_My_Dreamlogo_square.png Oh My Dream 2015년 12월 1일 2016년 11월 30일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Dignitas.png Team Dignitas
감독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2023년 11월 29일 2024년 11월 19일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2024년 11월 22일 2025년 11월 18일
oDin 주영달 감독[92] 파일:Samsung_Galaxy.png Samsung Galaxy KHAN
SC
2016년 9월 7일 2021년 11월 9일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사무국장
TrAce 여창동 코치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svg Jin Air Greenwings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2016년 12월 2일 2020년 11월 11일 N/A
Helper 권영재 코치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Team BlossoM
OW
2019년 5월 31일 2019년 12월 5일 파일:Suninglogo_square.png Suning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PSG Talon 감독 2023년 11월 29일 2024년 11월 19일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2024년 11월 22일 2025년 11월 18일
Tom 임재현 코치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Newbee_Young.png Newbee Young 2019년 12월 20일 2020년 11월 11일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PSG Talon
Lyn 김다빈 코치 파일:Gen.G 로고.svg Gen.G Academy 2020년 11월 17일 2021년 11월 18일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oenix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분석 2024년 12월 1일 2025년 11월 18일
Ggoong 유병준 코치 파일:TES 로고 2019.svg Top Esports 2020년 11월 30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TES 로고 2019.svg Top Esports
Score 고동빈 감독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Rolst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JGL
2021년 11월 25일 2023년 11월 21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Mafa 원상연 코치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감독
Museong 김무성 코치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2023년 5월 25일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J 이장희 분석 파일:SANDBOX Gaming 로고.svg SANDBOX Gaming 통역 2022년 6월 3일 2022년 11월 29일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Mata 조세형 코치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감독 2023년 11월 29일 2024년 2월 21일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SPT
Ryu 유상욱 감독 파일:BNK FEARX 로고.svg BNK FEARX 2025년 11월 18일

10.3. 영구 결번

젠지는 e스포츠 팀 중에서는 드물게 영구결번을 지정한다.[93] 젠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종목 중 LoL 팀은 2022년 11월 첫 영구결번을 지정하였으며, 그 후로 젠지 LoL 팬덤에서도 종종 영구결번에 대해 언급되고 있다. 현재는 삼성-젠지를 이어온 룰러(1)가 유일한 영구결번이며, 향후 예상으로 리브랜딩 이후 모든 우승을 함께한 쵸비(3)가 강력한 후보이다.[94][95] 그 외에는 언급이 잘 없는 편이지만, 삼성시절 프랜차이즈 스타였고 현재까지도 젠지에 소속된 큐베가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이나, 젠지가 그간 보여온 삼성과의 연결성에 대한 행보나 이미 은퇴한지 오래인 선수를 영구결번 지정하는 사례가 드물기도 하고 무엇보다 큐베의 3번은 영구결번이 유력한 쵸비가 사용중이라 번호를 바꾸지 않는 한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10.3.1. No.1 Rul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재혁(1998)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재혁(1998)#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재혁(199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파일:룰러 msi 그때 그 포즈.jpg
Gen.G No.1
Ruler
박재혁 | Park Jae-hyeok
<colbgcolor=#aa8a00,#aa8a00><colcolor=#000,#000> 프로입단 2016 CK 스프링2016 LCK 서머
역대 프로 소속팀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Stardust.png StarDust
(2016.01~2016.05 / CK)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Samsung Galaxy-Gen.G[96]
(2016.05~2022.11, 2024.11~2027.11예정 / LCK)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Esports
(2022.12~2024.10 / LPL)
영구 결번 지정 2022.11.10
국제전 주요 경력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1회 우승, 1회 준우승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휘장.svg파일:Mid-Season Invitational 휘장 화이트.svg 2회 우승
파일:Esports_World_Cup_icon.png파일:Esports_World_Cup_icon_darkmode.png 1회 우승
파일:Intel_Extreme_Masters_2022.png파일:Intel_Extreme_Masters_2022_darkmode.png 1회 우승
리그 주요 경력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2회 우승, 3회 준우승
파일:LPL 로고.svg 2회 우승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1회 준우승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아시안게임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아시안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Worlds FINALS MVP 1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MVP 1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Finals MVP 1회
파일:LPL 로고.svg LPL Finals MVP 1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ALL-LCK 1st Team 4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ALL-LCK 2nd Team 2회
파일:LPL 로고.svg LPL All-Pro 1st Team 2회
파일:LPL 로고.svg LPL All-Pro 2nd Team 1회
파일:LPL 로고.svg LPL All-Pro 3rd Team 1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Player of the Split 1회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 올해의 바텀 라이너 2회
파일:LPL 로고.svg 올해의 바텀 라이너 1회
파일:LPL 로고.svg 올해의 베스트 외국인 선수 1회

11. 게임단 산하

11.1. Gen.G Global Academ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G Global Academy/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Global Academy/리그 오브 레전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Global Academy/리그 오브 레전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Gen.G Scholars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젠지 스콜라스
Gen.G Scholars
창단 2019년
소속 리그 LCK AS
팀명 Gen.G Academy(2019.3~2023.3)
Gen.G Scholars(2023.3~)
모기업 ㈜케이에스브이이스포츠코리아
코치 강성준
Jerry
|[[서형권|서형권
Moon
]]
약칭 GEN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우승 기록
LCK AS
(3회)
2021 5월, 2021 8월, 2023 7월
LRI
(1회)
2020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파일:TOP_icon_gen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종석
Zealot
파일:JGL_icon_gen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혁수|황혁수
Zephyr
]]
파일:MID_icon_gen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우
Loid
파일:ADC_icon_gen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
Harusary
파일:SUP_icon_gen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민
Lumos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경력
2020 Logitech G Rookie Invitational 우승
대회 출범 GEN Academy 폐지
2021 LCK Academy Series 5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Fox B GEN Academy 범사마 팬클럽
2021 LCK Academy Series 8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T1 Rookies GEN Academy AF Youth
2023 LCK Academy Series 7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HLE Academy GEN Scholars KT Academy

젠지 e스포츠의 연습생으로 구성된 세미프로 팀이다.

LRI에서 젠지 아카데미가 T1 아카데미를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7월 31일, 기존 온라인 연습생이던 Quid, Peyz, 광주 KeG 우승러 ToongE, Lospa 등 유망주들을 정식으로 콜업했다. 이로 인해 최상위권인 스크림 성적을 더욱 향상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

2020 LAS 8월 오픈 토너먼트에선 팀원의 건강 문제로 인해 불참 선언을 했다.

12. 팬덤

엑소더스 이후로 팀이 공중분해가 된 이후에도 꿋꿋히 자리를 지킨 MVP - 삼성 형제팀 팬덤, 2016 시즌에 삼성에 오게 된 앰비션과 2017 시즌에 영입된 하루를 따라 온 일부 구 CJ 팬덤, 월즈 준우승 및 LCK 4연속 우승으로 새롭게 유입된 팬덤, 2022년 전 그리핀의 맴버였던 도란-쵸비-리헨즈의 영입으로 유입된 그리핀 팬덤, 2024년 기인-캐니언의 영입으로 일부 기인 개인 팬들과 광동 팬들, 디플러스 기아와 캐니언 개인 팬들, 2025년 듀로의 영입으로 일부 피어엑스 팬들을 한데 모은 것이 현재 젠지의 팬덤이다.

예전에는 전통적으로 타팀들에 비해 팬덤이 약하다는 이미지가 있었지만 그때도 중하위권 팀들에게 밀리는 수준은 절대 아니였고, 22년 이후로는 슈퍼스타들의 영입으로 타 팀 팬덤의 유입도 늘어나고 리그에서 최소 준우승 내지는 우승이라는 호성적을 내면서 신규 팬덤 유입이 많아져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팬덤 크기가 커졌다. 동시에 경쟁팀이였던 디플러스 기아는 강팀판독기로 전략해버린 탓에 기존 팬덤이 상당히 위축되어버렸기 때문에 현재는 티원 다음가는 팬덤으로 자리매김했다. 덕분에 수원컨벤션센터에서 홈그라운드 경기를 치뤘을때는 정규시즌임에도 불구하고 5천석 규모의 경기장이 매진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LCK 역사상 삼성-젠지보다 인기가 많았던 팀으로는 나진, 아주부-CJ, KOO-ROX, KT, 롱주-킹존 등이 있었지만, KT를 제외하고는 모기업이 여러 차례 바뀌며 인기가 줄어들거나 아예 팀이 해체되었다. 삼성-젠지 역시 공중분해를 여러번 겪었지만, 엑소더스를 제외하면 나름대로 혼란을 잘 수습한 편이며[97] 역사가 긴 만큼 선수 팬들에 비해 팀 자체를 응원하는 팬들이 대부분이라 내부 분탕이 일어나는 일이 적은건 좋은 점. 당장 굿즈 판매 시 유니폼이 빠르게 품절되거나 현장 경기에서 관중석이 꽉 차는걸 보면 헤비 팬들의 비중이 높다. 또한 젠지 구단에서 오버워치(서울, 젠지), 배틀그라운드 등 타 종목 팀도 운영하고 이 팀들은 각 종목에서 인기가 상당히 좋아 타 종목 형제 팀에서 들어오는 유입도 꽤나 많은 편이다.

12.1. ~ 2021 시즌

젠지의 팬덤은 LCK의 다른 강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를 자랑한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더샤이가 유튜브 채널을 만든 뒤 1주일 만에 젠지 공식 유튜브의 구독자 수를 뛰어넘었다.[98] 페이스북 페이지의 댓글 수나 유튜브 조회수도 같은 월즈 우승 기록이 있는 T1과 담원보다도 밀린다. 물론 영상 업로드가 저 둘과 작년 DRX처럼 자주 올라오는 편은 아니긴 하다. 그래서 다른 팀들처럼 팬들과의 소통이 활발히 이뤄지면 좋겠다고 바라는 팬들도 있다.

사실 젠지는 롤판에서 손에 꼽힐 만한 명문 팀이라 할 수 있다. MVP - 삼성 시절부터 내려오는 역사에서 나오는 근본력, 전 세계에서 단 두 팀밖에 없는 월즈 2회 우승 달성 팀[99]으로 성적도 딸리지 않는다. 임프, 폰, 댄디, 데프트, 마타, 루퍼, 다데, 큐베, 앰비션, 크라운, 룰러, 코어장전, 라이프 등 실력과 스타성을 두루 갖춘 좋은 선수들도 다수 배출하거나 거쳐갔으며, 팀이 완전히 공중분해가 된 이후에도 2015 시즌을 제외하면 꾸준히 중상위권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오히려 기존 선수들이 모두 떠나고 이름만 빌려와 재창단한 수준으로 팀이 박살났음에도, 새로 입단한 선수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월즈 트로피를 다시 가져오는 데까지 성공하면서 명가를 재건했다는 서사성 면에서도 꿀릴 게 없다. 게다가 팀이나 선수들 개인의 사건 사고나 논란도 팀의 덩치에 비해 적은 편.

그럼에도 팬덤이 소규모인 이유는 바로 개미털기. 월즈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팬들의 기대가 모이면 스프링에서 꼭 부진하면서 소위 말하는 "강팀충"들을 늘 내쳐버리며 골수팬들만 남는 게 반복이 되어버려 소규모 팬덤이 되어버렸다. 거기에 젠지 특유의 기대퍼 성향 때문에 인기가 올라가면 성적이 내려가는 현상이 매번 발생해버려 "팬 되기 난이도 높은 팀"이 되어버렸다. 당장 2020년 이후만 봐도 들쑥날쑥하는 성향이 강한데,
  • "반지 원정대"라고 불리는 준슈퍼팀급 로스터를 짜면서 강팀 반열에 들었지만 스프링 결승전에서 0:3 패배
  • MSC에서 LCK 팀들 중 유일하게 4강에 올라가면서 기대를 받자마자 0:3 패배
  • 서머 때는 기대를 안하던 룰러의 폼이 수직 상승하면서 3강 체제에 들었지만 플옵에서 DRX에게 패배
  • 다시 선발전에서 T1을 3:0으로 꺾고 월즈에 진출
  • 그룹 스테이지 초반에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대를 받자마자 프나틱에게 패배, TSM과 자강두천
  • 그러다가 기대를 안 하니 또 프나틱을 쉽게 제압하면서 그룹 스테이지 1위로 8강 진출
  • 하지만 이어지는 8강전에서는 프나틱을 잡은 모습은 어디가고 작년보다 약해진 G2를 상대로 0:3 셧아웃
  • 2021 스프링에서 당시 정규시즌 10위인 리브 샌드박스한테 0:2로 패배하고 정규시즌 1위인 담원 기아를 상대로 2:1로 승리
  • PO 2라운드에서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T1의 승리를 점쳤지만 역으로 3:0 셧아웃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그렇게 기대를 받으며 결승에 올라가자마자 담원에게 0:3 완패
  • 2021 서머 정규시즌 1라운드에서 단독 1위를 질주하다가 담원/T1에게 0:2로 패배. 이후 2라운드를 3승 4패를 하며 정규시즌 5위까지 추락
  • 마지막 2경기 브리온 - 농심을 모두 승리. 기적적으로 정규시즌 2위로 PO 2R 직행
  • 그러나 다시 만난 T1에게 1:3으로 리벤지를 당하면서, 2년 연속 무관 기록
  • 2시드지만 4시드인 한화생명에게까지 관심도가 밀리며 월즈 진출,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2승 1패 그러나 2라운드에서 귀신같이 1승 2패를 찍고 역대급 4자 동률 달성.
  • 최악의 경기력에 기대가 사라지자 순위 결정전 2연승, 조 1위로 8강 진출. 이후 8강에서 C9 상대로 3:0 완승.
  • 그러나 4강에서 EDG 상대로 처참한 밴픽과 답답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2:3 패배. 결승전 한국 내전 무산.
파일:젠지의역사2.png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우승부터 2020년 스토브리그까지의 족적
젠지표 기대퍼팀 개미털기의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다시피 정신이 어질어질해진다.

구 삼성 시절에는 SKT 팬덤과 라이벌리가 있었고 이후 엑소더스 사건 이후로 삼성 팬덤이 공중분해되며 순수 열혈팬들만 남게 된 탓에 팀이든 팬이든 어디서 딱히 어그로를 끌만한 일이 별로 없다보니 다른 팬덤과는 사이가 원만한 편이다.

반지원정대 시절까지 가장 우호적인 팬덤은 농심이었다. 리치가 과거 히오스 팀 에이스였고[100] 피넛과 켈린, 다이나믹스 시절까지 포함하면 쿠잔도 한 시즌씩 뛴 적이 있기 때문. 현재 농심의 주전이었던 많은 선수들이 젠지를 거쳐갔었다. 그래서 젠지 내에서는 농심을 가르켜 '반지원정대 원정대' '젠지 원정대' '안티젠지' '젠지주식회사 농심 지부' 등의 별명을 붙여주고는 하는데 농심 팬덤도 재밌게 받아들이는 편이라 서로간 별 문제는 생기지 않았다.

삼성부터 젠지까지 감독을 맡았었던 최우범 감독이 있는 프레딧 브리온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편이다. 특히 프레딧 브리온은 젠지 레전드인 큐베가 최우범 감독과의 인연으로 로스터 영입 당시 미드에 라바를 추천해주었고 프레딧 브리온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트위치 내에서 유일하게 응원방을 자처하고 있기도 하다.

담원 팬덤과도 사이가 굉장히 좋다. 담원의 역사가 짧은 만큼 딱히 게임 외적인 부분에서 부딪힐 부분이 마땅히 없었고 인게임 내에서는 두 팀이 워낙 꿀잼경기를 많이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2021 스프링 결승 때도 담원과 서로 팀 마이너 갤러리와 갤주를 바꿔서 노는 등 훈훈한 관계이다.

하지만 T1의 팬덤과는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다. T1과 젠지는 엑소더스 사건 이후로도 여전히 중요한 경기마다 나타나 서로 발목을 붙잡고 늘어진 전통의 라이벌이었기 때문인데, 일례로 두 팀은 2016, 2017년 2년 연속 월즈 결승에서 만나 사이좋게 1승 1패씩을 나눠가졌다. 한 리그에서도 2번 연속으로 같은 결승전 매치업이 나오기 쉽지 않고, 나왔다 하면 서로를 라이벌 취급하기 십상인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무대인 월즈에서 리벤지 매치를 치렀으니 의식이 강하게 될 수밖에 없다.

또 그 과정에서 2016년 최병훈의 스크림 발언이나 2017년 SKT 팬인 소풍왔니의 중국 팀 발언 때문에 상당히 곤혹을 치렀고, 역시 2017년 삼성의 월즈 우승을 거머쥐면서 T1 팬덤에서는 삼성이 T1의 트리플 크라운 기록에 발목을 잡았다고 여겼는데, 당시 여론이 상당히 과격해졌고 그 과정에서 SKT 팬덤이 삼성 갤럭시 우승을 펌하하였다는 주장이 강세가 되면서 삼성의 미드라이너 크라운의 커리어를 망가뜨린 주범이 T1의 악질 팬덤이었던 탓에 올드비 젠지 팬들 중에 T1의 팬덤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 게다가 이런 역사 때문에 두 팀의 경기가 열렸다 하면 빅매치를 보러 온 타 팀 팬들과 어그로들까지 섞여서 채팅방이 시장통이 되어버리기 일쑤.

한화생명의 경우 쵸비가 DRX 시절부터 젠지를 상대로 워낙 파괴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다보니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았으나 2021 서머에 젠지, 담원, 한화생명이 서로에게 의도치 않은 도움을 주며 팬덤간 사이가 좋아졌다.[101]

2019년 12월에 루리웹과 협약을 맺어서 커뮤니티 페이지를 개설했다. 그런데 하필 루리웹과 협약을 맺는 바람에 팬덤에도 루리웹 이용자들의 멸칭인 근첩이 붙어서 젠첩이라는 별명이 붙어버렸다. 루리웹을 혐오하는 디씨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

12.2. 2022 시즌 ~

2021년 스토브리그에서 개인 팬덤이 상당한 도란, 피넛, 쵸비를 영입하고, 리헨즈까지 영입해서 와해됐던 그리핀 팬덤도 끌어오고, 감독으로 KT의 레전드였던 스코어를 선임한 만큼 이번 시즌엔 팬덤의 크기가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KT[102], 리브 샌박[103], 한화생명[104]에 젠지의 유망주였거나 젠지 출신 선수들이 많이 이적해서 팬덤사이도 나름대로 가까워질 듯하다.

그리고 2022 서머 기준으로 스프링과 완전히 달라진 파괴적인 경기력으로 1라운드 1패만을 적립하고 정규 시즌 1위를 거머쥔데다, 플레이오프와 결승전에서도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상대를 묵사발내며 그동안 젠지가 그토록 바랬던 삼성 인수 이후 첫 리그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게 되었다. 2014년 삼성 형제팀 시절 이후 무려 8년만에 이룬 리그 우승이다.[105] 그로 인해 22년도 공격적인 영입으로 크게 증가했던 팬덤 규모가 그에 걸맞은 성적으로 더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규모가 늘어난 만큼 당연한 부작용이겠지만 악성 팬덤과 악성 팬덤을 연기하는 가면들도 조금씩 등장하고 있고, 워낙 여러 곳에서 모인 팬덤인 만큼 내부 분쟁도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내부 갈등 사례로 도파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다. 22젠지의 팬덤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 그리핀에서 넘어온 팬덤들은 적지 않은 수가 당시 선수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준 도파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인 반면, 그리핀과 관계없이 젠지 팬덤이 된 측에서는 무관심하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도파는 대리 행위로 대표되는 과거 행적을 비롯한 여러 구설수로 인해 필연적으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인물이기 때문에 젠지의 팬덤이 모인 커뮤니티 내에서 젠지에 대한 도파의 반응을 퍼오는 것을 넘어 아예 일부가 도파에 대한 강한 호의를 선보이면, 그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도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입장 차이로 인한 갈등이 종종 일어나기도 했다.

그리고 기대퍼팀의 면모를 끝내 벗어나지 못하고 DRX에게 4강에서 격파당한 바람에 그나마 커졌던 팬덤도 다시 줄어들 판이다(...) 서머에서 우승하며 기대를 받던 팀이 최악의 졸전을 벌이며 월즈 4강에서 탈락하는 모습을 선보여 젠지 팀 특유의 개미털기가 다시 발동했다는 평가를 받는 상황이다.

애초에 젠지의 팀 컬러 자체가 눕롤과 룰러엔딩이라는 노잼지 메타, 그리고 우틀않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플레이스타일과 피넛, 앰비션을 빼면 스타성이 돋보이는 선수가 별로 없었기에 LCK 내에서의 성적에 비해 팬덤이 약할 수 밖에 없었다. 오랜 세월동안 이어진 무관의 역사는 그를 더욱 입증해버렸음은 물론이었다.

그러나 22시즌 그리핀 팬덤으로 대표되는 도란-쵸비-리헨즈의 영입, 정글의 슈퍼스타인 피넛의 영입으로 팀플레이가 화끈하게 바뀌면서 노잼지라는 오명을 씻어낼 수 있었고, 급기야 서머 우승까지 쟁취하면서 팬덤이 급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마침 전세계 최고의 인기구단인 T1이 MSI, 서머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일부 유동팬덤이 월즈 유력한 우승후보였던 젠지에게 넘어오며 DRX, 담원, KT등 기존의 인기구단과의 차이를 벌려놓게 되었다. 하지만 월즈 출발 직전의 젠치전 유니폼 논란, 초반의 RNG전 패배, 담원에게 리버스 스윕을 허용할 뻔한 경기력, 그리고 DRX의 소년만화 같은 성장세를 바라던 팬들에게 응원받지 못했던 상황[106] 등이 얽히고 섥혀 결국 4강에서 고배를 마시고 만다.

그 결과 4강에서 완패를 당한 이후 웹상에서는 룰러를 중심으로 하는 구 삼성 팬덤과 도-쵸-리를 따라 들어온 그리핀 팬덤과 그들의 개인 팬덤, 피넛 개인의 팬덤이 적지 않은 마찰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상술한 도파의 사례처럼 팬덤 내부 갈등이 아예 없던 것은 아니지만 리그 우승 이후 월즈 우승을 목표로 어느 정도 정돈되고 단합하는 것 같던 팬덤이 일부 멤버의 부진이 겹치며 기대와 반대로 월즈를 참패하며 4강에서 마무리하자 이른바 범인 찾기와 더불어 스토브리그를 위시한 내부 갈등이 다시 불붙어버렸다. 20-21 시즌에서 월즈에 참패했을 때에도 팬덤이 들끓기는 했으나 당시에는 주영달을 위시한 감코진과 팀 프런트에 대한 비판이 다수를 차지한 반면, 22년 월즈에서는 시리즈 진행 당시 떨어진 폼을 보여준 상체 선수들과 감코진에게 비판의 칼날이 겨눠지고 있기도 한 상황이다.

물론 스토브리그에서 팀들의 스탠스에 따라 팬덤의 크기가 바뀔 가능성이 있지만, 이미 22년도 시즌 직전에 선수 영입에 많은 투자를 한 젠지의 라인업이 크게 변할 것 같지는 않은 상황으로 예측되기에 현재의 팬덤에서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비대해진 팬덤 크기에 비례해, 마치 2022년 월즈 우승 트로피를 진작에 가진 것처럼 행동하며 DRX와 T1이 만만한 상대가 아니라는 신중론으로 냉정한 의견을 내는 팬에게 비난을 일삼는 등. 그동안은 크게 지적되지 않았던 악질적인 행태들이 대거 등장했다.

따라서 팬덤에서의 자정작용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악성 팬덤들로 인해 다수의 안티팬을 보유하게 된 T1과 담원의 사례처럼 젠지의 팀 이미지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상술했듯이 젠지 팬 커뮤니티에서조차 신중론 내지 내부 자정작용을 권하는 글에 온갖 비난이 쏟아지는 일이 다반사였으니, 이무리 월즈 탈락으로 팬덤의 기세가 죽었다 해도 쉽지는 않아보인다는 것이 중론. 이런 여러 요인들로 나빠진 팬덤 이미지로 인해 젠지의 팬덤은 각지에서 십자포화를 얻어맞고 있는 상황이다. 그 증거 중 하나로 11월 1일 기준 젠지 LOL 마이너 갤러리는 대흥갤 2위를 유지하며 롤갤발 온갖 어그로가 들끓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월즈가 끝난 뒤, 스토브리그가 상당히 혼란스럽게 진행되었고 팀의 주축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룰러가 상호 합의하에 FA가 되면서 팬덤은 충격에 빠졌다. 그 뒤에 리헨즈까지 계약이 종료되면서 더 큰 혼란에 빠진 상황이었고, 그 과정에서 상체를 지키는 데에는 성공하고, 챌린저스의 기대주인 원딜 페이즈와 젠지 아카데미 출신이었던 딜라이트를 데려오면서 혼란스러운 스토브리그 과정에서 나쁘지 않은 구성을 만드는 데에 성공하면서 팀 팬들의 마음을 어느 정도 달래는 데에는 성공했다.

이후 2023 시즌 LCK 스프링과 서머를 우승하면서 팬들이 손꼽아 기다리던 국제전에서 대활약하는 젠지를 드디어 국내 월즈에서 볼 수 있다는 기대로 가득찼으나, 이내 8강에서 BLG에게 럼자오자레 참극을 당하며 그 기대를 산산조각내 버렸고, 팬덤의 분위기는 22 월즈 직후보다 더욱 험악해진 상황이다. 특히 2세트는 LCK는 물론 롤 e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밴픽을 선보이며 압도적 정배라고 여겨지던 시리즈에서 스스로 무너져버리자 골수 팬덤에서 자조적으로 표현하던 국제전 개미털기라는 농담으로도 덮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젠지의 팬들이 나서서 팀을 비판하는 광경이 커뮤니티 곳곳에서 벌어지게 되었다. 더불어 3연속 우승으로 쌓아놓은 유입 팬덤 역시 상당수가 이탈한 것으로 추정되며, 8강 참사를 유발한 감코진 경질 여부와 선수진들의 거취에 대한 이야기로 혼란스러운 전개가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2023년 말미에 팀 차원에서 비단 젠지 팬덤뿐만이 아니라 온 LoL 커뮤니티가 난리가 날 정도로 그야말로 초유의 폭탄을 터뜨리며 또 한번 팬덤을 왈칵 뒤집었고, 그렇지 않아도 당해 월즈에 피맛을 본 팬덤은 또 한번 무능한 프런트의 나홀로 밥상 뒤엎기에 당하며 팬덤의 존속에 위기가 왔었다.

그러나 역시 팬 모으기에는 성적이 최고라는 것을 증명하듯 스프링, MSI 우승으로 팬덤 유출을 막았다. 전통에 따라 개미털기 이후 차근차근히 팬들이 돌아오는 중.

그리고 기대했던 롤드컵은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작년과 동일하게 3승 0패로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지만, 8강에서 8강 최약팀 취급을 받았던 FlyQuest한테 3:2로 진땀승을 따냈으며, 4강에서는 2년동안 계속 이겨왔던 T1에게 1:3으로 지고 탈락하게 되었다. 가뜩이나 롤드컵 우승을 하지 못해 팬덤은 초상집 분위기였다.

2025년에는 LCK컵에서 준우승으로 2연속 개미털기(...)를 한 후[107], 리그에서 전반기 무패에 MSI 리핏까지 달성해 다시 상승세를 달리고 있다. 그리고 작년 패싱 논란에 이어 또 다시 나타나는 젠지 패싱 논란에 팬들은 단합해서 비판하는 중. EWC와 LCK를 우승하며 롤드컵 8강까지는 무난히 진출했으나 정작 4강에서 KT한테 끔찍하게 완패를 당하며 팬덤이 다시 초상집 분위기에 들어갔다.

12.3. 다른 팀 팬덤과의 관계

  • T1
    불구대천지원수. T1과는 과거 SKT-삼성 시절부터 라이벌리를 이루어왔는데, 그 과정에서 여러번 충돌이 생겨서 현재 9개 팀들 중에서 사이가 압도적으로 제일 안좋다. T1 강성 팬덤이 가장 싫어하는 팀이 젠지고, 반대로 젠지 강성 팬덤이 가장 싫어하는 팀 역시 T1이다. 17년 월즈때부터 이어진 유서깊은 견원지간. 특히 쵸비 영입 이후 젠지가 컨텐더를 노리는 초강팀으로 급부상하고 팬덤의 크기 또한 늘어나면서 안 그래도 많았던 병림픽이 매우 심해졌다. 이게 어느정도로 심각하냐면 젠지&T1 관련 영상에 있는 댓글, 실시간 채팅을 보면 거의 100% 확률로 T1, 특히 페이커를 까내리는 악성 젠지 팬들과 젠지, 특히 쵸비를 까내리는 악성 T1 팬들의 싸움으로 도배된 댓글이 수두룩하게 보일 정도이다. 심지어는 다른 팀의 영상, 혹은 다른 팀의 경기시에도 채팅에서 서로를 까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그러나 물론 순수하게 T1이나 젠지를 응원하는 클린한 팬덤끼리는 예외적으로 서로 존중해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 kt 롤스터
    KT와는 아프리카까지 껴서 3팀 도원결의를 이룬 적도 있고 나름 괜찮게 지내고 있었으나, 22년 KT갤에서 템퍼링 의혹으로 젠지를 비난한 후 급격히 사이가 나빠졌다. 젠지에 원한이 많았던 비디디 팬덤이 23년 이후로 KT에 정착하면서 현재도 사이가 좋지 않다.
  • DRX
    DRX와도 의외로 사이가 안 좋은데,[108] 2020년 당시 DRX 프런트가 트위터로 어그로를 끌어버리면서 마찰을 빚었고, 21년에는 최병훈이 DRX에 오게 되면서 사이가 굉장히 껄끄러워졌다. SKT T1 최병훈 감독 스크림 발언 사건 당시의 앙금이 아직도 안 풀린 모양.
  • Dplus KIA
    디플러스 기아와의 관계는 좋은 편이였다. 디플러스 기아의 경우 한때 T1 다음 가는 팬덤 크기를 자랑하는 인기팀이였지만, 의외로 버돌 이적 사가 정도를 제외하면 특별히 마찰이 생길만한 사건이 없었다. 거기에 팀을 상징하는 선수인 쇼메이커와 쵸비가 서로의 팀을 리스펙하는 모습도 자주 나와 좋은 의미의 라이벌리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두 팬덤과의 사이는 좋은 편에 속한다. 그 덕분에 21년도 스프링 결승전에서는 아예 마갤을 바꿔서 노는 기행을 벌이기도 했다. 두 팀 모두 T1의 팬덤과 사이가 극도로 나쁘다는 점도 공통으로 가지고 있어 이해관계 역시 들어맞기 때문에 2021 시즌까지만 해도 두 팀의 팬덤 간의 사이는 원만한 편이였다. 다만 23시즌이 끝난 이후 디플러스 기아의 프랜차이즈 스타 캐니언이 젠지로 이적한 후엔 사이가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2024 스프링 시즌 2R 80경기의 젠딮전 당시 젠지 트위터의 도발적인 언행과 손카우터 측의 베릴은 고려한 적 없다는 뉘앙스의 발언[109] 등 몇몇 사건으로 인해 현재는 이해관계만 같을 뿐 사이가 그렇게 좋다고 할 수준은 아니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2025년 기준 3강인 한화, T1, 젠지 중에서 유독 젠지 상대 연패만 끊어내지 못하고 있어 타도 젠지를 외치는 DK 팬들이 늘어났다.
  • OK저축은행 브리온
    사이가 좋다. 브리온의 경우 삼성 갤럭시부터 함께했던 최우범 감독이 4년동안 몸 담았던 팀이며 브리온 최전성기 시절 미드인 라바를 젠지의 큐베가 추천해준 사례도 있다. 23년 서머 마지막 정규시즌 매치에서 브리온이 2대0으로 젠지를 잡았을때도 젠지 팬덤에서 먼저 축하의 메세지를 보내왔을 정도.
  • 한화생명e스포츠
    한화생명과의 관계 역시 나쁘지 않은 편이다. 젠지의 프렌차이즈 스타 큐베가 선수 생활 마지막으로 몸 담은 팀이기도 했고, 젠지 최전성기를 함께했던 쵸비와 리헨즈가 몸 담기도 했다. 23년 스토브리그때 젠지 쓰리핏의 주역이였던 도란-피넛-딜라이트가 한화로 이적하며 대규모의 팬덤 유출이 생겼을때도 특별한 마찰은 생기지 않았다. 이후 한화생명은 오렌지 젠지라는 별명이 붙었는데 젠지와 한화 둘 다 성적이 좋아서 그런지 한화 팬덤은 나쁘게 받아들이고 있지는 않은 모양. 2023년까지는 한 수 아래라고 여기는 팬들이 많았다면 2024 LCK 서머 결승과 2025 LCK CUP 결승, 2025 Road to MSI, 2025 LCK 결승에서 잇달아 맞대결을 펼치며 전통의 라이벌인 T1에 이어 새로운 대권후보로 부상하며 서로를 라이벌로 바라보고 있다.[110]
  • 농심 레드포스
    농심 역시 과거에는 현재의 한화생명과 비슷하게 젠지 출신 선수들이 한데 모인 팀이였기 때문에 사이가 나쁘지 않았으나, 22년 피넛- 비디디 트레이드 사건 이후로 사이가 급격하게 나빠졌다. 22년 이후 농심이 윈나우를 포기하고 육성 위주로 구단을 돌리면서 맴버가 죄다 물갈이 되었고 그에 따라 강성 팬덤도 공중분해되며 현재는 별 접점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 23년 들어 페이즈, 지우라는 걸출한 신인들이 양 팀에 데뷔한 이후로 금수저 밈이 붙고, 25년에는 젠지에서 많은 커리어를 쌓았던 리헨즈가 농심으로 이적하는 등 어느 정도 관계가 다시 성립되고 있는 중.
  • DN 프릭스
    프릭스의 경우 과거 아프리카 시절 도원결의 밈으로 엮이는 동방상련이였고, 옛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기인이 24년 젠지로 합류하며 아프리카 시절에 있었던 상당수의 기인 팬들이 젠지로 넘어가게 되었다. 또 쵸비, 리헨즈의 은사인 씨맥이 광동의 감독으로 부임했던적이 있어 사이가 나쁘지 않다.
  • BNK FEARX
    BNK 피어엑스와의 팬덤과는 아무런 접점이 없다가, 2024 LCK 서머 정규리그에서 클로저 선수가 승리 인터뷰에서 '젠지의 경기를 계속 돌려보며 공부했더니 운영이 더 단단해졌다'고 말한 이후에는 약간의 호감이 싹트는중. 그러다 스토브리그때 피어엑스의 서포터 듀로가 젠지로 이적하며 두 팀의 새로운 관계가 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3. 라이벌리

  • T1
    이 문서에도 적혀있듯 T1의 최대 라이벌은 젠지이고, 반대로 젠지 역시 최대 라이벌은 T1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두 팀은 월즈를 2회 이상 우승했고, 신 삼성 갤럭시로 리빌딩한 2015년과 최대 암흑기인 2019년를 제외하면 무조건 한번은 다전제 젠티전이 성사되었다. 2023년 스프링까지는 T1이 다전제 우위를 점하고 있었지만 쵸비가 본격적으로 젠지에 자리를 잡은 이후로 이 상성 관계는 뒤집어졌다. 두 팀의 팬덤 크기도 각각 1, 2위에다가 LCK를 대표하는 팀들이기 때문에 두 팀간의 대결이 있는 날에는 커뮤니티에서 갈드컵, 병림픽이 자주 열린다.
  • Dplus KIA
    다전제 기준으로는 디플러스 기아가 있다. 정규시즌에도 풀세트를 많이 갔으나 다전제 기준으론 더 심한데, 담원의 전성기인 2021년 처음으로 성사된 젠담전 PO5에서는 담원 기아가 3:0으로 이겼지만, 2022 스프링 5세트 만골드차 역전승 이후 줄곧 젠지가 승리했다. 이 매치의 가장 큰 특징은 거의 반드시 벌어진다고 봐도 무방한 풀세트 혈투다. 2022년 이후로 우하향하던 담원의 성적 탓에 다전제에서 부딪히는 일이 흔하지는 않지만, 일단 열리기만 하면 두 팀의 평소 모습과는 무관하게 5세트를 간다. 2022 스프링 2라운드, 2022 월즈 8강, 2024 스프링 2라운드 모두 LCK 플레이오프 역대급 명경기로 꼽힌다.
  • kt 롤스터
    정규시즌 한정으로는 KT가 젠지의 최대 라이벌로 꼽힌다. 젠지의 전성기든, KT의 전성기든, 두 팀 모두 부진할때든 KT가 거의 반드시라고 봐도 좋을만큼 젠지에게 패배를 안겨줬기 때문. 심지어 리브랜딩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내고 있는 2024년도에도 KT가 유일한 매치패를 안겨다주었으며 한술 더 떠 2025년에는 BO5에서 KT가 젠지를 2번 격침시켰다.
    두 팀이 부진하던 시절에는 아프리카(현 DN프릭스)도 엮여 도원결의를 이루기도 했다.
  • 해외 팀들
    젠지의 리브랜딩 이후 23년까지만 해도 국제전 성적이 그다지 좋지 못했고, 그러다 보니 RNG 정도를 제외하면 특별히 많이 만난 팀도 없다 보니 디플러스 기아나 T1과 달리 해외팀과의 라이벌리는 오랫동안 존재하지 않았고 아직 뚜렷한 라이벌리를 구축했다고 할 수 있는 팀도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다. 다만 23년 럼자오자레라는 역대급 참사와 MSI 패배를 안긴 적이 있었던 BLG는 옅게나마 의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와 동시에 전 소속 멤버들인 옴므와 룰러/페이즈가 거쳐간 징동을 서브로 응원하거나 징동과의 매치업을 원하는 팬들도 있지만, 정작 룰러/페이즈 이적 이후로는 양 팀의 사정으로 인해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111] 그러다가 결국 BLG를 2024 MSI에서 다시 만났고, 이번에는 결승전에서 3:1로 꺾고 복수에 성공하며 BLG와의 새로운 해외 라이벌리가 시작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14. 여담

  • T1이나 디플러스 기아 같은 다른 인기팀들과 비교해서 팀 유니폼 구하기가 정말 어렵다. 젠지샵에서 선수 닉네임 마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푸마 공식몰에서도 유니폼과 저지를 일단 취급하고는 있는데 재고가 있는 경우를 보기가 하늘의 별 따기일 정도로 물량이 심각하게 없다. 2022년 서머에서 강력한 모습을 선보이며 우승을 차지한 만큼, 팬덤 유입과 더불어 굿즈와 유니폼 수요가 커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푸마라는 걸출한 의류 스폰서가 있음에도 유니폼 재고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에서 팬들의 불만이 상당하다.[112] 심지어 2022 서머 결승 이후 클템포니의 합방에서 도란의 팬을 자처하는 포니가 도란 유니폼 좀 살 수 있게 해달라는 부탁을 했을 정도. 이는 그 다음해까지 이어졌고 24년도 리빌리와의 협업 이후로 '일단' 유니폼에 대한 재고 문제는 어느 정도 희석되었다. 데상트와 협업을 시작한 2024 롤드컵부터는 구매가 상당히 널럴해졌다.
  • 월드 챔피언십 최다 진출 및 2회 우승(2014, 2017)을 보유한 전통의 강호이지만, 동시에 월드 챔피언십의 그룹 스테이지, 8강, 4강, 결승에서 모두 탈락해본 경험이 있는 팀이다. 즉 월드 챔피언십에서 그룹 스테이지 이후로 가능한 모든 성적을 기록해본 두 팀중 한 팀이다.[113][114]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부터는 그룹 스테이지가 없어지고 스위스 스테이지로 재정비되기에 이 기록은 젠지와 프나틱만이 보유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 자국 리그에서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나 반대로 국제전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잘 보여주지 못한 다데상과 인연이 깊은 팀이다. 초대 수상자이자 다데상의 유래가 된 팀의 전신인 삼성 오존의 다데는 물론이고, 다데의 수상 이후 2023 월즈의 쵸비는 8강에 충격패를 당하며 다데상을 받기도 했다.
  • 대체적으로 "LCK의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쓰이는 팀이지만, 정작 이 별명이 젠지가 부진했을 때 많이 쓰였다 보니 망가져서 유명해진 것들 중 하나가 되었다. 특히 클템의 "LCK의 호랑이 젠지가!!"(약칭 엘호젠)이라는 어록이 유명한데, 클템 또한 노리고 썼음을 개인방송에서 인정했다.
  • 젠지를 거쳐간 선수에게 복지가 상당히 괜찮다는 평가를 받는다. 애초에 국내 최대 규모의 e스포츠 기업[115]인 점도 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대우가 좋다. 특히, 2017 월즈 우승 멤버인 큐베, 크라운은 은퇴 후 각각 젠지 스트리머, GGA 코치로 활동하였으며, 젠지의 각종 행사에 초대되어 행사를 맡기도 했다. 앰비션팀 레전드가 했다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행동 때문에 레전드 자격을 박탈당한거지, 그 전까지 젠지 주관 행사는 상당수가 앰비션의 몫이었고, 아예 젠지의 반지원정대 로스터 공개를 앰비션 개인 방송에서 진행하기도 하였다. 또, 젠지의 영원한 심장 룰러의 경우, 젠지에서 1+1 옵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룰러의 시장 평가를 받아보고 싶다는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과감하게 FA로 풀어주는 것에 더해, 룰러가 아닌 원딜을 영입하지 않고 자팀 유스인 페이즈를 콜업하겠다고 하며 프랜차이즈 대우가 무엇인지 보여주었다. 룰러도 이에 보답하듯, 2025년 젠지로 복귀하며 젠지가 아닌 LCK 팀에 복귀하는 것은 고려조차 안했다.라고 하였고, 레전드의 복귀에 어쩔 수 없이 떠난 페이즈도 다시 돌아오겠다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116] 아직 젠지 소속인 쵸비도 거쳐간 팀 중 젠지가 가장 마음에 든다고 하였고 실제로 저니맨 생활을 끝내고 젠지의 프랜차이즈 스타가 되었다.

14.1. 공식 다큐멘터리 시리즈

젠지 또한 라이벌인 T1의 T1 The Locker Room과 비슷한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제작한다. 다만 공개 시기가 너무 늦다는 것, 패배 경기 또한 거의 수위조절을 하지 않고 올리는 것이 차이점.
<rowcolor=#000,#000> 시즌 제목 분량 성적 공식 플레이리스트
2020 Into the Gen.G 총 8화 2020 LCK 스프링 준우승, 2020 월즈 8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 ALL IN 총 7화 2021 LCK 스프링 준우승 2021 월즈 4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 총 8화 2022 LCK 스프링 준우승, 2022 LCK 서머, 우승, 2022 월즈 4강
2023 총 7화 2023 LCK 스프링, 2023 LCK 서머 우승, 2023 MSI 4위, 2023 월즈 8강
2024 Change The Game 총 4화 [진행중] 2024 LCK 스프링, 2024 MSI 우승, 2024 LCK 서머 준우승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다큐멘터리 이름은 Into the Gen.G → ALL IN → Change The Game이다. 특히나 이 ALL IN이 당시 주영달 감독 체제에서 좋은 뜻이건 나쁜 뜻이건 인기를 많이 얻기도 하였는데, 당시 3,4,5편의 제목이었던 멍청한 올인, 추락, 불협화음은 그 내용과 함께 많은 이슈가 되었으며 이후 다른 LCK팀의 다큐멘터리에서 답답한 전개가 등장하면 커뮤니티에서 으레 21년도의 올인이 언급되곤 한다.

14.2. Worlds 응원곡

젠지는 2021시즌부터 LoL팀을 위한 월즈 응원곡을 H1GHR MUSIC 소속의 래퍼와 제작하여 공개하고있다. 이는 아놀드 본인의 성향이 담겨져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21년 이후 박재범을 젠지의 음악⋅엔터테인먼트 분야 고문으로 선임하기도 했다. 이전에 오버워치 형제팀인 서울 다이너스티의 입장곡을 pH-1과 제작하기도 했다.
Worlds 2021
ALL IN (Jay Park & pH-1 및 GroovyRoom)
이미 82라는 서울 다이너스티 응원곡으로 참여한 pH-1과 H1GHR MUSIC의 박재범, 그루비룸과 같이 작업하였다. 중간에 젠지 소속 스트리머인 Nemesis가 등장하기도 한다.
Worlds 2022
Rollin’ (GroovyRoom & GEMINI 및 Mirani)
작년에 참여한 바 있는 그루비룸과 그와 친분이 있는 미란이, 제미나이가 작업한 2022 월즈 응원곡. 이때부터 뮤직비디오에 젠지가 대놓고 등장하기 시작했고 그 악명높은 젠치전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2022 LCK 서머 우승 기념으로 받은 LCK 트로피가 등장하기도 한다.
Worlds 2023
Rock The Cup (BIG Naughty (서동현))
H1GHR MUSIC의 빅나티 서동현이 작업한 2023 월즈 응원곡. 뮤직비디오에 젠지 선수들 5인이 출연한다. 음반 사진부터 젠지 응원곡의 모습을 띄고있다.

14.3.

파일:1667524847.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4. 젠지의 삼성 계승

파일:201810101806779251_5bbdc4c640bff.jpg
2018 월즈 오프닝 세레머니[118]
파일:successor.jpg
LoL e스포츠 15주년 기념 영상[119]
결론부터 말하자면 라이엇 게임즈[120], LCK[121], 젠지[122] 모두 공식적으로 젠지가 삼성의 커리어를 승계하고 이어감을 인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커뮤니티에 떠도는 여러 가지 이야기에 대해 서술한다.
  • 젠지는 삼성을 인수한 것이 아니라 시드권과 로스터만 구매한 것이다?
    사실이 아니다. 한글기사(인벤), 영문기사(ESPN) 당시 국내, 해외 기사 모두 '인수'와 'acquires'라고 표현하고 있다. 시드권이나 로스터만 구매한 것이 사실이라면 기사에 'LCK slot'이나 'SSG roster'를 구매했다고 표현해야 하지만 전혀 그런 문구가 없다.
  • 케빈 추 젠지 구단주가 삼성 시절 커리어를 부정했다?
    We were already in a deal to acquire SSG and retain the roster for another year when the team won Worlds 2017. We were not involved in 2014.

    2017년 월즈를 우승했던 삼성 갤럭시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로스터를 유지하기로 1년 계약을 했습니다. 2014년 당시 저희 성적과는 관계 없습니다.



    케빈 추의 트윗

    반은 맞고 반은 아니다. 2018년 한국의 젠지 팬이 젠지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에서 롤팀의 커리어란에 2017 월즈 우승 기록만 존재하는 걸 보고 2014년이 없는 이유를 케빈 추에게 트위터로 질문했고, 그에 대한 케빈 추의 대답이다. 부정한 사실은 맞으나 구 삼성과 신 삼성을 별개로 봤으며, 신 삼성은 젠지가 이어간다는 뜻으로 삼성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구 삼성을 부정한 것이다. 그러나 2019년 9월 30일, 젠지 트위터에 2014년부터 삼성 롤팀에서 근무했던 최우범 감독이 삼성 갤럭시 블루의 2014 스프링 우승 기록과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2014 월즈 우승 기록을 추가하는 "젠지 LoL팀의 역사, 앞으로도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라는 영상을 게시했다. 훗날 케빈 추는 당시 발언에 대해 젠지 아카데미 팀의 오픈 스크림에서 아카데미 코치와 스카우터를 통해 해명했다.#
  • 과거 삼성 소속 선수들이 젠지를 부정한다?
    근거 없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코어장전이 젠지와 삼성이 다른 팀이라고 발언했다고 주장하지만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오히려 과거 삼성 화이트 소속이었던 옴므인터뷰에서 가능하다면 선수 시절 친정인 젠지에서 코치 활동을 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한 적이 있다.
  • 삼성 시절 획득한 우승 트로피가 젠지에게 없다?
    사실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삼성 시절에 획득한 우승 트로피의 '레플리카'가 현재의 젠지에게 없는 것이다.[123]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월즈 우승 트로피의 '원본'은 라이엇이 매년 새로 만들어서 그때마다 그 해의 우승팀에게 주는 것이 아니다. 월즈 우승 트로피의 원본은 전 세계에 단 1개만이 있으며, 이것에 대한 소유권은 라이엇에게 있다. 매년 월즈의 새로운 우승팀은 이 원본을 1년 동안 대여받아 보관하게 된다.[124] 월즈를 우승한 적이 있는 각 팀이 사옥에 가지고 있는 월즈 트로피는 이것의 레플리카이며, 현재의 젠지에겐 이러한 레플리카가 사옥에 없는 것이다.
  • 젠지의 유니폼에는 월즈 우승을 의미하는 별이 없다?
    시기마다 다르다. 2020 서머 시절에는 유니폼에 별 2개가 존재했으나 푸마가 젠지의 공식 의류 스폰서로 들어온 2020 월즈 이후에는 푸마의 규정에 따라 젠지의 모든 종목 유니폼이 같은 디자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삭제했다고 한다.[125] 대신 2024 LCK 스프링 결승전 우승 후 별 2개가 들어간 우승 기념 티셔츠와 머플러를 착용했으며, 2024 월즈부터는 PUMA와의 스폰서십을 종료하고 데상트로 킷 스폰서를 바꿨고, 2025 월즈 유니폼에 별 두개를 부착했다.
  • 젠지가 유니폼에 별을 부착하지 않는 것은 라이엇 게임즈의 제재 때문이다?
    사실이 아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각 팀이 유니폼에 별을 부착하는 것을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이는 2024 월즈에서 Movistar R7LLA 4회 우승을 상징하는 별 4개를 부착하였음에도, 젠지가 8강에서 월즈 우승 2회를 상징하는 뱃지를 달았음에도 어떠한 제재가 없었다는 점에서 증명되었다. 무엇보다 2025년 젠지가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인스타그램 게시물로 유니폼을 공개하자, LoL e스포츠 공식 인스타 스토리에 해당 게시글을 업로드하였고, 해당 유니폼에는 별 두 개가 부착되어있었다.
    • 이러한 음모론이 나온 것은 라이엇 게임즈가 어느 정도 자초한 면이 있다. 2022 월즈를 앞두고 라이엇 게임즈는 새로운 소환사의 컵을 소개하는 영상에서 프나틱과 SKT, FPX에게 새로운 로고를 적용한 것과 달리 Taipei J Team과 젠지는 각각 TPA와 삼성의 로고를 적용했다. 특히 T1으로 이름을 바꾼 SKT는 T1의 로고를 사용한 것과 달리, 젠지로 이름을 바꾼 삼성은 삼성의 로고가 사용되어 국내 커뮤니티 내에서 T1 악성 팬덤이 젠지가 삼성을 계승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게 되는 결정적인 근거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는 전후사정이 빠진 선동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TPA와 삼성이 모기업이 바뀌었고 팀명을 아예 갈아버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새 로고를 사용하지 못하고 당시의 로고를 사용한 것이다. T1의 경우 현재도 SK가 모기업이고, T1이라는 이름을 존치했기 때문에 새 로고 사용이 가능했으나 TPA와 삼성은 그렇지 않아 JT와 젠지의 로고를 사용하지 못한 것이다.[126] 결론은 당시 영상을 제작한 라이엇 담당자가 팀들에게 신경을 써 주겠다고 최신 로고로 반영해 준 것이 오히려 화근을 불러온 것이다. 어쨌든 라이엇도 자신들의 영상 때문에 논란이 초래된 것을 인식하였는지 젠지의 공식적인 요청 이후에는 오히려 젠지를 적극적으로 삼성의 계승 팀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국제대회 우승 기록을 보여줄 때에는 철저하게 당시 로고만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25 월즈를 앞두고 공개한 소환사의 컵 소개 영상에서 공식적으로 젠지의 삼성 갤럭시의 계승을 명시함으로써 젠지의 명예를 회복시켰다.
  • 월즈에서 우승한 모든 팀은 월즈 우승을 상징하는 별을 부착하는데, 젠지는 별을 달지 않았으므로 삼성을 계승한 것이 아니다?
    사실이 아니다. 유니폼에 별을 다는 것은 각 팀의 선택 사항일 뿐이다. 그 예시로 Fnatic은 첫 월즈 우승팀이자 유럽의 유일한 월즈 우승팀인데도 월즈 유니폼에 별을 달지 않는다. 동양 팀과 달리 서양 팀은 별을 다는 것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서양계 자본이 운영하는 젠지 역시 이러한 마인드로 유니폼에 별을 달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심지어 당시 3회 우승이었던 SK Telecom T1조차 컴캐스트가 일부 지분을 인수한 직후 나간 2019 월즈에서 별 3개를 달지 않고 그대로 대회에 나간 전적이 있다.
  • 젠지는 삼성의 법인을 승계하지 않았으므로 삼성을 계승한 것이 아니다?
    서양권에서 주로 내세우는 주장이나, 근거가 없고 반례도 충분하다. 젠지가 어떠한 경로로 삼성을 인수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르며, KBO 리그LG 트윈스K리그성남 FC, 대전 하나 시티즌처럼 법인을 승계받지 않고 팀 운영권만 승계했음에도 역사가 계승된 사례가 있다.

사실 테세우스의 배 문서에도 나와 있듯 '팀의 연속성' 문제는 과거부터 존재했다. 대표적인 예시가 2016년 나진 e-mFire를 인수한 콩두 몬스터가 멤버들을 모조리 교체하는 일이 발생하자 '2015년까지 활동한 나진과 그 나진을 2016년에 인수한 콩두를 같은 팀으로 볼 수 있냐'는 논쟁이다. LCK는 나진과 콩두를 '같은 배'로 보면서 시드권을 인정했고 콩두가 OK저축은행 브리온에게 인수된 지금까지도 나진 - 콩두 - 브리온의 계보를 인정하고 있다.

삼성 - 젠지도 이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도 있다. 젠지는 삼성을 인수할 당시 로스터까지 인수했기 때문에 인수 당시 나진만큼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 실제로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2018 월즈 당시만 해도 젠지가 디팬딩 챔피언으로 소개되며 소환사의 컵 트로피를 직접 반납하는 등 라이엇은 삼성과 젠지를 '같은 배'로 인정했다. 정리하자면, 라이엇 게임즈와 LCK는 젠지가 삼성을 계승했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2018년 케빈 추 구단주의 구 삼성 화이트/블루 부정 발언, 아놀드 허 CEO의 과거에 얽매이고 싶지 않다 발언, 2024 월즈 별 뱃지 유니폼 등 구단 스스로가 삼성과 선을 긋는 발언과 행동을 하면서 떡밥을 계속 주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젠지는 왜 계속해서 애매한 입장을 취하는 것일까? 이는 동양권과 서양권의 팀 역사 계승에 대한 인식 차이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동양권의 경우 팀 운영 주체가 변경되었을 때, 이전 운영 주체 하에서 세운 기록을 팀의 기록으로 그대로 인정해준다. 그러나 서양권에서는 팀의 모든 기록을 구매하여 소유 권한이 있음에도 "왜 너가 이뤄내지 않은 업적을 너가 자랑하는거냐?"로 치부하는 경향이 강하여, 팀을 정당하게 계승하였다 하더라도 우승 기록은 자랑하지 않는다. 참고로 이것은 젠지의 구단주인 케빈 추가 2020년에 공식적으로 밝힌 이유이다.

일례로, CLG를 인수한 NRG Kia 역시 2번의 LCS 우승 기록을 물려받았음에도 2023 LCS 챔피언십 우승 이후 별 1개만을 달았다. 이는 NRG가 CLG를 계승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CLG가 세운 기록이었기 때문에 NRG에서는 홍보할 자격이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국내 일부 팬들이 논란을 만들어 냈다고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서양계 자본으로 운영되는 젠지 역시 팬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진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적절한 대응을 취하지 못했던 것이다.

14.5. 젠지의 MVP 계승?

사실 이 문제는 젠지 삼성 계승 만큼 논란이 되지는 않았다. 2023년 전용준 캐스터의 발언으로 MVP 역사가 젠지에게서 분리된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젠지 역시 젠지 공식 디스코드에 올라온 이지훈 단장의 발언을 통해 MVP 블루/오존의 역사를 계승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해왔기 때문이다.[127]

그러던 2024년 신설된 LCK 공식 홈페이지 팀 프로필에 젠지를 들어가보면, 젠지의 창단은 2012년으로 되어있어 기존 입장을 번복하고 MVP를 젠지가 계승함을 인정하냐는 의견이 나왔다. 다만 이에 대해 젠지나 LCK가 더 명확한 입장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단순 표기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128]

결국 LCK 측이 보여준 젠지의 결승 기록에서 삼성 갤럭시의 기록은 포함된 반면 MVP 시절의 기록들은 포함되지 않으면서, MVP 계승에 대해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5.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

16.1. 2014 시즌

파일:Samsung white.png
2014 시즌
파일:2015_SSW.png
파일:Top_icon.png
Looper
파일:Jungle_icon.png
DanDy
파일:Mid_icon.png
PawN
파일:Bot_icon.png
imp
파일:Support_icon.png
Mata
신지드 렝가 탈론 트위치 쓰레쉬

16.2. 2017 시즌

파일:Samsung_Galaxy.png
2017 시즌[129]
파일:2018_SSG.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CuVe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Ambitio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Haru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Crow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Rul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CoreJJ
나르 자르반 4세 이즈리얼 탈리야 자야 라칸
  • 특이사항으로 케빈 추삼성 갤럭시 인수 당시 맺은 계약 합의 사항에 따라, 현재까지도 이 두 우승 스킨과 삼성 갤럭시 아이콘 판매로 인해 얻는 수익과 관련 권리는 삼성전자 측이 가져가고 있다고 한다. 이는 2023년 스토브리그 당시 아놀드 허 CEO에 의해 밝혀진 내용인데, 기업의 상표권 문제도 있을 뿐더러 인수 과정에서 인수 비용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승 스킨의 수익 관련 권리를 포기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러한 속사정이 밝혀진 이후 우승 스킨이나 아이콘 관련 권리를 포기한 것까지는 대체적으로 인정을 하는 반응인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우승 기록 자체는 완전히 승계받았음에도 가장 중요하다고도 볼 수 있는 트로피 복제와 관련된 권리를 2023년 현재까지 회수를 하지 못해서 지금도 젠지는 두 번의 복제 우승 트로피를 구단 클럽하우스에 들이지 못하고 있다.[130] 이와는 별개로 젠지는 해체 후 재창단을 했다는 이유로 MVP의 역사를 포기했으나 정작 여러 기사에서 삼성은 MVP를 인수했다고 밝혀서 최근까지도 많은 팬들에게 논란거리가 되었을 정도.
    • 젠지 프런트 측의 이전 발언들로 미루어 보아 정황상 젠지 자체가 삼성의 역사 승계의 확실한 가부에 대해 무관심했거나 인수 당시 비용 관련 문제, e스포츠의 이해도 관련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라이엇은 젠지 측의 공식 입장에 대한 어떠한 긍정/부정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2024 MSI에서 LoL Esports 유튜브에서 중계한 영어 중계진들은 젠지와 TES와의 경기에서 젠지가 승리하자 젠지가 LPL팀을 마지막으로 다전제에서 승리한 날이 삼성의 2017 월즈인 2386일 전이라는 자막을 송출하며 간접적으로 젠지 구단에 힘을 실어주었다.# 젠지 구단에서도 유니폼에 별 2개를 넣지 않는 대신 2024 LCK 우승 기념 티셔츠와 머플러에 삼성 시절 월즈 우승을 상징하는 별 2개를 넣는 모습을 보여줬다.[131]
    • 수익 관련으로는 2025년 시점에는 그래도 조금은 해결된 것으로 보이는데, 2025 월즈를 앞두고 출시된 2017 월즈 스킨의 정예 크로마 관련 수익이 젠지 구단에게 일정 비율이 배분되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1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1 시즌2 시즌3 2014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 white.png
Fnatic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2015 2016 2017 2018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Invictus Gaming
2019 2020 2021 2022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DAMWON.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FunPlus Phoenix
DAMWON Gaming
Edward Gaming
DRX
2023 2024 2025 2026
파일:T1 로고.svg
T1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222>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휘장 그레이.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팀
}}}'''
{{{#!wiki style="color: #22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ddd> 2015 2016 2017 2018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G-OLD-darkmode-logo.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R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SK telecom T1
Royal Never Give Up
2019 2021 2022 2023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G2 Esports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4 2025 2026 2027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Esports World Cup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024 2025 2026 2027
파일:T1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T1
Ge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2012 서머
파일:600px-MiG_Frost_logo.png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MiG Blaze
Azubu Frost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2 - 2013 윈터 2013 스프링 2013 서머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NaJin Sword
MVP Ozone
SK telecom T1
<rowcolor=white,white> 2013 - 2014 윈터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attachment/Sktt1_k.pn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Arrows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K telecom T1
ROX Tigers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 KING-ZONE DragonX
kt Rolster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DAMWON.png
SK telecom T1 & T1
DAMWON Gaming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WG KIA
T1
Gen.G
<rowcolor=white,white>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Gen.G
Hanwha Life Esports
<rowcolor=white,white> 2025 2026 2027 2028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d72b6>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Intel Extreme Masters
League of Legends 부문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Season V
- LoL Invitational
Season VI
- Cologne
Season VI
- Guangzhou
Season VI
- New York
파일:11270481_1596078760651428_8852551750357089228_o.png 파일:CLG Blue Logo.png 파일:Team_W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myRevenge
Counter Logic Gaming Prime
World Elite
Fnatic
<rowcolor=#fff> Season VI
- Kiev
Season VI
- Sao Paulo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Season VII
- Singapore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파일:NoobDaNetLogo.jpg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Mymlogo.png
Moscow 5
Noob Da Net
Moscow 5
MeetYourMakers
<rowcolor=#fff> Season VII
- Cologne
Season VII
- Katowice
Season VII
- Sao Paulo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Mlogo.png 파일:CJ Entus BLAZE.png
SK telecom T1 #1
Gambit Gaming
Incredible Miracle
CJ Entus Blaze
<rowcolor=#fff> Season VIII
- Shanghai
Season VIII
- Cologne
Season VIII
- Singapore
Season VIII
- Sao Paulo
파일:Team_WE.pn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Milleniumlogo_square.png파일:Millenium_2017_darkmode.png
World Elite
Gambit Gaming
Invictus Gaming
Millenium
<rowcolor=#fff>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Season IX
- Shenzhen
Season IX
- San Jose
Season IX
- Cologne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파일:Team_WE.png 파일:Cloud9 아이콘.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kt Rolster Bullets
World Elite
Cloud9
Gambit Gaming
<rowcolor=#fff> Season IX
- Taipei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
- San Jose
Season X
- Cologne
파일:Flash Wolves 로고.svg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파일:ESCEVER.png
yoe Flash Wolves
Team SoloMid
Origen
ESC Ever
<rowcolor=#fff>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I
- Oakland
Season XI
- Gyeonggi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Flash Wolves 로고.svg
SK telecom T1
Unicorns of Love
Samsung Galaxy
Flash Wolves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역대 정규시즌 1위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Tigers.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GE Tigers
SK telecom T1
ROX Tigers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 KING-ZONE DragonX
kt Rolster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팀그리핀.png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DAMWON.png
Griffin
Gen.G
DAMWON Gaming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WG KIA
T1
Gen.G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T1
kt Rolster
Gen.G
2025 2026 2027 2028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rowcolor=#fff,#fff> 통합 우승 | 준우승 | 최종 3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Special Award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수상 부문 수상자 소속
<colbgcolor=#fff> 2021 <colbgcolor=#fff>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colbgcolor=#fff> Ruler <colbgcolor=#fff> GEN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Faker T1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ShowMaker DK
TikTok 베스트 LCK 숏하이라이트 상 Pyosik DRX
KLEVV 올해의 기억에 남는 리신 플레이어 상 Doran KT
로지텍 베스트 카이팅 플레이어 상 Ghost DK
시크릿랩 베스트 펜타킬 플레이어 상
2022 시크릿랩 어시스트 킹 상 Keria T1
로지텍 최다 솔로킬 플레이어 상 Rascal KT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Delight BRO
OP.GG 베스트 OP 스코어 상 Ruler GEN
LG 울트라기어 최다 오브젝트 스틸 플레이어 상 Oner T1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Chovy GEN
BBQ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Faker T1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Gumayusi
롤파크 가정의 평화상 Gen.G
대머리가 되는 상상 Oner T1
올해의 밈상 Deft DRX
2023 LCK 글로벌 마케팅 상 Morgan BRO
10주년 특별상 성승헌 LCK
CloudTemplar
시크릿랩 어시스트 킹 상 Delight GEN
몬스터 에너지 베스트 몬스터 슬레이어 상 Peanut
로지텍 G 베스트 파워플레이 상 Deft DK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Kael LSB
OP.GG 서치 킹 상 Faker T1
LG 울트라기어 최다 오브젝트 스틸 플레이어 상 Cuzz KT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Aiming
BBQ 황올한 퍼스트 블러드 상 Oner T1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Gumayusi
베스트 쇼맨십 상 KWANGDONG FREECS
올해의 밈상 CloudTemplar LCK
2024 로지텍 G 베스트 파워플레이 상 Aiming DK
골든듀 영혼의 듀오 상 Gumayusi T1
Keria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Kellin DK
무신사 STYLISH PLAY OF THE YEAR 상 Teddy DRX
OP.GG 서치 킹 상 Faker T1
모두의 보훈상 전용준 LCK
LG 울트라기어 베스트 오브젝트 스틸러 상 Canyon GEN
올해의 카스 퍼블 플레이어 상 Oner T1
Lucid DK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Aiming
공로상 Atlus LCK
베스트 쇼맨십 상 Teddy DRX
LCK 썸네일이 될 상 ShowMaker DK
LCK 글로벌 마케팅 상 Hanwha Life Esports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역대 왕조
★★★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 T1 파일:T1 로고 화이트.svg
★★★
2020 서머 ~ 2021 서머
파일:DAMWON.png DWG ~ DK 파일:DWG KIA 엠블럼.svg
★★★★
2022 서머 ~ 2024 스프링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LCK 기록만 서술하며 왕조를 달성한 당시 구단명과 엠블럼으로 서술함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다른 스포츠 역대 왕조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야구 축구 e스포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
대만프로야구 역대 왕조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왕조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
라리가 역대 왕조
세리에 A 역대 왕조
분데스리가 역대 왕조
에레디비시 역대 왕조
리그 1 역대 왕조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
월드 챔피언십 역대 왕조
LCK 역대 왕조 · LPL 역대 왕조 · LEC 역대 왕조
LCS 역대 왕조 · LJL 역대 왕조 · PCS 역대 왕조
VCS 역대 왕조 · LCK CL 역대 왕조
LLN 역대 왕조 · CLS 역대 왕조 · LMS 역대 왕조
LST 역대 왕조 · LCO 역대 왕조 · LCL 역대 왕조
CBLOL 역대 왕조 · LPLOL 역대 왕조
LFL 역대 왕조 · SL 역대 왕조 · TCL 역대 왕조
RL 역대 왕조 · LIT 역대 왕조 · HLL 역대 왕조
HM 역대 왕조 · EBL 역대 왕조
=======
VCT CN 역대 왕조 · VCT Americas 역대 왕조
}}}}}}}}} ||

[SSW] Samsung Galaxy White 시절 달성.[SSG] Samsung Galaxy 시절 달성.[SSB] Samsung Galaxy Blue 시절 달성.[4] 통합시즌 초대 우승[SSG] [SSG] [7] Samsung Galaxy 시절에는 SSG, KSV Esports 시절에는 KSV.[8] 참고로 MVP의 단일팀 재창단으로 인해 라이엇 코리아와 젠지의 합의 끝에 2023년부터 MVP Ozone의 우승 기록을 승계하지 않기로 2023 LCK Spring 개막일에 발표되었다.[9] 2022 서머 ~ 2024 스프링 우승으로 4연속 우승 기록을 달성했으며 전체 우승 횟수로는 단독 2위로 등극했다.[10] 이후 연승은 2024년도 서머에서 한화생명에게 깨졌다.[11] 결승 진출 기록 10회, 연속 결승 진출 기록은 2022 스프링 ~ 2025 까지 7회.[12] +48, 2025 LCK, 스플릿 통합 이전에도 2024 LCK 서머에서 +32를 기록. 최다 득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13] 2024 LCK 서머 R1[14] 29매치 2024 LCK 스프링 ~ 2024 LCK 서머[15] 21세트 2025 LCK[16] 21세트 2025 LCK[17] 2014(시드 결정전), 2016, 2017, 2018, 2020 시즌까지 총 5회.[18] 매치 전적 9승 9패로 전승, 세트 전적 27승 9패 75%를 기록하고 있다.[19] 2011, 2012, 2015, 2019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월즈를 출전했다. 2011 시즌은 아예 한국에 롤 프로팀이 없었고, 2012 시즌에는 팀이 창단 전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창단 후 2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월즈에 출전한 셈이다.[20] 풀리그 방식을 LCK가 2015 시즌부터 이어 받았다.[21] 2018년에는 LoL 부문 IEM 대회가 열리지 않기로 결정되었다.[22] 2017 SKT, kt, SSG, MVP[23] 2018 KZ, AFs, KT, SKT[24] 2025년 5월 20일 ~ 2025년 11월 2일 1위[25] LCK R1~R2, Road To MSI, MSI, EWC를 전승하였다.[26] LCK 팀들 중 최다 연승이 아닌, 전세계 LoL e스포츠에 소속된 프로 구단 중 최다 연승 기록.[27] EWC의 기록이 롤e스포츠 공식 기록에 포함되는가에 논란이 있었지만, 2025 EWC가 라이엇과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라이엇 공식 해설에서도 연승 기록을 인정하였다.[28] 2024 시즌, 패배는 LCK 정규리그 스프링 서머 각 1회, 서머 결승, 월즈 4강[29] 2014, 2017[30] 2014 월즈[31] 이 기록이 얼마나 대단하냐면, 2014월즈는 역대 월즈 중 평균 경기 시간이 2번째로 긴 월즈이다.[32] 2014 월즈[33] 2014 월즈[34] 2014 월즈[35] 위 기록과 연결되는 기록으로, 14 SSW가 월즈 하나만으로도 역체팀이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장 압도적인 지표이다.[36] 2014 월즈[37] 당시 삼성화이트의 탈수기 메타라는 운영으로 노잼팀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킬 수 1위에서 알 수 있듯, 한타를 하지 않던 팀이 전혀 아니다.[38] 2014 월즈 Imp[39] 2025 MSI, 2025 EWC[40] 2023 MSI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형식으로 개편되고 이전 MSI 진행방식은 FST가 일부 계승하였다.[41] 2024~2025[42] 2025 LCK[43] 2025 LCK[44] 2025 LCK[45] 2025년 LCK 1년 단일 시즌으로 개편[46] 2024 LCK 서머[47] LCK 개편 이전 최다 득실차 2위는 2022 서머 젠지 +30 이며, 개편 이전 및 이후를 통틀어 득실차 +30을 넘는 기록은 젠지만이 가지고 있다.[48] 총 세트 전적 35승 5패[49] 총 세트 전적 35승 3패[50] 이전 최고 기록은 2024년 젠지의 34승 2패로 스프링 서머 각각 1패 (94.4%)[51] 2025 LCK부터 개편되었다.[52] 22 LCK SP ~ 25 LCK[53] LCK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25 LCK 컵 결승전도 진출하였다.[54] 마타[55] 페이즈, 24 MSI[56] 페이즈, 23 서머[57] 쵸비[58] 쵸비[59] 2024 서머, 2025 올퍼스트[60] 2013 월즈는 삼성의 이름으로 참가했다.[61] 일명 1학년 5반이라고 불린다. 참고로 이 당시 젠지는 월즈 우승 로스터를 유지한 디펜딩 챔피언이었다(...)[62] 2014 월즈 챔피언[63] 2022 월즈 챔피언, 비 T1 출신 선수 중 Pawn 허원석, Ruler 박재혁, Canyon 김건부와 함께 넷밖에 없는 커리어 그랜드슬램(14 LCK 스프링, 15 LPL 스프링, 15 MSI, 16 LPL 서머, 18 LCK 서머, 22 Worlds) 달성자. 특이하게도 LCK와 LPL 모두 스프링, 서머를 1번씩 우승한 기묘한 기록을 작성했다.[64] 2017 월드 챔피언, LoL Worlds 최초의 바텀 라이너 MVP, 비 T1 출신 선수 중 Pawn 허원석, Deft 김혁규, Canyon 김건부와 함께 넷밖에 없는 커리어 그랜드슬램(17 Worlds, 22 LCK 서머, 23 LPL 스프링, 23 MSI, 23 LPL 서머) 달성자, LCK 최초이자 2024 시즌까지도 유일한 바텀 라이너 정규시즌 MVP,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금메달[65] 커즈, 칸나 이후 세 번째 순수 혈통 로얄로더, 최연소 LCK 우승 바텀 라이너 & 최연소 LCK 결승 바텀 라이너 MVP, 데뷔 직후 리그 쓰리핏 달성, 국제대회 단일 세트 최다 킬, LCK 최연소-최소 경기 1000킬[66] LoL Worlds 최초이자 2024 시즌까지도 유일한 서포터 MVP[67] 2017 월드 챔피언. 초기에는 바텀 라이너로 뛴 기록도 있다.[68] 2024 MSI 파이널 MVP[69] 14년부터 25년까지 10승 0패를 기록하고 있다.[70] 아예 월즈 문턱도 못밟고 탈락한 시즌이 아닌 이상 일단 월즈 문턱에 걸치기만 해도 진출했기 때문이다.[71] 의외로 SKT는 월즈 단골 출전팀 답지 않게 선발전에서 약한 편인데 1,2시드로 올라가서 전적도 적은편이며 매치 승률이 50%도 안되며 전통 강호 KT 역시 선발전에서 상당히 부진하다.[72] 스플릿 3의 최종 순위가 곧 시드 순서로 직결된다.[73] 2010년대 열린 18번의 결승전에서 9번의 결승전에 진출했고 8회 우승, 1회 준우승을 달성했다.[74] 2020년대 열린 11번의 LCK 결승전 중에서 9번의 결승전에 진출했고 5회 우승, 4회 준우승을 달성했다.[75] 現 DN 프릭스[76] 디플러스 기아 3회, T1 2회, 한화생명 1회[77] 삼화 EDG전 2승+RYC 3:1 승, 삼블 OMG전 2승, 단일팀 RNG전 2승 2패, EDG전 1승 1패, WE전 3:1승[78] 18월즈 조별 탈락, 19월즈 진출 실패, 20월즈 G2 0:3패, 21월즈 C9 3:0승, EDG 2:3패, 23월즈 BLG 2:3패[79] 내전까지 포함시 22월즈 DK전 3:2승, DRX전 1:3패로 총 2승 4패이다.[80] 20MSC에서 TES에게 3:0으로 졌고, 23MSI에서 G2와 C9을 3:0으로 이겼지만, BLG한테는 0:3으로 졌다.[81] 매드라이온즈는 LEC 3회 우승을 기록하는 리그 내 강팀이지만, 국제전만 가면 최악의 폼을 보이면서 전무후무한 메이저리그 플레이인 스테이지 2회 탈락, 23월즈에서 역대급 꿀조를 받고도 같은 리그 4시드 BDS에게만 승리하고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광탈하는 등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데, 젠지도 리브랜딩 이후 LCK 쓰리핏을 기록하여 LCK 내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국제전에서 21월즈 정도만 제외하면 기대 대비 좋은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유사하다.[82] MSI에서는 LPL 상대 Bo5 전적이 무려 4승 1패로 이는 모든 LCK 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이다.[83] 재미있게도 많은 이들은 14년도 롤드컵 우승을 일궈낸 삼성 화이트의 강함을 기억하지만 이 당시 LCK 우승을 기록한 팀은 삼성 블루였고 화이트는 LCK를 우승해본 적이 없다.[84] 조별-미참-8-4-4-8. 사실 4강 2번도 나쁘지 않은 성적이지만 진출할 때마다 유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는 점. 예상치 못하게 역배를 상대로 당하거나 혹은 졸전을 펼친 끝에 탈락했다는 점이 저평가를 만들었다. 4강은 그렇다쳐도 진짜 문제는 2번의 8강이다. 20년 G2에게는 대떡을 23년 BLG에게는 럼자오자레로 패했는데, 4강으로 올라간 두 팀이 담원과 웨이보에게 말 그대로 찢겼다. 젠지만 부관참시된 셈.[85] 2022년에는 그나마 TES가 무려 GAM에게 패배하고 광탈하면서 그래도 4강은 달성한 젠지에 비해 나이트/티안이 비공식 수상자로 평가받았으나, 23년에는 이견 없이 쵸비가 비공식 다데상 수상자라는 평이 압도적이다.[86] 황금기가 끝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국제대회 우승을 차지한 LCK팀은 T1, DK, DRX, 한화생명, 젠지까지 총 다섯 팀인데 이 중에서 2번 이상 우승을 차지한 팀은 T1이랑 젠지 둘뿐이다.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닌 EWC까지 포함하면 T1과 젠지 모두 3회로 늘어난다.[87] 주영달 재임시기 젠지는 반대로 정규시즌에서 발밴픽이 많았다. 물론 월즈라고 발밴픽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었었다.[88] 실제로 2025 MSI에서 1라운드에서부터 G2에서 1점을 내주고 2세트에서도 밀릴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89] 특히 MSI의 팀 포스터에서 T1의 포스터가 서커스단을 연상케 하듯 젠지의 포스터 또한 팀원들이 쵸비를 대표로 내세운 건축회사의 포스터와 같다는 평가를 해주면서 이러한 별명이 확고하게 굳혀지게 되었다.[90] BOT → SPT 포지션 변경.[91] 코치 → 감독 직책 변경.[92] 코치 → 감독 직책 변경.[93] e스포츠에서는 등번호를 지정하는 팀 자체가 많지 않다.[94] 2018 젠지 리브랜딩 이후 젠지는 2022년 쵸비를 영입하기 전까지 우승이 없었으며, 2022년 쵸비 영입 후 LCK 5회, MSI 2회, EWC 1회를 우승하였다.[95] LCK는 4-peat, MSI는 repeat을 달성하였다.[96] 팀명 변경: KSV Esports → Gen.G Esports[97] 엑소더스 이후 팀이 공중분해가 한번 되기는 했지만, 1년만에 롤드컵 준우승을 달성하는 강호로 복귀했다.[98] 거기다 젠지의 채널은 분리가 되어 있지 않아 모든 종목을 합친 채널이다.[99] 심지어 삼성 화이트는 역대 최고의 팀 후보로 자주 거론된다.[100] 리치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페이커급의 위상을 지닌 선수였다.[101] 한화생명이 T1을 잡아내며 담원과 젠지의 정규시즌 1위 2위 기회가 생겼고, 젠지가 농심을 잡아내며 담원이 1위, 한화생명이 선발전을 진출하였으며 담원의 우승으로 인해 젠지가 월즈 2시드로 직행하게 되었다.[102] 라스칼, 라이프[103] 엔비, 카엘[104] 카리스, 쌈디[105] 월즈를 우승한 삼성 갤럭시 시절에도 리그 우승은 다른 팀에게 내줘야 했다.[106] 실제로 4강 당시 관중들의 대다수가 DRX를 연호했으며, 웹상에서 젠지는 노장들의 라스트 댄스를 가로막는 악역 취급을 받았다.[107] 아직 합을 맞춰나가는 단계라 경기력이 매우 좋지 않았다.[108] 지금은 젠지의 감독이지만 과거 삼성갤럭시에 있다가 롱주로 이적했던 김정수 감독의 인터뷰 구설수 때문에 17년에도 약간의 트러블은 있었다.[109] 다만 해당 언행은 후에 손카우터 측에서 해명하여 사건이 일단락되었다.[110] 2024 LCK 서머 결승전을 시작으로 4번 연속 5세트까지 가는 혈전이 펼쳐졌었다. 이 기록은 2025 LCK 결승에서 젠지가 한화생명을 상대로 3대1로 승리하며 마감되었다.[111] 2023 MSI와 월즈에서는 두 번 모두 BLG에게 패하고 탈락하며 만나지 못하게 되었고, 반대로 2024 MSI는 징동의 LPL 스프링 결승진출 실패로 인해 징동이 MSI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만나지 못했다. 2025년에도 페이즈-룰러가 트레이드된 후 징동이 MSI 진출에 실패했다.[112] 이는 푸마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은데, 아놀드 허 대표나 이지훈 단장의 발언에 의하면 푸마 정책 문제로 인해 유니폼 물량을 많이 풀지 못한다고 한다.[113] 다른 한 팀은 유럽의 Fnatic[114] 중국의 RNG(로얄 클럽 기록 포함 시 준우승 / 4강 / 8강 / 그룹 탈락 기록 보유)가 이에 근접한 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우승이 없다.[115] 자회사가 아닌 단일 기업 자체가 e스포츠 기업[116] 스포츠 씬에서 이 두 발언은 상당히 조심스러운 발언이다. 타 팀과의 계약이 어떻게 될 지도 모르기 때문에 선수 생활에 있어서 굉장히 민감한 발언인 것.[진행중] [118] 2018 월즈 당시 그룹 스테이지 1일차 경기 시작 전에 진행되었던 오프닝 세리머니에서 젠지가 디펜딩 챔피언의 자격으로 월즈 트로피를 반납하는 사진이다. 기사, 공식 영상[119] 2025 월즈 개막 전 업로드된 LoL e스포츠 15주년 기념 영상에서 2018 IG와 함께 2017 SSG 스킨의 크로마 출시를 발표하며 젠지가 삼성 갤럭시의 계승자로 소개되는 장면이다. 해당 발표가 이루어지며 8년간 이어져 온 삼성-젠지 계승 논란은 완전히 종결되었다.[120] LoL e스포츠 공식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된 2018 월즈 영상에서 (9분 30초 경) 젠지를 소개하는 문구로 삼성과 2017 월즈 우승을 언급했다. 이후 젠지의 삼성 갤럭시 계승 여부가 논란이 되자 공식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된 2024 MSI 경기 영상에서(8시간 38분 50초 경) 젠지가 LPL 팀을 마지막으로 다전제에서 승리한 날이 삼성의 2017 월즈 WE전에 해당하는 2386일 전이라는 자막을 송출하며 논란을 일축시켰다. 같은 해 공식 계정에 업로드된 2024 월즈 4강 티저 영상에서 (5분 34초 경) 젠지가 과거 T1을 꺾고 새로운 시대를 연 것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삼성 갤럭시의 2017년 우승 장면을 삽입했고, 다음 해에는 공식 계정에 업로드된 2025 MSI 영상에서(1시간 10분 30초 경) 2014년도 이후 삼성 갤럭시와 SKT T1의 상대 전적을 보여주며, 젠지와 T1이 각각 두 팀을 계승하였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2025년 10월 28일에는 역대 젠지의 월즈 성적을 Lol Esports 공식 트위터에 올리며 삼성 시절의 커리어가 젠지의 커리어에 포함 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하였다.[121] 매 시즌 오프닝에 나오는 젠지의 팀 배너에 2014, 2017 월즈 우승을 상징하는 2개의 별을 로고 위에 부착함. 과거에는 롤 파크 상단 배너에도 기록했지만, 2025 시즌을 앞두고 전광판으로 대체되면서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122] 젠지 사옥 종목별 커리어란에 걸려있는 삼성 시설 기록과 젠지 공식 홈페이지.[123] 아놀드 허 CEO의 트윗에 따르면 소환사의 컵 레플리카의 소유권은 그 해 우승 팀에게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아놀드 허는 훗날 젠지가 월즈를 우승하게 된다면 삼성의 엄청난 역사의 일부에 가담했다는 뜻으로 2014, 2017년 레플리카 역시 만들겠다고 한다.[124] 즉 월즈 우승 트로피의 원본은 매해 우승 팀에게 새롭게 제작되어 증여되는 것이 아니라 월즈 우승팀은 라이엇이 가지고 있는 1개의 원본을 1년간 대여받는다는 것이다.[125] 이는 사실인 것이, 실제로 푸마의 스폰서를 마찬가지로 받는 축구단인 AC 밀란의 경우 이 규정 때문에 AC 밀란 위민은 우승 기록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음에도 디자인을 통일하기 위해 AC 밀란과 마찬가지로 엠블럼 위에 별 한개를 붙이는 것으로 통일했다.[126] KBO 한국시리즈 중계에서 SK 와이번스의 우승 기록을 소개할 때 SSG 랜더스의 로고를 사용하지 않고 당시 로고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답이 나올 것이다. 편의상 SSG 랜더스의 로고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SK 와이번스를 언급하지 않고 로고만 표기한다.[127] 당시 삼성에게 로스터를 판매한 구 MVP와 이후 재창단한 신 MVP의 대표가 같은 사람이고 2018 LCK에선 KSV-젠지와 MVP의 맞대결 기록도 있기 때문에, 젠지 쪽에선 MVP 시절의 역사는 포기하고 삼성 인수 이후의 역사만 팀의 역사로 계승하였다고 한다.[128] 실제로 LCK 공식 홈페이지 안에는 이상한 부분이 한 두개가 아닌데, 피어엑스는 초대 전신인 Breath Meta 기준 2016년 12월에 창단한 팀임에도 2015년 창단으로 나와있고 2015 서머와 2016 스프링 참가팀으로 표기 되어있으며, 디플러스 역시 2015 서머와 2016 스프링 참가팀으로 적혀있다. 농심은 I Gaming Star와 ES Sharks의 기록이 통째로 사라져있고 T1은 SKT T1에서 T1으로 팀명을 변경한 시기가 2020 스프링임에도 2020 서머로 나와있다. 젠지 역시 창단년도는 2012년이라 되어있지만, 정작 LCK 첫 참가 시즌은 2013-14 윈터로 나와있다. 만약 정말로 MVP가 젠지의 역사면 MVP 블루의 첫 참가 시즌인 2012 서머로 되어있어야 한다.[129] 최초로 겹치는 우승 스킨이 두 개나 나왔고, 시즌1 Fnatic의 자르반 4세, 시즌2 TPA의 이즈리얼과 겹친다. 게다가 Fnatic 자르반 4세(Cyanide)와 삼성 갤럭시 자르반 4세(Ambition)는 정글러에게 헌정된 스킨이라는 점까지 같다.[130] 이 때문에 최근까지도 젠지가 삼성을 계승한건지, 젠지가 삼성의 시드권만 구매하여 계승한 게 아닌건지 논란이 많았다. 일단 구단 측의 역사 승계 관련 공식 입장은 '라이엇에게 공식적으로 '14년, '17년 월즈 우승 승계/자격 역사를 인정받고 있고, 우승과 관련된 기록은 이어받았지만, 물리적인 자산까지는 물려받을 수 없었다'이다. 트위터 문답, 디스코드 발표본[131] 앞서 언급되어있듯, 유니폼에는 킷 스폰서인 PUMA의 유니폼 제작 규정 때문에 달고 싶어도 달 수가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