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P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Weibo Gaming TapTap | Top Esports | LNG Ninebot Esports | |
Anyone's Legend | Ninjas in Pyjamas | JDG Intel Esports | FunPlus Phoenix | |
LGD Gaming | Thunder Talk Gaming | Oh My God | Invictus Gaming | |
Edward Gaming Hycan | Ultra Prime | Team WE | Royal Never Give Up | |
LD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
<colbgcolor=#de1c27><colcolor=#fff> 팀 더블유이 | ||||
Team WE | ||||
창단 | 2011년 3월 21일 | |||
연고지 | 중국 산시성 시안시 | |||
소속 리그 | LPL | |||
홈 경기장 | Xi'an Qujiang E-sports Center | |||
소유주 | 장웨이 Smallorc | |||
CEO | ||||
매니저 | 리샤오펑 Sky |차오쓰위 milk | |||
리더 | 멍청 bgg | |||
감독 | 장천 Teacherma | |||
코치 | 진광화 JinJin | |||
주장 | ||||
약칭 | WE | |||
우승 기록 | ||||
LPL (1회) | 2017 스프링 | |||
IEM (3회) | 2011 광저우, 2013 상하이, 2014 선전 | |||
RR (1회) | 2017 | |||
NEST (1회) | 2015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1c27><colcolor=#fff> TOP | [[다이이|다이이 Cube ]] | ||
JGL | [[궈치판|궈치판 Tianzhen ]] | |||
MID | [[김홍조|김홍조 Karis ]] | |||
BOT | [[김태윤(프로게이머)|김태윤 Taeyoon ]] | |||
SPT | [[자오저찬|자오저찬 Vampire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 개요2. 주요 경력3. 역사 및 역대 시즌4. 멤버
4.1. Cube(큐브, 다이이)4.2. Tianzhen(티안젠, 궈치판)4.3. Karis(카리스, 김홍조)4.4. Taeyoon(태윤, 김태윤)4.5. Vampire(뱀파이어, 자오저찬)
5. Team WE Academy6. 전 멤버6.1. CaoMei(차오메이, 웨이한둥)6.2. YJTM(우쑹쥔)6.3. if(이프, 추이이)6.4. OldB(올드비, 양승빈)6.5. Aluka(알루카, 펭젠밍)6.6. Styz(스티즈, 쿼지량)6.7. DaDa777(다다777, 팡홍리)6.8. SukiM(스킴, 첸지얀)6.9. Conan(코난, 커이)6.10. 957(957, 커창위)6.11. Clever9(클레버9, 왕즈충)6.12. Teacherma(티처마, 장천)6.13. heal(힐, 펑쥔제)6.14. View(뷰, 천위밍)6.15. Demon(데몬, 우위에웨이)
7. 둘러보기[clearfix]
1. 개요
#KeepYourDreams |
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IEM Season VI - Guangzhou 우승 | ||||
Counter Logic Gaming Prime | → | Team WE | → | Fnatic |
IEM Season Ⅷ - Shanghai 우승 | ||||
CJ 엔투스 블레이즈 | → | Team WE | → | Gambit Gaming |
IEM Season Ⅸ - Shenzhen 우승 | ||||
IEM Ⅷ | → | Team WE | → | Cloud 9 Hyper-X |
NEST 2015 우승 | ||||
Team King | → | Team WE | → | Invictus Gaming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 우승 | ||||
Edward Gaming | → | Team WE | → | Edward Gaming |
2017 Rift Rivals Red Rift 우승 | ||||
대회 개최 | → | LPL[1] | → | LPL[2] |
준우승 경력 | ||||
NEST 2013 준우승 | ||||
출범 | → | Team WE | → | Edward Gaming |
Demacia Cup Season 1 & Season 2 준우승 | ||||
출범 | → | Team WE | → | Invictus Gaming |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 준우승 | ||||
Fnatic | → | Team WE | → | Fnatic |
2020 Demacia Cup 준우승 | ||||
Edward Gaming | → | Team WE | → | FunPlus Phoenix |
NEST 2021 준우승 | ||||
Rogue Warriors | → | Team WE | → | FunPlus Phoenix |
3. 역사 및 역대 시즌
Team WE | |
팀 더블유이 | |
| |
4. 멤버
4.1. Cube(큐브, 다이이)
문서 참조.
4.2. Tianzhen(티안젠, 궈치판)
문서 참조.
4.3. Karis(카리스, 김홍조)
문서 참조.
4.4. Taeyoon(태윤, 김태윤)
문서 참조.
4.5. Vampire(뱀파이어, 자오저찬)
문서 참조.
5. Team WE Academy
Team WE Academy 항목 참조.6. 전 멤버
- 연형모(Sin) - Team M3로 이적.
- 위징시(Misaya) - Team Fighter로 이적.
- 강승록(The shy/Streamer) - Invictus Gaming으로 이적.
- 이다윤(Spirit) - Fnatic으로 이적.
- 저우차오(LaoZhou) - Mighty Eagle로 이적.
- 커즈(Zbb) - Mighty Eagle로 이적.
- 정수빈(Raison) - 은퇴
- 남동현(Ben) - Topsports Gaming으로 이적.
- 샹런제(Condi) - LGD Gaming으로 이적.
- 후즈웨이(Pepper) - Victory Five로 이적.
- 허신(694) - Team WE Academy로 이적.
- 진성준(Mystic) - Afreeca Freecs로 이적.
- 박기태(Morgan) - Hanwha Life Esports로 이적.
- 문성민(TiGhT) - Team WE Academy으로 이적
- 김민철(Poss) - CERBERUS Esports로 이적.
- 배호영(Plex) - LNG Esports로 이적.
- 리하오옌(Mole) Invictus Gaming로 이적.
- 자오자하오(Elk) - Ultra Prime로 이적.
- 천천(Breathe) - Bilibili Gaming Pingan Bank로 이적.
- 러우윈펑(Missing) - JD Gaming로 이적.
- 한진(Smlz)
- 장즈펑(beishang)
- 쑤한웨이(xiye)
- 위레이신(Biubiu)
- 왕제(Hope) - Anyone's Legend로 이적.
- 추이샤오쥔(Shanks) - Anyone's Legend로 이적.
- 이채환(Prince)
- 랴오딩양(Iwandy)
- 위옌샹(Yanxiang)
- 리페이(LP)
- 다이즈춘(Able)
- 황런싱(Wayward)
- 링쉬(Mark)
- 양추이헝(Heng) - Oh My God로 이적.
- 주쥔란(FoFo) - PSG Talon로 이적.
6.1. CaoMei(차오메이, 웨이한둥)
파일:external/upload.inven.co.kr/i4793260171.jpg탑솔 플레이어. 아이디의 의미인 딸기와 어울리지 않는
IPL5 에서 CLG.EU와의 69분혈전에서 렝가로 엄청난 백도어 능력을 보여주면서 偷塔狂魔(투탑광마)[3] 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중국 내에서의 인기는 막눈급의 위상을 달리고 있다.2014 롤스타전 투표에선 5671268표 라는 지지 하에 1위로 올스타전에 나갔다.
그러나 부친상으로 1일차 일정만 소화하고 귀국했다. 대타는 OMG cool
8월 말 팀의 롤드컵 진출이 좌절되면서, 은퇴를 선언하였다. 은퇴후엔 프로게이머 생활 말에 결혼한 아내와 함께 두딸의 아버지가 되었으며 VC Gaming[4]의 오너로써 활동하다가 인터넷 방송을 하고있다..
6.2. YJTM(우쑹쥔)
전 정글러 담당. 나서스 정글이 정석이 되기전부터 나서스 정글을 하기도 했고 이렐리아 정글을 하기도 했었다. 2012년 8월 25일로 ClearLove로 교체되었다.
6.3. if(이프, 추이이)
전 서포트 담당으로 소라카와 타릭을 주로 했다고 한다. 2012년 9월 6일에 팀을 떠났다.
6.4. OldB(올드비, 양승빈)
팀을 떠난 연형모의 뒤를 이어 2014년 8월 28일 부로 입단한 Prime Optimus 출신의 한국인 정글러. 이는 전에 같은 팀 소속이었던 닌자 노건우 선수와의 호흡을 고려한 걸로 보인다. 형제팀이였던 WE.A의 Khan(구 한라봉) 김동하 선수와도 한솥밥을 먹던 사이라는 점이 팀에 적응하는데 있어 큰 플러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WE가 이다윤을 영입하면서 밀려날 징조가 보이더니 결국 Khan과 함께 WE의 새로운 2팀인 WE.F 소속으로 출전하게 되었으나, 현재는 한국에 돌아와 있는 것으로 알려짐.6.5. Aluka(알루카, 펭젠밍)
PE 출신의 탑라이너로 새로운 WE의 탑라이너로 영입되었다. 평은 별로 좋지 않은편으로 그나마 탱커를 잡는 것이 낫다라는것이 중론 그래도 IEM에서 사이온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줘 밴을 이끌어 낼만큼 탱커를 플레이하는 것이 확실히 낫다. 이외에 마오카이, 헤카림 등으로 그나마 사람같은 플레이를 한다.콩가루였던 WE에서 가장 인성이 좋은 플레이어인 모양. 이성은 감독도 여러 차례 칭찬했고 전반적인 관계자들 평판이 좋다. 실력 말고 인성에 대해서만(...) 탱커 이외의 탑챔프를 정말 못하기 때문에 갈아야 한다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는 플레이어. 2015 NEST에서는 사이온 장인다운 플레이를 보여주며 우승에 공헌했으나 2016 시즌의 탑 메타가 탱커일지 아닐지는 까봐야 안다는 것이 문제.
은퇴이후엔 4AM이라는 팀으로 배틀그라운드에서 GODV와 함께 활약하다가 프로 은퇴를 선언했다.
6.6. Styz(스티즈, 쿼지량)
웨이샤오의 뒤를 이은 WE의 새로운 원딜러다. LGD 출신의 원딜러다. LGD시절에 계약관련 문제로 1년간 LPL 리그 출전정지를 당한 상태였다. 여담으로 좋아하는 선수가 Team M3의 원딜러 SmLZ다. 그러나 SmLZ는 현재 서브로 밀려나 있다(...)SI에 게스트로 초대된 LPL 분석가가 최악이라고 깐 선수인데 코치인 훈이 무척 신뢰했다.
오죽하면 미스틱이 빠졌는데 NESO에 미드 서브인 Sukim이 대신 원딜로 나왔다. 말이 필요한지?
현재는 에이콘이 소속된 세인트 게이밍의 원딜러. 근데 WE 시절보단 조금 잘한다. 그것도 서폿이 보통 트롤러가 아닌데도.
6.7. DaDa777(다다777, 팡홍리)
OMG의 새 서포터였던 Cloud의 자리를 이은 새 서포터 담당으로[5] 주 챔피언은 쓰레쉬 중국 내 에선 던전앤파이터 네임드로 유명했다. 직업은 웨펀마스터 그러나 롤에서의 모습은 진짜 좋지 않은 편인데 국내외 전문가와 팬들을 막론하고 OMG의 구멍으로 가장 먼저 뽑는 선수가 이 선수일 정도로 진짜 못한다.
사실 절대적인 피지컬이 그렇게 나쁘다고 봐야 하는지는 애매한데, 다른 게임을 주로 하다 와서 그런지 롤에 대한 이해도가 여러 가지로 정말 별로다.
LPL 영문 캐스터 Froskurinn은 이 선수가 쓰레쉬 브라움도 잘 하지는 못하지만 나미는 정말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라고 평가. 오죽하면 선발전에서 잔나를 픽하자 도저히 나미를 못해서 잔나를 고른다며 깠다.
시즌4 롤드컵 조별리그에서도 정말 한숨이 나오는 경기력을 선보여 OMG를 벼랑끝까지 몰았다. Cool과 Loveling, San이 전부 부진했는데도 이들보다 압도적인 존재감(...)을 발휘했을 정도. 더블리프트는 다다를 데리고 8강에 진출한 것만으로 San의 원딜 실력은 의심할 필요가 없다고 평가했다. 어느 한국 팬은 이번에 외국선수 아이디를 딱 두 개 외웠는데 Dada777과 Amazing이라고(...)[6]
결국 OMG가 특단의 조치를 내려 토너먼트부터 Cloud를 다시 주전으로 기용하기로 했다. 8강 진출 직후부터 Cloud가 San과 미리 호흡을 맞추고 있었다고.[7]
그리고 결국 한동안 1경기도 안나오다가 결국 WE로 이적했다라는 소식이 떴다. 닉네임은 SunnGoo라는 다소 희한한 닉으로 변경. 이스포츠피디아에 주전이라 되어 있으나 당연히
그리고 WE 전 코치와 스피릿의 디스전에 끼어들어 갑자기 '그래 다 문제가 있었어, 그래도 시예랑 미스틱은 나름 잘하는 것 같아. 그리고 훈이 스크림 끝나고 선수들 데리고 대난투 하러가서 시끄러웠어.' 라며 알루카, 코난, 훈
6.8. SukiM(스킴, 첸지얀)
misaya의 빈자리를 메운 WE의 새 미드 담당 신드라 장인이다.[9]그러나 다음 시즌 정글러가 한국인으로 들어오면서 어쩔수없이 바꿨다고 한다.
하지만 닌자가 그 다음 시즌에 임대로 쫓겨나서 일단 서브 지위는 유지 중이다. 문제는 시예가 수킴보다 잘한다(...)
그런데 NESO에는 미스틱이 빠져서 원딜로 출전했다.
6.9. Conan(코난, 커이)
Fzzf의 빈자리를 메운 WE의 새 서포터. 소나와 나미를 주로 다룬다.
초반에 영입되었을때 웨이샤오하고는 안맞는 스타일의 서포터라는 평이 지배적이였으나 EDG 창단과 미사야 은퇴로 리빌딩을 했을때 멤버 3명중 나머지 2명이 벤치로 가고
안정적인 서포터이긴 하나 단지 그것뿐. 특별한 챔프폭이나 다른 슈퍼플레이를 보여주는 것도 아닌 그저 무난무난한 수준.
2018 서머 시즌 직전에 전력분석가로 재영입되었다.
6.10. 957(957, 커창위)
문서 참조.
6.11. Clever9(클레버9, 왕즈충)
2019년 12월 17일 Team WE에서 Team WE Academy로 이전됐다. #
6.12. Teacherma(티처마, 장천)
플렉스가 지난 시즌 부진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이자 투입된 현지인 미드라이너. 일단 3연승 양학기간에 특별한 감상을 내리긴 어렵다.
그래도 이번 시즌 부진한 plex를 대신해 나와서 신인치고는 엄청난 활약을 해줘 Team WE가 포스트 시즌에 가는데 큰 기여를 했다. 시즌 후반부터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럼블, 아우렐리올 솔, 갈리오 등 로밍형 챔프들을 잘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로밍형 미드 챔프 한정으로 세체미급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하지만 로밍형 원툴로 봐도 될 정도로 나머지 챔프에 대한 능력은 아직까지는 보여주지는 못했다. 만약에 공격형이나 성장형 미드라이너 역할을 로밍형만큼 할 수 있다면 정말 세체미급의 잠재력을 가진 선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능은 확실하지만 그 재능의 범위가 정말 좁은 선수면서 다른 약점들이 아주 두드러지지는 않아도 잡다하게 많은 선수다 보니, 쉬운건 아니다. 당장 우승팀 미드에 걸맞은지 소소하게 논란이 되는 야가오의 데뷔시즌과 비교해도 티처마의 데뷔가 인상적이라 보긴 어렵다. 어쨌든 야가오는 라인전이 막강하지 못해서 그렇지 데뷔시즌부터 조이, 르블랑 등으로 해내는 변수 창출은 상당한 클래스였다.
이선수의 진짜 장점은 이니시, 한타를 보는 능력이다. 이 선수가 하는 이니시는 틈새를 잘 공략했다 수준을 넘어서 이런 각을 볼 수 있다고 궁금증을 자아내는 수준이다. 갈리오,트페, 럼블 등등의 챔프를 가지고 이니시를 하는 장면들을 보면 티처마만의 이니시각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선호 챔프폭이 사실은 로밍형 챔프가 아니라 ap+범위형 스킬+cc기를 가진 챔프인데 어쩌다 우연히 로밍형 챔프랑 겹쳐서 로밍형 선수라고 착각을 했을 수 있다.
사실 팀의 원딜러인 주멍이 도저히 한타를 잘하는 원딜러라고 보기 어려운데, WE 팀의 한타는 흔히 원딜무쌍으로 불리는 극후반만 안가면 무지막지하게 세다.
그러나 결국 기본기를 비교적 덜 요구하는 챔프들로도 지속딜 포지션이나 버스트딜 각을 이니시 각과는 매우 대조적으로 잘 못 보는 편이고, CS 수급은 LPL 주전 미드 중에는 거의 최하급이다 보니 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팀의 체급에 제한을 걸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현실적으로 CJ 시절 스카이가 BDD로 넘어가는 징검다리로 여겨진 것처럼, WE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유망주 샹크스가 터져줘야 하고 티쳐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줄 가자미형 미드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샹크스가 1군으로 올라오고 몰도 영입된 2021년에는 반쯤 은퇴상태로 개인방송을 하고 가끔 LPL 분석방송에 출연하고 있다.
샹크스가 뛰든 몰이 뛰든 2021년의 WE 3.0이
6.13. heal(힐, 펑쥔제)
IG.Y 소속이었으며 2020 LPL 스프링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
이전 닉네임이 SANDBOX Gaming의 미드라이너 FATE와 같다.
2021 스프링을 앞두고 RW에 입단하였다.
RW에서의 경기력은 최악이었다 결국 츄츄에게 주전을 뺏기고 스프링 시즌 이후 팀에서 방출되어 서머시즌은 V5에 취직은 성공했지만 거기서도 TT의 패치와 더불어 리그 최악의 서포터 기량을 선보였다 그후 2022시즌에 Royal Club에 간신히 취업에 성공했다. 전형적인 2군 여포 노망주 서폿이다.
이후 WE로 이적했다. 닉네임도 Reheal에서 heal로 변경했다.
6.14. View(뷰, 천위밍)
前 쑤닝의 유스 정글러. 소프엠의 서브로 소속되어있었으나 딱 1경기에만 출전 했을 뿐 소프엠을 밀어낼 정도의 재능은 아니기에 WE로 이적했다. WE에서도 원래 주전 정글러 베이샹의 서브 선수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베이샹의 시안시 격리 상황으로 인해 당분간 주전 자리를 낙점 받았다. 답이 없는 팀에서 그나마 샹크스와 함께 고군분투하는 선수.
6.15. Demon(데몬, 우위에웨이)
전패를 기록중인 팀의 특단으로 LDL에서 급하게 콜업된 선수답게 미숙한 모습이 돋보이는 선수이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Oh My God ★ | Positive Energy ★ | Edward Gaming ★ ★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Edward Gaming ★ ★ ★ | LGD Gaming ★ | Royal Never Give Up ★ | Edward Gaming ★ ★ ★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Team WE ★ | Edward Gaming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Invictus Gaming ★ | FunPlus Phoenix ★ | JD Gaming ★ | Top Esports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Royal Never Give Up ★ ★ ★ ★ | Edward Gaming ★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 Bilibili Gaming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d72b6> | Intel Extreme Masters League of Legends 부문 역대 우승팀 |
[1] 2017 WE, RNG, EDG, OMG[2] 2018 RNG, EDG, RW, IG[3] 탑을 훔치는 광전사 라는 뜻이 얼추 되는걸로 봐선 백도어하는 광전사라는 뜻으로 추측된다.[4] Vici Gaming이 아니다[5] 근데 말이 새 서포터 담당이라지만 시즌3 롤드컵때에도 OMG의 벤치에 있었을 정도로 경력 자체는 오래되었다. PE로 이적했다가 OMG로 복귀했다고도 한다.[6] 그러나 단순히 임팩트만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종합적으로 보면 어메이징에게 많이 실례다. 어메이징은 정글러로의 본분에 충실하나 인상적인 컨트롤 미스가 나올 뿐이고 다다는 라인전 와딩 모조리 못하면서 쓰로잉까지 하는 것이라서(...)[7] 아예 조별리그에서도 스크림은 다다가 참여했지만, San은 듀오랭크를 클라우드와 돌렸다는 이야기도 있다.다다는 대체 정체가 뭐냐[8] 오히려 몇몇 커뮤니티에서 좆문가 취급 받는김몬테를 비롯한 해외 쪽 의견을 들어보면 대체로 Cloud의 출전여부가 승패를 바꿀 것이라 추측했다.[9] 그리고 그 모습을 보여주듯이 사실상 데뷔전이였던 데마시아 컵 에서 신드라의 밴픽률이 10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