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8:36:00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2025 시즌]]{{{#!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68a48> 파일:LCP 심볼 블랙.svgLCP
참가팀
}}} ||
'''{{{#!wiki style="color: black;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Vikings Esports 로고 심플.svg 파일:GAM Esports 로고.svg
파일:대만 국기.svg CTBC Flying Oyster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lon 파일:베트남 국기.svg MGN Vikings Esports 파일:베트남 국기.svg GAM Esports
파일:Secret_Whales_lightmode.png파일:Secret_Whales_darkmode.png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파일:Chiefs Esports Club 2024 로고.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Team Secret Whales 파일:일본 국기.svg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파일:일본 국기.svg DetonatioN FocusMe 파일:호주 국기.svg The Chiefs Esports Club
PCS 참가팀 VCS 참가팀 LJL 참가팀 LTS 참가팀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000><colcolor=white>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창단 2019년 12월 20일
소속 리그 LCP
모기업 소프트뱅크 그룹
소유주 손 마사요시
단장 유치호 유토
YutoUchiho
매니저
yasupenber
감독 [[김지환(1993)|김지환
Moment
]]
코치 [[가민준|가민준
Gamin
]]
약칭 SHG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우승 기록
LJL
(2회)
2024 스프링, 2024 서머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세 슌스케|무라세 슌스케
Evi
]]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모토 요시키|후지모토 요시키
YellowYosh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현민|전현민
Courag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수혁|유수혁
FAT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일본 국기.svg [[시마야 레이|시마야 레이
Marbl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광우|양광우
Gaeng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주요 기록3. 역사 및 역대 시즌4. 로스터
4.1. Evi(에비, 村瀬俊介, Shunsuke Murase, 무라세 슌스케)4.2. YellowYoshi(옐로우요시, 藤本良樹, Yoshiki Fujimoto, 후지모토 요시키)4.3. Courage(커리지, 전현민)4.4. FATE(페이트, 유수혁)4.5. Marble(마블, 島谷れい, Rei Shimaya, 시마야 레이)4.6. Gaeng(갱, 양광우)
5. 前 로스터6. SHG Academy7. 둘러보기

1. 개요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2025 LCP Season Kickoff SHG.jpg
#SHGWIN
일본프로야구에서 활동 중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모체로 한 일본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1] 팀 약자는 SHG.

LJL 2020 시즌 프랜차이즈 심사를 통과해 최초로 참가하며, 5대 리그 팀 중 지역명이 공식 팀명에 포함된 5팀 중[2] 하나이다. 또한 LPL 팀들과는 달리 국제전에서도 지역명을 빼지 않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으로 참가하다 보니 중계진이 급할 때는[3] 약자인 SHG로 부르는 일이 많다. 2020년 프랜차이즈 심사 통과 이후 데뷔 시즌부터 다양한 한국인 선수로 기용했던 DFM, SG과 마찬가지로 기대를 모으며 두각을 드러냈고 LJL에서 3강체제까지 위협할정도로 팀으로 매김하며 LJL 2024 Spring Split에서 창단 첫우승을 차지하며 FENNEL, PENTAGRAM, DFM, V3에 이어 역사상 5번째 LJL 우승팀이 되었다.

이후 2024년 11월 3일 LCP의 공식 파트너 십으로 참가하며 시즌을 활약하고 있다.

2. 주요 기록

우승 기록
LJL 2024 Spring 우승
LJL 2024 Summer 우승
DetonatioN FocusMe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미정
준우승 경력
LJL 2023 Summer 준우승
Sengoku Gaming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DetonatioN FocusMe
2024 PCS Spring Split 준우승
2024 PCS Summer Split 준우승
CTBC Flying Oyster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미정

3.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 화이트.svg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 화이트.svg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

4. 로스터

4.1. Evi(에비, 村瀬俊介, Shunsuke Murase, 무라세 슌스케)

파일:SHG_Evi_2024_Split_2.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라세 슌스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라세 슌스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라세 슌스케#|]][[무라세 슌스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YellowYoshi(옐로우요시, 藤本良樹, Yoshiki Fujimoto, 후지모토 요시키)

파일:SHG_YellowYoshi_2023_Split_1.web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지모토 요시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지모토 요시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지모토 요시키#|]][[후지모토 요시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Courage(커리지, 전현민)

파일:KDF.C_Courage_2024_Split_2.web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현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현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현민#|]][[전현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FATE(페이트, 유수혁)

파일:유수혁.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수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수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수혁#|]][[유수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Marble(마블, 島谷れい, Rei Shimaya, 시마야 레이)

파일:SHG_Marble_2024_Split_2.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마야 레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마야 레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마야 레이#|]][[시마야 레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Gaeng(갱, 양광우)

파일:SG_Gaeng_2024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광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광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광우#|]][[양광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前 로스터

  • 호소가이 노리미츠(Pooh/SPT): 2020년 11월 계약 종료.
  • 박보헌(Honey/BOT): 2020년 11월 계약 종료. 이후 AXIZ로 이적.
  • 키무라 나오야(Arumik/TOP): 2020년 11월 계약 종료.
  • 이안 피어스(Corporal/SPT): 2021년 11월 계약 종료. 이후 ORDER로 이적.
  • 하시모토 요시키(dresscode/BOT): 2021년 12월 계약 종료. 이후 V3 Esports로 이적.
  • 나고 이부키(Ibuki/BOT): 2022년 2월 계약 종료.
  • 전태권(Zenit/BOT): 2022년 2월 계약 종료.
  • 오쿠보 신(Raina/SPT) : 2022년 12월 5일 계약종료
  • 이문용(Tussle/JGL): 2024년 11월 12일 계약 종료.
  • 오다기리 료(apaMEN/TOP): 2022년 2월 은퇴. 이후 2023년 8월 DetonatioN FocusMe에서 현역 복귀.
  • 오자와 오사무(Ramune/MID): Sengoku Gaming으로 이적.
  • 강선구(Blank/JGL): 2023년 11년 22일 계약 종료.
  • 이현서(Forest/JGL) : 2024년 11월 19일 종료
  • 오효성 (Vsta/SUP) : 2024년 11월 19일 종료
  • 김덕범 (DasheR/MID) : 2024년 11월 19일 종료

6. SHG Academy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 화이트.svg
<colbgcolor=#000><colcolor=white>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 아카데미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Academy
창단 2021년 8월 30일
해체 2024년 1월 21일
약칭 SHGA
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svg파일: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로고(2020~2024) 화이트.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우승 기록
LJLA
(1회, 최다)
2023 시즌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1년 8월 30일, 새로 출범한 LJL Academy League를 위해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산하에 창설된 팀이다.

2024년 LJLA가 PCL로 통합되면서 해체되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파일:소프트뱅크 그룹 로고.svg 소프트뱅크 그룹
일본시리즈 우승
★★★★★★★★★★
1959 · 1964 · 1999 · 2003 · 2011 · 2014 · 2015 · 2017 · 2018 · 2019 · 2020
리그 우승
(22회)
1946 · 1948 · 1951 · 1952 · 1953 · 1955 · 1959 · 1961 · 1964 · 1965 · 1966 · 1973 · 1999 · 2000 · 2003
2010 · 2011 · 2014 · 2015 · 2017 · 2020 · 2024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73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09 · 2010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2024
시즌별 요약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현역 선수 경력 야나기타 유키/선수 경력 · 야마카와 호타카/선수 경력 · 콘도 켄스케/선수 경력 · 아리하라 코헤이/선수 경력 · 마츠모토 유키(야구선수)/선수 경력 · 오츠 료스케/선수 경력 · 마사키 토모야/선수 경력 · 사사가와 요시야스/선수 경력 · 마에다 유고/선수 경력 · 이와이 슌스케/선수 경력 · 우와사와 나오유키/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2군 HAWKS 베이스볼 파크 지쿠고 · 과거 오사카 구장 · 헤이와다이 야구장
지방 홈구장 키타큐슈 시민구장 ·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 헤이와리스 구장 · 히나타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홈 중계 채널 파일:스포츠라이브 로고.png 스포츠 라이브+
주요 인물 구단주 손 마사요시 · 단장 미카사 스기히코 · 감독 고쿠보 히로키 · 선수회장 슈토 우쿄 · 주장 쿠리하라 료야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산하 e스포츠 구단 · 10.2 결전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1] 두산 베어스두산 핸드볼선수단처럼 서류상으로 야구단 산하인 점, 한화 이글스한화생명e스포츠처럼 사실상 그룹 동료로 관계가 밀접한 사례가 혼합된 경우.[2] JDG, NIP, WE, LNG, SHG.[3] 주로 동양 중계진이. 서양 중계진은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