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20:53:47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25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역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파일:소프트뱅크 그룹 로고.svg 소프트뱅크 그룹
일본시리즈 우승
★★★★★★★★★★
1959 · 1964 · 1999 · 2003 · 2011 · 2014 · 2015 · 2017 · 2018 · 2019 · 2020
리그 우승
(22회)
1946 · 1948 · 1951 · 1952 · 1953 · 1955 · 1959 · 1961 · 1964 · 1965 · 1966 · 1973 · 1999 · 2000 · 2003
2010 · 2011 · 2014 · 2015 · 2017 · 2020 · 2024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73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09 · 2010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2024
시즌별 요약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현역 선수 경력 야나기타 유키/선수 경력 · 야마카와 호타카/선수 경력 · 콘도 켄스케/선수 경력 · 아리하라 코헤이/선수 경력 · 마츠모토 유키(야구선수)/선수 경력 · 오츠 료스케/선수 경력 · 마사키 토모야/선수 경력 · 사사가와 요시야스/선수 경력 · 마에다 유고/선수 경력 · 이와이 슌스케/선수 경력 · 우와사와 나오유키/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2군 · 3군 HAWKS 베이스볼 파크 지쿠고 · 과거 오사카 구장 · 헤이와다이 야구장
지방 홈구장 키타큐슈 시민구장 ·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 헤이와리스 구장 · 히나타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홈 중계 채널 파일:스포츠라이브 로고.png 스포츠 라이브+
주요 인물 구단주 손 마사요시 · 단장 미카사 스기히코 · 감독 고쿠보 히로키 · 선수회장 슈토 우쿄 · 주장 쿠리하라 료야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산하 e스포츠 구단 · 10.2 결전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년 슬로건.svg
2025시즌 슬로건 「[ruby(PS!, ruby=ピース)] Professional Spirit」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 시즌 성적
퍼시픽 리그 순위 승패 마진 승률 1위와의 승차
1 / 6 84 4 51 +33 0.622 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주년(2025년)기념 엠블럼.svg
20주년 기념 엠블럼
1. 개요2. 오프 시즌3. 정규 시즌
3.1. 3~4월3.2. 5월3.3. 6월3.4. 7월3.5. 8월3.6. 9월
4. 총평5. 둘러보기

1. 개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시즌을 서술한 문서.

2. 오프 시즌

3. 정규 시즌

3.1. 3~4월

치바 롯데 마린즈와의 홈구장 개막 3연전을 모두 역전패로 날려버리는 최악의 시작[1]으로 25시즌의 막을 열더니 계속해서 패전을 거듭한 끝에 1996년[2] 이래 29년 만에 4월을 최하위로 마무리지으면서 작년에 압도적인 성적으로 리그를 제패한 팀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의 부진을 겪고 있다.

부진의 가장 큰 문제는 주전들의 줄부상. 시즌 시작 전부터 쿠리하라 료야의 부상을 시작으로 콘도 켄스케, 야나기타 유키[3], 마사키 토모야[4], 슈토 우쿄[5], 이마미야 켄타[6] 등 팀의 주력 타자들이 차례차례 부상으로 빠져나간 상태이다. 쿠리하라는 4월 도중에 돌아왔지만 나머지는 빠르게 회복 중인 콘도를 제외하고는 언제 돌아올지 기약이 없는 상황이며 그 콘도마저 빨라도 5월 후반에야 복귀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나머지 타자들이 잘 해주느냐면 그것도 아니라는 게 문제. 개막전부터 계속 4번 타자를 꿰차고 있는 야마카와 호타카는 한 번 몰아친 후 다시 긴 시간을 부진에 빠지는 사이클을 4월 내내 반복해 4월 25일 라쿠텐과의 센다이 원정 경기에서는 앞 순번인 쿠리하라 료야고의사구로 출루한 뒤 승부하게 되는 굴욕도 겪었다.[7] 쿠리하라가 부상으로 개막 선발 출장이 불가능해지며 대타로 나왔던 스나카와 리처드는 공수 양면에서 답이 없는 모습만 보여주다 2군으로 떨어졌고 이 외에도 지터 다운스, 타니가와라 켄타 등도 별반 다를 거 없이 2군행에 남아있는 마키하라 타이세이 등도 부진에 빠져있는 상태다. 이렇게 부상과 부진의 소용돌이 속에서 5월 1일 기준 개막전 스타팅 라인업에서 살아남은 선수는 야마카와밖에 없으며 야마카와의 상태는 상술한 대로이다. 우미노 타카시, 미네이 히로키, 와타나베 리쿠 등의 포수진들은 FA로 쿄진으로 떠난 카이 타쿠야의 공백을 팬들에게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고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선수들 중 야나기마치 타츠루, 나카무라 아키라가 나름대로 분전하고 있지만 이들의 노력만으론 택도 없을 만큼 팀이 총체적 난국에 빠져 있다.

투수진도 마찬가지인 상황으로, 팀 평균자책점이 3.14로 12구단 중 9위로 부진하고 있고 특히 중간 계투들의 방화로 경기를 날려먹는 일이 허다해서 팬들을 골때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고쿠보 히로키의 운용 능력 및 전술의 문제점은 2025 시즌 초반에도 여전해 팬들의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3.2. 5월

3.3. 6월

6년만에 교류전 우승을 기록하며 교류전 종료기준 36승 29패 3무로 선두 닛폰햄과 3경기차 3위까지 올라섰다.

3.4. 7월

전반기 종료시점에서 51승 4무 34패로 선두 닛폰햄과 2경기차 2위를 기록했다.

7월 29일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에서 펼쳐진 1위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하면서 최하위까지 떨어졌던 팀이 기어코 1위 자리를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7월 30일 경기에서 패배하여 하루만에 다시 2위로 내려왔다.

7월 31일 5:4로 한 점차 신승을 거두며 다시 1위 자리를 빼앗는데 성공했다. 이로써 닛폰햄 원정에서 2승 1패로 위닝시리즈를 거뒀다.

3.5. 8월

1일 부터 3일까지 홈에서 펼쳐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의 3연전에서 스윕승을 거두면서 1위 자리를 유지, 최고의 팀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3연전 선발투수인 우와사와 나오유키, 아리하라 코헤이, 오제키 토모히사가 모두 선발승을 거두고, 타선도 3일간 19득점이나 뽑아낼 정도로 환상적인 투타밸런스를 보여주고 있다.

9일 부터 11일까지 1위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 홈에서 3연전을 치뤘고, 결과는 3연전 스윕을 달성하는 쾌거를 거두면서 4경기 차이로 벌리며 1위 자리를 더욱 확고하게 굳히는데 성공했다.

3.6. 9월

시작부터 소프트뱅크 전용 호구 오릭스를 가볍게 스윕하고 오릭스는 반대로 니혼햄을 스윕하는등 사실상 거의 우승을 확정 짓는 분위기로 나아가고 있었으나.... 우승을 결정지을줄 알았던 홈 오릭스 4연전에서 모두 1점차로 내주는 어이가 없는 대사건이 발생했다. 다행히 닛폰햄도 같은 시기 부진하면서 승차가 큰 변동은 없었으나 포스트시즌을 앞두고 심각한 졸전을 벌이면서 이대로면 또 지난시즌의 악몽이 되풀이 될 위기에 처했다. 당연히 고쿠보는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다행히도 27일 세이부전에서 승리하면서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시즌 초 최하위부터 시작하여 리그 우승까지 이뤄낸, 일본프로야구 역사에 남을 드라마틱한 UTU시즌이 되었다.

4. 총평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구단별 2025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신 타이거스 90주년(2025년)기념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주년(2025년)기념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원형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히로시마 도요 카프 치바 롯데 마린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주니치 드래곤즈 오릭스 버팔로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1] 구단 사상 처음으로 홈구장 개막 3연패를 당한 것도 모자라 후쿠오카현으로 연고지를 옮긴 이래 첫 개막 3연패가 되었다. 참고로 호크스의 과거 개막 3+연패 기록은 과거 오사카부 시절 난카이 호크스의 마지막 시즌이었던 1988년에 기록한 개막 7연패가 최다 기록이다.[2] 일본생명 구장 날계란 투척 사건이 벌어졌던 바로 그 시즌이다.[3] 처음엔 5월 상순 복귀를 목표로 했으나 4월 29일에 고쿠보 히로키 감독이 경기 시작 전 인터뷰에서 야나기타의 골절 가능성을 시사해 사실상 더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4] 아탈구 수술로 복귀에만 5~6개월이 소요되어 사실상 시즌 아웃이 확정되었다.[5] 4월 23일 오릭스전에서 사구를 맞은 뒤 계속 휴식 중이었는데, 처음에는 가벼운 증상인 걸로 보였으나 5월 1일에 오른쪽 종아리뼈 골절이 확인되었다. 하필 부상 전까지 팀 내에서 OPS 1위를 달리며 테이블 세터로써 맹활약하던 중이라 부상이 더욱 뼈아픈 상황.[6] 4월 30일 닛폰햄 전에서 야나가와 타이세이에게 사구를 맞고 다음 날 말소되었다.[7] 그리고 이 승부수가 들어맞아 야마카와는 해당 타석에서 2루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경기 자체는 소프트뱅크가 9회 초 미네이 히로키의 희생 플라이로 1:0 승리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