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5:24:37

항저우 스파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Bilibili Gaming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오버워치 리그 로고 2.svg
오버워치 리그 참가 팀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word-break:keep-all"
동부 서부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3.svg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댈러스 퓨얼 LA 발리언트 LA 글래디에이터즈 뉴욕 엑셀시어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파일:베이거스 이터널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서울 다이너스티 런던 스핏파이어 밴쿠버 타이탄즈 베이거스 이터널
파일:서울 인페르날 로고 1.svg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서울 인페르날 청두 헌터즈 보스턴 업라이징 샌프란시스코 쇼크 애틀랜타 레인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항저우 스파크 워싱턴 저스티스 토론토 디파이언트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각 지역 오버워치 프로게임단 목록
}}}}}}}}} ||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svg
<colbgcolor=#fa7298><colcolor=#fff> 항저우 스파크
Hangzhou Spark | 杭州闪电队
창단 2018년 9월 7일
활동 중단 2023년 10월 28일
연고지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
디비전 동부 (East)
홈 경기장 Hangzhou Grand Theater
Wuzhen Grand Theatre
테마 곡 That Kid CG - Bow Down
아카데미 Bilibili Gaming
모기업 빌리빌리
오너 파일:중국 국기.svg 천루이
Rui Chen
대표 파일:중국 국기.svg 천유유
So
단장
매니저 파일:중국 국기.svg 장하오
gandolf
약칭 HZS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활동 중단 당시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a7298><colcolor=#fff> 감독 파일:중국 국기.svg 옌샤오
creed
코치 파일:중국 국기.svg 장지항
Yaoxie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중국 국기.svg 23. [[황신(프로게이머)|황신
Leave
]]
파일:중국 국기.svg 17. [[정양제|정양제
shy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중국 국기.svg 8. [[쉬추린|쉬추린
Guxue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중국 국기.svg 18. [[천징이|천징이
Lengsa
]]
파일:중국 국기.svg 89. [[저우샹|저우샹
Mmonk
]]
파일:중국 국기.svg ?. [[리줘|리줘
Pineapple
]]
}}}}}}}}}}}}}}} ||
팀 컬러 및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팀 컬러
2023 시즌 유니폼
파일:항저우 스파크(앞).png 파일:항저우 스파크(뒤).png
앞면 뒷면 }}}}}}}}}}}}
1. 개요2. 상세3. 수상 기록4. 대회 기록5. 구성원
5.1. 로스터 연혁5.2. 스태프 연혁
6. 아카데미 팀7. 기타
7.1. 2019 시즌7.2. 2020 시즌
8.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항저우 뉴 로스터.jpg
#SparkIt | #LITITUP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했던 중국 항저우시 연고의 프로팀.
약칭은 HZS. 비공식적으로 HAN도 쓰이고 있다.

2. 상세

2019 시즌에 새로이 합류하는 8팀 중 가장 먼저 팀명이 공개되었다. 팀명 '스파크'는 모기업 빌리빌리[1]에서 팬투표를 실시해 결정된 이름이며 빌리빌리의 상징인 미사카 미코토를 상징한다. 사실 1위를 한 이름은 '레일건'이었으나 아무래도 팀명으로 너무 노골적이지 않았나 싶었는지 스파크가 되었다. 추후 알려진 바로는 리그측에게서 레일건을 거절당했다고 한다. 대신 팀 상징은 대놓고 레일건을 날리는 손가락이 되었다. 공식 응원 찬트는 "BANG!"

3. 수상 기록

준우승 경력
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아시아 준우승
상하이 드래곤즈 항저우 스파크 미정

4. 대회 기록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rowcolor=#fff> 날짜 순위 대회 결과 상대 상금
2019년 5월 12일 <colcolor=#000> 4강 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2 플레이오프 0:4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50,000
2019년 7월 15일 8강 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플레이오프 2:3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 LA 발리언트 $25,000
2019년 8월 26일 4위 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8/10 풀 리그 -
2019년 9월 15일 4위 2019 오버워치 리그 포스트시즌 0:4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350,000
2019년 12월 2일 4강 ESM-OW 상하이 마스터즈 인비테이셔널 2019 0:3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
2020년 5월 23일 6강 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아시아 0:3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
2020년 7월 4일 6강 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아시아 0:3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
2020년 8월 9일 준우승[2] 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아시아 0:4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000
2020년 8월 24일 10위 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 시즌 12:11 풀 리그 -
2020년 9월 5일 5-6위 2020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인 - 아시아 티어2 0:3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
2021년 6월 6일 4강 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넉아웃 - 동부 1:3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
2021년 8월 15일 13위 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7/9 풀 리그 -
2021년 9월 5일 5위 2021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인 - 동부 1라운드 1:3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
2022년 6월 4일 4위 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 동부 0:3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
2022년 7월 23일 6강 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2:3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25,000
2022년 10월 15일 12위 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1/13 풀 리그 -
2022년 11월 04일 4위 2022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1:3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250,000
2023년 6월 17일 6강 2023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1:3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80,000
2023년 8월 6일 3위 2023 오버워치 리그 동부 정규시즌 9/4 풀 리그 -
2023년 10월 2일 3위 2023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3:0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225,000

4.1. 역대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저우 스파크/역대 시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항저우 스파크/역대 시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항저우 스파크/역대 시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구성원

5.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fff> 번호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3 NoSmite 정다운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x6-gaming.png X6-Gaming 2018년 11월 17일 2019년 11월 24일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8 Guxue 쉬추린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Lgdlogo_2016.png LGD Gaming
1 Adora 강재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Sevenlogo600px.png Seven 2018년 11월 18일 2020년 10월 18일 N/A
11 Ria 박성욱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x6-gaming.png X6-Gaming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0 Bazzi 박준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Sevenlogo600px.png Seven 2018년 11월 19일 2020년 5월 17일 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 발로란트
10 GodsB 김경보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x6-gaming.png X6-Gaming 2021년 6월 22일 은퇴
24 Revenge 안형근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Sevenlogo600px.png Seven 2018년 11월 20일 2019년 11월 11일 파일:Runawaylogo.png RunAway
37 iDK 박호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600px-Lucky_Future_Zenith_New_Logo.png Lucky Future Zenith 2021년 10월 4일 은퇴
7 Krystal 차이스룽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T1w Esports Club_Logo.png The One Winner 2018년 11월 21일 2020년 6월 19일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23 BEBE[3] 윤희창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x6-gaming.png X6-Gaming 2020년 10월 18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20 SASIN 송상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WiE esports.png White Whale ICN 2019년 2월 22일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13 M1ka 류지밍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BLG_Overwatch_logo.png Bilibili Gaming 2020년 1월 15일 2021년 10월 4일 파일:Fantasy Gaming 아이콘.png Fantasy Gaming
14 ColdesT 퉁샤오둥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021년 10월 4일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17 Ado 천기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2020년 2월 13일 2020년 10월 18일 파일:Runawaylogo.png RunAway
21 Architect 박민호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2020년 5월 18일 2022년 11월 15일 파일:SLT 로고.svg SLT
77 QoQ 유성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T1 로고.svg T1 2020년 6월 19일 2020년 11월 13일 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 업라이징 아카데미
17 shy 정양제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BLG_Overwatch_logo.png Bilibili Gaming 2020년 10월 21일
22 LIGE 자청제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Team_CC_logo.png Team CC 2020년 11월 16일 2022년 8월 8일 파일:Dreamers overwatch.png Dreamers
0 MCD 이정호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 Element Mystic 2020년 11월 17일 2021년 8월 25일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20 Takoyaki 이영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 2020년 11월 18일 2021년 6월 28일 N/A
11 BERNAR 신세원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2020년 11월 19일 2022년 11월 15일
18 SeoMinSoo 서민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2020년 11월 20일 2021년 10월 4일 N/A
15 Pineapple 리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BLG_Overwatch_logo.pngBilibili Gaming 2021년 11월 15일 2023년 1월 4일 Rhodes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Rhodes 2023년 6월 30일
27 AlphaYi 김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BLG_Overwatch_logo.pngBilibili Gaming 2021년 11월 17일 2022년 12월 7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10 irony 김형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021년 11월 18일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4 Superich 우겅퉈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Team_CC_logo.png Team CC 2023년 1월 4일
78 Teru 김민기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 2022년 9월 16일 2022년 11월 15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79 Neko 박세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코치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감독
10 Leave 황신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2023년 3월 6일
20 Twenty 뤄원제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은퇴 2023년 6월 25일
18 Lengsa 천징이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2023년 3월 7일
89 Mmonk 저우샹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5.2. 스태프 연혁

스태프 연혁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So 천유유 단장 N/A 2018년 10월
Mask 이무호 감독 파일:x6-gaming.png X6-Gaming 2018년 11월 16일 2020년 7월 31일
Sup7eme 한승준 코치 파일:Sevenlogo600px.png Seven 감독 2019년 10월 19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YinDong 가오항 코치 파일:Lgdlogo_2016.png LGD Gaming 2019년 7월 25일 파일:BLG_Overwatch_logo.png Bilibili Gaming 감독
U4 천충싼 코치 파일:Flag_Gaming_logo_std.png Flag Gaming 2019년 9월 5일 2021년 10월 4일
yeah 정영수 코치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 플로리다 메이헴 2019년 11월 12일 2020년 5월 17일
paJion 황지섭 감독[4]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감독 2020년 6월 3일 2021년 4월 27일 파일:T1 로고.svg T1
Andante 황재홍 코치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분석 2020년 9월 4일 2021년 7월 15일
Xiaogui[5] 황충위 총감독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hq_logo_new.png ahq S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2020년 10월 14일 2021년 11월 15일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코치
코치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총감독 2021년 11월 15일 2022년 4월 14일
nOrU 김재동 코치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2021년 3월 26일 2021년 4월 27일
PPUJJIPPANG 조나단 분석 파일:286px-CVG_logo.png CVG 코치 2021년 3월 26일 2021년 4월
Mentalist 김충인 코치 파일:BLG_Overwatch_logo.pngBilibili Gaming 감독 2021년 4월 27일 2021년 7월 15일 은퇴
OnlyWish 천리전 코치 파일:BLG_Overwatch_logo.pngBilibili Gaming 감독 2021년 7월 27일 2021년 11월 14일
Changgoon 박창근 감독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2021년 11월 15일 2022년 11월 15일
Miro 공진혁 코치 파일:GC Busan TDI.png GC Busan TDI 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 감독
Aniu 류관웨이 총감독 N/A
gandolf 장하오 매니저 파일:BLG_Overwatch_logo.pngBilibili Gaming
Neko 박세현 코치 파일:World Game Star 2020.png WGS Phoenix 감독 2021년 11월 29일 2022년 9월 16일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SUPPORT
RUI 왕싱루이 감독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명예고문 2023년 1월 10일 2023년 6월 25일
Creed 옌샤오 코치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코치 2023년 3월 6일 2023년 6월 25일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감독
감독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코치 2023년 6월 25일
Yaoxie 장지항 코치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감독 2023년 7월 31일

6. 아카데미 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libili Gaming/오버워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ilibili Gaming/오버워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ilibili Gaming/오버워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 공개 전 유출된 로고는 하늘색이였으나 정작 공개된 것은 핑크 로고에 핑크 리그 스킨이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의미로 뜨거운 반응을 불러 일으켰다. 스킨을 입고 나온게 하필 리퍼인것도 노린거 아니냐는 반응.[7] 리그나 팀은 관심 없지만 핑크색 스킨은 탐난다는 유저들도 나오고 있다.[8] 이 핑크색이 밴쿠버 팀에게 갔어야 했다는 해설진들의 농담은 덤. 구단주 꽃빈은 핑크 스킨을 보자마자 바로 스킨 구매를 했을 정도로 좋아하였다. 너무 튀는 색이다 보니 딜러나 힐러 캐릭터들의 경우 은엄폐 효율이 최악이지만 그만큼 탱커 캐릭터를 조작시 어그로를 미친듯이 잘 끈다는 일장일단도 있다. 오버워치 유튜버 김재원 또한 핑크로 도배된 여러모로 파격적인 스킨 색에 한눈에 반해 무려 18만원의 거금을 현질해 모든 영웅의 항저우 스파크 리그 스킨을 구매하였다. # 종종 항저우 스파크의 홈 유니폼을 입고 방송하는 모습도 보인다.
  • 창단 멤버로는 Guxue가 남아있다.
  • 존재감이 적은 팀이 서부에 토론토 디파이언트가 있다면 동부에는 이 팀이 있다. 19시즌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20시즌부터 애매한 성적을 보여주면서 딱히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주질 못하고 있다.

7.1. 2019 시즌

  • 순수 한국인 팀에 근접한 로스터이지만 딱 2명[9]이 중국인이기 때문에 출범 시즌 상하이 드래곤즈와 유사한 소통 문제를 안고 있는 팀이다. 순수 한국인 로스터로만 경기에 임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문제는 이 2명의 중국인 선수 모두 2018 오버워치 월드컵에서 대활약을 보여준 선수라는 것이다. 그래도 이무호 감독이 리그 진출을 한다고 했을때 한국어를 배울 의지가 강한 중국인 선수도 있다고 했고 스테이지 2부터 이 둘이 모두 활약하기 시작하면서 큰 문제는 없는 상태.[10][11]

7.2. 2020 시즌

8. 관련 문서


[1] 한국의 티비플, 일본의 니코니코 동화같은 중국의 서브컬쳐 UCC 사이트.[2] 정규시즌 2승 추가[3] BeBe → BEBE[4] 코치 → 감독[5] 2016년에 ahq S에서 3달 간 활동할 당시에는 Little ghost를 줄인 lilgho라는 이름을 사용했다.[6] 되었다면 산케이 아톰즈 같은 게 e스포츠에서도 등장할 뻔했다. 지금 쓰는 스왈로즈는 철완 아톰과의 저작권 계약이 끝나고 환원한 것이다.[7] 해외의 유명한 리퍼 2차 창작 중 하나가 리퍼가 핑크색 드레스를 입고 춤추는 'kawaii reaper'라는 캐릭터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8] 리그 스킨을 구입하는 코인은 해당 팀의 수익으로도 직결되기 때문에 핑크색을 선택한 항저우 팀의 선택은 의외로 쏠쏠한 수익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 실제로도 신규 팀 스킨의 인기투표를 한 결과 항저우 팀의 스킨이 50%에 근접하는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9] Guxue, Krystal[10] 상하이 드래곤즈Diya 선수도 거의 똑같은 딜레마에 처해 있다. 이쪽은 아예 혼자 유일한 중국인에다 언어 습득이 늦어지고 있는지 19시즌에는 휴스턴전에서 1세트만 출전했고, 20시즌에는 아예 출전하지 않았다. 같은 포지션의 diem과 LIP이 메인딜러로 너무 압도적인 포스를 보여줬던 것도 한몫했다.[11] 플로리다 메이헴TviQ 선수도 거의 똑같은 딜레마에 처해 있다. 미국 국적 선수들이랑 같이 출전을 안하기 때문.[12] 스테이지 1 종료 후에는 패배시 쓸 일러스트도 같이 공개했다.[13] 중국 3팀이 모두 탈락하고 중국 연고지 내 팀중에서 유일한 플옵 가시권인 팀인 광저우 차지밴쿠버 타이탄즈와의 경기를 앞두고 있자 광저우가 타노스로 묘사된 밴쿠버를 상대하고 중국 3팀이 뒤에서 응원하는 일러스트도 그렸다.[14] 항저우 못지 않게 재미있고 감각적인 일러스트를 그리는 벤쿠버답게 항저우 스타일로 일러스트로 화답을 했다.[15]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 사건을 추모하고 있다.[16] 수호전무송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17] 트위터부터가 다른 팀에 비해 각종 일러스트가 많이 공유되고 있으며, 이모티콘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유쾌한 분위기를 잘 어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