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3:39:32

알 아인 FC

파일: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로고.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dh_logo.png
파일:바니야스 SC 로고.svg
파일:샤르자 FC 로고.svg
파일: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로고.svg
파일:Ajman_Club.png
파일:알 나스르 SC 로고.png
파일:알 바타에 클럽 로고.jpg
파일:알 아인 로고.svg
파일:알 와슬 FC 로고.svg
파일:알 와흐다 FC 로고.svg
파일:알 자지라 클럽 로고.svg
파일:알 우루바 클럽 로고.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lbaClub.png
파일:코르 파칸 클럽 로고.svg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프로페셔널 리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카타르 국기.svg 스타스 리그
파일:이라크 국기.svg 스타스 리그파일:요르단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바레인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오만 국기.svg 프로페셔널 리그파일:레바논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가자 지구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서안 지구파일:예멘 국기.svg 예메니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알 아인 로고.svg
알 아인 FC
Al Ain FC
<colbgcolor=#652d8a><colcolor=#fff> 정식 명칭 Al Ain Football Club
نادي العين لكرة القدم
별칭 Al Zaeem (두목)
창단 1968년 8월 1일([age(1968-08-01)]주년)
소속 리그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연고지 알 아인
홈구장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25,053명 수용)
구단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감독 레오나르두 자르딤 (Leonardo Jardim)
주장 반다르 알 아흐바비 (Bandar Al-Ahbabi)
역대 한국인 선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호 (201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명주 (2014~201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박용우 (2023~ )
공식 웹사이트 파일:알 아인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프로 리그
(14회 / 최다 우승)
1976-77, 1980-81, 1983-84, 1992-93, 1997-98, 1999-00, 2001-02, 2002-03, 2003-04, 2011-12, 2012-13, 2014-15, 2017-18, 2021-22
프레지던트컵
(7회)
1998-99, 2000-01, 2004-05, 2005-06, 2008-09, 2013-14, 2017-18
리그컵
(2회)
2008-09, 2021-22
슈퍼컵
(5회 / 최다 우승)
1995, 2003, 2009, 2012, 2015
AFC 챔피언스 리그
파일:ACL 트로피.svg파일:ACL 트로피.svg
(2회)
2002-03, 2023-24
GCC 챔피언스 리그
(1회)
2001

1. 개요2. 역사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알 아인 FC는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알 아인에 연고를 둔 축구 클럽이다.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14회 최다 우승과 AFC 챔피언스 리그 2회 우승으로 아랍에미리트의 유일무이한 아챔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구단이며 명실상부 아랍에미리트 축구 최고의 명문 클럽이다.

2. 역사

원래 알 아인 FC의 유니폼 색상은 녹색빨간색이었지만, 1977년 모로코로 훈련 캠프를 떠났을 때 벨기에 주필러 리그 RSC 안데를레흐트의 색상에 영향을 받아 보라색으로 변경하였다.

2003년 AFC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첫 대회를 제패하였고, 2005년에도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올라갔으나 알 이티하드에게 덜미를 잡혀 준우승에 그쳤다. 이후 10년 넘게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못 오르다 2014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4강에 올라 알 힐랄과 결승을 다투게 되었으나 탈락했고, 2015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16강전에서 알 아흘리에게 원정 다득점 열세로 탈락했다.

2016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엘 자이시를 5–3으로 꺾고 11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를 만나 원정에서 1–2로 패하고, 홈에서 1–1 무승부에 그치면서 또다시 우승에 실패했다.

2018년 자국에서 열린 FIFA 클럽 월드컵에서 개최국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올라가 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 만만치 않은 상대인 리버 플레이트와 2-2로 비겨 승부차기 끝에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로서 알 아인 FC은 아시아 팀으로서는 역대 두 번째이자[1] 아랍 구단으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클럽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한 팀이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에 4–1 완패를 당해 우승에는 실패했다.

2021년 전 시즌 리그 준우승팀 자격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로 진출했으나, 4월 10일 경기에서 자바드 네쿠남이 감독을 맡은 풀라드 쿠제스탄 FC에게 0-4로 크게 지면서 일찌감치 탈락했다.

2023/2024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무난히 8강까지 올라왔으나 사디오 마네,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아이메릭 라포르테, 그리고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영입한 알 나스르를 만나게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모두의 예상을 깨고 홈에서 1차전 1:0 승리를 가져왔으며, 2차전에서도 원정에서 먼저 2골을 넣었다. 그러나 칼리드 에이사의 개그 퍼레이드 속에서 3골을 내주고 결국 연장에 갔지만, 연장전에서 1골씩 주고 받은 이후 승부차기에서 3-1로 승리하며 유럽 선수들을 긁어모은 알 나스르를 물리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리고 4강에서는 알 힐랄과 맞붙으며 더욱 총체적 난국인 상황에 직면했다. 비록 엄청난 거금을 주고 사온 네이마르는 일찍이 부상으로 빠졌지만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야신 부누등 알 힐랄 역시 엄청난 네임벨류의 유럽 선수들을 긁어모은 상태였고, 특히 그저 거금으로 선수들을 긁어 모으긴 했는데 선수들이 팀에 영 제대로 녹아들지 못하는 다른 사우디 팀들과는 달리 알 힐랄은 유럽 선수들이 팀이 완벽하게 동화되면서 기존 사우디 선수들과 조화를 이루는 데 성공해 말 그대로 아시아에 적수가 없는 무적에 가까운 상황이였기 때문, 실제로 알 힐랄은 그때까지 리그 21승 2무, ACL 9승 1무, 컵 대회 전승을 거두며 무패 트레블이라는 정신나간 기록을 세우기 직전인 상황이였다.

그러나 알 아인은 또다시 모두의 예상을 깨고 1차전에서 4:2로 충격적인 대승을 거둔다. 주포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가 부상으로 빠진 것이 크긴 했지만, 알 힐랄은 무패 행진이 깨지며 발등에 불이 떨어져 버렸고, 결국 알 아인은 2차전에서 1:2로 지긴 했지만 알 힐랄의 맹공을 막아내는 데에 성공하며 1골 차로 결승행에 성공하게 된다. 모두의 예상을 깨고 둘이 합해서 수조원에 가까운 돈을 들이부어 유럽 선수들을 모아 결승행이 유력하다고 여겨진 두 사우디 클럽을 혼자 모두 때려잡고 결승에 올라간 것이다.

결승 상대는 울산 현대를 극적으로 누르고 올라온 요코하마 마리노스로, 비록 1차전 원정에서는 선제골을 넣고도 1:2로 졌지만, 2차전 먼저 2골을 넣어 역전시킨 이후 1골을 내준 상황에서 상대 골키퍼가 퇴장, 결국 분위기를 완전히 가져와 후반 3골을 몰아쳐 5:1 대승을 거두며 21년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앞서 말했듯, 알 아인이 주목받던 팀들을 모두 누르고 차지한 우승이였기에 더 의미가 컸다.

참고로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때 대한민국의 박용우가 주전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이로써 알 아인은 2024년에 대회가 개편되면서, AFC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된 이후 첫 우승과 마지막 우승을 모두 장식한 팀이 되었다.

그러나 2024년 하반기의 새로 개편된 아챔 첫 출전에서는, 6경기에서 2무 4패라는 총체적 난국의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광탈을 눈앞에 두게 됐고, 7차전에서 알 라이얀에 2–1로 패배하며 마지막 8차전의 결과와 상관 없이 광탈이 확정되어 디펜딩 챔피언으로서의 자존심을 단단히 구겼다. 만약 8차전에서도 승리하지 못한다면, 전 대회 우승 팀이 무승 탈락이라는 최악의 졸전을 펼친 사례가 되어 버린다.

3. 여담

  • 이호가 2010년 이 팀 소속으로 뛰었으며, 2014-15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 이명주가 뛰었으며 2023년부터 박용우가 뛰게 된다.
  • 2011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서아시아 팀이었는데도 동아시아 조에 들어가는 일이 일어났다. 이렇게 된 이유는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팀이 서아시아는 4팀, 동아시아는 2팀이 되면서 AFC는 서아시아 4팀 중 1팀을 동아시아 대진으로 편입하기로 결정했고 그 결과 이 팀이 당첨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스리위자야 FC(인도네시아)를 꺾고 올라와 FC 서울(대한민국), 나고야 그램퍼스(일본), 항저우 뤼청(중국)과 같은 조가 되었으며, 결과는 조 3위로 탈락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8024F><tablebgcolor=#28024F>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심볼.svg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구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시즌 구단 국가 횟수
1967 파일:하포엘 텔아비브 FC 로고.svg 하포엘 텔아비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회
1969 파일:마카비 텔아비브 FC 로고.svg 마카비 텔아비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회
1970 파일:에스테그랄 테헤란 FC 로고.svg 타지 파일:이란 국기.svg
1회
1971 파일:마카비 텔아비브 FC 로고.svg 마카비 텔아비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2회
1985-86 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 대우 로얄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1986 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1992~1996).svg 후루카와 전기 파일:일본 국기.svg
1회
1987 파일:베르디 가와사키 로고.svg 요미우리 FC 파일:일본 국기.svg
1회
1988-89 파일:알 사드 SC 엠블럼(~2019).svg 알 사드 파일:카타르 국기.svg
1회
1989-90 파일:랴오닝 훙윈 로고.svg 랴오닝 FC 파일:중국 국기.svg
1회
1990-91 파일:에스테그랄 테헤란 FC 로고.svg 에스테그랄 테헤란 파일:이란 국기.svg ★★
2회
1991 파일:알 힐랄 SFC 로고.svg 알 힐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회
1992-93 파일:파스 테헤란 FC.png 파스 테헤란 파일:이란 국기.svg
1회
1993-94 파일:태국 농민은행FC.png 태국 농민은행 FC 파일:태국 국기.svg
1회
1994-95 파일:태국 농민은행FC.png 태국 농민은행 FC 파일:태국 국기.svg ★★
2회
1995 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일화 천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1996-97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1997-98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회
1998-99 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1992~2014).svg 주빌로 이와타 파일:일본 국기.svg
1회
1999-00 파일:알 힐랄 SFC 로고.svg 알 힐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2회
2000-01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2001-02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회
2002-03 파일:알 아인 로고.svg 알 아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회
2004 파일:알 이티하드 FC 엠블럼(~2018).svg 알 이티하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회
2005 파일:알 이티하드 FC 엠블럼(~2018).svg 알 이티하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2회
2006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 전북 현대 모터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2007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파일:일본 국기.svg
1회
2008 파일:감바 오사카 로고(1997~2021).svg 감바 오사카 파일:일본 국기.svg
1회
2009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3회
2010 파일:성남 일화 천마 로고.svg 성남 일화 천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회
2011 파일:알 사드 SC 엠블럼(~2019).svg 알 사드 파일:카타르 국기.svg ★★
2회
2012 파일:울산 현대 엠블럼(2011~2015).svg 울산 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회
2013 파일: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엠블럼.svg 광저우 헝다 파일:중국 국기.svg
1회
2014 파일: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엠블럼.svg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파일:호주 국기.svg
1회
2015 파일: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엠블럼.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파일:중국 국기.svg ★★
2회
2016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 전북 현대 모터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회
2017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파일:일본 국기.svg ★★
2회
2018 파일:가시마 앤틀러스 로고.svg 가시마 앤틀러스 파일:일본 국기.svg
1회
2019 파일:알 힐랄 SFC 로고.svg 알 힐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3회
2020 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회
2021 파일:알 힐랄 SFC 로고.svg 알 힐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4회
2022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파일:일본 국기.svg ★★★
3회
2023-24 파일:알 아인 로고.svg 알 아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2회
←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 구단
아시안 슈퍼컵 우승 구단 →
}}}}}}}}}}}}}}} ||



[1] 첫 번째는 2016년의 가시마 앤틀러스. 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2-4로 패했다. 가시마는 2018년 대회에도 출전했으나 이때도 레알 마드리드에게 1–3으로 패했고, 3-4위전에서 알 아인 FC에 패해 결승이 물거품이 된 리버 플레이트에게 0–4로 참패당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