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晉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ece5b6>1권 「선제기(宣帝紀)」 | 2권 「경제문제기(景帝文帝紀)」 | 3권 「무제기(武帝紀)」 | |
사마의 | 사마사 · 사마소(昭) | 사마염 | ||
<rowcolor=#ece5b6>4권 「혜제기(惠帝紀)」 | 5권 「회제민제기(懷帝愍帝紀)」 | 6권 「원제명제기(元帝明帝紀)」 | ||
사마충(衷) | 사마치 · 사마업 | 사마예 · 사마소(紹) | ||
<rowcolor=#ece5b6>7권 「성제강제기(成帝康帝紀)」 | 8권 「목제애재폐제기(穆帝哀帝廢帝紀)」 | |||
사마연(衍) · 사마악 | 사마담 · 사마비 · 사마혁 | |||
<rowcolor=#ece5b6>9권 「간문제효무제기(簡文帝孝武帝紀)」 | 10권 「안제공제기(安帝恭帝紀)」 | |||
사마욱 · 사마요 | 사마덕종 · 사마덕문 | |||
※ 11권 ~ 30권은 志에 해당. 진서 문서 참고 |
}}}
}}}
- [ 열전(列傳) ]
- ||<-4><tablebgcolor=#3797e8><tablecolor=#181818,#e5e5e5><color=#ece5b6>31·32권 「후비전(后妃傳)」
장춘화 · 하후휘 · 양휘유 · 왕원희 · 양염 · 양지 · 좌분 · 호방 · 제갈완 · 가남풍 · 양헌용 · 사구 · 왕원희(1) · 하후광희 · 순씨
우맹모 · 유문군 · 두릉양 · 주씨 · 저산자 · 하법예 · 왕목지 · 유도련 · 정아춘 · 왕간희 · 이능용 · 왕법혜 · 진귀녀 · 왕신애 · 저영원<rowcolor=#ece5b6>33권 「왕상등전(王祥等傳)」 34권 「양호등전(羊祜等傳)」 왕상 ,왕람, · 정충 · 하증 ,하소, · 석포 ,석숭, 양호 · 두예(預) <rowcolor=#ece5b6>35권 「진건등전(陳騫等傳)」 36권 「위관등전(衛瓘等傳)」 진건 · 배수 ,배외 배해 배헌, 위관 ,위항 위개, · 장화 · 유변 37권 「종실전(宗室傳)」 사마부(孚) ,사마옹(邕) 사마숭 사마망 사마무 사마보 사마익 사마황 사마부(裒) 사마작 사마위(韡) 사마소(韶) 사마괴, ,사마규 사마송 사마형 사마돈 사마경 사마도, · 사마권 ,사마식 사마석 사마웅, ,사마굉 사마홍 사마소(邵) 사마숭 사마집 사마준(俊) 사마순 사마회, · 사마태 ,사마략 사마등 사마모, · 사마수(綏) ,사마효, · 사마수(遂) ,사마훈, · 사마손 ,사마수(隨) 사마수(邃) 사마승 사마무기 사마념 사마상지 사마회지 사마휴지 사마윤지 한연지, · 사마목 · 사마릉 ,사마순 사마빈, 38권 「선오왕문육왕전(宣五王文六王傳)」 사마간(榦) · 사마주 ,사마근 사마담 사마요 사마최, · 사마경(京) · 사마준(駿) ,사마창 사마흠, · 사마융 · 사마유(攸) ,사마유(蕤), · 사마조 · 사마정국 · 사마광덕 · 사마감 · 사마연조 <rowcolor=#ece5b6>39권 「왕침등전(王沈等傳)」 40권 「가충등전(賈充等傳)」 41권 「위서등전(魏舒等傳)」 왕침(王沈) ,왕준(浚), · 순의 · 순욱 ,순번 순조 순혁, · 풍담 가충 · 양준 ,양요 양제, 위서 · 이희 · 유식 · 고광 <rowcolor=#ece5b6>42권 「왕혼등전(王渾等傳)」 43권 「산도등전(山濤等傳)」 왕혼 ,왕제, · 왕준(濬) · 당빈 산도 ,산간 산하, · 왕융 ,왕연 왕징 곽서, · 악광 <rowcolor=#ece5b6>44권 「정무등전(鄭袤等傳)」 45권 「유의등전(劉毅等傳)」 정무 ,정묵, · 이윤 · 노흠 ,노지(盧志) 노심, · 화표 ,화이 화항 화교, · 석감 · 온선 유의 ,유돈, · 화교 · 무해 · 임개 · 최홍 · 곽혁 · 후사광 · 하반 <rowcolor=#ece5b6>46권 「유송등전(劉頌等傳)」 47권 「부현전(傅玄傳)」 48권 「상웅등전(向雄等傳)」 유송 · 이중 부현 · 부함 · 부지 상웅 · 단작 · 염찬 <rowcolor=#ece5b6>49권 「완적등전(阮籍等傳)」 완적 · 혜강 · 상수 · 유영 · 사곤 · 호무보지 · 필탁 · 왕니 · 양만 · 광일 <rowcolor=#ece5b6>50권 「조지등전(曹志等傳)」 조지(曹志) · 유준 · 곽상 · 유순 · 진수(秦秀) <rowcolor=#ece5b6>51권 「황보밀등전(皇甫謐等傳)」 52권 「극선등전(郤詵等傳)」 53권 「민회태자전(愍懷太子傳)」 황보밀 · 지우 · 속석 · 왕접 극선 · 완충 · 화담 민회태자 <rowcolor=#ece5b6>54권 「육기등전(陸機等傳)」 55권 「하후담등전(夏侯湛等傳)」 56권 「강통등전(江統等傳)」 육기 · 육운 하후담 · 반악 · 장재 강통 · 손초 <rowcolor=#ece5b6>57권 「나헌등전(羅憲等傳)」 58권 「주처등전(周處等傳)」 나헌 ,나상, · 등수 · 마륭 · 호분 · 오언 · 장광 · 조유 주처 · 주방 ,주무 주초 주효, 59권 「여남왕량등전(汝南王亮等傳)」 사마량 · 사마위(瑋) · 사마륜 · 사마경(冏) · 사마예 · 사마영 · 사마옹(顒) · 사마월 60권 「해계등전(解系等傳)」 해계 · 손기 · 맹관 · 견수 · 무파 · 황보중 · 장보 · 이함 · 장방 · 염정 · 색정 ,색침, · 가필 <rowcolor=#ece5b6>61권 「주준등전(周浚等傳)」 62권 「유곤등전(劉琨等傳)」 63권 「소속등전(邵續等傳)」 주준 ,주복, · 성공간 · 구희 · 화질 · 유교 유곤(劉琨) · 조적 소속 · 이구 · 단필제 · 위준 ,위해, · 곽묵 64권 「무십삼왕원사왕간문삼자전(武十三王元四王簡文三子傳)」 사마궤 · 사마간(柬) · 사마경(景) · 사마지 · 사마유(裕) · 사마윤 · 사마연(演) · 사마해 · 사마하 · 사마모(謨) · 사마안 · 사마회 · 사마부(裒) · 사마충(沖) · 사마희 · 사마환 · 사마도생 · 사마욱(郁) · 사마도자 65권 「왕도전(王導傳)」 왕도 <rowcolor=#ece5b6>66권 " 「유홍등전(劉弘等傳)」 67권 「온교등전(溫嶠等傳)」 68권 「고영등전(顧榮等傳)」 유홍 · 도간 온교 · 치감 고영 · 기첨 · 하순 · 설겸 <rowcolor=#ece5b6>69권 「유외등전(劉隗等傳)」 70권 「응첨등전(應詹等傳)」 71권 「손혜등전(孫惠等傳)」 유외 ,유파, · 조협 · 대약사 · 주의 응첨 · 감탁 · 변곤 · 유초 · 종아 손혜 · 웅원 · 왕감 · 진군 · 고숭 <rowcolor=#ece5b6>72권 「곽박등전(郭璞等傳)」 73권 「유량전(庾亮傳)」 74권 「환이전(桓彝傳)」 곽박 · 갈홍 유량 · 유역 · 유빙 · 유익 환이(彝) ,환운 환활 환비 환충, <rowcolor=#ece5b6>75권 「왕담등전(王湛等傳)」 76권 「왕서등전(王舒等傳)」 77권 「육엽등전(陸曄等傳)」 왕담(湛) · 순숭 · 범왕 · 유담 · 장빙 · 한백 왕서 · 왕이 · 우담 · 고중 · 장개 육엽 · 하충 · 저삽 · 채모 · 제갈회 · 은호 <rowcolor=#ece5b6>78권 「공유등전(孔愉等傳)」 79권 「사상등전(謝尙等傳)」 80권 「왕희지전(王羲之等傳)」 공유 · 정담 · 도회 사상 · 사안 ,사염 · 사혼 · 사현 · 사만 · 사랑 · 사석 · 사막, 왕희지 81권 「왕손등전(王遜等傳)」 왕손 · 채표 · 양감 · 유윤 · 환선 ,환이(伊), · 주사 · 모보 · 유하 · 등악 · 주서 82권 「진수등전(陳壽等傳)」 진수(陳壽) · 왕장문 · 우부 · 사마표 · 왕은 · 우예(預) · 손성 · 간보 · 등찬 · 사침 · 습착치 · 서광 <rowcolor=#ece5b6>83권 「고화등전(顧和等傳)」 84권 「왕공등전(王恭等傳)」 85권 「유의등전(劉毅等傳)」 고화 · 원괴 · 강유 · 차윤 · 은의 · 왕아 왕공 · 유해 · 유뇌지 · 은중감 · 양전기 유의 · 제갈장민 · 하무기 · 단빙지 · 위영지 <rowcolor=#ece5b6>86권 「장궤전(張軌傳)」 87권 「양무소왕전(涼武昭王傳)」 장궤 양무소왕 · 양후주 88권 「효우전(孝友傳)」 이밀 · 성언 · 하방 · 왕부 · 허자 · 유곤(庾袞) · 손구 · 안함 · 유은 · 왕연 · 왕담(談) · 상우 · 하기 · 오규 89권 「충의전(忠義傳)」 혜소 · 왕표 · 유심 · 국윤 · 초숭 · 가혼 · 왕육 · 위충 · 신면 · 유민원 · 주해 · 환웅 · 한계 · 주기 · 이웅 · 악도융 · 우괴 · 심경 · 길읍 · 왕량 · 송구 · 차제 · 정목 · 신공정 · 나기생 · 장의 90권 「양리전(良吏傳)」 노지(魯芝) · 호위 · 두진 · 두윤 · 왕굉 · 조터 · 반경 · 범귀 · 정소 · 교지명 · 등유 · 오은지 91권 「유림전(儒林傳)」 범평 · 문립 · 진소 · 우희 · 유조 · 범육 · 서묘 · 최유 · 범륭 · 두이 · 동경도 · 속함 · 서막 · 공연 · 범선 · 위소 · 범홍지 · 왕환 92권 「문원전(文苑傳)」 응정 · 성공수 · 좌사 · 조지(趙至) · 추담 · 조거 · 저도 · 왕침(王沉) · 장한 · 유천 · 조비 · 이충 · 원굉 · 복도 · 나함 · 고개지 · 곽징지 93권 「외척전(外戚傳)」 양수 · 왕순 · 양문종 · 양현지 · 우예(豫) · 유침 · 두예(乂) · 저부 · 하준 · 왕몽 · 왕하 · 왕온 · 저상 94권 「은일전(隠逸傳)」 손등 · 동경 · 하통 · 주충 · 범찬 · 노승 · 동양 · 곽원 · 곽기 · 오조 · 노포 · 범등 · 임욱 · 곽문 · 공장 · 맹루 · 한적 · 초수 · 적탕 · 곽번 · 신밀 · 유린지
삭습 · 양가 · 공손봉 · 공손영 · 장충 · 석원 · 송섬 · 곽하 · 곽우 · 기가 · 구형 · 사부 · 대규 · 공현지 · 도담 · 도연명95권 「예술전(藝術傳)」 진훈 · 대양 · 한우 · 순우지 · 보웅 · 두불건 · 엄경 · 외소 · 복후 · 포정 · 오맹 · 행령 · 불도징 · 마유 · 선도개 · 황홍 · 색담 · 맹흠 · 왕가 · 승섭 · 곽논 · 나습 · 욕곽 · 태산 96권 「열녀전(列女傳)」 신헌영 · 엄헌 · 종염 · 왕혜풍 · 이락수 · 순관 · 사도온 · 용린 · 유아 · 염부인 · 소혜 · 모황후 · 단원비 · 양황후 · 윤태후 97권 「사이전(四夷傳)」 부여 · 숙신 · 마한 · 진한 · 왜 · 토욕혼 · 언기국 · 구자국 · 대완국 · 강거국 · 대진국 · 임읍국 · 부남국 · 흉노 <rowcolor=#ece5b6>98권 「왕돈등전(王敦等傳)」 99권 「환현등전(桓玄等傳)」 왕돈 · 환온 환현 · 변범지 · 은중문 100권 「왕미등전(王彌等傳)」 왕미 · 장창 · 진민 · 왕여 · 두증 · 두도 · 왕기 · 조약 · 소준 · 손은 · 노순 · 초종 (1) 사마소 부인 왕원희와는 다른 인물로 효회태후로 추존된 사마치의 어머니.
- [ 재기(戴記) ]
- ||<tablebgcolor=#3797e8><width=33%> 101권 「유원해재기(劉元海戴記)」 ||<-2><width=34%> 102권 「유총재기(劉聰戴記)」 ||<width=33%> 103권 「유요재기(劉曜戴記)」 ||
유원해 ,유화 · 유선, 유총 ,유찬 · 진원달, 유요 104 · 105권 「석륵재기(石勒戴記)」 106 · 107권 「석계룡재기(石季龍戴記)」 석륵 ,석홍 · 장빈, 석계룡 ,석세 · 석준 · 석감 · 염민, 108권 「모용외재기(慕容廆戴記)」 109권 「모용황재기(慕容皝戴記)」 모용외 ,배억 · 고첨, 모용황 ,모용한 · 양유, 110권 「모용준재기(慕容儁戴記)」 111권 「모용위재기(慕容暐戴記)」 모용준 ,한항 · 이산 · 이적, 모용위 ,모용각 · 양무 · 황보진, 112권 「부홍등재기(苻洪等戴記)」 113 · 114권 「부견재기(苻堅戴記)」 115권 「부비등재기(苻丕等戴記)」 부홍 · 부건 · 부생 ,왕타, 부견 ,왕맹 · 부융 · 부랑, 부비 · 부등 ,삭반 · 서숭, 116권 「요익중등재기(姚弋仲等戴記)」 117 · 118권 「요흥재기(姚興戴記)」 119권 「요홍재기(姚泓戴記)」 요익중 · 요양 · 요장 요흥 ,윤위, 요홍 120권 「이특등재기(李特等戴記)」 121권 「이웅등재기(李雄等戴記)」 이특 · 이류 · 이상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122권 「여광등재기(呂光等戴記)」 여광 · 여찬 · 여륭 123권 「모용수재기(慕容垂戴記)」 124권 「모용보등재기(慕容宝等戴記)」 모용수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모용운 125권 「걸복국인등재기(乞伏國仁等戴記)」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풍발 ,풍소불, 126권 「독발오고등재기(禿髪烏孤等戴記)」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독발녹단 127권 「모용덕재기(慕容徳戴記)」 128권 「모용초재기(慕容超戴記)」 모용덕 모용초 ,모용종 · 봉부, 129권 「저거몽손재기(沮渠蒙遜戴記)」 130권 「혁련발발재기(赫連勃勃戴記)」 저거몽손 혁련발발
1. 개요
陶回(286 ~ 336)
서진 및 동진의 인물. 자는 불명. 양주 단양군(丹陽郡) 출신. 삼국시대 오나라에서 교주자사를 지낸 도기의 손자. 서진 시기 태자중서자를 지낸 도항(陶抗)의 아들.
2. 생애
초기에 사공부(司空府)에서 중군(中軍), 주부로 징소되었으나, 도회는 사양하며 취임하지 않았다. 이후 대장군 왕돈의 참군으로 임관하고 주의 별가로 옮겨졌다.태녕 2년(324년) 7월, 왕돈의 반란이 평정되자, 도회는 사도 왕도의 부름을 받고 그의 휘하로 들어가 종사중랑을 지내다가 사마로 승진했다.
함화 2년(327년) 12월, 유량(庾亮)의 과도한 견제에 폭발한 역양내사 소준이 반란을 일으키고 도성 건강(建康)을 향해 진격해왔다. 도회는 상서좌승 공탄(孔坦)과 함께 왕도를 찾아가, 얼른 군대를 출병시켜 강구(江口)를 틀어막을 것을 진언했다. 왕도 또한 그의 말을 타당하다 여기고 유량에게 전했지만 유량은 듣지 않았다. 결국 소준이 장수를 보내 고숙(姑孰)을 순식간에 함락하면서 상당량의 소금과 군량을 손쉽게 탈취하니, 유량은 비로소 도회와 공탄의 계책을 따르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
함화 3년(328년) 2월, 소준은 파죽지세로 진격하여 건강에 이르고, 궁성 북쪽에 위치한 복주산(覆舟山)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유량은 적이 필시 석두성(石頭城)으로 직진해서 내려올 것이라 예견하고 석두의 방비를 한층 강화하였다. 이때 도회가 유량에게 말했다.
"소준은 석두에 병력이 많은 것을 알고 있어, 감히 곧바로 직진해서 내려오려 들지 않을 것입니다. 반란군은 반드시 소단양(小丹陽)의 남쪽 길을 통해 걸어서 내려올 것이니, 중요 길목에 병사를 매복시키면 의당 한 번의 전투로 소준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량은 이번에도 도회의 계책을 따르지 않았다. 과연 소준은 소단양을 통해 말릉(秣陵)을 경유하며 내려왔고, 익숙하지 않은 지리에 길을 잃고 헤매다가 인근 마을 사람 한 명을 붙잡아 길잡이로 삼았다. 소준은 밤을 틈타 진군했는데, 날이 무척 어두워 부대간의 식별이 불가능했을 정도였다. 나중에 그 소식을 접한 유량은 도회의 계책을 따르지 않은 것을 뼈저리게 뉘우쳤으나, 이미 소준은 건강 코앞까지 이른 뒤였다. 변곤(卞壼)은 관군을 지휘해 여러 차례 소준과 맞붙었지만, 소준의 정예군을 상대로 한 차례도 이기지 못하고 전부 패했다. 건강성은 이내 반란군에 의해 장악되었고, 도회는 성을 빠져나와 고향으로 돌아갔다. 도회는 소준을 토벌하기 위해 고향에서 1,000여명의 의병을 모으고, 도간, 온교 등이 이끄는 의군과 합류해 소준의 장수 한황(韓晃)을 격파했다. 소준의 반란이 모두 평정된 후에는 건악백(康樂伯)에 봉해졌다.
한바탕 위기를 넘긴 동진 조정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기강이 해이해지기 시작했다. 사도 왕도는 이런 시기에 도회의 재능을 중히 쓰고자 그를 북군중후로 선발했다. 이후 도회는 중군후, 정로장군을 역임하다가, 조정의 명을 받고 오흥태수로 부임했다. 당시 동진은 심각한 기근에 시달려 백성들은 굶주리고 있었는데, 그 중 삼오(三吳: 오군, 오흥군, 회계군) 지역은 특히 심한 편이었다. 도회가 상소해 관아의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휼할 것을 청했으나, 조정에서 빨리 답을 주지 않자 그는 임의로 창고를 열고 수만 곡에 달하는 쌀을 풀어 오흥의 백성들에게 할부로 나누어 주었다. 이윽고 백성을 구휼하라는 조서가 내려지니, 도회는 오군과 회계군에도 이를 똑같이 시행해 백성들을 구휼하였다.
도회가 오흥군에 부임한지 4년이 지났을 무렵, 조정에서 그를 징소해 영군장군으로 삼고, 산기상시를 더했으며, 정로장군 직책은 전과 같게 하였다. 도회는 성정이 고아하고 강직하여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한번은 동향인인 환경(桓景)이 왕도에게 빌붙어 아첨하자, 도회는 그의 의롭지 못한 모습에 한탄하며 친하게 지내려 하지 않았다. 어느 날, 왕도가 도회에게 말했다.
"양주(揚州)는 남두(南斗)에 대응하는 지역일진대, 형혹(熒惑)이 그곳에 눌러앉아 있는 것을 보아하니, 하늘은 내가 관직에서 물러나지 않는 것을 싫어하는 모양이오."
도회가 답했다."공께서는 명덕(明德)으로 재상에 오르시고, 성주(聖主)를 보필하시는 입장에서 마땅히 충정한 이들을 가까이 하시고 아첨하는 이들을 멀리하셔야만 합니다. 그럼에도 환경과 같은 자를 가까이 하고 계시니, 어찌 형혹이 물러날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왕돈은 심히 부끄러워하였다.함강 2년(336년), 병을 이유로 조정에 사직을 청했다. 성제 사마연은 이를 불허하고, 호군장군, 산기상시에 임명하며, 영군장군 직책은 전과 같게 했다. 하지만 도회는 성제의 임명 조서를 받들기도 전에 병사하고 말았다. 향년 51세. 시호는 '위(威)'.
장남 도왕(陶汪)이 후사를 이었고, 관직은 보국장군, 선성내사에 이르렀다. 다른 아들들도 모두 동진에서 출세하여, 도루(陶陋)는 관군장군, 도은(陶隱)은 소부, 도무기(陶無忌)는 광록훈을 지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