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9:16:04

서숭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

1. 개요

徐嵩
(? ~ 387)

전진의 인물. 자는 원고(元高)[1]. 건무장군•기주(冀州)자사 서성(徐盛)의 아들.

2. 생애

어려서부터 깔끔하고 총명하기로 명성을 얻었다. 부견이 황제 부생을 몰아내고 천왕으로 즉위하자, 현량으로 천거되어 낭중(郎中)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장안(長安)현령으로 승진하여 수도에서 법을 어기는 자는 설령 귀족의 자제라 할지라도 철저히 조사하였고, 청탁을 받거나 사사로이 봐주는 법이 없었다. 천왕 부견은 이를 심히 기특하게 여겨 그의 숙부 서성에게 이르길,
"장리(長吏)가 된 사람이라면 응당 이와 같아야 하오. 저 젊은이가 작은 일에 얽매이지 않고 대범한 것을 보아하니, 단이(端貳: 상서복야의 또다른 명칭)의 재능을 지니고 있구려."
라 하였다. 이후 시평(始平)태수로 부임한 서숭은 위엄과 은혜를 베풀어 백성들을 잘 다스렸다.

건원 21년(385년) 6월, 전진의 도읍 장안이 서연모용충의 공세를 버티지 못하고 풍전등화 상황에 놓이고 말았다. 당시 중루장군을 지내던 서숭과 둔기교위 호공(胡空)은 각기 무리 5,000여 명을 모아 보루를 쌓은 채로 지키다가, 후진요장이 내린 관직과 작위를 받았다.

태안 원년(385년) 8월, 요장이 부견을 살해하자 서숭과 호공은 부견을 두 보루 사이에서 왕의 예에 따라 안장하였다.

태초 원년(386년) 12월, 전사한 애평제 부비의 뒤를 이어 황제로 즉위한 고제 부등이 요장을 정벌해 선소제 부견의 원수를 갚고자 군대를 거느리고 신평(新平)에 이르렀다. 이에 서숭과 호공은 무리를 거느리고 보루에서 나와 다시 전진으로 귀순하였다. 고제 부등은 서숭을 진군장군•옹주(雍州)자사로 삼고, 선소제 부견을 천자의 예에 따라 다시 제사를 지냈다.

태초 2년(387년) 12월, 후진의 무소제 요장이 전진의 빙익태수 난독(蘭櫝)을 무찌른 후, 좌장군 요방성(姚方成)을 파견해 서숭의 보루를 공략케 하였다. 이윽고 보루를 무너뜨린 요방성이 서숭을 사로잡고 질책하니, 서숭이 얼굴에 노기를 띄우고 그를 향해 욕하며 말했다.
"네가 섬기는 요장은 죄가 깊어 만번 죽어 마땅한 인물이다. 부황미가 요장을 참하려 할 때, 선제(부견)께서 말리시고 그를 너그러이 용서하신 뒤, 내외로 중용하시어 열장(列將)의 지위를 누리게 하셨고 극진한 영총(榮寵)을 내리셨다. 일찍이 개와 말조차도 길러준 은혜와 친근함을 잊지 않는 법이나, 그보다 못난 너희 대역(大逆)한 강족 무리에게 어찌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어서 죽이지 않고 뭐하느냐? 나는 빨리 선제를 만나 지하에서 요장을 심판하리라!"
요방성은 분노하여 곧바로 서숭의 몸을 세 동강 낸 뒤에 참수하였고, 그 수급에 옻칠을 하여 요강으로 사용하였다. 또, 서숭의 병사들은 모조리 구덩이에 던져져 생매장되었고, 그들의 처자식은 요방성의 병사들에게 포상으로 주어졌다.

서숭의 최후를 전해들은 고제 부등은 슬피 울부짖고 애통해하면서 그를 거기대장군, 의동삼사로 추증하였고, 시호는 '충무(忠武)'라 하였다.


[1]십육국춘추≫에 따르면 부고(符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