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3 15:25:58

유돈

오서(吳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손파로토역전(孫破虜討逆傳)」 2권 「오주전(吳主傳)」
손견 ,주준, · 손책 손권 ,호주 정천 풍희,
<rowcolor=#fff> 3권 「삼사주전(三嗣主傳)」 4권 「유요태사자사섭전(劉繇太史慈士燮傳)」
손량 · 손휴 ,이형, · 손호 ,장제, 유요 ,착융 유기, · 태사자 · 사섭
<rowcolor=#fff> 5권 「비빈전(妃嬪傳)」 6권 「종실전(宗實傳)」}
무열황후 · 사부인 · 서부인 · 보연사 · 대의황후 · 경회황후
반부인 · 전혜해 · 주부인 · 하희 · 등방란
손정 · 손유 · 손교 · 손환(奐) · 손분(賁)
손보 · 손익 · 손광 · 손소 · 손환(桓)
<rowcolor=#fff> 7권 「장고제갈보전(張顧諸葛步傳)」 8권 「장엄정감설전(張嚴程闞薛傳)」
장소 ,장분 장승 장휴고옹 ,고소 고담 고승, · 제갈근 ,제갈융, · 보즐 ,주소, 장굉 · 엄준 ,배현, · 정병 ,징숭, · 감택 ,당고, · 설종 ,설영,
<rowcolor=#fff> 9권 「주유노숙여몽전(周瑜魯肅呂蒙傳)」 10권 「정황한장주진동감릉서반정전(程黃韓蔣周陳董甘凌徐潘丁傳)」
주유 · 노숙 · 여몽 정보 · 황개 · 한당 · 장흠 · 주태 ·진무 ,진표,
동습 · 감녕 · 능통 · 서성 ·반장 · 정봉
<rowcolor=#fff> 11권 「주치주연여범주환전(朱治朱然呂範朱桓傳)」 12권 「우육장낙육오주전(虞陸張駱陸吾朱傳)」 13권 「육손전(陸遜傳)」
주치 · 주연 ,주적, · 여범 ,여거, · 주환 ,주이, 우번 ,우사 주육, · 육적 · 장온 · 낙통
육모 · 오찬 ·주거
육손 ,육항,
<rowcolor=#fff> 14권 「오주오자전(吳主五子傳)」
손등 · 손려 · 손화 · 손패 · 손분(奮)
<rowcolor=#fff> 15권 「하전여주종리전(賀全呂周鍾離傳)」 16권 「반준육개전(潘濬陸凱傳)」 17권 「시의호종전(是儀胡綜傳)」
하제 · 전종 · 여대 · 주방 · 종리목 반준 · 육개 ,육윤, 시의 · 호종 ,서상,
<rowcolor=#fff> 18권 「오범유돈조달전(吳範劉惇趙達傳)」 19권 「제갈등이손복양전(諸葛滕二孫濮陽傳)」 20권 「왕누하위화전(王樓賀韋華傳)」
오범 ,위등, · 유돈 · 조달 제갈각 ,섭우, · 등윤 · 손준 ,유찬, · 손침 · 복양흥 왕번 · 누현 · 하소 · 위소 · 화핵
관련 틀: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 등장하는 혼종}}}에 대한 내용은 [[유돈(공룡)]]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돈(공룡)#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돈(공룡)#|]]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 등장하는 혼종: }}}[[유돈(공룡)]]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돈(공룡)#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돈(공룡)#|]]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劉惇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

1. 개요

삼국시대 오나라의 점술가로 는 자인(子仁).

2. 생애

오국팔절 중 한 사람이자 청주 평원군 출신으로 전란이 일어나자 고향을 떠나 여릉에서 손보를 섬겼는데, 천문에 밝고 점술에 통달했기 때문에 남쪽에서 명성을 떨쳤다. 홍수, 가뭄, 도적 등을 모두 사전에 그 시기를 예언해 모두 다 적중하자 손보는 그를 군사로 임명해 신명(神明)이라 칭했다.

손권예장에 있을 때 별의 변화가 있어 손권이 유돈에게 질문했는데, 유돈은 재난이 단양에 있다고 말했다. 손권의 어떠한 재난이냐는 질문에 손님이 주인을 압도하는 것이라고 대답해 모일(某日)[1]에 소식이 들려 올 것이라고 하자 과연 204년손익규람, 대원에게 죽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여러 가지 법술에 뛰어나 특히 태을성을 보고 나타날 일을 추측해 헤아리고 미묘한 요점을 철저히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저서 1백여 편이 있었다. 유학자 조현 또한 그에게 기이한 재능이 있다며 칭찬했는데, 유돈 또한 조현의 법술을 진귀하게 여겼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상에서는 조현의 법술을 알 수 있는 자가 없었다.

3. 창작물에서

소설 아! 내가 마속이다에서 장온과 함께 촉한에 사신으로 와 천문 대결을 하려고 했지만 촉한에서 천문관이 유돈의 실력이 명불허전이라면서 한나라가 공부가 부족했다고 하자 유돈은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인사를 하고 물러났다.

소설 같은 꿈을 꾸다 in 삼국지에서 점술사로서 손보를 따른다. 전장에서 손보에게 '참으면 이긴다'는 괘를 전했으나, 결과적으로 손보를 길러준 형 손분이 죽게 되었다. 이에 손보는 유돈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목을 쳤다.


[1] '언젠가'가 찾아온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