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1:18:20

느낌표(MBC)

!(MBC)에서 넘어옴
느낌표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연예오락 TV 부문 작품상
도전 1000곡
(2002년)
느낌표
(2003년)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4년)

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
파일:구백예대 트로피.png
TV 부문 예능 작품상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2년)
느낌표
(2003년)
코미디하우스
(2004년)

한국PD대상
TV 예능 부문 작품상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4년)
느낌표
(2005년)
해피투게더 프렌즈
(2006년)

파일:MBC 로고.svg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예능 프로그램상
신설 느낌표
(2004년)
무한도전
(2005년)

}}} ||

파일:external/www.newstown.co.kr/haja_300.jpg
느낌표 1기 (2001.11.10 ~ 2004.05.01)

파일:external/img.imbc.com/200.jpg
느낌표 2기 (2004.12.11 ~ 2007.11.02)

1. 개요2. 역대 코너
2.1. 1기 (2001년 11월 10일 ~ 2004년 5월 1일)
2.1.1.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2.1.2. 하자하자!2.1.3. 경림이의 길거리 특강2.1.4. 다큐멘터리 이경규 보고서2.1.5. 아빠의 음식2.1.6. 아시아! 아시아! 1, 2기2.1.7. 서경석 이윤석의 효도합시다2.1.8. 국민건강 프로젝트 - 운동이 운명을 바꾼다
2.2. 2기 (2004년 12월 11일 ~ 2007년 11월 2일)
2.2.1. 이경규의 대한민국의 오늘을 찍는다! - 찰칵! 찰칵!2.2.2. 기적의 메디컬 프로젝트 - 눈을 떠요!2.2.3. 통일시리즈
2.2.3.1. 남북 어린이(청소년) 알아맞히기 경연2.2.3.2. 통일료리관
2.2.4. 아시아! 아시아! 3기 - 집으로2.2.5. 김용만의 희망뉴스 카운트다운2.2.6. 산 넘고! 물 건너!2.2.7. 김성주, 박경림의 아자!아자!2.2.8. 위대한 유산 744342.2.9. 다시보기
3. 수상

1. 개요

파일:program_c4778b26-9399-4c3f-9eac-20bac848f27e.jpg 파일:200501062120561000_1.jpg
2001년 11월 10일부터 2007년 11월 2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공익예능. 매주 토요일 밤에 방영했다. 쌀집아저씨 김영희 연출. 대한민국에 공익 버라이어티라는 장르도 히트, 롱런할 수 있다는 의미를 확립한 프로그램이었다. '최초'로 확립했다고 하지만, 사실 최초는 1996년에 당시 김영희 연출의 '양심냉장고'로 대표되는 '이경규가 간다' 코너와 이것을 토대로 1998년 프로그램으로 독립하여 편성된 '21세기위원회'의 '칭찬합시다'가 있었다.

후에 '칭찬합시다'는 1999년에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다시 독립했으니, 프로그램 단위로 따지면 '칭찬합시다'가 최초가 된다. # PD가 워낙 유명했던 만큼 시즌 1 시작 때부터 이경규, 박경림, 신동엽, 김용만, 유재석 등 MC진을 초호화 캐스팅으로 장식했다.[1]

시즌 1에는 0교시 문제, 독서의 일시적인 대중화(민간 도서관 건립), 학교 밖 청소년들의 복지, 외국인 노동자들의 실태를, 시즌 2에는 안구 기증, 산간 및 낙도 오지 지역의 의료 지원, 대한민국의 문화재 환수와 역사인식 부재 등 사각지대에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적절히 예능을 통해 비쳐줘 어느 정도 인기를 끌었다. 시청률은 10% 후반대로 당시 시청률로는 꽤 괜찮았던 수준. 공익 예능에 초점을 맞췄던 프로그램이었던 만큼 한국의 전현직 대통령도 두 명이나 등장했다. 당시 현직 대통령이던 노무현 대통령 부부가 유재석, 김용만 등 MC와 실제 출연했던 일반인 게스트들을 청와대로 초대해 대통령의 만남 형식으로 녹화까지 했는데 당시 방영된 방송은 이례적으로 30% 이상을 기록했다.

프라임타임[2]하고는 조금 떨어져있는 주말 밤이었던 시간대로서는 이례적인 시청률이었다. 게다가 드라마와는 달리 예능 프로그램이 시청률 30%를 넘긴 것은 당시 최고의 인기 프로그램인 개그콘서트 정도밖에 없었다. 이후에도 무한도전1박 2일만이 30%를 찍었으니 지금 봐도 대단한 기록이다. 연출자인 김영희가 일요일 일요일 밤에를 이끌 때도 김대중이 대통령이 되기 전에 깜짝 만남을 가진 전례가 있다.

2003년에는 '하자하자'의 MC였던 송은이신정환이 당시 서울시장이던 이명박 전 대통령을 실제 집무실에서 만나 청소년 복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짜장면 먹방을 보여주기도 했다. 가카의 먹방이야 익히 알려진거니 다시보기하면 볼 수 있다. 2기 때는 신동엽이 남북한 알아맞히기 경연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녹화차 금강산에 다녀오기도 했다. 북한을 방문하여 로케이션한 것은 한국 예능 프로그램으로서는 거의 처음이자 마지막 케이스. 공익 예능으로서 이런 혁혁한 공을 세운 프로그램이었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소재의 고갈과 식상함으로 인한 시청률의 벽을 넘지 못하고 6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2. 역대 코너

2.1. 1기 (2001년 11월 10일 ~ 2004년 5월 1일)

2.1.1.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김용만, 유재석, 당시 탐라대학교(현 제주국제대학교[3]) 교수였던 김재윤 제17~19대 국회의원[4]이 진행한 이 프로그램은 온 국민을 독서 열풍으로 몰아 넣었다. 이 코너에서는 한 달에 한두 권 정도 지정도서를 선정했는데, 선정되는 책마다 베스트셀러가 되고, 판매량 1위가 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5] 2003년에는 독서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어린이 도서관을 세우는 '기적의 도서관'(ex. 전라남도 순천시) 사업도 추진했다.[6]

그 중에 시도 자체는 좋았지만 지하철 책 읽기 운동[7]을 하면서 벌어진 일련의 사태로 폭풍 까인 뒤 다른 의미로 레전드가 된 특집이 있다. 2002년 4월 20일자 방송 중, MC들은 '일본인들은 지하철에서 유용한 책을 읽는다더라'라며 지하철에서 책 읽기를 강조했는데, 이후 실제로 일본에서 살아본 사람들이 '일본 사람들 지하철에서 만화책 보거나, 졸던데?'라는 반응을 보이며 인터넷이 시끌벅적해졌고, 거기에 더해 MC들이 지하철에서 만화책을 보던 남학생을 희화화하는 식으로 진행한 인터뷰가 문제가 되었다.
김용만: 책을 좀 많이 읽으십니까?
남학생: 만화책을 좀...자막: (자신있게) 만화책을...
김용만: 아... 기억에 남는 책은?
남학생: 슬램덩크 같은 명작은 잊을 수가 없었고, 북두신권, 드래곤볼, 미스터큐...(김용만, 웃는 얼굴을 손으로 가림)
김용만: 미스터큐에서 어떤 것을 느꼈나요?
남학생: 이강토가 세계의 자동차 시장들과 경쟁하면서 우리나라 브랜드를 세계에 알리는 그런, 만화 차원을 뛰어넘어선...(MC, 관객 웃음)
남학생: '영어선생님'이라는 김동화 선생님 작품이 있습니다. 사랑이야기인데...
유재석: 만화인가요?
남학생: 그럼요! (MC, 방청객 웃음)
2002년 3월 2일 방송분

이 방송을 보고 격분한 만화가협회와 시청자들이 압박을 넣기 시작했고[8], 일본인들에 비유한 게 구라였음이 밝혀지며, 그동안은 심지어 책을 읽거나 신문을 읽고 있어도 진행자들의 마음에 안 드는 책이면 까던 행위가 부각되면서 MBC에 사과방송을 요구하기도 했으나, 언론중재위원회의 중재로 홈페이지에 사과글을 게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이후 느낌표 제작진들이 느낀게 좀 있었는지 아예 책을 봅시다 코너에 한국 만화책 특집을 꾸미기도 했다. 실제로 이후 방송가에서 만화책에 대한 인식도 만화책이면 무조건 까던 것에서, 이왕 볼거면 국산의 좋은 만화책을 보자는 식으로 바뀌었다.

이외에도 전체적으로 민족주의 성향이 강해서, 일제강점기 관련 서적을 리뷰할 때는 패널들이 책에 묘사된 일본 제국의 악행에 분노하는 반응을 보여주기도 했다.[9]

그 외에도 기적의 도서관 프로젝트 진행 도중 평양(!)에 도서관을 짓자는 기획이 방영되기도 했지만 햇볕정책 등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화해무드였던 당시 분위기를 감안하더라도 일개 예능프로그램에서 진행하기에는 상당한 무리수에 가까운 기획이었으며, 결국 코너 종료와 함께 흐지부지됐다.

느낌표 선정 도서
<rowcolor=white> 번호 선정시점 제목 저자 출판사
1 2001년 11월 괭이부리말 아이들[10] 김중미 창비
2 2001년 12월 봉순이 언니 공지영 푸른숲
3 2002년 1월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웅진
4 2002년 3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최순우 학고재
5 2002년 4월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신경림 우리교육
6 2002년 7월 아홉살 인생 위기철 청년사
7 2002년 8월 백범일지 김구 돌베개
8 2002년 8월 모랫말 아이들 황석영 문학동네
9 2002년 9월 그러나 나는 살아가리라 유용주
10 2002년 10월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전우익 현암사
11 2002년 11월 마당 깊은 집 김원일 문학과지성사
12 2002년 11월 삼국유사 일연 을유문화사
13 2003년 1월 야생초 편지 황대권 도솔
14 2003년 2월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정민 보림
15 2003년 3월 톨스토이 단편선 톨스토이 인디북
16 2003년 4월 곽재구의 포구 기행 곽재구 열림원
17 2003년 5월 가방 들어 주는 아이 고정욱 사계절
18 2003년 5월 달님은 알지요 김향이 비룡소
19 2003년 6월 지상에 숟가락 하나 현기영 실천문학사
20 2003년 7월 내 생애의 아이들 가브리엘 루아 현대문학
21 2003년 8월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김주영 문이당
22 2003년 9월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J. M. 바스콘셀로스 동녘
23 2003년 10월 시가 내게로 왔다 김용택 마음산책
24 2003년 11월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정재승 동아시아
25 2003년 11월 희망의 이유 제인 구달 궁리

대체로 양질의 도서이기는 하지만 방송 당시의 신간 서적은 없다. 아마도 신간 홍보하냐는 비판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12월 MBC와 교보문고의 협업으로 2025년 중 웹 예능 형식으로 부활할 것으로 알려졌다. #

2.1.2. 하자하자!


청소년, 학생 문제를 다룬 코너로 2001년 11월 10일부터 2004년 1월 31일까지 총 5기로 나눠 각기 다른 주제로 방송을 진행했다.
  • 1기 - 아침밥 먹자!: 신동엽이 진행
    0교시 때문에 아침밥도 제대로 못 챙겨먹는 청소년들을 위해 밥차를 몰며 진행했으며, 0교시 폐지를 위해 힘쓴 결과 2000년대 초반에 고등학교를 다닌 세대는 실제로 0교시가 폐지되는 경험을 했다.[11] 그러나 0교시는 이후 슬그머니 다시 부활하다가 다시 폐지한 곳이 늘어났다.
  • 2기 - 얘들아 헬멧쓰자!: 신동엽 → 송은이[12]가 진행
    폭주족 청소년들에게 송은이가 직접 찾아다니며 오토바이 헬멧을 씌워준 프로그램.
  • 3기 - 얘들아 행복하니: 임성민[13], 송은이가 진행
    가출청소년들을 찾아 가정의 품으로 돌려보낸 프로그램. '행복의 다리'라고 불리는 다리에서 가출청소년과 부모간의 상봉과 갈등의 원인 등을 알아보고 그 갈등들을 해결해 줬다.[14] 전국투어 편에서는 가출 설정의 연기자를 투입해서 그 연기자를 도와주려는 사람들을 기습해서 인터뷰를 진행했고 그 가게에 가출청소년 쉼터 연락처 스티커도 부착해 주었다.
  • 4기 - 청소년 할인하자!: 송은이, 신정환이 진행
    기존의 학생 할인 제도가 학교를 중퇴하거나 취학하지 않아 학생증이 없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았기에 이를 청소년 전체로 적용하게끔 유도한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에서 학생증 외에 청소년임을 확인하는 신분증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청소년증 발급 제도가 실시되었다.
  • 5기 - 존댓말로 수업하자: 신정환, 서경석이 진행
    학생들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수업을 존댓말로 진행하자는 내용이었는데, 역대 하자하자 가운데 가장 반응이 안 좋았다. 수업 시 반말을 쓰는 것이 곧 학생의 인권을 누르는 행위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시각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반말을 쓰는 것은 오히려 친근감의 표시일 수도 있고, 출연한 교사 가운데서도 반말을 쓴다고 꼭 그 선생님이 나쁜 것은 아니라고 의견을 밝힌 바 있다.
하자하자 1탄(아침밥 먹자!) 방영목록
회차방송내용비고
1회(2001년 11월 10일)문일고등학교
2회(2001년 11월 17일)권선고등학교
3회(2001년 11월 24일)서울외국어고등학교
4회(2001년 12월 1일)화곡고등학교
5회(2001년 12월 8일)호원고등학교
6회(2001년 12월 15일)태성고등학교
7회(2001년 12월 22일)세일고등학교
8회(2002년 1월 5일)혜성여자고등학교
9회(2002년 1월 12일)대일외국어고등학교
10회(2002년 1월 19일)경신고등학교
11회(2002년 1월 26일)명덕외국어고등학교
12회(2002년 2월 2일)해외특집 1탄:영국편
13회(2002년 2월 9일)해외특집 2탄:프랑스편
14회(2002년 2월 23일)해외특집 3탄:일본편
15회(2002년 3월 2일)해외특집 4탄:베트남편
16회(2002년 3월 9일)5000인의 고교 대토론 0교시를 폐지하라 [15]
17회(2002년 3월 16일)학부모 100명과 함께하는 5000인의 고교 대토론
18회(2002년 3월 23일)새벽등교 VS 아침등교
19회(2002년 3월 30일)0교시 폐지
20회(2002년 4월 6일)0교시 폐지:양명여자고등학교
21회(2002년 4월 13일)늦은밤 귀가하는 학생들 마사지

2.1.3. 경림이의 길거리 특강


2001년 11월 10일부터 2003년 2월 8일까지 박경림이 진행한 프로그램으로, 한 주에 한 분씩 명사를 모셔서 다양한 장소에서 강연을 펼쳤다. 코너 내내 박경림이 소품으로 등에 배낭 3~4개 크기의 거대한 칠판지우개를 메고 있는 것이 특징. 마지막회에서는 박경림 본인이 강연을 펼쳤다.

2.1.4. 다큐멘터리 이경규 보고서


너구리고라니 등 야생동물의 생태를 다룬 내용으로 특히 양재천의 너구리를 다룬 게 인기를 끌었으나, 코너 제작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방송위원회의 경고를 먹은 적이 있다. 너구리 포획에 가까스로 성공했지만 그 과정을 촬영하지 못해 포획한 너구리를 다시 풀어준 후 이를 방영한 것이다. 논란 후 아예 이경규가 프로그램에서 사과를 했으며 후에는 대놓고 재촬영한 것이라 자막을 내보냈다.

2.1.5. 아빠의 음식


2002년 11월 2일[16] ~ 2003년 1월 18일 방영

지석진[17], 이진이 진행한 코너로 어린이의 편식 습관을 고치기 위한 취지의 코너였다.

2.1.6. 아시아! 아시아! 1, 2기


2003년 2월 22일[18] ~ 2004년 5월 1일, 2005년 1월 15일 방영

경림이의 길거리 특강 후속 코너로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와 그 노동자의 가족을 한국으로 초대해 만나게 해주었던 프로그램.[19]

1기와 2기로 나뉜다. 2003년 방송된 1기는 '한국 속의 아시아'란 주제로 노동자와 가족의 상봉을 다뤘고, 2004년 방송된 2기는 '아시아 속의 한국'이란 주제로 고려인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한국으로 초청하는 형식이다. 박수홍[20]윤정수가 진행했다.[21]

한 에피소드는 2회 분량으로 첫 회차는 외국인 노동자와 인터뷰, 다음 회차는 진행자 중 한 명이 노동자의 고향에 가서 가족을 데려오는 식으로 구성됐다. 단순히 가족을 만나게 해주는 것 뿐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의 열악한 처우[22][23] 및 개발도상국 사람들의 삶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했다.

매 에피소드마다 진행자 중 한 명이 해외에 나가는데, 아시아 아시아가 방영되던 2000년대 초에는 아시아 여러 나라로 가는 직항 편도 적을 뿐더러, 아시아권 국가에선 저비용 항공사가 등장하기 이전이라 현지에선 대부분 자동차로만 이동해야 해서 진행자들이 굉장히 고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24][25] 게다가 비자와 각종 서류 문제로 고생하기도 한다.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한국 비자를 받기 위해선 까다로운 심사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데[26] 이 부분은 다행히 현지 대사관의 협조로 빠르게 진행되지만, 이에 필요한 서류나 여권 발급 등은 현지 공공기관에서 발급해야 하는데 이게 오래 걸리다 보니 꽤나 고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27] 심지어 아시아 국가들의 상당수가 독재자가 집권한 나라다보니, 석연치 않은 이유로 출연자의 입국 허가가 나지 않은 경우도 있고[28], 11회차에서는 우즈베키스탄 국경을 넘는 중에 하마터면 국경수비대원들에게 촬영용 카메라를 압수당할 뻔했던 살벌한 상황까지 벌어졌기에[29], 촬영 과정이 그다지 녹록지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경우는 가족을 데려오는데 성공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함께 오지 못한 경우도 있었고[30], 정말 안타까운 경우도 있었다. 1부, 2부 인도에서 온 노동자가 중병에 걸려 혼수 상태에 빠진 상태라[31] 급히 인도로 출발했으나 안타깝게도 인도로 날아가던 중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 소식을 인도에 도착해서야 들은 박수홍과 제작진은 잠시동안 충격에 빠졌고 장례를 치르려면 가족이 있어야 하므로 가족을 찾아 슬픈 소식을 전해 주며[32] 여권도 재빨리 발급시켜주고 한국에 데려와 장례를 치렀다. 출연자들과 제작진에서 빈소도 마련해 주었다고 한다. 물론 이런 안타까운 이야기만 있었던 건 당연히 아니라서, 15회차에 출연한 베트남인 노동자인 응우옌 티 황 이옌은 촬영 당시에 이미 같은 베트남인 남성과 결혼하여 아이를 임신 중이었는데, 그 때문에 가족들과도 재회하고 아이도 건강히 순산하는 큰 기쁨을 누렸다.

고려인 할아버지인 유 콘스탄틴의 경우엔 8년 전(1996년) 헤어진 딸을 찾으러 떠났는데, 교통편이 마땅치 않자 전세 비행기까지 빌려서 이동하기도 했다.

2005년 1월 15일은 2004년 12월 26일 발생한 남아시아 대지진으로 인해 특집으로 돌아와 참혹한 대지진 피해 현장을 찾아갔다.

제작진이 외국인 노동자의 고국에 갈 때마다 길가를 달리는 제작진의 차량을 보여주며 존 레논Imagine을 배경음악으로 틀어주는 연출이 자주 나왔다. 그리고 엔딩 장면에서는 항상 Angelic Breeze의 Morning Aura가 배경음악으로 나왔다.
아시아!아시아 1기 외국인노동자 일람
회차 이름 고향 방문자
1 무하마드 조이헉 비쁠럽(비뿌)[33] 방글라데시 다카 윤정수
2 잉크자르갈 곰보자웨(자야) 몽골 울란바토르 윤정수
3 호세피 페피토 마닉바스 마날로(죠) 필리핀 마닐라 윤정수
4 무하마드 우스만 알렘(보비) 파키스탄 라호르 윤정수
5 모힌달 씽(라나)[34] 인도 호시아르푸르 박수홍
6 후맘 로피키 인도네시아 포노로고 윤정수
7 사랏 나야나난다 에드리싱흐 스리랑카 말람베 박수홍
8 을지 자르갈 몽골 에르데네트 윤정수
9 산나잉 미얀마 타나핀 윤정수
10 건천따망 네팔 박수홍
11 라우샨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윤정수
12 유아디 아누(맴) 타이 농카이 박수홍
13 수쿠말 스리랑카 캔디 윤정수
14 자키르 호사인 모나 샤하(모나) 방글라데시 꾸밀라 윤정수
15 응웬 티 황 이옌 베트남 호치민 시 박수홍
16 이리스쿨로브 독트르벡(도카)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박수홍
17 야니 수랏노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윤정수

아시아! 아시아! 2기 주인공 일람
1 김소피아카자흐스탄 타라즈
2 유 콘스탄틴우즈베키스탄
3 초이 시나이다 안드레예브나키르기스스탄
4 유가이 베라 바실리예브나러시아 우수리스크
5 박판만타지키스탄
6 박 라이사투르크메니스탄 다쉬오구즈
7 곽예남중국 안후이성 쑤저우시
8 박우득중국 상하이시

2.1.7. 서경석 이윤석의 효도합시다


부모님께 자주 안부를 묻자는 취지의 프로그램. 종영 이후 정준하의 아내인 니나야키가 출연한 적이 있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다시 조명받은 적이 있다.

2.1.8. 국민건강 프로젝트 - 운동이 운명을 바꾼다


김진수, 주영훈이 진행한 프로그램. 기존 한줄짜리 줄을 쓰던 줄넘기를, 줄에 마카로니 같은 게 씌인 형태의 줄을 쓰는 줄넘기로 유행을 바꾼 바 있다. 줄넘기 대회를 진행해서 우승자에게는 100만원 내에서 운동기구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여담으로 2004년 4월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32회 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보건복지부 표창장을 받았다. 시상자는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인 김화중이었다.
느낌표 줄넘기대회 개최도시 장소
1회인천광역시인천대공원
2회부산광역시수영만 요트경기장
3회서울특별시상암 월드컵 경기장 평화의 공원
4회목포시목포문화예술회관 앞
5회대구광역시대구월드컵경기장
6회천안시독립기념관겨레의 탑 앞
7회춘천시춘천 애니메이션 박물관 앞
8회고양시일산 미관공원
전국대회서울특별시여의도공원 문화의 마당

2.2. 2기 (2004년 12월 11일 ~ 2007년 11월 2일)

2.2.1. 이경규의 대한민국의 오늘을 찍는다! - 찰칵! 찰칵!


2004년 12월 11일 ~ 2005년 8월 13일 방영.

대전중문침례교회 담임목사인 장경동 목사와 함께 출연했다. 오프닝을 (당시) 서울특별시청 본관 옥상에서 하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폰 카메라로 우리 주위의 따뜻한 장면들을 촬영해 선행을 베푼 주인공을 찾아가 황금 배지를 달아주었던 코너. 양심냉장고명랑히어로의 코너인 명랑히어로 어워즈와 비슷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역대 황금배지 주인공 선행 내용 수여 장소
1대유현주(당시 23세)서울 지리가 어두운 할머니에게 길 안내천안 H대학교
2대최대영(당시 22세)장애인 휠체어를 들어드림경희의료원
3대우경진(당시 66세)노숙자들에게 먹을 것을 줌강남구 신사동
4대신대식(당시 43세)몸이 편찮은 할아버지를 카트로 태워서 택시를 태워준 뒤에 할머니도 모셔드림동대문운동장
5대김영님다리가 아픈 사람을 도와줌후암동
6대오정환(당시 73세)종로 거리에서 쓰레기를 주움경기도 고양시 일산
7대장명자(당시 50세)종로3가 지하철역 계단에서 미끄러져 머리를 다친 할아버지를 119구급대원이 오기 전까지 응급조치약수동
8대이철희(당시 60세)방화5거리에서 교통정리방화동
9대김승로(당시 33세)7년간 노숙자에게 무료급식봉사인천광역시 도원역
10대송일근(당시 21세)대방역 지하도에서 좌판장사를 하는 할머니를 도움동작구 대방동
11대정혜련(당시 45세)뇌성마비 장애인을 도움동대문구
12대정광서(당시 49세)독거노인들에게 직접 도시락을 배달양재동
13대장미량(당시 41세)아파트 단지내의 장애인 이동 목욕차량에서 목욕봉사방화동
14대반중환(당시 82세)노인복지회관에서 노인들에게 발마사지 봉사양주시
15대임성택(당시 39세)6년간 매일 1시간씩 무료급식부천시
16대박희탁(당시 56세)3년째 지하도에서 노숙자 이발 봉사서울역
17대김성남(당시 76세)25년간 우산 무료 수리,대여 봉사성남시
18대안종학(당시 51세)16년째 출퇴근시간 길안내 봉사신도림역
19대장수명(당시 33세)4년째 버스정류장,육교 청소부천시
20대윤경옥(당시 40세)노인정 방문 건강 체크 봉사활동영등포구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21대김선혁(당시 50세)섬마을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의료봉사부천시 부천내과
22대조정우 이병(당시 22세)다리가 불편한 할머니를 목적지까지 길안내를 해줌창원시 국군호송사령부 철도호송대 2중대
23대안기형(당시 43세)무보수로 시각장애인 마라톤 코치를 해줌과천시 관문체육공원운동장
24대박희옥(당시 66세)택시를 탄 승객에게 선행을 베풀어줌중앙대학교

2.2.2. 기적의 메디컬 프로젝트 - 눈을 떠요!


2004년 12월 11일 ~ 2005년 12월 24일 방영.

김제동, god 진행. 각막 이식수술을 지원해 줄 뿐 아니라, 전 국민적인 장기기증서약 동의를 이끌었다. 그리고 강남성모병원의 김만수 박사와 함께하였다. god가 나가고 임은경이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인물 중 당시 시각장애인인 홀어머니와 함께 살던 13세의 소년가장이었던 원종건은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인재영입 인사로 영입되어 주목을 받았으나 이후 터진 과거 성추문으로 인한 미투 폭로로 인해 논란을 야기했다.

이 프로그램이 방영된 2004~2005년 당시에는 국내의 각막기증자가 극소수여서 미국의 아이뱅크(Eye Bank)에서 각막을 기증 받아서 각막 이식 수술을 했다.

이 코너는 200회 특집 때 다시 보고 싶은 코너 베스트 5에서 유일하게 올라온 2기 코너이다.
역대 주인공이름병명
1박우진(당시 24세)과립성 이영양증
2김향중(당시 29세)푹스이영양증
3김판중(당시 24세)[35]푹스이영양증
4이귀녀(당시 56세)
5박진숙(당시 43세)[36]백내장에 의한 수포성각막혼탁
6노기용(당시 25세)원추각막
7김아름(당시 23세)
8김덕주(당시 13살)선천성 녹내장
9최명철(당시 43세)각막 혼탁(원인:헤르페스성 각막염)
10김정화(당시 35세)
11김완일(당시 21세)원추각막
12임순덕선천성 무홍채증
13김정수(당시 44세)천공 위험성 각막혼탁
14전수연(당시 29세)양안 중심부 각막 혼탁증
15박재호(당시 9살)선천성 각막내피 부전증
16김인찬신생 혈관을 동반한 염증성 각막혼탁(오른쪽 눈),녹내장,거대각막증,각막혼탁(왼쪽 눈)
17김민재(당시 20세)
18유진이(당시 6살)양안 무홍채증
19김우주
20강봉석(당시 28세)피터증후군
21양경남(당시 29세)
22조현지(당시 6살)선천성 각막내피 이영양증
23이영복(당시 50세)노출성 각막염,각막화상,마비성 사시

2.2.3. 통일시리즈

2004년 12월 11일 ~ 2005년 11월 12일 방영.
2.2.3.1. 남북 어린이(청소년) 알아맞히기 경연
  • 어린이: 2004년 12월 11일 ~ 2005년 5월 14일 방영.
  • 청소년: 2005년 5월 21일 ~ 2005년 9월 3일, 2005년 10월 29일 ~ 2005년 11월 12일 방영.

신동엽이 진행하며[37], 패널은 북한 교육전문가 신효숙 박사 등 교육자 3명이 맡았다. 북한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진행된 "알아맞히기 경연"이란 프로그램을 이용한 프로그램으로[38] MBC에서 촬영한 남측 어린이들과 신동엽의 모습을 크로마 키로 북한 화면에 합성하거나[39] 교차편집하는 등의 스킬로 마치 남북 어린이(청소년)들이 한 자리에서 문제를 푸는 듯한 모습으로 내보냈다. 북측 오복숙 아나운서와 심사위원 목소리는 성우 김지영박태호가 대신했다.

남북 어린이 알아맞추기 경연의 특전은 평양 수학여행이며, 남북 청소년 알아맞추기 경연의 특전은 북측 최고 대학(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김형직사범대학, 평성리과대학) 탐방이다.
남북 청소년 알아맞추기 경연 결승 최종 우승자연승호 군(청주고등학교)
평양 수학여행 영광의 5인(청소년)
연승호 군(청주고등학교)정다운 군(영신고등학교)김대현 군(한일고등학교)박일룡 군(순천고등학교)김수재 군(용산고등학교)

이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장진구 학생(당시 울산 명정초 4~5학년 재학중)과 홍지연 학생(당시 인천 용현남초 4~5학년 재학중)은 2007년 중학교 1학년 때 남북 열차 경의선구간에 시험 탑승을 하게 되었다.[40]
2.2.3.2. 통일료리관

2005년 9월 10일 ~ 2005년 10월 22일 방영.
북한의 음식을 소개하는 코너로 남북 청소년 알아맞히기 경연의 특전 평양 수학여행을 준비하는 동안 방영되었다.

2.2.4. 아시아! 아시아! 3기 - 집으로

2005년 8월 20일 ~ 2005년 11월 26일 방영.

김용만 진행, 한국으로 시집온 외국인 며느리들과 혼혈이라는 이유로 상처받고 있는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아이와 엄마를 친정에 보내 가족 상봉을 하는 코너.

2.2.5. 김용만의 희망뉴스 카운트다운


2005년 12월 3일 ~ 2006년 4월 15일 방영.

이정민 아나운서가 희망적이고 기분 좋은 가상의 뉴스를 전달하면, 김용만과 보조 MC들은 그 뉴스가 실현될 수 있게 실천해야 하는 미래 완료 형식의 코너. 이후 음성군에 있는 감곡초등학교 여자축구부를 중심으로 방송되었다.

2.2.6. 산 넘고! 물 건너!


2006년 1월 7일 ~ 2007년 11월 2일 방영.

산간 및 낙도 오지 지역에 살고 있는 노인들이나 해외 어린이들의 의료 혜택을 보장하기 위해 기획된 코너다. 이 코너가 방송을 시작한 2006년(1기)에는 산간 오지 마을을 돌면서 거주자들의 건강 상태를 진단했으며, 수술이 필요하거나 정밀 검진이 필요한 사람은 서울에 있는 서울아산병원이나 경희의료원으로 모셔 정밀 검진을 받고 입원했다.[41] 2007년에는 낙도 오지 마을(2기)과 해외(3기)를 돌면서 검진했다. 현재의 닥터헬기 도입에 큰 영향을 준 코너.
번호 날짜 장소 게스트
12006년 1월 7일강원도 정선군 동면(현 화암면) 백전리서인영
22006년 1월 14일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무릉리 선암마을
32006년 2월 4일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수식2리이청아
42006년 2월 11일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온천리김빈우
52006년 2월 18일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3리성지루
62006년 2월 25일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덕지리오승현
72006년 3월 4일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봉태규&서인영
82006년 3월 11일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신일4리
92006년 3월 25일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옥계2리이효리
102006년 4월 1일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봉호리최강희
112006년 4월 15일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3리이수영
122006년 4월 22일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삼방리신애
132006년 4월 29일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현 주왕산면) 항리김C
142006년 5월 6일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대양2리송일국&한혜진
152006년 5월 13일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도심3리김효진
162006년 5월 20일경상북도 예천군 상리면 보곡리
172006년 5월 27일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통정리박혜경
182006년 6월 3일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가좌리김흥국
192006년 6월 24일강원도 영월군 서면(현 한반도면) 옹정리박중훈
202006년 7월 1일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굴리(1)이동욱&송윤아
212006년 7월 8일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굴리(2)이동욱&송윤아
222006년 7월 15일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232006년 7월 22일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상장2리
242006년 7월 29일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청운2리바다
252006년 8월 5일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김성주
262006년 8월 12일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우산1리도지원
272006년 8월 19일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매전리 안민동 마을현영
282006년 8월 26일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선곡1리이영아
292006년 9월 2일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천작리
302006년 9월 9일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어암2리[42]안혜경
312006년 9월 16일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수월리)김원희
322006년 9월 23일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방율리
33(특집)2006년 10월 14일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유시민&동방신기
342006년 10월 21일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방하목리이영아&동방신기
352006년 10월 28일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해인리(1)동방신기
362006년 11월 4일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해인리(2)동방신기
372006년 11월 11일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소전2리[43]봉태규
382006년 11월 25일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광천2리아유미
392006년 12월 9일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1리엄정화
402006년 12월 16일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유평리박정아
412006년 12월 23일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북리김태희
42(송년특집)2006년 12월 30일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각대리YB
432007년 1월 6일강원도 정선군 남면 광덕1리오지호
442007년 1월 13일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수락도,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하화도박정아
452007년 1월 20일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수락도,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광도,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추도박정아
462007년 1월 27일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광도,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자봉도,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소두라도장윤정
472007년 2월 3일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수항도, 전라남도 완도군 금당면 비견도장윤정(수항도), 임창정(비견도)
482007년 2월 10일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도,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수락도임창정
492007년 2월 17일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다랑도임창정
502007년 2월 24일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상하죽도이소연
512007년 3월 3일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곽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이소연
522007년 3월 10일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성남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양덕도자두
532007년 3월 17일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내병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혈도자두
542007년 3월 24일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좌도,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우도에픽하이
552007년 4월 7일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우도,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가왕도에픽하이
562007년 4월 14일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죽도,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육도황보
572007년 4월 21일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도,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외도황보
582007년 4월 28일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평사도,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문병도,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도이기찬, 양배추
592007년 5월 5일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대야도,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도이기찬,양배추
602007년 5월 12일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광도,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다랑도X
612007년 5월 19일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수항도,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도X
622007년 5월 25일일본 상륙 1편(나가사키현 아카시마)X
632007년 6월 1일일본 상륙 2편(나가사키현 아카시마, 오우시마, 카시라가지마)X
642007년 6월 8일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문갑도자두, 양배추, 이기찬
652007년 6월 15일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문갑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백아도자두, 양배추, 이기찬

2.2.7. 김성주, 박경림의 아자!아자!


2006년 4월 22일 ~ 2006년 6월 17일 방영.

2006 독일 월드컵을 맞아 '국민 모두 하나되어 태극 전사들에게 힘을 실어 넣자'는 응원 프로젝트 형식의 코너이다.

2.2.8. 위대한 유산 74434


2006년 4월 22일 ~ 2007년 5월 19일 방영.

서경석, 조혜련, 정형돈, 박정민 진행. 코너명의 74434는 해외로 유출된 문화재의 개수를 뜻하며, 일제강점기에 수탈당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재조명을 이끌어 냈다.[44] 방영 당시에 만들어진 카페는 2022년 5월 기준 종영된 지 15년이 지났는데도 다행히 현재까지 잘 운영되고 있는 듯 하지만 한 역덕후 운영진의 놀이터가 되었다...[45] 카페 주소

2004년 국민들을 분노케 했던 중국의 역사 왜곡 사업 동북공정을 재조명하는 등 국민들의 역사인식을 올리는데 기여한 코너이긴 하지만, 완전히 거짓까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한 근거 없이 지나치게 국수주의적인 지도를 그대로 방영해서 다소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이후 시청자들의 신청을 받아 고구려 지도를 배포했다.

2.2.9. 다시보기

2007년 5월 25일 ~ 2007년 10월 12일 방영.

박경림이 진행했으며, 한국의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들과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를 지키고 있는 장인들을 찾아가 장인기술을 익히고 배우는 코너이며 느낌표 최후의 코너다.

3. 수상

<rowcolor=#FFFFFF> 날짜 시상식명 수상 부문 수상자
2001년
12월 29일 MBC 방송연예대상 진행자 부문 최우수상 이경규
대상 박경림
2002년
12월 29일 MBC 방송연예대상 최고 인기상 이경규
대상 김용만
2003년
3월 26일 제39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예능 작품상 느낌표
9월 3일 제30회 한국방송대상 연예오락 TV 부문 작품상
12월 29일 MBC 방송연예대상 쇼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김용만, 유재석
대상 김용만
2004년
12월 29일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예능 프로그램상 느낌표
쇼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이경규, 김용만
대상 이경규
2005년
3월 1일 제17회 한국PD대상 TV 예능 부문 작품상 느낌표
12월 29일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이경규

[1] 역대 MC가 아닌 이혁재는 동시간대에 처음부터 끝까지 고정출연했던 '장미의 이름'이 '느낌표'로 인해 종영되어 아픔이 천 배였다.[2] 저 당시 밤시간을 상징하는 개그 콘서트도 20:55분 시간대였는데 느낌표는 그보다도 늦은 21:45분 시간대였다. 아무리 토요일 밤이라도 당시 예능치고 매우 늦은 시간에 방영을 했었다.[3] 2012년 전문대학인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합쳐져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4] 19대 국회의원 당시 비리로 인해 유죄 판결을 받고 낙마하였으며, 2021년 6월 29일 사망했다.[5] 다만 선정 도서 중 신간 서적이 하나도 없었던 것은 흠이다. 물론 공영방송에서 하는 책 추천이니만큼 양질의 도서를 골라야 하는데 아무래도 신간보다는 검증된 작품들이 더 편했을 것이다.[6] 일밤의 코너 대단한 도전의 벌칙 상대로 나왔던 타이거 마스크가 출연하기도 했는데 (진행자였던 김용만은 당연히 알아보았다.) 다행히 책을 읽는 모습을 보였다.[7] 실제로 이 무렵 서울 지하철 4호선독서 열차를 운행한 적이 있다.[8] 당시 아마추어였던 주호민 또한 북두의 권켄시로 사진까지 오려붙이면서 '너흰 이미 죽어 있다'며 유재석과 김용만을 사살하는 만화를 그렸다. 엄밀히 말하면 스태프들의 잘못인데 앞의 둘이 가장 크게 잘못한 것마냥 그렸기 때문에 해당 만화에 대해서도 너무 심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자세한 것은 주호민/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조.[9] 그외 느낌표에서는 중국에 체류 중이었던 고령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귀국하고, 헤어졌던 친족을 만나는 걸 성사해 준 적이 있는데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성향상 그런 기획도 충분히 이루어질 법하다.[10] 만석부두를 배경으로 한 소설로 훗날 무한도전여드름 브레이크에서 이 장소가 마지막을 장식하는 곳이다.[11] 참고로 0교시가 폐지될 때 진행자 신동엽도 실제 뉴스 인터뷰로 나오기도 했다.[12] 후에 임성민도 합류했다.[13] 후에 김진수로 변경.[14] 45회(2002년 11월 16일 방송분)에서는 김진수의 부재로 송은이가 지석진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부모를 데리고 와 줬다.[15] 시작할 때 정훈이가 그린 만화가 나오는데, 정훈이 본인이 더빙하였다.[16] 2002년 10월 26일 방송분은 예고편으로 나왔다. 예고편에 앞서 방송된 경림이의 길거리 특강 코너에서 지석진이 코너 중간에 끼어든다.[17] 이 코너에 이휘재가 MC로 물망에 올랐지만, SBS 가을개편 신설 코미디프로였던 '코미디타운'에 멤버와 같이 방송해 이미지가 겹친다는 이유로 고사했다.[18] 2003년 2월 15일 방송분은 예고편으로 나왔다.[19] 노동자들의 대부분이 불법 체류 신분이기에 귀국을 할 수 없어 가족을 한국으로 초대하는 형식을 택했다.[20] 에피소드 중 박수홍이 고려인 할머니를 만나는 장면이 있었는데, 이 노인은 모국어를 정확히 구사했고, 박수홍의 본관을 물어본 뒤 같은 성씨라는 걸 알고 기뻐하는 장면이 있었다. 여러 모로 근현대사의 안타까움이 상기되는 장면.[21] 2004년 2월 7일부터 김경식도 합류.[22] 2023년 현재도 불법 노동자들의 실태가 열악한데, 방송이 진행되던 2000년대 초반은 지금보다 더 극악의 상황이었다. 월급 미지급은 비일비재했고 고용주에 의한 폭력이 발생하기도 했다.[23] 대한민국에 비해 경제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크게 뒤떨어져있는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보니, 고학력자인데도 저임금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도 적지않다. 일례로 2회차에 출연한 몽골인 노동자인 자야는 몽골 최고의 명문대울란바토르 대학교를 졸업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공장에서 힘들게 근무하고 있었고, 그 와중에 감독관의 폭언과 갑질에 시달렸음을 고백하기도 했다. 한국인으로 치면 서울대학교 졸업생이 서구권 선진국에 취업하러 나와서 3D 업종에 종사하면서 열악한 근무환경에 시달리고 있던 셈이었다.[24] 현지에서 차로 10시간 이상을 이동하거나 같은 아시아권 국가임에도 경유지를 거쳐 공항 도착에만 10시간 이상 걸리기도 한다.[25] 현지 코디네이터 혹 한국인 관계자의 도움을 받더라도 구글맵 같은 건 없기에 매번 사람들에게 길을 물어야 해서 노동자의 집을 찾는 것도 힘들다.[26] 한국인의 경우 해외에 나갈 때 대부분이 무비자라 느끼기 힘들지만, 아시아권 개발도상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경우 비자 받는 것이 굉장히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27] 다만 회차가 진행되고 프로그램이 유명해지다 보니 장관급 해외 인사가 초청해서 간담을 나누고 서류 발급도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13회차에서는 윤정수가 무려 스리랑카 노동부 장관을 만나서 간담을 나누었는데, 당시 장관이 한국 파견 노동자로 지원하는 스리랑카인 노동자들의 현실을 상세히 설명한 바 있었다.[28] 9회차에서 한 미얀마인 노동자의 가족을 데려오기 위해 윤정수가 입국 허가를 신청했으나, 미얀마 정부가 이유도 밝히지 않은 채 불허 결정을 내린 바람에 스태프들만 허가를 받아 미얀마로 출국했으나, 그 가족들의 출국을 막은 탓에 끝내 실패하고 6개월 뒤에나 특집 방송에서 재차 도전해 겨우 성공한 사례가 있다. 당시 미얀마는 군사독재정권 시기로, 관광 목적으로 입국하는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금하고, 내국인의 출국도 제한해버리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이다.[29] 이 당시의 우즈베키스탄김정일과 동급으로 평가받던 악질 독재자이슬람 카리모프가 집권했을때였고, 촬영 후 2년 만에 이 사람의 명령으로 인해 조그마한 중소도시인 안디잔의 시민들 대부분이 학살당한 사건까지 벌어졌다.[30] 미얀마에서 온 노동자의 사연으로 여권 문제로 인해 실패했다. 6개월 후 다시 시도하여 성공.[31] 간염인 상태였는데, 괜찮다며 출근했다 쓰러져 간수치가 올라 인사불성인 상태였다고 한다.[32] 통역사도 이 슬픈 소식에 쉽게 말을 못 꺼낼 정도였다고 한다.[33] 어머니는 오지 못했고 대신 남동생이 왔다.[34] 가족을 위해 일하다 급성 간염으로 쓰러져 부평세림병원에서 사망함.[35] 위의 김향중의 남동생이다. 자신도 시각장애가 있지만 누나를 위해 자신의 수술은 포기하기로 했는데, 이미 제작진들이 그의 수술을 위한 각막 기증자를 알아보고있던지라, 다행스럽게도 본인도 수술대에 오르게 되었다. 참고로, 김향중은 양쪽 눈이 모두 안 보이는 상태였으나, 한쪽 눈은 푹스이영양증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시신경이 미형성된 경우라서 수술이 불가능했다.[36] 상술한 원종건의 어머니다.[37] 청소년 편에서는 탈북 대학생 김하늘도 같이 진행했다.[38] 2004년에 진행된 17차 경연을 이용했다.[39] 방송 중간중간 신동엽이 직접 크로마 키 시전 예시를 보여주기도 했다.[40] 당시 탑승자들 중 최연소 탑승자였다고 한다.[41] 진료비 등 일체 병원비는 MBC와 각 병원에서 전액 부담했다.[42]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어암2리[43]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2리[44] 이 때 환수한 문화재 중 하나가 김시민 장군의 선무공신 교서. 현재는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 중.[45] 카페지기는 부재 중이고, 최근에 올라오는 게시글 중 거의 모두가 운영진 1명이 작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