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통일왕조 한(漢)나라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내용은 한나라(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제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세기전 시리즈에 나오는 가상의 국가에 대한 내용은 한 제국 문서 참고하십시오.중국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 황하 문명 하(夏) | ||||||||
상(商) | |||||||||
서주(西周) | |||||||||
동주(東周) | 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 춘추오패 | 전국칠웅 | ||||||||
초한쟁패기 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 | |||||||||
전한(前漢) | |||||||||
신(新) 현한(玄漢) | |||||||||
후한(後漢) | |||||||||
삼국 | 위(魏) | 촉(蜀) | 오(吳) | ||||||
서진(西晉) | |||||||||
동진(東晉) 환초(桓楚) | 오호십육국 전진(前秦) | ||||||||
남북조 | 송(宋) | 북위(北魏) | |||||||
제(齊) | |||||||||
양(梁) 후량(後梁) | |||||||||
수(隋) | |||||||||
당(唐) 무주(武周) | 위연(僞燕) | 황제(黃齊) | |||||||||
오대십국 | 여러 민족들 | ||||||||
요(遼) 서요(西遼) | |||||||||
북송(北宋) | |||||||||
남송 (南宋) | 금(金) | ||||||||
몽골 제국 | |||||||||
원(元) 북원(北元) | |||||||||
명(明) 순(順) | 남명(南明) | 후금(後金) | |||||||||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 |||||||||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세력 | 청황실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 ||||||||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 |
한나라 관련 틀 | |||||||||||||||||||||||||||||||||||||||||||||||||||||||||||||||||||||||||||||||||||||||||||||||||||||||||||||||||||||||||||||||||||||||||||||||||||||||||||||||||||||||||||||||||||||||||||||||||||||||||||||||||||||||||||||||||||||||||||||||||||||||||||||||||||||||||||||||||||||||||||||||||||||||||||||||||||||||||||||||||||||||||||||||||||||||||||||||||||||||||||||||||||||||||||||||||||||||||||||||||||||||||||||||||||||||||||||||||||||||||||||||||||||||||||||||||||||||||||||||||||||||||||||||||||||||||||||||||||||||||||
|
한 漢 | Han Dynasty | ||
| ||
기원전 202년 ~ 기원후 220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진 | 위 | |
촉한 | ||
오 | ||
별칭 | 유한 (劉漢) | |
위치 | 중국 대륙, 베트남 | |
수도 | 장안(長安) (기원전 202년 ~ 9년) 낙양(雒陽) (25년 ~ 190년)[1] 장안(長安) (190년 ~ 196년)[2] 허도(許都) (196년 ~ 220년)[3] | |
인구 | 전한: 59,594,978명 (2년) 후한: 56,486,856명 (157년) | |
정치 체제 | 봉건군주제 → 전제군주제 | |
국성 | 유 (劉) | |
국가원수 | 황제[4] | |
주요 황제 | ||
주요 섭정 | 고황후 여치 곽광 왕망 동탁 조조[5] | |
언어 | 상고 중국어[6] | |
문자 | 한자 | |
종교 | 유교[7] 도교(태평도, 오두미도), 불교[8], 중국 토속 종교 | |
종족 | 한족, 흉노, 강족, 저족, 백월, 고조선인 | |
통화 | 오수전 | |
현재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몽골| ]][[틀:국기| ]][[틀:국기| ]] [[북한| ]][[틀:국기| ]][[틀:국기| ]][9] |
[clearfix]
1. 개요
기원전 202년 유방이 건국한 고대 국가로, 초한대전(楚漢大戰)에서 서초의 항우를 상대로 승리한 BC 3세기부터 삼국시대(三國時代)에 들어서기 직전 후한이 멸망한 3세기 전반까지 존재한 왕조. 진(秦)의 뒤를 이어 통일된 중국의 기반을 자리잡게 한 제국이다. 그래서 진과 한을 묶어 진한제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록 중국 최초의 통일은 진나라에서 이뤄졌으나, 역사가 워낙 짧아서 중국의 첫 통일 국가의 온전한 모습을 보인 것은 한나라이다.초대 황제 고조 유방(劉邦)이 진승·오광의 난으로 시작된 진(秦)나라 멸망 후 항우의 18제후왕 분봉에서 파촉, 한중을 분봉받아 한(漢)왕이 되었다. 한(漢)이라는 국명은 바로 이 한중의 한수로부터 유래하였다. 초 패왕(楚覇王) 항우와의 초한전쟁에서 승리한 후에 BC 202년 정도(定陶)[10] 에서 건국했다. 이후 서기 220년 조조의 아들 조비가 제29대이자 마지막 황제인 헌제로부터 강제 선양 사실상 제위를 찬탈하여 위나라를 건국할 때까지 426년간[11] 지속되었다.
2. 상세
통일국가로서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랜 통치 기간을 지닌 왕조이다.[12] 건국된 지 200여년 후 왕망이 건국한 신이라는 단명 왕조가 잠깐 들어섰다가 망하고 이후 잠시 들어섰던 현한(중한) 역시 2년 만에 멸망하는 등 혼란이 발생하였으나 방계 황족인 광무제가 그것들을 평정하고 다시금 왕조를 세웠다, 그때를 경계로 전한(서한)과 후한(동한)[13]으로 나뉜다.이와 같은 긴 통치기간을 통해 중국 문화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문화권 전반의 기틀을 이룩한 왕조로 평가받는다. 그래서 중국 토착 민족은 한족(漢族)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중국의 전통적 글자를 한자(漢字)라고 부른다. 한자가 진나라 시대의 동글동글한 전서(篆書)의 형태를 벗어나 예서(隸書)로 변해 지금의 형태를 정립한 것이 한대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동아시아 문화권의 핵심인 인의(仁義)를 바탕에 둔 통치 이념인 유교와 그 시행 법령인 율령이 정비된 시점이 바로 한나라 시대이며 다른 제자백가 사상들도 유교와 상호 영향을 주면서 발전하여 오늘날 동아시아철학의 기반이 되었다. 그 밖에도 한나라의 대표 상품으로 채륜이 발명하였다고 하여 채후지(蔡侯紙)로도 불리는 종이를 들 수 있겠다.
넓은 영토, 막대한 인구, 글자(한자와 로마자), 종교(유교와 기독교), 법령, 긴 통치 기간[14] 등 같은 시대 공존했던 서역의 또다른 국가와 비슷한 점이 많다.
양한(兩漢)[15]의 경제는 장안과 낙양을 중심으로 한 관중과 중원(관동) 지역이 가장 발달했고 그 다음이 파촉, 회북 - 회남, 한수 유역과 장강 하류 이남의 단양, 오, 회의 순이다. 양한 시기에는 토지 겸병과 더불어 소농민의 노비, 유민으로의 전락이 큰 사회 문제였다.
건국 초기 다소 혼란의 시기를 겪었지만 이후 문제와 경제의 시기를 거치면서 국가의 내실을 단단히 하였고 그 국력을 바탕으로 한무제 때에는 대규모의 정복전쟁을 통해 국가의 판도를 최대로 확장하였다. 하지만, 이는 엄청난 국가적 지출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이후 선제가 훌륭한 통치를 펼치기도 했지만, 대개 그러나 너무 나이가 어리거나 황제가 되기에는 부적절한 인물이 계속 제위에 오르면서 결국 왕망이 선양의 형식으로 제위를 빼앗고 신나라를 건국하여 왕조가 멸망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광무제가 다시 혼란기를 평정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름에 따라 왕조를 재건하였다. 이후 다시 안정을 되찾아 서역으로 세력을 크게 확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환관 및 외척 세력이 발호함에 따라 황제의 권위와 권력이 추락하였고 통치가 다시 어지러워지기 시작하였다. 결국 황건적의 난과 각지에서 일어난 군웅들의 할거 이후 220년 위왕 조비가 선양의 형식으로 제위를 빼앗고 위나라를 건국하여 최종적으로 멸망하게 된다.
서기 2년에 전한의 인구가 6천만 명에 가까웠다고 조사되었다. 그런데 왕망 시기의 실정과 신나라와 후한 교체기에 벌어진 군웅 할거로 인해 대량의 유랑민이 발생했고, 인구도 줄어가면서 광무제가 죽은 서기 57년에는 인구가 그 반도 되지 않는 2천 800만 명이었다. 이후 후한은 멸망할 때까지도 전한 시기의 최대 인구에 도달하지 못했다.
서기 2년의 한나라 인구 지도. 옛부터 화북 평원에 많은 인구가 있었다. |
전한과 후한은 수도의 위치 때문에 장안(長安)에 도읍했던 서한(西漢)과 낙양(洛陽)에 도읍했던 동한(東漢)이라고도 한다. 이는 오대십국 때 유지원이 세운 한나라를 후한(後漢)으로 부르기 때문이다.
3. 역사
3.1. 전한
자세한 내용은 전한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고제 유방이 기원전 202년에 세운 나라. 본래 진나라가 멸망한 이후 항우의 제후왕 분봉으로 인해 후초의 제후국으로 출발했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중국 대륙의 패권을 두고 항우의 서초와 치열한 전쟁을 벌였다. 마침내 항우가 패사하고 중국을 평정한 유방은 기원전 202년 스스로 황제를 칭하면서 전한을 건국하였다.
유방 사후 여후를 비롯한 여씨의 전횡으로 나라가 혼란스러웠지만 여후가 죽자 여씨도 제거되고, 한문제와 한경제의 치세(문경지치)로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력을 회복했다. 이후 한무제 시기 대규모 정복전쟁에 나서 북방의 흉노를 정벌하고, 서쪽으로는 서남이, 남쪽으로는 남월, 동쪽으로는 고조선을 정복하고 군현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한무제 이후 쇠퇴하다가 마지막 황제 정안공 유영이 기원후 8년 권신 왕망에게 선양하면서 신나라가 건국되고 전한은 멸망했다.
3.2. 현한
자세한 내용은 현한 문서 참고하십시오.한나라의 황족인 경시제 유현이 23년에 세운 나라. 신나라를 세운 왕망의 폭정으로 민생이 도탄에 빠지자 각지에서 반란군이 일어났는데, 녹림군, 유연과 유수의 용릉병, 진목의 평림병, 왕상의 하강평, 왕광의 신시병 등이 연합하여 유현을 황제로 추대했다. 유현의 군대는 왕망의 신나라를 타도하고 장안에 입성하여 한나라를 재건하였고, 호족과 장수를 왕으로 분봉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 각지에는 적미군과 공손술, 외효 등 수많은 군벌들이 할거하고 있었다. 여기에 유현은 곤양대전에서 왕망의 군대를 격파한 유연과 유수를 두려워하여 유연을 죽이고 유수를 하북 토벌을 명분으로 멀리 보내버렸다. 이후 유연은 녹림군의 장수들과 갈등을 빚다가 25년 적미군의 침략을 받아 장안이 함락되자 제위를 내려놓아야 했다. 적미군은 또 다른 황족인 유분자를 황제로 추대했고 유현은 그해 12월에 적미군에 살해당하면서 현한은 완전히 멸망했다. 이후 적미군의 정권 또한 하북을 평정하고 되돌아온 유수의 손에 멸망당한다.
현한은 너무 짧게 존속한 탓에 후한과 달리 정통 정권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3.3. 후한
자세한 내용은 후한 문서 참고하십시오.한나라의 황족인 광무제 유수가 25년에 세운 나라. 유수는 왕망의 폭정으로 천하가 혼란스럽자 형 유연과 함께 남양에서 거병하였고, 여러 반란군, 호족들과 함께 연합하여 유현을 황제로 옹립한 뒤 곤양대전에서 신나라의 대군을 격파하여 그 이름을 떨쳤다. 이후 유현의 명으로 하북의 반란군을 토벌하던 중 적미군의 공격으로 현한이 멸망하자 황제를 칭하고 적미군을 멸한 뒤 중국에 날뛰는 군벌들을 모두 토벌하여 다시 한 번 천하를 통일하고 한나라를 재건하였다.
광무제는 왕망의 가혹한 정치를 폐하고, 무너진 사회 제도와 민생의 회복에 힘써 한나라의 국력을 회복시켰다. 하지만 한화제 유조 이후 어린 황제가 줄줄이 즉위하거나 요절하고 외척과 환관의 대립이 거세지는 등 정치 불안정이 심화되더니 184년에 발발한 황건적의 난을 시작으로 군웅할거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몰락의 길을 걷는다. 결국 마지막 황제인 한헌제 유협이 220년 위왕 조비에게 선양하면서 위나라가 건국되고 후한은 멸망했다.
3.4. 촉한
자세한 내용은 촉한 문서 참고하십시오.한나라 황족의 후예인 소열제 유비가 221년 파촉에 수립한 나라. 한나라의 계승을 표방했기에 한나라를 자처했지만, 조위와 손오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지역명에서 따온 촉(蜀)나라라고 불렀다. 촉한의 계승을 인정하는 사람들은 마지막 한나라란 뜻에서 "계한(季漢)"이라고도 부른다.
몇 번이나 북벌을 시도하여 조위와 치열한 전쟁을 벌였지만 265년 위나라의 침략으로 회제 유선이 항복하면서 완전히 멸망했다.
4. 한의 후예들?
이렇게 한나라는 멸망했지만 그래도 5호 16국의 시작을 끊은 흉노족의 전조는 초기 국호가 한이었는데, 이는 흉노와 한나라가 형제 관계를 맺었으며 당시 흉노족의 지도자 유연의 성 역시 한나라의 유씨였기 때문이다. 보통 전조로 호칭되지만 이전 국호인 한과 합쳐서 한조(漢趙)로도 불린다.성한 역시 국성은 이씨였지만 초기 국호는 성이었다가 나중에 한으로 바꾸었는데, 이 역시도 촉한을 의식했을 수 있다.
국호가 한이 아니었지만 한고조 유방의 이복동생 초원왕 유교의 21대 후손인 유유가 세운 송나라가 있다.
남북조시대 당시 후경은 선비족에 동화된 갈족이었는데, 황제를 자처하면서 국호를 한(漢)이라고 했다. 이런 후경의 한나라는 1년만에 멸망했는데, 그의 성을 따서 후한(侯漢)으로 부른다.
당나라 중기의 주차도 국호를 한으로 하였으나 왕조가 단명했다.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초대 황제 유지원은 사타족임에도 광무제의 8남 유병의 후손임을 자칭하여 국호를 한으로 정했다. 남한도 당시 국호를 대한(大漢)으로 했으나 구분을 위해 남한으로 불린다. 이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잔존국인 북한도 마찬가지다.
원말명초의 진우량도 국호를 한(漢)으로 정했으나 짧게 갔다.
5. 영향
통일 중국과 한족의 정체성을 확립한 나라다. 그전까지의 중국은 지역에 따라 언어, 문자, 단위가 다 제각각이었으며, 따라서 수많은 여러 국가로 나뉘어져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사람들의 생각에도 강하게 뿌리내려 있었으므로, 서로 간에도 민족적 동질 의식보다는 서로 다른 나라 사람들일 뿐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16], 한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 전한과 후한에 이르며 장장 400여 년이 넘게 같은 나라 사람으로 지내다 보니, 자연스럽게 "우리는 하나"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중국을 대표하는 민족인 한족이 사실상 하나의 민족이라고 보기 어려운 외관과 혈연, 그리고 문화적으로 차이가 나는 많은 지역의 수많은 민족을 통합하여 이룩한 민족임에도 그 모든 것을 중국이라는 하나의 테두리 안에 있을 수 있게 한 점은 바로 한나라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중국의 민족을 한나라의 한(漢)자를 따서 한(漢)족이라 부르는지 가만히 생각해 보자. 그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중화(中華)가 시작된 뿌리라 봐도 무방하다. 중국에서 탄생한 문자인 한(漢)자의 이름만 봐도 한나라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중화주의는 중국인에게나, 세계인에게나 단순히 '중국의 민족주의'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근대 이전 동아시아의 국가 질서를 고찰해보면 여기서 내세우는 중화의 의미는 현대 중국이 내세우는 근대적 민족주의 사고 방식과 다르다. 이는 서양의 로마 제국과 비슷한 의미의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질서'라고 할 수 있다. 주변국에게 책봉과 조공이라는 자신들의 질서를 강요하고 이에 따르지 아니하면 징벌하며 주변국들이 칭신하고 조공을 바치면 막대한 하사품을 내려 이들을 복종시켰다. 그리고 이를 따를 경우 제국은 조공국들에게 안정과 번영을 제공할 것을 약속한다. 제국은 이 질서를 유지하는 것 자체에서 이득을 거두며, 질서가 도전받는 경우를 제외하면 별도의 무력 행위나 제재를 통해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기틀의 기반 사상을 형성한 유교를 선택한 것이 바로 한나라이며, 이 중화 의식은 동아시아 각국의 세계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후대에는 이런 보편적인 질서를 내재적으로 적용시킨 소중화 사상이 나오는 등 한자문화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한나라는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길고 긴 역사를 자랑하는 중국사, 그리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사에서도 대단히 중요하게 취급받으며 상당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단순히 하나의 중국이 시작되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일단 동아시아 문화권의 핵심인 유교가 국학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고[17], 또 다른 핵심인 율령(律令) 역시 기원전 130년 장탕(張湯)과 조우(趙禹) 등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위에서도 나왔지만 한나라가 멸망한 뒤로도 스스로 한나라 황실의 후손임을 자처하며 국호를 한으로 한 나라들이 많았는데 이를 보면 한나라가 진나라 못지 않게 후대 중국사에 큰 영향을 끼친 셈.
6. 행정 제도
한나라의 행정구역
군현제의 기틀이 잡힌 것도 이 시대이다. 시작은 이사의 건의에 따라 진나라가 먼저 시행했지만 순식간에 나라가 멸망했다. 이후 진나라를 멸망시킨 항우는 천하를 다시 제후들이 나누어 통치하는 봉건제(封建制)로 부활시켰지만, 실패하고 반대로 유방은 장량의 건의에 따라 천하를 분열케하는 봉건제 대신 봉건제와 군현제를 혼합한 군국제(郡國制)를 실시하였고[18] 이후 오초7국의 난과 무제 시기를 걸쳐 중국 전체에 군현제가 완전히 확립되었다. 이 군현제는 이후 장장 2,000여 년이 넘도록 중국 통치 체제의 기본이 되었으며, 이 덕에 광대한 지역에 중앙집권의 영향력을 완전히 확립할 수 있었다.[19]
또한 한무제 대부터 지방관이 각지의 인재를 천거하여 중앙에 등용하는 향거리선제가 시작되었다. 지방의 인재들을 유교 정신에 따라 천거하며 지방 세력이 중앙의 유교 원리를 받아들이고, 또한 지방의 호족들이 중앙에 진출할 기회를 활발히 얻게 되어 지방 출신 중앙 관료들과 외척과 환관 중심의 황제 세력이 균형을 이루었다. 이 정책은 후한 말까지 계속되었는데, 한나라 말기에 가서는 환관과 외척간 정쟁이 심해지고 호족들이 중앙의 정쟁에 말려드는 식으로 변했으며, 환관 세력이 지방 사대부를 집단으로 감금하는 당고의 금과 같은 사건으로 인해 향거리선제는 무너지고 지방과 중앙 간 결속이 사라지게 된다.
7. 대외관계
장사 마왕퇴에서 출토된 백화[20] | 함양 유방 부장묘에서 출토된 기마 무사용 |
한무제 |
또한 무제 시기의 군사 작전으로 이후 중국 주변국의 역사에 어마어마한 파장을 미쳐오기도 했다. 한고조 유방을 굴복시키고 미녀 왕소군을 조공으로 받을 정도로 엄청난 힘을 자랑하던 동아시아 최초의 유목제국 흉노에 대한 미칠듯한 공세로 인해 흉노는 큰 타격을 입어 이전 같은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한나라는 베트남과 전쟁을 벌였는데, 이때 남월은 순식간에 멸망당하고 대신 9군이 세워지며 베트남은 이후 중국과 수백, 수천 년간 이어지는 지리한 대립을 시작하게 되었다.
7.1. 한국사에서
한국 역사에서도 큰 비중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바로 위만조선을 멸망시켜 고조선 시대를 끝장낸 것이 전한이기 때문이다. 다만 위만조선은 이전의 남월에 비하면 그 한나라도 꽤나 고생을 해서 멸망시켰다. 그리고 그 자리에 한사군을 설치하였으나, 전한의 통치에 반발하는 한인 유민들의 저항과 고구려의 성장과 반격, 한사군 자체의 통제력 문제로 얼마 못 가 전부 통제력을 상실하고, 낙랑은 사실상 현지 예맥계 국가 수준으로 별개의 세력권이 되어버리고 이때 부여와의 관계도 다소 서먹해졌다. 이 한나라와의 관계와 투쟁에서 원삼국시대, 그리고 삼국시대로 이행하는 전기가 된다.8. 역대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한(前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고제 | 혜제 | 소제 | 소제 | 문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경제 | 무제 | 소제 | 폐제 | 선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원제 | 성제 | 애제 | 평제 | 정안공 | ||
후한(後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광무제 | 명제 | 장제 | 화제 | 상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안제 | 소제 | 순제 | 충제 | 질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환제 | 영제 | 소제 | 헌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촉한(蜀漢) | |
초대 | 제2대 | |||||
소열제 | 회제 | |||||
비정통 | ||||||
동제 | ||||||
}}}}}}}}} |
대수 | 묘호 | 시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연호 | 재위 기간 | 능호 | ||||||||||||||||||||||||||||||||||||||||||||||||||||||||||||||||||||||||||||||||||||||||||
추존 | - | 태상황 (太上皇) | ?[1] | ? | BCE 197년 | - | BCE 201년 ~ BCE 197년 | 만년릉 (萬年陵) | ||||||||||||||||||||||||||||||||||||||||||||||||||||||||||||||||||||||||||||||||||||||||||
01 | 태조 (太祖) | 고황제 (高皇帝) | 유방 (劉邦) | BCE 247년 5월 29일 | BCE 195년 6월 1일 | - | BCE 202년 ~ BCE 195년 | 장릉 (長陵) | ||||||||||||||||||||||||||||||||||||||||||||||||||||||||||||||||||||||||||||||||||||||||||
02 | - | 효혜황제 (孝惠皇帝) | 유영 (劉盈) | BCE 211년 | BCE 188월 9월 26일 | - | BCE 195년 ~ BCE 188년 | 안릉 (安陵) | ||||||||||||||||||||||||||||||||||||||||||||||||||||||||||||||||||||||||||||||||||||||||||
03 | - | - | ? | ? | BCE 184년 | - | BCE 188년 ~ BCE 184년 | - | ||||||||||||||||||||||||||||||||||||||||||||||||||||||||||||||||||||||||||||||||||||||||||
04 | - | - | 유홍 (劉弘) | ? | BCE 180년 | - | BCE 184년 ~ BCE 180년 | - | ||||||||||||||||||||||||||||||||||||||||||||||||||||||||||||||||||||||||||||||||||||||||||
05 | 태종 (太宗) | 효문황제 (孝文皇帝) | 유항 (劉恒) | BCE 203년 | BCE 157년 7월 6일 | - | BCE 180년 ~ BCE 157년 | 패릉 (覇陵) | ||||||||||||||||||||||||||||||||||||||||||||||||||||||||||||||||||||||||||||||||||||||||||
06 | - | 효경황제 (孝景皇帝) | 유계 (劉啓) | BCE 188년 | BCE 141년 3월 9일 | - | BCE 157년 ~ BCE 141년 | 양릉 (陽陵) | ||||||||||||||||||||||||||||||||||||||||||||||||||||||||||||||||||||||||||||||||||||||||||
07 | 세종 (世宗) | 효무황제 (孝武皇帝) | 유철 (劉徹) | BCE 157년 7월 14일 | BCE 87년 3월 29일 | 건원(建元, BCE 140년 ~ BCE 135년) 원광(元光, BCE 134년 ~ BCE 129년) 원삭(元朔, BCE 128년 ~ BCE 123년) 원수(元狩, BCE 122년 ~ BCE 117년) 원정(元鼎, BCE 116년 ~ BCE 111년) 원봉(元封, BCE 110년 ~ 105년) 태초(太初, BCE 104년 ~ BCE 101년) 천한(天漢, BCE 100년 ~ BCE 97년) 태시(太始, BCE 96년 ~ BCE 93년) 정화(征和, BCE 92년 ~ BCE 89년) 후원(後元, BCE 88년 ~ BCE 87년) | BCE 141년 ~ BCE 87년 | 무릉 (茂陵) | ||||||||||||||||||||||||||||||||||||||||||||||||||||||||||||||||||||||||||||||||||||||||||
08 | - | 효소황제 (孝昭皇帝) | 유불릉 (劉弗陵) | BCE 94년 | BCE 74년 6월 5일 | 시원(始元, BCE 86년 ~ BCE 80년) 원봉(元鳳, BCE 80년 ~ BCE 75년) 원평(元平, BCE 74년) | BCE 87년 ~ BCE 74년 | 평릉 (平陵) | ||||||||||||||||||||||||||||||||||||||||||||||||||||||||||||||||||||||||||||||||||||||||||
09 | - | - | 유하 (劉賀) | BCE 92년 | BCE 59년 | - | BCE 74년 | - | ||||||||||||||||||||||||||||||||||||||||||||||||||||||||||||||||||||||||||||||||||||||||||
추존 | - | 여황 (戾皇) | 유거 (劉據) | BCE 128년 | BCE 91년 | - | - | - | ||||||||||||||||||||||||||||||||||||||||||||||||||||||||||||||||||||||||||||||||||||||||||
추존 | - | 도황 (悼皇) | 유진 (劉進) | BCE 113년 | BCE 91년 | - | - | - | ||||||||||||||||||||||||||||||||||||||||||||||||||||||||||||||||||||||||||||||||||||||||||
10 | 중종 (中宗) | 효선황제 (孝宣皇帝) | 유순 (劉詢) | BCE 91년 | BCE 48년 1월 10일 | 본시(本始, BCE 73년 ~ BCE 70년) 지절(地節, BCE 69년 ~ BCE 66년) 원강(元康, BCE 65년 ~ BCE 61년) 신작(神爵, BCE 60년 ~ BCE 58년) 오봉(五鳳, BCE 57년 ~ BCE 54년) 감로(甘露, BCE 53년 ~ BCE 50년) 황룡(黃龍, BCE 49년) | BCE 74년 ~ BCE 48년 | 두릉 (杜陵) | ||||||||||||||||||||||||||||||||||||||||||||||||||||||||||||||||||||||||||||||||||||||||||
11 | (高宗) | 효원황제 (孝元皇帝) | 유석 (劉奭) | BCE 76년 | BCE 33년 5월 9일 | 초원(初元, BCE 48년 ~ BCE 44년) 영광(永光, BCE 43년 ~ BCE 39년) 건소(建昭, BCE 38년 ~ BCE 34년) 경녕(竟寧, BCE 33년) | BCE 48년 ~ BCE 33년 | 위릉 (渭陵) | ||||||||||||||||||||||||||||||||||||||||||||||||||||||||||||||||||||||||||||||||||||||||||
12 | (統宗) | 효성황제 (孝成皇帝) | 유오 (劉驁) | BCE 51년 | BCE 7년 | 건시(建始, BCE 32년 ~ BCE 29년) 하평(河平, BCE 28년 ~ BCE 25년) 양삭(陽朔, BCE 24년 ~ BCE 21년) 홍가(鴻嘉, BCE 20년 ~ BCE 17년) 영시(永始, BCE 16년 ~ BCE 13년) 원연(元延, BCE 12년 ~ BCE 9년) 수화(綬和, BCE 8년 ~ BCE 7년) | BCE 33년 ~ BCE 7년 | 연릉 (延陵) | ||||||||||||||||||||||||||||||||||||||||||||||||||||||||||||||||||||||||||||||||||||||||||
추존 | - | 공황 (恭皇) | 유강 (劉康) | ? | BCE 23년 | - | - | - | ||||||||||||||||||||||||||||||||||||||||||||||||||||||||||||||||||||||||||||||||||||||||||
13 | - | 효애황제 (孝哀皇帝) | 유흔 (劉欣) | BCE 27년 | BCE 1년 | 건평(建平, BCE 6년 ~ BCE 3년) 원수(元壽, BCE 2년 ~ BCE 1년) | BCE 7년 ~ BCE 1년 | 의릉 (義陵) | ||||||||||||||||||||||||||||||||||||||||||||||||||||||||||||||||||||||||||||||||||||||||||
14 | (元宗) | 효평황제 (孝平皇帝) | 유간 (劉衎) | BCE 9년 | 6년 1월 4일 | 원시(元始, 1년 ~ 5년) | BCE 1년 ~ 6년 | 강릉 (康陵) | ||||||||||||||||||||||||||||||||||||||||||||||||||||||||||||||||||||||||||||||||||||||||||
15 | - | - | 유영 (劉嬰) | 5년 | 24년 | 거섭(居攝, 6년 ~ 8년) 초시(初始, 8년) | 6년 ~ 8년 | - | ||||||||||||||||||||||||||||||||||||||||||||||||||||||||||||||||||||||||||||||||||||||||||
추존 | - | 거록부군 (鉅鹿府君) | 유회 (劉回) | ? | ? | - | - | 장릉 (章陵) | ||||||||||||||||||||||||||||||||||||||||||||||||||||||||||||||||||||||||||||||||||||||||||
추존 | - | 남돈군 (南頓君) | 유흠 (劉欽) | ? | ? | - | - | 장릉 (章陵) | ||||||||||||||||||||||||||||||||||||||||||||||||||||||||||||||||||||||||||||||||||||||||||
16 | 세조 (世祖) | 광무황제 (光武皇帝) | 유수 (劉秀) | BCE 5년 1월 15일 | 57년 3월 29일 | 건무(建武, 25년 ~ 56년) 건무중원(建武中元, 56년 ~ 57년) | 25년 ~ 57년 | 원릉 (原陵) | ||||||||||||||||||||||||||||||||||||||||||||||||||||||||||||||||||||||||||||||||||||||||||
17 | 현종 (顯宗) | 효명황제 (孝明皇帝) | 유장 (劉莊) | 28년 6월 15일 | 75년 9월 5일 | 영평(永平, 58년 ~ 75년) | 57년 ~ 75년 | 현절릉 (顯節陵) | ||||||||||||||||||||||||||||||||||||||||||||||||||||||||||||||||||||||||||||||||||||||||||
18 | 숙종 (肅宗) | 효장황제 (孝章皇帝) | 유달 (劉炟) | 57년 | 88년 4월 9일 | 건초(建初, 76년 ~ 84년 8월) 원화(元和, 84년 8월 ~ 87년 7월 장화(章和, 87년 7월 ~ 88년) | 75년 ~ 88년 | 경릉 (敬陵) | ||||||||||||||||||||||||||||||||||||||||||||||||||||||||||||||||||||||||||||||||||||||||||
19 | (穆宗) | 효화황제 (孝和皇帝) | 유조 (劉肇) | 79년 | 106년 2월 13일 | 영원(永元, 89년 ~ 105년 3월) 원흥(元興, 105년 3월 ~ 105년 12월) | 88년 ~ 105년 | 순릉 (順陵) | ||||||||||||||||||||||||||||||||||||||||||||||||||||||||||||||||||||||||||||||||||||||||||
20 | - | 효상황제 孝殤皇帝) | 유융 (劉隆) | 105년 | 106년 9월 21일 | 연평(延平, 106년) | 105년 ~ 106년 | 강릉 (康陵) | ||||||||||||||||||||||||||||||||||||||||||||||||||||||||||||||||||||||||||||||||||||||||||
추존 | - | 효덕황 (孝德皇) | 유경 (劉慶) | 78년 | 107년 | - | - | 감릉 (甘陵) | ||||||||||||||||||||||||||||||||||||||||||||||||||||||||||||||||||||||||||||||||||||||||||
21 | (恭宗) | 효안황제 (孝安皇帝) | 유호 (劉祜) | 94년 | 125년 4월 30일 | 영초(永初, 107년 ~ 113년) 원초(元初, 114년 ~ 120년 4월) 영녕(永寧, 120년 4월 ~ 121년 6월) 건광(建光, 121년 7월 ~ 122년 3월) 연광(延光, 122년 3월 ~ 125년) | 106년 ~ 125년 | 공릉 (恭陵) | ||||||||||||||||||||||||||||||||||||||||||||||||||||||||||||||||||||||||||||||||||||||||||
22 | - | - | 유의 (劉懿) | ? | 125년 12월 10일 | - | 125년 | - | ||||||||||||||||||||||||||||||||||||||||||||||||||||||||||||||||||||||||||||||||||||||||||
23 | (敬宗) | 효순황제 (孝順皇帝) | 유보 (劉保) | 115년 | 144년 9월 20일 | 영건(永建, 126년 ~ 132년 3월) 양가(陽嘉, 132년 3월 ~ 135년) 영화(永和, 136년 ~ 141년) 한안(漢安, 141년 ~ 144년 4월) 건강(建康, 144년 4월 ~ 144년 12월) | 125년 ~ 144년 | 헌릉 (憲陵) | ||||||||||||||||||||||||||||||||||||||||||||||||||||||||||||||||||||||||||||||||||||||||||
24 | - | 효충황제 (孝沖皇帝) | 유병 (劉炳) | 143년 2월 26일 | 145년 2월 15일 | 영희(永憙, 145년) | 144년 ~ 145년 | 회릉 (懷陵) | ||||||||||||||||||||||||||||||||||||||||||||||||||||||||||||||||||||||||||||||||||||||||||
25 | - | 효질황제 (孝質皇帝) | 유찬 (劉纘) | 138년 | 146년 7월 26일 | 본초(本初, 146년) | 145년 ~ 146년 | 정릉 (靜陵) | ||||||||||||||||||||||||||||||||||||||||||||||||||||||||||||||||||||||||||||||||||||||||||
추존 | - | 효목황 (孝穆皇) | 유개 (劉開) | ? | 131년 | - | - | 낙성릉 (樂成陵) | ||||||||||||||||||||||||||||||||||||||||||||||||||||||||||||||||||||||||||||||||||||||||||
추존 | - | 효숭황 (孝崇皇) | 유익 (劉翼) | ? | ? | - | - | 박릉 (博陵) | ||||||||||||||||||||||||||||||||||||||||||||||||||||||||||||||||||||||||||||||||||||||||||
26 | (威宗) | 효환황제 (孝桓皇帝) | 유지 (劉志) | 132년 | 168년 1월 25일 | 건화(建和, 147년 ~ 149년) 화평(和平, 150년) 원가(元嘉, 151년 ~ 152년) 영흥(永興, 153년 ~ 154년) 영수(永壽, 155년 ~ 158년) 연희(延熹, 158년 ~ 167년) 영강(永康, 167년) | 146년 ~ 167년 | 선릉 (宣陵) | ||||||||||||||||||||||||||||||||||||||||||||||||||||||||||||||||||||||||||||||||||||||||||
추존 | - | 효원황 (孝元皇) | 유숙 (劉淑) | ? | ? | - | - | 돈릉 (敦陵) | ||||||||||||||||||||||||||||||||||||||||||||||||||||||||||||||||||||||||||||||||||||||||||
추존 | - | 효인황 (孝仁皇) | 유장 (劉萇) | ? | ? | - | - | 신릉 (愼陵) | ||||||||||||||||||||||||||||||||||||||||||||||||||||||||||||||||||||||||||||||||||||||||||
27 | - | 효령황제 (孝靈皇帝) | 유굉 (劉宏) | 156년 | 189년 5월 13일 | 건녕(建寧, 168년 ~ 172년) 희평(熹平, 172년 ~ 178년) 광화(光和, 178년 ~ 184년) 중평(中平, 184년 ~ 189년) | 167년 ~ 189년 | 문릉 (文陵) | ||||||||||||||||||||||||||||||||||||||||||||||||||||||||||||||||||||||||||||||||||||||||||
28 | - | 홍농회왕 (弘農懷王) | 유변 (劉辯) | 176년 9월 27일 | 190년 3월 6일 | 광희(光熹, 189년 4월 13일 ~ 189년 8월 27일) 소녕(昭寧, 189년 8월 28일 ~ 189년 8월 30일) | 189년 | - | ||||||||||||||||||||||||||||||||||||||||||||||||||||||||||||||||||||||||||||||||||||||||||
29 | - | 효헌황제 (孝獻皇帝)[2] | 유협 (劉協) | 181년 | 234년 4월 21일 | 영한(永漢, 189년 9월 1일 ~ 189년 12월) 중평(中平, 189년 12월) 초평(初平, 190년 ~ 193년) 흥평(興平, 194년 ~ 195년) 건안(建安, 196년 ~ 220년 2월) 연강(延康, 220년 3월 ~ 220년 10월) | 189년 ~ 220년 | 선릉 (禪陵) | ||||||||||||||||||||||||||||||||||||||||||||||||||||||||||||||||||||||||||||||||||||||||||
|
9. 계보
태상황 | |||||||||||||||||
전1. 고제 | |||||||||||||||||
전2. 혜제 | 전5. 문제 | 제도혜왕 | |||||||||||||||
전3. 소제 | 전4. 소제 | 전6. 경제 | 성양경왕 | ||||||||||||||
전7. 무제 | 장사정왕 | 중산정왕 | 성양공왕 | ||||||||||||||
전8. 소제 | 창읍애왕 | 여황 | 용릉절부군 | 육성후 | 성양경왕 | ||||||||||||
전9. 폐제 | 도황 | 용릉대후 | 울림부군 | 성양경왕 | |||||||||||||
전10. 선제 | 유리 | 거록부군 | 성양혜왕 | ||||||||||||||
전11. 원제 | 초효왕 | 유자장 | 남돈군 | 성양강왕 | |||||||||||||
전12. 성제 | 공황 | 중산효왕 | 광척양후 | 玄. 경시제 | 후1. 광무제 | 식절후 | |||||||||||
전13. 애제 | 전14. 평제 | 광척후 | 후2. 명제 | 식후 | |||||||||||||
전15. 정안공 | 후3. 장제 | 赤. 유분자 | |||||||||||||||
후4. 화제 | 덕황 | 제북혜왕 | 천승정왕 | 목황 | |||||||||||||
후5. 상제 | 후6. 안제 | 후7. 소제 | 낙안이왕 | 숭황 | 원황 | 유웅 | |||||||||||
후8. 순제 | 발해효왕 | 후11. 환제 | 인황 | 유홍 | |||||||||||||
후9. 충제 | 후10. 질제 | 후12. 영제 | 촉1. 소열제 | ||||||||||||||
후13. 소제 | 후14. 헌제 | 촉2. 회제 |
10. 대중매체에서
중국의 역대 대작 문학을 관통하는 배경이기도 한데 전한 초기 초한쟁패기의 상황이 초한지의 배경이고 후한 말기의 상황이 삼국지연의의 초반부 배경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중국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시대. 다만, 한나라를 건국하는 한고조의 극초기와 후한 말기 삼국지 시대만 자주 나오고, 그 외 시대는 많지 않다.2004년 MBC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주몽에서는 한나라의 군대가 그야말로 악의 제국으로서 가공할 군세로 묘사되는데, 이 전한 왕조의 군대가 철기병이었다고 묘사했으나, 역사적 사실과는 전혀 거리가 멀다. 사람과 말이 모두 갑옷을 입은 철기병은 아무리 빨리 잡아도 그 등장 시기가 후한 말기인 삼국지 시대에 의장용으로 약간 존재했던 정도고[21], 본격적으로 쓰이는 시기는 북방 유목민족들이 대거 남하하는 5호 16국 시대에 들어와서야 가능했다. 사실 전한 왕조의 진짜 군사들은 대부분 갑옷을 안 입었거나 입었어도 상체만 가리는 가벼운 정도였고, 정예 기병들도 대부분 가죽 갑옷을 입은 경기병 차림이었지 중무장 기병이 아니었다. 다만 경무장을 했다고 전한 왕조의 군대가 형편없는 전투력을 지녔다고 얕볼 수는 없는데, 경무장을 하게 되면 그만큼 병사 개개인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수의 병력을 편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무엇보다 몸이 가벼워서 중무장을 한 것보다 더 빨리 움직이고 쉽게 지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전에 유리하다. 흉노족에게 사로잡힌 한나라 군사들, 한나라 중무장 기병대의 돌격, 전한 왕조의 보병들, 중국 한나라의 보병과 기병 갑옷
11. 여담
- 00년대 초반 인터넷 역사 팬덤 문화가 처음 형성되던 시절 널리 퍼졌던 vs놀이 중 하나로 동양 vs 서양에 속하는 로마 VS 중국이 있는데, 당시에는 지금보다 역덕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빈약한 문제도 있고, 구글이 활성화되기 이전으로 위키피디아도 없었기 때문에 전공자 이외에는 참고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도 해서, 한쪽에서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근거로 로마 우위론을 주장하면 다른 한쪽에서는 이문열 삼국지를 근거로 제갈공명의 신묘한 전술로 로마 제국 군대가 박살난다고 주장하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영락없는 병림픽이 벌어졌었던 역사가 있다. 당시에는 언급되지 못하던 부분이지만 세부적으로 파고들면 두 제국은 최전성기가 미묘하게 어긋나 있어서 비교하기 힘들다.[22] 하다 못해 인구라도 차이가 나면 인구가 국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참고할 수 있을 텐데 참으로 공교롭게도 한나라와 로마의 인구는 둘 다 5~6000만 정도라는 게 정설이라 이 부분에서도 비교가 힘들다. 문명의 수준 역시 어느 부분은 로마가, 어느 부분은 한나라가 앞서 총체적으로 비등비등, 최소한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확연하게 앞서는 게 아닌지라 여기서도 비교가 힘들다. 게다가 설령 어느 한쪽이 확실하게 국력이 앞섰다고 치더라도 전쟁의 역사를 보면 명장과 졸장, 혹은 방어전이냐 공격전이냐 등의 요소 등 국력 차를 뒤집는 변수 또한 많았기 때문에 현재 역사 커뮤니티에서 이 쉬어터진 떡밥을 꺼냈다간 10명 중 9명은 비아냥과 욕설을 할 것이고 나머지 친절한 1명은 "원정 가는 놈이 진다/명장 튀어나오는 쪽이 이긴다"라고 다소 허무한 대답을 할 것이다. 다만 현재 연구로 밝혀진 1세기경 한나라의 총 GDP는 약 270억, 당시 전유럽 총합은 약 155억이다, 허나 이걸로 두 제국의 경제력을 비교하는게 무의미한게 고대 경제를 현대의 GDP로 측정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인 것은 둘째치고 로마 제국 경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중동과 북아프리카가 계산에 포함되지 않았다.
12. 같이 보기
[1] 신나라를 멸하고 한나라가 복벽된 후한시대가 되면서 천도했다. 장안이 왕망과 후한 교체기의 전란으로 피폐해져서 전각과 민호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2] 반(反)동탁 연합에 대항하기 위해 동탁이 강제로 환도하였다.[3] 장안 천도 과정에서 동탁이 낙양을 파괴했고, 삼보의 난으로 장안 역시 피폐해지면서, 협천자이령제후를 명분으로 내세운 조조가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허(許)로 천도하였다.[4] 기원전 202년부터 칭제.[5] 그 밖에도 1세기 말부터는 외척과 환관, 권신의 발호로 인해 실권을 가진 황제가 거의 없다.[6] 이 시대의 언어는 중고한어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었다. 상고한어에 속하는 시대긴 하지만 후한 중국어(Eastern Han Chinese)라는 용어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7] 한무제 때 동중서의 "파출백가, 독존유술'로 대표되는 헌책에 따라 세계 최초로 유학을 관학으로 지정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과 연구가 있어서 한무제 때의 일을 상징적인 조치로 보고, 실질적으로 유학이 정치, 사회, 문화, 학술 등 국가 전반에 침윤하여 영향을 발휘하게 된 것은 후한 장제 이후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는 백호통의의 성서(成書)와도 관련이 있다.[8] 후한 초기에 서역을 통해 전래되었고, 후한 후기에 중원에 유입되어 불경의 번역이 이루어졌다.[9] 한사군 일부 지역[10] 현 산둥성 허쩌시 딩타오 현.[11] 중간에 잠시 왕망이 선양으로 전한을 멸망시키고 건국한 신나라 15년을 빼면 전후 합해 411년.[12] 다만 한나라 역시 후술할듯 중간에 잠시 신나라라는 다른 왕조로 단절되었기에 단절되지 않고 가장 오래 지속된 왕조는 296년을 존속한 청나라다. 송나라는 319년이나 존속했고 한나라처럼 나라 자체가 단절되지는 않았으나 북송이 망하고 남송을 세우기까지 약간의 공백이 있기 때문에 애매해서 제외.[13] 오늘날 한국과 일본에서는 전한과 후한이 일반적으로 쓰이지만 중화권에서는 서한과 동한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이유는 당연히 전한의 수도였던 장안은 서쪽, 후한의 수도였던 낙양은 동쪽에 있기 때문. 사실 후한(後漢)이라는 표현은 오대십국시대에 존재한 국가를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해서 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한국과 일본에서 전•후를 쓰는 이유는 제갈량의 출사표 때문. 출사표에서는 명확히 전한과 후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오대십국시대보다 출사표의 인지도가 압도적인 것도 있고.[14] 로마의 경우 지중해의 확고한 패권국의 지위에 오른 시점부터 고려함이 적당할 것이다. 이는 한나라보다는 한 시점으로 특정하기 어렵다. 가능한 시점으로는 다음의 것들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제3차 포에니 전쟁의 종결(기원전 146년),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기원전 63년), 옥타비아누스의 아우구스투스 등극(기원전 27년). 각각의 경우에 로마 '제국'의 지중해 지역 통치 기간은 약 600년에서 500년으로 산정할 수 있다.[15] 전한과 후한을 통틀어 이르는 말.[16] 그렇기 때문에 한나라 이전의 통일 왕조인 진나라가 그렇게 빨리 멸망했다. 진나라를 암군이 통치하자마자 온갖 옛 나라들의 귀족들과 평민들이 달려들어 자신들의 나라를 재건하려고 했다. 그만큼 다른 나라라는 인식이 강했던 것.[17] 다만 전한은 도가적 사상과 도교가 강세여서 한무제가 유교를 국교화하면서도 할머니인 효문황후 두씨의 눈치를 보느라 고생을 했고, 국학이 된 다음에도 도가적 사상과 도교는 여전히 강력했다. 후한은 다르다. 광무제 유수는 태학(太學)에서 공부했던 사람으로 유교의 세는 후한 때 훨씬 강해진다. 그런데 여담으로 광무제는 참위와 도참에 꽤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8] 역이기는 이때 봉건제를 주장하다 장량에게 논파당하고 유방에게 욕을 얻어먹는다.[19] 다만 다른 지역들보다 일찍 중앙집권 제국을 이루었다는 서술은 완전히 틀린 말이다. 중동에서는 이미 아시리아 제국 시절에 막강한 중앙집권제를 확립했고, 이후에도 아케메네스 왕조, 셀레우코스 제국,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티무르 제국 같이 막강한 중앙집권을 이룬 제국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의 국력은 동시대 중국과 동등하거나 더 강력했다. 오히려 기원전 2세기에 와서야 안정적인 중앙 집권을 이룬 중국은 빠른 편이 아니다. 다만 중국은 이후 세계적으로 강력한 중앙집권을 계속해서 지금까지 이어올 수 있었다. 한나라의 고도화된 중앙집권의 예로 전국의 백성들을 상대로 실시한 인구 조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위에서 열거한 중동 제국이나 비슷한 시기의 로마 제국에서도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20] 2000년도 더 된 유물이 이렇게 발굴된 것도 기적이라 할 수 있다. 무덤이 완전 밀봉된 구조에다가 세월이 흐른 뒤에 잊혀져 70년대에야 방공호를 짓다 발견된 것이기에 보존상태가 좋을 수밖에 없었다.[21] 가령 조조와 원소가 격전을 벌였던 관도대전 당시, 조조군에 중장기병이 약 2명 있었고 원소군에는 10명이 있었는데, 이 정도 숫자라면 아무리 봐도 도저히 전투용은 아니고 그저 고급 지휘관을 경호하는 식의 의장용에 불과하다고 봐야 한다.[22] 원수정 로마 제국의 최전성기인 트라야누스 시절은 한나라의 제21대 황제인 안제 시절이었고, 이미 상당 부분 침체와 쇠퇴가 진행된 상황이었다. 한편 한나라 최전성기인 한무제 시절은 로마에게는 술라의 시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