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9:25:34

한국 요리/지역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 요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 요리/목록
,
,
,
,
,

1. 개요2. 특징3. 서울·인천·경기4. 강원5. 대전·세종·충남6. 충북7. 광주·전남8. 전북9. 부산·울산·경남10. 대구·경북11. 제주12. 북한
12.1. 개성12.2. 평남·평북12.3. 황남·황북 또는 황해도12.4. 함남·함북

1. 개요

한국 요리, 한식을 지역과 그 역사에 따라 분류한 문서이다.

2. 특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지역별로 음식의 특성들이 조금씩 다른 편인데 통설에 따르면 우선 기후의 특성상 남쪽일수록 맛이 자극적이고[1] 양념이 강하며 북쪽으로 갈수록 양념이 덜 들어가고 맛도 심심해진다.[2] 맛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덜 맵고 덜 짜고 덜 단 방향으로 간다는 말. 즉, 건강에는 더 좋은 편이다. 제주도는 기후와 상관없이 비교적 심심한 편이다. 이는 제주도에선 전통적으로 소금을 구하기가 매우 힘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전통 소금인 자염[3]은 갯벌이 있어야 하는데 제주도는 해안이 바위로 이루어져서 자염을 만들기가 곤란[4]하였고 따라서 음식에 소금을 쓰기가 힘들었다. 함경도도 북쪽의 음식이 싱겁다는 관념에 비해서는 매운 편이다. 70년대에도 함흥냉면은 '얼얼하게 먹어야 제맛'이라는 주장, 탈북이 거의 없던 90년대에도 '자극적인 맛을 즐긴다'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였다.

3. 서울·인천·경기


4. 강원

5. 대전·세종·충남

6. 충북

7. 광주·전남

8. 전북

9. 부산·울산·경남

10. 대구·경북

11. 제주

12. 북한

12.1. 개성

12.2. 평남·평북

12.3. 황남·황북 또는 황해도

12.4. 함남·함북


[1] 남도 음식에 대한 명성만 듣고 수도권에서 남쪽 지방으로 놀러간 사람이 간이 센 반찬을 맛보고 놀라기도 한다.[2] 설렁탕이나 순댓국 같은 국물음식의 경우 입맛에 맞게 간을 맞추라는 의미에서 소금이나 다대기를 넣지 않고 아주 싱겁게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3] 사족으로 태조 왕건의 둘째 부인인 장화왕후 오씨는 나주에서 대대로 자염을 생산해 큰 부를 축적한 부호 가문의 딸이었다[4] 자염을 만들 수 없는 대신, 해안가 돌덩이 중 움푹진 곳에 해수가 고이는 걸 이용해 태양열로 소금을 만들어 쓰긴 했지만 음식 재료에 넣을 만큼의 생산량은 부족했다.[5] 구리 음식이라는 착각이 있으나, 사실 구리 곱창골목이 생긴지는 20년이 채 안된다. 거기다가 가장 오래된건 가장 큰 보x곱창이 아니라 유x사 곱창인데 이또한 원래는 왕십리 곱창이라 팔던 곳이다. 그때로 역사를 올라가면 30년쯤 되는건 사실이지만 원래는 허름한 오락실이나 닭고기정육점이나 있던 곳. 즉 왕십리식 양념곱창을 모티브로한게 구리 곱창이다. 구리에 워낙 토박이가 적은 면모로 넣은듯하나 오히려 구리는 개고기로 유명했다. 서울 불륜 커플이 미사리에서 데이트하고 구리로 넘어와서 개고기로 보신후에 팔당쪽 모텔로 가는 코스가 추천 되기도 함[6] 감자탕의 기원에 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가장 유력한 설은 1899년 경인선 철도 공사 때 많은 인부들이 철도 공사에 동원되어 인천으로 몰리면서 생겨난 음식이라는 것이다. 왜 하필 뼈가 주재료인 감자탕인가에 대한 설로는 19세기 개항 이후 인천항으로 출입하기 시작한 외항선들의 스테이크용 고기에 대한 수요로 인천에 대형 도축장이 생겼는데, 이들이 살코기를 가져가고 나면 뼈가 많이 남게 되고 이 뼈를 이용한 요리법이 바로 감자탕이라는 것이다.[7] 말린 아구(아귀)를 쓰는 마산아구찜과는 다르게 생물 아귀로 만든다.[8] 청보식품의 해물라면 '물텀벙'은 이 요리와는 몇만 광년 떨어진 식품이지만, 이름만큼은 물텀벙이에서 따온 것인 듯.[9] 백령도뿐만 아니라 인천 본토에서도 맛볼 수 있다.[10] 함경남도 함흥이 아바이순대로 유명하지만, 분단으로 인해 실향민들이 속초에 새로 터를 잡아 장사하고 있다.[11] 진짜 공주에서 만들어진 음식인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출처가 확인된 가장 오래된 음식점은 대전광역시에 있다.[12] 올갱이는 '다슬기'의 방언. 올뱅이라고도 한다. 다슬기를 푹 삶은 물에 된장을 풀어 끓인 국에 삶아서 까 놓은 다슬기를 얹은 국밥이다.[13] 광주광역시/음식 참고[14] 왜 나주 지역 음식인지는 해당 항목 참조.[15] 요즘에는 유통의 발달로 지역별 어묵 맛의 편차가 줄었지만 한국에서 어묵을 가장 많이 만들고 소비하기로 잘 알려진 부산은 어묵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서 다른 도시의 어묵을 맛보고 '이게 무슨 어묵이냐?'며 어이없어한다는 말도 있을 정도다. 어묵을 만들 때 뼈나 껍질까지 넣어서 먹다보니 식감이 좀 더 좋다고 한다.(어묵의 원조인 일본과 비슷한 제조방법인데, 일본에서도 뼈가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살짝 씹히는 어묵을 높게 쳐준다.)[16] 이 지역 해안가에서 오랫동안 산 노인들은 메주로 만든 간장을 지렁(=유지렁≒어간장)보다 한 수 아래로 치고, 된장은 '뽑아먹을 게 없어서 간장 만든 찌꺼기를 뽑아먹냐'는 인식이 강했다. 반대로 콩간장을 '뽑아먹을 게 없어서 된장 만들다 만 물을 뽑아먹냐'는 집안도 있다. 이런 집안은 자연스레 된장이나 청국장을 만들어 먹고 또 그러기 위해 콩을 발효시킨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겠지만 어느 쪽이든 지렁을 더 높게 친다는 건 공통점.[17] 아주 큰 전복을 갈라 속에 껍질 벗긴 잣(실백자)을 넣어 만두처럼 쌈싼 것. 고마부/조명암 작사, 리면상 작곡의 신민요 '울산아가씨'의 구절 중 '실백자 얹어서 전복쌈일세'의 그 전복쌈이다.[18] 이쪽도 나름대로 유명한 멸치 어장인지라 울산처럼 멸치로 담근 간장 또한 만들어 먹는다.[19] 헛걸음을 방지하기 위해 여담을 붙이자면, 구미시 행정구역 내에 있는 선산 휴게소에서는 이것을 팔지 않는다.[20] 안동시/문화 문서도 참조.[21] '식혜'가 아니라 '식해'라는 논란도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식혜'이다.[22] 이 기사에서 황백지단도 들어간다고 하나 일반적으로는 넣지 않는다. (돼지고기, 메밀묵, 묵은지는 필수이나, 그 외 재료는 집집마다 다르다)[23] 설명은 고기국수 문서에 설명되어있다.[24] 개성탕반이 현대에는 사라졌다는 소문도 있는데 실제로는 잘 안알려졌을 뿐이다.[25] 돼지 창자에 돼지 피와 숙주나물, 두부를 넣어 만드는 순대이다. 과거 개성의 부잣집에서는 쌀겨나 밀겨만 먹인 돼지를 따로 키웠는데 겨만 먹이면 지방과 냄새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겨만 먹인 돼지 내장으로 만든 순대가 바로 개성순대인 절창이다.[26] 사실 불고기는 평양에서 너비아니를 뜻하는 평양사투리였다.[27]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남한(특히 서울)에서는 소고기 육수를 쓰는 등 조리법 및 먹는 법이 다소 바뀌었고, 북한에서도 독재자 김씨 삼부자의 입김으로 바뀐 점이 있다. 이쯤 되면 계보에서 가지치기를 하여 '평양냉면'이라 불리는 서울의 향토요리가 따로 발전했다고 해도 할 말이 없을 듯.[28] 남한에서는 상기한 당면 순대가 순대의 자리를 차지한탓에 타 순대와 구분하여 부를 땐 고기순대라고 한다.[29] 당면의 북한말이 분탕이라고 한다.

분류